WO2016175442A1 -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175442A1
WO2016175442A1 PCT/KR2016/002096 KR2016002096W WO2016175442A1 WO 2016175442 A1 WO2016175442 A1 WO 2016175442A1 KR 2016002096 W KR2016002096 W KR 2016002096W WO 2016175442 A1 WO2016175442 A1 WO 20161754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sh message
account book
mobile device
modu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20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선호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ublication of WO20161754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1754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 SMS Short Message Service
  • MMS Multi Message Service
  •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analyzes credit card usage information and bank account deposit and withdrawal information received by SMS, MMS, etc., and inserts it into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create a book book.
  • Patent No. 10-0682719 Invention name: Account book interworking service method using a text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nouncement date: February 15, 2007
  • Patent Publication No. 10-2009- 01029479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account book using a message service of a mobile terminal, publication date: October 01, 2009
  • the conventional account book application is unable to access push messages by applications such as financial companies, and can analyze only SMS or MMS. Therefore, the customer receiving the transaction history using the application has caused inconvenience to input the contents into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separatel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by obtaining the access authority for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by extracting the account book data from the push message to create the account book, To provide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that allows customers who receive transaction details, etc., to automatically create a book book without having to manually enter the information in the book book, and manage the book book conveniently and accurately. For that purpos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cognizes a push message,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push message includes the valid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ing the account book, and extracts the account book data only for the push message containing the valid information, thereby processing data an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 message 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load and make the account book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 Push message 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 An authority acquisition module for acquiring an access right for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 a data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account book data from the push message determined to include valid information in the determination module
  •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which automatically inputs the extracted account book data to create an account book.
  • the mobile device Preferably,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and
  • the output push message can be recognized in real time.
  • the determination module calculates the determination module
  • the push message When the push message is output b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valid information is included using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 the determination module More preferably, the determination module,
  •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group including a bank, a card company, and a payment ag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ush message output by the application includes the valid information.
  • the determination module calculates the determination module
  • the Ticker-related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may be sensed, and the ticker information displayed when the push message is output from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device may b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 the determination module calculates the determination module
  • the title of the push message, or the title and the text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notif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contents of the account book data automatically input to the account book in a push message, and receive a memo about the contents of the book data through the output push message window.
  • an input notification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contents of the account book data automatically input to the account book in a push message, and receive a memo about the contents of the book data through the output push message window.
  •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More preferably,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 a memo received from the input notification module may be input together with the account book data to create an account book.
  • the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obtaining the access rights to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extracting the account book data from the push message to create a book, using the application transaction details, etc.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anage the account book by automatically receiving the account without having to manually input the contents to the account book.
  •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gnizing the push messa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ognized push message includes the valid information required to create the account book, and extracts the account book data only in the push message containing the valid information, data processing time And the load is greatly reduced, and the account book can be created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devic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push message 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in which a push message is output in the push message 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in which account book data is automatically input in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may include an authority acquisition module 110, a determination module 120, a data extraction module 130, and an account book managem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dule 140, and may further comprise an input notification module 150.
  • the authority acquisition module 110 obtains the access authority for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determines whether the push message includes the valid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ccount book creation If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extracts and transfers the account book data only to the push message including the valid information,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may input the book data received and create the account book.
  • a customer who receives a transaction history using an application can automatically create an account book without having to manually enter the content in the account book, so that the account book can be managed conveniently and accurately, and data processing time and The load is greatly reduced, and the account book can be created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nd drives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on the mobile device 10, and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t can be implemented by executing the module as described above.
  • the mobile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by communicating with the account book management server 20 via a network.
  • the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can be implemented. That is, the mobile device 10 includes all the modules as shown in FIG. 1, and the user can use the mobile account book through his mobile device 10 and store the account book created in the mobile device 10. .
  • the data of the account book created by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is transmitted and stored in the account book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user installs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n the mobile device 10.
  • the user installs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n the mobile device 10.
  • the module as shown in FIG. 1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device 10 altogether.
  • the mobil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 smart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smart notebook, a tablet PC, a wearable computer, and the like, which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 the mobil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s of terminals as listed. If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s installed and the push message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the account book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It can be any role of the mobile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y.
  • the permission obtaining module 110 may obtain an access right for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10.
  • the authority acquisition module 110 may acquire an access right for the push messag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when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10.
  • the authority acquisition module 110 may change the access right. Can also be obtained.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recognize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10 and determine whether the recognized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ing the account book.
  • the push message output to the mobile device 10 may include various contents in addition to the contents necessary for preparing the account book. In the present inv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decision module 120 is a push message necessary for creating the account book, and transmits it to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it is not necessary to extract data from all the push message to create the account book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can do.
  • the mobile device 10 may install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and drive the installed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n the background to recognize the output push message in real time. That is, by continuously driving the account book application 11 in the background,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recognize the push message as soon as the push message is output to the mobile device 10.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that is, information required to create an account book,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that outputs the push message, the ticker information on the push message, and the push messag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ackage name and the ticker information is first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alid information is included for quick determination, and when the determination is impossible, the determination may be made using the title, text, etc. of the push message. As described above, by sequentially applying the determina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quickl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valid information of many push messages is included.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application includes valid information using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 the package name is a unique value for distinguishing applications, and may serve to distinguish applications installed in a device from each other.
  • a package name is named so that a company name or a company name and a program name may be included, and a package address is often given in the form which reversed the website address.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outputs by the appli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package na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company name or program name included in the package name is a company name or program name related to payment information, deposit and withdrawal information, etc., which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ing an account book, the push message output by the application of the package name includes valid information. It can be judged that.
  • FIG. 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obile device 10 in which push messages are output in the push message 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ayment notification push message of the card company application as shown in FIG. 3 the deposit and withdrawal notification push message of the bank application as shown in FIG. 4.
  • the recognition module 120 may recognize that the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necessary for creating an account book, using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that outputs the recognized push message.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detects a ticker related signal generated by the mobile device 10, collects and analyzes ticker information displayed at the output of the push message from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device 10, and pushes the push signal.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message contains valid information.
  • tick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sh message is displayed in a row on the top of the mobile device 10.
  • the application that outputs the push message displays the ticker information through the operating system of the mobile device 10.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detects the ticker-related signal generated in this process and collects the ticker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system. have.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valid information is included by analyzing the ticker information. In particular, using the tick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package name of the applic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push message to be processed in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push message includes valid information by using the title of the push message or the title and the text. That is, as a method of directly using the contents of the push message, whe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valid information is included using the package name and the ticker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accuracy can be improved.
  •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may extract the account book data from the push message determined to include valid information in the determination module 120.
  •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may extract the account book data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push message.
  • the data extraction module 130 may extract the book data by parsing the text of the push message, and the extracted book data may include an item, an amount of money, a place of use, a date and time, a payment method, and the like. For example, from the push message as shown in Figure 3, the item “expenditure”, the amount “14800 won”, the use "taste snack”, date and time "April 5 10:20", payment means "OO card”, etc.
  • the account book data can be extracted.
  •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may automatically input the extracted account book data to create an account book. That is,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may input the account book data according to the necessary items, the amount of money, the place of use, the date and time, the payment means, etc., and update the balance or the total amount used to create the account book.
  • the account book created by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may be stored in the mobile device 10,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ccount book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account book management server 20 through a network. You can also create households that are stored and managed.
  • the input notification module 150 may output the contents of the account book data automatically input to the account book as a push message, and may receive a memo about the contents of the book data through the output push message window.
  • the account book management module 140 may create an account book by inputting a memo received from the input notification module 150 together with the account book data.
  •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mobile device 10 in which account book data is automatically input in a push message-based account book management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put notification module 150 outputs the contents of the account book data as a push message, whether the user inputs Can be selected. In this case, whether to output the push message by the input notification module 150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puter readable medium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communication terminals.
  •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_ROMs, DVDs, and floptical disks.
  •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 it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such as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계부를 작성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거래 내역 등을 수신하는 고객이 수동으로 그 내용을 가계부에 입력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계부를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금융사고 피해가 늘어남에 따라, 여러 금융사에서는 신용카드 사용 정보나 은행 계좌 입출금 정보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 Message Service) 등으로 고객에게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각종 스마트 기기의 급격한 보급에 따라, 스마트 기기에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용자가 많이 있다. 이러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SMS 또는 MMS 등으로 수신되는 신용카드 사용 정보나 은행 계좌 입출금 정보를 분석하여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682719호(발명의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가계부 연동서비스 방법, 공고일자: 2007년 02월 15일) 및 공개특허 제10-2009-01029479호(발명의 명칭: 이동 단말의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가계부 작성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자: 2009년 10월 01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각종 금융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신용카드사나 금융사 등이 각자의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하고 있다. 신용카드사나 금융사 등에서는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신용카드 사용 정보나 은행 계좌 입출금 정보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바꾸고 있다. SMS 또는 MMS의 경우 전송 시마다 비용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비용을 고객에게 부담하는 것 또한 신용카드사나 금융사 입장에서 부담이 되므로, 고객이 데이터 통신료만 부담하면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은 금융사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푸시메시지에 접근이 불가능하고, SMS 또는 MMS 등만 분석이 가능하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거래 내역 등을 수신하는 고객은 그 내용을 별도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계부를 작성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거래 내역 등을 수신하는 고객이 수동으로 그 내용을 가계부에 입력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계부를 관리할 수 있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푸시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메시지에 한하여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시간 및 부하가 대폭 감소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는 권한 획득 모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모듈;
상기 판단 모듈에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된 가계부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하는 가계부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푸시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을 이용해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에, 은행, 카드사 및 결제대행사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푸시메시지가 상기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발생하는 티커 관련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푸시메시지의 출력 시 표시되는 티커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푸시메시지의 타이틀, 또는 타이틀 및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계부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을 푸시메시지로 출력하며, 출력된 푸시메시지 창을 통해 상기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메모를 입력받는 입력 알림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계부 관리 모듈은,
상기 입력 알림 모듈에서 입력받은 메모를 상기 가계부 데이터와 함께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가계부를 작성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거래 내역 등을 수신하는 고객이 수동으로 그 내용을 가계부에 입력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계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푸시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메시지에 한하여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처리 시간 및 부하가 대폭 감소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푸시메시지가 출력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입력되는 가계부 데이터가 출력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 모바일 디바이스 11: 가계부 애플리케이션
20: 가계부 관리 서버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110: 권한 획득 모듈 120: 판단 모듈
130: 데이터 추출 모듈 140: 가계부 관리 모듈
150: 입력 알림 모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권한 획득 모듈(110), 판단 모듈(120), 데이터 추출 모듈(130) 및 가계부 관리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 알림 모듈(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권한 획득 모듈(110)이 모바일 디바이스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고, 판단 모듈(120)이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데이터 추출 모듈(130)이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메시지에 한하여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면, 가계부 관리 모듈(140)이 전달받은 가계부 데이터를 입력해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거래 내역을 수신하는 고객이 수동으로 그 내용을 가계부에 입력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정확하게 가계부를 관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 처리 시간 및 부하가 대폭 감소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신속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 및 구동하고,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을 실행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0)가 가계부 관리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을 모두 포함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0)를 통해 모바일 가계부를 이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작성된 가계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가계부 관리 모듈(140)이 작성하는 가계부의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가계부 관리 서버(20)에 전송 및 저장되어, 사용자가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한 모바일 디바이스(10) 외에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서도 가계부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가계부를 확인하거나 관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1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하고 푸시메시지를 분석하여 가계부를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권한 획득 모듈(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권한 획득 모듈(110)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 설치 시에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한 후, 나중에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권한 획득 모듈(110)이 접근 권한을 획득할 수도 있다.
판단 모듈(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는,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내용 이외에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판단 모듈(120)이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푸시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데이터 추출 모듈(130)에 전달함으로써, 모든 푸시메시지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가계부 작성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하고 설치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백그라운드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백그라운드로 계속 구동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로 푸시메시지가 출력되는 즉시 판단 모듈(120)이 푸시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 모듈(120)은,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 즉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푸시메시지를 출력한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 푸시메시지에 대한 티커 정보, 푸시메시지의 내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신속한 판단을 위하여 패키지명 및 티커 정보를 이용해 유효 정보 포함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판단이 불가능한 경우 푸시메시지의 타이틀, 텍스트 등을 이용해 판단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많은 푸시메시지의 유효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정보를 이용한 판단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첫 번째로, 판단 모듈(120)은, 푸시메시지가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을 이용해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패키지명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는 고유한 값으로서,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을 서로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키지명은, 회사명, 또는 회사명 및 프로그램명을 포함하도록 명명되며, 웹사이트 주소를 반대로 기재한 모양으로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판단 모듈(120)은, 이와 같은 패키지명의 특성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에, 은행, 카드사 및 결제대행사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패키지명에 포함된 회사명 또는 프로그램명이,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정보인 결제 정보, 입출금 정보 등과 관련된 회사명 또는 프로그램명인 경우에, 해당 패키지명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된 푸시메시지는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푸시메시지가 출력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사 애플리케이션의 결제 알림 푸시메시지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행 애플리케이션의 입출금 알림 푸시메시지 등을 인식한 판단 모듈(120)은, 인식된 푸시메시지를 출력한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이 카드사 또는 은행임을 이용하여, 해당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판단 모듈(120)은,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발생하는 티커 관련 신호를 감지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운영체제로부터 푸시메시지의 출력 시 표시되는 티커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메시지가 출력될 때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상단에 한 행으로 푸시메시지와 관련된 티커 정보가 표시된다. 푸시메시지를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운영체제를 통해 티커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티커 관련 신호를 판단 모듈(120)이 감지하여, 운영체제로부터 티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판단 모듈(120)은, 티커 정보는 애플리케이션명과 푸시메시지의 간략한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티커 정보를 분석하여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과 함께 티커 정보를 이용하면, 추후 상세히 설명할 데이터 추출 모듈(130)에서 처리해야 할 푸시메시지인지 여부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판단 모듈(120)은, 푸시메시지의 타이틀, 또는 타이틀 및 텍스트를 이용하여, 푸시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푸시메시지의 내용을 직접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패키지명과 티커 정보를 이용해 유효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하여,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데이터 추출 모듈(130)은, 판단 모듈(120)에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권한 획득 모듈(110)에서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이미 획득한 상태이므로, 데이터 추출 모듈(130)은 푸시메시지의 내용을 수집 및 분석하여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추출 모듈(130)은, 푸시메시지의 텍스트를 파싱하여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가계부 데이터는 항목, 금액, 사용처, 일시, 결제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메시지로부터, 항목 “지출”, 금액 “14800원”, 사용처 “맛나요 분식”, 일시 “4월 5일 10:20”, 결제수단 “OO카드” 등으로 가계부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가계부 관리 모듈(140)은, 추출된 가계부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즉, 가계부 관리 모듈(140)은, 가계부 데이터를 필요한 항목, 금액, 사용처, 일시, 결제수단 등에 맞추어 각각 입력하고, 잔액이나 총 사용액 등을 업데이트하여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가계부 관리 모듈(140)에 의해 작성된 가계부는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가계부 관리 서버(20)에 가계부 데이터를 전송하여, 가계부 관리 서버(20)에서 저장 및 관리되는 가계부를 작성할 수도 있다.
입력 알림 모듈(150)은, 가계부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을 푸시메시지로 출력하며, 출력된 푸시메시지 창을 통해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메모를 입력받을 수 있다. 가계부 관리 모듈(140)은, 입력 알림 모듈(150)에서 입력받은 메모를 가계부 데이터와 함께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 자동으로 입력되는 가계부 데이터가 출력된 모바일 디바이스(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에서는, 입력 알림 모듈(150)이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을 푸시메시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 여부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알림 모듈(150)에 의한 푸시메시지 출력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푸시메시지 상에서, 식비, 외식비 등 카테고리를 입력하거나, 메모 등을 작성할 수 있으며, 잘못된 정보가 있으면 수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정보 추가 및 수정 후에 “저장”을 선택함으로써, 가계부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메모 등을 추가하여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에 대한 접근 권한을 획득하는 권한 획득 모듈(110);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출력되는 푸시메시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푸시메시지가 가계부 작성에 필요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판단 모듈(120);
    상기 판단 모듈(120)에서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된 푸시메시지로부터 가계부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 모듈(130); 및
    상기 추출된 가계부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하는 가계부 관리 모듈(140)을 포함하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설치하고 설치된 가계부 애플리케이션(11)을 백그라운드로 구동하여, 출력되는 푸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며,
    상기 판단 모듈(120)은,
    상기 푸시 메시지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을 이용해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지명에, 은행, 카드사 및 결제대행사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출력되는 푸시 메시지가 상기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발생하는 티커 관련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운영체제로부터 상기 푸시 메시지의 출력 시 표시되는 티커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거나,
    상기 푸시 메시지의 타이틀, 또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 메시지가 유효 정보를 포함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계부에 자동으로 입력되는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을 푸시메시지로 출력하며, 출력된 푸시메시지 창을 통해 상기 가계부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메모를 입력받는 입력 알림 모듈(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계부 관리 모듈(140)은,
    상기 입력 알림 모듈(150)에서 입력받은 메모를 상기 가계부 데이터와 함께 입력하여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100).
PCT/KR2016/002096 2015-04-28 2016-03-02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WO201617544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694 2015-04-28
KR1020150059694A KR101580947B1 (ko) 2015-04-28 2015-04-28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442A1 true WO2016175442A1 (ko) 2016-11-03

Family

ID=5508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2096 WO2016175442A1 (ko) 2015-04-28 2016-03-02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0947B1 (ko)
WO (1) WO2016175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044A (ko) 2018-12-09 2020-06-17 황은진 푸시 메세지 언어 인식 및 예약 저장 시스템 기반 자동 가계부 작성 서비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19B1 (ko) * 2005-09-05 2007-02-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가계부 연동서비스 방법
KR20150015128A (ko) * 2013-07-31 2015-02-10 김형기 금융거래내역의 통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719B1 (ko) * 2005-09-05 2007-02-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가계부 연동서비스 방법
KR20150015128A (ko) * 2013-07-31 2015-02-10 김형기 금융거래내역의 통지·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OS] Copy data on Pasteborad and Display data extracted from Background.", BLOG., 6 December 2013 (2013-12-06), XP055327567,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hidavidbae.blogspot.kr/2013/12/ios-pasteboard-copy-background.html> *
"Smart Wallet Manual 3(Link Account Book with Credit Card Statement).", BLOG., 13 March 2013 (2013-03-13), XP055327566,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blog.naver.com/eunj_79/181947410> *
"Smartphone App. Recommendation-Household Account Book App.: Kkulklulyi.", BLOG., 9 August 2014 (2014-08-09), XP055327568,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yyoung29.blog.me/2200870887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47B1 (ko)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0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nking an issue with an entry in a knowledgebase
WO2021125779A1 (ko) Api 통합관리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api 메타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20130246520A1 (en) Recognizing Social Media Posts, Comments, or other Texts as Business Recommendations or Referrals
US20150003665A1 (en) Metering information collection
WO2013157690A1 (ko)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영수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EP2154646A9 (en)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dvertis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all receiving method, and call receiving system
WO2017126837A1 (ko) 고지서의 납부 금액을 결제하는 방법
WO2014157924A1 (ko) 컨텐츠 공유 방법
WO2016175442A1 (ko) 푸시메시지 기반 가계부 관리 서비스 시스템
WO2021230662A1 (ko) 폼 구조 정의 db를 통한 온라인 보고서 생성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75373A1 (ko) 상품 임대차 거래 중개 장치 및 방법
WO2016186326A1 (ko) 검색어 리스트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WO2015088199A1 (ko) 복식부기를 위한 가계부 데이터의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계부 시스템
WO2015122599A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5016437A1 (ko) 더미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서버
WO2016137035A1 (ko) 테스트 케이스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8186713A1 (ko) 금융상품 가입방법 및 그 시스템
CN110517415A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WO2017213454A1 (ko) 사용자 서버를 이용한 파일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21261708A1 (ko) 정보시스템을 설계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테스트를 자동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공학플랫폼
WO2021112361A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95446A1 (ko)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3187555A1 (ko) 데이터 공유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920589A (zh) 浏览劫持识别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17078295A1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786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 EPO FORM 1205A DATED 07.03.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7866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