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76621A2 -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76621A2
WO2016076621A2 PCT/KR2015/012094 KR2015012094W WO2016076621A2 WO 2016076621 A2 WO2016076621 A2 WO 2016076621A2 KR 2015012094 W KR2015012094 W KR 2015012094W WO 2016076621 A2 WO2016076621 A2 WO 201607662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harge
positively charged
charge pump
based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20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6076621A3 (ko
Inventor
백정민
천진성
예병욱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709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743674B1/ko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EP15858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20532B1/en
Priority to US15/525,993 priority patent/US11114953B2/en
Priority to CN201580060955.9A priority patent/CN107210685B/zh
Priority to JP2017525573A priority patent/JP2018500865A/ja
Publication of WO201607662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76621A2/ko
Publication of WO201607662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7662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02N1/08Influence generators with conductive charge carrier, i.e. capacitor machi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a charge pump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inciple of lightning generation is reconstructed as a new concept of a charge pump (a system integrating a charge generator, a charge separator, and a charge accumulator).
  •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which aims to realize a high-power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y implementing an integrated system of new material development, device design, and system design for the charge pump system design, instead of focusing on securing the unit technology of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charge accumulator using the charge distribution shape between the ground layer and the conductor based o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henomenon for effective charge separation, designing the device structure based on the vibration structure modeling system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external energy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an electric power pump of environmentally friendly high pow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sustainable through design and reliability.
  • Lightning produced in nature, delivers more than 1 billion joules of energy to the ground in a single release, and if it is energized, it will be able to produce large amounts of electricity as a clean energy source.
  • the principle of lightning generation is that water vapor molecules in a lightning cloud (cumulonimbus) are caused by friction with ice crystals.
  • the positive charges generated by friction are effectively separat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ice crystals, accumulating on the upper and lower clouds, and the large potential created by them. By releasing a large amount of charge. If this principle can be implemented in the size of a palm,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and can be manufactured as a secondary battery source.
  • the power generation method by friction is due to the charge transfer phenomenon between the materials of friction between the two charging bodies.
  •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micro energy power conversion systems, and thus high output can be obtained even by small external stress.
  • there is no fatigue phenomenon which is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using existing piezoelectric materials, which produce energy by strain inside the material,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continuous energy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ly on securing the unit technology of the existing research by reinterpreting the principle of lightning generation as a new concept of 'charge pump (system integrating charge generator, charge separator, and charge accumulator'). It is aimed at providing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o realize high power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y implementing integrated system of new material development, device design, and system design for charge pump system design. .
  •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charge accumulator using the charge distribution shape between the ground layer and the conductor based on the electrostatic induction phenomenon for effective charge separation, designing the device structure based on the vibration structure modeling system for efficient transmission of external energy It aims to provide a sustainable, high-power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the design and reli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prepared substrate; (b) forming a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having a sponge structure under the second electrode; (c) removing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using a toluene solution in the negatively charged charge; (d) infiltrating the first metal particles inside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e) forming a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to generate charge; (f) nano structuring the surface of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g) coating the nanostructured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surface with a second metal particle; (h)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one side of the positive charge charger to form a ground layer for charge separation; And (i) forming a first electrode for accumulating charges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below the positive charge charged body.
  •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output energy by fine energy such as wind, vibration, sound,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incurred by energy collection It can be effective.
  •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ossible to secure the source patent for the original technology of the material and the device structure and charge pump system based on the new concept of the charge pump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whole new material There is an economic effec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ge pump 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rge pump 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ositive charge charging process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the negative charge charge of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and principle of driving an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a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 electrode 10, the negative charge charging unit 20, the positive charge charging unit 30, the support ( 40, a ground layer 50, and a first electrode 60.
  • the second electrode 10 may be formed of Al, Ni, Cr, Pt, Au, or the like on a flexible substrate, not shown, such as polyester (PET), polyester 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Kapton, or the like. It consists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ITO.
  • PET polyester
  • PET polyester sulfon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Kapton or the like. It consists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ITO.
  •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is formed under the second electrode 10 and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described below with the support of the support part 40.
  •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is composed of a polymer having a sponge structure.
  • the polymer having a sponge structure has a spong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ize of spherical particles (Polystyrene, silica, PMMA, etc.) and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
  • the size of the pores 21 inside is determined, and is generally made of a circular 0.1um ⁇ 100um size.
  •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of the sponge structure may be made of an organic polymer (PMMA, PET, PEEK, PS, PE, COC) or an inorganic polymer (PDMS, ORMOCER).
  • PMMA organic polymer
  • PET PET
  • PEEK PS
  • PE PE
  • COC inorganic polymer
  • PDMS ORMOCER
  • the second electrode 10 and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ve charge charger 30 disposed below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generates a current and voltage by an external stimulus or load.
  • the positive charge charger 30 is formed below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 the support of the support part 40.
  •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is a flexible electrode, a composite electrode using the Ag nanowire 31 is used, the second metal (Au, Ag, Al to improve the charge generation) , Ni, Pt, etc.) particles 32 are coated.
  • the Ag nanowires 31 are evenly spread on a flat substrate by using a spin coating method as shown in FIG. 3A. 3B is dispersed, and a stretchable epoxy-based polymer is coated on the dispersed Ag nanowires 31 to form a composite, as shown in FIG. 3B.
  • the Ag nanowires ( 31) Second metal (Au, Ag, Al, Ni, Pt, etc.) particles 32 are coated on the upper surface to improve charge generation.
  • the first electrode 60 may be formed on a flexible substrate (not shown) such as polyester (PET), polyester 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Kapton, or the like. It is composed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Ni, Cr, Pt, Au or ITO.
  • a flexible substrate such as polyester (PET), polyester 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Kapton, or the like. It is composed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Ni, Cr, Pt, Au or ITO.
  • the support part 40 is composed of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41 and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42.
  •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41 is erected at the corners of four places of the first electrode 60.
  • the second elastic support portion 42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60 and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and stands at four corner portions of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so that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is formed.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10.
  •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41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42 are made of an elastic body, typically a spring, so as to react sensitively to an external magnetic pole or a load,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It is easy to generate current and voltag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first elastic support 41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4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pring having a different spring constant (k) to control the external load, the magnitude and amplitude of the vibration.
  • the spring constant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42 is 380 N / m
  • the spring constant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41 is 780 N / m to generate continuous friction by a single load Do.
  • the ground layer 5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60 and the charge generating layer (negative charge chargeer and positive charge chargeer) to selectively remove negative charges present in the positive charge chargeer 30 by grounding.
  • the positive charge electrification 30, in which only the positive charge is charged may be efficiently accumulated in the first electrode 60 by an electrostatic induction method.
  • the ground layer 50 is a layer inserted to selectively separate charges as described above, consisting of one or a plurality of layers, and can be connected to the ground or the outside to separate the selective charges,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ceramic, polymer, and the like.
  • the spring which is an elastic body provided under the ground layer 50, stably absorbs the external load applied to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ical charge 30 that is lowered and stably the ground layer 50 and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ical charge 30 To make contact.
  • FIGS. 1 to 5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a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a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not shown) is performed (S100).
  • the substrate corresponds to a flexible substrate such as polyester (PET), polyester sulfone (PES),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Kapton, and the like.
  • PET polyester
  • PET polyester sulfone
  •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 Kapton Kapton
  • the negative charge electrification 2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0 as illustrated in FIG. 5A.
  • the negative charge charging unit 20 may be formed by mixing polymer spherical particles (Polystyrene, silica, PMMA, etc.) with a liquid (S310), as shown in FIG. 4B. Arranging the mixed polymer spherical particles (Polystyrene, silica, PMMA, etc.) (S320), removing the liquid through drying in the air as shown in Figure 4c (S330), as shown in Figure 4d As shown in FIG. 4E, the negative charge in the liquid state is mixed with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and the negative charge in the liquid state is filled in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S350).
  • polymer spherical particles Polystyrene, silica, PMMA, etc.
  • the polymer constituting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is an organic polymer (PMMA, PET, PEEK, PS, PE, COC) or an inorganic polymer (PDMS, ORMOCER),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made, it is possible to stack a uniform layer through spin coating, and to maintain a vacuum so that the polymer solution can penetrate between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 the polymer in the liquid state may be heat-treated at 90 ° C. to form a structure having a polymer with spherical particles of flexible replacement.
  •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are removed using a toluene solution in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including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separated on a substrate (S400).
  •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may have a sponge structure by removing the polymer spherical particles using a toluene solution for 8 to 24 hours.
  • a first metal particles 22 (Au, Ag, Al, Ni, Pt, etc.) may be formed in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ode 20 having a sponge structure.
  • the first metal particles 22 are mixed with the liquid, and the first metal particles 22 together with the liquid in the pores 21 of the negatively charged charged material 20 having the sponge structure in a vacuum state. ) Can penetrate.
  • a step of forming a positive charge charger 30 as shown in FIG. 5B is performed at a position spaced below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600).
  • the positive charged electrode 30 is a flexible electrode is used, the composite electrode using the Ag nanowires 31 is used.
  • Nano-structure the surface of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is performed (S700).
  • Nano-structuring the surface of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is patterned by photolithography on a silicon substrate (S710).
  • an oxide layer is formed by using a buffered oxide etchant (BOE).
  • the ground layer 50 may be formed of on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of Al, Ni, Cr, Pt, Au, or ITO.
  • the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based on the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 the negatively charged battery 20 floats negative charges, and the positively charged battery 30 is neutral by a combin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separat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 the second electrode 10 loses electrons due to electrostatic induction due to the negative charge of the negatively charged electric charge 20 and is induced to a positive charge, and the first electrode 60 is induced to a negative charge.
  • the positive charge charging unit 30 is separated due to the negative charge of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the upper portion is positive charge, the lower portion is negative charge, the artificial charge generator based on the charge pump is a state of charge balance inside Therefore, there is no movement of electrons to the external circuit.
  • the springs constituting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41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42 are relaxed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and thus, with an extremely small time difference.
  • the spring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42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and the second electrode 10 is relaxed, and between the positively charged electrode 30 and the first electrode 60.
  • the spring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41 interposed thereafter is relaxed.
  • the positive charg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ve charge charged body 30 induce negative charges to the lower surface to receive electrons from the ground layer 50, FIG. 6G.
  • negative charges of the negative charge charger 20 induce positive charges to the second electrode 10 to transfer electrons to the first electrode 60.
  • the artificial charge generator based on the charge pump has no movement of charges and electrons due to the internal charge balance, and the separated positive / negative charges of the positive charge conductor 30 combine to neutralize.
  • the initial state is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and the output is generated by the above continuous driving and charge transfer by the repetitive external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은 (a) 준비된 기판에 제2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제2 전극의 하부에 스펀지 구조의 음전하 대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음전하 대전체에서 톨루엔(toluene)용액을 이용하여 폴리머 구형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 (d) 음전하 대전체 내부에 금속입자르 침투시키는 단계 (e) 전하 생성을 위해 음전하 대전체 하부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양전하 대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양전하 대전체 표면을 나노 구조화 하는 단계; (g) 나노 구조화된 양전하 대전체 표면을 제2 금속입자로 코팅하는 단계; (h) 양전하 대전체의 일측 하방으로 일정 거리 유지하여 전하분리를 위한 접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i) 양전하 대전체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전하의 축적을 위한 제1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소형화가 가능하고, 바람, 진동, 소리와 같은 미세한 에너지에 의해 고출력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고, 에너지 수집에 따른 비용발생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번개 생성 원리를 신개념인 ‘전하펌프(전하생성기, 전하분리기, 그리고 전하축적기를 통합한 시스템)’로 재해석하여 기존 연구의 단위기술 확보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전하펌프 시스템 설계를 위한 대전체 신소재 개발, 소자 설계, 그리고 시스템 설계의 통합시스템 구현함으로써 고출력 인공 번개 발전기를 구현하고자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전하 분리를 위해 정전기 유도현상 기반의 접지층과 도체간의 전하 분포 형상을 이용한 전하 축적기를 도입하고 진동구조 모델링에 기반을 둔 소자 구조를 설계하며 외부에너지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해 향후 지속 가능한 친환경 고출력의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번개는 한번 방출 시 대략 10억 줄(Joule) 이상의 에너지를 지표면으로 전달하는데, 이를 에너지화 시킨다면 청정에너지원으로 큰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고가의 lightning tower를 건설해야 하고 출력 방출 시간이 매우 짧아 수확 및 충전 효율이 낮은 등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번개의 생성 원리는 번개구름(적란운) 내에 존재하는 수증기 분자가 얼음 결정과의 마찰에 의한 것으로 마찰에 의해 생긴 양음전하가 얼음 결정의 밀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구름 상하부에 축적되고 이에 생긴 큰 포텐셜에 의해 다량의 전하를 방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손바닥만한 크기에서 구현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며 보조 배터리 원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마찰에 의한 전력 생성 방식은 두 대전체의 마찰 시 나타나는 물질 간 전하 이동 현상에 의한 것으로 다른 미소 에너지의 전력 변환 시스템 보다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아 작은 외부 응력에 의해서도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열, 태양 등 다른 미소에너지에 비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없다. 또한 물질 내부의 변형(strain)에 의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존 압전(piezoelectric)소재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에서의 근본적인 문제인 피로도(fatigue)현상이 없어 지속적인 에너지 생산에도 매우 유리하다.
하지만 두 대전체 간의 제한된 전하 이동으로 인해 대전된 표면에서의 전하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소자 내에서 생성된 전하의 Loss가 많아 출력 전류가 낮으며, 낮은 진동수에서는 출력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가 이미 만들어진 실리콘 계열 (PDMS) 등의 소재로 진행되어 기존의 플랫폼을 바꿀만한 혁신적인 신소재 및 구조 설계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3327호 (2004. 05. 18)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번개 생성 원리를 신개념인 ‘전하펌프(전하생성기, 전하분리기, 그리고 전하축적기를 통합한 시스템)’로 재해석하여 기존 연구의 단위기술 확보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전하펌프 시스템 설계를 위한 대전체 신소재 개발, 소자 설계, 그리고 시스템 설계의 통합시스템 구현함으로써 고출력 인공 번개 발전기를 구현하고자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전하 분리를 위해 정전기 유도현상 기반의 접지층과 도체간의 전하 분포 형상을 이용한 전하 축적기를 도입하고 진동구조 모델링에 기반을 둔 소자 구조를 설계하며 외부에너지의 효율적 전달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신뢰성 확보를 통해 향후 지속 가능한 친환경 고출력의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은 (a) 준비된 기판에 제2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제2 전극의 하부에 스펀지 구조의 음전하 대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c) 음전하 대전체에서 톨루엔(toluene)용액을 이용하여 폴리머 구형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 (d) 음전하 대전체 내부에 제1 금속입자를 침투시키는 단계 (e) 전하 생성을 위해 음전하 대전체 하부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양전하 대전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양전하 대전체 표면을 나노 구조화 하는 단계; (g) 나노 구조화된 양전하 대전체 표면을 제2 금속입자로 코팅하는 단계; (h) 양전하 대전체의 일측 하방으로 일정 거리 유지하여 전하분리를 위한 접지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i) 양전하 대전체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전하의 축적을 위한 제1 전극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바람, 진동, 소리와 같은 미세한 에너지에 의해 고출력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고, 에너지 수집에 따른 비용발생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은 대전체 신소재 개발을 통해 재료에 대한 원천 기술 및 전하펌프의 신개념 기반의 소자 구조 및 전하펌프 시스템에 대한 원천 특허 확보도 가능해 이로 인한 경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양전하 대전체 제조공정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음전하 대전체 제조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구동방법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의 개념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의 단면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은 제2 전극(10), 음전하 대전체(20), 양전하 대전체(30), 지지부(40), 접지층(50) 및 제1 전극(6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10)은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캡톤(Kapton)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유연한 기판위에 Al, Ni, Cr, Pt, Au 또는 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상기 제2 전극(10)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40)의 지지를 받아 후술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스펀지 구조의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스펀지 구조의 폴리머는 구형 입자(Polystyrene, silica, PMMA 등)의 크기 및 증류수(DI:Dstilled water)의 양에 의해 스펀지 구조 내부의 기공(21) 크기가 결정되며, 대체로 0.1um~100um크기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스펀지 구조의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유기 폴리머(organic polymer : PMMA, PET, PEEK, PS, PE, COC) 또는 무기 폴리머(inorganic polymer : PDMS, ORMOC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극(10)과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하부에 위치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외부 자극이나 하중에 의해 전류 및 전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는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하부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부(40)의 지지를 받아 상기 음전하 대전체(2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전극이 사용되고, Ag나노선(31)을 이용한 복합소재 형태의 전극이 사용되며, 전하 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금속(Au, Ag, Al, Ni, Pt 등)입자(32)가 코팅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양전하 대전체 제조공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로 사용되는 상기 Ag 나노선(31)을 이용한 복합소재 형태의 전극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Ag 나노선(31)을 평평한 기판 위에 고르게 분산 시키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에폭시계 폴리머를 분산된 상기 Ag 나노선(31)에 코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때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g 나노선(31) 상부표면에 전하 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금속(Au, Ag, Al, Ni, Pt 등)입자(32)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1 전극(60)은 상기 제2 전극(10)과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캡톤(Kapton)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유연한 기판위에 Al, Ni, Cr, Pt, Au 또는 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0)는 제1 탄성 지지부(41)와 제2 탄성 지지부(4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는 상기 제1 전극(60) 4곳의 꼭지부분에서 기립되어 상기 하부 전극(60)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는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4곳의 꼭지부분에서 기립되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2 전극(10) 사이에 개재된다.
상술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와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는 탄성체, 대표적으로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외부 자극이나 하중에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에서의 전류 및 전압의 발생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와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는 외부하중, 진동의 크기 및 진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이한 스프링 상수(k)를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의 스프링 상수는 380N/m이고, 단일 하중에 의한 연속적인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의 스프링 상수는 78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층(50)은 상기 제1 전극(60)과 전하 생성층(음전하 대전체와 양전하 대전체) 사이에 배치되어, 접지에 의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내에 존재하는 음전하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양전하만 대전되어 있는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를 정전기 유도방식으로 상기 제1 전극(60)에 효율적으로 전하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접지층(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전하를 분리하기 위해 삽입된 층으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대지 또는 외부에 연결되어 선택적 전하를 분리할 수 있는 금속, 세라믹, 폴리머 등의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층(50)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체인 스프링은 하강하는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을 흡수하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접지층(50)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은 폴리에스테르(PET), 폴리에스테르설폰(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캡톤(Kapton) 등과 같은 유연한 기판 등이 해당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 상에 Al, Ni, Cr, Pt, Au 또는 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 전극(1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제2 전극(10)에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도 4를 참조하여 음전하 대전체 형성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형성단계(S3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구형 입자(Polystyrene, silica, PMMA 등)를 액체와 혼합하는 단계(S310),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된 폴리머 구형 입자(Polystyrene, silica, PMMA 등)들을 배열 시키는 단계(S320),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중에서의 건조를 통해 상기 액체를 제거하는 단계(S330),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들에 액체상태의 음전하를 혼합하는 단계(S340), 및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들에 액체상태의 음전하를 채워 넣는 단계(S3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을 구성하는 폴리머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유기 폴리머(organic polymer : PMMA, PET, PEEK, PS, PE, COC) 또는 무기 폴리머 (inorganic polymer : PDMS, ORMOC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핀 코팅을 통해 균일한 층을 적층할 수 있고,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폴리머 구형 입자들 사이에 폴리머 용액이 침투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상기 폴리머는 90℃에서 열처리 되어 유연한 교체상태의 폴리머 구형 입자들과 폴리머를 가지고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이후, 기판 상에서 분리된 폴리머 구형입자를 포함하는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에서 톨루엔(toluene)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S400).
이때, 상기 S400 단계에서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8시간에서 24시간동안 톨루엔(toluene)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음전하 대전체(20)가 스펀지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펀지 구조의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내부에 제1 금속입자(22:Au, Ag, Al, Ni, Pt 등)들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이때, 상기 제1 금속입자(22)들은 상기 액체와 혼합되어 사용되며, 진공 상태에서 상기 스펀지 구조를 갖는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의 기공(21)에 액체와 함께 상기 제1 금속입자(22)들이 침투할 수 있다.
상기 기공(21)에 액체와 함께 상기 제1 금속입자(22)가 침투하면, 90℃에서 열처리를 통해 액체만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공 내부에 상기 제1 금속입자(22)들이 형성된 스펀지 구조의 음전하 대전체(20)를 만들게 된다.
이후,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하부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전하 대전체(30)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600).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전극이 사용되며, 상기 Ag나노선(31)을 이용한 복합소재 형태의 전극이 사용된다.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표면을 나노 구조화 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700).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표면을 나노 구조화 하는 단계는 실리콘 기판위에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패터닝을 하는 단계(S710)가 수행되고, 상기 패터닝이 완료되면 Buffered Oxide Etchant(BOE)를 이용하여 옥사이드 층을 제거 하는 단계(S720);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KOH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을 에칭하여 상기 패터닝된 패턴 형태에 따라 라인, 큐브, 피라미드 형태로 파여진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S730)를 수행하고, 제작된 상기 몰드 위에 경화전의 Ag 나노선과 폴리머 복합체를 스핀코팅하는 단계(S740)를 수행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스핀코팅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한 뒤, 자외선(ultraviolet) 노출을 통해 경화를 시키는 단계(S750)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에서 경화된 Ag 나노선 폴리머를 상기 실리콘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S760)를 포함하여, 나노 구조화된 피라미드 형태의 표면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화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표면에 전하 생성 향상을 위해 제2 금속(Au, Ag, Al, Ni, Pt 등)입자(32)를 코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800).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의 일측 하방으로 일정 거리 유지하여, 도 5c에 도시된 접지층(5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900).
이때, 상기 접지층(50)은 Al, Ni, Cr, Pt, Au 또는 ITO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도 5c에 도시된 축적층 또는 제1 전극(6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0).
상술한 바와 같은 S100 내지 S1000공정을 통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가 제작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고 상술한 공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구동방법 및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는 상기 음전하 대전체(20)가 음전하를 띄우고 있고, 상기 양전하 대전체(30)가 상부와 하부에 분리된 양전하와 음전하들의 결합으로 중성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0)이 음전하 대전체(20)의 음전하에 의한 정전유도(Electrostatic induction)로 인해 상대적으로 전자를 잃게 되어 양전하로 유도되어 있고, 제1 전극(60)이 음전하로 유도되어 있다.
상술한 초기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중이 본 발명에 따른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에 작용하게 되면, 상이한 스프링 상수로 인해,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가 선 수축되어,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와 상기 양전하 대전체(30)가 먼저 마찰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는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의 음전하로 인해 상부가 양전하, 하부가 음전하로 분리 현상이 일어나며, 상기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는 내부의 전하 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이므로 외부 회로로 전자의 이동이 없는 상태이다.
이후, 외부 하중이 지속적으로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에 작용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하부의 음전하들은 상기 제1 전극(60) 표면에 양전하를 유도하여 상기 제2 전극(10)에서 제1 전극(60)으로 전자들이 이동하여 출력 전류를 발생하고,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의 후 수축으로 인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의 하부가 상기 접지층(50)과 마찰을 하여, 상대적으로 음전하를 많이 띄고 있는 상부층들(제2 전극(10), 음전하 대전체(20), 양전하 대전체(30))의 음전하들은 상기 접지층(50)을 통해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층이 마찰을 하게 되고 이때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내부의 전하 평형으로 인해 전하 및 전자의 이동은 없다.
이후,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와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를 구성하는 스프링이 거의 동시에 이완되어, 이에 따라, 극히 작은 시간차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2 전극(10)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의 스프링이 선 이완되고,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1 전극(60) 사이에 개재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의 스프링이 후 이완된다.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의 스프링이 후 이완됨에 따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상부 표면의 양전하들은 하부 표면에 음전하를 유도하여 상기 접지층(50)으로부터 전자를 주입받게 되고,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의 음전하들은 상기 제2 전극(10)에 양전하를 유도하여 상기 제1 전극(60)으로 전자를 전달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외부 하중이 제거된 후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는 내부의 전하 평형으로 인해 전하 및 전자의 이동은 없으며,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의 분리된 양/음전하들은 결합하여 중성을 이루게 되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며, 반복적인 외부 하중에 의해 위와 같은 연속적인 구동 및 전하 이동에 의해 출력을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 제2 전극
20 : 음전하 대전체
21 : 기공
22 : 제1 금속입자
30 : 양전하 대전체
31 : Ag 나노선
32 : 제2 금속입자
40 : 지지부
41 : 제1 탄성 지지부
42 : 제2 탄성 지지부
50 : 접지층
60 : 제1 전극

Claims (19)

  1. 제1 전극(60);
    상기 제1 전극(60)과 이격되어 설치된 양전하 대전체(30);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1 전극(60)의 반대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음전하 대전체(20);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와 일부 접촉하여 설치된 제2 전극(10);
    상기 제1 전극(60)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사이에 형성된 제1 탄성 지지부(41);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2 전극(10) 사이에 형성된 제2 탄성 지지부(42); 및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단속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접지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하부의 음전하들이 상기 제1 전극(60) 표면에 양전하를 유도하여, 상기 제2 전극(10)에서 제1 전극(60)으로 전자들이 이동함에 따라 출력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와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는 상이한 스프링 상수(k)를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가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보다 먼저 수축되고, 상기 외부 하중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와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가 동시에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50)은
    금속, 세라믹 또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고, 접지에 의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내에 존재하는 음전하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양전하만 대전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가 정전기 유도방식으로 상기 제1 전극(60)에 전하를 축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0.1um 내지 30μm의 기공(21)이 다수 형성된 스펀지 구조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7. (a) 준비된 기판에 제2 전극(10)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제2 전극(10)의 하부에 음전하 대전체(20)를 형성시키는 단계;
    (e) 전하 생성을 위해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하부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양전하 대전체(30)를 형성시키는 단계;
    (f)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표면을 나노 구조화하는 단계;
    (g) 나노 구조화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표면을 제2 금속입자(32)로 코팅하는 단계;
    (h)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의 일측 하방으로 일정 거리 유지하여 전하분리를 위한 접지층(50)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i)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하부로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전하의 축적을 위한 제1 전극(6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액체와 혼합된 폴리머 구형 입자들을 배열시키는 단계;
    (b-2) 대기 중에서의 건조를 통해 상기 액체를 제거하는 단계; 및
    (b-3) 상기 액체가 제거된 폴리머 구형 입자들에 액체상태의 음전하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에
    (c) 상기 음전하 대전체(20)에서 톨루엔(toluene)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에
    (d) 상기 음전하 대전체(20) 내부에 제1 금속입자(22)를 침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f-1) 실리콘 기판위에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패터닝을 하는 단계;
    (f-2) 상기 패터닝이 완료되면 Buffered Oxide Etchant(BOE)를 이용하여 옥사이드 층을 제거하는 단계;
    (f-3) KOH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을 에칭하여 상기 패터닝된 패턴 형태에 따라 라인, 큐브, 피라미드 형태로 파여진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
    (f-4) 제작된 상기 몰드 위에 경화전의 Ag 나노선과 폴리머 복합체를 스핀코팅하는 단계;
    (f-5) 진공상태에서 상기 스핀코팅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한 뒤, 자외선(ultraviolet) 노출을 통해 상기 Ag 나노선과 폴리머 복합체인 Ag 나노선 폴리머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f-6) 경화된 상기 Ag 나노선 폴리머를 상기 실리콘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층(50)은
    금속, 세라믹 또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고, 접지에 의해 상기 양전하 대전체(30)내에 존재하는 음전하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양전하만 대전된 상기 양전하 대전체(30)가 정전기 유도방식으로 상기 제1 전극(60)에 전하를 축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하부의 음전하들이 상기 제1 전극(60) 표면에 양전하를 유도하여, 상기 제2 전극(10)에서 제1 전극(60)으로 전자들이 이동함에 따라 출력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60)과 상기 양전하 대전체(30) 사이에 제1 탄성 지지부(4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양전하 대전체(30)와 상기 제2 전극(10) 사이에 제2 탄성 지지부(42)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지지부(41)와 상기 제2 탄성 지지부(42)는 상이한 스프링 상수(k)를 갖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6.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대전체(20)는
    0.1um 내지 30μm의 기공(21)이 다수 형성된 스펀지 구조를 포함하는 나노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제조방법.
  17.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음전하 대전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A1) 폴리머 구형 입자(Polystyrene, silica, PMMA 등)를 액체와 혼합하는 단계;
    (A2) 상기 액체가 혼합된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Polystyrene, silica, PMMA 등)들을 배열시키는 단계;
    (A3) 대기 중에서의 건조를 통해 상기 액체를 제거하는 단계;
    (A4)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에 액체상태의 음전하를 혼합하는 단계; 및
    (A5) 상기 폴리머 구형 입자에 액체상태의 음전하를 채워 넣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전하 대전체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제1 금속입자(22:Au, Ag, Al, Ni, Pt)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금속입자(22)들이 상기 음전하 대전체의 기공(21)에 침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전하 대전체 제조방법.
  19.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의 양전하 대전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B1) 스핀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Ag 나노선(31)을 평평한 기판 위에 고르게 분산 시키는 단계;
    (B2)신축성이 있는 에폭시계 폴리머를 분산된 상기 Ag 나노선(31)에 코팅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B3) 상기 Ag 나노선(31) 상부 표면에 제2 금속입자(32)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전하 대전체 제조방법.
PCT/KR2015/012094 2014-11-11 2015-11-11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WO2016076621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58428.4A EP3220532B1 (en) 2014-11-11 2015-11-11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5/525,993 US11114953B2 (en) 2014-11-11 2015-11-11 Charge pump-based artificial lightning gen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1580060955.9A CN107210685B (zh) 2014-11-11 2015-11-11 基于电荷泵的人造闪电发电机及制造其的方法
JP2017525573A JP2018500865A (ja) 2014-11-11 2015-11-11 電荷ポンプ原理に基づく人工稲妻発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6070 2014-11-11
KR10-2014-0156070 2014-11-11
KR1020150157097A KR101743674B1 (ko) 2014-11-11 2015-11-10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015-0157097 2015-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6621A2 true WO2016076621A2 (ko) 2016-05-19
WO2016076621A3 WO2016076621A3 (ko) 2016-07-07

Family

ID=5595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2094 WO2016076621A2 (ko) 2014-11-11 2015-11-11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7662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990B2 (en) 2016-05-10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US10873277B2 (en) 2016-05-10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88B1 (ko) * 2002-10-23 2005-03-10 임흥운 전극코팅용 고분자물질의 제거방법 및 양극산화물의회수방법
KR101630266B1 (ko) * 2011-11-23 2016-06-14 오상복 발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990B2 (en) 2016-05-10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US10873277B2 (en) 2016-05-10 2020-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US11431265B2 (en) 2016-05-10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US11463023B2 (en) 2016-05-10 202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iboelectric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6621A3 (ko)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4814B2 (ja) 発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Zhou et al. Multilayered electret films 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Wang et al. Nanoscale triboelectric-effect-enabled energy conversion for sustainably powering portable electronics
US10367431B2 (en)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powering portable electronics
Eun et al. A flexible hybrid strain energy harvester using piezoelectric and electrostatic conversion
US9812993B2 (en) Single electrode triboelectric generator
KR101538082B1 (ko) 압전 및 마찰전기를 이용한 스펀지 구조의 소형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107737A (zh) 压电摩擦复合式微纳发电机及其制备方法
WO2013181952A1 (zh) 压电和摩擦电混合纳米发电机
CN103391020A (zh) 一种基于摩擦纳米发电机的多自由度能量采集装置
CN104426415A (zh) 一种脉冲发电机、发电机组和能量收集装置
Xia et al. High output compoun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based on paper for self-powered height sensing system
WO2016076621A2 (ko) 전하펌프 기반의 인공 번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Sundriyal et al. Energy harvesting techniques for powering wireless sensor networks in aircraft applications: A review
CN103780135A (zh) 一种直流摩擦电发电机
KR20200013953A (ko) 탄소 복합재를 이용한 마찰전기 생성장치
Yue et al. Enhanced output-power of nanogenerator by modifying PDMS film with lateral ZnO nanotubes and Ag nanowires
WO2011046383A2 (ko) 풍력발전장치 및 듀얼 풍력발전시스템
KR101976541B1 (ko) 구 모양의 접촉대전 나노 발전기
WO2016137096A1 (ko) 스마트소재를 이용한 열 및 진동 하이브리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WO2019212271A1 (ko) 접촉 대전 발전기
CN105827138B (zh) 一种基于氧化锌微球阵列修饰的摩擦发电机
CN107919810B (zh) 一种飞行器静电防护和收集利用系统
WO2017073812A1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Sagade Muktar Ahmed et al. Economical Polypropylene‐Bas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for Self‐Powered Biomechanical Sensor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584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5842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752557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25993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