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48121A1 -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48121A1
WO2016048121A1 PCT/KR2015/010350 KR2015010350W WO2016048121A1 WO 2016048121 A1 WO2016048121 A1 WO 2016048121A1 KR 2015010350 W KR2015010350 W KR 2015010350W WO 2016048121 A1 WO2016048121 A1 WO 20160481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vehicle
driv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3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배
문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그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그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그런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3795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37816A/ko
Publication of WO20160481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81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ircuit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compares and compares vehicle state information detected at a predetermined cycle after engine start from a vehicle in a circuit with vehicle state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required for comparis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asily acquiring a driving competition between a driver, acquiring a driving skill, and vehicle performance.
  • Race cars are races on the playing field, but they can also be done on roads.
  • a job or a special certificate is required, and racing on a general road has to be illegal, such as speeding,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contact accident with a general vehicle driving.
  • Circuits have been created to meet the speed and racing needs of these drivers. There are six circuits in Korea. The driver using the circuit checks his / her lap time on the circuit, and compares the pleasure and high-speed driving performance with others to the lap time of the party or the driver using the circuit. Fee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skill and a guide that can shorten the driving circuit record by comparing driver circuit information (lap time and segment time and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with driving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 driver circuit information lap time and segment time and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 driving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You can intuitively check the driving skills and vehicle status between the driver and other drivers on the screen, and reduce the driver's lap time and section time by analyzing the driving skills of other drivers, as well as competing with other drivers. It is to provide a driving circui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ovide the enjoyment by improving the skills, thereby creating a profit from the frequent use of the driver.
  •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driver and the other driver in the same driving conditions and the same vehicle can analyze the vehicle performance of the driver, driving circuit that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is to provide a service system and method.
  • a vehicle that collects and transmits vehicle state information received at a predetermined cycle after the engine is started;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side the vehicle and recognizes the start line and finish line by using GPS information to measure the time per lap and section, and the measured lap time and section time, lap time and section
  • a smart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circuit state information and circuit information including a driving image, and then transmits a driver identification code; And compar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lap time and the segment time comparison, and the driving skill comparison from the circuit information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iver identification code of the smart device and the circuit information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other stored driver identification codes.
  • a server configured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er's driving skill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o generat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generat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And executing based on comparison with state information and previously stored learning values.
  • the vehicle recognizes the start line and the finish line using GPS information, and when the start line enters, it measures the time of each lap and each section by using a timer, and measures the time of each lap and the section, and each sensor at a predetermined cycle when starting the engine.
  • A collecting circuit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supplied from the vehicle, and circuit information including driving image information through a timer, and giving the collected circuit information to a smart device by applying a driving identification code;
  • B storing circuit information in a smart devi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vehicle and then giving a driver identification code to the server; And storing circuit information recor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driver identification code, extracting driving skill information by comparing driving skills recorded with the stored circui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driver identification code and previously stored learning values, and extracting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 C generating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y analyz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er's driving skill based on the driving skil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to the smart device. It is do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iving skill and a guide capable of shortening the driving circuit record by comparing driver circuit information (lap time and segment time and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with driving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Therefore, you can intuitively check the driving skills and vehicle status between the driver and other drivers through the screen, and reduce the driver's lap time and section time by analyzing the driving skills of other drivers, as well as competing with other drivers. And it can provide the pleasure of improving the skills, thereby obtaining the benefits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driver's frequent use of the circuit.
  • the vehicle performance of the driver can be analyzed, the advantage of intuitively recogniz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Has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ehicle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mart device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rver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of a smart device by a circui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smart device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other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creen of a smart device of a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ircuit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iving circuit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smart device of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 FIG. 4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rver shown in FIG.
  • a driving circuit service system provides a circuit by comparing circuit information of a driver (lap time, section time and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with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 a service for providing a driving skill and a guide capable of shortening the recording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 smart device, such a device includes a vehicle 100, a smart device 200, and a server 300.
  • the vehicle 100 is a vehicle driving a circuit by a driver, and collects vehicle state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ile driving to transmit to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CAN communication or LIN communication. It is provided.
  • the sensor unit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detecting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every predetermined period after the engine start;
  • a vehicle sta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for collecting a state value for each item of vehicle state information provided at each predetermined period from each sensor;
  • a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for transmitt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each sensor of the sensor unit 110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ehicle 100 detects an electrical signal for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period after engine start and transmits the detected electric signal to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
  •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120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of each item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n converts the state value of each item into a CAN or lean communication protocol, and converts the state value of each item of the converted vehicle state information. Transfer to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 the smart device 200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recognizes the start line and the finish line by using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measures the time for each lap and the section, and measures the measured lap and the section-specific vehicle. It may be provided to receive and store the lap time and section time,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vehicle 100, and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 the smart device 200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for receiv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vehicle 100 and a start line and a finish li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 GPS reception unit 223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timer 221 and the camera 222 by recognizing the lap time, the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supplied from the timer 221, and the traveling image of the camera 222;
  • a storage unit 230 for classifying and stor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circuit information (lap time and time for each section, vehicle state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driving image information, and driving image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230;
  •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40 is provided to transmit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smart device 200 may further connect DGPS, which is an external GPS device, through an input / output port of the smart device 200 to further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GPS information.
  • the storage unit 230 stores the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supplied from the timer 221 in response to the driver (or vehicle or smart device) identification code in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100.
  • the image storage module 233 stores the driv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222.
  • the smart device 200 is a circuit information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driver identification code of the storage 230 and the circuit recorded corresponding to the other driver identification code of the server 300 provide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40
  • the processing unit 250 further processes the information and operation analysis result information of the server 30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ace environment to display on the screen.
  • the GPS receiver 223 recognizes a start line and a finish line of the vehicle based on the received GPS information,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each lap (circle of circuit) and for each section,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as a timer 221 and
  • the timer 221 which transmits to the camera 222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measures the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time to the storage unit 230, and the camera 222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receives the received driving image. Transfer to the storage unit 230.
  • the storage unit 230 stores the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received through the timer 221 in the recording storage module 231, and classifies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for each section for each lap. Afterwards, the information storage module 232 stores the annotation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amera 222 in the image storage module 233.
  • the circuit information of the storage unit 230 is assigned to the driver identification cod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 the server 300 compares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other driver based on the circuit information of the driver provided from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circuit information of the other driver, the lap time and the segment time comparison,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the previously stored.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kill comparison by comparing with the learning value is performed, and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ing skill of the driv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nd the generat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circuit of another driver It is provided to deliver information to the smart device 200.
  • the server 300 is performed by learning about a driving skill based on the state value of each item included in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 the learning execution unit 310 generates and stores a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and compares the state value for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sec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40 with the previously stored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 Driving skill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to extract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of the driver through, and analysis unit 330 to generat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ing skills of the driver based on the extracted driving skill information
  • a fourth communication unit 340 which transmits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of the analysis unit 330, vehicle state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and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to the smart device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 the learning execution unit 310 includes a recording module 311 that stores circuit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mart device 200 in correspondence with driver member information recorded in each driver identification code.
  • the member information is information provided when the driver registers as a member and includes vehicle information and vehicle owner information.
  •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type, model year, displacement, gear type (AT / MT), fuel type, mileage, vehicle tuning information wheel and tire information, and owner information includes smart device number, gender, age group, nickname, ID , Passwords, and the like.
  • the learning execution unit 310 learns a driving skill that can shorten the time for each lap time section based on the state value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recorded in the recording module 311, Create and save learning values for each item to maximize driving skills that can reduce lap time and section time.
  • a series of processes for learning driving skills that can shorten the time for each lap time section based on the state value of each item included in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deriving the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is performed for each vehicle state information. It is the same or similar to a series of processes for executing learning and generating and storing learning values based on the execution result.
  • the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and the driver's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lap time, and time for each section provided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40 are transmitted to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derivation unit 320.
  •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deriving unit 320 extracts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of the driver through comparison of the state value for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for each lap and the section of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with the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 the driving skill refers to an operation degree of a device manipulated by the driver, for example, an acceleration pedal, a shift stage, a steering wheel, and a brake pedal, to shorten the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 driver A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10% to shorten the lap time at the same speed
  • driver B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20%. It depends on.
  • the driver's driving skill information is derived by the state value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degree.
  • Vehicle stat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tate, a voltage state, an engine output state, a wheel speed, an intake temperature, a fuel cut state, an air-fuel ratio state, a steering operation state (steering angle sensor value), and a G sensor value is changed.
  • Driving skill information is extracted based on the state value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 the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to reduce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wheel and the road during the corner driv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and the steering angle for driving the corner is determined by the driving skill of each driver. .
  •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for cornering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minimum friction coefficient, the minimum deceleration, etc.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the steering wheel is operated with the determined steering angle.
  • the steering wheel steering angle manipulated by the driver is extracted as driving skill information indicating the driving skill of the driver.
  • driving skill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analysis unit 330.
  • the analysis unit 330 performs a function of deriv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er's driving skills based on the received driving skill information, for example, a time reduction for each section due to immature steering wheel operation during cornering driving,
  •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driving skills such as the time reduction per section due to the deceleration during driving of the cornering, and the generat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340 through the smart device ( 200). At this tim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lap time, and section time are also transmitted.
  •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of the server 300, vehicle state information, lap time, and time for each section of the other driver are transmitted to the processing unit 250 through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240 of the smart device 200.
  • the processing unit 250 processes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e circuit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and the circuit information of the driv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ace environment, and is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 All items provided to the driver of the smart device 200 may be selected by the driver.
  •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cessing unit 250,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lap time and section time of another driver,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and lap time and section time of the driver correspond to the smart device 200 and are web
  • the engine-based HTML method and the OS-based user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mart device 200 ar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process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vehicle status information, lap time, and section time of another driver, driver status information, lap time, and section time of the driver are based on the Peer To Peer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smart devices 200. It may be provided to another smart device by the drive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smart devices 200 is a Peer to Peer transmission method
  •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smart devices using a local area network of the Peer to Peer transmission method is a well-known publicly 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smart device 200 referred to herein is a concept including a smart phone as well as a general desktop computer, tablet PC, smart box,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otebook computer, workstation, palmtop computer, personal digital assistant ( Means a digital device having a computing capability by mounting a microprocessor, such as a PDA), a web pad,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of the vehicle 100 and the smart device 200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es can communication, lean communication, etc.
  • th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smart device 200 and the server 300 using the communication unit 340 includes WiBro, Wi-Fi, WIMAX, 2G (The 2nd Generation of Mobile Phone), 3G, and 4G, which are Internet protocols.
  • 5 to 7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screen displayed by being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250 of FIG. 3.
  • a course and a driving position of a circuit running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re displayed and an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 the driver's vehicle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another driver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 the circuit cours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raight sections. For example, start and finish point-1, 1-2, 2-3 and 3-4.
  • the bottom square represents the movement of another vehicle in the circuit
  • the top square represents the movement of the corresponding driver vehicle in the circuit.
  • the upper square and the lower square are displayed in a 1: 1 correspondence so as to compare and distinguish the speed (record)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hicles. If you choose the fastest lap time among others, you can see the difference between yourself and the fastest person.
  •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others are displayed corresponding to the GPS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oint. Through this, the user can compare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t the corresponding point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driving ability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 the course and the driving position of the circuit being driven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and the driver's lap time and time for each section are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lap time and time for each section are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ide.
  • the lap time may select a lap time for the entire circuit course, and may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sections.
  • the course and the driving position of the circuit being driven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and the change state of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river's driving skill is displayed on the upper right and the driver's driving on the lower right.
  • the change status of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kill is displayed. For example, if a graph service item is selected among the circuit service items, the user's data, the driving status of the entire course of the circuit between the user vehicle and another vehicle, that is, the speed, RPM, accelerator operation, brake operation, and gear state variation of the vehicle are changed. All trends can be displayed and individually selected data is displayed in a graph.
  •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of the driver is generated by the server 300 based on the change state of each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is generated by analyz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ing skill based on the generated driving skill information. do.
  • the storage unit 230 and the processing unit 250 of the smart device 200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erver 3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configured to depend on the smart device 200 for example
  • the storage unit 230 and the processing unit 250 may be configured independently for each function, and the functions may be integrated into one or more servers.
  •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f necessary, servers for provi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driver authentication, billing, advertisement, etc.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 the circuit lap time and the section time are shortened based on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vehicle of the driver and another driver, and th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lap time and the section time. Compare your driving skills with other drivers and vehicle status, and intuitively view the comparison results on the screen, and further reduce driver's lap time and section time by allowing you to analyze the driving skills of other drivers in detail. It can provide enjoyment by competing with other drivers and improving their skills, thereby creating benefits from frequent circuit use by drivers, and comparing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drivers and other drivers on the same driving road with the same vehicle.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driver's vehicle is analyz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Ever it is able to recognize it.
  • FIG. 8 a circuit service process for providing a guide for shortening the driving circuit record by comparing the driving circuit record of the driver (lap time, section time and lap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with the driving circuit record of another driver is shown in FIG. 8.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circuit service process illustrated in FIG. 1, and a driving circuit service proces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the vehicle 100 connected to the smart device 200 by wire or wirelessly collects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detected after the engine start at predetermined cycles,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smart device 200 (S1 and S2).
  • the smart device 200 starts the circuit service after the vehicle 100 determines the start line using the GPS information (S3).
  • the lap time passing through the start lin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are measured through the timer of the smart device 200, the driving image of the circuit is receiv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measured lap time and the time for each section, the driving video, and the vehicle are measured.
  • the driver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driver identification code (S4 and S5).
  • the server 300 records the received lap time, section time, driving image, and vehicle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driver identification code (S6).
  • the server 300 executes learning on driving skills based on the received lap time, section time, driving image, and vehicle state information to derive a learning value for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and derive the learning value.
  • driving skill information is extracted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state information (S8).
  • the server 300 analyze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driving skills based on the driving skill information to generate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driving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e lap time of each driver, the time for each section, and each item of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 the star stat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200 (S9).
  • the smart device 200 processes and displays the lap time and the section time,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the lap time and the section time and the vehicle status information of the other driv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other driver (S10).
  • step S2 W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final finish line has arrived using the GPS information of the smart device 200, the program is terminated, and if the final finish line does not arriv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
  • driver's circuit information overlap time and segment time and lap and section status information
  • other driver's driving circuit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driver's circuit information (lap time and segment time and lap and section status information) with other driver's driving circuit information, it provides driving skills and guides that can shorten the driving circuit record. You can intuitively check your driving skills and vehicle status on the screen, and you can reduce the lap time and time of each section by analyzing the driving skills of other drivers, as well as enjoy competition and improving your skills with other drivers.
  • the driver's frequent use of the circuit can generate profits, and the driver's vehicle performance can be analyzed by comparing the driver's and other driver's vehicle status information under the same driving conditions with the same vehicle,
  • the driving circui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at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vention of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can bring great advances in terms of accuracy and reliability of operation, and furthermore, in terms of performance efficiency. to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운전자의 서킷 정보(랩타임 및 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와 타 운전자의 주행 서킷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주행 서킷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 및 가이드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스킬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의한 이익 창출할 수 있고, 동일 차량과 동일 주행 조건에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성능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킷(circuit) 내 주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엔진 시동 후 소정 주기 마다 감지된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 대상으로 요구된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 간의 운전 경쟁, 운전 스킬 습득, 및 차량 성능 파악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이용한 타인과의 속도 경쟁은 적어도 자동차 경주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자동차 경주는 자동차 경기장 내에서 시합을 통해 이루어지지만, 일반 도로에서도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런데 자동차 경기장에서 경주를 하기 위해서는 직업이나 특별한 자격증 등이 요구되고, 일반 도로에서의 경주는 과속 등의 위법을 해야 하고 주행중인 일반 차량과의 접촉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속도 및 레이싱 경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서킷이 생겼다. 국내에는 6군데의 서킷이 있다. 서킷을 이용하는 운전자는 해당 서킷에서의 자신의 랩 타임(lab time)을 확인하고, 일행이나 해당 서킷을 이용한 운전자의 랩 타임과 비교하여 고속 주행에 따른 쾌감과 자신의 운전실력을 타인과 비교하는 재미를 느낀다.
그런데 주행 중인 서킷을 통한 타인과의 운전 실력 비교는 단순히 해당 서킷을 주행한 랩타임을 비교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자신의 차량과 동일한 차종의 랩 타임을 비교하거나 최고 랩 타임을 기록한 타인의 운전 실력이 자신과 어떻게 다른지를 알고 배울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운전자의 서킷 정보(랩타임 및 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와 타 운전자의 주행 서킷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주행 서킷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 및 가이드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스킬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의한 이익 창출할 수 있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차량과 동일 주행 조건에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성능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은,
엔진 시동 후 소정 주기로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차량; 차량의 실내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GPS 정보를 활용하여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랩 별 및 구간 별 타임을 계측하고, 계측된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 및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 비교와, 랩타임 및 구간 타임 비교와, 운전 스킬 비교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 스킬 비교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기 저장된 학습값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주행 서킷 서비스 방법은,
차량에서 GPS 정보를 활용하여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스타트 라인이 진입 시 타이머를 통해 매 랩별 및 구간 별 타임을 계측하고, 계측된 랩별 및 구간별 타임, 엔진 시동 시 소정 주기 마다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공급된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 정보, 및 타이머를 통해 주행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서킷 정보를 운전지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a) 단계; 차량 실내 소정 위치에 마련된 스마트 기기에서 서킷 정보를 저장한 후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로 전달하는 (b) 단계; 및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학습값과의 운전 스킬 비교를 통해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서킷 정보(랩타임 및 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와 타 운전자의 주행 서킷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주행 서킷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 및 가이드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스킬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의한 이익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차량과 동일 주행 조건에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성능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차량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에 의해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보인 다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스마트 기기의 화면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킷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기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은 운전자의 서킷 정보(랩타임,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와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비교를 통하여 서킷 정보의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 및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되며, 이러한 장치는, 차량(100), 스마트기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100)는 운전자에 의해 서킷을 주행 중인 자동차로서, 주행 중 기 정해진 주기마다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캔(CAN) 통신 또는 린(LIN) 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200)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즉, 차량(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시동 후 기 정해진 소정 주기 마다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비된 센서부(110); 각 센서로부터 기 정해진 주기 마다 제공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수집하는 차량 상태 정보 수집부(120); 및 차량 상태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1 통신부(130)를 포함한다.
이에 차량(100)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센서부(110)의 각 센서는 엔진 시동 후 기 정해진 소정 주기 마다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 별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차량 상태 정보 수집부(1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상태 정보 수집부(120)는 각 항목별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각 항목별 상태값을 캔 또는 린통신 프로토콜로 변환하며, 변환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 별 상태값을 제1 통신부(130)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은,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하는 차종 엔진 사양, 타이어 및 휠 정보, 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값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 기기(200)는 차량의 실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수신되는 GPS 정보를 활용하여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한 후 랩 별 및 구간 별 타임을 계측하고, 계측된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차량(100)으로부터 공급된 차량 상태정보, 및 주행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마트 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210)와, 수신되는 GPS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타이머(221) 및 카메라(22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223)와, 상기 타이머(221)로부터 공급되는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과 카메라(222)의 주행 영상과 차량 상태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부(230)와, 상기 저장부(230)의 서킷 정보(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 및 주행 영상 정보)를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3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 기기(200)는 GPS 정보의 정밀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스마트 기기(200)의 입출력 포트를 통해 외부 GPS 장비인 DGPS를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230)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상태정보에 운전자(또는 차량 또는 스마트 기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타이머(221)로부터 공급되는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저장하는 기록 저장 모듈(231)과, 제2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로 분류하여 랩별 및 구간별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232)과, 카메라(222)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233)을 포함한다.
한편, 스마트 기기(200)는 저장부(230)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상기 제3 통신부(240)을 통해 제공된 서버(300)의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 및 서버(300)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기 정해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가공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가공부(25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GPS 수신부(223)은 수신되는 GPS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랩(서킷의 한바퀴) 별 및 구간별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타이머(221) 및 카메라(222)로 전달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타이머(221)는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계측하여 저장부(230)로 전달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한 카메라(222)는 수신된 주행 영상을 저장부(23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타이머(221)를 통해 수신된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기록저장 모듈(231)에 저장하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를 랩별 구간별로 분류한 후 정보저장 모듈(232)로 저장하고, 카메라(222)를 통해 수신된 주해 영상 정보를 영상저장 모듈(233)에 저장한다.
이어 저장부(230)의 서킷 정보는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통신망을 통해 서버(300)로 전송된다.
서버(300)는, 스마트 기기(200)로부터 제공된 운전자의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와 타 운전자 간의 차량 상태 정보 비교, 랩타임 및 구간 타임 비교, 차량 상태 정보 및 기 저장된 학습값과의 비교에 의한 운전 스킬 비교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스마트 기기(200)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서버(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해,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운전 스킬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여 수행된 각 항목별 학습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학습 실행부(310)와, 제3 통신부(240)의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과 기 저장된 각 항목별 학습값의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320)와,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330)와, 상기 분석부(330)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와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200)로 전달하는 제4 통신부(340)를 포함한다.
학습 실행부(310)는 스마트 기기(200)을 통해 수신되는 서킷 정보를 각 운전자 식별 코드에 기록된 운전자 회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기록 모듈(311)을 구비한다. 여기서 회원 정보는 운전자가 회원으로 가입할 때에 제공된 정보로서, 차량정보와 차주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정보는 차종, 연식, 배기량, 기어타입(AT/MT), 연료타입, 주행거리, 차량의 튜닝정보 휠과 타이어 정보 등을 포함하고, 차주정보는 스마트 기기 번호, 성별, 연령대, 닉네임, ID, 패스워드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학습 실행부(310)는 기록 모듈(311)에 기록된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을 극대화하기 위한 각 항목별 학습값을 생성 및 저장한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고 각 항목별 학습값을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은 차량 상태 정보 각각에 대한 학습 실행하고 실행 결과에 의한 학습값을 생성 및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러한 각 항목별 학습값과 제3 통신부(240)를 통해 제공받은 운전자의 랩 별 및 구간별 차량 상태 정보, 랩 타임 및 구간 별 타임은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320)로 전달된다.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320)는 제3 통신부의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과 상기 각 항목별 학습값의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된다.
여기서 운전 스킬이라 함은, 랩 타임 및 구간 별 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 예를 들어, 가속 패달, 변속단, 핸들, 및 브레이크 패달 등, 의 작동 정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운전자는 동일 속도에서 랩 타임을 단축하기 위해 가속 패달을 10% 누름 조작하는데 반해 B라는 운전자는 가속 패달을 20% 누름 조작하므로, 가속 패달의 누름 조작 정도는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이러한 운전자의 운전 스킬은 랩 타임과 구간별 타임을 줄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이러한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는 운전자의 조작 정도에 따라 변동되는 차량 상태 정보의 상태값에 의해 도출된다.
즉, 운전자의 장치의 조작 정도에 따라 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 정보가 변동되므로, 변동되는 차량 상태 정보의 상태값을 기초로 운전 스킬 정보가 추출된다.
예를 들어, 코너 주행 시 바퀴와 도로와의 마찰 계수가 최소로 줄이기 위한 핸들 조작에 따른 조향각은 현재 주행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이러한 코너의 주행을 위한 조향각은 각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따라 결정된다. 코너링을 위한 핸들의 조향각은 최소의 마찰 계수, 최소의 감속, 등을 차량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 되고 결정된 조향각으로 핸들이 조작된다. 이때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의 조향각은 운전자의 운전 스킬이 반영되어 결정되므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핸들 조향각은 운전자의 운전 스킬을 나타내는 운전 스킬 정보로 추출된다. 이러한 운전 스킬 정보는 분석부(330)로 제공된다.
상기 분석부(330)는 수신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예를 들어, 코너링 주행 시 핸들 조작의 미숙으로 인한 구간별 타임 감소, 코너링의 주행 시 감속으로 인한 구간별 타임 감소 인 지를 등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는 제4 통신부(340)를 통해 스마트 기기(200)로 전송된다. 이때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와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도 전송된다.
즉, 서버(300)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와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은 스마트 기기(200)의 제3 통신부(240)를 통해 가공부(250)로 전달된다.
가공부(250)는,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기 정해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가공 처리한 후 화면에 표시된다.
스마트 기기(200)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항목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다.
상기 가공부(250)에서 제공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 및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과,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 및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은 스마트 기기(200)에 대응되어 웹 엔진 기반의 HTML 방식과 스마트 기기(200)에서 제공하는 OS 기반의 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공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한편, 가공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 및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과,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 및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은 상기 스마트 기기(200) 간의 Peer To Peer 전송 방식의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운전자에 의해 타 스마트 기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200)간의 데이터 전송은 Peer to Peer 전송 방식을 이루어지며, 이러한 Peer to Peer 전송 방식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스마트 기기(200)란 일반적인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테블릿 PC, 스마트 박스, 이동 통신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 통신부(130) 및 제2 통신부(210)를 이용한 차량(100)과 스마트 기기(200)의 통신전송방식은 캔통신, 린통신 등을 포함하고, 제3통신부(240) 및 제4 통신부(340)를 이용한 스마트 기기(200)와 서버(300)간의 통신전송방식은 Internet Protocol인 WiBro, Wi-Fi, WIMAX, 2G(The 2nd Generation of Mobile Phone), 3G와 4G 등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가공부(250)에서 가공 처리되어 표시된 화면을 보인 예시도들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화면의 좌측에 주행 중인 서킷에 대한 코스 및 주행 위치가 표시되고 우측 상단에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가 표시되고, 우측 하단에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서킷의 코스는 복수의 직선 구간으로 구분하여 표시된다. 예컨대 스타트 및 피니시지점-1 구간, 1-2 구간, 2-3구간, 3-4 구간 등이다. 하단 네모는 서킷 내 타인 차량의 이동을 나타내고, 상단 네모는 서킷내 해당 운전자 차량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때 상단 네모 및 하단 네모는 두 차량간의 속도(기록) 차이를 비교 및 구분할 수 있게 1:1로 대응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타인 중 랩 타임이 가장 빠른 사람을 선택하면 자신과 가장 빠른 사람과의 차이를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서킷의 코스 중 한 지점을 선택하면 선택한 지점의 GPS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와 타인의 차량상태정보가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지점에서의 차량상태정보를 비교하여 운전실력의 차이 및 차량의 상태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 및 타 운전자에 대한 차량 상태 정보의 비교를 통해 동일 차량과 동일 서킷의 주행 시 운전자의 차량 성능 분석이 가능하고 분석 결과를 차량 상태 정보 비교를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주행 중인 서킷에 대한 코스 및 주행 위치가 좌측에 표시되며, 우측 상단에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 별 타임이 표시되고 우측 하단에 타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이 표시되므로, 운전자의 운전 기록에 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 여기서, 랩 타임은 서킷 전체 코스에 대한 랩 타임을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구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주행 중인 서킷에 대한 코스 및 주행 위치가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며, 우측 상단에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따른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 별 변동 상태가 표시되고 우측 하단에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따른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 별 변동 상태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서킷 서비스 항목 중 그래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본인의 데이터, 사용자 차량과 타인 차량간 서킷의 전체 코스에 대한 운전상태 즉 차량의 스피드, RPM, 액셀 동작, 브레이크 동작 및 기어 상태 변동 추이를 모두 표시할 수 있고, 개별적으로 선택한 데이터가 그래프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서버(300)에서 이러한 각 차량 상태 정보의 변동 상태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가 생성되고, 생성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가 생성된다.
즉,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에 따른 차량 상태 정보의 변동 비교 결과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실력을 세밀히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인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마트 기기(200)의 저장부(230)및 가공부(250)는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되며,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 기기(200)에 종속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저장부(230)와 가공부(250)와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에 상기 기능들이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도시된 서버들 외 운전자 인증 관련, 과금 관련 및 광고 관련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상태 정보와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토대로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토대로 서킷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실력을 세밀히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인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고, 동일 차량과 동일 주행 도로 상에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의 주행 서킷 기록(랩타임,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과 타 운전자의 주행 서킷 기록 비교를 통하여 주행 서킷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서킷 서비스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주행 서킷 서비스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서킷 서비스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스마트 기기(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차량(100)에서는 엔진 시동 후 감지된 차량상태정보를 기 정해진 주기 마다 수집하고, 이를 스마트 기기(200)에 제공한다(S1, S2).
스마트 기기(200)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00)이 스타트 라인을 파악한 후 서킷 서비스를 시작한다(S3).
즉, 스마트 기기(200)의 타이머를 통해 스타트 라인을 통과한 랩타임과 구간별 타임을 계측하고, 카메라를 통해 서킷의 주행 영상을 수신하며, 계측된 랩 타임과 구간별 타임, 주행 영상, 및 차량상태정보를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300)로 전달한다(S4, S5).
한편 서버(300)는 수신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수신된 랩 타임과 구간별 타임, 주행 영상, 및 차량상태정보를 기록한다(S6).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된 랩 타임과 구간별 타임, 주행 영상, 및 차량상태정보를 토대로 운전 스킬에 대한 학습을 실행하여 각 차량상태 정보의 항목에 대한 학습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학습값과 수신된 차량상태정보를 토대로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한다(S8).
이어 서버(300)는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와 타 운전자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차량상태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스마트 기기(200)로 전달한다(S9).
스마트 기기(200)는, 타 운전자의 식별 코드에 대응된 타 운전자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차량상태정보와 운전자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과 차량상태정보를 가공하여 표시한다(S10).
이에 따라, 동일 차종과 동일 주행 조건에서의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 및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운전자 중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상태 정보와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토대로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토대로 서킷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실력을 세밀히 분석할 수 있게 하여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인한 이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 기기(200)의 GPS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피니쉬 라인이 도착하였는 지가 감지되면 본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최종 피니쉬 라인이 도착하지 아니한 경우 단계(S2)로 진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운전자의 서킷 정보(랩타임 및 구간 타임 및 랩 및 구간별 차량상태정보)와 타 운전자의 주행 서킷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주행 서킷 기록을 단축할 수 있는 운전 스킬 및 가이드를 제공함에 따라 운전자와 타 운전자와의 운전 스킬 및 차량 상태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타 운전자의 운전 스킬 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랩 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운전자와의 경쟁과 실력 향상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의 잦은 서킷 이용으로 의한 이익 창출할 수 있고, 동일 차량과 동일 주행 조건에서 운전자 및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를 비교함에 따라 운전자의 차량 성능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 결과에 따른 차량의 성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경기용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18)

  1. 스마트 기기와 서버를 구비하여 주행 서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차량의 실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엔진 시동 후 소정 주기로 공급되는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GPS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타이머 및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
    상기 타이머로부터 공급되는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저장하는 기록 저장 모듈과, 차량의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로 분리하여 랩별 및 구간별 차량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과,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랩별 및 구간별 타임, 랩별 및 구간별 차량 상태정보, 및 주행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 전송하는 양방향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은,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하는 차종 엔진 사양, 타이어 및 휠 정보, 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 비교와, 랩타임 및 구간 타임 비교와, 운전 스킬 비교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공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을 포함하고,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한 학습을 수행하여 수행된 각 항목별 학습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학습 실행부;
    스마트 기기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별 상태값과 상기 각 항목별 학습값의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통신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공급된 운전 분석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저장부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상기 양방향 통신부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기록된 서킷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정해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가공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7. 스마트 기기로부터 제공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을 포함하고,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한 학습을 수행하여 수행된 각 항목별 학습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학습 실행부;
    스마트 기기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별 상태값과 상기 각 항목별 학습값의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은,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하는 차종 엔진 사양, 타이어 및 휠 정보, 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9. 엔진 시동 후 소정 주기로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차량;
    차량의 실내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GPS 정보를 활용하여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랩 별 및 구간 별 타임을 계측하고, 계측된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의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 및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전송하는 스마트 기기; 및
    스마트 기기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 비교와, 랩타임 및 구간 타임 비교와, 운전 스킬 비교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 스킬 비교는, 상기 차량 상태 정보 및 기 저장된 학습값과의 비교에 의거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은,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하는 차종 엔진 사양, 타이어 및 휠 정보, 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값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따라 조작 시 변동되는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로 구비된 센서부;
    엔진 시동 후 각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수집하는 차량 상태 정보 수집부; 및
    차량 상태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차량의 실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제2 통신부;
    수신되는 GPS 정보를 토대로 차량의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내장된 타이머 및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부;
    상기 타이머로부터 공급되는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저장하는 기록 저장 모듈과, 제2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상태 정보를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정보로 분류 및 저장하는 정보 저장 모듈과,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영상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랩 타임 및 구간 별 타임, 랩 및 구간별 차량 상태 정보, 및 주행 영상을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3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부는,
    상기 서버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 식별 코드와 대응되는 서킷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저장부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상기 제3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기 정해진 인터페이스 환경에 따라 가공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모듈을 포함하고, 타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에 포함된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시키기 위한 학습을 수행하여 수행된 각 항목별 학습값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학습 실행부;
    상기 제3 통신부의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항목별 상태값과 상기 각 항목별 학습값의 운전 스킬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는 운전 스킬 정보 도출부;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제4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16. 차량에서 GPS 정보를 활용하여 스타트 라인과 피니쉬 라인을 인식하여 스타트 라인이 진입 시 타이머를 통해 매 랩별 및 구간 별 타임을 계측하고, 계측된 랩별 및 구간별 타임, 엔진 시동 시 소정 주기 마다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공급된 랩 별 및 구간 별 차량 상태 정보, 및 타이머를 통해 주행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서킷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서킷 정보를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a) 단계;
    차량 실내 소정 위치에 마련된 스마트 기기에서 서킷 정보를 저장한 후 운전자 식별 코드를 부여하여 서버로 전달하는 (b) 단계; 및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서킷 정보와 기 저장된 학습값과의 운전 스킬 비교를 통해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운전 분석 결과 정보 및 타 운전자의 서킷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상태 정보는,
    각각의 센서에서 출력하는 차종 엔진 사양, 타이어 및 휠 정보,차량 속도, rpm, 액셀 포지션 상태, 스로틀포지션 상태, 브레이크 입력 및 압력 상태, 미션포지션 상태, 냉각수 온도, 산소센서 상태, 배기온도 상태, 진공 부스트 상태, 터빈 부스트 상태, 전압 상태, 엔진출력 상태, 휠 스피드, 흡기 온도, 푸얼컷 상태, 공연비 상태, 핸들조작 상태(steering angle sensor 값), G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값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타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랩타임 및 구간별 타임을 단축하기 위한 운전 스킬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여 각 항목별 학습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각 항목별 학습값과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과의 운전 스킬 비교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스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항목별 운전 스킬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차량 상태 정보의 각 항목별 운전 스킬에 대한 장점 및 단점을 분석하여 운전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하여 타 운전자의 스킷 정보와 운전 분석 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며,
    수신된 운전자 식별 코드에 대응되어 기록된 차량상태정보의 각 항목별 상태값을 토대로 학습을 실행하여 각 항목별 학습값을 보정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서킷 서비스 방법.
PCT/KR2015/010350 2014-09-26 2015-09-30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812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434 2014-09-26
KR20140129434 2014-09-26
KR10-2015-0137951 2015-09-30
KR1020150137951A KR20160037816A (ko) 2014-09-26 2015-09-30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8121A1 true WO2016048121A1 (ko) 2016-03-31

Family

ID=55581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350 WO2016048121A1 (ko) 2014-09-26 2015-09-30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4812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462A (ja) * 2006-02-27 2007-09-13 M-Tec Co Ltd サーキット走行車両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118903B1 (ko) * 2011-08-26 2012-03-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088136A (ja) * 2010-10-19 2012-05-10 Yazaki Corp 車載ラップタイム計測装置およびラップタイム計測方法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2993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주행 패턴 분석시스템 및 차량주행 패턴 분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462A (ja) * 2006-02-27 2007-09-13 M-Tec Co Ltd サーキット走行車両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2088136A (ja) * 2010-10-19 2012-05-10 Yazaki Corp 車載ラップタイム計測装置およびラップタイム計測方法
KR20120075555A (ko)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스마트폰을 이용한 운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2993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주행 패턴 분석시스템 및 차량주행 패턴 분석방법
KR101118903B1 (ko) * 2011-08-26 2012-03-2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125B1 (en) Depth based context identification
CN107402397B (zh) 基于移动终端的用户活动状态确定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20042445A (ko) 교통 수단 통근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매체 및 차량
WO20171463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n occupant within a vehicle
WO2018174314A1 (ko) 스토리영상 제작 방법 및 시스템
WO2014061904A1 (ko) 전기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240452A1 (ko) 실 공간에서 관심지점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 및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3094870A1 (ko) 도로주행 시험 채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주행 시험 채점 방법
CN103250187A (zh) 车辆用信息收集系统
WO2015098304A1 (ja) 解析装置、記録媒体および解析方法
CN108449571A (zh) 一种车内监控方法及设备
CN113723528A (zh) 车载语视融合多模态交互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WO2021045552A1 (en) Electronic device for image synthesi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165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4246842B (zh) 导航服务器、导航客户端以及导航系统
JP2016045678A (ja) 価格表示システム、価格判定装置、表示装置、価格判定方法、および、価格判定プログラム
WO2018043923A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4003520A1 (ko) 옥외 광고 led 전광판 및 상호 작용 방법
WO2016048121A1 (ko) 주행 서킷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68407B1 (ko) 주행 서킷에 대한 운전 분석 정보의 제공 방법
WO2014003509A1 (ko) 증강 현실 표현 장치 및 방법
JP2013003887A (ja) 車両操作診断装置、車両操作診断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9225875A1 (ko) 재고 추적 방법 및 장치
WO2015178066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2007726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3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36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