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43550A2 -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 Google Patents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43550A2
WO2016043550A2 PCT/KR2015/009822 KR2015009822W WO2016043550A2 WO 2016043550 A2 WO2016043550 A2 WO 2016043550A2 KR 2015009822 W KR2015009822 W KR 2015009822W WO 2016043550 A2 WO2016043550 A2 WO 201604355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bed
driving force
moving part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822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Other versions
WO2016043550A3 (en
Inventor
원병희
김종현
이창기
심우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US15/512,336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30540B2/en
Priority to JP2017515175A priority patent/JP6351835B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322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56379B1/en
Publication of WO201604355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3550A2/en
Publication of WO201604355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43550A3/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Abstract

A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ing part; a supporting unit,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of a bed which includes a moving part configured to enable adjustment of the angle thereof with the fixing part, and which has a predetermined height;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fixing part, has at least one part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that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unit to form a supporting point, and has a distance from the supporting point to the other end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and a lifting unit which is configured to support at least one part of a user's body,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lifts the user's body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depending on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Description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flotation device
본 발명은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 가능한 침대의 각도 조절과 연동하여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부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d body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body in conjunction with the angle adjustment of the angle adjustable bed.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경우, 다양한 편의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즉 환자, 노인 등은 신체를 의지대로 거동하기가 불편하므로, 의료용 침대는 사용자의 거동을 보조하기 위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medical bed for a patient who is inconvenient for mobility, the elderly, etc.,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are often provided. That is, since the patient, the elderly, etc. are inconvenient to behave as the body will, the medical bed will provide a convenient function to assist the user's behavior.
이와 같은 편의 기능 중, 최근에는 환자, 노인의 의복 등을 갈아입히거나 소변, 대변을 처리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를 일시적 또는 장시간 부양시키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Among such convenience functions, recently, a function for temporarily or prolonging a part of a user's body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changing clothes of a patient, an elderly person, or processing urine or stool is required.
종래의 경우,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상기와 같이 의복 등을 피간병인 또는 피보호자에게 갈아입히기 위해서는 자력으로 피간병인 또는 피보호자의 신체를 부양시키고, 이후 의복의 교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였으며, 이와 같은 과정에서는 매우 큰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change a garment or the like to the caregiver or the caregiver as described above, the caregiver or the caregiver had to support the caregiver or the caregiver's body by himself and then perform a replacement of the clothes.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effort.
특히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힘이 약한 경우에는 이와 같은 작업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고, 이에 따라 피간병인 또는 피보호자의 신체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피간병인 또는 피보호자의 신체가 상해를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또한 원활한 목표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caregiver or guardian's strength is weak, such a task is almost impossible, and accordingly, the body of the caregiver or the guardian has no choice but to rotate from side to side. In this process, the body of the caregiver or the guardian is often inju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smooth target work.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동력을 이용하여 피간병인 또는 피보호자의 신체를 부양시키는 부양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부양장치는 그 부피가 커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며, 공간이 좁은 곳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부양장치는 추가적인 전력 또는 에너지를 필수적으로 소모하므로 그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flotation device for supporting the body of a caregiver or a caregiver by using a separate power has been developed, but a conventional flotation device has a large volume,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and is used in a narrow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is was difficult. In addition, such a flotation device also consumes additional power or energy,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점유 면적이 최소화되고, 사용이 간편한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provide a bed body support device for minimizing the occupied area and easy to use.
또한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 않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o provide a bed body support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는,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파트를 포함하는 침대의 상기 고정파트에 연결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는 지지유닛, 일단이 상기 이동파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으로 연장되며,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타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동력전달부재 및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른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부양시키는 부양유닛을 포함한다.The bed body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nected to the fixed part of the bed including a fixed part and a movable part form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fixed part, the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Uni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fixed part side, at least a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to form a support point, the support point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It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user's body variable in length between the other end from the other end,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moving part It includes a support uni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user's body.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파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바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형성된 수평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and is provided to connect a pair of vertical bar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a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is formed. It may include a horizontal bar.
또한 상기 수평바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may be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그리고 상기 수평바는,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rizontal bar may include a first base part and a first sliding part formed to be relatively slidable with the first base part.
또한 상기 수평바는, 상기 지지점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the support point may be formed, may include a rotating portion formed to be rotatable.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고정파트에 고정시키는 제1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unit to the fixing part.
또한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보조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xing unit fixed to the moving part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o which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is connected to an upper side.
그리고 상기 보조고정유닛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unit may be form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또한 상기 보조고정유닛은, 제2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와 상대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fixing unit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the second base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relatively, the second e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It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그리고 상기 보조고정유닛은, 상기 보조고정유닛을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fix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portion for fixing the auxiliary fixing unit to the moving part.
또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는 타단이 두 갈래로 분지되고, 상기 부양유닛은,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분지된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the other end, the support un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body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he driving force transfer It may comprise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each connected to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member.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분지된 타단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detachably with the other end of the branch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 신체의 항문부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어 개방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may form an open area by open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l part of the user's body.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파트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파트의 둘레 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may be rotatably formed on the fixing part, and may be formed to be foldable toward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x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는 고정파트 및 상기 고정파트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파트를 포함하는 침대에 설치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홀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일단이 상기 이동파트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홀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부와 접하고, 상기 수평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타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동력 전달부재 및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른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부양시키는 부양유닛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ed body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ed including a fixed part and a moving part formed to adjust the angle with the fixed part, the vertical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opening ho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A support unit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ortion and a movable portion provid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vertical portio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and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to be in contact with the movable portion, the horizontal It is supported by a portion to form a support point, and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user's body variable in length between the support point and the other end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of the moving part is the other end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connected to, an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It comprises a support uni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hair body.
그리고,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직부는 제1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과 사이에 개구홀을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part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n opening ho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art and the first vertical par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Bed body levit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사용자의 신체 부양을 위한 장치의 점유 면적이 최소화되어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시키며,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First, the occupied area of the device for supporting the user's body is minimized to minimize the constraint of spac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use.
둘째,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추가적인 전력 또는 에너지를 소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no need to consume additional power or energy because no separate power is required.
셋째, 기 제조된 침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i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bed already manufactu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침대의 이동파트가 기립됨에 따라 부양유닛이 하향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is lowered as the moving part of the bed stands in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부양유닛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user seated on a support unit in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침대의 이동파트가 복원됨에 따라 부양유닛이 상향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부양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4 is a side view of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upport unit is raised as the moving part of the bed is restored to support a part of the user's body;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for a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지지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upport unit in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보조고정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fixing unit in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지지유닛이 절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is folded in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for a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upport unit for a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도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upper side;
도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경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when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top;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1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And
도 17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경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1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when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가 적용되는 침대(10)는, 고정파트(10a)와, 상기 고정파트(10a)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파트(1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동파트(10b)는 상기 고정파트(10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침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회전에 따라 기립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상체를 일으킬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First, the bed 10 to which the bed body lev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fixed part 10a and a movable part 10b formed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xed part 10a. That is, the movable part 10b is rotatab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xed part 10a,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neral bed in a fully extended state, and is supported to cause the upper body of the user in a standing state due to rotation. Don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파트(10a)와 이동파트(10b)는 매트리스 하부의 프레임(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은 상기 고정파트(10a)에 대응되는 고정프레임(20a)과, 상기 이동파트(10b)에 대응되는 이동프레임(20b)을 포함하는 형태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ed part (10a) and the moving part (10b) includes a frame 20 of the lower mattress. In this case, the frame 20 includes a fixed frame 20a corresponding to the fixed part 10a and a moving frame 20b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art 10b.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경우, 이와 같은 이동파트(10b)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And in the case of the bed body levit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lemented to use the driving force to adjust the angle of the moving part (10b).
본 발명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는, 지지유닛(110)과, 구동력전달부재(100)와, 부양유닛(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는 보조고정유닛(120)을 더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Bed bod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upport unit 110,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and the support unit 130.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d body support device has a form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ixing unit 120.
상기 지지유닛(110)은 침대의 고정파트(10a) 측에 연결되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유닛(110)은 상기 고정파트(10a)의 고정프레임(20a)에 고정된다.The suppor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a) side of the be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unit 110 is fixed to the fixed frame 20a of the fixed part 10a.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는 일단이 상기 이동파트(10b)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파트(10a) 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는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유닛(110)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점을 형성하게 된다.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art 10b side, and the other end thereof extends to the fixed part 10a side. 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s at least a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10 to form a support point.
즉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는 상기 이동파트(10b)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유닛(110)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유닛(110)의 지지점으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지는 형태를 가진다.That is,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extends from the moving part 10b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other end thereof has a form falling from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unit 110.
또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는 와이어, 스트랩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wire, a strap.
상기 부양유닛(130)은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타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파트(10b)의 각도 조절에 따른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부양시키게 된다.The support unit 130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body,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n addition, the user's body is selectively suppor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10b.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상기 이동파트(10b)에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에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일단이 연결된다.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fixed to the moving part 10b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즉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일단이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에 의해 불편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상기 이동파트(10b)의 이동프레임(20b)에 고정된 형태를 가진다.That is,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a component for maintaining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by the user feels discomfort by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while lying in a bed. Can be prevented. 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has a form fixed to the moving frame 20b of the moving part 10b.
다만, 설계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이 생략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가 상기 이동파트(10b)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desig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may be omitted, and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10b.
이상으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들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구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chematically described, and a detailed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ollowing, the process of driv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침대의 이동파트(10b)가 기립됨에 따라 부양유닛(130)이 하향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사용자(P)가 부양유닛(130)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침대의 이동파트(10b)가 복원됨에 따라 부양유닛(130)이 상향되어 사용자(P)의 신체 일부가 부양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130 is lowered as the moving part 10b of the bed stands in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r (P) is seated on the support unit 130 in the bed bod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d bod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as the moving part (10b) of the bed is restored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130 is raised to support the body part of the user (P).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는, 상기 이동파트(10b)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110)의 지지점으로부터 타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된다.First, as shown in FIG. 2,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has a variable length between the other end and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unit 110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10b.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프레임(30)에 의해 상기 이동파트(10b)가 각도 조절되어 기립된 경우,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일단과 상기 지지점은 서로 가까워지게 되므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타단은 하향될 것이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oving part 10b is erected by the driving frame 30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unit, the one end and the support poi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are close to each other.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will be downward.
따라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타단에 연결된 부양유닛(130) 역시 하향되고, 사용자(P)의 신체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고정파트(10a)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P)는 도 3과 같이 상기 부양유닛(130)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lotation unit 13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s also downward, and is positioned on the fixing part 10a so that the body of the user P is easily seated. In this state, the user P may seat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n the support unit 130 as shown in FIG. 3.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양유닛(130)은 사용자(P)의 둔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P)의 둔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부양유닛(130)은 지지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unit 130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uttocks of the user P to support the buttocks of the user (P),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unit 130 is supported Of course, it can have a variety of forms depending on the part of the body.
이후 도 4와 같이 상기 이동파트(10b)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경우,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일단과 상기 지지점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타단은 상향되며, 상기 부양유닛(130) 역시 상향되어 사용자(P)의 신체를 부양시키게 된다.Then, as shown in FIG. 4, when the moving part 10b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and the support point are far from each other. 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s upward, the support unit 130 is also upward to support the body of the user (P).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르래와 같은 방식에 따라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를 이동시켜 사용자(P)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부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 (P) body by mov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in the same manner as the pulley.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13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130 in the bed body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타단은 두 갈래로 분지된다.As shown in FIG. 5,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is branched into two branches in this embodiment.
그리고 상기 부양유닛(130)은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2)와, 상기 지지부재(132)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분지된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13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1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body and the support member 1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32,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t includes a pair of fastening portions 13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nch.
이때 상기 한 쌍의 체결부(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분지된 타단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의 분지된 타단 중 일측에는 고리 형태의 체결구(102)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지지부재(132)의 체결부(134)에는 상기 체결구(102)가 삽입되는 체결홀(13)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air of fastening portions 134 may be detachably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ranched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end of the other branched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is formed with a fastener 102 of the ring shape, the fastener (134) of the fastening portion 134 of the support member 132 corresponding thereto A fastening hole 13 into which the 102 is inserted is formed.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134)를 상기 구동력전달부재(100)와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를 용이하게 상기 체결부재(132)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fastening part 134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so that the user's body can be easily seated on the fastening member 132.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일측 체결부(134)만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나, 이와 달리 양측 체결부(134)가 모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그 체결 구조 역시 본 실시예와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side fastening part 134 is formed to be detachable. Alternatively, both side fastening parts 134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and the fastening structure may also be variously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Of course it can be done.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지지유닛(11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110 in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110)은 침대의 고정파트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바(112)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112)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형성된 수평바(1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support uni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part of the bed, a pair of vertical bars 112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air of vertical bars (112) It is provided to connect the top, and includes a horizontal bar 113 is formed a support point for supporting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즉 상기 수평바(113)는 침대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바(113)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That is, the horizontal bar 113 is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ed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bar 113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수평바(113)는, 보다 세부적으로 제1베이스부(117)와, 상기 제1베이스부(117)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부(116)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슬라이딩부(116)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수평바(113)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다양한 침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horizontal bar 113 having such a structure includes a first base part 117 and a first sliding part 116 formed to be relatively slidable with the first base part 117. That is, the first sliding part 116 may be slid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horizontal bar 113, and thus, it may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beds having different widths.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평바(113)는 한 쌍의 제1베이스부(117) 및 제1슬라이딩부(116)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bar 113 is formed to have a shape including a pair of first base portion 117 and the first sliding portion 116.
또한 상기 수평바(113)는, 전술한 구동력전달부재의 지지점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부(118)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118)는 상기 한 쌍의 제1슬라이딩부(11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구동력전달부재가 전후로 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ar 113, the support point of the above-mentioned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formed, and further includes a rotating portion 118 formed to be rotatable.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part 118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liding parts 116, thereby minimizing friction when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moves back and forth.
한편 상기 지지유닛(110)은, 상기 지지유닛(110)을 침대의 고정파트에 고정시키는 제1연결부(114)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연결부(114)는 수직바(112)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파트의 고정프레임(20a)에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support unit 110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114 for fixing the support unit 110 to the fixing part of the 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14 is provided below the vertical bar 112, and is formed in a form that is coupled to the fixed frame 20a of the fixed par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114)는 상기 고정프레임(20a)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0a)을 감싼 상태에서 제1고정볼트(115)를 조여 상기 지지유닛(110)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4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fixing frame 20a, and tightens the first fixing bolt 115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frame 20a is wrapped to support the entire support unit 110. It can be fixed.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보조고정유닛(12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n the bed body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fixed to the moving part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은 제2베이스부(122)와, 상기 제2베이스부(1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베이스부(122)와 상대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부(126)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126)의 상측에 구비되어 구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정착부(127)와, 상기 보조고정유닛(120)을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시키는 제2연결부(124)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formed to be adjustable height. Specifically,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provided on the second base portion 12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ortion 122 is formed to be relatively up and down sliding with the second base portion 122 The two sliding parts 126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liding part 126 are provided with a fixing part 127 to which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is fixed, and the auxiliary fixing unit 120 is fixed to the moving part. The second connector 124 is included.
이때 제2연결부(124)는 이동파트의 이동프레임(20b)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0b)을 감싼 상태에서 제2고정볼트(125)를 조여 상기 보조고정유닛(120) 전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4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moving frame 20b of the moving part, and tightening the second fixing bolt 125 in the state of wrapping the moving frame 20b the entire auxiliary fixing unit 120 It can be fixed.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로 변형되어도 무방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ach component of the bed bod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may be modified in any form as long as the correspond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보조고정유닛(220)의 형태가 다르게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8, all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auxiliary fixing unit 220 is formed in a different form.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보조고정유닛(220)은, 지지유닛(11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프레임(20b)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110)과 보조고정유닛(220)을 구분하지 않고 혼용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fixing unit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support unit 110, it is fixed to the moving frame (20b).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used without distinguishing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auxiliary fixing unit 22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more.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지지유닛(210)이 절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unit 210 is folded in the body support for b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형성되나, 지지유닛(21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omponents ar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but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210 is formed differentl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유닛(210)은 상기 고정파트(10a)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파트(10a)의 둘레 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다.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unit 210 is rotatably formed on the fixed part 10a, and is formed to be foldable toward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xed part 10a.
즉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부양 작업이 필요 없을 경우, 지지유닛(210)을 절첩시킨 상태로 변형하여 지지유닛(210)에 의해 걸리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support unit 210 by deforming in the folded state of the support unit 210.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유닛(210)이 힌지(21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회전 구조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unit 210 is rotatably formed by the hinge 2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otating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23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230 in the bed body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부양유닛(230)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부양유닛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나, 지지부재(232)는 사용자 신체의 항문부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어 개방영역(233)을 형성한다는 점이 다르다.The flotation unit 230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has the same shape as the flotation uni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ut the support member 232 ha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anal part of the user's body. The difference is that the open area 233 is formed.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재(232)로 사용자의 신체를 부양시킨 상태에서 사용자의 항문부가 노출되므로, 배설물의 수발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anus part of the user is exposed while supporting the user's body with the support member 232, it has an advantage of easily carrying out feces and the like.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에 있어서, 부양유닛(33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unit 330 in the bed body care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부양유닛(330)은 전술한 각 실시예들과 달리, 지지부재(332)의 전후 길이가 보다 길게 형성된다.The support unit 330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1 is formed long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332, unlike the respectiv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의 둔부뿐 아니라 등, 다리의 일부 등 보다 넓은 영역을 지지한 상태로 부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부재(332)의 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구동력전달부재(200)의 타단은 4갈래로 분지된 형태를 가지며, 이는 각각 지지부재(332)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체결부(334)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upport a wider area such as a part of the user's back as well as the buttocks of the user. In addition, as the area of the support member 332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200 has a branched shape in four branches, which is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support member 332. 334 can be reliably balanc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그 형태에 제한 없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such, it can be seen that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limita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경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ortion of the bed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ortion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top 14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when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top.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조 및 동작은 유사하고, 이하 상기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는 지지유닛(31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erms of overall structure and operatio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support unit 31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s.
본 실시예의 지지유닛(310)은 수직부(311), 수평부(312) 및 이동부(313)을 포함한다. The support unit 3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rtical portion 311, a horizontal portion 312 and the moving portion 313.
수직부(311)은 소정 높이를 가지며, 개구홀(311c)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부(311)는 환자의 상체가 위치하는 이동파트(10b)의 상측에 배치된다. The vertical portion 311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an opening hole 311c is formed. Specifically, the vertical portion 311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bove the moving part 10b where the upper body of the patient is located.
개구홀(311c)은 상, 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이동부(313)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을 하더라도, 구동력전달부재(100)는 개구홀(311c)를 통하여 이동부(313)와 접할 수 있다. The opening hole 311c is formed lo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refore, even if the moving part 313 to be described later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may be in contact with the moving part 313 through the opening hole 311c.
한편, 개구홀(311c)는 하나의 수직부(311)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수직부(311)는 제1수직부(311a) 및 제1수직부(311a)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수직부(311b)을 포함한다. 그리고 개구홀(311c)는 제1수직부(311a) 및 제2수직부(311b)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hole 311c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to penetrate through one vertical portion 311, the vertical portion 311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and the first vertical And a second vertical portion 311b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 311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opening hole 311c may be formed through a spaced spa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311a and the second vertical portion 311b.
수평부(312)는 수직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수직부(311)를 기준으로 침대 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평부(312)의 길이는 부양하고자 하는 환자의 부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수평부(312)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환자의 체형 또는 구체적으로 부양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부양유닛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horizontal portion 31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d is formed long in the rear of the bed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311.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312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rtion of the patient to support. Furthermore, whe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portion 312 is provided to be adjustable, it may be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patient's body shape or position to support in detail.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313)을 지지하는 지지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314)는 환자 부양을 하는 경우 수평부(313)에 인가되는 하중에 의하여 수평부(313)가 구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art 314 supporting the horizontal part 313. That is, the support part 314 serves to prevent the horizontal part 313 from being bent or broken by the load applied to the horizontal part 313 when supporting the patient.
즉 지지부(314)는 수평부(313)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부(313)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평부재(314a) 및 수평부재(314a)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부재(314b)를 포함한다. That is, the support part 314 may be provided in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effectively supporting the horizontal part 313, and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member 314a and the horizontal member 314a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 313. It includes a pair of vertical members (314b)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이동부(313)는 수직부(311)에 상, 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동부(313)가 수직부(3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양자 중 어느 하나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oving part 313 is provided on the vertical part 311 so as to be mov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order for the moving part 313 to be movable on the vertical part 311, various structures may be adopted such that a guide groove is formed in one of them, and a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도 13 및 도14은 이동부(313)가 상부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313)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파트(10b)의 끝단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따라 도1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이동파트(10b)가 상부로 회전하면, 이동부(313)와 이동파트(10b)의 끝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짧아진 거리만큼 구동력 전달부재(100)의 타단은 수평부(312)의 끝단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 case in which the moving part 313 is at the top. Specifically, the moving part 313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moving part 10b rotatably provided.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when the moving part 10b rotates up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part 313 and the end of the moving part 10b is shortened. 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is moved downward through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12 by a shortened distance.
그리고 상기의 반대과정을 통하여 구동력 전달부재(100)의 타단은 상부로 이동하면서, 부양유닛을 통하여 환자를 부양시키게 된다.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00 through the opposite process to support the patient through the support unit, while moving upward.
결론적으로 이동부(313)가 이동파트(10b)의 끝단보다 상부에 있는 경우, 이동파트가 상부로 회전하면, 부양유닛은 하부로 이동하고, 이동파트가 하부로 회전하면 부양유닛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In conclusion, when the moving part 313 is above the end of the moving part 10b, when the moving part rotates upward, the floating unit moves downward, and when the moving part rotates downward, the floating unit moves upward. Done.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도 17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침대용 부양장치의 이동부가 하부에 위치한 경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Figure 16 i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17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when the moving part of the bed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below.
도 15 내지 도17을 참조하면, 이동부(313)은 이동파트(10b)의 일단보다 낮은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파트(10b)가 상부로 회전을 하면, 이동부(313)과 이동파트(10b)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따라서 멀어진 거리만큼 구동력 전달부재(100)의 타단은 수평부(312)의 끝단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15 to 17, the moving part 313 may be fixed at a position lower than one end of the moving part 10b. In this case, when the moving part 10b rotates up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part 313 and the end of the moving part 10b becomes large. 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100 by the distance is moved upward through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312.
즉, 상기 설명한 이동부가 상부에 위치한 경우와 반대로, 이동파트(10b)가 상부로 회전하면, 부양유닛은 상부로 이동하고, 이동파트(10b)가 하부로 회전하면, 부양유닛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That is, in contrast to the case where the moving part described above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when the moving part 10b rotates upward, the flotation unit moves upwards, and when the moving part 10b rotates downward, the flotation unit moves downward. do.
결론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313)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이동파트(10b)의 회전에 따른 부양유닛의 회전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환자의 부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conclusion, in this embodiment, as the position of the moving unit 313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s change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ving part 10b may be selec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upport the patient more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has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17)

  1. 고정파트와, 상기 고정파트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파트를 포함하는 침대의 상기 고정파트에 연결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는 지지유닛;A support unit connected to the fixed part of the bed including a fixed part and a movable part formed to adjust an angle between the fixed part and a fixed part;
    일단이 상기 이동파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파트 측으로 연장되며,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타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동력전달부재; 및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fixed part side, at least a por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to form a support point, and the other end from the support point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A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having a variable length therebetween; And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른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부양시키는 부양유닛;A support unit which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selectively supports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을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유닛은,The support unit,
    상기 고정파트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바; 및A pair of vertical ba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art and form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상기 한 쌍의 수직바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점이 형성된 수평바;A horizontal bar provided to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and having a supporting point for supporting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3.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평바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The horizontal bar is a body support for the bed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4.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평바는,The horizontal bar,
    제1베이스부; 및A first base portion; And
    상기 제1베이스부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제1슬라이딩부;A first sliding part slidably formed relative to the first base part;
    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5.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평바는,The horizontal bar,
    상기 지지점이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the support point is formed, comprising a rotatable portion formed rotatably.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유닛은,The support unit,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고정파트에 고정시키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portion for fixing the support unit to the fixing part.
  7.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에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보조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Fixed to the moving par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fixing uni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ve force transmission member on the upper side.
  8.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고정유닛은 높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The auxiliary fixing unit is a body support for the bed formed to be adjustable height.
  9.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조고정유닛은,The auxiliary fixing unit,
    제2베이스부; 및A second base portion; And
    상기 제2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와 상대적으로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2슬라이딩부;A second sliding part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art and form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relatively to the second base part, and having one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connected to an upper end thereof;
    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10.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조고정유닛은,The auxiliary fixing unit,
    상기 보조고정유닛을 상기 이동파트에 고정시키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comprising a second connecting portion for fixing the auxiliary fixing unit to the moving part.
  1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력전달부재는 타단이 두 갈래로 분지되고,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at the other end,
    상기 부양유닛은,The support unit,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A support member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a user's body; And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분지된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체결부;A pair of fastening part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12.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분지된 타단과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At least one of the pair of fastening portion is a body support for the bed formed detachably with the other end of the branch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13.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지지부재는 사용자 신체의 항문부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어 개방영역을 형성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The support member is a bed body levitation device for opening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nal part of the user body to form an open area.
  1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고정파트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파트의 둘레 측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된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The support unit is rotatably formed on the fixed part, the 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formed to be foldable to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fixed part.
  15. 고정파트 및 상기 고정파트와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이동파트를 포함하는 침대에 설치되고,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개구홀이 형성된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지지유닛;It is installed on a bed including a fixed part and a moving part formed to adjust an angle with the fixed part, the vertical par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ving an opening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part coupled to an upper part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A support unit including a moving part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part;
    일단이 상기 이동파트에 연결되고, 상기 개구홀을 통과하여 상기 이동부와 접하고, 상기 수평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지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지지점으로부터 타단 사이의 길이가 가변되는 구동력 전달부재; 및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and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to contact the moving part, and is supported by the horizontal part to form a support point, and the length between the support point and the other end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A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mber; And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파트의 각도 조절에 따른 상기 구동력전달부재의 이동에 따라 사용자 신체를 선택적으로 부양시키는 부양유닛;A support unit which is formed to support at least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nd selectively supports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force transmission member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moving part;
    을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ed body levitation device comprising a.
  16.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수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Body support device for a bed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rizontal portion.
  17.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수직부는 제1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과 사이에 개구홀을 형성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침대용 신체 부양장치.And the vertical portion includes a second vertical portion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n opening hole between the first vertical portion and the first vertical portion.
PCT/KR2015/009822 2014-09-19 2015-09-18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WO2016043550A2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12,336 US10130540B2 (en) 2014-09-19 2015-09-18 Body lifting device for bed
JP2017515175A JP6351835B2 (en) 2014-09-19 2015-09-18 Body levitation device for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828 2014-09-19
KR20140124828 2014-09-19
KR10-2015-0132220 2015-09-18
KR1020150132220A KR101656379B1 (en) 2014-09-19 2015-09-18 Body Lifting Apparatus for B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550A2 true WO2016043550A2 (en) 2016-03-24
WO2016043550A3 WO2016043550A3 (en) 2016-07-14

Family

ID=5553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9822 WO2016043550A2 (en) 2014-09-19 2015-09-18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43550A2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0721B2 (en) * 1998-11-06 2009-01-21 清 高浦 Nursing bed
JP2010172630A (en) * 2009-01-30 2010-08-12 Morishita Kaigo Service:Kk Transfer apparatus utilizing motor-driven bed for invalid and bedridden old people
KR20130002297U (en) * 2011-10-06 2013-04-16 심기섭 lifting device for critical patient
KR101345273B1 (en) * 2012-04-30 2013-12-26 노태진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43550A3 (en) 201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5504A1 (en) Transfer robot for caring for patient
WO2013055057A2 (en) Electrical foldable bed for medical purposes
WO2014148721A1 (en) Apparatus for adjusting bicycle saddle angle in seated position while driving
WO2014168348A1 (en) Bath chair for person having mobility disability
WO2012118263A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WO2013137591A1 (en) Toilet provided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apparatus
WO2013165043A1 (en) Movable patient lifting apparatus
WO2015133761A1 (en) Device for rotating knee support of medical examination table using bevel gear
WO2014208910A1 (en) Gait training device
WO2020230974A1 (en) Wearable leg support device
WO2016032073A1 (en) Adult walker usable as simple wheelchair
WO2010087602A2 (en) Knee brace that is attachable/detachable to/from an ankle brace
WO2018212559A1 (en) Standing-position assistance device for infant x-ray inspection
WO2020091152A1 (en)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WO2016043550A2 (en) Body lifting device for beds
WO2021167296A1 (en) Movable toilet seat lifting device
WO2016039563A1 (en) Independent two-row ceramic structure
WO2011136566A2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ly-driven walker for patients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WO2015163635A1 (en) Upper-limb muscular strength training device and kit having same
WO2016190464A1 (en) Standing and sitting desk
WO2012138206A2 (en) Exercise apparatus for leg stretching
WO2014137028A1 (en) Apparatus for docking bicycle and wheelchair
WO2016104951A1 (en) Air pocket-type massage device
WO2020004816A1 (en) Foot drop support structure
WO2022169094A1 (en) Mattress device, and bed for transferring patient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42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751517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1233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421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