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27974A1 -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27974A1
WO2016027974A1 PCT/KR2015/006385 KR2015006385W WO2016027974A1 WO 2016027974 A1 WO2016027974 A1 WO 2016027974A1 KR 2015006385 W KR2015006385 W KR 2015006385W WO 2016027974 A1 WO2016027974 A1 WO 20160279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e
hallux valgus
protrusion
plate
valgus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63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춘영
Original Assignee
이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영 filed Critical 이춘영
Publication of WO20160279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2797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toe-spacers or toe-sprea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Definitions

  • It relates to the structure of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that can prevent or correct the deformation of the toes such as hallux valgus.
  • Hallux valgus is a disease called valgus valgus, valgus valgus, foot valgus valgus, or foot valgus. Pain occurs while friction occurs. In some cases, the deformation occurs innately, but most people wear pointed shoes and the big toe is pushed in the shoes. Therefore, women's shoes have high heels and many pointed fronts, so nine times more valgus is found in women than men.
  • a toe separator sandwiched between the big toe and the second toe has been developed to correct the hallux valgus. It is a device that presses the big toe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by spreading it between the big toe and the second toe, which is simple in configuration and easy to wear, but only the tip of the big toe is corrected and there is no tendency to tendons or plantar pain. I can't cope.
  • the other braces for correcting the plain valgus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eel support worn on the heel and the corr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big toe are connected and pulling each other.
  • this brace is only effective for correcting the big toe, but not for plantar pain or plantar pain in the forefoot. And because the structure is pulled over the entire length from the front of the foot to the back, the whole foot is difficult to move flexibly when walking, which makes it feel awkward and uncomfortabl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that can set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o correct the toes curved in various form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that can provide a protrusion adapted to the shape of the user's foot.
  • a groove located in the sole body and having a polygonal edge
  •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omprising a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between the toes.
  • the plate and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material.
  • the protrusion and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vable.
  •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ardness is greater than the protrusion.
  • the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ed res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that can set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to correct the toes curved in various for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that can provide a protrusion adapted to the shape of the user's foo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late and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and the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ot raised to the hallux valgus correction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late and the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and the protrusion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oot is raised on the sole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late 30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0 and is fastened and does not rotate when the groove 20 is fastened with the groove 20;
  • the hallux valgus orthodontic so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not only correct the toes deformed in various forms, but also because the protrusion 40 is removable structure on the plate 30 after the end of the normal shoe sole Can also be used as
  • Hallux valgus usually causes the big toe to bend toward the young toe. Therefore, the protrusion 40 is interposed between the big toe and the index toe, and the protrusion 40 fixes the big toe so that it is no longer bent.
  • the protrusion 40 may be a soft material.
  • the soft material may be silicon.
  • Sole body portion 10 is a material and form commonly used. Sole body portion 10 may be a cushioned material.
  • the sole 20 has a groove 20 formed therein.
  • the groove 20 is not circular at the edges. It may be a polygonal shape.
  • the polygon shape means any shape that is not circular.
  • the polygonal shape may be in the form of a gear.
  • the plate 30 may be fit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lygonal" groove 20. When the plate 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0 of the polygonal shape is fixed without rotation.
  • the condition of the patient varies.
  •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40 may be set according to various patient conditions.
  •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40 can be set by rotating the plate 30, so that the correction angle of the plain can be adjusted.
  • the plate 30 and the protrusion 40 may be removable. Therefore, when the calibration is finished, the protrusion 40 may be separated.
  • the plate 30 and the protrusion 4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the hardness of the protrusion 40 is lower than that of the plate 30.
  • the protrusion 40 may be a cured resin.
  • the shape of a person's foot varies as the left and right feet are different. Therefore, the method of inducing correction in the form of immobilized silicone is also good, but in addition, the method of fixing the synthetic resin according to the desired shape after closely contacting the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clay to the individual's feet. This approach is believed to give the customer confidence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alibration.
  • the "curable resin” is a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foot of the user who has plasticity.
  • curable resins include amino resins.
  • the amino resin is a thermosetting resin.
  • the cured resin may be a resin cured by UV.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개시된다.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신발창 몸체부와; 상기 신발창 몸체부에 위치하며, 가장자리가 원형이 아닌 홈과; 상기 홈에 끼워져서 체결되며, 상기 홈과 체결시 회전하지 않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며,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6.07.2015]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본 발명의 신발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무지외반증 등 발가락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 신발창에 관한 것이다.
무지외반(拇趾外反, hallux valgus)증이라 함은 무지외반, 족무지외반, 족무지외반증, 버선발 등으로 불리는 질병으로서 엄지발가락의 뿌리 부분인 제1중족과 족지 관절이 안으로 돌출되어 신발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통증이 일어난다. 선천적으로 변형이 일어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평소에 뾰족한 신발을 신어서 엄지 발가락이 신발 안에서 밀리기 때문에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여성들의 신발이 굽이 높고 앞 부분이 뾰족한 형태가 많으므로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9배 정도 많은 무지외반증이 발견된다.
한편, 종래에는 무지외반(증)을 교정하기 위해 엄지 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에 끼워놓은 토우세퍼레이터(toe separator)가 개발된 바 있다. 이것은 엄지 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 사이를 벌려줌으로써 안쪽으로 휜 엄지 발가락을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도록 가압하는 기구인데, 이는 구성이 간단하고 착용이 쉽지만 엄지 발가락 끝에만 교정력이 작용하고 건막류나 족저동통 등에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이 무지외반을 교정하기 위한 다른 예의 교정기는 뒤꿈치에 신는 힐지지부와 엄지 발가락을 감싸는 교정부가 연결되어 서로 당기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 교정기는 엄지 발가락의 교정에만 효과가 있을 뿐 건막류나 전족부에 가해지는 족저동통에 대해서는 전혀 효과가 없다. 그리고 발의 앞에서 뒤까지 전장에 걸쳐서 당겨 신는 구조이므로 보행시 발 전체가 유연하게 움직이기 어려워서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을 받는다.
이와 관련된 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69961호(신발창의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휘어진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돌출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의 모양에 맞추어진 돌출부를 제공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신발창 몸체부와;
상기 신발창 몸체부에 위치하며, 가장자리가 다각형인 홈과;
상기 홈에 끼워져서 체결되며, 상기 홈과 체결시 회전하지 않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며,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와 돌출부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연질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플레이트는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보다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경화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휘어진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돌출부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의 모양에 맞추어진 돌출부를 제공할 수 있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에 발이 올려진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부호의 설명]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100) 신발창 몸체부(10)
홈(20) 플레이트(30)
돌출부(40)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에 발이 올려진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100)은,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신발창 몸체부(10)와;
상기 신발창 몸체부(10)에 위치하며, 가장자리가 다각형 구조의 홈(20)과;
상기 홈(20)에 끼워져서 체결되며, 상기 홈(20)과 체결시 회전하지 않는 플레이트(30)와;
상기 플레이트(30)에 돌출되며,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100)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부(40)가 플레이트(30)에 착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교정이 끝난 이후로는 보통의 신발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주로 엄지 발가락이 새끼 발가락 쪽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엄지 발가락과 검지 발가락 사이에 돌출부(40)를 개재하고, 돌출부(40)가 엄지 발가락을 고정함으로써, 더 이상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40)는 연질재질일 수 있다. 연질재질로는 실리콘일 수 있다.
신발창 몸체부(10)는 보통 사용되는 재질과 형태이다. 신발창 몸체부(10)는 쿠션이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신발창 몸체부(10)에는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홈(20)은 가장자리가 원형이 아니다. 다각형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다각형 모양은 원형이 아닌 모든 형태를 의미한다. 다각형 모양은 기어형태일 수도 있다.
"다각형 모양"의 홈(20)과 대응하여 플레이트(30)가 끼워질 수 있다. 플레이트(30)가 다각형 모양의 홈(20)에 끼워지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환자의 상태는 다양하다. 돌출부(40)의 방향을 고려하여 플레이트(30)를 홈(20)에 끼우면, 다양한 환자의 상태에 맞추어 돌출부(40)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면, 플레이트(30)를 회전하여 돌출부(40)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어, 무지의 교정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플레이트(30)와 돌출부(40)는 착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정작업이 끝날 경우, 돌출부(40)를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플레이트(30)와 돌출부(4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돌출부(40)의 경도가 플레이트(30)보다 낮을수록 좋다.
한편, 돌출부(40)는 경화수지일 수 있다. 사람의 발의 형태는 좌·우 발이 서로 다르듯이 다양하다. 따라서 고정화된 실리콘 형태로 교정을 유도하는 방식도 좋지만 추가로 점토 형식으로 된 합성수지를 개인의 발에 밀착시킨 후 원하는 모양에 따라 합성수지를 고정시키는 형식의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고객에게 신뢰감을 주고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발명에서 "경화수지"는 소성이 있어 사용자의 발에 맞추어 변형을 가할 수 있는 물질,. 변형을 가한 후 모종의 처리(열, UV)를 하거나 또는 처리 없이 시간만 지나면 경화되는 물질,. 경화 후에도 적당한 탄성을 유지하여 발가락에 무리를 주지 않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화수지의 예로는 아미노수지가 있다. 아미노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이다. 경화수지는 UV에 의해서 경화되는 수지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6)

  1. 발바닥과 대응하는 형상의 신발창 몸체부와;
    상기 신발창 몸체부에 위치하며, 가장자리가 다각형인 홈과;
    상기 홈에 끼워져서 체결되며, 상기 홈과 체결시 회전하지 않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돌출되며, 발가락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돌출부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연질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플레이트는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보다 경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경화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PCT/KR2015/006385 2014-08-22 2015-06-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WO201602797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339 2014-08-22
KR20140109339A KR101509404B1 (ko) 2014-08-22 2014-08-22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7974A1 true WO2016027974A1 (ko) 2016-02-25

Family

ID=5303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6385 WO2016027974A1 (ko) 2014-08-22 2015-06-23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9404B1 (ko)
WO (1) WO201602797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352A (zh) * 2016-10-08 2016-12-21 盖宁宁 一种大拇趾外翻矫治鞋
CN111358607A (zh) * 2020-03-13 2020-07-03 陕西省中医医院 基于拇间拇外凸起定位的拇外翻可调整理疗装置
EP3821744A4 (en) * 2018-07-13 2022-04-13 Daikokuya Group Corporation INSOLE AND SHOE EQUIPPED WITH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4988B1 (ko) 2017-03-02 2018-10-05 이춘영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KR20210000566A (ko) 2019-06-25 2021-01-05 (주)이노메디텍 무지외반증 교정수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328Y1 (ko) * 2006-12-20 2007-11-29 바이오메카닉스 (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20080017762A (ko) * 2006-08-22 2008-02-27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459711Y1 (ko) * 2008-12-22 2012-04-12 배호 외반무지 교정신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6354A (ko) * 2005-12-21 2007-06-27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70093754A (ko) * 2006-03-15 2007-09-19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70115151A (ko) * 2006-06-01 2007-12-05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762A (ko) * 2006-08-22 2008-02-27 김지욱 인체 교정,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437328Y1 (ko) * 2006-12-20 2007-11-29 바이오메카닉스 (주)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200459711Y1 (ko) * 2008-12-22 2012-04-12 배호 외반무지 교정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352A (zh) * 2016-10-08 2016-12-21 盖宁宁 一种大拇趾外翻矫治鞋
CN106236352B (zh) * 2016-10-08 2019-03-15 盖宁宁 一种大拇趾外翻矫治鞋
EP3821744A4 (en) * 2018-07-13 2022-04-13 Daikokuya Group Corporation INSOLE AND SHOE EQUIPPED WITH IT
CN111358607A (zh) * 2020-03-13 2020-07-03 陕西省中医医院 基于拇间拇外凸起定位的拇外翻可调整理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9404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27974A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WO2013025049A2 (ko) 미끄럼 방지용 발착용구
US6874258B2 (en) Orthopedic shoe appliance and method
US11679015B2 (en) Off-load high leg-foot brace
SE514690C2 (sv) Hallux valgus-ortos
KR20130044519A (ko) 발가락 교정기
WO2010134661A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WO2011025264A2 (ko)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CN210158750U (zh) 矫正鞋
US20080178495A1 (en) Foot Clip
CN111419512A (zh) 一种3d打印拇外翻矫形鞋垫
WO2019164357A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WO2018143755A1 (ko) 발가락 교정구
US20180000624A1 (en) Digit protector device
CN212382805U (zh) 一种3d打印拇外翻矫形鞋垫
KR102165071B1 (ko) 맞춤형 발가락 교정구가 구비된 신발 안창
WO2018159903A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창
WO2016144018A1 (ko) 기능성 신발 깔창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71691A1 (ko) 기능성 양말
WO2017051981A1 (ko) 발가락 교정기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KR20130044685A (ko) 발가락 교정장치
WO2011078459A2 (ko) 신발용 발 교정구조
WO2016159733A1 (ko)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WO2012030021A1 (ko) 지압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341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3415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E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