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0365A1 -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 Google Patents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0365A1
WO2016010365A1 PCT/KR2015/007353 KR2015007353W WO2016010365A1 WO 2016010365 A1 WO2016010365 A1 WO 2016010365A1 KR 2015007353 W KR2015007353 W KR 2015007353W WO 2016010365 A1 WO2016010365 A1 WO 20160103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creen
area
areas
different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35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구본일
송병준
고해정
김민정
김영미
김옥선
박노찬
성인제
최영욱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26,46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205700A1/en
Priority to CN201580037970.1A priority patent/CN106537251A/zh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002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60008989A/ko
Publication of WO20160103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03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including screen areas having different reflectances in a screen on which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 the content image in realizing a screen that is not flat, can be projected while maintaining the brightness uniformly in all screen areas, thereby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 content screening environment through a screen having various shapes. At the same time, the quality of the projected content image can be maintained well.
  • 3D imaging technology allows different images to enter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dience and allows the audience to feel three-dimensional while the images above are perceived by the brain.
  • glasses such as a polarizing filter may be used to allow different images to be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eyes.
  • the 3D technology can provide a stereoscopic image to the user, but there is still a problem of low immersion in the image itself because it is only to enjoy the image played on a flat screen or a flat screen, and at the same time a single 3D cont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meet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requirements, but also to provide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 not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bec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screen including two or more screen regions having different screen reflectance values (GAIN) in a non-planar screen so that uniform brightness may be maintained in all screen regions even if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
  • GAIN screen reflectance valu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uniform brightness in all screen areas when projecting a content image in realizing a screen having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length or short axi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rightness is changed for each area of the screen to be able to reproduce the content image without distortion, and thereby to make the audience feel a higher immersion, three-dimensional feel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generated by different projection distances for each screen area, thereby allowing the viewer to view a 2D content image.
  • the purpose is to make the immersive feeling maximized when viewing 3D contents video, so that 3D contents can be felt like watching 3D contents video.
  •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uniform brightness for each screen area even when the screen is inclined toward the audience, so that the screen is further tilted toward the audienc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creen is further increased. It aims to provide an immersive feeling to the audience by realizing an ideal screening environment even if it is narrow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entrated screen to the audience by implementing the distortion-free oval-shaped screen.
  • the content image is projected to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creen areas with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GAIN).
  • the screen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r the minor axis direction, or may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 different screens may be applied to the two or more screen areas of the screen.
  •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and a paint having a different screen reflectance value GAIN is applied to each screen area so that brightness of the screen area on which the content image is projected is the same.
  • the paint appli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screen areas may include two or more identical compositions, but different composition ratios of the compositions.
  •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each of the two or more screen areas is characterized by vary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omposition affecting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GAIN).
  • the paints respectively applied to the two or more screen area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different composition combinations.
  • the theater comprises a projection device for projecting a content image on the screen; And a screen reflecting the content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 the screen may include at least two screen areas having different screen reflectance values GAIN.
  • the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not flat.
  • the long axis or short axis of the scree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ature of the predetermined size.
  • the scree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two or more screen areas on the screen; And applying at least two paints having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GAIN to the at least two screen areas.
  • At least two screen areas set on the screen are applied such that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at the boundary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 the screen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forming the screen to have a curvature in the major axis and / or minor direction.
  • the screen manufactur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 brightness value for two or more screen areas set on one screen; And applying different paints to the screen areas so that the entire screen area has the same brightness value when the brightness values for each screen area are different.
  • the obtaining of the brightness value may include obtaining a brightness value by projecting a test image onto the screen and detecting a value of light reflected by the screen.
  • the audience when the content image is projected on a screen that is not flat, the audience can enjoy the content with uniform brightness, thereby providing an immersion or three-dimensional effect to the audience.
  •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brightness is too low or too high in some screen areas to implement a screen having a curvature of the long axis or short axis to provide immersion, three-dimensional effec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better screening environment have.
  •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that the brightness of each area of the screen is different, so that the content image can be reproduced without distortion, thereby enabling the audience to feel a higher immersion, three-dimensional feel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audience with a three-dimensional effect generated by different projection distances for each screen area, thereby allowing the viewer to view a 2D content image.
  • you watch 3D content video you can feel the maximum immersion when viewing 3D content video.
  •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ovalness of the screen even when the screen is inclined toward the audience, and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brightness of each screen reg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ovality.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creen is further narrowed, the content image can be reproduced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brightness on the screen, thereby providing an enhanced immersion to the audien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provided to the audience by focusing even the sound reflected on the screen by implementing an ovoid screen without distortion.
  • 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theater as a premis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shown for explaining each nam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in which screen areas within a screen have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G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llustrates a screen in which a non-planar screen is implemented such that each screen area has a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 and brightness is uniform when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onto the screen.
  • Figure 5 shows the projection area and the non-projection area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 and 7 illustrate in ord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the theater includes a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jection apparatus 200 for projecting a content image onto the screen 100 as a basic configuration.
  • the theater has a theater server 300 that provides a content image, a seat 400 for the audience to sit on, a support frame 500 for supporting the frame, and a frame for supporting the screen 100.
  • the ceiling surface 600 and the wall surface 700 may further include.
  • the screen 100 is a film that can be mounted on a frame, which collectively functions to reflect an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onto a surface.
  • the material of the screen 100 capable of reflecting the projected image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atings on fabrics or fabrics such as matt white, glass beads, ultra beads, films, fiberglass, diamonds, and the like.
  •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not necessarily fixed to a plane.
  •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110 or the short axis 130, or a curvature of a constant size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axis 110 and the short axis 130. It can also be implemented in so-called ovalness.
  •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an oval shape conca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eats 400, and thus the long axis 110 or the short axis 130 of the screen 100.
  • Implementing the curvature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higher immersion, three-dimensional feeling to the audience.
  • the theater includes a projection apparatus 200.
  •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refers to a device for directly projecting a content image received from the outside onto the screen 100.
  •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may be one or more so as to face the screen 100. Can be installed.
  • the theater is a projection surface on which the image may be projected, as well as the screen 100, a wall surface 700, It may also include a ceiling surface 600,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for projecting on these projection surfa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 a relatively longer side of each side of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as a long axis 110, and a relatively short side will be defined as a short axis 130.
  • the horizontal side of the screen 100 is defined as a long axis 110 and a vertical side as a short axis 130.
  • the screen 100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long axis 110 or the short axis 130 has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size.
  • the upper and lower long axes 110 of the screen 100 are all the same.
  • the screen 100 may be embodi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having a first curvature value, or the left and right short axis 130 of the screen 100 may have a second curvature value of the same value.
  • the screen 100 may be implemented in a curved direction.
  • the screen 100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major axes 110 have a first curvature value and the left and right minor axes 130 have a second curvature value to be ovoid.
  • the long axis 110 of the screen 100 may be implemented to distinguish each of the curvature value by distinguishing the long axis 110 of the top and bottom.
  • the first long axis 110 of the upper major axis 110 has a first curvature value
  • the second long axis 110 of the lower major axis 110 has a second curvature value. It can also be implemented to vary the degree of warpage of the top and bottom.
  • the short axis 130 of the screen 100 may also define the short axis 130 on the left side as the first short axis 130 and the short axis 130 on the right side as the second axis 130. ) May have different values of curvature.
  • the screen 100 includes a screen area 150 in addition to the long axis 110 and the short axis 130.
  • the screen area 150 refers to each set area when one screen 100 is set for each predetermined area.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a total of nine screen regions 150 of the screen 100 exist.
  • the screen area 150 is a result of virtually setting the area with respect to the screen 100.
  • the screen areas 150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divid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shown in FIG.
  • the screen area 150 may be divided based on the degree of reflection by the screen 100 when it is projected.
  • FIG. 3 illustrates a screen 100 in which a plurality of screen regions 150 are set, and each screen region 150 has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 the screen 100 may have a first screen area 150 of 1.6, a second screen area 150 of 1.7, a third screen area 150 of 1.5, and a fourth screen area 150 of 1.6. It includes screen regions 150 having screen reflectivity values of different values.
  • FIG. 3 (b) shows a state in which one screen 100 is set to nine screen regions 150. Accordingly, the screen 100 is 1.8 in the first, third, seven, and nine screen regions 150, 1.9 in the second, four, six, and eight screen regions 150, and 2.0 in the fifth screen region 150. It can be seen that the screen reflectivity is implemented to have a value. Therefore, when projecting a content image on the screen 100 of FIG. 3 (b), the viewers will recognize that the center of the screen 100 is the brightest and darker as it moves toward the periphery.
  •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of the screen area 150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r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paint applied to the screen area 150.
  • one type of paint is applied to one screen 100 to have a uniform screen reflectivity value in all areas of the screen 100.
  • a different screen is applied to each screen area 150.
  • FIG. In order to provide reflectivity values, different paints may be applied or paints of the same composition may be used, but paints having different proportions of the composition may be applied.
  •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silver screen, the silver screen is a paint of the silver screen is applied to the entire screen, the screen ratio of the specific composition that can vary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for each screen area is adjusted Alternatively, the coating may be applied such that screen reflectivity values are different for each area of the screen by using a composition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 the various compositions of the paint may be synthesized in different ratios to induce screen reflectivity value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ratio.
  • the paint is made of a combin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the composition may be derived to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s of different sizes.
  • FIG. 4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invention.
  • the screen 100 may be a screen 100 that is not flat. More precisely, the long axis 110 and the short axis 130 of the screen 100 may have a curvature of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viewer may look like a concave shape of the screen 100.
  • a projection apparatus 200 is installed to face the screen 100.
  • the screen 100 is ovate as shown in FIG. 4 (a)
  • the light projected by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is screened.
  • the content image may appear somewhat dark in some areas of the screen 100 because it does not uniformly reach all areas of the screen 100.
  •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screen 100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creen regions 150 and implements each screen region 150 to have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 each screen region 150 in order for the screen regions 150 to have different values of screen reflectivity,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a paint made of a combination of different compositions, or a combination of the same compositions or different ratios. The applied paint is applied to each screen area 150.
  • FIG. 4 (b) illustrates that when the content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100 implemented such that the screen regions 150 have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as shown in FIG. 4 (a), in all screen regions 150. It shows the uniform brightness.
  • each screen area 150 of the screen 100 was manufactured to have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For the audience, the screen 100 has an image of uniform brightness in all the screen areas 150. You can appreciate it.
  • This may be selected or changed by the creator.
  • the creator may change the brightness of the content image reflected by the screen region 150 in the screen region 150 having the lowest screen reflectance value among the screen regions 150.
  • the paint may be applied so that it appears uniformly across the entire screen.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A, the portion of the screen area 150 having the lowest screen reflectance value is a central portion having a value of 2.0, and the content image is reflected to the central portion to be viewed by the audience.
  • the paint may be applied so that the brightness at the time may also be realized in other screen areas 150.
  • the brightness is adjusted based on the screen region 150 having the lowest screen reflectivity valu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aintain the uniformity of the entire screen relatively easily. .
  •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rightness value to be uniformly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area 150 when the content image is finally played back, and the brightness value may be determined by any one of various criteria.
  • the screen area 150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ept divided to easily understand that different screen reflectivity values are induced on the screen in a pedagogical manner, and the screen areas 150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ir peripheral boundaries. It may be appreciated, o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screen regions 150 may be applied in a gradient manner such that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at its boundary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 Figure 5 shows a screen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non-projection area (area B) required to mount the screen on a frame in addition to the projection area (area A) on which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 area B non-projection area required to mount the screen on a frame in addition to the projection area (area A) on which a content image is projected.
  • the projection area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content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can be directly reflected. Two or more screen areas may be set in the projection area as described above, and screen reflection values having different values may be set in each screen area. Paints that can realize the value can be applied.
  • the non-projection area refers to an area where the content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apparatus does not directly touch, and the non-projection area includes an additional area required for the screen to be mounted on the frame.
  • the screen and the frame may be bundled and connected by strap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traps may be provided in the non-projection area.
  • the screen 100, the projection area and the non-projection area may be divided by a guide line (guide line) or a guide point (guide point), as shown in Figure 5 the projection area and the non-projection area is Guide lines or guide points can be inserted for easy identification.
  • the guide line or guide point may be used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creen when the screen is mounted on the frame. That is, when the screen is to be mounted on the frame, the screen may be easily mounted on the frame by matching the guide line or the guide point with the long axis member and the short axis member of the frame side by side.
  • FIG. 6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creen 100 begins with first setting up two or more screen areas 150 on one screen 100. That is, the prior art did not attempt to set the screen area 150 separately on the screen 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give screen reflectivity values of various values for each area on the screen 100.
  • the first step is to set the plurality of screen areas 150.
  • the plurality of screen areas 150 may be arbitrarily se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screen areas 150 in consideration of the projection environment in the theater. For example, the brightness per screen area 15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creen 100 in the theater, the brightness per screen area 15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ion apparatus 200, The screen area 150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projection environment in the theater such as brightness of each screen area 150 according to the warped shadow.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shape of the long axis 110 or the short axis 130 is to be changed into an ovoid screen 100 having a curvature, the content imag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screen 100. The screen area 15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brightness at the time of reflection.
  • each screen area 150 is the same or less than the number of screen areas 150.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screen areas 150 may be coated with the same paint to have the same screen reflectivity value, the kind of paint having a different screen reflectance value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screen areas 150 or Should be a small number.
  • each paint is a material that determines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 each paint may be made of the same composition, but the composition ratio is different, or may be made of different compositions.
  • the screen 100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leted after the step S520 is performed.
  •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that the implementation form is not a flat shape
  • the step (S530) of modifying the shape of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meaning that the shape of the screen 100 is deformed at this time means that the curvature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major axis 110 or the minor axis 130 of the screen 100 itself, the curvature is such a shape
  • the branches may be formed by mounting the screen 100 on a frame.
  • the paint is applied to each screen area 150 in this way, and after the deformation to the shape, the completed screen 100 is fixed to the frame for mounting the screen 100, further, the screen 100 is fixed
  • the frame is coupled to the support 500 in the theater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theater.
  • FIG. 7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creen 100 begins with the step S610 of projecting a content image onto the screen 100.
  • the projection environment of the screen 100 is considered.
  • the screen image may be projected by projecting a content image, that is, a test image, on an unfinished screen 100 having an overall uniform screen reflectance value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a future projection environment. This is to acquire the brightness of the content image for each region of step 100.
  • the image projected on the screen 100 at this time may include only a screen consisting of a single color, which is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brightness value in each screen area 150.
  • step S610 the prepared projection apparatus 200 may be controlled to project the content image on the screen 100, and in step S620, brightness values of the images may be adjusted. This can be done by using an independent detection device for measuring.
  • the steps S610 and S620 may use one device that is equipped with the function of projecting the content image and the function of measuring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mage reflected on the screen 100 at the same time.
  • the brightness values measured by the above process may be stored and matched with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screen 100 as shown in Table 1, that is, stored in a database.
  • the parameters such as the curvature of the long axis member, the curvature of the short axis member that can distinguish the shape of the specific screen 100, and the brightness value of each screen area measured as a result of projecting the test image on the screen (in this case, The unit of the measured brightness value may be stored by matching the fL). This is to prevent duplication of measurement work by applying a similar screen manufacturing method to the screen of the same shape in the future.
  • first long axis member and the second long axis member are marks for distinguishing the long axis members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screen, respectively.
  • the screen 100 is set to two or more screen areas 150 based on the obtained brightness (S630), and each set screen area 150 is set. ) Is applied to the paint having a different screen reflectance value (S640).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creen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project the content image onto the screen 100 in a projection environment that is implemented in advance, so that the brightness of each screen area 150 may be reduced.
  • the difference is that can be obtained exactly.
  • the screen manufacturing method stores a database of which screen reflectance values are applied to each screen area 15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creen 100 and the conditions of the implemented screen 100.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 the screen reflectance value having an appropriate value for each screen area 150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r the brightness when the content image is played back.
  • the value is obtained by simulation, the shape of the screen and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for each screen area of the screen, the composition of the coating applied for each screen area, the composition ratio, and the brightness value for playing the content image are matched and stored as one set. Can be.
  • the composition of the coating applied to realize the screen reflectivity value, the composition ratio v) the brightness value when the content image is projected on the screen to which the coating is applied may be stored as a datab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각각 다른 반사도를 가지는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이 아닌 스크린을 구현함에 있어 컨텐츠 영상이 모든 스크린 영역에서 균일하게 명도를 유지한 채 투사될 수 있으므로, 관객들에게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 상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의 품질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본 발명은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각각 다른 반사도를 가지는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이 아닌 스크린을 구현함에 있어 컨텐츠 영상이 모든 스크린 영역에서 균일하게 명도를 유지한 채 투사될 수 있으므로, 관객들에게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을 통해 컨텐츠 상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의 품질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근 영화 컨텐츠의 다양화와 함께 이를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인 상영관도 더불어 크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많은 상영관들은 종래 2차원 영상을 투사하던 상영 환경의 틀을 벗어나 관객에게 보다 높은 입체감,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관련하여 최근에는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3D 영상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D 영상 기술은 관객의 좌우 눈으로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가도록 하고 위 영상들이 뇌에서 인지되는 과정에서 관객이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으로, 3D 영상 기술은 촬영 시 서로 다른 편광 필터가 장착된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고 컨텐츠를 상영할 때에는 편광 필터가 장착된 안경 등을 사용함으로써 좌측 눈과 우측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3D 기술은 사용자에게 입체감 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평면 스크린 또는 평면 화면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감상하는 것에 불과하여 영상 자체에 대한 몰입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동시에 하나의 3D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관객이 특수 안경을 써야 하는 등 관객 편의성 측면에서도 단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불편한 상영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관객들에게 몰입감을 제공하기 위해 평면이 아닌 형상의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 평면의 직사각형 형상의 스크린이 아니라 일정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는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몰입감, 입체감을 더 잘 느끼도록 하는 상영관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평면이 아닌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의 특정 영역이 어둡게 보이거나 또는 스크린의 특정 영역이 밝게 보이는 등 서로 다른 영역에서의 영상이 명도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명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관객으로서는 컨텐츠를 관람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낌은 물론 애초 의도했던 몰입감, 입체감을 올바르게 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 건 발명은 앞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본 발명은 평면이 아닌 스크린에 있어서,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상이한 스크린 영역이 둘 이상 포함된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더라도 모든 스크린 영역에서 균일한 명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장축 또는 단축이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스크린을 구현함에 있어 컨텐츠 영상 투사시 모든 스크린 영역에서 균일한 명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때, 하나의 스크린 내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의 스크린 영역에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위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스크린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의 영역 별로 명도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컨텐츠 영상이 왜곡 없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관객들에게 보다 높은 몰입감,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장축, 단축의 곡률을 가지는 스크린 상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스크린 영역 별로 투사 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발생되는 입체감을 관객들에게 제공하며, 이에 따라 관객들로 하여금 2D 컨텐츠 영상 관람시에도 3D 컨텐츠 영상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3D 컨텐츠 영상 관람 시에는 극대화 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크린이 관객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에 있을 때에도 컨텐츠 영상 재생 시 스크린 영역 별 명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을 관객 쪽으로 더 기울이더라도, 즉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더 좁히더라도 이상적인 상영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관객들에게 고조된 몰입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왜곡이 없는 난형의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반사되는 음향까지도 관객에게 집중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것으로서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스크린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장축 방향 또는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각각 상이한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에는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되, 상기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영역의 명도가 동일해지도록 각 스크린 영역에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둘 이상의 동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스크린 반사도 값(GAIN)에 영향을 미치는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서로 다른 조성물 조합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상영관은 스크린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로부터 투사된 컨텐츠 영상을 반사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스크린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면이 아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장축 또는 단축은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조 방법은 스크린 상에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상이한 둘 이상의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 설정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그 경계에서의 스크린 반사도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스크린 제조 방법은 상기 스크린이 장축 또는/및 단축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제조 방법은 하나의 스크린 상에 설정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대한 명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영역별 명도값이 상이한 경우, 스크린 전체 영역이 동일한 명도값을 가지도록 각 스크린 영역에 상이한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에 테스트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값을 검출하여 명도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면이 아닌 스크린 상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할 때에 관객들로 하여금 균일한 명도로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관객에게 몰입감 또는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몰입감, 입체감 제공을 위해 장축 또는 단축의 곡률을 가지는 스크린을 구현함에 있어 일부 스크린 영역에서의 명도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보다 나은 환경의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의 영역 별 명도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컨텐츠 영상이 왜곡 없이 재생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관객들이 보다 높은 몰입감, 입체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장축, 단축의 곡률을 가지는 스크린 상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스크린 영역 별로 투사 거리가 상이함에 따라 발생되는 입체감을 관객들에게 제공하며, 이에 따라 관객들로 하여금 2D 컨텐츠 영상 관람시에도 3D 컨텐츠 영상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3D 컨텐츠 영상 관람 시에는 극대화 된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크린이 관객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에 있을 때에도 스크린의 난형(ovalness)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난형(ovalness)에 따른 스크린 영역 별 명도가 상이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관객과 스크린 사이의 거리를 더욱 좁히더라도 스크린 상에 명도 차이가 없도록 컨텐츠 영상을 재생할 수 있어 관객들에게 고조된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왜곡이 없는 난형의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에 반사되는 음향까지도 관객에게 집중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제가 되는 상영관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각 명칭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린 내 스크린 영역이 서로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을 가지도록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평면이 아닌 스크린에 있어서, 각 스크린 영역들이 서로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구현된 모습, 그리고 당해 스크린에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었을 때 명도가 균일하게 유지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투사영역 및 비투사영역을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전체 상영관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따르면, 상영관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 상기 스크린(100)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투사장치(200)를 기본구성으로서 포함한다. 한편, 기본구성 외에 상영관은 컨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상영관 서버(300), 관객이 착석할 수 있는 좌석(400), 상기 스크린(100)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및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500), 천장면(600) 및 벽면(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0)은 프레임에 거치될 수 있는 막(幕)으로서 투사장치(20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표면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을 통칭한다. 이렇게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킬 수 있는 스크린(100)의 재질로는 매트화이트, 글라스비드, 울트라비드, 필름, 파이버글래스, 다이아몬드 등 직물 또는 직물에 코팅처리가 된 다양한 종류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그 형상이 반드시 평면으로 고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장축(110) 또는 단축(130) 방향으로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장축(110) 및 단축(130) 방향으로 모두 일정한 크기의 곡률을 가져 소위 난형(ovalness)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좌석(400)들을 향한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난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스크린(100)의 장축(110) 또는 단축(130)에 곡률이 생기도록 구현하는 경우 관객들에게 보다 높은 몰입감,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영관은 투사장치(200)를 포함한다. 투사장치(200)란, 외부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영상을 상기 스크린(100)에 직접 투사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 도 1에서도 볼 수 있듯 투사장치(200)는 상기 스크린(100)에 대면되도록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스크린(100)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하나의 투사장치(200)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영관은 영상이 투사될 수 있는 투사면으로서 스크린(100)뿐 아니라 벽면(700), 천장면(600)도 포함할 수 있는바, 이들 투사면에도 투사하기 위한 투사장치(200)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의 각 명칭을 정의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의 각 변 중 상대적으로 더 길이가 긴 변을 장축(110)이라 정의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변을 단축(130)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와 같이 스크린(100)의 가로변을 장축(110), 세로변을 단축(130)이라 정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장축(110) 또는 단축(130)이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크린(100)의 위 아래 장축(110)이 모두 같은 값의 제1곡률값을 가지도록 하여 가로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스크린(100)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스크린(100)의 좌우 단축(130)이 모두 같은 값의 제2곡률값을 가지도록 하여 세로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의 스크린(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스크린(100)은 위 아래 장축(110)이 제1곡률값을 가지고 좌우 단축(130)이 제2곡률값을 가지도록 하여 난형이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스크린(100)의 장축(110)은 상단과 하단의 장축(110)을 구별하여 각각의 곡률값이 다르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단의 장축(110)인 제1장축(110)은 제1곡률값, 하단의 장축(110)인 제2장축(110)은 제2곡률값을 가지도록 하여 반드시 스크린(100)의 상단과 하단의 휘어짐 정도가 달라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크린(100)의 단축(130) 역시 좌측의 단축(130)을 제1단축(130), 우측의 단축(130)을 제2단축(130)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축(130)이 상이한 값의 곡률을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장축(110), 단축(130) 이외에 스크린 영역(150)을 포함한다. 스크린 영역(150)이란 하나의 스크린(100)을 일정 영역 별로 설정하였을 때 각각의 설정된 영역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할 때, 스크린(100)의 스크린 영역(150)은 총 9개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영역(150)은 스크린(100)에 대해 가상적으로 영역을 설정한 것의 결과물로서, 스크린 영역(150)들은 반드시 도 2에서와 같이 수직, 수평으로 나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컨텐츠 영상이 투사될 때에 스크린(100)에 의해 반사되는 정도를 기준으로 스크린 영역(150)이 나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스크린(100)이 복수 개의 스크린 영역(150)으로 설정되고 각각의 스크린 영역(150)들이 서로 다른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하나의 스크린(100)이 4개의 스크린 영역(150)으로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100)은 제1스크린 영역(150)은 1.6, 제2스크린 영역(150)은 1.7, 제3스크린 영역(150)은 1.5, 제4스크린 영역(150)을 1.6과 같이 서로 다른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는 스크린 영역(150)들을 포함한다.
스크린 반사도 값은 그 값이 높을수록 빛의 반사도가 높아 영상이 더 밝게 보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3(a)에 따르면, 평면의 스크린(100) 상에 하나의 컨텐츠 영상을 투사시키는 경우 제2스크린 영역(150)에서의 명도가 가장 높고, 제3스크린 영역(150)에서의 명도가 가장 낮게 측정됨을 의미한다.
한편, 도 3(b)는 하나의 스크린(100)이 9개의 스크린 영역(150)으로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100)은 제1, 3, 7, 9스크린 영역(150)은 1.8, 제2, 4, 6, 8스크린 영역(150)은 1.9, 제5스크린 영역(150)은 2.0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구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의 스크린(100)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이를 바라보는 관객들로서는 스크린(100)의 중심부가 가장 밝은 것으로, 그리고 주변으로 멀어질수록 어두워지는 것으로 인지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스크린 영역(150)의 스크린 반사도 값은, 해당 스크린 영역(150)에 도포되는 도료의 조성물 또는 조성물 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크린(100)에는 한 가지 종류의 도료가 도포되어 해당 스크린(100)의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스크린 영역(150)에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도료를 도포하거나 또는 같은 조성물의 도료를 사용하되 그 조성물의 비율이 다르게 배합된 도료를 도포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스크린은 실버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실버 스크린은 실버 스크린의 도료가 스크린 전체에 도포되되, 스크린 영역 별로 스크린 반사도 값을 달리할 수 있는 특정 조성물의 배합 비율을 조절하거나 또는 입자의 크기가 다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스크린의 각 영역별로 스크린 반사도 값이 달라지도록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료의 다양한 조성물들은 서로 다른 비율로 합성되어 그 비율에 따라 다른 크기의 스크린 반사도 값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료는 서로 다른 조성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성물의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스크린 반사도 값이 유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도 잠시 언급하였듯,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평면이 아닌 스크린(100)일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스크린(100)의 장축(110) 및 단축(130)이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져 관객 입장에서는 스크린(100)의 오목한 형상으로 보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영관에는 상기 스크린(100)과 대면하도록 투사장치(200)가 설치되는데, 이 때 스크린(100)이 도 4(a)와 같이 난형인 경우 상기 투사장치(200)에서 투사된 빛이 스크린(100)의 모든 영역에 균일하게 닿지 않아 스크린(100)의 일부 영역에서는 컨텐츠 영상이 다소 어둡게 보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렇듯 컨텐츠 영상이 스크린(100) 상에서 스크린 영역(150)별로 명도가 달라지는 경우 관객으로서는 적절한 몰입감, 입체감을 가질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100)을 복수의 스크린 영역(150)별로 설정하고, 각 스크린 영역(150)들이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구현한다. 이 때, 상기 스크린 영역(150)들이 다른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앞서 도 3에서의 설명에서 언급했듯 서로 다른 조성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도료, 또는 같은 조성물의 조합이나 서로 다른 비율로 배합된 도료를 각 스크린 영역(150)에 도포한다.
도 4(b)는 도 4(a)와 같이 스크린 영역(150)들이 서로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구현된 스크린(100) 상에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경우, 모든 스크린 영역(150)들에서 균일한 명도를 보이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4(b)에 따르면 비록 투사장치(200)에서 투사된 컨텐츠 영상의 빛은 모든 스크린 영역(150)에 동일한 양만큼 닿지 않아 투사량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상기 스크린(100)의 각 스크린 영역(150)들을 서로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제조하였는바, 관객들로서는 위와 같은 난형의 스크린(100)에서도 모든 스크린 영역(150)에서 균일한 명도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때 모든 스크린 영역(150)에서 어떤 명도값으로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것인지, 즉 각 스크린 영역(150)에 도료를 도포하되 최종적으로 관객에게 어떤 명도의 값으로 균일하게 보이게 할 것인지 기준을 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제작자가 선택 내지 설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제작자는 상기 스크린 영역(150)에 의해 반사되는 컨텐츠 영상이 스크린 영역(150) 중 스크린 반사도 값 중 가장 낮은 스크린 영역(150)에서의 명도가 전체 스크린에서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참조할 때, 스크린 영역(150) 중 가장 낮은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는 부분은 2.0의 값을 가지는 중앙부인데, 컨텐츠 영상이 상기 중앙부에 반사되어 관객에게 보여질 때의 명도가 다른 스크린 영역(150)에서도 구현될 수 있도록 도료를 도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 반사도 값이 가장 낮은 스크린 영역(150)을 기준으로 명도를 맞추는 경우, 스크린 반사도 값이 낮을수록 전체 스크린의 균일성(uniformity)을 비교적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은 최종적으로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때 그 명도값이 전체 스크린 영역(150)에 균일하게 나타나도록 하되, 상기 명도값은 다양한 기준에 의해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스크린 영역(150)이란 강학상 스크린 상에 서로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이 유도됨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나눈 개념으로서, 상기 스크린 영역(150)들은 그 주변 경계가 명확하게 구별될 수도 있겠으나, 또는 상기 스크린 영역(150)들은 그 경계에서의 스크린 반사도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그라데이션 방식으로 도포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투사영역(A영역) 이외에 프레임에 상기 스크린을 거치시키는 데에 필요한 비투사영역(B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사영역이란, 투사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이 직접 반사될 수 있는 영역을 일컫는 것으로, 상기 투사영역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이 설정될 수 있으며, 각 스크린 영역에는 서로 다른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구현할 수 있는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비투사영역이란, 투사장치로부터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이 직접 닿지 않는 영역을 일컫는 것으로, 이러한 비투사영역은 상기 스크린이 프레임에 거치되기 위해 필요한 부수적인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크린이 프레임에 거치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린과 프레임을 스트랩으로 묶어 연결하게 되는데, 이 때 복수의 스트랩이 상기 비투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스크린(100)은 투사영역과 비투사영역이 가이드 라인(guide line) 또는 가이드 포인트(guide point)에 의해 구획될 수 있는데,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투사영역과 비투사영역이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가이드 라인 또는 가이드 포인트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라인 또는 가이드 포인트는 스크린이 프레임에 거치될 때 상기 스크린의 설치위치를 조정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즉, 스크린을 프레임에 거치하고자 할 때에 상기 가이드 라인 또는 가이드 포인트와 프레임의 장축 부재, 단축 부재를 나란히 일치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을 쉽게 프레임에 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100) 제조 방법은 우선 하나의 스크린(100) 상에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150)을 설정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즉, 종래에는 스크린(100) 상에 별도로 스크린 영역(150)을 설정하고자 하는 시도를 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스크린(100) 상에 영역별로 다양한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제1단계는 복수의 스크린 영역(150)을 설정(S510)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한편, 복수의 스크린 영역(150)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 때 상영관 내에서의 투사환경을 고려하여 스크린 영역(150)을 나눔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영관 내에서 스크린(100)의 설치위치에 따른 스크린 영역(150)별 명도, 투사장치(200)의 성능에 따른 스크린 영역(150)별 명도, 스크린(100) 주변 장치에 의해 드리워진 그림자에 따른 스크린 영역(150)별 명도 등 상영관 내에서의 투사환경에 따라 스크린 영역(150)이 나뉠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와 같이 향후 장축(110) 또는 단축(130)이 곡률을 가지는 난형의 스크린(100)으로 형상이 변형될 예정인 경우에는 투사장치(200)로부터 투사되는 컨텐츠 영상이 상기 스크린(100)에 반사되었을 때의 명도를 고려하여 스크린 영역(150)을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100) 상에 복수의 스크린 영역(150)이 나뉜 이후에는 각각의 스크린 영역(150)에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도료를 도포(S520)한다.
이 때 각 스크린 영역(150)에 도포되는 도료의 종류는 스크린 영역(150)의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수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복수의 스크린 영역(150) 중 일부는 동일한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도록 동일한 도료가 도포될 수 있는바, 각각 다른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는 도료의 종류는 스크린 영역(150)의 개수와 같거나 또는 적은 수이어야 한다.
한편, 앞서도 언급하였지만 상기 도료는 스크린 반사도 값을 결정짓는 물질로서, 각각의 도료는 동일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조성비가 다른 것, 또는 서로 다른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은 S520단계까지 수행한 이후 완료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100)은 그 구현 형태가 평면이 아닌 형상임을 고려할 때, S520단계 이후 상기 스크린(100)의 장축(110) 또는 단축(130) 방향으로 곡률이 생기도록 스크린(100)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단계(S5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 때 스크린(100)의 형태가 변형된다는 것의 의미는 스크린(100) 그 자체의 장축(110) 또는 단축(130)의 방향으로 곡률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나, 이 때 상기 곡률은 그러한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에 상기 스크린(100)이 거치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각 스크린 영역(150)에 도료가 도포되고, 형상까지 변형된 이후 완성된 스크린(100)은 스크린(100)을 거치하기 위한 프레임에 고정되고, 나아가 상기 스크린(100)이 고정된 프레임은 상영관 내 지지대(500)에 결합되어 상영관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은 우선 스크린(100)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단계(S610)로부터 시작된다. S610단계는 스크린(100)의 투사환경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스크린 반사도 값을 가지는 미완성 스크린(100)에 향후 투사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컨텐츠 영상, 즉 테스트 영상을 투사해 봄으로써 스크린(100)의 각 영역별로 컨텐츠 영상의 명도를 획득(S620)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 때 스크린(100)에 투사되는 영상은 바람직하게는 단색으로 이루어진 화면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스크린 영역(150)에서의 명도값을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S610 및 S620단계는 각각 다른 장치, 예를 들어 S610단계는 준비된 투사장치(200)를 제어하여 상기 스크린(100) 상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게 할 수 있으며, S620단계는 영상의 명도값을 측정하기 위한 독립된 검출장치를 활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S610 단계 및 S620단계는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기능 및 스크린(100)에 반사되는 영상의 명도값을 측정하는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 하나의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측정된 명도값은 표 1과 같이 해당 스크린(100)의 형상과 매칭되어 저장, 즉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크린(100)의 형상을 구별할 수 있는 장축 부재의 곡률, 단축 부재의 곡률 등의 파라미터와 상기 스크린에 테스트 영상을 투사해 본 결과 측정된 각 스크린 영역별 명도값(이 때 측정된 명도값의 단위는 fL) 등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향후 동일한 형상의 스크린에 대해서도 유사한 스크린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작업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아래 표 1에서 제1장축 부재, 제2 장축 부재란 각각 스크린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의 장축 부재를 구별하기 위한 표시임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밝기 분포(명도 fL) 제1장축 부재 : 제2장축 부재 곡률
단축 부재 곡률8,000 8,000 : 8,000
10.1 11.4 12.3 11.5
10.7 14.6 12.7 9
9.3 12.7 13 12
11 11.4 11.5 11
8.6점
10,000 : 10,000
10.1 11.5 12.4 11.9
10.4 12.6 12.7 11.2
11.4 12.7 12.8 12
11.5 11.2 12.1 11.1
9.2점
15,000 : 15,000
10.2 11.4 12.3 11.2
11.3 12.5 11.2 10.3
11.6 12.7 12.4 11.4
10.4 9.9 11.5 10.4
9.1점
단축 부재 곡률10,000 10,000 : 8,000
6.6 11.4 12.3 5.6
8.5 13.5 11.2 7.6
9.3 12.7 13 12
7.7 9.9 11.5 8.8
7.5점
8,000 : 10,000
3 6.7 8.8 3.4
4.1 13.7 12.4 7.4
2.6 8.6 7.8 4.1
5.1 3 3.1 4
6.6점
15,000 : 15,000
9.7 10.2 10 9.8
10.4 11.2 12.1 11.2
10.2 11.4 10.2 10.9
8.9 9.7 9.8 10
9.2점
단축 부재 곡률15,000 8,000 : 8,000
1.6 3.5 4.3 1
2.5 16 14 0.2
1 8.3 6.8 2.1
3.2 5 2.4 1.5
5.4점
10,000 : 10,000
3.6 4.7 2.7 1.8
2.7 14.2 11 2.8
1.4 16.3 8.4 2.6
2.4 5 6.4 1.4
5.3점
15,000 : 15,000
8.6 11.4 12.3 7.9
9.2 13.5 11.2 8.9
9.3 12.7 13 10
9.3 9.9 11.5 8.8
8.2점
한편, 스크린(100)에 의해 반사된 영상의 명도가 획득된 이후에는 상기 획득된 명도를 기준으로 스크린(100)을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150)으로 설정(S630)하며, 설정된 각 스크린 영역(150)에는 스크린 반사도 값이 다른 도료를 도포(S640)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0) 제조 방법은 제1실시예와 달리 미리 구현되어 있는 투사환경에서 시험적으로 스크린(100)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해 봄으로써 각 스크린 영역(150)에서의 명도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제조 방법은 스크린(100)의 형상, 재질 등 구현된 스크린(100)의 조건에 따라 각각 스크린 영역(150)별로 어떤 스크린 반사도 값의 도료가 도포되었는지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상영관에서 제1스크린을 설치할 때에 상기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라 각 스크린 영역(150)별로 적정 값의 스크린 반사도 값, 또는 컨텐츠 영상이 재생될 때의 명도값을 시뮬레이션에 의해 획득한 경우, 상기 스크린의 형상과 해당 스크린의 스크린 영역 별 스크린 반사도 값, 스크린 영역 별 도포한 도료의 조성물, 조성비, 컨텐츠 영상 재생 시 명도값 등을 하나의 세트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스크린의 경우 i) 스크린의 장축 길이 및 단축 길이 ii) 장축 부재의 곡률 또는 단축 부재의 곡률 iii) 상기 스크린 상에 설정된 스크린 영역별 적정 스크린 반사도 값 iv) 상기 스크린 영역별 스크린 반사도 값을 구현하기 위해 도포한 도료의 조성물, 조성비 v) 도료가 도포된 스크린에 컨텐츠 영상이 투사될 때의 명도값 등이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7)

  1.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스크린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장축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장축 방향 및 단축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각각 상이한 도료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되,
    상기 컨텐츠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 영역의 명도가 동일해지도록 각 스크린 영역에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도료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둘 이상의 동일한 조성물을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스크린 반사도 값(GAIN)에 영향을 미치는 조성물의 조성비율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각각 도포되는 도료는,
    서로 다른 조성물 조합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10. 스크린에 컨텐츠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장치; 및
    상기 투사장치로부터 투사된 컨텐츠 영상을 반사하는 스크린;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다른 스크린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 포함하는 상영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평면이 아닌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장축 또는 단축은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영관.
  13. 스크린 상에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스크린 반사도 값(GAIN)이 상이한 둘 이상의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상 설정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은 그 경계에서의 스크린 반사도 값이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장축 또는/및 단축 방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변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 제조 방법.
  16. 하나의 스크린 상에 설정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에 대한 명도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영역별 명도값이 상이한 경우, 스크린 전체 영역이 동일한 명도값을 가지도록 각 스크린 영역에 상이한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크린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명도값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에 테스트 영상을 투사하고, 상기 스크린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값을 검출하여 명도값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제조 방법.
PCT/KR2015/007353 2014-07-15 2015-07-15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WO20160103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6,465 US20170205700A1 (en) 2014-07-15 2015-07-15 Screen having two or more screen regions with differing screen reflectance values
CN201580037970.1A CN106537251A (zh) 2014-07-15 2015-07-15 具有屏幕反射率值不同的两个或更多个屏幕区域的屏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365 2014-07-15
KR10-2014-0089365 2014-07-15
KR10-2015-0100290 2015-07-15
KR1020150100290A KR20160008989A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365A1 true WO2016010365A1 (ko) 2016-01-21

Family

ID=5507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353 WO2016010365A1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1036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3361B2 (ja) * 2000-03-07 2005-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らに用いるプロジェクタ駆動回路
KR20080018616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비비텍 패턴이 나타나는 영사기용 전면 스크린
JP2008310260A (ja) * 2007-06-18 2008-12-25 Sony Corp 画像投射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スクリーン
JP2011048141A (ja) * 2009-08-27 2011-03-10 Seiko Epson Corp 反射スクリーン
KR20140061803A (ko) * 2012-11-1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3361B2 (ja) * 2000-03-07 2005-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スクリーン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これらに用いるプロジェクタ駆動回路
KR20080018616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비비텍 패턴이 나타나는 영사기용 전면 스크린
JP2008310260A (ja) * 2007-06-18 2008-12-25 Sony Corp 画像投射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スクリーン
JP2011048141A (ja) * 2009-08-27 2011-03-10 Seiko Epson Corp 反射スクリーン
KR20140061803A (ko) * 2012-11-14 2014-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5700A1 (en) Screen having two or more screen regions with differing screen reflectance values
WO2014010802A1 (en) Multi-projection system
DeFanti et al. The StarCAVE, a third-generation CAVE and virtual reality OptIPortal
US9769466B2 (en) Digital cinema projection method, optimization device and projection system
WO2014010942A1 (en) Multi-projection system
WO2014010940A1 (en) Imag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rojection
US20130100240A1 (en) Telepresence system, telepresence method, and video collection device
WO2015034134A1 (en) Multi-projection system using interior surface as projection surface
WO2014178511A1 (en) Multi-projection system with projection surface comprising non-solid material
CN102239689A (zh) 实况远程传送系统和装置
WO2017196089A2 (ko) 합성영상 표시 장치
WO2014208837A1 (en) Theater structure and multi-projection system using the same
WO2014193063A1 (en) Multi-projection system
CN105872311B (zh) 高动态范围画面切换方法及装置
WO2014178509A1 (en) Multi-projection system for extending visual element of main image
WO2015034141A1 (en) Simulated-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ated image of multi-projection system
WO2014077528A1 (en) Multi-projection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direction-changeable audience seats
WO2015030322A1 (en) Guide image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parameters
WO2016010365A1 (ko)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Borner et al. A family of single-user autostereoscopic displays with head-tracking capabilities
CN104202589A (zh) 多通道立体电影视频同步播放方法
US20120033049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aligning three dimensional camera systems
WO2016140415A1 (ko) 무안경 3d 영상을 이용한 적층형 홀로그램 구현 시스템
WO2012124929A2 (ko) 다자간 화상 회의 시스템 및 방법
CN219417981U (zh) 一种环幕投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12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00337

Country of ref document: TR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32646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125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