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0215A1 - 무잔량 튜브 용기 - Google Patents

무잔량 튜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0215A1
WO2016010215A1 PCT/KR2015/000329 KR2015000329W WO2016010215A1 WO 2016010215 A1 WO2016010215 A1 WO 2016010215A1 KR 2015000329 W KR2015000329 W KR 2015000329W WO 2016010215 A1 WO2016010215 A1 WO 201601021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be container
piston
inlet
content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03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주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이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4008879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6773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663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97463B1/ko
Application filed by 이영주 filed Critical 이영주
Publication of WO201601021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0215A1/ko

Links

Imag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less tub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completely discharge the contents remaining in the container wall or the tube container through the inlet even when the piston is installed in the tube container and most of the contents loaded in the tube container are consumed. To a residual tube container as much as possible.
  • a tubular container which is simple to use and inexpensive in manufacturing cost, is widely used a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detergents, cosmetics, foods, medicines, toothpastes, etc. in a gel or cream state.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order to meet the above-described demand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piston in a tube container and to remain in the container wall or the tube container even when most of the content loaded in the tube container is consumed. It is to provide a residual quantity tube vessel which is allowed to be completely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 an inlet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through an open tube container, and a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is inserted into an inner wall of the tube container.
  • the piston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and the lower shaft protrud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wer cover member for covering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e lower portion is an open tube container;
  • a piston inser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tube container to discharg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 a lower cover member which covers a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while a lower shaft protrud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is inserted;
  • the lower cover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sh rod for pushing up the pist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container.
  • the pisto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pist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tube container, and can be used by completely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tube container.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tents of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is pushed up the contents i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of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discharged.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 FIG.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iston, whose contents are pushed up, rises i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m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of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discharged.
  • an inlet through which contents are discharg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lower portion thereof is inserted through an open tube container, and a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is inserted into an inner wall of the tube container.
  • the piston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for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and the lower shaft protrud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is inserted and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wer cover member for covering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e lower portion is an open tube container;
  • a piston inser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tube container to discharg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 a lower cover member which covers a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while a lower shaft protruding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is inserted;
  • the lower cover member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ush rod for pushing up the pist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ube container.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whe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the contents
  •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ston is pushed up the contents i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content is discharged completely.
  •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portion 1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is discharge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e container 10, and the tube
  • the piston 2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container 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e container 10 and discharg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11, and the low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20.
  • the sub shaft 22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ver member 30 which covers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 the piston 20 is a cylindrical member whose outer periph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e container 10,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inlet of the tube container, the inlet 11
  • the upper projection 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lower shaft 22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 the lower cover member 30 is a disk-shaped member fix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portion 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protrusion, the cylindrical protrusion ( 31, an air hole 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0 to be closed when the lower shaft 22 of the piston 20 is inserted and to allow air to flow in when the lower shaft 22 is raised and removed. .
  • Reference numeral 40 is a container cap screwed to the inlet 11 of the tube container 10.
  • the contents that is, the viscous liquid detergent, cosmetics, food, medicine, toothpaste, etc. are fill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then the piston 2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 the assembled lower cover member 30 is fix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 the fixing is fixed by heat fusion. It is to fix the contents in the tube container 10 so as not to leak.
  • the piston 20 is gradually pushed up by pressing the lower part of the piston 20 from the outside of the tube container 20 or pushing the lower shaft 22 with a long and thin rod while continuing to use the contents.
  • the vacuum pressure in the vessel generated when the piston 20 is pushed up is released as air enters the air hole 32.
  • the piston vessel 10 is provided with a piston 20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and can be used by completely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tube vessel 10 to be economical as well as to clean the environment. It has a preserving effect.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assembly view showing whe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contents.
  • 7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iston is pushed up the contents in the residual amount tub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ision perspective view showing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of the remaining tube container is completely discharged.
  • the residual amount of tube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11 through which the contents are discharged is forme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e container 10 and the tube
  • the piston 20 is inserted through the lower opening of the container 1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e container 10 and discharg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to the inlet 11, and the low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20.
  • the lower cover member 30 which covers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and the lower cover member 30 are inserted through the lower part so that the piston 20 is inserted into the tube container ( It consists of a push rod 50 to push up to the top of 10).
  • the piston 20 is a cylindrical member whose outer periph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ube vessel 10, the upper surface is formed to match the shape of the inlet 11 of the tube vessel 10
  • the upper protrusion 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11, and the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lower shaft 22 protruding toward the center and the lower shaft at the center of the upper protrusion 21.
  • a seat coupling hole 23 through which the upper end of the push rod 50 inserted through the 22 is coupled is penetrated.
  •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eat coupling hole 23 has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haft 22.
  • the lower cover member 30 is a disk-shaped member fix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with a cylindrical protrusion portion 31 is formed in a cylindrical protrusion, the cylindrical protrusion ( 31, an air hole 3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iston 20 to be closed when the lower shaft 22 of the piston 20 is inserted and to allow air to flow in when the lower shaft 22 is raised and removed. .
  • the push rod 50 is a rod-shaped member, a circular seating protrusion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so as not to fall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of the piston 20 to the upper end thereof. 51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protrusion 51 protrude from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ush rod 50 to desc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to the bottom but not to the upper portion. Inverted triangular upper and middle projections 52 to prevent, and the handle projections 53 formed to pull or push up the push rod 50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rod 50.
  • Reference numeral 40 is a container cap screwed to the inlet 11 of the tube container 10.
  • the contents that is, the viscous liquid detergent, cosmetics, food, medicine, toothpaste, etc. are filled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then the piston 20, the lower part.
  • An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ssembly") in which the cover member 30 and the push rod 50 are assembled is fix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tube container 10.
  • the fixing is fixed by heat fusion. It is to fix the contents in the tube container 10 so as not to leak.
  • the lower shaft 22 of the piston 20 is inserted into the air hole 32 penetr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member 30, the lower handle projection of the push rod 50
  • the 53 is inserted into the lower shaft 22 through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of the piston 20, but not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ver member 30. That is, the reverse triangular middle portion protrusion 52 of the push rod 50 is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21 of the piston 20.
  • the push rod 50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by holding the handle protrusion 53 by hand as shown in FIG.
  • the upper seating protrusion 51 is lowered until it is seated in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of the piston 20.
  • the upper mounting protrusion 51 of the push rod 50 is seated in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and the reverse triangle upper protrusion 52 of the push rod 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coupling hole 23. It becomes a state.
  • the piston vessel 10 is provided with a piston 20 tha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and can be used by completely discharg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in the tube vessel 10 to be economical as well as to clean the environment. It has a preserving effect.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10)와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11)로 배출시키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튜브 용기 내에는 그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무잔량 튜브 용기
본 발명은 무잔량 튜브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 용기 내에 피스톤을 설치하여 튜브 용기에 적재된 내용물을 대부분 소비하였을 경우에도 용기 벽 또는 튜브 용기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입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2-000211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겔이나 크림 상태의 세제, 화장품, 식품, 의약품, 치약 등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사용이 간편하며 제조원가가 저렴한 튜브형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튜브형 용기에 내용물, 특히 겔 상태의 액상 내용물을 적재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내용물이 대부분 사용된 상태에서는 용기의 저부 또는 용기벽 등에 부착되어 있거나 거기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꺼내는 것이 곤란하였다. 물론 가위나 칼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용기를 절개한 후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고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에게 선호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 튜브용기에 적재된 내용물은 상당량이 사용되지 못한 채로 튜브 용기와 함께 폐기되는 실정이어서 경제적, 환경적인 견지에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그의 개선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튜브 용기 내에 피스톤을 설치하여 튜브 용기에 적재된 내용물을 대부분 소비하였을 경우에도 용기 벽 또는 튜브 용기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입구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한 무잔량 튜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와,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로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와;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로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와;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하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튜브 용기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푸시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잔량 튜브 용기에 의하면, 튜브 용기 내에는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서 내용물이 밀어 올리는 피스톤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무잔량 튜브 용기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킬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을 때를 조립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서 내용물이 밀어 올리는 피스톤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킬 때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와,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로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와;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로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와; 상기 하부 커버부재를 하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을 튜브 용기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푸시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서 내용물이 밀어 올리는 피스톤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킬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10)와,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11)로 배출시키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20)은 그 외주연이 상기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튜브 용기의 입구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측 돌설부(21)가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앙으로 돌설된 하부축(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커버부재(30)는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돌설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돌설부(31)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20)의 하부축(22)이 삽입되어 있을 때는 밀폐가 되고 하부축(22)이 상승하여 빠졌을 때는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에어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튜브 용기(10)의 입구(11)에 나사 결합되는 용기캡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튜브 용기(10)에 용기캡(40)을 닫은 상태에서, 하부 개구를 통해 내용물, 즉 점성이 있는 액상의 세제, 화장품, 식품, 의약품, 치약 등을 채운 후, 상부에 피스톤(20)이 조립된 하부 커버부재(30)를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은 열융착에 의해 고정한다.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 커버부재(30)를 하부 개구에 고정하게 되면,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게 되어 내용물의 량이 줄어들면 도 3과 같이 피스톤(20)의 하부축(22)을 위로 밀어 올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내용물을 사용하면서 피스톤(20)의 하부 부분을 튜브 용기(20)의 외측에서 누르거나 가늘고 긴 막대로 하부축(22)을 밀면 피스톤(20)이 서서히 밀려 올라가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20)이 밀려 올라가면서 생기는 용기 내의 진공 압력은 에어홀(3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해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은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밀어 올려진다(도 4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 용기(10) 내에는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20)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을 때를 조립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에서 내용물이 밀어 올리는 피스톤이 상승하는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킬 때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는,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10)와,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11)로 배출시키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30)와, 상기 하부 커버부재(30)를 하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을 튜브 용기(10)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푸시봉(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20)은 그 외주연이 상기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튜브 용기(10)의 입구(11)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측 돌설부(21)가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앙으로 돌설된 하부축(22)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돌설부(21)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축(22)을 관통하여 삽입된 푸시봉(50)의 상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 결합홀(23)이 관통되어 있다.
상기 안착 결합홀(23)의 내주연은 상기 하부축(22)의 내주연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부 커버부재(30)는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돌설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돌설부(31)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20)의 하부축(22)이 삽입되어 있을 때는 밀폐가 되고 하부축(22)이 상승하여 빠졌을 때는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에어홀(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봉(50)은 봉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단에 상기 피스톤(20)의 안착 결합홀(23)의 상부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 결합홀(23)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형상의 안착돌기(51)와, 상기 안착돌기(51)의 하부에서 푸시봉(50)의 외주연으로 상부 및 중간부에 돌설되어 상기 안착 결합홀(23)의 내면에서 하부로는 하강하지만 상부로는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삼각형 상부 및 중간부 돌기(52)와, 상기 푸시봉(50)의 하단에 푸시봉(50)을 하부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 돌기(53)로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튜브 용기(10)의 입구(11)에 나사 결합되는 용기캡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무잔량 튜브 용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튜브 용기(10)에 용기캡(40)을 닫은 상태에서, 하부 개구를 통해 내용물, 즉 점성이 있는 액상의 세제, 화장품, 식품, 의약품, 치약 등을 채운 후, 피스톤(20), 하부 커버부재(30) 및 푸시봉(50)이 조립된 조립체(이하, "조립체"라 한다)를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은 열융착에 의해 고정한다.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체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피스톤(20)의 하부축(22)을 하부커버부재(30)의 중앙에 관통된 에어홀(32)에 삽입하고, 푸시봉(50)의 하단 손잡이 돌기(53)를 피스톤(20)의 안착 결합홀(23)을 통해 하부축(22) 내로 삽입하되 하부커버부재(30)의 하면으로 돌설되지 않게 삽입한다. 즉, 피스톤(20)의 상측 돌설부(21) 내주면에 푸시봉(50)의 역삼각형 중간부 돌기(52)가 걸려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커버부재(30)를 하부 개구에 고정하게 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게 되어 내용물의 량이 줄어들면 도 7과 같이 푸시봉(50)을 손잡이 돌기(53)를 손으로 잡고 하부로 하강시키되, 푸시봉(50)의 상단 안착돌기(51)가 피스톤(20)의 안착 결합홀(23)에 안착될 때까지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안착 결합홀(23)에 푸시봉(50)의 상단 안착돌기(51)가 안착됨과 동시에 푸시봉(50)의 역삼각형 상부 돌기(52)가 안착 결합홀(23)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푸시봉(50)의 손잡이 돌기(53)를 잡고 위로 밀어 올리면, 피스톤(20)이 밀려 올라가게 되고, 동시에 피스톤(20)의 하부축(22)이 에어홀(32)에서 빠지게 된다. 피스톤(20)이 밀려 올라가면서 생기는 용기 내의 진공 압력은 에어홀(32)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해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피스톤(20)을 내용물이 완전히 소진될 때까지 푸시봉(50)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도 8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 용기(10) 내에는 내벽면에 밀착되어 상승하는 피스톤(20)이 설치되어 있어, 튜브 용기(10) 내의 내용물 잔량을 완전히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환경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Claims (4)

  1.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10)와;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11)로 배출시키는 피스톤(20)으로 이루어진 무잔량 튜브 용기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20)은 그 외주연이 상기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튜브 용기의 입구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입구(1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원형의 돌설부(21)가 형성되고, 하부면은 중앙으로 돌설된 하부축(22)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커버부재(30)는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에 고정된 원판 형상의 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설된 원통형의 돌설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의 돌설부(31)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피스톤(20)의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하부축(22)이 상승하여 빠졌을 때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에어홀(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튜브 용기.
  2. 상부에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구된 튜브 용기(10)와;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되어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의 잔량을 입구(11)로 배출시키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의 하부로 돌설된 하부축(22)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튜브 용기(10)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부재(30)와;
    상기 하부 커버부재(30)를 하부에서 관통 삽입되어 상기 피스톤(20)을 튜브 용기(10)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푸시봉(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튜브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0)은 그 외주연이 상기 튜브 용기(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부면은 상기 튜브 용기(10)의 입구(11)의 형상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입구(1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측 돌설부(21)가 형성되며, 하부면은 중앙으로 돌설된 하부축(22)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돌설부(21)의 중앙에는 상기 하부축(22)을 관통하여 삽입된 푸시봉(50)의 상단이 안착 결합되는 안착 결합홀(23)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튜브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봉(40)은 봉 형상의 부재로서, 그 상단에 상기 피스톤(20)의 안착 결합홀(23)의 상부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안착 결합홀(23)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형상의 안착돌기(51)와;
    상기 안착돌기(51)의 하부에서 푸시봉(50)의 외주연으로 상부 및 중간부에 돌설되어 상기 안착 결합홀(23)의 내면에서 하부로는 하강하지만 상부로는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삼각형 상부 및 중간부 돌기(52)와;
    상기 푸시봉(50)의 하단에 푸시봉(50)을 하부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형성된 손잡이 돌기(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잔량 튜브 용기.
PCT/KR2015/000329 2014-07-15 2015-01-13 무잔량 튜브 용기 WO201601021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790A KR101467736B1 (ko) 2014-07-15 2014-07-15 무잔량 튜브 용기
KR10-2014-0088790 2014-07-15
KR10-2014-0166332 2014-11-26
KR1020140166332A KR101597463B1 (ko) 2014-11-26 2014-11-26 무잔량 튜브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0215A1 true WO2016010215A1 (ko) 2016-01-21

Family

ID=5507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0329 WO2016010215A1 (ko) 2014-07-15 2015-01-13 무잔량 튜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601021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830A (ko) * 2003-06-20 2004-12-31 정충현 페이스트물질을 다량 수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토출용기
KR200393325Y1 (ko) * 2005-05-27 2005-08-22 조주은 다용도 용기
KR101155400B1 (ko) * 2011-09-26 2012-06-20 임병대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20130001089U (ko) * 2011-08-08 2013-02-18 김승윤 치약 튜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830A (ko) * 2003-06-20 2004-12-31 정충현 페이스트물질을 다량 수용할 수 있는 페이스트물질토출용기
KR200393325Y1 (ko) * 2005-05-27 2005-08-22 조주은 다용도 용기
KR20130001089U (ko) * 2011-08-08 2013-02-18 김승윤 치약 튜브
KR101155400B1 (ko) * 2011-09-26 2012-06-20 임병대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434A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8135806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US8556826B2 (en) Fecal specimen collector
WO2014112737A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3151244A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N113692382B (zh) 双重容器
ES2926910T3 (es) Accesorio para un recipiente flexible
WO2015164124A1 (en) Disinfecting wipes dispenser
WO2017047956A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US11317695B2 (en) Cosmetic dropper
CN110406809A (zh) 奶粉盒
CA2062956A1 (en) Measuring Cap
JP5813580B2 (ja) 二重容器
WO2018038320A1 (ko) 펌프 용기
WO2016010215A1 (ko) 무잔량 튜브 용기
KR101864187B1 (ko)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JP2011235941A (ja) 蓋装置
WO2011083916A2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467736B1 (ko) 무잔량 튜브 용기
CN200988637Y (zh) 新式瓶盖
WO2011019217A2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WO2021215675A1 (ko) 내용물 용기
KR20120103894A (ko) 자동 마개
KR200488231Y1 (ko)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CN211825164U (zh) 一种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28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28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