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82971A1 -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and bio sensor system - Google Patents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and bio sens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82971A1
WO2015182971A1 PCT/KR2015/005270 KR2015005270W WO2015182971A1 WO 2015182971 A1 WO2015182971 A1 WO 2015182971A1 KR 2015005270 W KR2015005270 W KR 2015005270W WO 2015182971 A1 WO2015182971 A1 WO 201518297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iomaterial
sensing
drain electrode
source electrode
flui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5270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송윤흡
김규범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518297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8297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A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comprises: a substrate; an oxide film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disposed so as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a reaction material, for sensing a biomaterial, fixed on a sensing region generated on the oxide film on the basis of the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a fluid pipe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wherein the fluid pipe is configured to comprise at least one refraction part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biomaterial which flows into the fluid pipe.

Description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센서 시스템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and Biosensor System
본 발명은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센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를 지나가는 유체관이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에 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nd a biosensor system, wherein a fluid tube passing between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and thus a technology for a biosensor detecting a biomaterial.
기존의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생체 물질의 크기에 따라 생체 물질을 계수한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0573621호를 살펴보면, 생체 물질 중 특정 세포만을 통과시키는 미세격자 패턴을 바이오 센서가 포함함으로써, 바이오 센서가 미세격자 패턴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특정 세포를 계수할 수 있다.Conventional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s count biomaterial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iomaterial. For example, referr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73621, the biosensor includes a microlattice pattern that passes only specific cells of a biological material, such that the biosensor can count specific cells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microlattice pattern. have.
그러나, 기존의 바이오 센서는 생체 물질 내에 비슷한 크기의 세포들이 존재하는 경우, 비슷한 크기의 세포들 중 특정 세포만을 계수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슷한 크기의 세포들 중 특정 세포만을 계수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화학 반응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biosensors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unt only specific cells among cells of similar sizes when cells of similar sizes exist in the biological material. In addition, to count only certain cells among cells of similar siz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additional chemical reaction must be performed.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기판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 변화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안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technique for measuring a biomaterial,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by measuring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nd a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기판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etect a biomaterial by measuring a capacitance change between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nd a substrat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갖는 유체관을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ing a fluid tube having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관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 중 반응 물질에 센싱되는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selectively capture a specific material sensed by a reactant among biomaterials flowing into a fluid tu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기판;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산화막;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산화막에 생성된 센싱 영역 상에 고정되어, 생체 물질을 센싱하는 반응 물질; 및 상기 센싱 영역을 통과하도록 생성되는 유체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관은 상기 유체관에 유입되는 상기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Biological material detection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An oxide film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A reaction material fixed on a sensing region generated in the oxide film based on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o sense a biological material; And a fluid tube generated to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wherein the fluid tube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biological material flowing into the fluid tube.
상기 유체관은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luid tube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상기 유체관은 복수 개가 포함되는 경우, 병렬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fluid tubes are included, they may be generated in parallel.
상기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을 덮도록 적층되는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layer stacked to cover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상기 유체관에는 상기 생체 물질과 상기 반응 물질 사이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이 유입되어, 기준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생체 물질이 유입되어, 센싱 커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A reference solution for detect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logical material and the reactant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tube, a reference capacitance is formed, and the biological material for detect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s introduced. Sensing capacitance can be formed.
상기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상기 유체관으로 상기 생체 물질을 유입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상기 생체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ncludes a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biomaterial into the fluid tube;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eactive material and the biological material sensed are discharged.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생체 물질과 상기 반응 물질 사이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을 유입시키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상기 기준 용액이 배출될 수 있다.The supply unit introduces a reference solution for sen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reactant, and the discharge port may discharge the reference solution sensed with the reactant.
상기 산화막은 SiO2, TiO2, Si3 N4, Al2O3, CeO2, HfO2, La2O3, Ta2O5, Y2O3, ZrO2, ZrAlO, HfAlO, ZrTiO4, SnTiO4, 또는 Sr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oxide film is SiO 2 , TiO 2 , Si 3 N 4 , Al 2 O 3 , CeO 2 , HfO 2 , La 2 O 3 , Ta 2 O 5 , Y 2 O 3 , ZrO 2 , ZrAlO, HfAlO, ZrTiO 4 ,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SnTiO 4 , or SrTiO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판의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산화막에 생성된 센싱 영역 상에 생체 물질을 센싱하는 반응 물질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영역을 통과하고,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Forming an oxid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osing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Fixing a reaction material for sensing a biomaterial on a sensing region generated in the oxide film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generating a fluid passage through the sensing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logical material.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체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Generating the fluid conduit comprises: gene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condu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gene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tube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체관을 병렬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fluid pipe may include generating the fluid pipes in parallel when a plurality of fluid pipes are included.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을 덮도록 절연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osing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part from each other may further include stacking an insulating layer to cover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상기 반응 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절연막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식각하여 상기 산화막에 상기 센싱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of the reaction material may include etching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based on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o generate the sensing region in the oxide layer.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유체관이 음각으로 식각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l; PDMS)층을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상기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fluid pipe may include attaching a polydimethylsiloxane (PDMS) layer in which the fluid pipe is etched to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기판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detect a biomaterial by measuring a capacitance change between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and a substrat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갖는 유체관을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ncluding a fluid tube having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material.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체관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 중 반응 물질에 센싱되는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포획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바이오 센서 시스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 biosensor syste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selectively capture a specific material sensed by a reactant among biomaterials flowing into a fluid tu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FIG.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에서 기준 커패시턴스 및 센싱 커패시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reference capacitance and sensing capacitance in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4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5A to 5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Also,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기판(110), 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산화막(120), 기판(110)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 반응 물질(140) 및 반응 물질(140)과 센싱되는(감지 대상이 되는) 생체 물질이 유입되는 유체관(1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10, the oxide film 1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110.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the reaction material 140, and the fluid pipe 150 into which the biological material sensed (to be detected) and the reactant material 140 are introduced.
여기서, 기판(110)은 실리콘 기판으로서, n형 또는 p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산화티탄,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ubstrate 110 may be a silicon substrate, and may be an n-type or p-type silicon substr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itanium oxide, acrylic resin, epoxy resin or polyimide.
산화막(120)은 저유전율을 가지는 유전 물질로 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화막(120)은 0-6의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산화막(120)은 SiO2, TiO2, Si3 N4, Al2O3, CeO2, HfO2, La2O3, Ta2O5, Y2O3, ZrO2, ZrAlO, HfAlO, ZrTiO4, SnTiO4, 또는 Sr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The oxide film 12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10 with a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For example, the oxide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0-6. For more specific example, the oxide film 120 is SiO 2 , TiO 2 , Si 3 N 4 , Al 2 O 3 , CeO 2 , HfO 2 , La 2 O 3 , Ta 2 O 5 , Y 2 O 3 , ZrO 2 , ZrAlO, HfAlO, ZrTiO 4 , SnTiO 4 , or SrTiO 3 .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은 산화막(120)이 형성된 기판(110) 상에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금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은 Al, Ag, Au, Cu 또는 W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이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프린징 효과(fringing effect)에 의해 근방의 기판(110)에 프린징 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은 생체 물질과의 접촉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도전성을 가지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 사이의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oxide film 120 is formed. In this case,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f a metal or an alloy so that a voltage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Al, Ag, Au, Cu, or W. As such, since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ar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when a voltage is applied, a fringing field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in the vicinity by a fringing effect. Therefore, since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to which the voltage is applied are free from contact with the biological material,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conductivit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gate electrode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반응 물질(140)은 산화막(120)에 생성된 센싱 영역(121) 상에 고정되어 생체 물질을 센싱한다. 이 때, 반응 물질(140)은 생체 물질 중 특정 물질만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물질(140)은 생체 물질에 포함되는 특정 세포와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반응 물질(140)은 생체 물질에 포함되는 암 세포와 결합하는 항체일 수 있다.The reaction material 140 is fixed on the sensing region 121 generated in the oxide film 120 to sense the biomaterial. At this time, the reaction material 140 may sense only a specific material of the biological material. For example, the reactant 140 may be an antibody that binds to specific cells included in the biological material.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reactant 140 may be an antibody that binds to cancer cells included in the biological material.
또한, 반응 물질(140)이 패턴을 가짐으로써, 반응 물질(1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센싱 영역(121)은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센싱 영역(121) 중 반응 물질(140)이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면적이 센싱 커패시턴스의 변화 비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응 물질(140)은 센싱 커패시턴스의 변화 비율을 고려하여 패턴을 가지면서 센싱 영역(121)에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actant 140 has a pattern, the sensing region 121 positioned below the reactant 140 may be exposed. In this case, since the area of the sensing region 121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reactant 140 is fixed affects the rate of change of the sensing capacitance, the reactant 140 may consider the change rate of the sensing capaci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pattern of change. It may be fixed to the sensing area 121 having a.
여기서, 센싱 영역(121)은 산화막(120) 상에 반응 물질(140)이 고정되는 영역으로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영역(121)은 산화막(120) 중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의 사이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sensing region 121 is a region in which the reactant 140 is fixed on the oxide film 120 an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For example, the sensing region 121 may be determined as an area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of the oxide film 120.
유체관(150)은 센싱 영역(121)을 통과하도록 생성된다. 예를 들어, 유체관(150)은 미리 설정된 패턴이 음각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l; PDMS)층(160)을 산화막(120)이 형성된 기판(110)에 부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패턴은 유체관(150)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fluid pipe 150 is created to pass through the sensing area 121. For example, the fluid tube 150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polydimethylsiloxane (PDMS) layer 160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is engraved to the substrate 110 on which the oxide film 120 is formed. In this case, the preset patter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luid pipe 150.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관(150)은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 및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In particular, the fluid pipe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ve portion in order to control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logical material,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이 때, 유체관(150)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 사이에는 절연막(170)이 개재되기 때문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은 유체관(150)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부식될 위험이 적다.At this time, since the insulating film 170 is interposed between the fluid pipe 150 and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130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iological material flowing into the fluid pipe 150. There is no risk of corrosion.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유체관(150)에 기준 용액이 유입되거나, 생체 물질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커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detect the biomaterial by measuring a capacitance change generated by the reference solution or the biomaterial being introduced into the fluid tube 15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유체관(150)으로 생체 물질을 유입시키는 공급부 및 반응 물질(140)과 센싱된 생체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공급부는 생체 물질과 반응 물질(140) 사이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을 유입시킬 수 있고, 배출구는 반응 물질(140)과 센싱된 기준 용액이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further includes a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biomaterial into the fluid pipe 150 and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eactant material 140 and the sensed biomaterial are discharged. Sensor systems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supply unit may introduce a reference solution for sen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reactant 140, and the outlet may discharge the reactant 140 and the sensed reference solution.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은 유체관(150)에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이 흐르도록 공급부로부터 배출구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생체 물질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고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은 기판(110), 산화막(120),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0), 반응 물질(140), 유체관(150), 공급부, 배출구, 펌프 및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system controls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biomaterial and the pump for supplying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rom the supply portion to the outlet so that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low in the fluid pipe 150, and detects the biomaterial.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In this cas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includes a substrate 110, an oxide film 120,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130, a reactant material 140, a fluid pipe 150, a supply part, an outlet port, a pump, and a controller. Can b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FIG. 2 is a top view illustrating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llustrated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에서 반응 물질이 고정되는 센싱 영역(210)은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산화막(220) 중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 사이 영역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싱 영역(210)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sensing region 210 in which a reactant is fixed is disposed between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230 of an oxide film 220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a substrate. Can be created in the area. Therefore, the sensing region 2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23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유체관(240)은 센싱 영역(210)을 통과하도록 생성된다. 따라서, 유체관(240)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은 센싱 영역(210)에 고정된 반응 물질과 반응하여, 전기화학적 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이와 같이 발생된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한 커패시턴스 변화에 기초하여, 생체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The fluid tube 240 is created to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210. Accordingly, the biomaterial flowing into the fluid tube 240 may react with the reactant fixed in the sensing region 210 to generate an electrochemical reac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biomaterial based on the capacitance change caus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관(240)은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241)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유체관(240)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2) 및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3)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241)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관(240)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2) 및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3)을 포함하도록 ‘ㄱ’자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유체관(240)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을 감싸 안도록 지그재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체관(240)은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241)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luid pipe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241 to control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logical material. In other words, the fluid tube 240 includes at least a portion 242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230 and at least a portion 243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drain electrode 230. By being formed to include,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ve portion 241. For example, the fluid tube 240 includes at least a portion 242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230 and at least a portion 243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230. )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letter 'b' is repeated.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luid tube 240 may be formed in a zigzag form to surround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230. However, the fluid tube 240 is not limited to or limited to such a structur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t least one refractive portion 241.
따라서, 유체관(240)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진입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주변 노이즈가 억제되어 생체 물질의 감지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관(240)으로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는 생체 물질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3)을 지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2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242)을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 물질이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241)을 지남으로써, 낮춰질 수 있다.Therefore, the entry speed of the biomaterial flowing into the fluid tube 240 may be controlled, and ambient noise may be suppressed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biomaterial. For example, the rate of introduction of the biomaterial into the fluid tube 240 passes through at least a portion 243 in which the biomaterial is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230. In the course of passing at least a portion 242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230, the biomaterial may be lowered by passing at least one refractive portion 241.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유체관(240)으로 생체 물질을 유입시키는 공급부(244) 및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생체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245)를 더 포함함으로써,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공급부(244)는 생체 물질과 반응 물질 사이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구(245)는 반응 물질과 센싱된 기준 용액이 배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공급부(244) 및 배출구(245)가 유체관(240)에 대해 하나씩 형성된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유체관(240)에 대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244)는 하나의 유체관(240)에 대해 기준 용액이 유입되는 제1 공급부 및 생체 물질이 공급되는 제2 공급부로서, 2개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구(245) 역시 마찬가지로 하나의 유체관(240)에 대해 2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further includes a supply unit 244 for introducing the biomaterial into the fluid tube 240 and an outlet 245 for discharging the reactant and the sensed biomaterial, thereby providing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supply unit 244 may introduce a reference solution for detect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logical material and the reactive material. In addition, the outlet 245 may discharge the reactant and the sensed reference solution. In the drawings, the supply unit 244 and the discharge port 245 are shown as an embodiment formed one by one for the fluid pipe 2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a plurality of the fluid pipe 240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supply part 244 is a first supply part into which the reference solution is introduced and a second supply part into which the biological material is supplied to one fluid pipe 240, and two of the supply parts 244 may be formed. Two may be formed for one fluid tube 240.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은 유체관(240)에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이 흐르도록 공급부(244)로부터 배출구(245)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생체 물질 또는 기준 용액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고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further includes a pump for supplying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rom the supply part 244 to the outlet 245 so that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low in the fluid tube 240. It may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biological material or reference solution and detect the biological material.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에서 기준 커패시턴스 및 센싱 커패시턴스를 나타낸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reference capacitance and sensing capacitance in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유체관(310)에 기준 용액이 유입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3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a)와 같이, 센싱 영역(33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기준 커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용액은 반응 물질과 생체 물질 중 센싱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특정 물질이 결합에 따라 반응 물질의 전하에 충분한 드바이 길이를 제공할 수 있는 낮은 이온 농도의 버퍼 용액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a reference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fluid tube 310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320,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s located in the sensing region 330 as shown in (a). The current flowing can be measured to form the reference capacitance. In this case, the reference solution may be a buffer solution having a low ion concent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sufficient length for the charge of the reactant depending on the binding of the specific substance to be sensed among the reactant and the biomaterial.
반면에, 유체관(310)에 생체 물질(340)이 유입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320)에 전압이 인가되면,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b)와 같이, 센싱 영역(33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센싱 커패시턴스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iomaterial 340 flows into the fluid tube 310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320,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s applied to the sensing region 330 as shown in (b). The sensing current can be measured to form the sensing capacitance.
따라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기준 커패시턴스와 센싱 커패시턴스를 이용하여, 생체 물질(340)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기준 커패시턴스로부터 센싱 커패시턴스가 변화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생체 물질(340)을 계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커패시턴스는 센싱 영역(330)이 노출된 영역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반응 물질에 생체 물질(340) 중 특정 물질이 포획되어 센싱 영역(330)이 차폐되면,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센싱 커패시턴스의 정도가 기준 커패시턴스와 비교됨으로써, 생체 물질(340) 중 특정 물질의 계수가 수행될 수 있다.Therefor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y detect the biomaterial 340 by using the reference capacitance and the sensing capacitance. Specifically,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y count the biomaterial 340 by measuring the degree of change in the sensing capacitance from the reference capacitance. For example, since the sensing capacitance is excellent in the region in which the sensing region 330 is exposed, a change may occur when a specific material of the biological material 340 is captured in the reaction material and the sensing region 330 is shielded. As the degree of the sensing capacitance thus changed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capacitance, the count of a specific material of the biological material 340 may be performed.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센싱 영역(330)에 고정된 반응 물질을 이용하여, 생체 물질(340) 중 반응 물질에 반응하는 특정 물질만을 포획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y capture only a specific material in response to the reactant in the biomaterial 340 using the reactant fixed in the sensing region 33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4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에는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싱 영역(430, 440)도 복수 개가 형성되기 때문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450, 460) 역시 복수 개가 필요하다.Referring to FIG. 4,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luid tubes 410 and 420. In this case, since a plurality of sensing regions 430 and 440 are formed, a plurality of source and drain electrodes 450 and 460 are also required.
예를 들어, 제1 유체관(410)은 제1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450) 사이의 제1 센싱 영역(430)을 통과하도록 생성될 수 있고, 제2 유체관(420)은 제2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460) 사이의 제2 센싱 영역(440)을 통과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은 병렬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luid tube 410 may be created to pass through the first sensing region 430 between the first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450, and the second fluid tube 420 may be a second source. It may be generat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sensing region 440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46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and 420 may be generated in parallel.
병렬 형태로 생성된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 역시,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411, 421)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렬 형태로 생성된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 각각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450, 46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412, 422) 및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450, 46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부분(413, 423)을 포함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411, 421)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uid tubes 410 and 420 generated in parallel may also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411 and 421 in order to adjust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logica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have. For example,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and 420 generated in parallel form at least a portion 412 and 422 and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450 and 460. It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portion 413, 423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450 and 460, and thus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ve portion 411 and 421.
따라서, 병렬 형태로 생성된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에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진입 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주변 노이즈가 억제되어 생체 물질의 감지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Therefore, the entry speed of the biomaterial flowing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and 420 generated in parallel can be controlled, and ambient noise can be suppressed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biomaterial.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는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으로 생체 물질을 유입시키는 공급부 및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생체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함으로써,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도면에는 공급부 및 배출구가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에 대해 각각 형성된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가 하나의 공급부 및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further includes a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biomaterial into the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and 420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actant and the sensed biomaterial are discharged, thereby forming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Can be. In this case, the supply and outlet ports are shown in the embodiment form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420), but is not limited to this, but a plurality of fluid pipes (410, 420) is one supply and It may be formed to include one outlet.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은 복수 개의 유체관(410, 420)에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이 흐르도록 각각의 공급부로부터 배출구로 생체 물질 및 기준 용액을 공급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생체 물질 또는 기준 용액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고, 생체 물질을 감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further includes a pump for supplying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rom each supply to the outlet so that the biomaterial and the reference solution flow in the plurality of fluid tubes 410 and 420. It may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flow and discharge of the biological material or reference solution, and detects the biological material.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5A to 5B ar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기판(510)의 전면에 산화막(520)을 형성한다. 여기서, 기판(510)은 실리콘 기판으로서, n형 또는 p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산화티탄,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또는 폴리이미드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i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 oxide film 520 is formed on an entire surface of a substrate 510. Here, the substrate 510 may be a silicon substrate, and may be an n-type or p-type silicon substrat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titanium oxide, acrylic resin, epoxy resin or polyimide.
산화막(520)은 0-6의 유전 상수를 갖는 저유전율의 유전 물질로, SiO2, TiO2, Si3 N4, Al2O3, CeO2, HfO2, La2O3, Ta2O5, Y2O3, ZrO2, ZrAlO, HfAlO, ZrTiO4, SnTiO4, 또는 Sr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산화막(520)은 스퍼터링법(sputtering), 전자빔 증착법(e-beam evaporation), 열증착법(Thermal evaporation), 펄스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 또는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hemcal Vapor Deposition) 등의 통상의 증착법이 이용되어 증착될 수 있다.The oxide film 520 is a low dielectric constant dielectric material having a dielectric constant of 0-6. SiO 2 , TiO 2 , Si 3 N 4 , Al 2 O 3 , CeO 2 , HfO 2 , La 2 O 3 , Ta 2 O 5 , Y 2 O 3 , ZrO 2 , ZrAlO, HfAlO, ZrTiO 4 , SnTiO 4 , or SrTiO 3 . Here, the oxide film 520 may be formed by sputtering, e-beam evaporation, thermal evaporation, pulsed laser deposition, or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Conventional deposition methods such as may be used to deposit.
이어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산화막(520)이 형성된 기판(510)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한다.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은 Al, Ag, Au, Cu 또는 W 등의 금속 또는 합금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은 스퍼터링법 또는 열증착법 등의 통상의 증착법이 이용되어 산화막(520)이 형성된 기판(510) 상에 증착될 수 있다.Subsequently, i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510 on which the oxide film 520 is formed.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f a metal or an alloy such as Al, Ag, Au, Cu, or W. Here,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may be deposited on the substrate 510 on which the oxide film 520 is formed using a conventional deposition method such as sputtering or thermal deposition.
이 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을 각각 덮도록 절연막(540)을 적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이 배치된 산화막(520)의 전면에 절연막(540)을 적층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산화막(520)의 전면에 적층된 절연막(540) 중 적어도 일부 영역(541)을 식각함으로써,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을 각각 덮도록 절연막(540)을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산화막(520)의 전면에 적층된 절연막(540) 중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의 사이 영역(541)을 식각함으로써, 산화막(520) 상에 센싱 영역(521)을 생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may stack the insulating layer 540 to cove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respectively. Specifically, i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an insulating film 540 is stack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xide film 520 on which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are disposed, an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By etch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film 540 stack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oxide film 520, the insulating film 540 may be stacked to cove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etches the sensing region on the oxide film 520 by etching the region 541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of the insulating film 540 stac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xide film 520. 521 may be generated.
도 5b를 참조하면,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의 위치에 기초하여 산화막(520)에 형성된 센싱 영역(521) 상에 생체 물질을 센싱하는 반응 물질(550)을 고정한다. 이 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반응 물질이 고정되는 센싱 영역(521)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 사이 영역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센싱 영역(521)의 위치에 기초하여 반응 물질(550)을 고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includes a reaction material 550 that senses a biomaterial on a sensing region 521 formed in the oxide film 520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Fix it. At this tim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determines the sensing region 521 to which the reactant is fixed as the region between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and based on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sensing region 521, the reactant ( 550 can be fixed.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응 물질은 나노 템플레이트(nano template)를 통해 센싱 영역(52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나노 템플레이트는 블록 공중합체의 자기 조립을 이용하여 산화막(520)이 형성된 기판(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나노 템플레이트가 형성된 기판(510)을 반응 물질이 함유된 용액 내에 배치하여, 원하는 영역에 반응 물질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actant may be fixed on the sensing region 521 through a nano template. The nano template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510 on which the oxide film 520 is formed using self-assembly of a block copolymer. Subsequently, the substrate 510 on which the nano-template is formed may be disposed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reactant to selectively attach the reactant to a desired region.
그 후,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센싱 영역(521)을 통과하고,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유체관(560)을 생성한다.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then passes through the sensing region 521 and creates a fluid tube 560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material.
이 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유체관(560)이 음각으로 식각된 폴리디메틸실록산층(570)을 산화막(520)이 형성된 기판(510)에 부착함으로써, 유체관(560)을 생성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유체관(560)이 양각으로 식각된 폴리머 몰드(polymer mold)를 형성하고, 폴리머 몰드에 폴리디메틸실록산 물질을 증착하여 컬링(curing)함으로써, 유체관(560)이 음각으로 식각된 폴리디메틸실록산층(570)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이와 같이 생성된 폴리디메틸실록산층(570)을 이용하여 유체관(560)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generates the fluid tube 560 by attaching the polydimethylsiloxane layer 570 in which the fluid tube 560 is etched intaglio to the substrate 510 on which the oxide film 520 is formed. can d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forms a polymer mold in which the fluid tube 560 is embossed by embossing, and deposits and curls a polydimethylsiloxane material on the polymer mold. Fluid tube 560 may produce a polydimethylsiloxane layer 570 that is etched intaglio. Accordingly,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may generate the fluid tube 560 using the polydimethylsiloxane layer 570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특히,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유체관(560)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53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유체관(560)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함으로써, 유체관(560)이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generat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conduit 56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and the fluid conduit in a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530. By cre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560, the fluid tube 560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controlling the rate of inflow of the biological material that is introduced therein.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복수 개의 유체관(560)을 병렬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may form a plurality of fluid tubes 560 in parallel.
또한,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시스템은 공급부, 배출구, 펌프 및 제어부를 더 생성함으로써,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시스템을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manufacturing system may further generate a supply part, an outlet, a pump, and a controller, thereby manufacturing 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system.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 / 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s, structures, devices, circuits,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at follow.

Claims (14)

  1. 기판; Board;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산화막; An oxide film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산화막에 생성된 센싱 영역 상에 고정되어, 생체 물질을 센싱하는 반응 물질; 및 A reaction material fixed on a sensing region generated in the oxide film based on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o sense a biological material; And
    상기 센싱 영역을 통과하도록 생성되는 유체관A fluid tube created to pass through the sensing region
    을 포함하고, Including,
    상기 유체관은 The fluid tube is
    상기 유체관에 유입되는 상기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And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biomaterial flowing into the fluid tube.
  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관은 The fluid tube is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 및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생성된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And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at least a portion gener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3.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관은 The fluid tube is
    복수 개가 포함되는 경우, 병렬 형태로 생성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is generated in a parallel form when a plurality is included.
  4.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을 덮도록 적층되는 절연막An insulating layer stacked to cover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을 더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further comprising.
  5.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관에는 The fluid tube
    상기 생체 물질과 상기 반응 물질 사이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이 유입되어, 기준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형성되고, A reference solution for sen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reactant is introduced to form a reference capacitance,
    상기 전기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생체 물질이 유입되어, 센싱 커패시턴스가 형성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in which the biomaterial for sens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is introduced to form a sensing capacitance.
  6.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유체관으로 상기 생체 물질을 유입시키는 공급부; 및 A supply unit for introducing the biological material into the fluid tube; And
    상기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상기 생체 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An outlet through which the reactant and the biological material sensed are discharged
    를 더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further comprising.
  7.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공급부는 The supply unit
    상기 생체 물질과 상기 반응 물질 사이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 용액을 유입시키고, Introducing a reference solution for sen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biomaterial and the reactant,
    상기 배출구는 The outlet is
    상기 반응 물질과 센싱된 상기 기준 용액이 배출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The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for discharging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reference solution sensed.
  8.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산화막은 The oxide film is
    SiO_2, TiO_2, Si_3 N_4, Al_2 O_3, CeO_2, HfO_2, La_2 O_3, Ta_2 O_5, Y_2 O_3, ZrO_2, ZrAlO, HfAlO, ZrTiO_4, SnTiO_4, 또는 SrTiO_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A biomaterial sensing biosensor formed of at least one of SiO_2, TiO_2, Si_3 N_4, Al_2 O_3, CeO_2, HfO_2, La_2 O_3, Ta_2 O_5, Y_2 O_3, ZrO_2, ZrAlO, HfAlO, ZrTiO_4, SnTiO_4, or SrTiO_3.
  9. 기판의 전면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Forming an oxide film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 Disposing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film is formed;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산화막에 생성된 센싱 영역 상에 생체 물질을 센싱하는 반응 물질을 고정하는 단계; 및 Fixing a reaction material for sensing a biomaterial on a sensing region generated in the oxide film based on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상기 센싱 영역을 통과하고, 유입되는 생체 물질의 유입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굴절 부분을 포함하도록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Creating a fluid passage through the sensing reg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refract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inflow rate of the incoming biological material
    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10.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Generating the fluid tube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유체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Cre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tub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And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기 유체관 중 적어도 일부분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luid conduit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11.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Generating the fluid tube
    복수 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유체관을 병렬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plurality of fluid tubes in parallel when a plurality of them are included;
    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12.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을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Positioning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 각각을 덮도록 절연막을 적층하는 단계Stacking an insulating layer to cover each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를 더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13.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반응 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는 Fixing the reaction material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절연막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식각하여 상기 산화막에 상기 센싱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Etching th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based on positions of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o generate the sensing region in the oxide layer
    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14.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체관을 생성하는 단계는 Generating the fluid tube
    상기 유체관이 음각으로 식각된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l; PDMS)층을 상기 산화막이 형성된 상기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Attaching a polydimethylsiloxane (PDMS) layer in which the fluid tube is etched to the substrate on which the oxide layer is formed
    를 포함하는 생체 물질 감지 바이오 센서 제조 방법.Biomaterial detection biosensor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PCT/KR2015/005270 2014-05-27 2015-05-27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and bio sensor system WO2015182971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596 2014-05-27
KR1020140063596A KR101588953B1 (en) 2014-05-27 2014-05-27 Bio sensor for detecting biomaterial and bio sensor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2971A1 true WO2015182971A1 (en) 2015-12-03

Family

ID=5469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5270 WO2015182971A1 (en) 2014-05-27 2015-05-27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and bio sensor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8953B1 (en)
WO (1) WO201518297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186B1 (en) * 2018-08-30 2021-09-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Two electrode system and biosensor including the same
WO2020046065A1 (en) * 2018-08-30 2020-03-0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Two electrode system and biosensor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657A (en) * 2007-12-10 2009-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bio-sensor using nanod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36805A (en) * 2011-10-05 2013-04-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hip for counting cells
KR20130130476A (en) * 2012-05-22 2013-12-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cell counting and method for cell count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657A (en) * 2007-12-10 2009-0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he bio-sensor using nanod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036805A (en) * 2011-10-05 2013-04-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Chip for counting cells
KR20130130476A (en) * 2012-05-22 2013-12-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cell counting and method for cell count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T NEWS, vol. 14, no. 1, March 2007 (2007-03-01), pages 10 - 1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953B1 (en) 2016-01-27
KR20150136660A (en) 201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86539A1 (en) Device for measuring microfluid flow velocity by using ultra thin film, having separable structure
US81730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s and sorting of polynucleotides based on size
WO2013005945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for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and substrate manufactured using the method
WO2012141431A2 (en) Nanowire sensor having nanowire of network structure
ES2742515T3 (en) Design and procedures for measuring analytes using a nanofabricated device
WO2014148800A1 (en) Pcr thermal block with pattern heaters repeatedly arranged and pcr apparatus including same
WO2010056049A9 (en) Humidity sensor of capacitance typ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WO2018126696A1 (en) Gene sequence detection chip, gene sequence detection device and gene sequence detection method
WO2016043402A1 (en) Interdigitated microelectrode biosensor
WO2015182971A1 (en) Biomaterial detecting bio sensor and bio sensor system
TWI383138B (en) Microfluid apparatus with micro-structure, and sen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20024856A1 (en) Thin film transistor,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sensor
BR112019017671A2 (en) PARTICLE SEPARATION
WO2017115988A1 (en) Interdigitated electrode biosensor using reaction between receptor and target biomaterial
WO2015037837A1 (en) Tactile sensor using fine droplets of liquid metal
WO2011162582A2 (en) Dna analysis device using nano pore structure, analysis method and pcr quantitative detecting device
WO2014007557A1 (en) Real-time pcr device for detecting electrochemical signals, and real-time pcr method using same
Ide et al. Development of an on-chip microfluidic system with filter-free multiple-wavelength sensor for microflow cytometry
WO2014035167A1 (en) Pcr chip comprising thermal block in which heater units are repeatedly arranged for detecting electrochemical signals, pcr device comprising same, and real-time pcr method using pcr device
WO2022215817A1 (en) Dynamic droplet generator capable of droplet size control, droplet size control method using same, and droplet generating self-diagnostic device
WO2014035164A1 (en) Pcr chip comprising thermal block in which heater units are repeatedly arranged for detecting electrochemical signals, pcr device comprising same, and real-time pcr method using pcr device
WO2014014268A1 (en)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electrochemical signal using metallic nano particles
KR101484822B1 (en) Device for cell coun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138985A1 (en) Capacitive element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4017821A1 (en) Real-time pcr device for detecting electrochemical signals comprising heating block in which heater units are repeatedly disposed, and real-time pcr method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799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999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