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3898A1 -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3898A1
WO2015093898A1 PCT/KR2014/012591 KR2014012591W WO2015093898A1 WO 2015093898 A1 WO2015093898 A1 WO 2015093898A1 KR 2014012591 W KR2014012591 W KR 2014012591W WO 2015093898 A1 WO2015093898 A1 WO 20150938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ssage
encrypted
terminal
encryption key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25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종한
강보경
손중제
이덕기
이지철
임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9719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95900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871532.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86587B1/en
Priority to CN201480075439.9A priority patent/CN105981423B/zh
Priority to US15/106,805 priority patent/US10880736B2/en
Publication of WO20150938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38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user plane, e.g. user's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 the following section-based encryption is provided.
  • the transmitting terminal composes a message using the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message is delivered to the receiver terminal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intermediate paths through which the message passes for example, an intermediate path between a transmitting terminal and an intermediate network node, an intermediate path between the intermediate network node and a message server, and an intermediate unit of each intermediate path between the message server and the receiving terminal.
  • a message is created by a sending smart de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WiFi, and delivered to a receiving smart device. Service.
  • These 3rd party apps are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smart device, and most of them only support encryp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essage server.
  • the smart device supporting the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or the 3rd party app does not provide a supplementary function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message from the server or the intermediate node existing on the moving path.
  • the leakage of a message from a wireless section or a communication line can be prevented through encryption between intermediate nodes, but the message itself is not encrypted in the corresponding node receiving the message.
  • a mobile communication femto cell base station has a relatively high risk of being illegally seized.
  • a message transmit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leaked when the femto cell approaches physically.
  • the message server stores the message encryp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stored message may be recovered because the message may be restored on the message server side.
  • the 3rd party message app supports only encryption in the form of hop by hop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or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message server.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for a malicious user to eavesdrop the message in the middle of a transmission / reception path of the messag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message can be leaked through a server.
  • the content of the message may be exposed as it is in another person's view.
  • the final output of the message can be blocked from another person's view.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curity method for preventing the message from leaking in a server or an intermediate node included in a path of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smart devices. 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device including secure keyboard software capable of transmitting encrypted text in a message creation and confirmation process occurring in a process of using a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 a smart device for call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rypting the message is proposed.
  • Method In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when a message app is executed on a screen of a transmitting terminal, executing a keyboard providing a selection button of a security mode in the message app execution window; and a user for the selection button.
  • the method includes receiving a message input by a user and temporarily storing the input message after switching to the security mode, and encrypting the message when detecting a writing completion instruction through the keyboard.
  • a method for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detecting a user input for an encrypted message displayed on a message app execution screen, an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pattern mapped to decryption software in the encrypted message; And deciphering the original message extracted from the encrypted message by executing decryption software if the additional pattern exists, and displaying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on the message execution screen.
  • a transmitting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keyboard unit to execute a keyboard providing a selection button of a security mode in the message app execution window when a message app is executed on a screen of a transmitting terminal;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keyboard unit to execute a keyboard providing a selection button of a security mode in the message app execution window when a message app is executed on a screen of a transmitting terminal.
  •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the decryption unit for decrypting the original message extracted from the encrypted message, and if the user input for the encrypted message displayed on the message execution screen is detected, the encrypted message
  • a control unit which checks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pattern mapped to the decryption software in the program, and if the additional pattern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ing, executes the decryption software and controls to display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on the message execution screen. It includes.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tir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message app 102 is executed on a display screen of a smart device.
  •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user inputs a message to an input window of a keyboard SW operated in a securit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C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encrypted text on a display screen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4B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o which a lock function for confirming a decrypted original mess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n which a decoded original message to which a lock function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inputting and en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in a memo ap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ain terminal when a message encrypted through a memo app of a main terminal is to be checked through a sub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acquired by a secondary terminal from a primary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0 is an example of the overall devic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for storing an encryption key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performing decryp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mart device may include devices in the form of a terminal, a tablet, or a wearable device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 the wearable device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glasses or a watch.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mart device including security keyboard software capable of transmitting encrypted text during message creation and confirmation, which occurs in a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process.
  • a smart device for calling an application capable of decrypting the message is proposed.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verall devic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mobile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may use a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message server 110, or may transmit and receive a message using a 3rd party message app. Appliance.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may be reversed according to positions of a source and a targe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rresponding message.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ssage app 102, a keyboard software (SW: SoftWare, 104) and the system SW 106.
  •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each detailed configuration may be integrated into one unit or subdivided into other sub-units.
  • the keyboard software 104 transmits and receives the encrypted text in order to prevent leakage from some nodes included in a path through which the message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operation with the reception terminal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creation.
  • the keyboard SW 104 detects that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is input to the text input window through a text input UI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message app,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text input is received. Then, the keyboard SW 104 may provide a selection button for a security function that may instruct the generation of the encrypted text. Ope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case of inputting “touch” as an example of a user input will be described.
  • the touch may include actions such as clicking, dragging, clicking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clicking by a predetermined time.
  • FIG. 2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ransmitting terminal transmitting an encrypted mess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message server are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message server 110 of FIG. 1.
  • step 210a assume that the user 200 inputs a user input to a text input window through the text input UI provided by the message app 10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step 210a. Accordingly, when the message app 10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detect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the user input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W 106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system SW 106 that detects the user input instructs the keyboard SW 104 to execute a keyboard SW supporting a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step 212.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ctivates a selection button for the security function provided by the keyboard SW on the display screen.
  •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ecuting the message app 102 on a display screen of a smart device.
  • a keyboard 300 provided for a user input of a user 200 provides the selection button 3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eyboard SW 104 recognizes that a command to encrypt and generate text to be transmitted is input.
  • the keyboard SW 104 switches to the secure mode.
  • the default setting in the message app 102 or the default setting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set to a secure mode. In this case, when a touch of an input window is detected from the user 200, the system SW 106 executes the keyboard SW 104.
  • the keyboard SW 104 may be switched to the security mode.
  • the default setting is set to the security mode
  • the keyboard SW 104 is a security mode to the message transmitted to the message app 102 or the system SW 106 It can include a parameter indicating that the.
  • a message to be transmitted is input from the user 200 through a user input window (corresponding to reference numeral 306 in FIG. 3A) in step 218 with the keyboard SW 104 switched to a secure mode. do.
  • the keyboard SW 104 temporarily stores the input message.
  •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when a user inputs a message to an input window of a keyboard SW operated in a securit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200 inputs a message “hellow” into the user input window 306.
  • the keyboard SW 104 shows a message currently being input only through the user input window 306, and temporarily stores the message.
  • the keyboard SW 104 detect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on the completion button 308 provided through the keyboard 300 from the user 200, as illustrated in FIG. 3B. Then, the keyboard SW 104 detects this and performs encryption on the text input by the user 200, that is, "hellow” through steps 224 to 230.
  • step 224 the keyboard SW 104 randomly generates an encryption key.
  • the keyboard SW 104 encrypts the generated encryption key with a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at is known in advance. 1 Generate an encryption key.
  • the keyboard SW 104 generates the second encryption key by encrypting the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keyboard SW 104 encrypts the message, that is, "hellow" with the generated encryption key.
  • the keyboard SW generates encrypted text in the form of a string including a message encrypted with the first encryption key, the second encryption key, and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 the string may include a string (eg, “http: //” or “https: //”) and a symbol form in the form of a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address. It may include any specific pattern for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mapped with the decryption SW, which may include, for example, “http: //secure.sec.”
  • the encrypted text May include a first encryption key that encrypts the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a second encryption key that encrypts the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keyboard SW 104 may represent the encrypted text as an example, for example, "http: //secure.sec/info?
  • the keyboard SW 104 may randomly generate the session key every time encryption is performed, and in step 234, the keyboard is generated. SW 104 copies the generated encrypted text to the message app 102. Then, in step 236, the keyboard SW 104 deletes the temporarily stored message.
  • the messaging app 102 detect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button of a keyboard provided by the user from the user 200.
  • 3C illustrates an example of displaying encrypted text on a display screen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ssage app 102 detects a user input of the send button 304 provided by the keyboard 300 from the user 200. Then, the text 310 encrypted through the steps 224 to 232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 the message app 10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at detect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of the transmission button is encrypted by the message app 122 of the receiving terminal through the message server 110 in steps 240a to 240b. Pass the text to it. Then, the encrypted display of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like the display screen of Figure 3c is displayed.
  • the message server 110 receives the encrypted text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encrypted text to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receiving terminal 120 includes a message app 122, a decryption SW 124, and a system SW 126.
  •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ption terminal 120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each detailed configuration may be integrated into one unit or subdivided into other sub-units.
  • 4A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receiving terminal and the message server are the receiving terminal 120 and the message server 110 of FIG. 1.
  • the encrypted text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rough the message app 102 and the message server 11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steps 240a to 240b of FIG. 2a is a receiving terminal. Assume that the message is received at the message app 122 at 120.
  • the encrypted text is encrypted according to a security function selected by a user when executing a message app of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URL address as it is included.
  • step 410 the receiving terminal 120 detect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on the encrypted text displayed in the running state of the message app 122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from the user 400. Assume one case. Then, the message app 122 that senses the touch transmits a call request of a web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encrypted text to the system SW 126 in step 412. At this time, the call request includes the encrypted text.
  • the system SW 126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in the encrypted text included in the call request (414). For example, a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in the form of a URL address such as "http: //" or "https: //", and for example, additional specific mapping with a decryption SW such as "http: //secure.sec". It can include a pattern.
  • the system SW 126 stores the decryption SW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text for each specific pattern in advance. Thus, if there is a further specific pattern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system SW 126 instructs to execute the decoding SW 124 stored in advance in step 416. If, as a result of the check, no additional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the system SW 126 indicates that the specific pattern corresponds to a general URL address indicating a connection to a specific web browser, and thus the web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Run
  • the decryption SW 124 Upon receipt of the instruction, the decryption SW 124 confirms the encryption subject of the 'encrypted text' to be decrypted in step 418.
  • the encrypted text includes a first encryption key obtained by encrypt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as disclosed above. And a second encryption key encrypted with the key.
  •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encryption subject is as follows. Specifically, the decryption SW 124 decrypts each of the first encryption key and the second encryption key by using the private key of the reception terminal 120 stored in advance. The terminal having the encryption key that succeeded in decryption is determined as the encryption subject.
  • the decryption SW 124 decrypts the encrypted message in the encrypted text us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obtained by decrypting the second encryption key.
  • the decoding SW 124 controls to display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n which the message app 122 is executed, or a separate pop-up window or the like on a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partial window of.
  • a lock function may be added so that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can be confirmed only by limited users.
  •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screen to which a lock function for confirming a decrypted original mess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creen on which the message app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is executed is an example, illustrated on the screen of FIG. 3C.
  • the original message of the encrypted message is decrypted through operation 420 of FIG. 4A.
  • the partial window 430 for inputting a password is overlaid in the form of a pop-up window on the screen on which the message app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is executed.
  • the decryption SW 124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may request an arbitrary user to input a password for checking the original message through the partial window 430. Subsequently, upon detecting that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preset password is input from the user, the decryption SW 124 assumes the original message of the encrypted text, that is, the embodiment of FIG. 3B, as shown in FIG. 4C. "Hellow" is displayed in the partial window 430. As shown in FIGS. 4B to 4C, even if the original message is decrypted, a security function may be further enhanced as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is displayed only when a preset password is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encrypted text to the receiving side by using the keyboard SW supporting the securit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ransmitting a message using the message app. .
  • the encrypted text remains on the display window on which the message app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is executed. Then, when it is detected that decryption of the encrypted text is required, as in step 418 of FIG. 4, the encryption subject of the encrypted text to be decrypted is identified, and the encryption key encrypted with its public key included in the encrypted text. Is extracted and decoded.
  • FIG. 5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ransmitting terminal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message server are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message server 110 of FIG. 1.
  • step 500a the message app 102 encrypts a message in the form of a previously transmitted URL addres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which the message app 102 is executed from the user 200.
  • the message app 102 that detects the user input of the encrypted message in the form of the URL address transmits a web browser call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to the system SW 106 in step 500b.
  • the web browser call request includes the URL address.
  • step 502 the system SW 106 checks whether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mapped to the decryption SW is included in the ULR address. If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is not included, the system SW 106 causes a web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to be execut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system SW 106 recognizes that the URL address is encrypted text in step 504, confirms the decryption SW 104 stored in advance, and the decryption.
  • the execution instruction is transmitted to the SW 104.
  • the decryption SW 104 identifies the encryption subject of the encrypted text to be decrypted in step 506.
  • the encrypted text includes a first encryption key obtained by encrypt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as disclosed above. And a second encryption key encrypted with the key.
  • the confirmation process is as follows.
  • the decryption SW 124 decrypts each of the first encryption key and the second encryption key by using the private key of the transmission terminal 100 previously stored.
  • the terminal having the encryption key that succeeded in decryption is determined as the encryption subject.
  • the decryption SW 104 decrypts the encrypted message in the encrypted text using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 the decoding SW 124 controls to display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FIG. 5, a case where the original text message deco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decoded message may be displayed in a popup type partial window on the display screen as illustrated in FIGS. 4B and C.
  • the pop-up window may request a password input and display the decoded message in the pop-up window only when an input of a password corresponding to a preset password is detected. have.
  •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each have a decryption SW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text due to the keyboard SW supporting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message app, and each of them is encrypted with a public key based on the decryption SW.
  • the case where the encrypted text is decrypted us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obtained by decrypting the encrypted encryption key with a private key has been described.
  • the encrypted text may be decrypted through a decryption web server or an external device. Accordingly,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defined as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or wired to a terminal through which encrypted tex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ain terminal”) and Bluetooth.
  • the external device is a Bluetooth built-in device that is compatible with a terminal to which encrypted text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message app,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tablet,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 Apparatuses with a display screen correspond to this.
  •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through which the encrypted tex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message app, the original message is decod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decoded.
  • the text message may be displayed.
  • th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decryption SW, the encrypted text whether the URL address included in the web browser call request received from the message app through the existing system SW indicates a general web browser Confirm that it is displayed.
  • a decryption SW the encrypted text whether the URL address included in the web browser call request received from the message app through the existing system SW indicates a general web browser Confirm that it is displayed.
  • the system SW delivers the URL address to an external device having the decryption SW.
  • the external device stor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for each of terminals that transmit and receive encrypted data through a message app.
  • FIG. 6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in which data encrypted through a message app is decrypt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of FIG. 1 operates.
  • the message app 102 transmits the user of the encrypted text in the form of a URL address previously transmitted from the user 600 to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on which the message app 102 is executed.
  • the message app 102 that detects a user input of the encrypted text in the form of the URL address transmits a web browser call request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of the encrypted text to the system SW 106 in step 614.
  • the web browser call request includes the URL address.
  • the system SW 106 checks whether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in the URL address.
  • the system SW 106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URL address is information indicating a general web browser, and in step 616, the system SW 106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web browser execution unit 107 transmits a web browser execution instruction.
  • the web browser execution unit 107 is shown as a separate configuration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but may be configured as part of the system SW 106.
  • the web browser execution unit 107 executes the web browser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 the web browser execution unit 107 transmits an HTTP request including the URL address to the decryption web server 610 as an example of the external device described above.
  • step 620 the decryption web server 610 confirms the encryption subject of the URL address.
  •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encryption subject is the same as step 418 of FIG. 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decryption web server 610 decrypts the encrypted original message in the encrypted text us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 the decrypted web server 610 displays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decoded text message to the user 600.
  • the decoded message may be overlaid as a separate part window in a pop-up form on the display screen on which the message app 102 is executed, and may be displayed only when a preset password is input as described above. You can apply the lock function.
  •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may be delivered to the user 600 through a display screen included in the decrypted web server 610 under the control of the decrypted web server 610.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nd-to-end encryption without changing the existing scheme in the 3rd party message app. Therefore, even if the message is stored in the server, since it is encrypted in end-to-end units, the user's privacy can be protected.
  •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ncryption is performed by executing the memo app instead of the message app 102, the mobile terminal safely stores texts created by the memo app in addition to message encryp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decrypts the privacy. It can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encrypted message written through the memo app is decrypted by an external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in a public place.
  •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a separat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nnection or wired connection with the main terminal encrypting the message or tex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s to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encryption result of the main terminal through a display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terminal.
  • the external device may be defined as an auxiliary terminal corresponding to a wearable device such as glasses or a watch.
  • the main terminal and the auxiliary terminal may be paired using Bluetooth or the like. have.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of the primary terminal and the secondary terminal, respectively.
  • 7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inputting and en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in a memo ap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terminal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memo app 702, a keyboard SW 104, and a system SW 106.
  • a user 700 executes a memo app 702 of the main terminal 100 to display a memo input screen on the screen of the main terminal.
  • the memo app 702 detects a user input of the memo input screen from the user 700.
  • the system SW 106 that recognizes the user input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instructs execution of the keyboard SW 104 that supports the security function. Since the main terminal 100 creates an encrypted message, that is, steps 714 to 732 are the same as those of steps 214 to 232 of FIG. 2,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keyboard SW 104 copies the encrypted text to the memo app 702. Then, in step 736, the keyboard SW 104 deletes the temporarily stored message.
  • the memo app 702 detects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storage button of a keyboard provided by the memo app 702 from the user 700.
  • the memo app 702 stores the encrypted text.
  • FIG. 8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ain terminal when a message encrypted through a memo app of the main terminal is to be checked through the auxiliary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user 800 executes a memo app 702 of the main terminal 100 and an encrypted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memo app 702. If the memo app 702 detects that the user input for the encrypted text displayed on the screen is provided from the user 800 in step 800a, the memo app 702 operates the system SW 106 in step 800b. Request the processing of the encrypted text. Then, in step 802, the system SW 106 checks the encrypted tex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dditional specific pattern instructing the secondary terminal 804 to process the encrypted text. Assuming that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exists, in step 804, the system SW 106 identifies the auxiliary terminal 804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802.
  • the system SW 106 instructs the communication unit 802 to transmit the encrypted text to the confirmed secondary terminal 804.
  •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may be represented as a string in a specific URL form.
  • the communication unit 802 transfers the encrypted text to the connected secondary terminal 804.
  • FIG. 9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obtained by a secondary terminal from a primary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uxiliary terminal 804 includes the decoding SW 902 is shown as an example.
  • the decryption SW 902 of the secondary terminal 804 stores the private key of the secondary terminal in step 910. Decrypts the encryption key.
  • the decryption SW 902 decrypts the original message using the decrypted encryption key.
  • the decoding SW 902 displays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auxiliary terminal 804.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verall devic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cludes a profile storage device 102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FIG. 1.
  •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is a device that can install the network authentication SW (1024)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terminal through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or can separately install only parameters for network authentication.
  • the network authentication SW 1024 mutually authenticates with a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000 of a specific communication company to enable mobile communication of a corresponding terminal equipped with a profile storage device in which a network authentication SW is installed, and for this, a network access secret for network access. Use the key.
  • the receiving terminal 120 also includes a profile storage device 103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of FIG. 1.
  •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also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terminal designates a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ncrypted message, and obtains a request for generation of an encryption key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text from the specified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profile installation server.
  • FIG. 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storing an encryption key in a transmitting terminal and a receiving terminal in the apparatus configuration of FIG. 10.
  • the receiving terminal 120 subscribes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company.
  •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000 receives a profile installation request that enables a network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through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of the receiving terminal 102 installs the profile obtained from the profile installation request.
  • the receiving terminal 120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may use the communication function by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through the network authentication SW (1034).
  •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stor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and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stores the public key and the private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i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profile installation i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and the public key and the private key storage of the terminal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 step 1106a to step 1106b a network conn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company can be made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erver 1000 through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Receive a profile install request. The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stalls the profi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he profile installation i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and the storage of the public key and the private key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having a profile installed therein may use a communication function by acces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through the network authentication SW 1024 as shown in FIG. 10.
  •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stor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generates a public key and a private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stores the public key and the private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 a communication company subscrib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has been described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However, a communication company subscribed to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arrier server may also be different.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respectively designate a terminal to perform encrypted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t the public key of the corresponding profile to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Can be obtained by requesting (1010).
  • each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eceiving terminal 120 designates each other as a terminal to perform encrypted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s an example of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using the telephone number MSISDN1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terminal 120 to install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 1010) may request a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MSISDN1. Then, in step 1114,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obtains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and delivers i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en,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store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MSISDN1 as the public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020. Similarly, in step 1116, the receiving terminal 120 also uses the telephone number MSISDN2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mong the contact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eiving terminal 120 to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MSISDN2 may be requested. Then, in step 1118, the profile installation server 1010 delivers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MSISDN2 to the receiving terminal 120. Accordingly,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may store the public key corresponding to the MSISDN2 as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encrypting a message in a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erations of the operations 224 to 232 of the keyboard SW 104 of FIG. 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user 222 may write a completed button provided by the keyboard SW 104 for the encrypted text through a message app or a memo app execut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ssume a case where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is provided. Then, the keyboard SW 104, which senses the user input of the creation completion button, sends an encryption request for the text input through the keyboard SW 104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in step 1202 to the arm of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 Decryption SW 1022 is passed to.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eyboard SW 104 may randomly generate an encryption key.
  • the encryption key randomly generated by the keyboard SW 104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of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20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may randomly generate an encryption key.
  •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generates the first encryption key by encrypting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stored through the procedure of FIG. The encrypted public key is transmitted to the keyboard SW 104.
  • step 1208 at the request of the keyboard SW 104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encrypts the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to generate a second encryption key.
  • step 1210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encrypts the input text with the encryption key encrypted in step 1208.
  •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adds additional information and a specific pattern to a message encrypted with the first encryption key, the second encryption key, and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22 may transmit the encrypted text to the keyboard SW 104 (1212).
  • FIG. 13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on flowchart of decrypting an encrypted message by a receiving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ser 1300 provides a user input such as a touch to an encrypted tex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encrypted tex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is the text encrypt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2.
  • the message app 122 of the receiving terminal 100 recognizing the user input transmits a call request of the web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encrypted text to the system SW 126 in step 1312.
  • the call request includes the encrypted text.
  • the system SW 126 checks whether the system SW 126 includes a specific pattern in the encrypted text included in the call request in step 1314.
  • a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in the form of a URL address such as "http: //" or "https: //", and for example, additional specific mapping with a decryption SW such as "http: //secure.sec". It can include a pattern.
  • the system SW 126 stores the decryption SW for decrypting the encrypted text for each specific pattern in advance. Thus, if the additional specific pattern exists as a result of the checking, the system SW 126 instructs to execute the decoding SW 124 stored in advance in step 1316. If, as a result of the check, no additional specific pattern is included, the system SW 126 indicates that the specific pattern corresponds to a general URL address indicating a connection to a specific web browser, and thus the web browser corresponding to the URL address. Run
  • step 1318 the decryption SW 124 having received the instruction requests the decryption / decryption SW 1032 of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of the reception terminal 120 to decrypt the encrypted text.
  • step 1320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32 checks the encryption subject of the 'encrypted text' to be decrypted.
  • the encrypted text includes a first encryption key obtained by encrypt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with the public key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100 and the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as disclosed above. And a second encryption key encrypted with the key.
  •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encryption subject is as follows.
  •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32 may use the private key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which is obtained from the profile storage device 1030 and stored in advance, to each of the first encryption key and the second encryption key. Decrypt The terminal having the encryption key that succeeded in decryption is determined as the encryption subject. As an example, assume that the decryption of the second encryption key succeeds and the encryption subject is confirmed by the receiving terminal 120. Then, in step 1322, the encryption / decryption SW 1032 decodes the encrypted message in the encrypted text using a randomly generated encryption key obtained by decoding the second encryption key. In operation 1324, the decryption SW 124 receives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 the decoding SW 124 controls the original mess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 the decoded original message may be displayed through a separate partial window such as a pop-up window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receiving terminal 120 instead of the screen on which the message app 122 is executed.
  • a lock function may be added so that the decrypted original message may be confirmed only to limit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화면 상에 메시지 앱이 실행되면, 보안 모드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를 상기 메시지 앱 실행 창에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모드로 전환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작성 완료 지시를 감지하면,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단말들 간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망에서 송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에 제공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의 경우, 다음과 같은 구간 단위의 암호화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송신 단말이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면, 상기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자 단말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가 통과되는 중간 경로들 예를 들어, 송신 단말과 중간 통신망 노드간의 중간 경로, 상기 중간 통신망 노드와 메시지 서버간 중간 경로 및 상기 메시지 서버 및 수신 단말간 중간 경로 각각의 구간 단위의 암호화가 제공되었다.
한편,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스마트 기기(smart device)에서 이용 가능한 3rd Party 메시지 앱(application)의 경우, 이동 통신망 또는 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 등을 경유하여 송신 스마트 기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수신 스마트 기기로 전달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3rd party 앱은 스마트 기기마다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대부분 자신이 설치된 단말과 메시지 서버간의 암호화만을 지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 또는 3rd party 앱을 지원하는 스마트 기기는 이동 경로 상에 존재하는 서버 또는 중간 노드 등에서의 메시지 유출을 막기 위한 별다른 보완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리하여, 앞서 설명한 이동 통신망에서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간 노드들간의 암호화를 통해서 무선구간이나 통신 선로에서의 메시지 유출이 방지될 수 있으나, 메시지를 수신한 해당 노드 자체에서 상기 메시지가 암호화없이 그대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펨토셀(femto cell) 기지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불법 탈취될 위험이 높다. 이동 통신망에서 전송하는 메시지가 이러한 펨토 셀에 물리적으로 가깝게 접근할 경우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서버는 일정기간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저장되는데, 저장된 메시지는 메시지 서버 측에서 복원이 가능하여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3rd Party 메시지 앱의 경우, 송신 단말 또는 수신 단말과 메시지 서버간의 즉, 홉 바이 홉(hop by hop) 형태의 암호화만을 지원한다. 이 경우, 악의적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의 송수신 경로 중간에서 상기 메시지를 도청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서버를 통한 메시지 유출이 가능하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단말에 전달된 메시지는 공공장소에서 단말 화면을 통해서 확인될 경우 타인의 시야에 메시지 내용이 그대로 노출 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요도가 높은 개인정보, 계좌번호 등의 금융 정보 등을 메시지로 보내는 경우, 메시지의 최종 출력이 타인의 시야로부터 차단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경로에 포함된 서버나 중간 노드에서 상기 메시지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작성 및 확인 과정에서, 암호화된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보안 키보드 소프트 웨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된 텍스트일 경우, 이를 복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의 화면 상에 메시지 앱이 실행되면, 보안 모드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를 상기 메시지 앱 실행 창에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모드로 전환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작성 완료 지시를 감지하면,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시지 앱 실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 내에 복호화 소프트 웨어와 매핑되는 추가 패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가 패턴이 존재하면 복호화 소프트 웨어를 실행하여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실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말에 있어서, 송신 단말의 화면 상에 메시지 앱이 실행되면, 보안 모드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를 상기 메시지 앱 실행 창에 실행시키도록 키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모드로 전환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작성 완료 지시를 감지하면,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키보드 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복호부와, 메시지 실행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 내에 복호화 소프트 웨어와 매핑되는 추가 패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가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복호화 소프트 웨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복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실행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전체 장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흐름도,
도 3a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메시지 앱(102)이 실행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모드로 동작한 키보드 SW의 입력창에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된 텍스트가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하는 동작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잠금 기능이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잠금 기능이 적용된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메모앱에서 입력하고 암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단말의 메모앱을 통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조단말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할 때, 주단말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보조 단말이 주 단말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전체 장치 구성도의 일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암호화키를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암호화를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복호화를 수행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 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경로에 포함된 서버나 중간 노드에서 상기 메시지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는 이동 통신 기능이 있는 단말, 태블릿, 혹은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형태의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안경 혹은 시계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시지 작성 및 확인과정에서, 암호화된 텍스트를 전송할 수 있는 보안 키보드 소프트 웨어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된 텍스트일 경우, 이를 복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스마트 기기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전체 장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120)은 메시지 서버(110)를 통해서 제공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거나, 또는 3rd party 메시지 앱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이다. 그리고, 상기 송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120)은 해당 메시지의 송수신에 대한 소스(source)와 타겟(target)의 위치에 따라 역할이 뒤바뀔 수 있다.
먼저, 상기 송신 단말(100)은 메시지 앱(102)과, 키보드 소프트 웨어(SW: SoftWare, 104) 및 시스템 SW(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말(100)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일 예로서, 설명되는 것으로, 각 세부 구성은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되거나 또 다른 서브 유닛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소프트 웨어(1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단말(120)과의 메시지 송수신 동작에 있어서, 해당 메시지가 송수신되는 경로에 포함된 일부 노드에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암호화된 텍스트의 생성을 지원한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키보드 SW(104)는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앱이 제공하는 문자 입력 UI(User Interface)를 통해서 문자 입력창에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이 입력됨을 감지하면, 문자 입력이 수신됨을 인지한다. 그러면,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의 생성을 지시할 수 있는 보안 기능에 대한 선택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송신 단말(100)의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 입력의 일 예로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여기서, 터치는, 클릭, 드래그,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클릭, 미리 결정된 시간만큼 클릭 등의 행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송신 단말 및 메시지 서버는 도 1의 송신 단말(100)과 메시지 서버(11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210a단계에서 사용자(200)는 일 예로, 송신 단말(100)의 메시지 앱(102)이 제공하는 문자 입력 UI를 통해서 문자 입력창에 사용자 입력을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에 따라, 상기 송신 단말(100)의 메시지 앱(102)이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상기 송신 단말(100)의 시스템 SW(106)에게 전달된다. 상기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상기 시스템 SW(106)는 212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키보드 SW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이후, 상기 메시지 앱(102) 상에서 상기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키보드 SW가 실행되면, 상기 송신단말(100)은 상기 키보드 SW가 제공하는 보안 기능에 대한 선택 버튼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활성화시킨다.
도 3a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메시지 앱(102)이 실행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200)의 사용자 입력을 위해서 제공되는 키보드(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 버튼(302)을 제공한다. 그리고, 214단계에서 사용자(200)로부터 상기 선택 버튼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키보드 SW(104)는 전송할 텍스트를 암호화시켜 생성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인지한다. 그러면, 상기 키보드 SW(104)는 216단계에서 보안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 앱(102) 내 기본 설정 또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기본 설정이 보안 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사용자(200)로부터 입력창의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 SW(106)는 상기 키보드 SW(104)를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200)로부터 추가적인 보안 기능 선택 버튼의 사용자 입력 등이 감지되지 않아도 상기 키보드 SW(104)가 보안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설정이 보안 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용자(200)로부터 입력창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메시지 앱(102) 또는 상기 시스템 SW(106)로 전달되는 메시지에 보안 모드임을 표시하는 파라미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SW(104)가 보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21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200)로부터, 전송할 메시지가 사용자 입력창(도 3a의 경우 참조 번호306에 해당함)을 통해서 입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220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사용자 입력창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200)로부터의 메시지 입력이 감지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임시 저장한다.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모드로 동작한 키보드 SW의 입력창에 사용자가 메시지를 입력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예로, 상기 사용자(200)가 사용자 입력창(306)에 "hellow"라는 메시지를 입력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사용자 입력창(306)을 통해서만 현재 입력되는 메시지를 보여주고 있으며, 해당 메시지를 임시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222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사용자(200)로부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300)를 통해서 제공되는 작성 완료 버튼(308)을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이를 감지한 상기 키보드 SW(104)는 224단계 내지 230단계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200)가 입력한 텍스트 즉, "hellow"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224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암호화 키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226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암호화 키를 미리 알고 있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 키(Public key)로 암호화하여 제1암호화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228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암호화 키를 미리 알고 있는 수신 단말(120)의 공개 키로 암호화하여 제2암호화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메시지 즉, "hellow"를 상기 생성한 암호화 키로 암호화한다. 그리고, 232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는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키, 및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열 형태로 암호화된 텍스트를 생성한다. 일 예로, 상기 문자열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 형태의 문자열(예를 들어, "http://" 또는 "https://", 및 기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 열은 복호화 SW와 매핑되는 추가 정보를 위한 임의의 특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패턴은, 예를 들어, " http://secure.sec"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 키로 상기 암호화키를 암호화한 제1암호화키와, 상기 수신 단말(120)의 공개 키로 상기 암호화키를 암호화한 제2암호화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일 예로, "http://secure.sec/info?enc_key_by_sender_key=Hxbaabxxe&enc_key_by_receiver_key=Gxaabbccef&enc_text_by_key=Abcdeghkbabcadfassfgwegasgsdgfagfaaqweuivdksdfr"와 같이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여기서, "enc_key_by_sender_key=Hxbaabxxe&enc"는 상기 제1암호화키를 나타내고, "enc_key_by_receiver_key=Gxaabbccef"는 상기 제2암호화키를 나타내고, "enc_text_by_key=Abcdeghkbabcadfassfgwegasgsdgfagfaaqweuivdksdfr"은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메시지를 나타내다. 그리고, 상기 추가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한 암호화 키(=세션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SW(104)는 암호화가 수행될 때마다 랜덤하게 상기 세션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234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생성된 암호화된 텍스트를 상기 메시지 앱(102)으로 복사한다. 그리고 나서, 236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상기 임시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한다.
이후, 238단계에서 상기 메시지 앱(102)이 상기 사용자(200)로부터 자신이 제공하는 키보드의 전송 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된 텍스트가 송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메시지 앱(102)은 상기 사용자(200)로부터키보드(300)가 제공하는 전송 버튼(304)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앞서 설명한 224단계 내지 232단계를 통해서 암호화된 텍스트(310)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송 버튼의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송신 단말(100)의 메시지 앱(102)은 240a단계 내지 240b단계에서 메시지 서버(110)를 통해서 수신 단말의 메시지 앱(122)으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전달한다. 그러면, 수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역시 도 3c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마찬가지로, 암호화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시지 서버(110)는 상기 송신 단말(100)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된 텍스트를 수신하여 수신 단말(1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신 단말(120)은 일 예로, 메시지 앱(122)과, 복호화 SW(124) 및 시스템 SW(12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수신 단말(120)의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일 예로서, 설명되는 것으로 각 세부 구성은 하나의 유닛(unit)으로 통합되거나 또 다른 서브 유닛(sub-unit)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수신 단말 및 메시지 서버는 도 1의 수신 단말(120)과 메시지 서버(11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2a의 240a 단계 내지 240b 단계에서 상기 송신 단말(100)의 메시지 앱(102) 및 메시지 서버(110)을 통해서 상기 송신 단말(100)이 송신한 암호화된 텍스트가 수신 단말(120)의 메시지 앱(122)에 수신된 상태임을 가정하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송신 장치의 동작을 통해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송신 단말의 메시지 앱 실행 시 선택한 보안 기능에 따라 암호화된 상태이며, 앞서 설명한 추가 정보 및 특정 패턴을 포함함에 따라 URL 주소의 형태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410단계에서 수신단말(120)은 상기 사용자(400)로부터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상기 메시지 앱(122)의 실행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한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터치를 감지한 상기 메시지 앱(122)은 412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26)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의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호출 요청은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 SW(126)은 414단계에서 상기 호출 요청에 포함된 암호화된 텍스트에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패턴은 "http://" 또는 "https://" 등과 같은 URL 주소 형태로 포함되고, 일 예로, "http://secure.sec"와 같은 복호화 SW와 매핑되는 추가 특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SW(126)는 특정 패턴 별로 암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SW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확인 결과, 추가 특정 패턴이 존재할 경우, 416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26)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호화 SW(124)가 실행되도록 지시한다.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시스템 SW(126)은 상기 특정 패턴은 특정 웹 브라우저로의 연결을 지시하는 일반적인 URL 주소에 해당하므로, 상기 URL 주소에 해당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한 복호화 SW(124)는 418단계에서 복호할 '암호화된 텍스트'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1암호화키와,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키를 수신단말(12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2암호화키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암호화 주체의 확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호화 SW(12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수신 단말(12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키 각각을 복호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가 성공한 암호화키를 갖는 단말을 암호화 주체로 결정한다. 일 예로, 상기 제2암호화키의 복호가 성공하여, 암호화 주체가 상기 수신 단말(120)로 확인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42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24)는 상기 제2암호화키를 복호하여 획득한,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 내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한다. 그리고, 422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24)는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앱(122)이 실행된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상기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팝 업(pop up) 창 등과 같은 별도의 부분 창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제한된 사용자들에게만 확인될 수 있도록 잠금 기능(lock)을 추가할 수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잠금 기능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수신 단말(120)의 메시지 앱이 실행된 화면을 일 예로, 도 3c의 화면 상에 도시한 경우로 가정하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a의 420단계를 통해서 암호화된 메시지의 원문 메시지가 복호 완료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수신 단말(120)의 메시지 앱이 실행된 화면 위에 일 예로, 비밀 번호 입력을 위한 부분 창(430)이 팝 업 창 형태로 오버레이(overlay)된다.
이 경우, 수신 단말(120)의 복호화 SW(124)는 상기 부분 창(430)을 통해서 임의의 사용자에게 상기 원문 메시지의 확인을 위한 비밀 번호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에 대응하는 비밀 번호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복호화 SW(124)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호화된 텍스트의 원문 메시지 즉, 도3b의 실시 예를 가정하면, "hellow"를 상기 부분 창(430)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문 메시지가 복호된다 하더라도 미리 설정된 비밀 번호가 입력되어야만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됨에 따라 보안 기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단말은 메시지 앱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 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키보드 SW를 이용하여 수신측으로 암호화된 텍스트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송신 단말의 메시지 앱이 실행되는 디스플레이 창에도 남아있게 된다. 그리하여, 이후, 암호화된 텍스트의 복호화가 요구됨을 감지하면, 도 4의 418단계에서와 같이, 복호 대상인 암호화된 텍스트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하고, 암호화된 텍스트 내에 포함된 자신의 공개키로 암호화된 암호화 키를 추출하여 복호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송신 단말 및 메시지 서버는 도 1의 송신 단말(100)과 메시지 서버(110)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00a단계에서 메시지 앱(102)이 사용자(200)로부터 상기 메시지 앱(102)이 실행된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창에 디스플레이된 기 전송한 URL 주소 형태의 암호화된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URL 주소 형태의 암호화된 메시지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상기 메시지 앱(102)은 500b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에게 상기 URL 주소에 상응하는 웹 브라우저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저 호출 요청은 상기 URL 주소를 포함한다.
그러면, 502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는 상기 ULR 주소 내에 복호화 SW와 매핑되는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시스템 SW(106)은 상기 URL 주소에 대응하는 웹 브라우저를 상기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실행시킨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504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은 상기 URL 주소는 암호화된 텍스트임을 인지하고,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호화 SW(104)를 확인하고, 상기 복호화 SW(104)에게 실행 지시를 전달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한 복호화 SW(104)는 506단계에서 복호할 암호화된 텍스트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1암호화키와,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키를 수신단말(12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2암호화키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확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호화 SW(124)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키 각각을 복호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가 성공한 암호화키를 갖는 단말을 암호화 주체로 결정한다. 일 예로, 상기 제1암호화키의 복호가 성공하여, 암호화 주체가 상기 송신 단말(100)로 확인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508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04)는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 내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한다. 그리고, 51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24)는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도 5에서도 일 실시 예 따라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일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도 4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팝업 형태의 부분 창에 상기 복호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한 잠금 기능에 따라 상기 팝업 창은 비밀 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에 상응하는 비밀 번호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복호된 메시지를 상기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메시지 앱의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키보드 SW로 인해서 암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SW를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이 각각 구비하고, 복호화 SW를 기반으로 각자 공개키로 암호화된 암호화키를 개인키로 복호하여 획득한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말 별 공개 키 및 개인 키와, 복호화 SW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별도의 장치 일 예로, 복호화 웹 서버 또는 외부 기기를 통해서 암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는 암호화된 텍스트가 송수신된 단말(이하, '주 단말'이라 칭함)과 블루투스(Bluetooth) 등으로 무선 연결, 혹은 유선 연결 가능한 별도의 기기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기기는 메시지 앱을 통해서 암호화된 텍스트가 송수신된 단말과 호환되는 블루투스 내장 기기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태블릿(tablet), 착용 형 장치(wearable device)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기기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 기기가 상기 메시지 앱을 통해서 암호화된 텍스트가 송수신된 주 단말과 연결되면, 상기 주 단말의 제어 하에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에 포함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하고, 상기 외부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상기 원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복호화 SW를 따로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시스템 SW를 통해서 메시지 앱으로부터 수신된 웹 브라우저 호출 요청에 포함된 URL 주소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내는 것인지 암호화된 텍스트를 나타내는 것인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나타낼 경우, 상기 단말 내 웹 브라우저 실행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 암호화된 텍스트를 나타낼 경우, 시스템 SW는 복호화 SW를 구비하고 있는 외부 기기에게 상기 URL 주소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외부 기기는 메시지 앱을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들 각각에 대한 공개 키와 개인 키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태임을 가정하자.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앱을 통해서 암호화된 데이터가 외부 기기를 통해서 복호화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송신 단말(100)이 동작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612단계에서 메시지 앱(102)은 사용자(600)로부터 상기 메시지 앱(102)이 실행된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기 전송한 URL 주소 형태의 암호화된 텍스트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URL 주소 형태의 암호화된 텍스트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상기 메시지 앱(102)은 614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에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의 URL 주소에 상응하는 웹 브라우저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웹 브라우저 호출 요청은 상기 URL 주소를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 SW(106)는 상기 URL 주소에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송신 단말(100)의 시스템 SW(106)는 상기 URL 주소가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를 지시하는 정보로 판단하고, 616단계에서 상기 송신 단말(100) 내의 웹 브라우저 실행부(107)에게 웹 브라우저 실행 지시를 전달한다. 여기서는 일 예로서, 웹 브라우저 실행부(107)를 송신 단말(100) 내의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시스템 SW(106) 내에 일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웹 브라우저 실행부(107)는 상기 지시에 따라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해당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618단계에서 상기 웹 브라우저 실행부(107)는 앞서 설명한 외부 기기의 일 예로, 상기 복호화 웹 서버(610)에게 상기 URL 주소를 포함하는 HTTP 요청을 전달한다.
그러면, 62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웹 서버(610)는 상기 URL 주소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한다. 여기서, 암호화 주체를 확인하는 과정은 도 4의 418단계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나서, 암호화 주체가 확인되면, 622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웹 서버(610)는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 내의 암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한다. 그리고, 624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웹서버(610)는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600)에게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복호된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앱(102)이 실행된 디스프레이 화면에 팝-업 형태의 별도 부분 창으로 오버레이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가 입력되어야만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기능을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는 상기 복호화 웹서버(6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호화 웹서버(610)가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6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rd party 메시지 앱에서 기존 방식의 변화없이 End-to-End 암호화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서버에 메시지가 저장되더라도 End-to-End 단위로 암호화되어 있어, 사용자의 Privacy 보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의 송신단말(100)의 구성에서 메시지 앱(102) 대신 메모 앱을 실행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이동 단말간 메시지 암호화 외에 메모 앱에서 작성한 텍스트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이를 복호화하여 사생활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메모 앱을 통해서 작성된 암호화된 메시지를 외부 기기에서 복호화할 경우 공공장소에서 해당 메시지의 유출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의 외부 기기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시지 또는 텍스트를 암호화한 주 단말과 무선 연결, 혹은 유선 연결 가능한 별도의 기기이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주 단말의 암호화 결과를 상기 주 단말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기기는 안경 혹은 시계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보조 단말로 정의될 수 있고, 일 예로, 주 단말 및 보조 단말은,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하여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도 7 내지 도 9를 기반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7 내지 도 9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주 단말 및 보조단말 각각 대응되는 단말로 송신단말(100) 및 수신단말(120)을 대응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암호화된 메시지를 메모앱에서 입력하고 암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여기서, 주 단말(100)은 일 예로, 메모 앱(702), 키보드 SW(104) 및 시스템 SW(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700)가 주 단말(100)의 메모앱(702)을 실행하여 주 단말의 화면 상에 메모입력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710a단계에서 메모앱(702)은 상기 사용자(700)로부터 상기 메모입력화면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다. 그러면, 710b단계에서 상기 메모입력화면을 통해서 제공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인식한 시스템 SW(106)는, 712단계에서 보안 기능을 지원하는 키보드 SW(104)의 실행을 지시한다. 이후, 상기 주 단말(100)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즉, 714단계 내지 732단계는 도 2의 214~232까지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734단계에서 키보드 SW(104)는 암호화된 텍스트를 메모 앱(702)으로 복사한다. 그리고 나서, 736단계에서 상기 키보드 SW(104)는 임시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한다.
이후, 738단계에서 상기 메모앱(702)가 사용자(700)로부터 상기 메모앱(702)이 제공하는 키보드의 저장버튼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740단계에서 상기 메모 앱(702)은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단말의 메모앱을 통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조단말을 통해서 확인하고자 할 때, 주단말의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800)가 주 단말(100)의 메모앱(702)을 실행하고, 상기 메모앱(702)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암호화된 텍스트가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하자. 800a단계에서 메모앱(702)이 상기 사용자(800)로부터 상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제공됨을 감지하면, 800b단계에서 상기 메모앱(702)은 시스템 SW(106)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의 처리를 요청한다. 그러면, 802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는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확인하여,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에 보조 단말(804)에서 처리할 것을 지시하는 추가 특정 패턴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추가 특정 패턴이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804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06)는 통신부(802)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단말(804)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SW(106)는 상기 통신부(802)에게 상기 확인된 보조 단말(804)로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가 전달되도록 지시한다. 여기서, 추가 특정 패턴은 특정한 URL 형태의 문자열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그러면, 806단계에서 상기 통신부(802)는 연결된 보조단말(804)에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전달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보조 단말이 주 단말로부터 획득한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보조 단말(804)이 복호화 SW(902)를 구비한 경우를 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806단계에서 도 7 및 도 8의 절차를 통해서 주 단말로부터 암호화된 텍스트를 전달받은 경우, 910단계에서 보조단말(804)의 복호화 SW(902)는 보조 단말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키를 복호화한다. 그리고, 910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902)는 상기 복호화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원문메시지를 복호한다. 그리고, 912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902)는 상기 복호화된 원문메시지가 상기 보조 단말(804)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서의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단말을 지정하고, 지정된 단말들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암호화키를 저장하고, 암호화를 수행하는 동작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전체 장치 구성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송신 단말(100)은 도 1의 구성요소 외에,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는 단말의 이동통신 접속을 위한 망 인증 SW(1024)를 프로파일 설치 서버(1010)를 통해 설치하거나 망 인증을 위한 파라미터만을 별도로 설치할 수 있는 장치이다. 망 인증 SW(1024)는 특정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1000)와 상호 인증하여 망 인증 SW가 설치된 프로파일 저장장치를 장착한 해당 단말의 이동 통신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위하여 망 접속을 위한 망 접속 비밀 키를 사용한다. 마찬가지로, 수신 단말(120) 역시, 도 1의 구성요소 외에,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수신단말(12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 역시 송신단말(10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해당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단말을 지정하고, 지정된 단말에 대해 텍스트를 암호화 및 복호화 할 수 있는 암호화키의 생성을 해당 프로파일 설치서버로 요청하여 획득한다
도 11은 도 10의 장치 구성에서 암호화키를 송신단말 및 수신단말에 저장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수신 단말(120)이 임의의 통신사에 가입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1100a단계 내지 1100b단계를 통해서 상기 통신사의 통신사 서버(1000)로부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를 통해서 상기 통신사에 대응하는 망 접속을 할 수 있게 하는 프로파일 설치 요청을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수신 단말(102)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는 상기 프로파일 설치 요청으로부터 획득한 프로파일을 설치한다. 프로파일이 설치되면, 상기 수신단말(12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망인증 SW(1034)를 통해 상기 통신사의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1102단계에서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수신 단말(120)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수신 단말(120)의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1104단계에서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수신 단말(12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상기 수신 단말(12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 내의 프로파일 설치와, 해당 단말의 공개키 및 개인키 저장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 단말(100) 역시, 상기 통신사에 가입한 경우를 가정하면, 1106a단계 내지 1106b단계에서 상기 통신사 서버(1000)로부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를 통해서 해당 통신사에 대응하는 망 접속을 할 수 있게 하는 프로파일 설치 요청을 전달받는다. 그러면, 상기 송신 단말(10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는 상기 프로파일을 설치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 내의 프로파일 설치와, 해당 단말의 공개키 및 개인키의 저장 역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프로파일이 설치된 상기 송신 단말(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망인증 SW(1024)를 통해 상기 통신사의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통신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1108단계에서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한다. 그리고, 1110단계에서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와 개인키를 상기 송신 단말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에 저장한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상기 송신 단말(100)과 상기 수신 단말(120)이 가입한 통신사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송신 단말(100)과 상기 수신 단말(120)이 가입한 통신사는 다를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사 서버 역시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후, 1112단계 내지 1118단계를 통해서 송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12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단말을 지정하고, 해당 단말의 공개키를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송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120) 각각은 서로를 암호화된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할 단말로 지정한 경우를 가정하자.
구체적으로, 1112단계에서 송신 단말(100)은 상기 송신 단말(10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중 일 예로, 상기 수신 단말(12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MSISDN1)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에게 상기 MSISDN1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1114단계에서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획득하여 상기 송신 단말(100)에게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송신 단말(10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는 상기 MSISDN1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상기 수신 단말(1020)의 공개키로서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1116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120) 역시 상기 수신 단말(120)에 저장되어 있는 연락처 정보 중 상기 송신 단말(100)에 대응하는 전화번호(MSISDN2)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에게 상기 MSISDN2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1118단계에서 상기 프로파일 설치서버(1010)는 상기 MSISDN2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상기 수신 단말(120)에게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12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는 상기 MSISDN2에 대응하는 공개키를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단말에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송신 단말(100)의 도 2의 키보드 SW(104)의 동작 224 단계 내지 232 단계의 동작을 변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222단계에서 사용자(222)가 송신 단말(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실행된 메시지 앱 또는 메모 앱을 통해서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해 상기 키보드 SW(104)가 제공하는 작성완료 버튼에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작성완료 버튼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한 키보드 SW(104)가 1202단계에서 송신 단말(100)의 키보드 SW(104)를 통해서 입력된 텍스트의 암호화 요청을 상기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의 암/복호화 SW(1022)에게 전달된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키보드 SW(104)가 암호화키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키보드 SW(104)가 랜덤하게 생성한 암호화키를 상기 송신 단말(10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에 전달할 수 있다. 아니면, 다른 실시 예에 따라 1204단계에서 상기 송신 단말(10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20)의 암/복호화 SW(1022)가 암호화키를 랜덤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1206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 SW(1022)는 상기 랜덤으로 생성된 암호화키를 도 11에서의 절차를 통해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제1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암호화된 공개키를 키보드 SW(104)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1208단계에서 상기 송신 단말(100)의 키보드 SW(104)의 요청에 따라 암/복호화 SW(1022)는 수신 단말의 공개키로 상기 암호화키를 암호화하여 제2암호화키를 생성한다. 그러면, 1210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 SW(1022)는 1208단계에서 암호화된 암호화 키로 상기 입력된 텍스트를 암호화한다. 그리고, 1212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 SW(1022)는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키, 및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메시지에 추가 정보 및 특정 패턴을 추가하여 암호화된 텍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1214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SW(1022)는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상기 키보드 SW(104)에 전달할 수 있다 (1212).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단말이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동작 흐름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1310단계에서 사용자(1300)는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텍스트에게 터치 등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한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텍스트는 도 12의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단말이 암호화한 텍스트인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사용자 입력을 인지한 상기 수신 단말(100)의 상기 메시지 앱(122)은 1312단계에서 시스템 SW(126)에게 암호화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웹 브라우저의 호출 요청을 전달한다. 상기 호출 요청은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 요청을 수신한 시스템 SW(126)은 1314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26)는 상기 호출 요청에 포함된 암호화된 텍스트에 특정 패턴이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특정 패턴은 "http://" 또는 "https://" 등과 같은 URL 주소 형태로 포함되고, 일 예로, "http://secure.sec"와 같은 복호화 SW와 매핑되는 추가 특정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SW(126)는 특정 패턴 별로 암호화된 텍스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SW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확인 결과, 추가 특정 패턴이 존재할 경우, 1316단계에서 상기 시스템 SW(126)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복호화 SW(124)가 실행되도록 지시한다.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추가 특정 패턴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시스템 SW(126)은 상기 특정 패턴은 특정 웹 브라우저로의 연결을 지시하는 일반적인 URL 주소에 해당하므로, 상기 URL 주소에 해당하는 웹 브라우저를 실행한다.
상기 지시를 수신한 복호화 SW(124)는 1318단계에서 상기 수신 단말(120)의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 내의 암/복호화 SW(1032)에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의 복호화를 요청한다. 그러면, 1320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 SW(1032)는 복호할 '암호화된 텍스트'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송신 단말(10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1암호화키와, 상기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키를 수신단말(120)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2암호화키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암호화 주체의 확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복호화 SW(1032)는 프로파일 저장장치(1030)로부터 획득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기 수신 단말(12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키 각각을 복호한다. 그리고, 상기 복호가 성공한 암호화키를 갖는 단말을 암호화 주체로 결정한다. 일 예로, 상기 제2암호화키의 복호가 성공하여, 암호화 주체가 상기 수신 단말(120)로 확인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1322단계에서 상기 암/복호화 SW(1032)는 상기 제2암호화키를 복호하여 획득한 랜덤으로 생성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텍스트 내의 암호화된 메시지를 복호한다. 그리고, 1324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24)는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1326단계에서 상기 복호화 SW(124)는 상기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상기 원문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 앱(122)이 실행된 화면이 아니라 상기 수신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팝 업창 등과 같은 별도의 부분 창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호된 원문 메시지가 제한된 사용자들에게만 확인될 수 있도록 잠금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단말의 화면 상에 메시지 앱이 실행되면, 보안 모드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를 상기 메시지 앱의 실행 창에 실행시키는 과정과,
    상기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모드로 전환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작성 완료 지시를 감지하면,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전송 버튼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임시 저장된 메시지를 삭제하고,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타겟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랜덤 암호화 키를 상기 송신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제1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랜덤 암호화 키를 타겟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제2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메시지를 상기 랜덤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할 타겟 단말을 지정하여, 가입한 통신망의 프로 파일을 제공하는 통신 서버에게 상기 타겟 단말의 공개키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제1암호화키와, 상기 제2암호화 키 및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열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열은 복호화 소프트 웨어와 매핑되는 추가 패턴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의 복호 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조 단말의 화면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송신 방법.
  7.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시지 실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 내에 복호화 소프트 웨어와 매핑되는 추가 패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가 패턴이 존재하면, 복호화 소프트 웨어를 실행하여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실행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는,
    랜덤 암호화 키를 송신 단말의 공개키로 암호화한 제1암호화키와, 상기 랜덤 암호화키를 타겟 단말의 공개 키로 암호화한 제2암호화 키와, 상기 랜덤 암호화키로 암호화된 상기 원문 메시지를 포함하는 문자열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과정은,
    미리 저장하고 있는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암호화 키 및 상기 제2암호화 키를 복호하여 상기 원문 메시지의 암호화 주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암호화 키와 상기 제2암호화 키 중 복호 성공된 암호화 키를 구비한 단말의 개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할 타겟 단말을 지정하여, 가입한 통신망의 프로 파일을 제공하는 통신 서버에게 상기 타겟 단말의 공개키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 수신 방법.
  11.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단말에 있어서,
    송신 단말의 화면 상에 메시지 앱이 실행되면, 보안 모드의 선택 버튼을 제공하는 키보드를 상기 메시지 앱 실행 창에 실행시키도록 키보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선택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안 모드로 전환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고, 상기 키보드를 통해서 작성 완료 지시를 감지하면,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키보드 부를 포함하는 송신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2항 내지 6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단말.
  13. 단말간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원문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복호부와,
    메시지 실행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 내에 복호화 소프트 웨어와 매핑되는 추가 패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추가 패턴이 존재하면 상기 복호화 소프트 웨어를 실행시키고, 상기 복호화된 원문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실행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8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단말.
PCT/KR2014/012591 2013-12-20 2014-12-19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09389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71532.9A EP3086587B1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CN201480075439.9A CN105981423B (zh) 2013-12-20 2014-12-19 用于在终端之间发送和接收加密消息的方法和装置
US15/106,805 US10880736B2 (en) 2013-12-20 2014-12-1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60628 2013-12-20
KR10-2013-0160628 2013-12-20
KR10-2014-0097193 2014-07-30
KR1020140097193A KR102195900B1 (ko) 2013-12-20 2014-07-30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3898A1 true WO2015093898A1 (ko) 2015-06-25

Family

ID=5340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2591 WO2015093898A1 (ko) 2013-12-20 2014-12-19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50938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0965A (zh) * 2019-12-10 2020-03-17 天津华云软件有限公司 数据加密方法、装置、数据解密方法及装置
CN112367323A (zh) * 2020-11-10 2021-02-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文本端到端加解密系统与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67A (ko) * 2008-07-29 2010-02-08 (주) 엘지텔레콤 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322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KR20120132013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 모듈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 방법
KR101267875B1 (ko) * 2012-01-27 2013-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567A (ko) * 2008-07-29 2010-02-08 (주) 엘지텔레콤 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322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KR20120132013A (ko) *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 모듈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안 방법
KR101267875B1 (ko) * 2012-01-27 2013-05-27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메시지 암·복호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0965A (zh) * 2019-12-10 2020-03-17 天津华云软件有限公司 数据加密方法、装置、数据解密方法及装置
CN112367323A (zh) * 2020-11-10 2021-02-12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的文本端到端加解密系统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07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KR100958110B1 (ko)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증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방법
WO2016137304A1 (en) Trust-zone-based end-to-end security
JP5688458B2 (ja) セキュリティ部品及び携帯通信装置において複数の加入者プロファイルを安全に使用するシステムと方法
WO2022041806A1 (zh) 鉴权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5180581A1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978920B (zh) 一种访问可信应用的方法及ta
CN101853533B (zh) 用于楼宇门禁系统的密码设定方法和装置
WO2013176491A1 (ko) 웹 서비스 사용자 인증 방법
JP2006060589A (ja) グループ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WO2014200163A1 (ko) 광학 문자 인식을 이용하는 정보 암호화 시스템 및 정보 암호화 방법
WO2016064041A1 (ko) 해쉬값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위변조 여부를 탐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위변조 탐지 방법
CN103930899A (zh) 用于管理在设备处输入的公用数据和私人数据的方法
CN106231115A (zh) 一种信息保护方法及终端
WO2017034378A1 (ko) 접근성을 이용하는 정보 보안 장치 및 정보 보안 방법
WO2013066011A1 (ko) 근접 통신에 의한 동의절차를 이용한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CN108667820B (zh) 共享电子白板加密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WO2015093898A1 (ko)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5908296B2 (ja)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システム、情報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64040A1 (ko) 서명정보를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위변조 여부를 탐지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위변조 탐지 방법
CN102360407A (zh) 一种手机与电脑的通讯方法
JP4777693B2 (ja) 認証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及び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101409175B1 (ko) 스마트기기의 보안파일 접근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15160190A1 (ko) 사용자 인증용 가상 키보드 생성 장치 및 방법
WO20221771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to device secret backup and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10680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15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715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15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