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220A -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220A
KR20110083220A KR1020100003333A KR20100003333A KR20110083220A KR 20110083220 A KR20110083220 A KR 20110083220A KR 1020100003333 A KR1020100003333 A KR 1020100003333A KR 20100003333 A KR20100003333 A KR 20100003333A KR 20110083220 A KR20110083220 A KR 20110083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encrypted
encryption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146B1 (ko
Inventor
박준규
박형상
유충범
조성중
최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146B1/ko
Priority to US12/835,879 priority patent/US20110170689A1/en
Publication of KR2011008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04L2209/805Lightweight hardware, e.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부여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상대 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METHOD FOR PROCESSING AN ENCRYPTED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휴대용 단말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암호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송신하고, 수신되는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 대중화되면서 모든 업무나 개인적인 일도 직접 만나기 보다는 휴대폰을 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최근 복제폰 등을 통해 특정 단말의 통화, 문자 등을 가로채는 경우가 발생해 사생활 보호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가 있는 상황에서 적합한 기능으로, 기존의 보호 기능을 개선해 휴대폰 복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이를 무력화하여 개인간의 문자(SMS/MMS, Short Message Service/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종래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은 특정 암호화 키를 사용하거나 특정 서버를 사용하는 다수의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테면, 종래기술 1은 나와 상대방이 미리 약속한 암호화 키를 설정하여 암호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자는 암호화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대방과 약속된 암호화 키를 직접 입력하여야 해당 암호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 2는, 위의 발명과 유사한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나 특정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삽입하여 보내고, 메시지의 복호화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특정 위치(회사 건물 등)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 3은 암호화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서버를 제공한다. 이 경우, 단말기는 메시지의 암호화를 위해 서버에 접속해야 하고, 암호화된 메시지의 수신시에도 서버에 접속해야 암호화키로 변경된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송신 단말은 각자의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더라도, 수신 단말은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 4는 개인이 미리 등록한 특정 시간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별도의 서버에서 암호화 메시지를 보관하고 있다가 특정 시간이 되면 미리 정해진 암호화 방식의 암호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언급된 종래기술 중 약속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간 또는 단말기간의 암호화 키가 유출될 수 있으며 유출이 성공하거나 단말의 복제가 성공하면 해당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식은 서버의 자체 유출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복제폰에서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여 복호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암호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에 부여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대 단말에 부여된 제2 암호화 정보가 모두 있어야 암호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부여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상대 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제조과정에서 부여되거나, 상기 단말의 구동 또는 부팅 시 특정 서버로부터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key),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가 상기 상대 단말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와,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와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와, 상기 암호화 처리부에 의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대 단말로부터 암호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 중 상기 제1 암호화 정보와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와, 상기 제 2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복호화 하는 복호화 처리부와, 상기 복호화 처리부에 의해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는 지에 따라 상기 복호화 단계의 동작을 요청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미리 설정된 메시지 또는 그림을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인증 처리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임의의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제2 암호화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에 따라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제조과정에서 부여되거나, 상기 단말의 구동 또는 부팅 시 특정 서버로부터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key),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암호화 메시지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임의의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제2 암호화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는 지에 따라 상기 복호화 단계의 동작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미리 설정된 메시지 또는 그림을 표시하고, 상기 복호화 단계의 복호화 과정이 끝날 때까지 상기 표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암호화 코드는 각 단말기별 다르게 적용되므로, 기존의 폰 복제 방식을 통해서 암호화 코드가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제폰이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해독되지 못하여 메시지의 보안성이 강해질 수 있다.
또한, 단말기별로 다른 암호화 방식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제폰이나 다른 휴대폰이 암호화 메시지를 가로채더라도 서로 다른 암호화 키 또는 다른 방식의 암호화로 인해 메시지를 복호화하지 못한다.
또한, 메시지의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을 위한 별도의 서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통신 서버 및 통신사와 관계없이 제조사의 개발만으로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암호화된 메시지는 일반 메시지와 같이 전송되므로, 통신 서버에서 메시지의 복사본이 존재하더라도 암호화 방식을 알지 못하여 복호화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메시지 송수신의 사생활 보호 기능을 강화하여, 여성, 연인, 친한 사이, 또래 학생 등의 많은 사람들이 주변 노출이 꺼려지는 문자를 발송시에 유용한 제품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유명연예인의 휴대폰처럼 복제되거나 도청되더라도, 복제폰 또는 도청 장치가 암호화된 메시지를 해독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위한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에 의해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송신 처리부와 메시지 수신 처리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a, 도 4b,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작성부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창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위한 메시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a, 도 6b는 도 3에 도시된 메시지 표시부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창의 예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암호화 정보 관리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송신 처리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수신 처리부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을 위한 휴대용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은 메모리(100)와 제어부(200)와 RF부(300)와 표시부(400)와 키입력부(50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메모리(100)는 휴대용 단말에 부여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1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key),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호화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제조과정에서 부여되거나, 상기 단말의 구동 또는 부팅시 특정 서버로부터 부여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제1 암호화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최초 부팅 시 내장 칩(Chip)에 의해 랜덤하게 혹은 특정코드로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의 특정코드(이를 테면, 시리얼 번호,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과 관련이 없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암호화 정보는,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암호화 정보는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가 상기 상대 단말 또는 특정 서버(이를테면, 앱스토어, 문자서비스 서버 등)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메모리(100) 및 다른 구성(300 내지 600)과의 연동을 통해 휴대용 단말의 통신 제어 및 서비스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0)는 상대 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메모리(100)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상대 단말로부터 암호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모리(100)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 중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00)는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와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와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100)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를 상대 단말로 송신하고,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제2 암호화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2 암호화 정보를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한다.
메시지 송신 처리부(200)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여 송신한다.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는 상대 단말로부터 암호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모리(100)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 중 상기 제1 암호화 정보와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이때,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 및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에 의해 처리되는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여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본의 메시지(11)은 임의의 단말(10)내에서 암호화되어, 상대 단말(20)로 전송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말(10)의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는 메모리(100)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1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작성되는 메시지(11)를 암호화 한다.
그리고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는 암호화된 메시지(13)의 수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14)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13)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상대 단말(20)은 전송된 암호화 메시지(15, 21)를 수신한다. 상대 단말(20)의 메시지 수신 처리부(미도시됨)는 자체 구비된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22)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21)를 복호화 한다.
그리고 상대 단말(20)의 메시지 수신 처리부는 단말(10)의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24)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23)를 복호화한다.
이에 따라, 상대 단말에 의해 최종 복호화된 메시지(25)는 상기 단말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11)과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는 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를 각각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11)을 순차적으로 암호화하는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는 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의 조합을 통해 한 번의 암호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는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 하기 전에, 소정의 인증 과정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와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의 상세한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는 메시지 작성부(221)와 제 1 판단부(222)와 암호화 처리부(223)와 송신 처리부(224)를 포함한다.
메시지 작성부(22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한다.
이때, 메시지 작성부(221)는 표시부(400)와의 연동을 통해 메시지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창(이를테면, 도 4a에 도시된 화면창(30), 도 4b에 도시된 화면창(40), 도 4c에 도시된 화면창(50) 중 하나)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를 입력되는 수신 전화번호와 함께 구성하여 생성한다.
도 4a에 도시된 화면창(30)은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암호화 메시지를 입력받는 경우의 화면창으로, 암호화 메시지 입력을 위한 영역과 확인버튼(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화면창(4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부분(42)의 암호화 메시지 및 다른 부분의 일반 메시지를 함께 입력받는 경우의 화면창으로, 암호화 메시지를 위한 특정 부분(42) 및 다른 부분이 구분 가능한 영역과 구분 명령을 위한 체크버튼(42)과 입력 명령을 위한 확인버튼(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화면창(50)은 사용자로부터 일반 메시지와 암호화 메시지를 별도로 입력 받는 경우로, 일반 메시지의 입력을 위한 영역(51)와 암호화 메시지의 입력을 위한 영역(52)와 확인버튼(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판단부(222)는 메시지 작성부(221)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한다.
특히, 제 1 판단부(222)는 상기 화면창(30, 40, 50)의 이전 또는 이후, 암호화 메시지 작성을 명령하는 팝업창 또는 버튼을 제공하여, 암호화 메시지 작성을 판단할 수 있다.
암호화 처리부(223)는 제 1 판단부(222)의 판단결과, 상기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제1 암호화 정보(12) 및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14)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이때, 암호화 처리부(223)는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텍스트를 각 암호화 정보(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에 따라 암호화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암호화 처리부(223)는 상기 각 암호화 정보(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가 암호화 키로 구현된 경우, 상기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섞는 방법, 압축하는 방법, 다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방법, 상기 메시지의 내용에 다른 문자 또는 코드를 추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처리부(223)는 상기 각 암호화 정보(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가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로 구현된 경우, 상기 암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상기 메시지의 내용을 암호화 할 수 있다.
한편, 송신 처리부(224)는 암호화 처리부(223)에 의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송신 처리부(224)는 메시지 작성부(221)에 의해 입력된 다른 메시지(이를테면, 별도로 입력된 일반 메시지 또는 다른 부분의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메시지와 상기 암호화 메시지를 함께 구성하여 수신 전화번호로 송신한다.
또한, 송신 처리부(224)는 송신할 메시지의 구성을 도 5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송신할 메시지는 헤더부분(A)과 데이터부분(B)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부분(A)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수신 전화번호, 단말의 발신 전화번호, 메시지의 암호화 여부를 나타내는 헤더정보가 삽입될 수 있다.
데이터부분(B)는 메시지 작성부(221)에 의해 입력된 암호화 메시지 및 일반 메시지의 내용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는 수신 처리부(231)와 제 2 판단부(232)와 인증 처리부(233)와 복호화 처리부(234)와 메시지 표시부(235)를 포함한다.
수신 처리부(231)는 임의의 발신 전화번호의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암호화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 2 판단부(232)는 수신 처리부(231)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한다.
인증 처리부(233)는 제 2 판단부(232)의 판단결과,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과정(이를 테면, 본인 인증을 위한 주민번호 입력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인증과정은 단말의 사용자 본인 인증을 위해 안구 혈류 측정을 통한 인증 방법, 안면 인식이나 지문 인식을 통한 인증 방법, 비밀번호나 보안 코드를 통한 인증 방법, 인증을 위한 특정 서버를 통한 인증 방법 중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복호화 처리부(234)는 인증 처리부(233)의 인증이 성공하면, 메모리(100)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복호화 한다.
메시지 표시부(235)는 복호화 처리부(234)에 의해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때, 메시지 표시부(235)는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창(이를 테면, 도 6a에 도시된 화면창(6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화면창(60)은 메시지 표시부(235)에 의해 표시된 복호화된 메시지를 보여준다.
나아가, 메시지 표시부(235)는 수신 처리부(231)의 메시지 수신이 발생하면, 기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창(이를테면, 도 6b에 도시된 7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화면창(70)은 기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영역(71)과, 확인버튼(72)과 복호화 시작 버튼(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영역(71)에 표시된 기설정된 메시지는 사용자 또는 발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메시지나 화면, 암호화 메시지에 포함된 일반 메시지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복호화 시작 버튼(73)은 화면창(70)의 화면에 직접 표시되지 않고 특정 key의 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표시부(235)는 다른 사람이 암호화 메시지의 여부를 알지 못하도록,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일반 메시지만을 표시한 후 특정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약속된 코드(이를 테면, 일반 메시지의 마지막 부분에 "#"표시)를 삽입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RF부(300)는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으며, 제어부(2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RF부(3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표시부(400)는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제어부(200)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창, 전반적인 상태 화면 등을 표시한다.
키 입력부(500)는 다수의 숫자 키와 메뉴 키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근처의 전자 기기 및 상대 단말과의 연동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을 제공한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는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100)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상대 단말로 송신하고,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제2 암호화 정보 및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정보 교환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뿐 아니라 다른 통신 모듈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는 임의의 제1 암호화 정보를 할당하여 메모리(100)에 저장한다(S10).
그리고,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지정되는 상대 단말로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암호화 정보를 송신한다(S11).
이때,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를 이용하여 상대 단말로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 정보 관리부(210)는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제2 암호화 정보가 수신되면(S12), 메모리(100)에 상기 수신된 제2 암호화 정보를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상응하여 저장한다(S13).
이에 따라, 단말과 상대 단말은 자신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상대 단말에게 전달하고,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여 제2 암호화 정보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송신 처리부(22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시지 작성부(22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한다(S20).
제 1 판단부(222)는 상기 S20 단계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한다(S21).
상기 S21 단계의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로 판단되면, 암호화 처리부(223)는 메모리(100)의 제1 암호화 정보(12) 및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14)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한다(S22).
송신 처리부(224)는 상기 S22 단계에 의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화번호로 송신한다(S23).
이에 따라, 단말(10)은 원본 메시지(11)를 제1 암호화 정보(12) 및 제2 암호화 정보(14)를 통해 암호화시켜 상대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수신 처리부(23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신 처리부(231)는 임의의 메시지를 수신한다(S30).
제 2 판단부(232)는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한다(S31).
상기 S31 단계의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로 판단되면, 인증 처리부(233)는 사용자에 대한 일련의 인증과정(이를 테면, 본인 인증을 위한 주민번호 입력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하였는 지를 판단한다(S32).
상기 S32 단계의 판단결과, 사용자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복호화 처리부(234)는 제1 암호화 정보(22) 및 상기 암호화 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24)를 이용하여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한다.(S33).
그리고, 메시지 표시부(235)는 상기 S33 단계에 의해 복호화 된 메시지를 표시한다(S34).
상기 S31 단계의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메시지 표시부(235)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한다(S35).
이에 따라, 상대 단말(20)은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21)를 제1 암호화 정보(22) 및 제2 암호화 정보(24)를 통해 복호화 하여 복호화된 메시지(25)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단말
11 : 단말의 원본 메시지
12 : 단말의 제1 암호화 메시지
13, 15 : 단말의 암호화된 메시지
14 : 단말의 제2 암호화 메시지
20 : 상대 단말
21 : 암호화 메시지
22 :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메시지
23, 25 : 상대 단말의 복호화된 메시지
24 : 상대 단말의 제2 암호화 메시지
30 내지 70 : 화면창
100 : 메모리
200 : 제어부
210 : 암호화 정보 관리부
221 : 메시지 작성부
222 : 제1 판단부
223 : 암호화 처리부
224 : 송신 처리부
220 : 메시지 송신 처리부
230 : 메시지 수신 처리부
231 : 수신 처리부
232 : 제2 판단부
233 : 인증 처리부
234 : 복호화 처리부
235 : 메시지 표시부
300 : RF부
400 : 표시부
500 : 키입력부
60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Claims (21)

  1. 휴대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에 부여된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상대 단말로 메시지를 송신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제조과정에서 부여되거나, 상기 단말의 구동 또는 부팅 시 특정 서버로부터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key),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가 상기 상대 단말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수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작성부;
    상기 메시지 작성부에 의해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메시지의 수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와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처리부; 및
    상기 암호화 처리부에 의해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 단말로부터 암호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암호화 정보 중 상기 제1 암호화 정보와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
    상기 제 2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복호화 하는 복호화 처리부; 및
    상기 복호화 처리부에 의해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는 지에 따라 상기 복호화 단계의 동작을 요청하는 인증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미리 설정된 메시지 또는 그림을 화면에 표시한 후, 상기 인증 처리부의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
  11.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임의의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제2 암호화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메시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작성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에 따라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상기 단말의 제조과정에서 부여되거나, 상기 단말의 구동 또는 부팅 시 특정 서버로부터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key),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상대 단말 또는 특정 서버로부터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작성된 메시지의 전체 또는 일부를 암호화 메시지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7.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임의의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 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제2 암호화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로부터 임의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호화 정보는
    상기 상대 단말의 제1 암호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암호화 정보 및 제2 암호화 정보는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 키, 암호화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되는 지에 따라 상기 복호화 단계의 동작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상기 수신된 메시지가 암호화 메시지인 경우, 미리 설정된 메시지 또는 그림을 표시하고, 상기 복호화 단계의 복호화 과정이 끝날 때까지 상기 표시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KR1020100003333A 2010-01-14 2010-01-14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KR10106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33A KR101067146B1 (ko) 2010-01-14 2010-01-14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US12/835,879 US20110170689A1 (en) 2010-01-14 2010-07-14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encrypted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333A KR101067146B1 (ko) 2010-01-14 2010-01-14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220A true KR20110083220A (ko) 2011-07-20
KR101067146B1 KR101067146B1 (ko) 2011-09-22

Family

ID=4425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333A KR101067146B1 (ko) 2010-01-14 2010-01-14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70689A1 (ko)
KR (1) KR1010671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98A1 (ko) *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44556A (ko) * 2014-06-17 2015-12-28 주식회사 케이티 문자 메시지 암호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US10880736B2 (en) 2013-12-2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816B1 (ko) * 2015-08-26 2017-03-13 (주)포제 접근성을 이용하는 정보 보안 장치 및 정보 보안 방법
JP6456451B1 (ja) * 2017-09-25 2019-01-23 エヌ・ティ・ティ・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900479A (zh) * 2018-06-12 2018-11-27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短信验证码获取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5376B2 (en) * 2001-02-14 2006-08-01 Copytele,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exchanging encryption key determination information
US7444512B2 (en) * 2003-04-11 2008-10-28 Intel Corporation Establishing trust without revealing identity
KR100520116B1 (ko) * 2003-05-16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상의 암호화를 위한 노드간 키 분배 방법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20050086088A (ko) * 2004-02-24 2005-08-30 이주원 문자 메시지 암호화 방법 및 장치
US7940932B2 (en) * 2004-04-08 2011-05-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ecuring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personalization and other data on a first processor and secure communication of the SIM data to a second processor
JP4130653B2 (ja) * 2004-12-20 2008-08-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擬似公開鍵暗号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30266A (ko) * 2006-09-29 2008-04-04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암호화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A2702780C (en) * 2008-05-12 2016-08-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curity measures for countering unauthorized decryption
CN101662765B (zh) * 2008-08-29 2013-08-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短信保密系统及方法
KR100931986B1 (ko) * 2009-04-10 2009-12-15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단말기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US20110117883A1 (en) * 2009-11-19 2011-05-19 David Drabo Encrypted tex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98A1 (ko) * 2013-12-20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암호화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80736B2 (en) 2013-12-2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ed message between terminals
KR20150144556A (ko) * 2014-06-17 2015-12-28 주식회사 케이티 문자 메시지 암호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70689A1 (en) 2011-07-14
KR101067146B1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730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essages between two mobile phones
US8543091B2 (en) Secure short message service (SMS) communications
KR101067146B1 (ko) 휴대용 단말의 암호화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휴대용 단말
CN103929307A (zh) 密码输入方法、智能密钥设备以及客户端装置
CN101325485A (zh) 处理电子设备中信息的方法、系统、电子设备和处理块
CN111143474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手机号码一键换绑的方法
KR20070090768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40079219A1 (en) System and a method enabling secure transmission of sms
US20210184851A1 (en) Authent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2075615A (zh) 一种短消息发送、接收方法及客户识别模块
CN10597586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
JP2009500974A (ja) Sim機能を保全モジュールに後日に実装するための方法
CN102572750A (zh) 一种短信保护方法及终端
CN105592431A (zh) 基于iOS系统移动终端的短信加密方法
CN103945348A (zh) 一种非对称密钥短信加密方法和系统
CN101754209A (zh) 保护手机信息内容的方法
CN105391677A (zh) 一种信息传递方法及移动终端
EP1830296A1 (en) Portable telephone and program for sending and 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mail
CN103916834A (zh) 一种用户独享密钥的短信加密方法和系统
US20150156173A1 (en)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fingerprint information and use thereof
US2016022741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eventing information disclosure
KR20100012567A (ko) 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0769A (ko) 휴대 전화, 및 상기 휴대 전화가 판독가능한 전자 메일송수신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TW201424332A (zh) 個人資訊保護系統及方法
CN110826097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