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80481A1 -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80481A1
WO2015080481A1 PCT/KR2014/011460 KR2014011460W WO2015080481A1 WO 2015080481 A1 WO2015080481 A1 WO 2015080481A1 KR 2014011460 W KR2014011460 W KR 2014011460W WO 2015080481 A1 WO2015080481 A1 WO 20150804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ver part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front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14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석정원
Original Assignee
석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원 filed Critical 석정원
Publication of WO20150804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8048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45C13/007Hinge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Definitions

  • the case 4 includes a front cover part 1 covering the front of the screen, a bottom cover part 2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the front cover part 1. It comprises a connecting portion (3) for connecting the bottom cover portion (2).
  •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utilized as a stand upright.
  • the rear cover part may include a first rear cover part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cover part and a second rear cover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rear cover part.
  • the front cover portion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to be the reference to rotate and includes a support member that is fixed in position in the stat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cover portion desirabl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 Figures 4 and 5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 the side cover portion 1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cover portion 10, the front cover portion 20, the rear cover portion 3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 40).
  • the side cover part 10 is a part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200.
  • the side cover portion 1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material of the side cover portion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fabric, leather.
  • the spring employ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40 includes a first support bar 41, a second support bar 42, and a first coil part 43. ).
  • the first support bar 41 is supported by the side cover part 10.
  • the side cover part 10 is formed with a first groove 13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bar 41 of the spring is inserted.
  • the second support bar 42 is supported by the front cover part 20.
  • the front cover part 20 is formed with a second groove 22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bar 42 of the spring is inserted.
  • the first groove 13 and the second groove 22 are formed to be exposed to the side cover portion 10 and the front cover portion 20, but, of course, the side cover portion 10 and the front cover It may be implement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portion 20, the form of the spring is also not limited to the form shown in FIG. Therefore, the spring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third support bar 61 is supported by the side cover part 10.
  • the side cover part 10 is formed with a third groove 14 into which the third support bar 61 of the spring is inserted.
  • the fourth support bar 62 is supported by the rear cover part 30.
  • a fourth groove 32 into which the fourth support bar 62 of the spring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ear cover part 30.
  • first rear cover part 33 rotates around the third hinge shaft 100. Since the second rear cover part 34 is fixed to the rear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200, as a result, when the front cover part 20 moves to the rear of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200, the second rear cover part 34 is moved.
  • the first rear cover part 33 is positioned below the cover part 34, and the front cover part 20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rear cover part 33.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커버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커버부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가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커버부를 상기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전면커버부가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본 발명은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덮는 전면커버부를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전면커버부가 자동적으로 화면을 덮도록 하여 화면을 보호하고,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로 기능 함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테블릿PC 등과 같은 모바일 전자기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에서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보호를 위해 케이스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은 모바일 전자기기 중에서 휴대폰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는 화면의 전면을 덮는 전면커버부(1)와, 휴대폰케이스의 저면에 결합하는 저면커버부(2), 및 상기 전면커버부(1)와 상기 저면커버부(2)를 연결하는 연결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케이스(4)에 채용되는 전면커버부(1)는 예컨대, 모바일 전자기기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경우, 낙하 중에 회동하여 화면을 제대로 보호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모바일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동영상 등을 감상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비스듬이 세워둘 수 있는 거치대가 있으면 편리할 것이나, 종래 케이스(4)는 이러한 거치대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별도의 지지물이 없으면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를 비스듬이 기울린 상태로 유지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모바일 전자기기에 결합한 후에, 상기 전면커버부(1)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모바일 전자기기를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전면커버부를 상기 화면에 대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화면의 전부를 노출시키기 않고 일부만을 보고자 할 때, 즉 화면에 대하여 상기 전면커버부(1)를 일정 각도로만 회동하여 화면의 일부를 보고자 하는 경우라도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덮는 전면커버부를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전면커버부가 자동적으로 화면을 덮도록 하여 화면을 보호하도록 하며,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로 기능함과 동시에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거치대로 활용 가능하도록 한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전면커버부는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사용자가 전면커버부를 회동시키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부는 자동적으로 상기 화면을 덮게 된다. 따라서, 전면커버부를 회동시켜 화면을 보고 있던 상태 또는 전면커버부가 화면을 덮은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모바일 전자기기를 놓친 경우,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가 화면을 덮도록 하여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전자기기를 비스듬이 세워두는 거치대로 활용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누름부를 이용하여 전면커버부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전면커버부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면커버부를 회동시키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전면커버부는 자동적으로 상기 화면을 덮게 되므로 사용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분리 사시도,
도4 및 도5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7 및 도10은 도6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화면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부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커버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커버부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가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커버부를 상기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부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의 후면 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부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후면커버부와, 상기 제1 후면커버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후면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후면커버부가 상기 제1 후면커버부에 대해 회동한 경우, 상기 제1 후면커버부와 상기 제2 후면커버부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면커버부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면커버부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전면커버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의 상면에는 끼움홈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부재에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후면커버부가 상기 전면커버부의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후면커버부를 상기 전면커버부에 대하여 위치 고정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전면커버부에 마련되는 스토퍼홈과, 상기 제2 후면커버부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4 및 도5는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측면커버부(10), 전면커버부(20), 후면커버부(30), 및 제1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커버부(10)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측면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면커버부(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어진다. 물론, 상기 측면커버부(10)의 소재는 직물, 가죽 소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는 휴대폰, 테블릿PC 등 사용자가 간편하게 소지하여 이동하면서 사용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며, 어느 특정한 전자기기로 한정될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화면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부(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20)와 상기 측면커버부(10)는 제1 힌지축(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전면커버부(20)에는 상기 제1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제1 결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10)에는 상기 제1 힌지축(50)이 삽입되는 제2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힌지축(50)은 상기 제1 결합부(21)와 상기 제2 결합부(11)에 삽입된다.
물론, 상기 전면커버부(20)와 상기 측면커버부(10)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상기 제1 힌지축(50)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측면커버부(10)가 직물이나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재의 특성상 결합부위에서 휘어짐이 가능하므로,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측면커버부(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다.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상기 측면커버부(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30)와 상기 측면커버부(10)는 제2 힌지축(9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면커버부(30)에는 상기 제2 힌지축(90)이 삽입되는 제3 결합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커버부(10)에는 상기 제2 힌지축(90)이 삽입되는 제4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힌지축(90)은 상기 제3 결합부(31)와 상기 제4 결합부(12)에 삽입된다.
물론, 상기 후면커버부(30)와 상기 측면커버부(10)가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상기 제2 힌지축(90)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측면커버부(10)가 상기 직물이나 가죽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재의 특성상 결합부위에서 휘어짐이 가능하므로,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상기 측면커버부(1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상기 전면커버부(20)가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상기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며,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스프링이며, 더 구체적으로 토션스프링이 이용된다. 물론,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40)로 채용된 스프링은, 제1 지지바(41), 제2 지지바(42), 및 제1 코일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바(41)는 상기 측면커버부(10)에 지지된다. 상기 측면커버부(10)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1 지지바(41)가 삽입되는 제1 홈(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바(42)는 상기 전면커버부(20)에 지지된다. 상기 전면커버부(20)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2 지지바(42)가 삽입되는 제2 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코일부(43)는 상기 제1 지지바(41) 및 상기 제2 지지바(42)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와이어가 코일링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1 홈(13) 및 제2 홈(22)은 상기 측면커버부(10) 및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물론, 측면커버부(10) 및 전면커버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형태 역시 도3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제2 탄성부재(60), 받침부재(70), 및 누름부(8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60)는 상기 후면커버부(3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60)에 의해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탄성부재(60)는 스프링이며, 더 구체적으로 토션스프링이 이용된다. 물론, 상기 제2 탄성부재(60)는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탄성부재(60)로 채용된 스프링은, 상기 제1 탄성부재(40)로 채용된 스프링과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탄성부재(60)로 사용된 스프링은, 제3 지지바(61), 제4 지지바(62), 및 제2 코일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지지바(61)는 상기 측면커버부(10)에 지지된다. 상기 측면커버부(10)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3 지지바(61)가 삽입되는 제3 홈(14)이 형성된다.
상기 제4 지지바(62)는 상기 후면커버부(30)에 지지된다. 상기 후면커버부(30)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4 지지바(62)가 삽입되는 제4 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코일부(63)는 상기 제3 지지바(61) 및 상기 제4 지지바(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와이어가 코일링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3 홈(14) 및 제4 홈(32)은 상기 측면커버부(10) 및 상기 후면커버부(30)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물론, 측면커버부(10) 및 후면커버부(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형태 역시 도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활용되는 경우 사용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전면커버부(20)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후면커버부(30)가 이루는 면과 상기 전면커버부(20)가 이를 각을 소정의 각도로 유지시키고, 상기 받침부재(70)를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시켜 상기 받침부재(70)의 일단부를 상기 후면커버부(30)에 거치함으로써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비스듬이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누름부(80)는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용이하게 회동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누름부(80)는 상기 측면커버부(10)와 인접한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80)는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 누름홈이다. 상기 누름홈은 복수개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누름홈을 이용하여 상기 전면커버부(20)를 회동시키는 힘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80)에 의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도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부(80)는 누름홈의 형태로 이루어지나,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화면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부(20)를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제1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측면커버부(10)는 제2 힌지축(90)에 의해 회동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면커버부(2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면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부(20)를 회동시키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제2 탄성부재(60)에 의해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상기 후면 측으로 회동하려는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자동적으로 상기 전면커버부(20)가 화면의 상측으로 회동하여 화면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바닥으로 떨어뜨린 경우 자동적으로 전면커버부(20)가 화면을 덮도록 하여 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소정의 각도로만 들어올려 화면을 본 후에 전면커버부(20)를 놓으면 자동으로 전면커버부(20)가 화면을 덮게 되므로 이용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부(20)를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받침부재(70)를 이용하여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비스듬이 세워둘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6 및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7 및 도8을 도6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6 내지 도8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이미 상술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도2의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6 내지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도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후면커버부(30) 및 받침부재(70)의 구성이 상이하며, 제3 탄성부재(110) 및 스토퍼(130)를 더 구비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채용된 후면커버부(30)는 제1 후면커버부(33)와 제2 후면커버부(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커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는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상기 측면커버부(10)와 상기 제2 힌지축(9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 탄성부재(6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2 힌지축(90) 및 상기 제2 탄성부재(60)의 작용 및 구성은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와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제3 힌지축(1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후면커버부(33)가 제2 후면커버부(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한 구조는 상기 제3 힌지축(100)에 의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 대해 회동한 경우, 제3 탄성부재(110)는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와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재(110)는, 제1,2 탄성부재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탄성부재(110)로 사용된 스프링은, 제5 지지바(111), 제6 지지바(112), 및 제3 코일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5 지지바(111)는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 지지된다.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5 지지바(111)가 삽입되는 제5 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제6 지지바(112)는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 지지된다.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는 상기 스프링의 제6 지지바(112)가 삽입되는 제6 홈(341)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코일부(113)는 상기 제5 지지바(111) 및 상기 제6 지지바(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와이어가 코일링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5 홈(331) 및 제6 홈(341)은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 및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물론, 제1 후면커버부(33) 및 제2 후면커버부(34)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형태 역시 도6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고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고정된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는, 예컨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거나, 양면테이프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거치대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부재(70)는, 도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활용되는 경우 사용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전면커버부(20)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70)는 제4 힌지축(12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70)는 끼움홈(71)과 삽입돌기(72)를 포함한다.
상기 끼움홈(71)은 상기 받침부재(70)가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전면커버부(2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에 마련된 홈이다.
상기 삽입돌기(72)는 상기 끼움홈(71)에 삽입되도록 상기 받침부재(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도8의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70)가 회동하여, 상기 삽입돌기(72)가 상기 끼움홈(71)에 삽입됨으로써 도9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130)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를 거치대로 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를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위치 고정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130)는 스토퍼홈(131)과 위치고정돌기(132)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홈(131)은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홈(131)은 2개가 마련되어 있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위치고정돌기(132)는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 마련되고, 상기 위치고정돌기(132)는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홈(131)에 삽입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130)는 상술한 스토퍼홈(131)과 위치고정돌기(132)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비스듬이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가능한 것으로, 예컨대,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에 홈이 형성된 것만으로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도6 내지 도10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화면을 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면커버부(20)를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제1 힌지축(50)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측면커버부(10)는 제2 힌지축(9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한,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는 제3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는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면커버부(2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의 하측에 제1 후면커버부(33)가 위치하고,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의 하측에 전면커버부(20)가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면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부(20)를 회동시키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제3 탄성부재(110)에 의해 제1 후면커버부(33)와 제2 후면커버부(34)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제1 후면커버부(33)와 제2 후면커버부(34)가 서로 평행하게 펴진다.
이와 동시에 제2 탄성부재(60)에 의해 측면커버부(1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측면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상기 전면커버부(20)가 상기 화면의 상측으로 회동하여 화면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바닥으로 떨어뜨린 경우 자동적으로 전면커버부(20)가 화면을 덮도록 하여 화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소정의 각도로만 들어올려 화면을 본 후에 전면커버부(20)를 놓으면 자동으로 전면커버부(20)가 화면을 덮게 되므로 이용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부(20)를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와 제2 후면커버부(34)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비스듬이 세워둘 수 있다.
이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70)를 회동시켜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편리하게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70)에는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133)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133)는 상기 받침부재(70)가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하기 전에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측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10은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이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만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와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비스듬이 세워둘 수 있게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는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와 분리되어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분리되거나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 사용 상태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 또는 받침부재(7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가 서로 분리된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의 위치를 고정해 두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를 이용하고, 상기 받침부재(7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를 지지하도록 하여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부(10);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화면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측면커버부(10)의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커버부(20);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커버부(10)의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면커버부(30); 및
    상기 전면커버부(20)가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40);를 포함하여,
    상기 전면커버부(20)를 상기 화면이 보이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전면커버부(20)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에 의해 상기 화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30)가 상기 모바일 전자기기(200)의 후면 측으로 회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부(30)는,
    일단부가 상기 측면커버부(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후면커버부(33)와,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후면커버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에 대해 회동한 경우, 상기 제1 후면커버부(33)와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재(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4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6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부재(110)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면커버부(20)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는 받침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전면커버부(20)가 회동하는 기준이 되는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되는 받침부재(70)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70)는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회동하여 상기 전면커버부(2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면에는 끼움홈(71)이 마련되고, 상기 받침부재(70)에는 상기 끼움홈(7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7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가 상기 전면커버부(20)의 상측으로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를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대하여 위치 고정하는 스토퍼(1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전면커버부(20)에 마련되는 스토퍼홈(131)과, 상기 제2 후면커버부(34)에 마련되어 상기 스토퍼홈(131)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돌기(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PCT/KR2014/011460 2013-11-29 2014-11-27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50804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999 2013-11-29
KR1020130147999A KR101573037B1 (ko) 2013-11-29 2013-11-29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0481A1 true WO2015080481A1 (ko) 2015-06-04

Family

ID=5319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1460 WO2015080481A1 (ko) 2013-11-29 2014-11-27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3037B1 (ko)
WO (1) WO201508048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620A (ko) * 2009-03-26 2009-11-11 강현욱 소형 전자기기의 보호커버
KR200450887Y1 (ko) * 2010-09-04 2010-11-08 유창섭 핸드폰 보호 케이스의 핸드폰 고정 장치
KR20120004755U (ko) * 2010-12-22 2012-07-02 최재열 전자제품용 케이스
JP3177915U (ja) * 2011-07-22 2012-08-23 福義 許 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6620A (ko) * 2009-03-26 2009-11-11 강현욱 소형 전자기기의 보호커버
KR200450887Y1 (ko) * 2010-09-04 2010-11-08 유창섭 핸드폰 보호 케이스의 핸드폰 고정 장치
KR20120004755U (ko) * 2010-12-22 2012-07-02 최재열 전자제품용 케이스
JP3177915U (ja) * 2011-07-22 2012-08-23 福義 許 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3037B1 (ko) 2015-12-01
KR20150062881A (ko) 201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3765A1 (ko) 휴대용 전자,전기 기기의 액세서리
WO2021172814A1 (ko) 탈부착수단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모듈
WO201711965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cradling function
WO2017164578A1 (ko) 기포발생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
WO2021025373A1 (en) Cover capable of storing pe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5088279A1 (en) Protective cover
WO2019135609A1 (ko) 모바일기기용 펜홀더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케이스
WO2016006720A1 (ko) 보호 커버
WO201919021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8128299A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WO2015115806A1 (ko) 다목적 휴대용 메모리 드라이브
WO2011052851A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WO2020214017A1 (ko) 휴대용 독서대
WO2016200117A1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케이스
WO2016088945A1 (ko) 휴대기기 케이스
WO2017047976A1 (ko) 도어벨 장치
WO2014003495A1 (ko)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WO2021025441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접히는 힌지모듈
WO2015080481A1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WO2014112667A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WO2017160038A1 (ko) Tv 일체형 전선 정리장치
WO2017179771A1 (en) Portable keyboard
WO2019107744A1 (ko) 휴대용 단말기 홀더
WO2014163277A1 (ko) 이종의 단자를 구비하는 메모리장치
WO2018066834A1 (ko)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65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65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