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68890A1 -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68890A1
WO2015068890A1 PCT/KR2013/010964 KR2013010964W WO2015068890A1 WO 2015068890 A1 WO2015068890 A1 WO 2015068890A1 KR 2013010964 W KR2013010964 W KR 2013010964W WO 2015068890 A1 WO2015068890 A1 WO 20150688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optical
portable terminal
refracto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96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요식
이경락
안종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Publication of WO20150688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688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print input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 user fingerprint image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uch as a smartphone, and an external optical device for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 a popular method of acquiring fingerprint information is an optical method using an optical refractor such as a prism.
  • an image of a light source 1 for irradiating fingerprint recognition light, a prism 3 to which a finger contacts, and a fingerprint image emitted from the prism 3 are formed.
  • the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includes a scattering device and an absor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ism 3 and the light source 1.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1 is incident on the prism 3 to form a fingerprint image while being reflected, absorbed or scattered from the valleys and ridges of the fingerprint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3a of the prism 3, and then the prism ( It exits through the exit surface 3b of 3).
  • the fingerprint image emitted from the prism 3 is imaged on the image sensor 5 through the lens 4 to obtain a digital fingerprint image.
  • the prism 3 Since the prism 3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changes the optical path to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using the prism 3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semiconductor type or the like by any metho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to a mobile device having a relatively thin panel shape.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90884 discloses a fingerprint input devic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by using a plate-shaped optical refractor that is not triangular.
  •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arranges a light source on the side of the optical refractor to obtain a fingerprint image by using the light scattered in the optical refractor.
  • the device has achieved a thin fingerprint input device as a whole by using a thin optical refractor.
  •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still implemented by a method embedded in a mobile device.
  •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may be larger than a predetermined size by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Therefore, such a conventional method does not meet the tendency of thinning of terminals in recent years, and of cour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has been produced and u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optical device that can input a user's fingerprint into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 the user's fingerprint image by using an optical fingerprint input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s a smartphone.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by such an external optica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optical device, and an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including the external optical device.
  • the external optical device is an external device combined with a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n optical refractor, a first mirror,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m.
  • the mobile terminal has a camera unit exposed on one surface thereof, like a smart phone.
  • the optical refractor includes a fingerprint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user's fingerprint contacts and an emission surface to which the image of the fingerprint is output, and the first mirror is provided on the optical path to reflect the fingerprint image emitted from the optical refractor and enter the camera unit.
  • the camera unit generates a fingerprint image as a digital fingerprint image.
  • the optical refrac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light incident surface to which light emitted from an LED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incident.
  • the external optic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irror tha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refle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to be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optical refractor.
  • the second mirror is the LED
  • the emitted light is incid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optical refractor.
  • the external optica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LED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emitting light for fingerprint input by the optical refraction instead of the LED embedded in the portable terminal.
  • the external optic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correction lens and an optical path correcting mean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provided on an optical path formed between the optical refractor and the camera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 the external optic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mirror provid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optical refractor and the first mirror to form the optical path.
  • the housing may be coupled to an external protective cas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slidably coupled above the camera unit.
  •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fingerprint acquisition control unit for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digital fingerprint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unit.
  • the fingerprint image can be generated by the optical fingerprint input method using the external opt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optical device is provided as an external type mounted o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so that a user's fingerprint image can be generated by an optical fingerprint input method as necessary without disturbing the main use of the camera and LED of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will be.
  •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the optical system for obtaining a fingerprint image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incorporate the optical system, the thick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does not need to be limited at least by the optical system.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optical fingerprint input device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finger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fingerprint inpu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method of the external optic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method of the external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210 including a camera unit 211 and an external-optical device 230 external to the portable terminal 210.
  • the mobile terminal 210 acquires a fingerprint image from a user fingerprint in contact with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 the mobile terminal 210 has a built-in camera unit 211 for photographing an external subject to generate an image, and any one can perform image processing on an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unit 211. It is possible, and may have other main functions not related to the fingerprint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ersonal digital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210 may also include an LED (213)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 an LED 213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outside.
  • a recent smart phone Smart Phone
  • a camera unit 211 on the front and / or rear
  • LEDs are also provided on the front and / or rear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 the fingerprint inpu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camera unit 211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as a basic lens and an image sensor for optical fingerprint input, and uses the LED 213 as a light source for optical fingerprint input. .
  • the portable terminal 210 has both the camera unit 211 and the LED 213.
  • the mobile terminal 210 includes a camera unit 211, an LED 213, and a controller 215.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210 may naturally include a configuration related to its main function, but such a configuration or function is not essential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tribute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thereof is also omitted.
  • the camera unit 211 has a basic lens 211a and an image sensor 211b, despite the original function of generating an image of an external su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print incident from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 the fingerprint image is generated as an image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215.
  • the LED 213 serves to irradiate light for generating an optical fingerprint image with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Ds 213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surface 210a to which the camera 211 is exposed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exposed together. Alternatively, the LED 213 may be located on a surface different from the surface to which the camera 211 is exposed. have.
  • the portable terminal 21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n LED 213 to be used as a light source for fingerprint input, and the LED may be provided in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 the controller 215 includes a fingerprint acquisition controller 215 that controls the entire optical fingerprint input process using the LED 213 and the camera 211.
  • the controller 215 may be interpreted as a configuration specially installed for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also be a configuration installed to perform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10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215 when the controller 215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main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210, the controller 215 is a processor chip, which is basically hardware owned by the mobile terminal, and is processed by the chip. It may be functionally instructed to configure the configuration implemented as software (Application).
  • the application is software written in a program language that can be interpreted by a computer and can process the specified series of instructions.
  • the fingerprint acquisition control unit 215 may be a program or a plurality of program assemblies installed as one of the applications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chip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ngerprint acquisition control unit 215 controls the LED 213 to irradiate light for fingerprint input, and then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the fingerprint image generated and provided by the camera unit 211.
  • the fingerprint acquisition controller 215 may directly perform a fingerprint authentication process according to various needs, and may provide fingerprint images or feature point data to another external device (eg, a computer) of the mobile terminal 210.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basically includes an optical refractor, at least one mirror,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m, and is provided as an external type that can be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posture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erminal 210. Even when the expression 'mounting' is used below, it does not mean that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needs to be directly and mechanically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210.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rrecting lens or optical path correcting means (for example, a prism) for inj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refractor into the camera unit 211. It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 the exterior-optical device 230 of FIG. 2 is an example including an optical refractor 231, a correcting lens 233, a first mirror 235, and a housing 237.
  • the housing 237 should have a coupling structure for accommodating an optical refractor, at least one correction lens, and at least one mirror, and at the same time, located at the rear surface 210a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 a coupling structure does not mean only direct and mechanical coupling of the housing 237 and the portable terminal 210.
  • the external protective case 401 for pro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210 as shown in Figure 4 may be mounted to the case.
  • the optical refractor 231 may be any type of optical refractor including a fingerprint contact surface to which the finger F contacts, a light entrance surface to which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13 is incident, and an exit surface to which the fingerprint image is finally emitted. Prism is also possible.
  • the correction lens 233 is not an essenti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rrection lens 233 i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ptical path 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 the length of the optical path may be adjusted without the correction lens 233, and the basic lens 211a of the camera unit 211 may be used as an image.
  • the correction lens 233 is unnecessary when it is designed to appropriately adjust the size of.
  • the at least one correcting lens and the mirror may include the optical refractor 231 when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posture with respect to the mobile terminal 210 for fingerprint inpu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mounting').
  • a light path is formed between the emission surface and the camera unit 211,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refractor 231 (that is, the fingerprint image) is incident to the camera unit 211.
  • FIG. 2 shows that the correcting lens 23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mirror 235, this arrangement is, of course, exemplary and an additional mirro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orrecting lens 233 as shown in FIG. 5 below. have.
  • an optical path is formed between the LED 213 and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and another lens or mirror may be used to form the optical path.
  • the LED 213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210 or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embedded.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shown in FIG. 2 is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optical fingerprint input method, and includes an optical refractor 231, a lens 233, a first mirror 235, and a housing 237. It includes.
  •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correction lens and the mirror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fingerprint input method is the transmission type (scattering type) or the absorption type (reflection type), because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al refractor 231 and the LED 213 is different.
  • the optical refractor 231 is preferably a thin and flat plate. Do. In this case,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may be parallel to the surface 210a of the mobile terminal 210.
  • the optical refractor 231 of FIG. 2 includes a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which is the 'top surface' and an exit surface 231b which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to be inclined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at a predetermined angle ⁇ . Doing.
  • the optical refractor 231 has a board shape having a lower surface 231c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a rear surface 231d facing the front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231e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231d.
  • the optical refractor 231 is a light refracted light emitted from the LED 213 when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210 It is arranged to be incident directly to the bottom surface 231c of the machine 231, or it is arranged to be reflected by the mirror and incident on one surface of both side surfaces 231e.
  • the bottom surface 231c of the optical refraction machine 231 is a light inciden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31c is disposed to face the LED 213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10.
  • the optical axi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13 is incident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surface 231c which is the light incident surface.
  • a diffusion plate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light incident surface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and the LED 213.
  • the diffuser plate help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13 to be incident evenly toward the entire light incident surface.
  • the fingerprint image is in contact with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Formed mainly by light scattered from the ridges of the ridges, the valleys are dark and the ridges appear bright, resulting in a good contrast.
  • Light scattered from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and emitted through the exit surface 231b passes through the correction lens 233 and is reflected by the first mirror 235 to be incident to the camera unit 211.
  • the LED 213 irradiates visible light into the optical refractor 231 through one of both side surfaces 231e in contact with the emission surface 231b to obtain a transmissive (scattered) fingerprint image.
  • a transmissive (scattered) fingerprint image You may.
  • One surface of both sides 231e of the photorefractor 231 becomes a light incident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231c of the photorefractor 231 does not face the LED 213.
  • another mirror (not shown) is disposed between the LED 213 and the photorefractor 231.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mirror 301 in addition to the optical refractor 231, the correction lens 233, and the first mirror 235.
  • the optical refractor 231, the correction lens 233, and the first mirror 235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ptical refractor 231, the correction lens 233, and the first mirror 235 of FIG. 2.
  • the light incident to the optical refractor 231 is to be reflected from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the 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rear surface 231d to secure the incident angle. That is, the light incidence surface in the optical refractor 231 is not the bottom surface 231c but the rear surface 231d, and the optical refractor 231 is the bottom surface 231c even when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mounted. It is arrange
  • the second mirror 301 is provided between the LED 213 and the rear surface 231d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to refl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13 to the rear surface 231d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Since the light reflected by the second mirror 301 is incident on the fingerprint contact surface 231a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through the rear surface 231d at an angle greater than the critical angle, reflection occurs in the valley of the fingerprint. Therefore, the fingerprint image is an image where the valley of the fingerprint is bright and the ridge is dark.
  • a diffusion plate 30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irror 301 and the photorefractor 231 to uniformly diffuse the light.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LED (not shown) for irradiating light for fingerprint input to the rear surface 231d of the optical refractor 231.
  • the second mirror 301 is not necessary, and the portable terminal 210 does not need to include the LED 213.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may include a battery or a cable for receiving DC power from the portable terminal 210, for example, a USB cable.
  • the coupling method of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and the portable terminal 210 will be described.
  • the camera unit 211 and the LED 213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should be open at all times so as to contribute to the main purpose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Therefore,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must be opened so that the camera unit 211 and the LED 213 of the mobile terminal 210 are exposed to the outside except when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210 to input a fingerprint image. to be.
  • the fir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mounted and detached in a sliding manner.
  • 4 is an example thereof,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amera unit 211 and the LED 213 are open to the outside, and (b) shows a case in which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slid and the portable terminal ( As illustrated in FIG. 2, the user can input a fingerprint while covering the camera 211 and the LED 213.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formed by combining a sliding coupling structure with the external protective case 401 of the mobile terminal 210.
  • the sliding structure may adopt various sliding structures known in the art, and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exterior-optical device 230 at the time of mounting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whenever a fingerprint input is required.
  • FIG. 5 is an example in which the LED 213 of the portable terminal 210 is mounted at the front and the camera unit 211 is mounted at the rear.
  • the external-optical device 230 further includes two mirrors 501 and 503 in addition to the first mirror 235 to allow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refractor 231 to enter the camera unit 211 located at the rear side. .
  • the housing 237 has a shape that can be coupled to the mobile terminal 210 while accommodating the three mirrors 235, 501, and 5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 단말기가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구성을 내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장 광학기기는 카메라가 장착된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형으로 마련되며, 광굴절기, 보정렌즈 및 미러(Mirror)를 내장한다. 외장 광학기기는 기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와 엘이디의 주된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본 발명은 스마트폰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는 지문입력장치와, 그 지문입력장치를 위한 외장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기를 이용한 개인 인증에 불변성과 유일성이 뛰어난 사용자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것은 이미 일반화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지문인식은 간단한 구조와 대비되는 뛰어난 성능 때문에 다른 수단에 비해 가장 주목되고 일반화된 인증수단이 되고 있다. 지문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으로 보편화된 방법이 프리즘과 같은 광굴절기를 사용하는 광학적인 방법이다.
종래의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인식용 광을 조사하는 광원(1)과, 손가락이 접촉하는 프리즘(3)과, 프리즘(3)으로부터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결상하기 위한 렌즈(4)와, 렌즈(4)에 결상된 지문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5)로 구성된다.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는 프리즘(3)과 광원(1)의 배치구조에 따라 산란식 장치와 흡수식 장치가 있다.
광원(1)에서 출사된 광은 프리즘(3)으로 입사하여 프리즘(3)의 지문접촉면(3a)에 접촉된 지문의 골과 융선에서 반사, 흡수 또는 산란되면서 지문 영상을 형성한 후, 프리즘(3)의 출사면(3b)을 통해 출사된다. 프리즘(3)에서 출사된 지문 영상은 렌즈(4)를 통해 이미지 센서(5)에 결상됨으로써 디지털 지문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프리즘(3)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광 경로를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변경시키기 때문에, 어떠한 방식에 의하더라도 프리즘(3)을 사용하는 지문입력장치는 반도체 타입 등에 비해 큰 부피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비교적 얇은 패널 형상의 모바일 기기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대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0884호는 삼각형 형상이 아닌 판상의 광굴절기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얇은 두께의 지문입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지문입력장치는 광굴절기의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광굴절기 내에서 산란된 광을 이용하여 지문영상을 획득한다. 이 장치가 얇은 광굴절기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얇은 지문입력장치를 구현한 성과가 있다.
그러나, 해당 발명의 도 13과 그 설명 등을 참조하면, 이 발명이 제시하는 지문입력장치는 여전히 모바일 기기 내에 내장하는 방법으로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지문입력장치를 단말기에 내장하게 되면, 단말기의 두께는 그 지문입력장치에 의해 일정한 크기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최근에 단말기들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향에 부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당연히 기존에 생산되어 사용 중인 휴대 단말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관련 기술 문헌]
1. 모바일기기용 광학 지문입력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088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처럼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그대로 이용하여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사용자 지문을 휴대 단말기 내에 입력하고 그 사용자 지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외장 광학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러한 외장 광학기기와 휴대 단말기에 의한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장 광학기기와, 그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를 제시한다.
외장 광학기기는 휴대 단말기와 결합하는 외장기기로서, 광굴절기, 제1 미러(Mirror) 및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처럼 그 일 면에 카메라부가 노출 장착된 것이다.
광굴절기는 사용자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상기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구비하며, 제1 미러는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부로 입사시켜 카메라부가 지문 영상을 디지털 지문 이미지로 생성하게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광굴절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엘이디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굴절기의 광입사면에 입사시키는 제2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굴절기는, 상기 출사면이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이 상기 출사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배치된 판 형상인 경우,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굴절기의 후면으로 입사시키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외장 광학기기는,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엘이디를 대신하여,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광굴절기로 지문 입력용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부 사이에 형성된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보정렌즈 및 광경로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장 광학기기는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의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카메라부 위쪽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부가 생성하는 디지털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지문획득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휴대 단말기가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구성을 내장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외장 광학기기는 카메라가 장착된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형으로 마련되어 기존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와 엘이디의 주된 사용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이미지를 광학식 지문입력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 지문입력장치를 내장하지 않은 많은 휴대 단말기들에서도 사용자 지문을 이용한 인증방법을 사용할 수 있어서 장치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는 지문 이미지 획득을 위한 광학계를 휴대 단말기로부터 분리하여 외장하는 형식으로 구현하고 휴대 단말기가 광학계를 내장하지 않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적어도 광학계에 의해 제한받지 않아도 된다.
도 1은 종래의 광학식 지문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입력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 광학기기의 장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장 광학기기의 장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200)는 카메라부(211)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210)와 그 휴대 단말기(210)에 외장하는 외장-광학기기(230)를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210)가 외장-광학기기(230)에 접촉한 사용자 지문으로부터 지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휴대 단말기(210)는 외부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부(211)를 내장하고, 그 카메라부(211)가 생성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나 개인 디지털 단말기처럼 본 발명의 지문입력과 관계없는 다른 주된 기능을 가진 것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휴대 단말기(210)는 외부로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LED)(213)도 함께 내장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의 스마트 폰(Smart Phone)은 그 전면 및/또는 후면에 카메라부(211)가 마련되어 있고, 엘이디도 전면 및/또는 후면에 마련되어 외부로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의 지문입력장치(200)는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를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기본 렌즈와 이미지 센서로 활용하고, 엘이디(213)를 광학식 지문입력을 위한 광원으로 활용한다. 우선, 휴대 단말기(210)가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를 모두 가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210)는 카메라부(211), 엘이디(213) 및 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0)는 당연히 자신의 주된 기능과 관련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또는 기능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설명에 기여하지도 않으므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고 그 설명도 생략한다.
카메라부(211)는 기본 렌즈(211a)와 이미지 센서(211b)를 구비하여 외부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원래의 기능에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로부터 입사되는 지문 영상으로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여 제어부(215)에 제공한다.
엘이디(213)는 휴대 단말기(210) 내에서의 그 주된 기능에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로 광학식 지문이미지 생성을 위한 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엘이디(213)는 도 2에서처럼 카메라부(211)가 노출된 면(210a)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함께 노출될 수도 있고, 도 5에서처럼 카메라부(211)가 노출된 면과 다른 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210)가 반드시 지문 입력용 광원으로 사용될 엘이디(213)를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엘이디가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15)는 엘이디(213)와 카메라부(211)를 이용한 광학식 지문입력 과정 전체를 제어하는 지문획득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제어부(215)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치된 구성으로 해석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휴대 단말기(210)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215)가 휴대 단말기(210)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된 구성일 경우, 제어부(215)는 휴대 단말기가 기본적으로 보유한 하드웨어인 프로세서 칩(Processor Chip)과, 그 칩에 의해 처리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현되는 구성을 기능적으로 지시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에 의해 해석되어 그 지정된 일련의 명령들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로 기록된 소프트웨어이다.
그리고 지문획득제어부(215)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설치되어 프로세서 칩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복수 개의 프로그램 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문획득제어부(215)는 엘이디(213)로 하여금 지문입력을 위한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한 다음, 카메라부(211)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한다. 지문획득제어부(215)는 다양한 필요에 따른 지문 인증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210)의 다른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로 지문 이미지 또는 특징점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기본적으로 광굴절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Mirror)와 함께 이들을 수용할 하우징을 포함하며, 휴대 단말기(210)에 대하여 정해진 자세로 위치할 수 있는 외장형으로 마련된다. 이하에서 '장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더라도,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와 직접적이고 기구적인 결합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그 밖에도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광을 카메라부(211)로 입사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나 광경로 보정수단(예컨대, 프리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은 아니다. 도 2의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제1 미러(235) 및 하우징(237)을 포함한 예이다.
우선, 하우징(237)은 광굴절기,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 및 적어도 하나의 미러를 수용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210)의 후면(210a)에 위치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가져야 한다. 다만, 그러한 결합 구조가 하우징(237)과 휴대 단말기(210)의 직접적이고 기구적인 결합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도 4에서처럼 휴대 단말기(210)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외장 보호 케이스(401)를 구비한 경우에 그 케이스에 장착될 수도 있다.
광굴절기(231)는 손가락(F)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 그리고 지문영상이 최종 출사되는 출사면을 포함하는 어떠한 종류의 광굴절기 또는 프리즘(Prism)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 렌즈(233)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보정 렌즈(233)는 광 경로의 길이를 조정하거나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것인데, 보정 렌즈(233) 없이 광 경로의 길이가 조정될 수도 있고, 카메라부(211)의 기본 렌즈(211a)가 이미지의 크기를 적당하게 조절하게 설계된 경우 보정렌즈(233)는 불필요하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보정 렌즈와 미러는 외장-광학기기(230)가 지문 입력을 위해 휴대 단말기(210)에 대해 정해진 자세로 위치한 때(이하, 간단히 '장착한 때'라 함)에 광굴절기(231)의 출사면과 카메라부(211) 사이의 광 경로를 형성하여, 광굴절기(231)로부터 출사되는 광(즉, 지문 영상)을 카메라부(211)로 입사시킨다. 도 2에는 보정 렌즈(233)가 제1 미러(235) 전단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배치는 당연히 예시적인 것이며, 아래에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추가적인 미러가 보정 렌즈(233) 앞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213)와 광굴절기(231)의 광입사면 사이에도 광 경로가 형성되는데, 그 광 경로 형성을 위해 다른 렌즈나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마련되는 보정 렌즈와 미러의 개수와 배치관계는,
(a)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의 배치관계,
(b) 광굴절기(231)의 형태와 배치 방향,
(c) 지문입력방식이 투과식(산란식) 인지, 혹은 흡수식(반사식) 인지 여부,
(d) 카메라부(211)의 기존 촛점거리,
(e)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와 외장-광학기기(230) 중 어디에 내장된 것인지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외장-광학기기(230)의 각 구성과 그 결합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투과식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외장-광학기기(230)는 투과식 광학지문입력 방식에 의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광굴절기(231), 렌즈(233), 제1 미러(235) 및 하우징(237)을 포함한다.
지문입력방식이 투과식(산란식) 인지 흡수식(반사식) 인지에 따라 보정렌즈와 미러의 개수 및 배치관계가 달라지는 것은 광굴절기(231)와 엘이디(213)의 배치관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우선,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형식이므로 그 두께나 그 내부 구성의 배치관계 등을 고려하여, 광굴절기(231)는 얇고 평평한 판(版) 상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문접촉면은 휴대 단말기(210)의 면(210a)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의 광굴절기(231)는, '윗면'인 지문접촉면(231a)과, 지문접촉면(231a)과 소정의 각도(α)로 접하여 경사지게 '전면'에 배치된 출사면(231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광굴절기(231)는 윗면에 평행한 아랫면(231c)과, 전면에 대향하는 후면(231d)과, 전면과 후면(231d)을 연결하는 양 측면(231e)을 가지는 널판지 형상이다.
투과식(즉, 산란식)으로 광을 처리하기 위해, 광굴절기(231)는 외장-광학기기(230)가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되었을 때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으로 직접 입사하도록 배치되거나, 미러에 반사되어 양 측면(231e) 중 한 면으로 입사하도록 배치된다.
도 2는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이 광입사면이 되고, 아랫면(231c)이 휴대 단말기(210)에 마련된 엘이디(213)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경우이다.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축이 광입사면인 아랫면(231c)에 수직으로 입사된다.
실시 예에 따라, 광굴절기(231)의 광입사면과 엘이디(213) 사이에 확산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확산판은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이 광입사면 전체를 향해 고르게 입사되도록 돕는다.
엘이디(213)에서 출사된 광은 아랫면(231c)을 통과하면서 광굴절기(231)의 지문접촉면(231a)에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지문 이미지는 지문접촉면(231a)에 접촉한 지문의 융선 부분에서 산란된 광에 의해 주로 형성되어 골이 어둡고 융선 부분이 밝게 나타나 콘트라스트(Contrast)가 좋은 이미지가 된다. 지문접촉면(231a)에서 산란되어 출사면(231b)을 통해 출사되는 광은 보정 렌즈(233)를 통과한 후 제1 미러(235)에서 반사되어 카메라부(211)로 입사된다.
<실시 예 2, 투과식의 다른 실시 예>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엘이디(213)는 투과식(산란식) 지문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출사면(231b)에 접한 양 측면(231e) 중 하나를 통해 광굴절기(231) 내부로 가시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광굴절기(231)의 양 측면(231e) 중 한 면이 광입사면이 되면서 광굴절기(231)의 아랫면(231c)이 엘이디(213)와 대향하지 않는다. 엘이디(213)의 광을 광굴절기(231)의 측면으로 입사시키기 위해, 엘이디(213)와 광굴절기(231) 사이에 다른 미러(미도시)가 배치된다.
<실시 예 3, 흡수식의 경우>
도 3은 흡수식(또는 반사식) 광학 지문입력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 이외에 제2 미러(301)를 더 포함한다.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는 도 2의 광굴절기(231), 보정 렌즈(233) 및 제1 미러(235)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만, 흡수식의 경우, 광굴절기(231)로 입사된 광이 지문접촉면(231a)에서 반사되어야 하므로 그 입사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후면(231d)을 통해 광이 입사된다. 즉, 광굴절기(231)에서 광입사면은 아랫면(231c)이 아니라 후면(231d)이 되고, 외장-광학기기(230)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광굴절기(231)는 그 아랫면(231c)이 엘이디(213)의 상면으로부터 비킨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미러(301)는 엘이디(213)와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 사이에 마련되어 엘이디(213)에서 출사되는 광을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으로 반사시킨다. 제2 미러(301)에서 반사된 광은 후면(231d)을 통해 광굴절기(231)의 지문접촉면(231a)에 임계각보다 큰 각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지문의 골에서는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지문 이미지는 지문의 골 부분이 밝고 융선 부분이 어두운 이미지가 된다.
또한, 입사각 때문에 융선에서 흡수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콘트라스트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상이 되기 쉬우므로 광이 균일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2 미러(301)와 광굴절기(231) 사이에 광을 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303)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 예 4, 흡수식의 다른 경우>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의 후면(231d)으로 지문입력용 광을 조사하는 별도의 엘이디(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미러(301)가 필요 없고, 휴대 단말기(210)는 엘이디(213)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당연히 외장-광학기기(230) 내에 배터리를 구비하거나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케이블, 예컨대 유에스비(USB) 케이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 5, 외장-광학기기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
이하에서는 외장-광학기기(230)와 휴대 단말기(210)의 결합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휴대 단말기(210)가 가진 주된 목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외장-광학기기(230)는 지문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한 때 이외에는 휴대 단말기(210)의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첫 번째 방식은 외장-광학기기(230)가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장착되고 탈착되는 방식이다. 도 4는 그 일 예로서, (a)는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가 외부에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외장-광학기기(230)가 슬라이딩하여 휴대 단말기(210)에 장착됨으로써 카메라부(211)와 엘이디(213)를 덮은 상태로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외장-광학기기(230)는 휴대 단말기(210)의 외장 보호 케이스(401)에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만들어 결합한 형태이다. 슬라이딩 구조는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슬라이딩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장착시의 외장-광학기기(23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위치에 오도록 구조화하면 된다.
<실시 예 6, 외장-광학기기의 착탈식 결합 구조>
두 번째 방식은, 지문입력이 필요할 때마다 외장-광학기기(230)를 휴대 단말기(210)의 일 측에 끼워 장착하는 방식이다. 특별히, 도 5는 휴대 단말기(210)의 엘이디(213)가 전면에 장착되고 카메라부(211)가 후면에 장착된 예이다.
외장-광학기기(230)는 광굴절기(231)에서 출사된 광은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부(211)에 입사시키기 위해 제1 미러(235) 이외에 2개의 미러(501, 503)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237)은 전체 3개의 미러(235, 501, 503)를 수용하면서 휴대 단말기(210)에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일면에 카메라부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와 결합하는 외장기기로서,
    사용자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상기 지문의 영상이 출사되는 출사면을 구비한 광굴절기;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부로 입사시키는 제1 미러(Mirror); 및
    상기 광굴절기와 제1 미러를 수용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엘이디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광입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을 반사시켜 상기 광굴절기의 광입사면에 입사시키는 제2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기는, 상기 출사면이 상기 지문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입사면이 상기 출사면에 대향하는 후면에 배치된 판 형상이고,
    상기 제2 미러는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되는 광을 상기 광굴절기의 후면으로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광굴절기로 지문 입력용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에 형성된 광 경로 상에 마련되는 보정렌즈 및 광경로보정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기와 상기 제1 미러 사이의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되, 상기 카메라부 위쪽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광학기기.
  9.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엘이디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생성하는 디지털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지문획득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광학기기는
    사용자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을 구비하고,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하는 광입사면, 상기 지문에 대한 지문 영상을 출사하는 출사면을 구비한 광굴절기;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부로 입사시키는 미러(Mirror); 및
    상기 광굴절기와 미러를 수용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10. 광학식 지문입력장치에 있어서,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생성하는 디지털 지문 이미지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지문획득제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광학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 광학기기는
    지문입력용 광을 출사하는 엘이디;
    사용자 지문이 접촉하는 지문접촉면과, 상기 엘이디에서 출사된 광이 입사하는 광입사면, 상기 지문에 대한 지문 영상을 출사하는 출사면을 구비한 광굴절기;
    상기 광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광굴절기에서 출사되는 지문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카메라부로 입사시키는 미러(Mirror); 및
    상기 엘이디, 광굴절기와 미러를 수용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PCT/KR2013/010964 2013-11-08 2013-11-29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WO20150688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197 2013-11-08
KR20130135197A KR101493332B1 (ko) 2013-11-08 2013-11-08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68890A1 true WO2015068890A1 (ko) 2015-05-14

Family

ID=5259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964 WO2015068890A1 (ko) 2013-11-08 2013-11-29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93332B1 (ko)
WO (1) WO2015068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961B1 (ko) * 2018-04-13 2020-06-04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06A (ja) * 1999-11-15 200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電子機器
KR20020078004A (ko) * 2001-04-04 2002-10-18 (주)니트 젠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20030037321A (ko) * 2001-11-01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문입력장치
JP2012155578A (ja) * 2011-01-27 2012-08-16 Nec Engineering Ltd 画像読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06A (ja) * 1999-11-15 200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型電子機器
KR20020078004A (ko) * 2001-04-04 2002-10-18 (주)니트 젠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KR20030037321A (ko) * 2001-11-01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지문입력장치
JP2012155578A (ja) * 2011-01-27 2012-08-16 Nec Engineering Ltd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332B1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0094A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WO2012020931A2 (ko) 근거리 홍채 인식용 카메라
KR101915121B1 (ko) 지문 획득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
WO2013154273A1 (ko) 모바일용 홍채인식 카메라시스템
EP1131775B1 (en) High contrast, low distortion optical acquisition system for image capturing
CN108052898B (zh) 指纹识别传感器、显示装置以及指纹识别方法
CN102842026B (zh) 指纹辨识装置
WO2016119492A1 (zh) 蜂窝结构的指纹掌纹图像采集器及终端设备
ES2846625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y conjunto de cámara del mismo
CN201477614U (zh) 单反射液晶触摸屏指掌纹采集仪
WO2015068890A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US20040001617A1 (en) Biometric capture adapter for digital imaging devices
CN102203824B (zh) 生物信息获取装置,生物认证装置,导光体,和图像获取装置
KR20160105648A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에 외장하는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및 그 외장 광학기기 장착용 플레이트
TWI380220B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9198871A1 (ko)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광학식 지문입력장치
WO2015068900A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WO2019164359A1 (ko) 가시광선 대역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적외선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1493333B1 (ko)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지문입력장치 및 그 지문입력용 외장 광학기기
US10079967B2 (en) Iri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04078887A (ja) 指紋画像取り込み装置の光学システム
WO2011013951A2 (ko) 식별입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JP2005025307A (ja) 指紋入力装置、個人認証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CN114067376A (zh) 生物特征识别装置和电子设备
JP2002123822A (ja) 指紋画像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7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70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