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16421A1 - Shielding membrane for tooth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Google Patents

Shielding membrane for tooth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16421A1
WO2015016421A1 PCT/KR2013/009104 KR2013009104W WO2015016421A1 WO 2015016421 A1 WO2015016421 A1 WO 2015016421A1 KR 2013009104 W KR2013009104 W KR 2013009104W WO 2015016421 A1 WO2015016421 A1 WO 201501642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shielding film
shielding membrane
bone formation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104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배태성
이민호
박형호
박일송
이유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501642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16421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reconstruction of bones; weight-bearing implan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ing membrane for a tooth impla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elding membrane that can easily be bent without having a separate cut line so as to have good flexibility that allows a treated area to be easily shielded. Therefore, the procedure is simplified, and the blocking of cells is provided to minimize infiltration into a defective bone region of soft tissue below the shielding membrane. Also, by providing an osteogenesis accelerating function to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rane, bone is easily formed, an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hielding membrane is increased so as to maximize the osteogenesis accelerating function. The ostegenesis accelerating func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can continue until bone growth in the alveolar region is complete. Furthermore, the shielding membrane for a tooth implant can reduce post-procedure recovery time and increase the success rates of procedures.

Description

【명세서】  【Specification】
【발명의 명칭】  [Name of invention]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Shielding film for dental implan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기술분야】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 세하게는 우수한 유연성과 시술 용이성을 갖고, 골 결손부로 연조직 침투를 크게 방지할 수 있는 차단성을 가지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ᅳ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eld for a dental impla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having a superior flexibility and ease of treatment, having a barrier that can greatly prevent the penetration of soft tissue into bone defects, and the manufacture of a shield for the dental implant It's about how
【배경기술】  Background Art
치아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발치한 부위의 치조골에 인공치 아를 식립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치주질환이 있는 환자들에게도 임플란트가 널리 사용되면서, 무치악 환자들에게 고정성 보철을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임폴란트 식립시 여러가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해서 충분한 상, 하악골의 폭과 길이 가 확보되지 않거나 심각하게 치조골이 결손되어 시술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 다. 이러한 환자의 시술시 기능성과 함께 심미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골의 양적, 질적 증대가 요구되며, 이러한 경우 골의 높이와 폭을 증가시키는 방법의 하나로서 과립상의 골이식재를 병용한 골유도 재생술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골유도 재생 술의 적용과정에서 차폐막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골유도 재생술 적용과정에서 차폐막은 선택적으로 세포를 재증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인공골과 치조골 사이에 다른 조직 세포들이 침투하여 골조직의 형성을 방해하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안정적인 골조직 형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Dental implants are the placement of artificial teeth in the alveolar bone at the site of a missing or extracted tooth. Recently, as implants are widely used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fixed prostheses are increasing in edentulous patients. However, due to various anatomical limitations when implanting implants, sufficient upper and lower mandibular width and length may not be secured or severe alveolar bone defects may be difficult to perform. In order to obtain aesthetics along with the functionality of these patien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crease of bone is required.In this case, bone regeneration using granular bone graft material is performed a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height and width of bone. have. The membrane is used in the application of such bone induction regeneration procedure, the membrane is used for the purpose of selectively re-proliferating cells in the application of bone induction regeneration. That is, it prevents other tissue cells from penetrating between the artificial bone and the alveolar bon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bone tissue, thereby inducing stable bone tissue formation.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이하 "차폐막 " )에 대한 초기연구에서는, 치조골 결 손부의 처치에 이를 이용하는 것에 주된 관심을 기을였으나, 현재는 치조제 결손의 증강을 촉진하고, 임플란트 주변골 치유를 향상시키며, 완전한 골재생을 유도할 뿐 만 아니라, 골이식 결과를 개선하고, 실패한 임플란트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Early studies of dental implant shields ("shields") have attracted major interest in the use of them in the treatment of alveolar bone defects, but currently promote the enhancement of alveolar defects and improve the healing of peri-implant bones. In addition to inducing complete bone regeneration, it is also used to improve bone graft outcomes and to treat failed implants.
차폐막을 사용하면, 원하지 않는 조직, 특히 결합조직이 골재생을 의도한 곳 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골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해주며, 치유조직과 치근표면 사이의 계면을 따라 혈병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차폐막은 일정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그 하방으로 혈병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주고, 이 혈병이 결 손기저부로부터 유래된 세포와 혈관의 내성장을 위한 비계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차폐막은 기능적 재생을 위한 자연적, 생물학적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혈병으로 충전된 공간을 형성하고 유지하여 세균의 감염 을 방지하고, 재생공간을 원치않는 조직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The use of shielding membranes prevents unwanted tissues, especially connective tissues, from invading where bone regeneration is intended, thereby preventing bone formation and disrupting blood clots along the interface between the healing tissue and the root surface. Prevent it. In addition, the shielding membrane allows the blood clot to be maintained below by forming a space, and the blood clot acts as a scaffold for internal growth of cells and blood vessels derived from the bottom of the defect. Thus, the shield can maximize the natural and biological capacity for functional regeneration. It is used to create a viable environment, to form and maintain a blood-filled space, to prevent bacterial infection, and to separate the regeneration space from unwanted tissue.
<5>  <5>
<6> 한편, 차폐막은 생체 분해성 여부에 따라 비흡수성 차폐막 (non-resorbable barr ier membrane)과 톱수성 차폐막 (resorbable barr ier membrane)으로 분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arrier membrane may be classified into a non-resorbable barrier membrane and a resorbable barrier membrane according to biodegradability.
<7> 먼저, 상기 비흡수성 차폐막으로는 ePTFE(expanded-polytetraf luorethylene) 차폐막이 골유도 능력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ePTFE 차폐막은 골 결손 분위의 재생공간 확보 및 유지 기능이 떨어져서 치유기간 동안 차폐막이 함몰 되는 것이 종종 관찰되었고, 일단 구강내에 노출되면 차폐막의 거친 표면 때문에 치태가 쉽게 침착되어 감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as the non-absorbing shielding film, an expanded-polytetraf luorethylene (ePTFE) shielding film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of its excellent osteoinductive ability. However, it was often observed that the ePTFE barrier had a function of securing and maintaining the regeneration space of the bone defect area, and the barrier was recessed during the healing period, and once exposed in the oral cavity, plaque was easily deposited due to the rough surface of the barrier, causing infection.
<8> 다음으로 상기 흡수성 차폐막은 비흡수성 차폐막이 2차적 수술을 요구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주로 콜라겐이나 Polylact ide/Polyglycerol 공중합체 등으로 제조되는데, 대부분의 흡수성 차폐막은 골 형성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 분해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하지 못 하여 재생공간 확보 및 유지 기능을 층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Next, the absorbent shield was developed to compensate for the non-absorbent shield as the secondary surgery is required. The absorbent shield is mainly made of collagen or polylactide / polyglycerol copolymer, and most of the absorbent shield is formed of bone. Not only does it tend to be decomposed before it is completely made, but it is not robus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fully exhibit the function of securing and maintaining a playing space.
<9>  <9>
<ιο> 상술한 바와 같이 비흡수성 차폐막 ePTFE 및 흡수성 차폐막의 경우 문제점이 있는바,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금속 차폐막 특히, 티타늄 차폐막 (t i tanium membrane) 이 부각되었는데, 티타늄 차폐막은 치조골 재생 후 이를 제거하기 위한 2차 수술을 해야 한다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재생 공간 확보 및 유지 능력이 탁월하고, 소재의 특성상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생체적합성이 탁월하여 노출 시에도 염증 반 웅이 적어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e case of the non-absorbent shielding membrane ePTFE and the absorbent shielding membran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metal shielding membrane, particularly a titanium shielding membrane, has been highlighted. Despite the burden of performing secondary surgery, the remarkable ability to secure and maintain regeneration space, physical and chemical stability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excellent biocompatibility have attracted attention due to the low inflammatory response upon exposure.
<π> 그러나 상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티타늄의 높은 강성 (r igidi ty)으로 인해서 굴곡진 골 결손부의 형태에 맞추어서 구부릴 때에 뒤를리고 우그러져서 치료부의 형태에 맞게 잘 구부러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π> However, despite the above advantages, due to the high rigidity of titanium (r igidi ty), there was a problem of being inclined and bent when bent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curved bone defect, and thus not easily bent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treatment part.
<12> 현재 시판되는 티타늄 메쉬 (t i tanium mesh)는 천공된 구멍의 크기가 0.4 내 지 2 隱로 다양한 크기로 구멍을 형성하고 있는데, 연조직이 골에 비해서 성장속도 가 약 6배 정도 빠르기 때문에 메쉬 하방으로 조직이 성장해 들어와서 골이 완전하 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2> Titanium mesh currently on the market forms perforated holes in various sizes, ranging from 0.4 to 2 mm in size, and because the soft tissue grows about 6 times faster than the bone, the mesh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one is not formed completely because the tissue grows downward.
<1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4-57226호는 치과용 차폐막을 개시하고 있는데, 차폐 막 본체가 터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차폐막 본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절개선을 포함케 하여 터널 형상으로 잘 구부러질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차폐막은 절개선 만드는 별도의 공정을 요하여 제조공정의 복잡화, 제조단가의 상 승 문제가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또는 시술 후 절개선 부분의 변형으로 인해 정밀 시술이 곤란하거나 시술 후 정밀 시술된 형상의 유지가 어려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3>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7226 discloses a dental shielding membrane, and a plurality of shielding membrane bodi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shielding membrane body can be manufactured in a tunnel shape. The incision was included so that it bends well into the tunnel shape. However, the shielding film requires a separate process of making an incision, which leads to complex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It is difficult to perform a precise procedure due to deformation of the incision portion during or after the procedure, or a precise procedure after the procedu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difficult to maintain the shape.
< 14> 또한, 당해 차폐막은 통상의 티타늄 차폐막을 이용하는바, 천공의 직경이 커 서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의 침투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hielding film uses a conventional titanium shielding film,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is larg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penetration of the soft tissue into the lower part of the shielding film cannot be prevented.
【발명의 상세한 설명】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기술적 과제】  [Technical problem]
<1 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치료부의 형태에 맞추어서 굴곡 시에 뒤를림 등 없이 잘 구부러져서 우수한 유연성 및 시술 용이성을 갖고,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 침 투를 차단하여 최소화하는 차폐막올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ease of treatment by bending well without bending, etc.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reatment part To provide a shielding membrane to minimize penetration by blocking the penetra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of the soft tissue.
<16> 본 발명의 두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기 세번째 해결하려는 과제인 골형 성 촉진 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폐막의 비표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골 형성 촉진 기능을 치조골의 골형성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시키는 것이다.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hielding membrane to maximize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function, which is 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below, and to promote bone formation until the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bone is completed. It is to continue.
<1 7> 본 발명의 세 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치조골의 골 결손된 부분에 조직재생 능력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시술 후 회복기간을 단축시켜주고 시술 성공률을 높여주 기 위해 골 형성을 촉진하는 기능을 부여한 차폐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1 7> The third problem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ssue regeneration ability to the bone defects of the alveolar bone to shorten the recovery period after implantation and to impart a function of promoting bone formation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he procedure It is to provide a shielding film.
【기술적 해결방법】  Technical Solution
<1 8>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 19>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mm 이하이며, 전체 천공 중 0.2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제공한다.  In the shielding membrane for dental impla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s is 0.2 mm or less, and a perforation membrane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f the total perforations is provided in the dental implant shielding membrane.
<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상기 차폐막은 천공의 전체면적이 차 페막 면적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천공을 포함하며,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일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film includes a perforation corresponding to 5 to 20% of the area of the car shielding film, and is made of any one material of titanium and titanium alloy. It may be a shield for a dental implant.
<21>  <21>
<22>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described above,
<23>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폐막은 적어도 일면에 단일 나토튜브의 평균 길이가 500 내지 2000 nm , 외경의 평균 직경은 50 내지 150 nm 인 복수개의 돌출된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film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nanotubes having at least one surface of an average length of 500 nm to 2000 nm and an outer diameter of 50 nm to 150 nm. Can be. In order to solve the third probl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폐막은 골형성을 촉 진하는 인산염을 포함한 골 형성 촉진물질이 나노튜브 내부 및 외부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film may be filled with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ncluding phosphate to promote bone formation inside and outside the nanotub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1) 차폐막에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mm 이하이며, 전체 천공 중 0.2 mm 이 하의 직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복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implant shielding membrane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2 mm or less in the shielding membrane and a perforation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f the total perforations of 95% or more;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 1) 단계는 레이저 범 ( laser beam) 가공, 화학적 에칭 가공, 방전 가공 및 프레스 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 법 의해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1) may form a perforation by any one or more of laser beam processing, chemical etching processing, electric discharge processing and press work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 1) 단계 이후 (2) 단계 로써 상기 차폐막을 산화시켜 차폐막의 표면에 돌출된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2) after the step (2) may include the step of oxidizing the shielding film to form a nanotube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 이후 (3) 단 계로써 상기 나노튜브가 형성된 차폐막에 골형성 촉진제를 층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of layering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on the shielding film formed with the nanotube in the step (3) after the step (2).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 단계에서 골형성 촉 진제는 2 내지 600 초 주기로 11 내지 100 회에 걸쳐 0.01 M 내지 0. 1 M의 골형성 촉진제를 충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예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n step (3) may be filled with the bone formation promoter of 0.01 M to 0.1 M over 11 to 100 times in a period of 2 to 600 secon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elding membrane for a dental implant prepar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유리한 효과】  Advantageous Effects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첫 번째로, 기존의 치아 임플란트용 차 폐막과 대비하여 뒤를리지 않고 잘 구부러질 수 있게 함으로써 우수한 유연성을 가 진다. 또한, 이로써 굴곡진 골 결손부에 대해서 우그러짐 없이 당해 부위를 용이하 게 차폐할 수 있어서 시술의 용이성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천공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으로써 차폐막 하부로의 연조직 침투를 최소화할 수 있다. <37> 두 번째로 차폐막의 비표면적을 증가시켜 부가되는 골형성 촉진 기능이 극대 화될 수 있고 골형성 촉진 기능이 치조골에 골형성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 다. First, the shielding membrane for dental im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flexibility by allowing it to bend well without overcoming the existing shielding for dental implants. In addition, this can easily shield the site without distortion to the curved bone defects, there is ease of the procedure. Furthermore, the penetration of the soft tissu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can be minimized by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aperture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shielding membrane. Secondly, by increasing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hielding membrane, the function of promoting bone formation may be maximized, and the function of promoting bone formation may continue until bone formation is completed in the alveolar bone.
<38> 세 번째로, 골재생의 어려움, 골 재생시간의 장기화 문제가 최소화 되도록 차폐막에 뼈의 성분을 포함하는 물질을 형성하여 생체활성을 부가함으로써 골 결손 부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골올 형성케 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bones for bone defects by forming a material containing bone components in the shielding membrane to add bioactivity to minimize the difficulty of bone regeneration and prolongation of bone regeneration time. .
【도면의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39>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모식도에 대한 평면도 이다.  1 is a plan view of a schematic diagram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차폐막을 하악골 형상에 따라 구 부린 사진이다.  2 is a photograph bent according to the mandible shape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도 3은 천공이 되지 않은 차폐막을 하악골 형상에 따라 구부린 사진이다. 3 is a photograph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ndible the shielding film that is not perforated.
<42> 4는 천공이 되지 않은 차폐막을 상악골에 시술한 사진이다. 4 is a photograph of a perforated shielding membrane applied to the maxilla.
<43>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페막에 대한 SEM사진이다. FIG. 5 is a SEM photograph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4>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페막에 대한 SEM사진이다.6 is a SEM photograph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을 모식화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SEM사진이다. 8 is an SEM photograph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단면에 대한 SEM사진 이다.  9 is a SEM photograph of a cross section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에 포함된 나노튜브의 단면에 대한 SEM사진이다.  10 is a SEM photograph of a cross section of a nanotube included in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도 11은 골형성층을 충진한 차폐막을 모식화한 단면도이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hielding film filled with a bone formation layer. FIG.
<50>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에 대한 SEM 사진이다.  12 is a SEM photograph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5 ΐ >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 단면에 대 한 SEM사진이다.  FIG. 13 is a SEM photograph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52>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을 유사체액 에 1일 동안 침지한 차폐막 표면에 대한 SEM사진이다.  14 is a SEM photograph of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in which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mersed in the analogous fluid for 1 day.
<53>  <53>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Form for implementation of invention]
<54>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55> <56> 상술한 바와 같이, 티타늄 등의 금속소재를 이용한 기존의 치아 임플라트용 차폐막의 경우 강성 (r igidi ty)으로 인해 굴곡진 골 결손부의 형태에 맞추어 구부리 면, 뒤틀리고 우그러져서 원하는 형태로 시술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 조직이 골조직에 비해서 약 6배 정도 빠르게 성장하므로 차폐막 하방으로 조직이 성장해 들어와서 골이 완전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55>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ental implant shield using a metal material such as titanium, the surface may be bent, warped, and bent in a desired shape due to rigidity (r igidi ty).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In addition, since soft tissue grows about 6 times faster than bone tiss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issue is grown under the shield and bone is not completely formed.
<57>  <57>
<58>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상기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mm 이하이고, 전체 천공 중 0.2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 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시술시 의도하지 않은 형태 변화 없이 유연하 게 치료부의 형태에 맞추어 상기 부위를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차폐막 하 방으로 연조직이 성장해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하고 골이 재생될 공간을 만들어 줌 으로써 결손된 치조골에 골이 원활히 재생 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mplant shielding membr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s is 0.2 mm or less, the perforation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f the total perforation is 95% or more shielding membrane for the dental implant The solution to the above problem was sought by providing. Through this, the site can be easily shiel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reatment part flexibly without unintentional change of shape during the procedure.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growth of soft tissues under the shield and creating a space for bone regeneration, bone can be smoothly regenerated in the missing alveolar bone.
<59>  <59>
<60> 구체적으로 ,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모식도 에 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차폐막 ( 100)은 차폐막 하부로 혈액 등 세포외액의 공급 을 원활케 함으로써 치조골 결손부위에 골형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천공 Specifically, FIG. 1 is a plan view of a schematic diagram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membrane 100 has a plurality of perforations in order to induce bone formation in the alveolar bone defect by smoothly supplying extracellular fluid such as blood to the lower shielding membrane.
( 101, 102, 103, 104)이 형성된다. (101, 102, 103, 104) are formed.
<61> 종래의 차폐막에 형성된 천공은 혈액, 림프액 등의 공급 및 조직의 부착성을 부여하기 위해 천공의 직경을 0.4 내지 2 mm로 크게 제조했는데, 이 경우 구부림 등은 용이할 수 있으나 치은을 구성하는 연조직의 세포들이 골이식 부위로 침투해 들어가서 골이 형성되어야 할 부분에 연조직이 형성되어 임플란트 시술이 실패할 수 있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conventional shielding membrane was manufactured to have a large diameter of 0.4 to 2 mm in order to supply blood, lymph fluid, and the like, and to attach tissues. The soft tissue cells penetrate into the bone graft site, the soft tissue is formed in the bone to be formed, there was a fatal problem that the implant procedure can fail.
<62>  <62>
<63>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연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크기를 고려하 여 천공의 평균 직경을 0.2 隱 이하로 하되 직경이 0.2 瞧 이하인 천공이 전체 천 공 중에서 95% 이상이 되도록 하여 종래의 차폐막과 같이 구부림 등의 시술의 용이 성은 유지하면서도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의 침투를 크게 최소화하여 상술한 문제 를 해결하였다.  Thu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ells constituting the soft tissue to 0.2 隱 or less, but the diameter of 0.2 瞧 or less perforation of the conventional perforation to 95% or more of the total perforation Like the shielding membrane, the above-mentioned problem was solved by greatly minimizing the penetration of the soft tissu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while maintaining the ease of bending and other procedures.
<64> 만일 천공의 평균 직경이 0.2 隱를 초과하면 구부림에 용이성은 있을 수 있 으나 연조직이 차폐막 하부로 과도하게 침투되어 골형성을 저해할 수 있으며 하기 에 설명될 차폐막 표면에 골형성 촉진 기능을 부여할 경우 표면적 감소로 골형성 촉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f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exceeds 0.2 mm, there may be ease of bending, but soft tissues may excessively penetrate into the lower part of the shielding membrane and inhibit bone formation. If given, bone formation with reduced surface area The problem that the promoting effect is lowered may occur.
<65>  <65>
<66> 또한, 상기 차폐막에서 직경의 크기가 0.2 mm 이하를 만족하는 천공이 전체 천공 중에서 95% 이상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이상일 수 있다. 이로써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의 침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차폐막의 구부림 등을 용이하게 하고 우그러짐 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만일 직경 크기가 0.2 誦 이하를 만족하는 천공이 전체 천공 중에서 95% 미만이면 0.2 讓를 초과하는 천공이 포함됨에 따라 연조직이 차폐막 하부로 과도하게 침투되어 골형성 을 저해할 수 있고, 또한 차폐막 표면에 골형성 촉진 기능을 부여할 경우 표면적의 감소로 인하여 골형성 촉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천공 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서 상피세포의 부착이 어려워지면 상부판막이 얇아지거나 차 폐막이 구강 내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천공의 평균직경은 0.01 mm 이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hielding film, perforations satisfying the diameter of 0.2 mm or less are included in the perforation of 95% or more, preferably 98%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00% or more. As a result, the penetration of the soft tissue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can be minimized, and the bending of the shielding membrane can be facilitated, and the distortion can be minimized. If less than 95% of the perforations satisfying the diameter of 0.2 mm or less are included in the perforation exceeding 0.2 mm, the soft tissue may excessively penetrate into the lower part of the shielding membrane and inhibit bone formation. When giving bone formation promoting function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effect is lowered due to the reduction of the surface area. However, if the size of the perforation is too small to attach epithelial cells, the upper valve may become thin or the occlusion may be exposed into the oral cavity, so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may be 0.01 mm or more.
<67> <67>
<68> 만일, 천공이 없는 차페막을 사용한 경우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 침투는 방 지할 수 있으나 구부림 등이 용이하지 않고 구부릴 시 우그러짐 등이 발생하는 문 제점이 있다.  If a shielding film without a perforation is used, it may prevent penetration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tissue shielding film, but there is a problem that bending is not easy and bending occurs.
<69>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차폐막을 하악골 형상 에 따라 구부린 사진이며 도 3은 천공이 되지 않은 차폐막을 하악골 형상에 따라 구부린 사진이고 도 4는 천공이 되지 않은 차폐막을 상악골에 시술한 사진으로써, 도 2 에서는 구부릴 때 우그러짐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 3에서는 천공이 되지 않 아 우그러짐이 심하게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2, 3은 하악골 측면에 구부린 사진이나 실제 임플란트 시술 시는 시술되는 위치에 따라 구부림으로 인한 우그러짐은 더 심해질 수 있으며 실제 임플란트 시술 사진인 도 4를 보면 차폐막의 우그러짐이 매우 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FIG. 2 is a photograph bent according to the mandible shape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icture ben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ndible, and FIG. 4 is a non-perforated shielding film. As a photograph performed on the maxilla, the distortion did not appear when bent in FIG. 2, but in FIG. 3,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ortion was not severely generated. Figures 2 and 3 are bent on the side of the mandible or the actual implants during the procedure, the distortion due to the bend may be more severe and the actual implant procedure picture 4 to see that the distortion of the membrane is very severe Can be.
<70>  <70>
<7i> 상기 차폐막 ( 100) 크기는 통상적인 차폐막 크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도 1의 a)는 25 내지 40 醒, 세로 (도 1의 b)는 35 내지 60 画일 수 있다. 다 만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술되는 부위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The size of the shielding film 100 may be a conventional shielding film size, and preferably, the width (a of FIG. 1) may be 25 to 40 mm 3, and the length (b of FIG. 1) may be 35 to 60 mm.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ite to be treated.
<72> <72>
<73> 상기 차폐막 (100)은 천공의 전체 면적이 차폐막 면적 대비 5 내지 20 %에 해 당하는 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면적 ( lcirf) 당 천공의 평균개수는 4 내 지 8 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차폐막 표면적 대비하여 천공의 전체 면적이 5% 미 만이면 혈액이나 체액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조직의 부 착성이 떨어지고 또한 구부리는 과정에서 우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반대로 20%를 초과하면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표면처리 시 생체활성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차폐막 두께는 통상적인 차폐막의 두께일 수 있으며, 바람 직하게는 두께가 50 내지 200 y m일 수 있으나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hielding film 100 may include perforations in which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ions corresponds to 5 to 20% of the shielding film area. In this case, the average number of perforations per unit area (lcirf) can be between four and eight. If the total area of perforation is less than 5% If not only the movement of blood or body fluids can not be made smoothly, but also the adhesion of tissues is lowered and the deformation may occur during bending. On the contrary, if it exceeds 20%,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s. The problem of lowering bioactivity may occur. The shielding film thickness may be the thickness of a conventional shielding film, preferably, the thickness may be 50 to 200 ym,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74> <74>
<75> 상기 차폐막의 천공간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 μ ιη일 수 있다.  The distance of the cloth space of the shielding film may be preferably 200 to 600 μιη.
구체적으로 도 5 및 6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페막에 대한 SEM 사 진으로서 도 5의 SEM 사진 대상이 된 차폐막의 천공간의 거리는 532 내지 548 μ ηι 이며, 천공의 직경은 도 6을 통해 172 μ ιτι임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FIGS. 5 and 6 are SEM photographs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istance of the cloth space of the shielding film, which is the SEM photograph object of FIG. 5, is 532 to 548 μηι, and the diameter of the aperture is FIG. 6. It can be confirmed that 172 μ ιτι.
<76>  <76>
<77> 또한, 본 발명의 차폐막 재질의 경우 티타늄, 티타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 틸 (stainless steel ) , 코발트 -크름 (Co-Cr ) 합금 (주조용 합금으로 몰리브덴 (Mo) , 단 조용 합금으로 몰리브덴 (Mo)과 니켈 (Ni )이 더 포함된 합금 가능), 니오비움 (niobium) , 탄탈 (tantal ) , 지르코늄 (zi rconium) 및 백금 (Pt )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금속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일 수 있으며, 상기 티타늄 합금은 니오비움 및 탄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금속들은 인체 내에서 생체조직과 반웅하여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것들로 내부식성이 우수 하다.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의 경우 가볍고 전연성이 좋으며 비강도가 우수하 다. 다만, 차폐막 재질은 인체 내에서 부작용이 없으면서 공간 확보 및 유지능력이 우수한 것이면 무방한바 상기에 기재된 금속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hielding film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itanium, titanium alloy, stainless steel, cobalt-cr (Co-Cr) alloy (molybdenum as a casting alloy, molybdenum as a forging alloy) Alloys further containing Mo) and nickel (Ni)), niobium, tantalum, zirconium, and platinum (Pt). Preferably, it may be titanium or a titanium alloy, and the titanium allo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niobium and tantalum. The metals are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as those which do not cause side effects by reacting with biological tissues in the human body. Titanium or titanium alloys are light, malleable, and have good specific strength. However, the shielding film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metals described above as long as there is no side effect in the human body and the space securing and maintaining ability is excellent.
<78>  <78>
<79>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폐막의 비표면적을 증가시 키고, 하기에 설명될 골형성 촉진 기능이 치조부의 골형성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되 게 하기 위해 상기 차폐막은 적어도 일면에 복수개의 돌출된 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membrane is formed at least in order to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hielding membrane and to maintain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function described below until the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portion is complet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nanotubes on one surface.
<80> 이를 통해 하기 설명될 골 형성 촉진제가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은 차폐막에 코팅되었을 때 보다 더 많이 층진 될 수 있고, 나노튜브 속에 골 형성 촉진제가 층 진 됨에 따라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차폐막에 골 형성 촉진제를 코팅시켰을 때 보다 체액 속에서 장시간 골 형성 촉진제가 용출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류브는 바람직하게는 산화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81 > This allows more bone formation promoter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o be more layered than when coated on untreated shielding membranes, and bone formation on untreated shielding membranes as the bone formation promoters are layered in the nanotubes. When the promoter is coated,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be eluted in the body fluid for a long time. The nano-lube may be preferably formed through oxidation treat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81>
<82>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을 모식화한 사시도 로서 차폐막 (200)의 적어도 일면에 복수개의 나노튜브 (201 , 202)들이 포함될 수 있 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nanotubes 201 and 202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200.
<83> 바람직하게는 나노튜브의 평균길이 (g )는 500 내지 2000 nm일 수 있다. 나노 튜브의 길이가 2000 nm를 초과할 경우 시술시에 나노튜브가 손상될 수 있고, 500 nm 미만인 경우 나노튜브 속에 층진되는 골 형성 촉진제의 양이 적어 치조부가 결 손된 부분에 골형성 촉진 효과가 저하될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Preferably, the average length (g) of the nanotubes may be 500 to 2000 nm. If the length of the nanotube exceeds 2000 nm, the nanotube may be damaged during the procedure. If the length of the nanotube is less than 500 nm, the amount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that is layered in the nanotube is small, and thus, the effect of promoting bone formation is reduced in the area where the alveolar portion is missi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84> 또한, 바람직하게는 나노튜브의 외경의 평균직경 (h)은 50 내지 150 nm 일 수 있다. 나노튜브의 외경 및 내경의 평균직경 (h, i )이 커질 경우 골형성 촉진층의 충 진에 유리할 수 있으나 외경의 평균직경 (h)이 150 nm를 초과하는 나노튜브를 생성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만일 나노튜브의 외경의 평균직경 (h)이 50 nm 미만인 경 우 골형성을 촉진하는 물질의 침투 및 결합을 유도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preferably, the average diameter (h)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nanotube may be 50 to 150 nm. If the average diameter (h, i) of the outer and inner diameters of the nanotubes is increased, it may be advantageous to fill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layer, but it may be difficult to produce nanotubes having an average diameter (h) of the outer diameter exceeding 150 nm. If the average diameter (h)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nanotube is less than 50 nm,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be difficult to induce the penetration and bonding of the substance promoting bone formation.
<85>  <85>
<86>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SEM사진이 다. 상기 SEM 사진의 대상이 된 차폐막은 티타늄 차폐막을 양극으로 하고 백금판을 음극으로 하여 물 20 wt%, NH4F 1 %를 포함하는 글리세를 용액을 전해질 용액으 로 사용하여 전압 20 V, 전류밀도 20 mA/cirf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60분 동안 양극산 화처리를 하였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생성된 나노튜브는 외경의 직경이 74.3 내지 156.4 nm이었다.  Specifically, FIG. 8 is an SEM photograph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film used as the SEM image was a voltage of 20 V and a current density of 20 mA using a titanium shielding film as an anode, a platinum plate as a cathode, and a solution containing 20 wt% water and 1% NH 4 F as a electrolyte solution as an electrolyte solution. Power was applied to / cirf for anodization for 60 minutes. As can be seen in Figure 8, the resulting nanotubes had an outer diameter of 74.3 to 156.4 nm.
<87> 또한, 도 9,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막의 단면에 대 한 SEM 사진으로서 상기 SEM 사진의 대상이 된 차폐막을 이용하였다. 도 9에서 확 인할 수 있듯이 형성된 나노튜브의 평균길이는 763.3 nm 였고,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나노류브의 속은 비어있는 상태로 하기에 설명될 골형성촉진층이 나노튜 브 내부로 침투할 수 있다.  In addition, FIGS. 9 and 10 used a shielding film which is the object of the SEM photograph as an SEM photograph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 9, the average length of the formed nanotubes was 763.3 nm, and as shown in FIG. 10,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penetrate into the nanotubes as shown in FIG. 10. have.
<88>  <88>
<8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골 결손된 치조부에 골 형성을 촉 진하기 위하여 골 형성 촉진제가 나노튜브의 내부 및 외부에 층진될 수 있으며, 이 로써 임플란트 시술 후 회복기간을 단축시켜주고 시술 성공를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the bone defected alveolar bone formation promoter may be layered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nanotubes, thereby improv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implantation. It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and increasing the success of the procedure.
<90> 종래의 티타늄 차폐막의 경우 생체활성이 부여되지 않은 바, 골형성에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층분한 골량올 얻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 었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itanium shielding membranes, bioactivity is not imparted. There was a problem that often takes a long time and failing to obtain a decent bone mass.
<91 >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골 형성 촉진제를 차폐막에 충진시켰으며, 상기와 같이 차폐막 표면에 나노튜브층을 형성시켜 골 형 성 촉진제가 층진될 수 있는 비표면적올 넓힘으로써 골 형성 촉진의 효과를 더욱 높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illed a bone formation accelerator into the shielding film, and as described above, a non-surface area that can form a nanotub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so that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be layered. By broadening, the effect of promoting bone formation was further enhanced.
<92> 구체적으로 도 11은 골형성층을 층진한 차폐막을 모식화한 단면도로 , 차폐막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hielding film layered with a bone formation layer.
(300)의 적어도 일면에 나노튜브 (3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노튜브 내부 (j ) 및 외부 (k)에 골형성촉진층 (310)이 충진될 수 있다.  Nanotubes 320 ar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300 and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layer 310 may be filled in the inner (j) and the outer (k) of the nanotubes.
<93> 차폐막 표면에 형성된 나노튜브의 내부 (j )란 나노튜브의 중공을 의미하고, 외부 0 란 나노류브가 형성되기 위해 차폐막이 식각된 나노튜브들 사이의 공간 및 돌출된 나노튜브 상부를 의미한다. 나노튜브 (320)의 내부, 나노튜브들 사이의 식각 된 부분 및 나노튜브 상부에 골 형성 촉진제 (310)가 층진됨으로써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차폐막에 비해 많은 양의 골형성촉진층이 충진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시 술 후에 촉진층의 이탈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골 형성 촉진층을 층진함으로 써 만일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차폐막의 상, 하부로의 혈액공급의 감소에 따른 영 양공급의 비원활화 및 이로 인한 골 재생의 어려움 또는 재생시간의 장기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The inside (j) of the nanotube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refers to the hollow of the nanotubes, and the outer zero refers to the space between the nanotubes in which the shielding film is etched to form the nano-lube and the top of the protruding nanotubes. do. Since the bone formation promoter 310 is laminated inside the nanotubes 320, the etched portion between the nanotubes, and the nanotubes, a greater amount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layer may be filled than the shielding film without any treatment. Minimization of the promotion layer after the implant procedur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by striking the bone formation layer, the deactivation of nutrient supply due to the decrease of blood supply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hielding membrane, which may occur in case of injuries, and the difficulty of bone regeneration or prolonged regeneration time You can eliminate the problem.
<94> 상기 골 형성 촉진제는 뼈의 주성분인 인산염과 칼슘 이온을 포함할 수 있 고, 충진되는 골 형성 촉진제 (310)의 두께는 10 내지 1500 nm 일 수 있으나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include phosphate and calcium ion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bone, and the thickness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310 to be filled may be 10 to 1500 nm, but is not limited thereto.
<95>  <95>
<96> 상술한 본발명의 차폐막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hie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97> 먼저 ( 1) 단계로서 차폐막에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隱 이하이며, 전체 천 공 중 0.2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복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단 계 ;를 포함한다.  First, in the step (1), the shielding film has an average diameter of 0.2 mm or less, and a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95% or more of perforations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ut of all perforations.
<98> 상기 ( 1) 단계에서 차폐막의 재질, 천공의 평균 직경 등은 상술한 바와 같으 며, 상기 천공은 레이저 범 ( laser beam) 가공, 화학적 에칭 가공, 방전 가공 및 프 레스 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범 가공이 다양한 생체 적합한 금속 또는 그것의 합금에도 적용가능하고, 원하는 직경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다.  In the step (1), the material of the shielding film,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etc. a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erforation may be any one or more of laser beam processing, chemical etching processing, electric discharge processing and spring processing. It can be formed through the method. Preferably laser ablation is excellent in that it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biocompatible metals or alloys thereof and can be drilled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 desired diameter.
<99> <ioo> 다음 (2) 단계로서 ( 1) 단계를 거친 차폐막의 적어도 일면을 산화시켜 차페 막의 표면에 돌출된 나노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화는 양극산 화일 수 있다. 상기 양극산화는 나노튜브 형성에 있어 다른 방법 보다 간편하고 제 조시간이 단축된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99> <ioo> As a next (2) step,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that has passed the step (1) may be oxidized to form a nanotube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Preferably the oxidation may be anodization. The anodiz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nanotube formation is simpler than other methods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shortened.
<101>  <101>
<102> 이하 상기 양극산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Hereinafter, the anodiz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03> 먼저, 양극산화에 사용되는 전해질 용액은 글리세를 (glycerol ) , 불화암모늄  First, the electrolyte solution used for the anodization is glycerol, ammonium fluoride.
(NH4F) 산성불화암모늄 (NH4HF2) , 플루오린화나트륨 (NaF) 및 물 (¾0) 중 어느 하나 이 상을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를 (glycerol ) , 불화암모늄 (NH4F) , 물 (NH 4 F) Acidic ammonium fluoride (NH 4 HF 2 ), sodium fluoride (NaF) and water (¾) may include at least one. Preferably glycerol, ammonium fluoride (NH 4 F), water
(¾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를 100중량부에 대해 불화 암모늄 (NH4F)이 0.3 내지 2 중량부, 물 (¾0)은 5 내지 30 중량부로 흔합될 수 있다. 만일 불화암모늄 (NH4F)의 흔합양이 0.3 중량부 미만이거나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형성되는 나노튜브 구조가 불완전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 (¾0) 의 양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나노튜브 직경이 지나치게 감소될 수 있고, 30 중량 부를 초과하게 되면 나노튜브의 직경 대비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서 임플란트 시 술 시 나노튜브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¾0), and more preferably, 0.3 to 2 parts by weight of ammonium fluoride (NH 4 F) and 5 to 30 parts by weight of water (¾0) may be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glycerol. If the mixed amount of ammonium fluoride (NH 4 F) is less than 0.3 parts by weight or more than 2 parts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anotube structure formed may be incomplete.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¾0) is less than 5 parts by weight, the diameter of the nanotube may be excessively reduced. When the amount of water (¾0) is exceeded, the length of the nanotube may be excessively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anotube, resulting in damage to the nanotubes during implan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ccur.
<104>  <104>
<105> 다음으로 전극은 양극전극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폐막을, 음극전극으로 백 금, 텅스텐 및 은 등에서 어느 하나를 음극전극으로 할 수 있다. 음극 전극의 경우 상기에 기재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의 양극산화에 사용되는 음극전극이라면 그 사용에 제한은 없다. 전극 간격은 10 내지 50 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匪 일 수 있으며, 전압은 10 내지 50 V일 수 있다. 반웅시간은 10 내지 180 분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분 동안 전기화학반웅을 시켜 양극의 차폐 막에 돌출된 나노튜브를 형성할 수 있다.  Next, the electrode may be a cathode electrode as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any one of platinum, tungsten, and silver. The cathode electrod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use of the cathode electrode as long as it is a cathode electrode used for ordinary anodization. The electrode spacing may be 10 to 50 kV, preferably 20 to 30 kV, and the voltage may be 10 to 50 V. The reaction time may be 10 to 180 minutes, and preferably, electrochemical reaction may be performed for 30 to 60 minutes to form a nanotube protruding on the shielding film of the anode.
<106> 또한, 나노튜브의 원활한 형성 및 구조개선을 위해서 산화처리 시 차폐막을 회전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film may be rotated or moved left and right during the oxidation treatment for smooth formation and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nanotubes.
<107>  <107>
<108> 다음 (3) 단계로서 상기 나노류브가 형성된 차폐막에 골형성 촉진제를 층진 할 수 있다. 상기 골형성 촉진제의 충진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침 지코팅 (dip coat ing)일 수 있다.  As a next step (3), it is possible to layer the bone formation promoter on the shielding film on which the nano-lube is forme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filling method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and preferably may be dip coat (ing).
<10 > 구체적으로 이하 침지코팅에 대해 살펴본다 . <i io> 먼저, 침지액은 골형성 촉진제로서 인산이온 (phosphate ion)을 포함하는 용 액과 상기 인산이온을 석출시킬 수 있는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인산이온 (phosphate ion)을 포함하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인산수소나트륨 (Na¾P04)ᅳ 인산나트륨 <10> Specifically, the immersion coating will be described below. <i io> First, the immersion liquid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phosphate ions (phosphate ion) as a bone formation promoter and a solution capable of depositing the phosphate io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hosphate ion is preferably sodium hydrogen phosphate (Na¾PO 4 ) ᅳ sodium phosphate
(Na2HP04) , 암모늄디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NH4H2P04) , 디암모늄포스페이트 (Na 2 HP0 4 ), ammonium dihydrogenphosphate (NH 4 H 2 P0 4 ), diammonium phosphate
( ( H4)2HP04) 중'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이때 용매는 물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H 4 ) 2 HP0 4 )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at least one. In this case, the solvent may be wat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description. .
<ι ι ι> 상기 인산이온을 석출시킬 수 있는 용액은 인산이온과 염을 형성할 수 있고 형성된 염이 인체에 무해하다면 그 제한은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2가 양이온을 포함 하는 용액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슘 (Ca(0H)2, ) 또는 수산화마그 네슴 (Mg(0H)2) 수용액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ι ι ι> The solution capable of precipitating the phosphate ion may form a salt with the phosphate ion, and if the salt forme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re is no limitation and may be a solution containing a divalent cation and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may be an aqueous solution of calcium hydroxide (Ca (0H) 2 ,) or magnesium hydroxide (Mg (0H) 2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said description.
<1 12> <1 12>
<ι ΐ3> 상기 골형성 촉진제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M 내지 0. 1 M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골 형성 촉진제의 농도는 0.01 내지 0.05 M 일 수 있다. 만 일 농도가 0.01 M 미만이면 골 형성 촉진제가 상기 나노튜브 내부 및 외부에 층진 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이 길어지고 충진되는 양이 적을 수 있으며, 0. 1 M을 초과하는 경우 차폐막 표면의 돌출된 나노튜브 내부로 침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be preferably 0.01 M to 0.1 M, and even more preferably the concentration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be 0.01 to 0.05 M. If the concentration is less than 0.01 M, the time required for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to be laminated inside and outside the nanotube may be long and the amount of filling may be small.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into the tube.
<1 14>  <1 14>
<Π 5> 상기 침지코팅의 방법은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형성 촉진제가 포함된 용액과 인산이온을 석출시킬 수 있는 용액 각각에 차폐막을 번갈아가며 침 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차폐막이 각각의 용액에 침지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 초일 수 있으며, 만일 1초 미만일 경우 차폐막 표면과의 산 -염기 반웅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골형성촉진제가 석출되지 않을 수 있고, 300초를 초과할 경우 골형성촉진제가 나노튜브의 입구를 막아서 내부로 침투가 일어나지 못하는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다.  The method of the immersion coating is not limited, but may be preferably alternately immersed in the shielding film in each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bone formation promoter and the solution capable of depositing phosphate ions. In this case, the time for which the shielding film is immersed in each solution may be preferably 1 to 300 seconds. If the shielding film is less than 1 second, acid-base reaction with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may not occur effectively, and thus, the bone formation promoter may not be precipitated. If it exceeds a second, the problem may occur that the bone formation promoter blocks the inlet of the nanotube so that no penetration into the interior occurs.
<1 16>  <1 16>
<1 1 7> 또한, 골형성 촉진제가 포함된 용액과 인산이온을 석출시킬 수 있는 용액 각 각에 차폐막을 번갈아가며 침지시키는 것을 1 주기라 할 때, 상기 골형성 촉진제는 <1 1 7> In addition, when one cycle of immersing the shielding membrane alternately in each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and the solution capable of depositing phosphate ions,
2 내지 600초 주기로 11 내지 100회 처리될 수 있다. 만일 11 회 미만으로 처리할 경우 차폐막 표면의 나노튜브층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골형성촉진제의 양이 적 어 시술 후 방출되는 골형성촉진제의 방출 속도 및 방출량을 저하시켜 원활한 골형 성 촉진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골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 또 한, 만일 100회를 초과하여 처리할 경우 골형성촉진제가 과도하게 형성되어 차폐막 의 구부림 조작과정에서 골형성촉진제의 탈락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11 to 100 treatments may be performed every 2 to 600 seconds. If the treatment time is less than 11 times,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promoters formed inside and outside of the nanotub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is small, thus reducing the release rate and release amount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s that are released after the procedure. It is difficult to expect sexual function, and the time required for bone formation may be prolonged. In addition, if more than 100 times the treatment is excessively formed bone formation promoter has a problem that can be eliminated during the bending operation of the shielding membrane formation agent.
<1 18> <1 18>
<U 9>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 에 대한 SEM 사진으로써 골형성 촉진제를 10회 층진한 도 12a에 비해 40회 층진한 도 12d의 경우 표면에 더 많은 골형성촉진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 9> Specifically, FIG. 12 is an SEM image of a shielding fil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many bone formation promoting layers are formed.
<120>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 단면 에 대한 SEM 사진으로써 골형성 촉진제를 10회 충진한 도 13a에 비해 40회 층진한 도 13d의 경우 차폐막 표면에 형성된 나노튜브층 내부 및 외부에 골형성촉진층이 더 많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FIG. 13 is a SEM imag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the preferred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more bone formation promoting layers are formed inside and outside the formed nanotube layer.
<i 2i > 나아가,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차폐막을 유사체액에 1일동안 침적한 차폐막 표면에 대한 SEM 사진이다. 골형성 촉진제를 10 회 충진한 도 14a에서는 골형성촉진제를 유사체액에 침적할 때 골형성촉진제의 방 출 초기에 보이는 돌기상이 거의 없어 유사체액으로의 골형성촉진제의 방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14a의 A 지점을 확대한 도 14b를 보면 차 폐막 상부에 형성된 나노류브가 거의 드러나 있으며 골형성 촉진제가 전체적이 아 니라 군데군데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i 2i> Furthermore, FIG. 14 is an SEM image of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in which the shielding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mersed in the analog liquid for one day. In FIG. 14A, which is filled with the bone formation promoter 10 times, when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s deposited in the analogous fluid, there is almost no projection showing in the early stage of the release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As can be seen, when the point A of FIG. 14A is enlarged, FIG. 14B shows that the nano-leav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hielding film is almost exposed, and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is not formed as a whole but in some places.
<| 22> 이에 반하여 골형성 촉진제를 30회 .충진한 도 14e의 경우 골형성촉진제를 유 사체액에 침적할 때 골형성촉진제의 방출 초기에 보이는 돌기상이 매우 치밀해져 골형성 촉진제의 방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Me 의 C 지점을 확대한 도 14f를 보면 차폐막 상부에 형성된 나노류브가 거의 드러나 있지 않고 골형성 촉진제가 전체적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 |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FIG. 14E which is filled with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30 times, when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is deposited in the analogous fluid, the protrusions appearing at the beginning of the release of the bone formation accelerator are very dense and the release of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s smoothly performe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In addition, in FIG. 14F in which the point C of FIG. Me is enlarged, it can be seen that the nano-levers formed on the shielding film are barely exposed and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s formed as a whole.
<123>  <123>
<124>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elding membrane for a dental implant prepa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125>  <125>
<126>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차폐막은 잘 구부러져 유연하게 치료부의 형 태에 맞추어 상기 부위를 용이하게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차폐막을 구부렸을 때 일 정 기계적 강도를 보유하게 하여 시술시의 형상을 시술 후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 한, 차폐막을 구부렸을 때 표면에 생성된 골형성 물질이 박리되어 떨어져 나가는 문제를 피할 수 있고, 나아가 혈액 등의 세포외액이 차폐막 상, 하부로 원활히 통 과할 수 있는 동시에 연조직의 차폐막 하부로의 침투를 최소화 할수 있다. The shield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bent to flexibly shield the site in conformity with the shape of the treatment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shielding film is bent to maintain a certain mechanical strength can maintain the shape during the procedure even after the proced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problem that the bone-forming material formed on the surface peels off when the shielding film is bent, and further, extracellular fluid such as blood flows smoothly over and under the shielding film. At the same time, it can minimize the penetration of soft tissue under the shield.
<127> 나아가 차폐막의 재질은 인체 내에서 생체조직과 반웅하여 부작용을 일으키 지 않는다. Furthermore, the material of the shielding membrane does not cause side effects by reacting with biological tissues in the human body.
<128> 한편, 차폐막의 표면에 나노튜브를 형성하여 차폐막의 비표면적을 증가시키 고, 골형성 촉진 기능이 치조부의 골형성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증가된 차폐막의 비표면적은 골 형성 촉진제가 더 많이 층진될 수 있도록 하며 나노튜브 속에 골 형성 촉진제가 층진 됨에 따라 체액 속에서 장시간 골 형성 촉진제가 용출 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골 결손된 치조부에 골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골 형성 촉진제가 나노튜브에 층진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 후 회복기간을 단축시켜주고 시 술 성공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 nanotube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to increase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hielding film,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function can be continued until the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portion is completed. The increased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membrane allows more bone formation promoters to be layered and the bone formation promoters can be eluted in body fluids for a long time as the bone formation promoters are deposited in the nanotubes. In addition, the bone formation promoter is laminated on the nanotubes in order to promote bone formation in the bone defects of the bone defects can shorten the recovery period after implantation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uccess of the procedure.
< 12 >  <12>
<130>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 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following Example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construed a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13 1 >  <13 1>
<132> <실시예 1>  <Example 1>
<133> 가로 35 隱, 세로 50 mm , 두께가 100 μ ηι인 티타늄 차폐막을 레이저 가공기 를 이용하여 천공의 평균 직경이 0. 18 mm 이고, 전체 천공 중 0.2 mm 이하의 직경 을 갖는 천공이 98%이며 차폐막 표면적 대비 전체 천공의 면적이 4.97% 가 되도록 하였다.  <133> Titanium shielding film 35 mm wide, 50 mm long and 100 μηι thick with a laser processing machine using a laser processing machine with an average diameter of 0.1 mm and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ut of the total 100% The total perforation area of the shielding film surface area was 4.97%.
<134>  <134>
<135> <실시예 2>  <Example 2>
< 136> 차폐막 표면에 이산화 티타늄 나노튜브층 형성을 위해 실시예 1의 차폐막을  The shielding film of Example 1 was formed to form a titanium dioxide nanotube layer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DC 정전원장치의 양극에 연결하고 음극에 백금 (Pt )판을 연결하였다. 두 전극을 전 해질 용액 (글리세를 79 wt%, 불화암모늄 1 wt%, 물 20 \ %)에 전극간격이 20 mm 되 도록 넣고 전압을 20 V로 60분 동안 인가하여 차폐막 표면에 이산화티타늄 (Ti02) 나 노류브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나노튜브가 형성된 차폐막을 80°C NaH2P04 0.02M 수용 액과 100°C Ca(0H)2 포화수용액 각각에 침지시간 1분, 침지회수 30회 조건으로 층진 처리를 통해 이산화티타늄 (Ti02) 나노류브에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HAp)의 침투결합 을 유도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이산화티타늄 나노튜브 내부 및 외부에 층진 된 티타늄 차폐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DC electrostatic source device was connected, and a platinum (Pt) plate wa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The two electrodes were placed in an electrolyte solution (79 wt% glyceride, 1 wt% ammonium fluoride, 20 \% water) at a distance of 20 mm, and a voltage was applied at 20 V for 60 minutes. 2 ) The nano-levers were formed. The nanotube-coated shielding film was deposited in 80 ° C NaH 2 P0 4 0.02M solution and 100 ° C Ca (0H) 2 saturated aqueous solution, respectively, for 1 minute immersion time and 30 immersion times, to obtain titanium dioxide (Ti0 2). Induced penetration of hydroxyapatite (HAp) into nanoleuve to prepare a titanium shielding layer in which hydroxyapatite was layered inside and outside of titanium dioxide nanotubes. <Example 3>
침지회수를 30회 대신에 20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 여 티타늄  Titanium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number of immersion was 20 instead of 30.
차폐막을 제조하였다.  A shielding film was prepared.
<실시예 4> <Example 4>
침지회수를 30회 대신에 40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 여 티타늄  Titanium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number of immersions was 40 instead of 30.
차폐막을 제조하였다.  A shielding film was prepared.
<비교쎄 1> <Comparative 1>
침지회수를 30회 대신에 10회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 여 티타늄 차폐막을 제조하였다.  Titanium shielding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number of immersion times was 10 times instead of 30 times.
<실험예 1> Experimental Example 1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차폐막과 상기 차폐막과 동일한 소재, 크기, 두께인 천공되지 않은 차페막에 대하여 각각의 차폐막을 하악골 측면의 형상대로 구부려서 구부러진 면의 우그러짐을 육안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 3 및 표 1에 나타내었 다. 구체적으로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구부러진 면의 우그러짐 이 없었으나 천공되지 않은 차폐막의 경우 심한 우그러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For the shielding film prepared in Example 1 and an unperforated shielding film of the same material, size, and thickness as those of the shielding film, each shielding film was bent in the shape of the mandibular side surface to visually observe the distortion of the bent surface. 3 and Table 1 are shown. Specifically, as a result of visual observation, in Example 1, there was no distortion of the curved surface, but in the case of the unperforated shielding membrane, severe distortion was observed.
<실험예 2> Experimental Example 2
실시예 2 내지 4와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티타늄 차폐막에 대해 FE-SEM EDS 분석을 통해 차폐막 표면의 인산 (P)과 칼슘 (Ca)의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 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침지회수가 10회인 비교예 1에 비해 그 회수를 증가시킬수록 차 폐막 표면의 인산과 칼슴의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59> <실험예 3>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ic acid (P) and calcium (Ca)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rane were analyzed by FE-SEM EDS analysis on the titanium shielding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2 to 4 and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and scab on the surface of the occlusion membrane increased as the number of times increas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10 dipping cycles. <159><Experimental Example 3>
<i60> 실시예 2, 3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티타늄 차폐막을 1일 동안 유사체액  <i60> Analogous solution of the titanium shielding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2, 3 and Comparative Example 1 for 1 day
(simulated body fluid : SBF)에 침지한 후 상기 각 차폐막에 대해 SEM 사진을 찍 었으며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After immersion in (simulated body fluid: SBF), SEM pictures were taken of the respective shielding fil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4.
<161>  <161>
<162> 구체적으로 10회 (도 14의 a, b) 침지 처리한 군에서는 1일 동안 유사체액  Specifically, in the group immersed 10 times (FIG. 14 a, b), the analog fluid for 1 day
(simulated body fluid: SBF)에 침적한 결과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20회 (도 14의 c, d)와 30회 (도 14 e, f) 침지 처리한 군에서는 침지처리의 회수가 증가할수록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HAp)의 석출초기에 나타나는 돌기상이 더 욱 치밀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SBF)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after deposition. On the contrary, in the 20 (C, d) and 30 (FIG. 14 e, f) immersion groups, as the number of immersion treatments increased, protrusions appearing at the initial stage of precipitation of hydroxyapatite (HAp) were more dense. It showed a declining aspect.
<163>  <163>
<164> 【표 1】  <164> [Table 1]
Figure imgf000018_0001
Figure imgf000018_0001
<165> 【표 2]  <165> [Table 2]
Figure imgf000018_0002
Figure imgf000018_0002
<166> <166>
<167> <167>
【산업상 이용가능성】  Industrial Applicability
<168> 본 발명은 임플란트시에 필요한 차폐막의 생산 및 가공 산업에 이용가능하 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industry of shielding membranes required for implants.
<169>  <169>
<170>  <170>

Claims

【청구의 범위】 [Range of request]
【청구항 1】  [Claim 1]
복수개의 천공을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In the shielding membrane for dental impla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상기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mm 이하이며, 전체 천공 중 0.2 mm 이하의 직 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is 0.2 mm or less, the perforation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f the total perforation is 95% or more shielding membrane for a dental implant.
【청구항 2】  [Claim 2]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폐막은 천공의 전체면적이 차페막 면적의 5 내지 20%에 해당하는 천공을 포 함하며,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The shielding membrane includes a perforation in which the total area of the perforation corresponds to 5 to 20% of the shielding membrane area, and the shielding membrane for the dental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any one of titanium and titanium alloy.
【청구항 3】  [Claim 3]
거 U항에 있어서,  In U,
상기 차폐막은 적어도 일면에 단일 나토튜브의 평균 길이가 500 내지 2000 nm , 외 경의 평균 직경은 50 내지 150 nm 인 복수개의 돌출된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The shielding membrane is a shield for a dental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urface of a plurality of protruding nanotubes having an average length of 500 to 2000 nm, the outer diameter of 50 to 150 nm of a single natotube.
【청구항 4]  [Claim 4]
게 3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3,
상기 차폐막은 골형성을 촉진하는 인산염을 포함한 골 형성 촉진물질이 나노튜브 내부 및 외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The shielding membrane is a dental implant shielding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formation promoting material, including phosphate to promote bone formation is filled inside and outside the nanotubes.
【청구항 5]  [Claim 5]
( 1) 차폐막에 천공의 평균 직경은 0.2 隱 이하이며, 전체 천공 중 0.2 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천공이 95% 이상인 복수개의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  (1) form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having an average diameter of 0.2 mm or less perforation in the shielding membrane and having a perforation having a diameter of 0.2 mm or less of the total perforation of 95% or more;
【청구항 6】  [Claim 6]
제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 1) 단계는 레이저 범 ( l aser beam) 가공, 화학적 에칭 가공, 방전 가공 및 프 레스 가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 의해 천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 Step (1)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ental implant shielding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ion is formed by at least one method of laser beam processing, chemical etching processing, electrical discharge processing and pressing processing.
【청구항 7】  [Claim 7]
제 5항에 있어세 상기 ( 1) 단계 이후,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fter step (1) above,
(2) 상기 차폐막을 산화시켜 차폐막의 표면에 돌출된 나노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 . (2) oxidizing the shielding film to form nanotubes protruding on the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청구항 8】 [Claim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이후,  According to claim 7, After the step (2),
(3) 상기 나노류브가 형성된 차폐막에 골형성 촉진제를 층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 (3) laminating a bone formation promoter on the shielding film on which the nano-lube is formed.
【청구항 9】  [Claim 9]
게 8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8,
상기 (3) 단계에서 단계골형성 촉진제는 2 내지 600 초 주기로 11 내지 100 회에 걸쳐 0.01 M 내지 0. 1 M의 골형성 촉진제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 아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제조방법.  Step (3) in the step bone formation promoter is a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implant shield memb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of 0.01 M to 0.1 M bone formation promoter over 11 to 100 times every 2 to 600 seconds cycle.
【청구항 10】  [Claim 10]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아 임플란트용 차폐막.  A shield for a dental implant prepa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5 to 9.
PCT/KR2013/009104 2013-07-31 2013-10-11 Shielding membrane for tooth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5016421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566 2013-07-31
KR20130090566A KR101509322B1 (en) 2013-07-31 2013-07-31 Membrane for dental impla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6421A1 true WO2015016421A1 (en) 2015-02-05

Family

ID=5243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104 WO2015016421A1 (en) 2013-07-31 2013-10-11 Shielding membrane for tooth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9322B1 (en)
WO (1) WO201501642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311B1 (en) * 2015-02-26 2016-07-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Titanium barrier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201A (en) * 1999-06-10 2003-01-14 イボクラール ビバ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Medical membrane that stimulates tissue formation
KR100814355B1 (en) * 2007-02-27 2008-03-18 (주)메디사이텍 Pretreating method of titanate implant and the titanate implant thereby
JP2011142831A (en) * 2010-01-13 2011-07-28 Nagamine Seisakusho:Kk Porous plate, functional permeable membrane and artificial organ
KR101061758B1 (en) * 2010-03-02 2011-09-02 (주) 시원 Dental barrier membrane
KR20120074087A (en) * 2010-12-27 2012-07-05 임익준 Hole type barrier membrane for dental guided bone regene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201A (en) * 1999-06-10 2003-01-14 イボクラール ビバ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Medical membrane that stimulates tissue formation
KR100814355B1 (en) * 2007-02-27 2008-03-18 (주)메디사이텍 Pretreating method of titanate implant and the titanate implant thereby
JP2011142831A (en) * 2010-01-13 2011-07-28 Nagamine Seisakusho:Kk Porous plate, functional permeable membrane and artificial organ
KR101061758B1 (en) * 2010-03-02 2011-09-02 (주) 시원 Dental barrier membrane
KR20120074087A (en) * 2010-12-27 2012-07-05 임익준 Hole type barrier membrane for dental guided bone re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073A (en) 2015-02-10
KR101509322B1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7102B2 (en) Bone tissue implants containing strontium ions
JP5487101B2 (en) Bone tissue implants containing lithium ions
WO2011125760A1 (en) Support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CN108434517A (en) Antibacterial dental imp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689370A (en) Surface porous bioactive imp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090072A (en) Personalized porous titanium-based tantalum coating bone plate of 3D print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97814B1 (en) Preparing method of titanium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rneration
CN105797208A (en) Degradable metal implant for repairing skul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050444B2 (en) Bone guided regeneration support
JPH0731627A (en) Implant and manufacture thereof
WO2015016421A1 (en) Shielding membrane for tooth impla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WO2018179358A1 (en) Method for producing antibacterial bioimplant
RU2397732C2 (en) Dental ventplant and material with shape memory for its production
WO2015186388A1 (en) Imp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119679A (en) Production of implant
JP6606188B2 (en) Implant for covering maxillary bone de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mplant
KR102078673B1 (en) Miniscrew for impla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129041B2 (en) Impl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747116A (en) Manufacture of implant
CN114807839B (en) Stepped degradation magnesium alloy barrier film for dentist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H06154255A (en) Preparation of implant
TWI706796B (en) Method for making coating on implant surface with antibacterail ability and osseointegration
CN116077740A (en) Bone guiding regeneration film for dentist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6306132B2 (en) Bone guided regeneration support
WO2015064130A1 (en) Implant for living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90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9034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