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09019A1 -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 Google Patents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09019A1
WO2015009019A1 PCT/KR2014/006369 KR2014006369W WO2015009019A1 WO 2015009019 A1 WO2015009019 A1 WO 2015009019A1 KR 2014006369 W KR2014006369 W KR 2014006369W WO 2015009019 A1 WO2015009019 A1 WO 201500901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exchange membrane
stack
fl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3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창훈
한신
허지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506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5009019(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투
Priority to EP14826244.7A priority Critical patent/EP3024074A4/en
Publication of WO201500901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0901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76Arrangements for managing the electrolyte stream, e.g.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in which an ion exchange membrane and a flow frame, which are main components of a redox flow cell or fuel cell stack, ar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 Redox flow battery is one of the core products closely related to renewable energy, greenhouse gas reduction, secondary battery, smart grid, etc., which has recently attracted the greatest attention in the world, and fuel cells are fossil-free without environmental pollutant emission. It is a product that is rapidly expanding globally as a new energy generation source to replace fuel. Currently, most of the energy is obtained from fossil fuels, but the use of such fossil fuels has serious adverse effects on the environment, such as air pollution,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and has low energy efficiency.
  • fuel cells do not use fossil fuels, they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ydrogen, which is a raw material of fuel cells, can be supplied indefinitely. Therefore,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progressed. It is on sa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nd difficult to assemble and maintain.
  •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redox flow batte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tack (1) in which a cell in which an electrochemical reaction occurs, a stack (1), a tank (3) for storing an electrolyte, and a pump for supplying electrolyte from the electrolyte tank to the stack. It consists of (4).
  • FIG.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ack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rom the left end plate 11-insulation plate 12-current plate 13-separator plate 14-gasket 15-flow Frame 16-Electrode 17-Gasket 15-Ion Exchange Membrane 18-Gasket 15-Electrode 17-Flow Frame 16-Gasket 15-Separator 14-Current Plate (13) -insulation plate (12) -end plate (11) is shown, forming a unit cell from the separation plate (14) to the separation plate (14), and generally one stack stacks tens to hundreds of unit cells Is done.
  • the term plate refers to a configuration such as an end plate 11, an insulating plate 12, a current plate 13, a separation plate 14, and a flow frame 16 constituting the plate-shaped stack 1. .
  • the end plate 11, the insulating plate 12, the current plate 13, the flow frame 16, and the like are easy to handle due to their rigidity, but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the gasket 15, and the electrode 17 are easy to handle.
  • the back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handle because i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without rigidity.
  • a fuel cell membrane / electrode assembly, and a fuel cell stack and a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6-0096610 with respect to an ion exchange membrane assembly method, and a fuel cell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1-0135181
  •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replacement apparatus for stacks and fuel cell stacks has been disclosed, but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 of assembling the gasket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of the flexible material.
  • the flow frame 16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which are repeatedly stacked in advance, are assembled into units and the units are assembled to simplify the assembly of the stack, thereby reducing stack assembly time and providing flexibility This is to solve the difficulty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and the neighboring gasket of the material.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directly fixed to the flow frame 16 so that the siz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can be made small,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ck for a redox flow cell or a fuel cell assembl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 wherein the stack includes an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a flow frame 16 fixed to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 a stack for a redox flow cell or fuel cell is characterized by assembling a pre-fixed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a flow frame with another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may directly fix the flow frame 16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without the gasket 15 between the flow frame 16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outer frame 16b of the flow frame 16 by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 the electrode 17 is disposed in the empty space 16a inside the outer frame 16b of the flow frame 1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electrode 17.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ssembling a redox flow cell or fuel cell stack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and assembled, wherei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fixed to the flow frame 16 disposed on both sides before the lamination. It relates to a method for assembling a redox flow battery or a stack for a fuel cell, characterized in that.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is preferably 200 ⁇ m or less.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a loose material such as a plastic bag, it is difficult to handle when assembling and difficult to fix at the correct posi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easily torn and stretched. It can be fixed in advance so that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can be easily handled, and the assembly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the flow frame 16 can be managed as separate units to facilitate quality control and to expect a stack of high quality. Made it possible.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directly fixed to the flow frame 16,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gasket 15, which is a flexible material placed between the conventional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the flow frame 16, 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stack. Facilitate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redox flow batter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redox flow battery stack.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cell of the redox flow battery stack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frame and ion exchange membran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shows a method of fixing an 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 method of fixing a conventional ion exchange membrane between flow frames.
  • the redox flow cell or fuel cell st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stack is repeatedly stacked, and FIG. 3 shows a unit cell configuration of the stac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the unit cell shows an electrode 17-flow frame 16-ion exchange membrane 18-flow frame 16-electrode 17-gasket 15-separator 14-gasket 15 have.
  • FIG. 4 illustrates a flow frame 16-ion exchange membrane 18-flow frame 16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 frame 16 is direct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to form one unit, and then the electrode 17 is assembled into the empty space 16a inside the flow frame 16 during assembly of the stack. Can be placed.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flow frames 16 to distinguish the electrolyt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oxidation / reduction reaction of the electrolyte can occur through a feature that allows hydrogen ions to pass but does not allow the electrolyte to pass.
  •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generally composed of a substrate through which ions can pass and has a thickness of 200 ⁇ m or less. In addition, because the materi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the surface should be kept clean. Due to the thin thickness and surface cleanliness, it is difficult to handle the ion exchange membrane.
  • the ion exchange membrane is located between the anode flow frame 16 and the cathode flow frame 16.
  • the outer portion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fixed to the outer frame 16b of the flow frame 16. It is preferable to attach it with a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Wh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directly attached to the flow frame 16 by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internal space 16a of the flow fram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attach to the outer frame 16b of (16).
  • FIG. 6 illustrates a stack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ack, and a gasket 15 exists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the flow frame 16 to prevent leakage of an electrolyte.
  • the gasket 15 is laminated betwee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and the flow frame 16, and then the stack is assembled by the fastening of the bolts 100, and the gasket 15 is connect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bolts. Since the gasket should be compressed at a close distance from the bolt, and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should be pressed by the gasket 15, the siz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proceeds farther than the position of the gasket 15. Should be.
  •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smaller in size than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in the conventional stack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ion exchange membrane 18 directly to the flow frame 16 by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so that the size of the ion exchange membrane can be reduced and advantageous to cost re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조립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이온 교환막(18) 및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쪽에 미리 고정되는 플로우프레임(16)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고정된 이온교환막(18) 및 플로우프레임을 다른 플레이트와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04.08.2014]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본 발명은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전지용 스택의 주요 부품인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을 하나의 부품으로 결합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흐름전지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온실가스 감축, 2차 전지, 스마트그리드 등과 긴밀하게 연관된 핵심 제품 중 하나이고, 연료전지는 환경오염 물질 배출이 없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에너지 발전원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급격한 시장의 확대가 진행중인 제품이다. 현재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 연료로부터 얻고 있으나, 이러한 화석 연료의 사용은 대기오염, 산성비 및 지구 온난화 같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화석 연료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신재생 에너지 및 연료 전지에 대한 관심이 급속도로 높아졌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 및 연구는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시장의 경우 국내외적으로 성숙 단계에 접어들었다고는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시간 및 날씨 등의 환경 영향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이 크게 변화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로 인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안정화를 위해 발생된 재생 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보급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며, 이러한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레독스 흐름 전지이다.
연료전지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연료전지의 원료가 되는 수소는 무제한적인 수급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이미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자동차, 발전기, 난방 공급기 등이 개발되어 판매 중에 있다. 하지만 제작이 난해하고 조립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과 같이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셀을 적층한 스택(1), 전해질을 보관하는 탱크(3) 및 전해질 탱크에서 스택으로 전해질을 공급하는 펌프(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1)의 분해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좌측에서부터 엔드 플레이트(11)-절연판(12)-전류 플레이트(13)-분리판(14)-가스켓(15)-플로우프레임(16)-전극(17)-가스켓(15)-이온교환막(18)-가스켓(15)-전극(17)-플로우프레임(16)-가스켓(15)-분리판(14)-전류 플레이트(13)-절연판(12)-엔드 플레이트(11)를 도시하고 있고, 분리판(14) ~ 분리판(14)까지 단위 셀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택은 수십 ~ 수백 개의 단위 셀을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본원 발명에서 플레이트란 용어는 판 형상의 스택(1)을 이루는 앤드 플레이트(11), 절연판(12), 전류 플레이트(13), 분리판(14), 플로우 프레임(16)과 같은 구성을 지칭한다.
엔드 플레이트(11), 절연판(12), 전류 플레이트(13), 플로우프레임(16) 등은 일정 크기의 강성을 지니고 있어서 다루기 용이하나, 이온교환막(18), 가스켓(15) 및 전극(17) 등은 강성이 없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취급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온교환막(18)을 사이에 두고 전해질이 반응을 하므로 이온교환막과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가스켓(15)이 놓여지게 되는데 스택을 조립하기 위해 수 백장의 플레이트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강성이 없는 유연한 재질의 이온교환막과 이에 이웃하는 강성이 없는 유연한 재질의 가스켓의 정렬을 맞추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이온교환막 조립방법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 특허 10-2006-0096610에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스택 및 연료전지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 공개 특허 10-2011-0135181에 연료전지스택 및 연료전지스택의 막-전극 접합체 교체 장치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유연한 재료의 이온교환막(18)과 가스켓의 조립상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결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스택을 조립하기 전,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플로우프레임(16)과 이온교환막(18)을 미리 조립하여 유닛으로 구성하고 이 유닛을 조립하여 스택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여 스택 조립시간을 단축하며 유연한 재질의 이온교환막 및 이에 이웃하는 가스켓의 조립과정에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온교환막(18)을 플로우프레임(16)에 직접 고정하도록 하여 이온교환막(18)의 크기를 작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 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조립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이온 교환막(18) 및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쪽에 미리 고정되는 플로우프레임(16)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고정된 이온교환막(18) 및 플로우프레임을 다른 플레이트와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로우프레임(16)과 이온교환막(18) 사이에는 가스켓(15)이 없이 상기 플로우프레임(16)과 이온교환막(18)을 직접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18)은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과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 내부의 빈 공간(16a)에 전극(17)이 배치되며, 이온교환막(18)의 크기는 전극(17)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조립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하기 전에, 이온교환막(18)을 양쪽에 배치되는 플로우프레임(16)에 미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접착제의 두께는 2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교환막(18)은 비닐봉지처럼 나풀나풀한 재질이어서, 조립할 때 다루기도 어렵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도 어려우며 쉽게 찢어지고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이온교환막(18)을 두 개의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미리 고정하여 이온교환막(18)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게 하며, 이온교환막(18)과 플로우프레임(16)의 조립체를 별개의 유닛으로 관리하여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높은 품질의 스택을 기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온교환막(18)을 직접 플로우프레임(16)에 고정함으로써, 종래 이온교환막(18)과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놓여지는 유연한 재질인 가스켓(15)이 필요없게 하여, 스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이온교환막(18)과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직접 고정하므로 가스켓(15)에 의해 이온교환막(18)이 고정될 때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할 수 있어 원가 절감에 도움이 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레독스 흐름 전지 스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 스택의 단위 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로우프레임 및 이온교환막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온교환막의 고정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종래 이온교환막을 플로우프레임 사이에서 고정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연료전지용 스택은 반복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스택의 단위 셀(unit cell)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단위 셀은 전극(17) - 플로우프레임(16)-이온교환막(18)-플로우프레임(16)-전극(17)-가스켓(15)-분리판(14)-가스켓(15)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플로우프레임(16)-이온교환막(18)-플로우프레임(16) 조립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이온교환막(18)의 양쪽에 플로우프레임(16)을 직접 고정하여 하나의 유닛을 만든 후 스택의 조립시에 전극(17)을 플로우프레임(16)의 내부의 빈 공간(16a)에 배치할 수 있다.
이온교환막(18)은 두 개의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위치하여 양극과 음극의 전해질을 구분하며, 수소 이온은 통과시키고 전해질은 통과시키지 못하는 특징을 통해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이온교환막은 일반적으로 이온이 통과할 수 있는 기질로 구성되며 그 두께는 200μm 이하의 얇은 두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전해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얇은 두께와 표면 청결도 유지 때문에 이온교환막의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온교환막은 양극 플로우프레임(16)과 음극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위치하는데, 본원 발명에서는 스택을 조립하기 전에 이온교환막(18)을 양쪽에 배치되는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에 미리 고정하여, 얇은 두께의 이온교환막을 쉽게 다룰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이온교환막(18)을 양쪽에 배치되는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이온교환막(18)의 외곽 부위를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과 같이 이온교환막(18)이 양쪽의 플로우프레임(16)에 직접 부착되며, 상기 양쪽의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는 실링(15)이 없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이온교환막(18)을 플로우프레임(16)에 직접 접착제나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하는 경우에는 플로우프레임의 내부 공간(16a)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하여, 이온교환막(18)을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에 부착하면 된다.
이에 비하여, 도 6은 종래 스택의 적층 구조로 이온교환막(18)과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는 전해질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15)이 존재한다.
도 6과 같이 종래 발명에서는 이온교환막(18)과 플로우프레임(16) 사이에 가스켓(15)을 적층한후 볼트(100)의 체결에 의해 스택을 조립하고 가스켓(15)은 볼트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되어야 하므로 가스켓은 볼트에서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가스켓(15)에 의하여 이온교환막(18)이 눌려져야 하므로 이온교환막(18)의 크기는 상기 가스켓(15)의 위치보다 더 멀리까지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18)은 종래의 스택 구조에서의 이온교환막(18)에 비하여 크기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은 이온교환막(18)을 플로우프레임(16)에 직접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고정하므로 이온교환막의 크기를 줄여 원가 절감에 유리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조립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에 있어서,
    상기 스택은 이온 교환막(18) 및 상기 이온 교환막의 양쪽에 미리 고정되는 플로우프레임(16)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고정된 이온교환막(18) 및 플로우프레임을 다른 플레이트와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프레임(16)과 이온교환막(18) 사이에는 가스켓(15)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막(18)은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과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의 내부의 빈 공간(16a)에 전극(17)이 배치되며, 이온교환막(18)의 크기는 전극(17)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5. 다수의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조립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층하기 전에, 이온교환막(18)을 양쪽에 배치되는 플로우프레임(16)에 미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프레임(16)과 이온교환막(18) 사이에는 가스켓(15)이 없이 직접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교환막(18)은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과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프레임(16)의 외부 프레임(16b)의 내부 빈 공간(16a)에 전극(17)이 배치되며, 이온교환막(18)의 크기는 전극(17)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의 조립방법
PCT/KR2014/006369 2013-07-16 2014-07-15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WO201500901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826244.7A EP3024074A4 (en) 2013-07-16 2014-07-15 Redox flow battery stack provided with ion exchange membrane and flow fram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214 2013-07-16
KR1020130083214A KR101431070B1 (ko) 2013-07-16 2013-07-16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9019A1 true WO2015009019A1 (ko) 2015-01-22

Family

ID=5175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369 WO2015009019A1 (ko) 2013-07-16 2014-07-15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024074A4 (ko)
KR (1) KR101431070B1 (ko)
WO (1) WO20150090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3858B (zh) * 2014-08-27 2016-06-01 苏州久润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Fe/Cr体系液相流体电池堆
KR101802749B1 (ko) 2016-10-20 2017-12-28 주식회사 에이치투 캐필러리 튜브를 포함한 흐름전지 스택
KR102127037B1 (ko) * 2017-02-28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321389B1 (ko) 2020-06-25 2021-11-03 주식회사 에이치투 레독스 흐름 전지용 셀 조립체
KR102597276B1 (ko) * 2022-06-28 2023-11-02 스탠다드에너지(주) 이차전지
KR102539928B1 (ko) * 2022-06-28 2023-06-05 스탠다드에너지(주) 이차전지
KR102543250B1 (ko) * 2022-11-25 2023-06-14 스탠다드에너지(주) 이차전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474A (ja) * 1998-05-19 1999-11-3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レドックス電池またはレドックス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96610A (ko) 2005-03-02 2006-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스택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822444B1 (ko) * 2007-06-26 2008-04-16 에이네스트(주) 분리막과 분리막 모듈 프레임의 접착 구조가 개선된 분리막모듈
JP2009076309A (ja) * 2007-09-20 2009-04-09 Toyota Motor Corp フレーム付き膜電極接合体と、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9199867A (ja) * 2008-02-21 2009-09-03 Tokai Rubber Ind Ltd 燃料電池用セルおよび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セルの製造方法
KR20110135181A (ko) 2010-06-10 2011-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스택의 막-전극 접합체 교체 장치
DE102011105072B3 (de) * 2011-06-21 2012-11-15 Daimler Ag Haltevorrichtung mit einer Membran einer Membran-Elektroden-Einheit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335Y2 (ja) * 1992-06-29 2000-10-2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のセル
JPH07135008A (ja) * 1993-11-09 1995-05-23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池セル構造
DE19713250C2 (de) * 1997-03-29 2002-04-18 Ballard Power Systems Elektrochemischer Energiewandler mit Polymerelektrolytmembran
JP3613165B2 (ja) 2000-10-05 2005-01-26 株式会社トヨトミ 燃料電池のセパレータ構造
JP3657538B2 (ja) 2001-06-12 2005-06-0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セルスタック
US6989214B2 (en) * 2002-11-15 2006-01-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itized fuel cell assembl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474A (ja) * 1998-05-19 1999-11-3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レドックス電池またはレドックスキャパシ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96610A (ko) 2005-03-02 2006-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스택 및 연료전지 시스템
KR100822444B1 (ko) * 2007-06-26 2008-04-16 에이네스트(주) 분리막과 분리막 모듈 프레임의 접착 구조가 개선된 분리막모듈
JP2009076309A (ja) * 2007-09-20 2009-04-09 Toyota Motor Corp フレーム付き膜電極接合体と、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9199867A (ja) * 2008-02-21 2009-09-03 Tokai Rubber Ind Ltd 燃料電池用セルおよび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セルの製造方法
KR20110135181A (ko) 2010-06-10 2011-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스택 및 연료 전지 스택의 막-전극 접합체 교체 장치
DE102011105072B3 (de) * 2011-06-21 2012-11-15 Daimler Ag Haltevorrichtung mit einer Membran einer Membran-Elektroden-Einheit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024074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4074A4 (en) 2017-01-04
KR101431070B1 (ko) 2014-08-21
EP3024074A1 (en)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09019A1 (ko) 이온교환막 및 플로우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US20140227628A1 (en) Redox Flow Battery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System Having the Same
CN101587959B (zh) 一种电极框及全钒液流储能电池堆
CN101651224B (zh) 用于组装燃料电池堆的方法和设备
EP3024075B1 (en) Redox flow battery or fuel cell stack provided with seal for preventing shunt current loss
ATE421160T1 (de) Mehrschichtige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20140084011A (ko) 레독스 흐름 배터리 반응기 셀을 조립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0820A (ko)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
CN103811779A (zh) 液流电池用电极框、电堆及其电池系统
CN103840188A (zh) 一种液流电池的电堆结构
KR101471886B1 (ko) 전해질용 관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스택
WO2015009026A1 (ko) 분리판 결합체 및 분리판 탭을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용 스택
US10340536B2 (en) Modular fuel cell structure, casing of the same, and fuel cell system
CN102170008B (zh) 非流动型钒素二次电池
CN102330107B (zh) 采用粘结剂封装自呼吸式电化学纯氧发生组件
KR20150122501A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복합재료 분리판
KR101169227B1 (ko)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의 다중 셀 플로우 프레임
US10020529B2 (en) Flow battery stack including capillary tube
CN202265609U (zh) 一种采用粘结剂封装自呼吸式电化学纯氧发生组件
JP2010262830A (ja) バイオ燃料電池
US20180331383A1 (en) Gasket assemblies for redox flow batteries
KR101637008B1 (ko) 활성점에 차이가 있는 카본펠트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이차전지
KR101792602B1 (ko) 전극 집전체의 중첩이 최소화된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15207438A (ja) 燃料電池
JP6208650B2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26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26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