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92986A1 -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92986A1
WO2014192986A1 PCT/KR2013/004588 KR2013004588W WO2014192986A1 WO 2014192986 A1 WO2014192986 A1 WO 2014192986A1 KR 2013004588 W KR2013004588 W KR 2013004588W WO 2014192986 A1 WO2014192986 A1 WO 201419298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witch
battery cell
secondary battery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5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효진
장수엽
조세훈
김승범
권대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3/00458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92986A1/ko
Publication of WO201419298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929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malfunctions, or even if power is not supplied, secondary sensing of overcharging of a battery cell physically prevents charging power.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and have a large capacity, such as nickel cadmium, nickel hydrogen, and lithium ion batteries.
  • the lithium ion battery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power source due to 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long life and high capacity.
  • an abnormal use environment such as overcharging, short circuit, reverse connection, and heat exposure
  • gas due to electrochemical action is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thereby increasing the battery internal pressure.
  • Increas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causes the battery to expand and in particular, if abnormal use time such as overcharging continues, the electrolyte or the active material is partially decomposed, and the internal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battery may rise rapidly, causing an explosion or fire.
  • thermal stability tests such as a high temperature storage test, a thermal shock test, a heat exposure test, as well as tests of overcharge, overdischarge, short circuit, reverse connection, etc., are performed. Under these thermal safety test conditions, there should be no explosion or ignition of the battery.
  • the secondary battery 4 is composed of a case 2 and an electrode assembly 3 to be housed by the secondary battery pack 1.
  • the needle-shaped protrusion 5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pack 1, and when the secondary battery 4 is overcharged, shorted, reversed, or the like, a temperatur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4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electrolyte, the active material, and the like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4 change to a gas state, causing the expan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4 to occur, and the secondary battery 4 swells.
  • the needle-shaped protrusion 5 may rupture the sealing of the secondary battery 4 to prevent explosion and ign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 the prior art of protecting the secondary battery 4 as the protrusion 5 has a problem that additional production processes are required, resulting in low productivity and difficult to guarantee reliability of rupture.
  • the laminated part has a contradictory contradiction, which must simultaneously have a sealability and a rupture property.
  • the rupture of the sealing portion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has a problem that the harmful gas is discharged to adversely affect the damage to the electronic circuit and the human body installed in the vicini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acent to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it is configured by the switch bracket is fixed by the switch bracket there is no installation space constraint of the switch and easy to fix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ell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which prevents reoperation even when the battery cell is reduced after expansion by applying a switch that does not return once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is sensed.
  •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of a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comprising a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battery power by sensing the expansion load of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the prevention device, the switch unit is fixed,
  • the switch unit the cover of the elastic material for the expansion load detection;
  • a circuit board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cover and having a via hole for transmitting a load of the cover;
  • a switch located at a rear end of the circuit board and receiving a load transferred to a cover;
  • a case accommodating the cover, the circuit board, the switch, and the connector; It consists of.
  • the switch is a non-return type that does not return even if it is removed after the load is applied.
  • the switch unit is fixed to the switch bracket through a guide pin provided on the case.
  •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of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because there is no restriction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witch for detecting the expansion forc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easy to contro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expansion force of the various battery cells.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switch bracket 31 switch via hole
  • the battery cell 20 has a sealed structure.
  • an excessive state such as overcharging, short circuit, reverse connection, and heat exposure due to the nature of the sealed structure, gas is generated and expands inside the battery cell 20, and when the expansion is continued, the battery cell 20 If chemicals such as silver electrolyte leak out or the degree is severe, fire and explosion may occur.
  •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s 10 and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witch unit 10 and a switch unit 10 installed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a battery cell 20 provided inside a secondary battery. Is fixed, and comprises a switch bracket 30 is fixed inside the secondary battery.
  • the switch unit 10 includes a cover 11, a circuit board 12, a switch 13, a connector 14, and a case 15.
  • the cover 11 is dispos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20 (refer to FIG. 2) and is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 the cover switch 11a protrudes from one surface of the cover 11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20. Therefore, the first contact with the cover switch (11a) when the battery cell 20 is expanded.
  • the cover 11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not only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20 is detected but also the contraction of the battery cell 20 is caused by the elasticity of the cover switch 11a when the battery cell 20 is contracted. It can be detected. Therefore, even when the battery cell 20 is contracted after expansion, the contraction of the battery cell 20 is sensed through the cover 11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y from restarting.
  • the circuit board 12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ver 11.
  • the via hole 12a may be formed in the circuit board 12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ver switch 11a.
  • the load of the cover switch 11a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13 through the via hole 12a.
  • the switch 13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circuit board 12.
  • the switch 13 is formed to protrude so that the sensing unit 13a slides on one surface of the switch 13 and is configured to be exposed on the via hole 12a. Therefore, when the end of the sensing unit 13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one surface of the switch 13, the switch 12 is kept in the on state, and the sensing unit 13a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nsing unit 13a by the load. 13) When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one surface switch 13 is turned off.
  • the switch 13 receives the loa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20, and even if the battery cell 20 contracts after the sensing unit 13a is operated, the end of the sensing unit 13a is connected to the switch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tch is composed of a non-return type switch that protrudes outward and does not return. Therefore, even when the battery cell 20 is expanded and contra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reactivation is prevented.
  • the switch 13 can be manually turned on for reuse in the off state.
  • the connector 14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witch 13 at the rear end of the circuit board 12 and supplies or cuts off the battery charging power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switch 13.
  • Circuit board 12 and the connector 14 i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that supplies or cuts power by the on / off of the switch 13 will be omitt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 the cover 11, the circuit board 12, the switch 13, and the connector 14 are accommodated and assembled in a case 15 which is formed on an enclosure and has one surface opened.
  • a guide pin 15a is provided on the case 15 to facilitate coupling with the switch bracket 30 (see FIG. 4) to be described later.
  • the guide pin 15a may be formed in a hook type, and a plurality of guide pins 15a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5. Therefore, the switch unit 10 is fixed by fitting to the switch bracket 30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bolt or screw.
  • the switch bracket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 the switch bracket 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witch bracket 30, and the switch bracket 30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case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fore,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position restriction of the switch unit 10 because it can be installed if only the space in which the switch bracket 30 can be secured can be installed.
  • the switch bracket 30 includes a switch via hole 31. One surface of the switch unit 10 is coupled to the switch via hole 31 so as to be exposed, and is fitted and fixed by the guide pin 15a.
  • the switch via hole 31 is formed through the switch bracket 30.
  • the cover switch 11a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ly one surface of the switch bracket 30.
  • the overcharge preventing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freely adjust the distance L between the battery cell 20 and the switch unit 10,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battery cells having different operating voltages. There 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오작동 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2차적으로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충전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본 발명은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오작동 하거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2차적으로 배터리 셀의 과충전을 물리적으로 감지하여 충전 전원을 차단시키게 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2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및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이중에서 상기 리튬이온전지는 장 수명, 고용량 등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차세대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리튬이온전지는 과충전, 단락, 역접속, 열노출 등 비 정상적인 사용 환경에 노출될 경우 전지 내부에 전기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한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내압이 상승된다. 전지의 내압 상승으로 인해 전지가 팽창하게 되고 특히 과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시간이 지속되는 경우 전해액이나 활물질이 일부 분해되어 전지 내부 압력 및 온도가 급상승되어 폭발이나 화재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상기 2차 전지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과충전, 과방전, 단락, 역접속 등의 시험뿐만 아니라, 고온보관시험, 열 충격시험, 열 노출시험 등 다양한 열적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열적 안전성 시험조건에서 전지의 폭발, 발화가 없어야 한다.
상기 2차 전지의 안전성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이제까지 매우 다양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전지케이스의 파열부를 통해 상기 2차 전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거나 전지내부에 파열 디스크를 이용하여 전지회로를 직접 차단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이 경우 과충전 등의 상황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내압이 설계치를 상회할 경우 밀봉부가 파열되거나 전지의 전원이 차단되는 형태로 내압해소 및 안전성을 확보하게 되나 파열시 발생된 스파크가 점화원으로 작용하여 폭발 및 발화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2차 전지의 과충전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지(4)는 케이스(2)와 전극조립체(3)로 구성되어 2차 전지용 팩(1)에 의해 수납된다. 상기 2차 전지용 팩(1)의 내부에 침상형 돌출부(5)가 구비되고 상기 2차 전지(4)의 과충전, 단락, 역 전압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 2차 전지(4)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2차 전지(4) 내부의 전해액 및 활물질 등이 가스 상태로 변화되어 상기 2차 전지(4)의 팽창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2차 전지(4)가 부풀어 오르게 된다.
상기 2차 전지(4)가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팽창되면 침상형 돌출부(5)에 의해 상기 2차 전지(4)의 밀봉이 파열되는 구조로 상기 2차 전지의 폭발 및 발화를 방지한다.
상기 돌출부(5)로서 상기 2차 전지(4)를 보호하는 종래기술은 추가적인 생산 공정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파열의 신뢰도를 보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층부가 밀봉성과 파열성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상반된 모순을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지의 내압에 의한 밀봉부의 파열은 유해가스를 배출시켜 부근에 설치된 전자회로의 손상 및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파우치형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경우 케이스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와 폴리머수지 등의 수지재가 혼합된 유연성 박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장치 구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전지 배터리 셀과 인접하며, 스위치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스위치부를 구성하여 스위치의 설치 공간 제약이 없고 고정이 용이한 2차 전지의 배터리 셀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번 배터리 셀의 팽창을 감지하면 복귀되지 않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배터리 셀이 팽창 후 축소되더라도 재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2차 전지의 배터리 셀 과충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팽창 하중을 감지하여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지장치는, 상기 스위치부가 고정되며,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브래킷; 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은, 팽창 하중 감지를 위한 탄성 재질의 커버; 상기 커버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의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비아홀이 형성되는 회로판; 상기 회로판의 후단에 위치하며 커버로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받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on/off에 의해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커넥터; 상기 커버, 회로판, 스위치 및 커넥터를 수용하는 케이스; 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하중이 가해진 후 제거 되더라도 복귀되지 않는 비복귀 타입이다.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은, 상기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상기 스위치브래킷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배터리 셀의 팽창력을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의 설치 위치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배터리 셀 외면과의 이격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배터리 셀의 팽창력을 정확하게 감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팽창을 한번 감지하면 복귀되지 않는 스위치를 적용하여 팽창되었던 배터리 셀의 재작동으로 인한 2차 위험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과충전 방지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위치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 작동상태도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치부 11 : 커버스위치
12 : 회로판 13 : 스위치
14 : 커넥터 15 : 케이스
20 : 배터리 셀
30 : 스위치브래킷 31 : 스위치비아홀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10, 30)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20)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셀(20)은 밀폐구조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셀(20)은 밀폐구조의 특성상 과충전, 단락, 역 접속, 열노출 등의 과도한 상태에 놓이게 되면 배터리 셀(20)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팽창하며, 팽창이 지속되면 배터리 셀(20)은 내부의 전해액 등 화학물질이 유출 되거나 그 정도가 심한경우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10, 20, 3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10, 30)는, 2차 전지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셀(20)의 측면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위치부(10)와, 스위치부(10)가 고정되며, 2차 전지 내부에 고정되는 스위치브래킷(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치부(10)는 커버(11), 회로판(12), 스위치(13), 커넥터(14) 및 케이스(15)로 구성된다. 커버(11)는 배터리 셀(20, 도 2 참조)의 측면 인접부 일면에 배치되며,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커버(11)의 일면에는 배터리 셀(20)의 측면을 향하여 커버스위치(11a)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배터리 셀(20)의 팽창 시 커버스위치(11a)에 최초로 맞닿게 된다. 커버(11)를 탄성 재질로 구성하면, 배터리 셀(20)의 팽창을 감지할 뿐 아니라, 배터리 셀(20)의 수축 시에도 커버스위치(11a)의 탄성에 의해 배터리 셀(20)의 수축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20)이 팽창 후 수축되더라도 커버(11)를 통해 배터리 셀(20)의 수축을 감지하여 2차 전지의 재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커버(11)의 타면에는 회로판(12)이 배치된다. 회로판(12)에는 커버스위치(11a)와 대응되는 부위에 비아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비아홀(12a)을 통해 커버스위치(11a)의 하중이 스위치(13)에 전달된다. 회로판(12)의 후단에는 스위치(13)가 결합된다. 스위치(13)는 감지부(13a)가 스위치(13)의 일면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비아홀(12a) 상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감지부(13a)의 끝단이 스위치(13)의 일면 외측으로 노출되었을 때에는 스위치(12)가 on 상태로 유지되며, 감지부(13a)가 하중에 의해 감지부(13a)의 끝단이 스위치(13) 일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할 경우 스위치(13)는 off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스위치(13)는 배터리 셀(20)의 팽창으로 인해 하중을 받아 감지부(13a)가 작동된 후 배터리 셀(20)이 수축하여도 감지부(13a)의 끝단이 스위치(13)의 일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복귀되지 않는 비복귀 타입의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터리 셀(20)이 팽창된 후 수축하여도 재작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스위치(13)는 off 된 상태에서 재사용을 위해 수동으로 on 복귀가 가능하다.
커넥터(14)는 회로판(12)의 후단에 스위치(13)와 이웃하여 배치되며, 스위치(13)의 on/off 에 따라 배터리 충전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게 된다. 회로판(12) 및 커넥터(14)는 스위치(13)의 on/off 에 의해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통상의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11), 회로판(12), 스위치(13) 및 커넥터(14)는 함체 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이 개방되는 케이스(15)에 수용되어 조립된다. 케이스(15) 상에는 가이드핀(15a)이 구비되어 후술되는 스위치브래킷(30, 도 4 참조)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가이드핀(15a)은 후크 타입으로 구성되며, 케이스(15)의 측면 상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부(10)는 별도의 볼트나 나사가 필요 없이 스위치브래킷(30)에 끼움결합으로 고정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10, 3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위치브래킷(30)은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브래킷(30)에는 스위치부(10)가 고정 설치되며, 스위치브래킷(30)은 2차 전지의 케이스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스위치브래킷(30)이 고정될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면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스위치부(10)의 위치 제약이 없는 장점이 있다. 스위치브래킷(30)은 스위치비아홀(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비아홀(31)에 스위치부(10)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가이드핀(15a)에 의해 끼움 고정된다. 스위치비아홀(31)은 스위치브래킷(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커버스위치(11a)가 스위치브래킷(30)의 일면 외측으로 돌출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과충전 방지장치(10, 30)의 작동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과충전 방지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20)과 스위치부(10)의 거리(L)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작동전압이 상이한 다양한 배터리 셀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Claims (4)

  1.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팽창 하중을 감지하여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지장치는,
    상기 스위치부가 고정되며,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브래킷; 을 포함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은,
    팽창 하중 감지를 위한 탄성 재질의 커버;
    상기 커버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커버의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비아홀이 형성되는 회로판;
    상기 회로판의 후단에 위치하며 커버로 전달되는 하중을 전달받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on/off에 의해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커넥터;
    상기 커버, 회로판, 스위치 및 커넥터를 수용하는 케이스;
    로 구성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하중이 가해진 후 제거 되더라도 복귀되지 않는 비복귀 타입인,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은,
    상기 케이스 상에 구비되는 가이드핀을 통해 상기 스위치브래킷에 고정되는,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PCT/KR2013/004588 2013-05-27 2013-05-27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WO201419298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588 WO2014192986A1 (ko) 2013-05-27 2013-05-27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4588 WO2014192986A1 (ko) 2013-05-27 2013-05-27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2986A1 true WO2014192986A1 (ko) 2014-12-04

Family

ID=5198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588 WO2014192986A1 (ko) 2013-05-27 2013-05-27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929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683B2 (en) 2015-01-23 2018-07-03 Elev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able recharging and lighting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7317416A (zh) * 2023-11-24 2023-1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用电装置、电池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4601A1 (en) * 2002-04-10 2003-10-16 E-One Moli Energy (Canada) Limited Heade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2006080065A (ja) * 2004-09-07 2006-03-23 Samsung Sdi Co Ltd 安全ベントを有す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00123598A (ko) * 2009-05-14 2010-11-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10135977A1 (en) * 2009-12-07 2011-06-09 Chin-Ming Chen Automatic battery-overcharge power disconnection device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20120134698A (ko) * 2011-06-03 2012-1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94601A1 (en) * 2002-04-10 2003-10-16 E-One Moli Energy (Canada) Limited Heade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2006080065A (ja) * 2004-09-07 2006-03-23 Samsung Sdi Co Ltd 安全ベントを有す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00123598A (ko) * 2009-05-14 2010-11-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110135977A1 (en) * 2009-12-07 2011-06-09 Chin-Ming Chen Automatic battery-overcharge power disconnection device and battery using the same
KR20120134698A (ko) * 2011-06-03 2012-12-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683B2 (en) 2015-01-23 2018-07-03 Elev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able recharging and lighting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461531B2 (en) 2015-01-23 2019-10-29 Elev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able recharging and lighting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784680B2 (en) 2015-01-23 2020-09-22 Elev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able recharging and lighting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0910833B2 (en) 2015-01-23 2021-02-02 Elevate Technologies Corporation Adaptable recharging and lighting sta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7317416A (zh) * 2023-11-24 2023-12-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用电装置、电池及系统
CN117317416B (zh) * 2023-11-24 2024-04-1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管理方法、设备、存储介质、用电装置、电池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2767B2 (en) Safety apparatus and protection method of secondary battery for electric vehicle using switch
EP1406340B1 (en) Storage battery device and power source apparatus comprising it
RU2468477C2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реднего или большого размера повыш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WO2013058558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WO2009134046A2 (ko)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
KR101944837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WO2017078253A1 (ko) 가스 배출부의 변위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 스웰링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 이차 전지 충전 시스템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US9761852B2 (en) Battery pack
KR20120134698A (ko)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WO2022031056A1 (ko) 배터리 모듈, 그것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10081095A (ko) 열 폭주 검출 장치,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열 폭주 검출 방법
CN113767028B (zh) 车辆电池火灾感测设备和方法
US20210194072A1 (en) Thermal runaway detection system and battery system
US20100013437A1 (en) Redundant battery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WO2014192986A1 (ko) 2차 전지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US9793579B2 (en) Batteries for use in implantable medical devices
WO2015068871A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의 과충전 방지장치
WO2019151680A1 (ko) 배터리 팩
KR2020009010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749353B1 (ko)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보호회로
US20240175855A1 (en) Early fire detection system for an ess battery module
WO2023068580A1 (ko) 열 폭주 감지용 압력 센서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JP2006120353A (ja) 電池パック
KR20160143091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과충전 보호 시스템
KR20160057206A (ko) 배터리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5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5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