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57961A1 -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57961A1
WO2014157961A1 PCT/KR2014/002611 KR2014002611W WO2014157961A1 WO 2014157961 A1 WO2014157961 A1 WO 2014157961A1 KR 2014002611 W KR2014002611 W KR 2014002611W WO 2014157961 A1 WO2014157961 A1 WO 20141579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boundary
displac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6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지만석
지현조
Original Assignee
Ji Man Su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26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14275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255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64035B1/ko
Application filed by Ji Man Suk filed Critical Ji Man Suk
Priority to US14/781,007 priority Critical patent/US9870147B2/en
Publication of WO20141579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57961A1/ko
Priority to US15/849,449 priority patent/US1027508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Abstract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은,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 시작 및 일정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터치 지점과 상기 변위된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일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경계에 마주하는 타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본 발명은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 터치입력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패드형 단말기 등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넓은 화면을 요구하면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도 같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터치 기능을 겸한 디스플레이가 5인치 이상인 제품이 주류이며,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하지만, 디스플레이가 5인치보다 작았던 이전에 비해 5인치 이상인 제품을 보면, 한 손으로 원하는 위치에 터치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실제로 성인 남자를 기준으로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모든 위치를 터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휴대단말기는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사용되는 물건으로서 한 손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대형 디스플레이를 가진 휴대단말기를 한 손으로 억지로 사용하다가 보면 의도하지 않은 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 제10-2011-0018589호 및 한국특허공개 제10-2012-0127649호가 개시되어 있지만,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고, 화면을 작게 축소하거나 왜곡을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면서도 안전하게 터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은,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 시작 및 일정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터치 지점과 상기 변위된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일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경계에 마주하는 타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경계 위, 안쪽 또는 바깥쪽에서부터의 터치 시작(initial touch)를 감지하고 터치 시작 이후에 연속되는 터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터치가 용이하게 변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특정하여 변위시키고, 변위된 화면을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된 화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화면 변위로 가까워진 지점을 중간 터치(mid touch)하면,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터치 좌표와 디스플레이에서의 변위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은 시스템 설계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기능 및 과정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화면에서 손가락이 닿지 않는 부분을 변위할 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지도나 은행 등의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손가락이 닿지 않는 부분을 변위할 때도 사용할 수 있고, 전화번호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외에도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모든 화면 및 어플리케이션에서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변위하는 과정은 다양한 조건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시작은 디스플레이의 경계에서부터 감지되는 경우에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변위 기준은 터치 시작의 지점 또는 터치 이동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시작의 지점에 따라서, 터치 시작 지점이 디스플레이의 일 모서리 경계에 인접한 경우, 변위된 화면은 일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대각하는 타 모서리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시작 지점이 디스플레이의 일 수평 경계의 중앙부에 인접한 경우, 변위된 화면은 일 수평 경계에서부터 마주하는 타 수평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시작 지점이 디스플레이의 일 수직 경계의 중앙부에 인접한 경우, 변위된 화면은 일 수직 경계에서부터 마주하는 타 수직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다르게, 터치 이동의 방향에 따라서는, 터치 이동의 방향이 경사진 경우, 변위된 화면은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모서리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대각하는 일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이동의 방향이 수평인 경우, 변위된 화면은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수직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마주하는 일 수직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이동의 방향이 수직인 경우, 변위된 화면은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수평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마주하는 일 수평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킬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을 변위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비례하여 화면을 변위시킬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이동이 계속되다가 일시 정지에 대응하여 변위된 화면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터치는 사용자의 상기 일시 정지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시 정지 후 터치 신호가 중단된 후 다시 발생하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여 중간 터치의 지점을 특정할 수가 있다.
중간 터치 지점과 변위된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목적된 지점의 클릭, 버튼 입력 등과 같은 연계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그 이후 상기 변위된 화면을 복원할 수가 있다. 물론, 복원 이전에 연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화면으로 바로 전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위시키는 단계 이전에, 화면 변위 과정을 정의하고 약속된 조건에 따라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터치 시작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 주변에서 소정의 시간, 예를 들어 1, 2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고 화면 변위를 하기 위한 기능 및 입력에 더욱 중요도를 높여 기능을 집중시킬 수가 있다.
이 외에도 터치 시작 이전에 동일 지점에서 소정의 회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터치 시작 지점에서 2회 또는 3회 터치가 반복되는 것을 신호로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할 수가 있다.
그 밖에 단말기에 물리적 버튼이나 디스플레이 화면의 그래픽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를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한 손으로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정확하면서도 안전하게 터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대형화되는 화면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 및 사고 가능성을 예방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이하, 휴대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인터넷 브라우징 기능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브라우징 외에도 기타 설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홈 스크린, 전화번호 입력, 문자 입력 등 휴대단말기에서 터치로 구현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0)는 대형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 상에는 터치센서(미도시)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터치센서에 의해서 감지된 좌표와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좌표를 매칭하고, 매칭된 지점이 터치된 것으로 감지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계된 기능이라 하면, 소정의 위치에 정의된 하이퍼링크가 될 수도 있고,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버튼(예를 들어,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북마크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R-R 라인은 대략 한 손으로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R-R 라인을 넘어서 터치를 하기 위해서는 현재 손이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느슨하게 하여 손가락을 더 멀리 도달하게 하거나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 하나로 잡고 다른 손으로 터치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왼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있으며, 안정된 그립을 유지하면서 멀리 있는 장바구니 아이콘을 터치할 수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왼쪽 아래 모서리 경계를 2초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시작을 할 수 있다. 이때, 2초 이상 모서리 경계가 터치된 것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터치 시작 이후의 터치 이동을 대기할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는 터치 시작을 위한 손가락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화면의 중앙부 또는 대각 모서리 경계를 향해 터치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대각 모서리 경계, 오른쪽 위 주변에 있는 화면의 일부가 왼쪽 아래의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원래 화면과 변환된 화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네온 테두리 또는 그림자 테두리를 표현할 수가 있다.
오른쪽 위 주변의 화면이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는 목적한 장바구니 아이콘이 엄지 손가락으로 닿을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손가락 이동을 정지하고 일시적으로 터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화면은 복원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길지 않은 정해진 시간 동안 중간 터치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 내에 목적한 장바구니 아이콘을 눌러 중간 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변환된 화면의 좌표 및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상호 매칭할 수 있으며, 변환된 화면에서의 좌표과 원래 변환 전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원래 변화 전 화면의 좌표 및 변환된 경계 좌표를 참조할 수 있으며, 변환 전 좌표와 변환 후 좌표를 매칭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중간 터치로 특정되는 변환된 화면의 좌표와 원래 화면에서의 장바구니 아이콘의 위치가 매칭되면, 휴대단말기는 목적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장바구니 아이콘의 기능에 따라 장바구니 화면으로 바로 전환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장바구니에 현재 상품이 담겨 저장되면서 원래 화면으로 다시 복원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시작의 터치 시간을 기준으로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시작을 포함하는 터치 회수, 터치 시작 이전의 제스쳐, 터치 시작 이전의 버튼 입력 등에 따라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하는 과정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시작 지점이 왼쪽 아래 모서리 경계에서 시작하는 것에 대응하여 오른쪽 위 모서리 경계 주변의 화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왼쪽 아래 모서리 경계에서 시작하여도 터치 이동의 방향이 수직이거나 수평인지에 따라 후술하는 다른 양상으로 변환된 화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화면 변환 과정이 활성화된 경우에서는 굳이 디스플레이 모서리 경계에서 터치 시작을 시작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역시 사용자가 왼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번에도 안정된 그립을 유지하면서 멀리 있는 배너를 터치할 수가 없다고 가정하여 이하 내용을 설명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아래 수평 경계의 중앙부를 터치 시작과 함께 2초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하거나 2, 3회 동일한 지점을 연속 터치한 후 터치 시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시작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는 터치 시작을 위한 손가락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아래 수평 경계로부터 중앙부 또는 위 수평 경계를 향해 터치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부 또는 위 수평 경계 주변에 있는 화면의 일부가 아래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원래 화면과 변환된 화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네온 테두리 또는 그림자 테두리를 표현할 수가 있다.
상부 화면이 아래 경계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는 목적한 배너가 엄지 손가락으로 닿을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손가락 이동을 정지하고 일시적으로 터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화면은 복원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길지 않은 정해진 시간 동안 중간 터치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 내에 목적한 배너를 눌러 중간 터치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비례하여 변환된 화면의 노출되는 양도 비례하여 변경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해진 거리만큼 예를 들어 화면 길이의 50%, 30% 등과 같이 소정의 길이만큼 바로 노출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던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변환된 화면의 좌표 및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상호 매칭할 수 있으며, 변환된 화면에서의 좌표과 원래 변환 전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중간 터치로 특정되는 변환된 화면의 좌표와 원래 화면에서의 배너 위치가 매칭되면, 휴대단말기는 배너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시작 지점이 아래 경계에서 시작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부 화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터치 시작 지점이 위 경계일 수도 있으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라 화면이 좌우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변환 과정이 활성화된 경우에서는 굳이 디스플레이 경계 중앙부에서 터치 시작을 시작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있고, 왼쪽 위의 홈페이지 링크를 눌러 홈페이지로 이동하려는 경우를 가정하여 이하 내용을 설명한다.
이때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오른쪽 수직 경계의 중앙부를 터치 시작과 함께 2초 또는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를 유지하거나 2, 3회 동일한 지점을 연속 터치한 후 터치 시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시작 조건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 이후 사용자는 터치 시작을 위한 손가락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오른쪽 수직 경계로부터 중앙부 또는 왼쪽 수직 경계를 향해 터치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왼쪽 수직 경계 주변에 있는 화면의 일부가 오른쪽 경계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원래 화면과 변환된 화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네온 테두리 또는 그림자 테두리 등을 표현하거나 변환된 화면을 밝게 표시하고 원래 화면을 어둡거나 터치 기능에 제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좌측 화면이 우측 경계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하면서, 사용자는 목적한 홈페이지 링크가 엄지 손가락으로 닿을 수 있는 상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손가락 이동을 정지하고 일시적으로 터치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화면은 복원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길지 않은 정해진 시간 동안 중간 터치를 대기한다. 사용자는 정해진 시간 내에 목적한 홈페이지 링크를 눌러 중간 터치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비례하여 변환된 화면의 노출되는 양도 비례하여 변경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정해진 폭만큼 예를 들어 화면 폭의 50% 등과 같이 소정의 폭 만큼 바로 노출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던지 휴대단말기의 시스템 또는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은 변환된 화면의 좌표 및 터치센서에 의한 중간 터치 지점의 좌표를 상호 매칭할 수 있으며, 변환된 화면에서의 좌표와 원래 변환 전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터치 시작 지점이 오른쪽 경계에서 시작하는 것에 대응하여 좌측 화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터치 시작 지점이 왼쪽 경계일 수도 있으며, 터치 이동 방향에 따라서도 화면이 위아래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 변환 과정이 활성화된 경우에서는 굳이 디스플레이 경계 중앙부에서 터치 시작을 시작할 필요 없이 디스플레이 내부에서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서 변환된 화면으로 손가락과 이동하는 화면은 손가락 변위에 비례하여 노출되는 범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반면, 변환되지 않은 영역은 원래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변화된 화면의 노출 변위에 따라 나머지 부분도 연속적으로 같이 따라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터치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왼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잡고 있으며, 안정된 그립을 유지하면서 멀리 있는 장바구니 아이콘을 터치할 수가 없다고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2초 이상 모서리 경계가 터치된 것에 대응하여 화면 변환 과정을 활성화시키고, 터치 시작을 위한 손가락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화면의 중앙부 또는 대각 모서리 경계를 향해 터치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대각 모서리 경계, 오른쪽 위 주변에 있는 화면의 일부가 왼쪽 아래의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노출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때 원래 화면과 변환된 화면을 구분하기 위해서, 광고성 팝업 밴드가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광고성 팝업 밴드는 변위된 화면의 모든 경계에도 형성될 수 있지만, 도면과 같이 일부에서만 형성될 수 있고,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나머지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네온 테두리 또는 그림자 테두리를 표현할 수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과정에서 광고성 팝업 밴드가 변위되어 노출된 화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성 팝업 밴드가 노출된 화면의 수직 테두리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변환된 화면을 밝게 표시하고 원래 화면을 어둡거나 터치 기능에 제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광고성 팝업 밴드는 서비스 제공업자가 제공하는 광고를 게시할 수 있다. 팝업 밴드의 종류는 사용자와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선택된 또는 랜덤으로 선택된 광고가 제공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를 위해서 현재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서핑 중인 페이지의 종류,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등에 따라서 달리 제공될 수도 있다. 팝업 밴드는 상업적인 광고 외에도 공익적인 광고, 공지사항, 현재 시간, 메시지 알림, 메일 알림, 이벤트 안내 등을 포함할 수가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서 사용자의 터치 시작 및 일정 방향으로의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변위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중간 터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 터치 지점과 상기 변위된 화면의 좌표를 매칭하여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일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경계에 마주하는 타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모서리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일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모서리 경계에 대각하는 타 모서리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수평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일 수평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수평 경계에 마주하는 타 수평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지점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수직 경계에 인접한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일 수직 경계에서부터 상기 일 수직 경계에 마주하는 타 수직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이 경사진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모서리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마주하는 모서리 경계에 대각하는 일 모서리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이 수평인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수직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마주하는 수직 경계를 마주하는 일 수직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이동의 방향이 수직인 경우, 상기 변위된 화면은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을 마주하는 수평 경계의 주변에 표시된 화면을 상기 마주하는 수평 경계를 마주하는 일 수평 경계에서부터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된 화면을 고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비례하여 상기 변위된 화면의 고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의 일시 정지에 대응하여 상기 변위된 화면을 고정하고, 상기 중간 터치는 사용자의 상기 일시 정지 지점과 다른 지점에서 터치 신호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터치 지점과 상기 변위된 화면의 좌표를 매칭한 후, 상기 변위된 화면을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변위시키는 단계 이전에,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경계 주변에서 소정의 시간 유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이전에 동일 지점에서 소정의 회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시작 이전에 소정의 기능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면 변위 과정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된 화면의 테두리를 따라 팝업 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터치제어방법.
PCT/KR2014/002611 2013-03-27 2014-03-27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WO20141579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81,007 US9870147B2 (en) 2013-03-27 2014-03-27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US15/849,449 US10275084B2 (en) 2013-03-27 2017-12-20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677 2013-03-27
KR1020130032677A KR101414275B1 (ko) 2013-03-27 2013-03-27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KR10-2014-0025535 2014-03-04
KR1020140025535A KR101564035B1 (ko) 2014-03-04 2014-03-04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781,007 A-371-Of-International US9870147B2 (en) 2013-03-27 2014-03-27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US15/849,449 Continuation-In-Part US10275084B2 (en) 2013-03-27 2017-12-20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961A1 true WO2014157961A1 (ko) 2014-10-02

Family

ID=5162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611 WO2014157961A1 (ko) 2013-03-27 2014-03-27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70147B2 (ko)
WO (1) WO20141579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9414A (zh) * 2015-03-16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装置
CN107831998A (zh) * 2017-10-31 2018-03-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移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21735A (zh) * 2018-03-02 2019-09-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8589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10122083A1 (en) * 2008-07-17 2011-05-26 Camelot Co., Ltd. Information terminal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2190B2 (en) * 2010-10-01 2015-07-28 Z124 Smartpad split screen
JP2008250804A (ja) * 2007-03-30 2008-10-16 Kyocera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変更制御装置及び画像変更プログラム
DE112009003521T5 (de) * 2008-12-04 2013-10-10 Mitsubishi Electric Corp. Anzeigeeingabevorrichtung
US8209632B2 (en) * 2010-01-26 2012-06-26 Apple Inc. Image mask interface
KR101483593B1 (ko) 2010-02-16 2015-01-16 오스람 게엠베하 광원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대응하는 전력 공급 유닛 및 광원
US9430147B2 (en) * 2010-04-23 2016-08-30 Handscape Inc. Method for user input from alternative touchpads of a computerized system
US9405444B2 (en) *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US8769668B2 (en) * 2011-05-09 2014-07-01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password entry
WO2013169843A1 (en) *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DE102013000272A1 (de) * 2013-01-09 2014-07-10 Daimler Ag Verfahren zum Bewegen eines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s dargestellten Bildinhalts,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Computerprogrammprodukt
GB2519558A (en) * 2013-10-24 2015-04-29 Ibm Touchscreen device with motion sen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2083A1 (en) * 2008-07-17 2011-05-26 Camelot Co., Ltd. Information terminal
KR20110018589A (ko) * 2009-08-18 201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016729A (ko) *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의 제어영역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79414A (zh) * 2015-03-16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装置
CN104679414B (zh) * 2015-03-16 202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和装置
CN107831998A (zh) * 2017-10-31 2018-03-2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移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831998B (zh) * 2017-10-31 2020-12-0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界面移动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21735A (zh) * 2018-03-02 2019-09-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10221735B (zh) * 2018-03-02 2021-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标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1753A1 (en) 2016-02-11
US9870147B2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7716B2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その操作制御方法
WO2014030902A1 (en)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device
CN104932809B (zh) 用于控制显示面板的装置和方法
WO20130031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 pad
CN103197885A (zh) 移动终端的操控方法及其移动终端
WO2014142499A1 (en) Visual feedback for highlight navigation
CN104750409A (zh) 屏幕画面的缩放及操作方法与装置
WO2014157961A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WO2019004687A1 (ko) 사용자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한 이동단말기의 컨텐츠 제공 방법
CN108595076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CN108459790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WO2012118271A1 (ko) 터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CN105573638A (zh) 一种图片发布方法和装置
CN108595075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US10275084B2 (en) Touch control method in mobile terminal having large screen
CN108563379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KR101625187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KR101564035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KR101635978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 쇼핑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JP2012048485A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イベント管理方法
CN108196785B (zh) 输入法键盘的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装置
WO2015163500A1 (ko)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KR20150121411A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WO2012165741A2 (ko) 색 변화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121413A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762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1007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762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