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6087A2 -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6087A2
WO2014116087A2 PCT/KR2014/000818 KR2014000818W WO2014116087A2 WO 2014116087 A2 WO2014116087 A2 WO 2014116087A2 KR 2014000818 W KR2014000818 W KR 2014000818W WO 2014116087 A2 WO2014116087 A2 WO 201411608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pattern
color layer
insulating substrate
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81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116087A3 (ko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주)삼원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원에스티 filed Critical (주)삼원에스티
Publication of WO201411608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6087A2/ko
Publication of WO201411608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608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anel sensor capable of sensing a contact position of an object approaching a displa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apacitive touch panel sensor.
  • the lower insulating sheet 10 and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are bonded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lower ITO electrode 30 and the upper ITO electrode 40 are vertically arranged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lower insulating sheet 10 and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and specifically, the lower ITO electrode 30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heet 10 is oriented from left to right, and the upper ITO electrode 40 is orien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 a predetermined capacitance that is, a capacit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each intersection point, exists at each intersection point of the lower ITO electrode 10 and the upper ITO electrode 20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f a part is close, the area of the body part is added to the area of the upper ITO electrode 20 disposed on the upper part, thereby changing the capacitance value.
  • a connecting line 48 made of metal is formed from the end of the upper ITO electrode 40 from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It extends to the bottom of the), the lower ITO electrode 20 is also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50 by a separate connection line.
  • the connecting line 48 which is generally provided as a metal, is shiny with metallic luster and does not pass through the light, so that the connecting line 48 may be visually confi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upper insulating sheet 20.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 separate non-translucent film for window decoration 65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substrate 60 such as glass or translucent reinforced plastic so that the connecting line 48 and the circuit board 50 are not visually checked.
  • the reinforcing substrate 60 is disposed on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 the window decoration 45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heet 20, and the upper ITO electrode 40 may be formed.
  • the upper ITO electrode 40 is refracted at the boundary portion A that meets the window decoration 65, and when the bending portion of the upper insulation sheet 20 is slightly deformed up and down by contacting a body part, the boundary portion is formed. In (A), the upper ITO electrode 40 may be damaged. Therefore, the touch panel sensor structure disclosed in FIG. 5 of the above patent is not practically suitable for making a produ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panel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upper ITO electrode by the refraction or external impact of the upper insulating sheet generated by the user's contact.
  • the touch panel sensor disposed on the display for detect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bject, the insulating substrate; An electrode pattern formed under the insulating substrate to sense the approach of the object; And a window decoration accommodating an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wherein the window decoration includes a bright color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long the edg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dots formed under the bright color layer. It may include a reflective layer having anisotropic conductivity so as to be energ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a non-transmissive color layer formed under the reflective layer to block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between the dots.
  • the electrode pattern is accommodated instead of being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indow decoration, there is less refraction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meets the window decoration,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damage.
  • an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color matching layer, or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In either case, since the electrode pattern is not formed as the bottom of the window decoration, the deflec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is relatively less at the boundary where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window decoration meet than in the prior art.
  •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is generally formed of a single layer of a dark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10 ⁇ m so as not to transmit light, but the light color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0.1 to 1 ⁇ m to provide an electrode. Refrac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may be minimized at the boundary that meets the pattern, and the bright color layer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layer through several printing or applying operations using insulating ink.
  • the relatively thin bright colo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 ⁇ m may be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display, but the non-transparent color layer may block the bright color layer. Even if the color is semi-transparent,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may be completely blocked by the color layer.
  •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may be completely blocked by forming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through printing or applying several times.
  • the flexible circuit board or the electrode pattern for connecting the electrode pattern to an external device can be Opaque components such as wire members connecting the ends and the end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from the outside. Furthermore,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in layer of bright color,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refrac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at the boundary where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bright color layer meet.
  • the light color layer is to prevent visual exposure of an opaque component such as a wire member or a flexible circuit board, which is basically disposed under an insulating substrate, as in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but has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 an opaque component such as a wire member or a flexible circuit board, which is basically disposed under an insulating substrate, as in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but has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 the concept encompasses a relatively richer and higher brightness white color that determines saturation among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color. In this sense, the light color layer may have a color close to white, but does not exclude black.
  • the through layer may be provided in the color matching layer through a penetra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through reg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 member.
  •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wire member through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is provided in such a manner as to match the color with the color layer so that the mutual boundaries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 the reflective layer when the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is interposed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the reflective layer may be exposed to the through area, but since the reflective layer may be energ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insulating substrate, the wire member may be disposed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Can be energized with the electrode pattern.
  • the electrode pattern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directly connected directly through a wire member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olor layer.
  • the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tin (Sn) or aluminum (Al),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sputter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evaporation. have. Therefore, the reflective layer may refl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bright layer back to the outside to add brightness to the bright layer and provide a shiny metallic feeling.
  • a metal such as tin (Sn) or aluminum (Al)
  • sputter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evaporation. have. Therefore, the reflective layer may refl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bright layer back to the outside to add brightness to the bright layer and provide a shiny metallic feeling.
  • the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bulk shape having a large number of protrusio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Therefore, since the above-mentioned bulk-shaped dot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electricity can be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insulating substrate, but has no property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
  • a reflective layer using other metals such as chromium (Cr), molybdenum (Mo), copper, nickel, silver, and gold.
  • the reflective layer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metals or a mixed single layer, and in some cases, 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the above-described metals or a plurality of mixed layers.
  • the reflective layer which is not energized in the plane direction may maintain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panel sensor because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electrode pattern is not transmitted to another adjacent electrode pattern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even though the reflective layer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pattern. .
  • the bulk shape refers to a shape in which metal molecules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are collectively aggregated.
  • shapes such as acicular, angular, and dendritic shapes may be used. It can be said to include all, in a broader sense it can be said to include all of the extended shape (protrusion).
  • the reflective layer is provided with a very thin or thin thickness than the light color layer is not completely blocked light, but can block the light to some extent due to the nature of the metal reflecting light. For this reason, even if the colors of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disposed under the reflective layer are not completely the same, the color mismatch that may occu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is not highlighted.
  • the coloring layer may use a coloring ink, and in the case of having the anisotropic conductivity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sensor includes: forming a bright color layer on a bottom surface of an insulating substrate along an edg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Forming a reflective layer having anisotropic conductivity so as to be energ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insulating substrate by including a plurality of do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color layer;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formed along a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having an end portion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And forming a color layer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and an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to block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between dots, wherein the window decoration including the light color layer,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includes a reflective layer and color scheme. An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is received between the layers.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panel sensor includes: forming a bright color layer on a bottom surface of an insulating substrate along an edg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formed along a bottom surface of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having an end portion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color layer; Forming a reflective layer having anisotropic conductivity for condu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insulating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do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layer and the end of the electrode pattern; And forming a color layer on the bottom of the reflective layer to block light passing through the reflective layer between the dots, wherein the window decoration including the light color layer, the refle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includes an end por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between the light layer and the reflective layer. It characterized in that to accommodate.
  • the electrode pattern is accommodated instead of being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ow decoration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less refraction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meets the window decoration, thereby reducing damage during use.
  • the color layer can completely block the light from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opaque component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 the light color layer is formed translucent,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may be completely blocked in the color layer.
  • the touch panel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ay provide a reflective layer under the bright color layer to refl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bright color layer to the outside to add brightness to the bright color layer and provide a shiny metallic feeling.
  • the reflective layer is provided with a thinner or thinner thickness than the light colored layer, which does not completely block light, but may block light to some ext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reflecting light. For this reason, even if the colors of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disposed below the reflective layer are not completely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rge color mismatch that may occur at the boundary between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and the color lay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touch panel sensor.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sheet shown in FIG.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top sheet shown in FIG. 2.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sens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placing on a display to sense a contact position of an objec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sheet shown in FIG. 2
  •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top sheet shown in FIG. 2.
  • the touch panel sensor 100 includes an upper sheet 110, a lower sheet 130, an insulating member 140,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150.
  • the upper sheet 110 includes an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and an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lower sheet 130 includes a lower insulating substrate 131 and a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32.
  •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is a material having a high surface strength,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glass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having excellent surface strength, such as glass, or a glass material. Likewise,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131 also has an upper insulation. The same material as the substrate 111 may be selected and manufactured.
  • an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and a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32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131 so a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ense the approach of a body part.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or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32 may use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having both light transmittance and conductivity. Therefore,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or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32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and passes an image emitted from a display such as a PDP and an LCD that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touch panel sensor 100. Can be.
  • an insulating member 14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heet 110 and the lower sheet 130,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32 are electrically separated by the insulating member 140.
  • the insulating member 140 may use an optical adhesive film or an optically clear adhesive (OCA) film.
  •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 a window decoration 120 having a frame shape is provided below the upper insulation substrate 111, and the window decoration 120 is a non-transparent component disposed under the upper insulation substrate 111, for example, the upper insulation substrate 111.
  • the upper wire member 113 disposed at the edge of the lower wire member 133, the lower wire member 133 disposed at the edge of the lower insulating substrate 131,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may be provided.
  •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wire members 113 and 133 may be dispos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Therefore, when the object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upper sheet 110, the change in the capacitance value caused by the interaction of the upper and low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s 112 and 132 interacts with the external device along the upper and lower wire members 113 and 133.
  • the control unit which may be transmitted to, may correspond to an external device to calculate a touch position by using the change of the value.
  • the window decoration 1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 the window decoration 120 includes a bright color layer 122, a reflective layer 124, and a color layer 126, and the bright color layer 122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11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 the reflective layer 124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12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color layer 122 and has anisotropic conductivity that can be conducted on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direction.
  • the color scheme 126 covers the bottom of the reflective layer 124 and the bottom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on the bottom of the reflective layer 124, and transmits light passing between the dots 125 of the reflective layer 124. You can block.
  • the window decoration 1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124 and the color layer 126.
  • the bright layer 122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 the reflective layer 1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color layer 122, and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24.
  • 112 is formed, and a color layer 126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24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thereby forming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124 and the color layer 126.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ndow decoration 120 that accommodates an end of the.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is no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or scheme 126 disposed on the lowermost layer of the window decoration 120, it is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there is little refraction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meets the window decoration 120. The likelihood may be reduced.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has a relatively relatively larger window decoration 120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Less refraction at the meeting boundary
  •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is generally formed of a single layer of a dark layer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10 ⁇ m so as not to transmit light, but the light color layer 12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0.1 to 1 ⁇ m so that the upper transparen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is small at the boundary that meets the electrode pattern 112.
  • the above-mentioned light color layer 122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layer through several printing or applying operations using insulating ink.
  • the relatively thin bright color layer 122 having a thickness of 0.1 to 1 ⁇ m may be difficult to completely block the light emitted from the lower display.
  • the non-transmissive color layer 126 may block light passing through the bright color layer 122, and furthermore, even if the bright color layer 122 is formed to be translucent with a bright white color, Light emitted from may be completely blocked by the color layer.
  •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may be completely blocked by forming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through printing or applying several times.
  • the color layer 126 is further disposed below the light color layer 122 to completely block light,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Opaque components such as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for connecting the external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or the upper wire member 113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flexible transparent circuit board 150 to th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150 from the outside. Exposure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since the light color layer 122 may be provided as thin as 1 ⁇ m or less, the refrac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may be minimized at the boundary where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light color layer 122 meet each other. It also works.
  • the end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124, but the reflective layer 124 is also provided with a thinner or thinn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bright color layer 122, and thus the upper transparent.
  • the refraction of the electrode pattern 112 is extremely small.
  • the light color layer is to prevent visual exposure of an opaque component such as a wire member or a flexible circuit board, which is basically disposed under an insulating substrate, as in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but has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 an opaque component such as a wire member or a flexible circuit board, which is basically disposed under an insulating substrate, as in the conventional window decoration, but has a thickness of 10 ⁇ m or more.
  • the white color that determines saturation among hue, saturation, and lightnes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color is relatively richer, and is used as a concept encompassing higher brightness.
  • the light color layer in may have a color close to white, but does not exclude black.
  • the color layer 126 has anisotropic conductivity that can be energiz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and the upper wire member 113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or layer 126. Through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 the color layer 126 may be provided by mix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nd coloring inks to have anisotropic conductivity.
  • the reflective layer 124 may be formed using a metal such as tin or aluminum,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sputter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or evaporation deposition. Accordingly, the reflective layer 124 may reflect light passing through the bright color layer 122 back to the outside to add brightness to the bright color layer 122 and provide a shiny metallic feeling.
  • the reflective layer 124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 so-called bulk shape having a myriad of protrusio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Therefore, since the above-described bulk shape dots 125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conduct electricit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parent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bu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111 It has a property of not energizing in the plane direction.
  • a reflective layer using other metals such as chromium (Cr), molybdenum (Mo), copper, nickel, silver, and gold.
  • the reflective layer 124 may be formed of any one of the above metals or a mixed single layer. In some cases, the reflective layer 124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metals or a plurality of mixed layers.
  • the reflective layer 124 which is not energized in the plane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even though it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Since it is not transmitted to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112, the sensitivity of the touch panel sensor 100 may be maintained.
  • the bulk shape refers to a shape in which metal molecules forming the reflective layer are collectively aggregated.
  • the bulk shape may include all shapes such as needles, corners, and pillars. In a broad sense it can be said to include all of the extended shape (protrusion).
  • the reflective layer 124 is provided thinner or thinner than the bright color layer 122, but may not block the light completely, but may block the light to some ext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reflecting the light.
  • light of the display may be counted out between the plurality of dots 125 of the reflective layer 124, which may be blocked through the color scheme 126. Therefore, the dots 125 of the reflective layer 124 can be prevented from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panel sen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sheet in which the window decoration is disposed.
  • the lower sheet,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foregoing embodiment.
  • the window decoration 2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 the window decoration 220 includes a bright color layer 222, a reflective layer 224, and a color layer 226. ).
  • the window decoration 2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224 and the color layer 226.
  • the bright layer 222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11.
  • the reflective layer 224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ght color layer 222, and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211,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224.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is formed between the reflective layer 224 and the color matching layer 226 by forming a color layer 22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224 and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 a window decoration 220 may be provided that accommodates an end of the.
  • the through area formed in the color layer may be formed throug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first forming the color layer, and in some cases, may provide a color layer in which the through area is formed through silk screen printing. After providing the color layer 226, an upper wire member is provided.
  • a through region 227 is formed in the color matching layer 226 to correspon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and a colored conductive layer 228 is provided in the through region 227.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212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228 through the upper wire member 213.
  •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228 is provided to match the color of the color matching layer 226 so that the mutual boundaries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 the upper wire membe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through area.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panel sen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sheet in which the window decoration is disposed.
  • the lower sheet,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foregoing embodiment.
  • the window decoration 3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and specifically, the window decoration 320 includes a bright color layer 322, a reflective layer 324, and a color layer 326.
  • the light color layer 3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311 along the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311.
  • the reflective layer 324 includes a plurality of dots 32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or layer 3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or layer 322. It has anisotropic conductivity that can be energized only in the direction.
  • the color layer 326 may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324 and block light passing between the dots 325 of the reflective layer 324.
  • the window decoration 3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322 and the reflective layer 324.
  • the bright color layer 322 is formed on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311.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311, and the e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or layer 322, and the color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324.
  • a window decoration 32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322 and the reflective layer 324.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is not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or scheme 326 disposed at the lowermost layer of the window decoration 320, and is accommodated therein so that there is little refraction at the boundary portion that meets the window decoration 320. The likelihood may be reduced.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may be relatively relatively decorated with the window decoration 320. Less refraction at the meeting boundary
  • the color layer 326 has anisotropic conductivity that can be condu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311, and the upper wire member 313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lor layer 326. Through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and the external devi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directly.
  • the color layer 326 may be provided by mix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rticles and coloring inks to have anisotropic conductivity.
  • the reflective layer 324 also has anisotropic conductivity.
  • the upper wire member 31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312 through the color matching layer 326 and the light color layer 322. hav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heet of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ouch panel senso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upper sheet in which the window decoration is disposed.
  • the lower sheet,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foregoing embodiment.
  • the window decoration 420 accommodat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and specifically, the window decoration 420 includes the bright color layer 422, the reflective layer 424, and the color layer 426. ).
  • the window decoration 420 receives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422 and the reflective layer 424.
  • the bright color layer 422 is formed at the bottom edg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411.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is form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insulating substrate 411, and the e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color layer 422, and the color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lective layer 424.
  • a window decoration 42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between the bright color layer 422 and the reflective layer 424.
  • the through area formed in the color layer may be formed through the photolithography process first forming the color layer, and in some cases, may provide a color layer in which the through area is formed through silk screen printing. After providing the color layer 426, an upper wire member is provided.
  • a through region 427 is formed in the color matching layer 426 to correspond to an end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and a colored conductive layer 428 is provided in the through region 427.
  •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412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428 through the upper wire member 413.
  • the colored conductive layer 428 is provided to match the color of the color matching layer 426 so that mutual boundaries are not distinguished from the outside.
  • the upper wire member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electrode pattern exposed through the through area.
  • the touch pane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는, 절연기판, 절연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피대상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극패턴, 및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명색층(明色層), 명색층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 및 반사층 하부에 형성되어 도트 사이로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배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상에 접근하는 대상체의 접촉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패널센서는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접합된다. 하부 절연시트(10) 및 상부 절연시트(20)의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하부 ITO전극(30)과 상부 ITO전극(40)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부 ITO전극(30)은 하부 절연시트(10)의 상면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상부 ITO전극(40)은 상부 절연시트(20)의 저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배향되어 있다.
상술한 터치패널센서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하부 ITO전극(10) 및 상부 ITO전극(20)의 각 교차지점마다 각 교차지점의 면적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전 용량 즉, 커패시턴스 값이 존재하는데, 신체 일부가 근접하면 상부에 배치된 상부 ITO전극(20)의 면적에 신체 일부의 면적이 더해져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부 ITO전극(40)과 외부의 회로기판(50)의 전극(5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연결선(48)이 상부 ITO전극(40)의 단부로부터 상부 절연시트(20)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하부 ITO전극(20) 또한 별도의 연결선에 의해서 회로기판(50)과 연결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제공되는 연결선(48)은 금속 광택으로 반짝이며 빛이 통과하지 않아 투명한 상부 절연시트(20)의 상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연결선(48) 및 회로기판(50)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도록 윈도우 데코레이션(65)을 위한 별도의 비투광성 필름을 별도의 유리나 투광성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강화기판(60) 저면에 형성하고, 강화기판(60)을 상부 절연시트(20) 상부에 배치한다.
다만, 별도의 강화기판(60)을 상부 절연시트(20) 상부에 더 제공하는 것은, 터치패널센서의 두께 증가를 초래하는 관계로, 공개번호 10-2011-0137231의 도 5에 도시되는 터치패널센서와 같이 상부 절연시트(20)의 저면에 윈도우 데코레이션(45)을 직접 형성하고, 상부 ITO전극(4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다만, 상부 ITO전극(40)은 윈도우 데코레이션(65)과 만나는 경계선 부분(A)에서 굴절되고, 신체 일부가 접촉되어 미세하게 위아래로 굴절하는 상부 절연시트(20)의 굽힘 변형 시에, 경계선 부분(A)에서 상부 ITO전극(40)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개특허의 도 5에 개시되는 터치패널센서 구조는 사실상 제품을 만들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부 절연시트의 굴절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부 ITO 전극의 파손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는, 절연기판; 절연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피대상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극패턴; 및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명색층(明色層), 명색층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 및 반사층 하부에 형성되어 도트 사이로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비투광성의 배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패턴이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되기 때문에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만나는 경계부분에서 굴절이 적어 훼손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패턴의 단부는 반사층 및 배색층 사이에서 수용되거나, 명색층 및 반사층 사이에서 수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던지 공개특허 10-2011-0137231의 도 5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전극패턴이 윈도우 데코레이션 저면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보다 비교적 전극패턴과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만나는 경계에서 전극패턴의 굴절이 적다.
특히,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적어도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단층의 암색층(暗色層)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의 명색층은 0.1 내지 1㎛의 두께로 제공되어 전극패턴과 만나는 경계에서 전극패턴의 굴절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명색층은 절연성 잉크를 사용하여 여러 차례의 인쇄 또는 도포 작업을 통해서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0.1 내지 1㎛의 두께의 비교적 얇은 명색층은 하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을 온전히 차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나, 비투광성의 배색층이 이를 차단할 수 있으며, 더욱이, 명색층이 백색 계열의 밝은 색을 가져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더라도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이 배색층에서 온전하게 차단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백색 계열로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형성할 때 여러 차례 인쇄나 도포 작업을 통해서 10㎛ 이상의 두께로 형성해야만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명색층이 백색 계열의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명색층 아래로 배색층이 더 배치되어 빛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전극패턴을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이나 전극패턴의 단부와 연성회로기판의 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와 같은 불투명한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명색층을 얇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극패턴과 명색층이 만나는 경계에서 전극패턴의 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명색층이라 함은,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같이 기본적으로 절연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부재나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불투명한 구성요소의 시각적인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종래의 흑색 계열의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비교할 때, 색의 3요소 중 색상, 채도(彩度), 및 명도(明度) 중에서 채도를 결정하는 백색이 비교적 더 풍부하고, 명도가 더 높은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명색층은 백색에 가까운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흑색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윈도우 데코레이션에 수용되는 전극패턴의 단부와 와이어부재를 통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아래에 몇 예시한다.
먼저, 배색층에 전극패턴의 단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관통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관통영역을 통해서 노출되는 전극패턴의 단부는 와이어부재를 통해서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통영역에 착색 도전층을 제공하는 경우, 착색 도전층을 매개로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와이어부재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착색 도전층은 배색층과 색의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제공하여 외부에서 상호 경계가 구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전극패턴의 단부가 명색층과 반사층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에는 관통영역으로 반사층이 노출될 수 있으나, 반사층은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기 때문에 와이어부재가 반사층을 통해서 전극패턴과 통전될 수 있다.
또한, 배색층 역시 반사층과 동일하게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가지는 경우, 배색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와이어부재를 통해서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반사층은 주석(Sn)이나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스퍼터링(sputtering),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증발증착(evaporation)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은 명색층을 통과한 빛을 다시 외부로 반사시켜 명색층에 밝기를 더하고 반짝이는 금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층은 절연기판 저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무수히 많은 돌기를 가지는 일명 벌크(bulk) 형상으로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벌크 형상을 하는 도트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한 절연기판의 저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는 통전이 가능하나 절연기판의 저면의 면 방향으로는 통전이 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물론, 주석이나 알루미늄 외에도 크롬(Cr), 몰리브덴(Mo), 구리, 니켈, 실버, 골드 등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층은 상기한 금속들 중 어느 하나 혹은 혼합된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금속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혼합된 복수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면 방향으로 통전이 되지 않는 반사층은 전극패턴과 비록 닿아 있다 하더라도 전극패턴의 전기신호가 반사층을 통해서 인접한 다른 전극패턴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패널센서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벌크 형상이라 함은, 반사층을 형성하는 금속 분자들이 집단적으로 뭉쳐 있는 형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침상(acicular), 각상(angular), 주상(dendritic) 등의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의미로는 길게 연장(돌출)되어 있는 형상들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은 명색층보다 얇거나 대동소이한 두께로 매우 얇게 제공되어 빛을 완전하게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의 특성상 어느 정도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유로, 반사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착색 도전층과 배색층의 색이 온전히 같지는 않더라도 착색 도전층과 배색층의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색의 부조화가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한편, 반사층의 복수개의 도트들 사이로 디스플레이의 빛이 세어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배색층을 통해서 차단될 수 있다. 배색층은 착색용 잉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이방성 도전성을 갖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도전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절연기판의 저면에 명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명색층의 저면에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기판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반사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사층 및 전극패턴의 단부 저면에 배치되어 도트 사이로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배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명색층, 반사층, 및 배색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반사층 및 배색층 사이에서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은,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절연기판의 저면에 명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절연기판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명색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명색층 및 전극패턴의 단부의 저면에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반사층 저면에 도트 사이로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배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명색층, 반사층, 및 배색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명색층 및 반사층 사이에서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전극패턴이 종래와 같이 윈도우 데코레이션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용되기 때문에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만나는 경계부분에서 굴절이 적어 사용 중 파손이 줄어든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명색층이 백색 계열의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배색층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이에 불투명한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명색층이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더라도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이 배색층에서 온전하게 차단될 수 있다. 특히, 명색층을 0.1 내지 1㎛의 두께로 얇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극패턴과 명색층이 만나는 경계에서 전극패턴의 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명색층 밑으로 반사층을 제공하여 명색층을 통과한 빛을 다시 외부로 반사시켜 명색층에 밝기를 더하고 반짝이는 금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서 반사층은 명색층보다 얇거나 대동소이한 두께로 매우 얇게 제공되어 빛을 완전하게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의 특성상 어느 정도 빛을 차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유로, 반사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착색 도전층과 배색층의 색이 온전히 같지는 않더라도 착색 도전층과 배색층의 경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색의 부조화가 크게 부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패널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상부시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상에 놓여,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되는 상부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상부시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100)는 상부시트(110), 하부시트(130), 절연부재(140), 및 연성회로기판(150)을 포함한다.
상부시트(110)는 상부 절연기판(111) 및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을 포함하며, 하부시트(130)는 하부 절연기판(131)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을 포함한다.
상부 절연기판(111)은 높은 표면 강도를 갖는 재료로서 유리 재질 혹은 유리 재질과 같이 빛이 투과하고, 표면 강도가 뛰어난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하부 절연기판(131) 역시 상부 절연기판(111)과 동일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 및 하부 절연기판(131)의 상면에는 각각 상호 작용하여 신체 일부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상부 투명전극패턴(112)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이 형성되며,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이나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은 투광성과 도전성을 모두 갖춘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이나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은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으며, 터치패널센서(100)의 저부에 배치될 수 있는 PDP 및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로부터 출사되는 영상을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시트(110) 및 하부시트(130) 사이에는 절연부재(140)가 배치되며, 절연부재(140)에 의해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32)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절연부재(140)는 광학접착필름 또는 OCA(Optically Clear Adhesive)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부시트(110) 및 하부시트(130)를 접합하고, 빛이 잘 투과되어 광학적으로도 우수하다.
또한, 상부 절연기판(111)의 하부에는 액자 형상의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이 제공되는데,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그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하지 못한 구성요소, 예를 들면, 상부 절연기판(11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부 와이어부재(113), 하부 절연기판(13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하부 와이어부재(133), 및 연성회로기판(150)을 가리는 용도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150)에는 상부 및 하부 와이어부재(113, 133)와 전기적으로 접합되는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110) 표면에 피대상체가 접근하면 상부 및 하부 투명전극패턴(112, 132)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커패시턴스 값의 변화가 상부 및 하부 와이어부재(113, 133)를 따라서 외부장치에 전송될 수 있고, 여기서 외부장치에 해당할 수 있는 제어부에서는 상기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의 개략적인 구성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며, 이하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를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명색층(122), 반사층(124), 및 배색층(126)을 포함하며, 명색층(122)은 상부 절연기판(1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에 형성된다. 또한, 반사층(124)은 명색층(122)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트(125)를 포함하여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만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다. 그리고, 배색층(126)은 반사층(124)의 저면과 반사층(124) 저면에 놓이는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저면을 커버하며, 반사층(124)의 도트(125)들 사이로 통과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은 반사층(124) 및 배색층(126)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먼저,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 가장자리에 명색층(122)을 형성하고, 명색층(122)의 저면에 반사층(124)을 형성하고, 다시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반사층(124)의 저면에 배치되게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을 형성하고, 반사층(124) 및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 저면에 배색층(126)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층(124) 및 배색층(126)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이 윈도우 데코레이션(120) 중 최하층에 배치되는 배색층(126)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윈도우 데코레이션(120)과 만나는 경계부분에서 굴절이 적어 훼손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공개특허 10-2011-0137231의 도 5에서 전극패턴이 윈도우 데코레이션 저면으로 형성되는 것과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은 종래보다 비교적 윈도우 데코레이션(120)과 만나는 경계에서 굴절이 적다.
또한,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적어도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단층의 암색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실시예의 명색층(122)은 0.1 내지 1㎛의 두께로 제공되어 상부 투명전극패턴(112)과 만나는 경계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굴절이 적다.
상술한 명색층(122)은 절연성 잉크를 사용하여 여러 차례의 인쇄 또는 도포 작업을 통해서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0.1 내지 1㎛의 두께의 비교적 얇은 명색층(122)은 하부의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을 온전히 차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비투광성의 배색층(126)이 명색층(122)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욱이, 명색층(122)이 백색 계열의 밝은 색을 가져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더라도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이 배색층에서 온전하게 차단될 수 있다.
참고로, 종래에는 백색 계열로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형성할 때 여러 차례 인쇄나 도포 작업을 통해서 10㎛ 이상의 두께로 형성해야만 디스플레이에서 출사되는 빛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명색층(122)이 백색 계열의 얇은 두께를 갖더라도 명색층(122) 아래로 배색층(126)이 더 배치되어 빛을 온전하게 차단할 수 있고,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을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150)이나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와 연성회로기판(150)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와이어부재(113)와 같은 불투명한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명색층(122)을 1㎛ 이하로 얇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 투명전극패턴(112)과 명색층(122)이 만나는 경계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굴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는 반사층(124)의 저면에 배치되나, 반사층(124) 역시 명색층(122)보다 얇거나 대동소이한 두께로 매우 얇게 제공되어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굴절이 극히 미미하다.
본 명세서에서 명색층이라 함은, 종래의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같이 기본적으로 절연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부재나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불투명한 구성요소의 시각적인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10㎛ 이상의 두께를 갖는 종래의 흑색 계열의 윈도우 데코레이션과 비교할 때, 색의 3요소 중 색상, 채도, 및 명도 중에서 채도를 결정하는 백색이 비교적 더 풍부하고, 명도가 더 높은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명색층은 백색에 가까운 색상을 가질 수 있으나, 흑색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데코레이션(120)에 수용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단부와 상부 와이어부재(113)를 통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색층(126)은 상부 절연기판(111)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배색층(126)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부 와이어부재(113)를 통해서 상부 투명전극패턴(112)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배색층(126)은 이방성 도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도전성 입자 및 착색용 잉크를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반사층(124)은 주석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스퍼터링, 화학기상증착, 또는 증발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124)은 명색층(122)을 통과한 빛을 다시 외부로 반사시켜 명색층(122)에 밝기를 더하고 반짝이는 금속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층(124)은 상부 절연기판(111) 저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무수히 많은 돌기를 가지는 일명 벌크 형상으로 증착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벌크 형상을 하는 도트(125)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한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는 통전이 가능하나 상부 절연기판(111)의 저면의 면 방향으로는 통전이 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물론, 주석이나 알루미늄 외에도 크롬(Cr), 몰리브덴(Mo), 구리, 니켈, 실버, 골드 등의 다른 금속을 이용하여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사층(124)은 상기한 금속들 중 어느 하나 혹은 혼합된 단일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금속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혼합된 복수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면 방향으로 통전이 되지 않는 반사층(124)은 상부 투명전극패턴(112)과 비록 닿아 있다 하더라도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의 전기신호가 반사층(124)을 통해서 인접한 다른 상부 투명전극패턴(112)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터치패널센서(100)의 감도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벌크 형상이라 함은, 반사층을 형성하는 금속 분자들이 집단적으로 뭉쳐 있는 형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침상, 각상, 주상 등의 형상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의미로는 길게 연장(돌출)되어 있는 형상들을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반사층(124)은 명색층(122)보다 얇거나 대동소이한 두께로 매우 얇게 제공되어 빛을 완전하게 차단하지는 못하지만 빛을 반사시키는 금속의 특성상 어느 정도 빛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반사층(124)의 복수개의 도트(125)들 사이로 디스플레이의 빛이 세어 나올 수 있는데, 이는 배색층(126)을 통해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반사층(124)의 도트(125)들이 외부에서 가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터치패널센서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하부시트, 절연부재, 및 연성회로기판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윈도우 데코레이션(220)은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를 수용하며, 구체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220)은 명색층(222), 반사층(224), 및 배색층(2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윈도우 데코레이션(220)은 반사층(224) 및 배색층(226)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먼저, 상부 절연기판(211)의 저면 가장자리에 명색층(222)을 형성하고, 명색층(222)의 저면에 반사층(224)을 형성하고, 다시 상부 절연기판(211)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반사층(224)의 저면에 배치되게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을 형성하고, 반사층(224) 및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 저면에 배색층(226)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층(224) 및 배색층(226)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220)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색층에 형성되는 관통영역은 배색층을 먼저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크스크린 인쇄를 통해서 관통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배색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배색층(226)을 제공한 후에는 상부 와이어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데코레이션(220)에 수용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와 상부 와이어부재(213)를 통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색층(226)에 상부 투명전극패턴(212)의 단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관통영역(227)을 제공하고, 관통영역(227)에 착색 도전층(228)을 제공한다.
착색 도전층(228)을 매개로 상부 투명전극패턴(212)과 외부장치를 상부 와이어부재(213)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착색 도전층(228)은 배색층(226)과 색의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제공하여 외부에서 상호 경계가 구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영역을 통해서 노출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의 단부에 직접 상부 와이어부재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터치패널센서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하부시트, 절연부재, 및 연성회로기판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윈도우 데코레이션(320)은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단부를 수용하며, 구체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320)은 명색층(322), 반사층(324), 및 배색층(326)을 포함하며, 명색층(322)은 상부 절연기판(31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부 절연기판(311)의 저면에 형성된다. 또한, 반사층(324)은 명색층(322)의 저면과 명색층(322) 저면에 놓이는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트(325)를 포함하여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만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다. 그리고, 배색층(326)은 반사층(324)의 저면을 커버하며, 반사층(324)의 도트(325)들 사이로 통과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데코레이션(320)은 명색층(322) 및 반사층(324)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먼저, 상부 절연기판(311)의 저면 가장자리에 명색층(322)을 형성하고, 상부 절연기판(311)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명색층(322)의 저면에 배치되게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을 형성하고, 반사층(324)의 저면에 배색층(326)을 형성함으로써, 명색층(322) 및 반사층(324)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3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이 윈도우 데코레이션(320) 중 최하층에 배치되는 배색층(326)의 저면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윈도우 데코레이션(320)과 만나는 경계부분에서 굴절이 적어 훼손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공개특허 10-2011-0137231의 도 5에서 전극패턴이 윈도우 데코레이션 저면으로 형성되는 것과 다르게,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은 종래보다 비교적 윈도우 데코레이션(320)과 만나는 경계에서 굴절이 적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데코레이션(320)에 수용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단부와 상부 와이어부재(313)를 통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색층(326)은 상부 절연기판(311)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배색층(326)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부 와이어부재(313)를 통해서 상부 투명전극패턴(312)과 외부장치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배색층(326)은 이방성 도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도전성 입자 및 착색용 잉크를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층(324) 역시 이방성 도전성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부 와이어부재(313)는 배색층(326) 및 명색층(322)을 통해서 상부 투명전극패턴(312)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센서 중 상부시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터치패널센서에서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이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하부시트, 절연부재, 및 연성회로기판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를 참고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윈도우 데코레이션(420)은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의 단부를 수용하며, 구체적으로, 윈도우 데코레이션(420)은 명색층(422), 반사층(424), 및 배색층(4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윈도우 데코레이션(420)은 명색층(422) 및 반사층(424) 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의 단부를 수용하는데, 먼저, 상부 절연기판(411)의 저면 가장자리에 명색층(422)을 형성하고, 상부 절연기판(411)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명색층(422)의 저면에 배치되게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을 형성하고, 반사층(424)의 저면에 배색층(426)을 형성함으로써, 명색층(422) 및 반사층(424)사이에서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420)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배색층에 형성되는 관통영역은 배색층을 먼저 형성하고 사진식각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실크스크린 인쇄를 통해서 관통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배색층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배색층(426)을 제공한 후에는 상부 와이어부재를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윈도우 데코레이션(420)에 수용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의 단부와 상부 와이어부재(413)를 통전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색층(426)에 상부 투명전극패턴(412)의 단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관통영역(427)을 제공하고, 관통영역(427)에 착색 도전층(428)을 제공한다.
착색 도전층(428)을 매개로 상부 투명전극패턴(412)과 외부장치를 상부 와이어부재(413)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착색 도전층(428)은 배색층(426)과 색의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제공하여 외부에서 상호 경계가 구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영역을 통해서 노출되는 상부 투명전극패턴의 단부에 직접 상부 와이어부재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센서는 대상체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에 있어서,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피대상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전극패턴; 및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상기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명색층(明色層), 상기 명색층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트 사이로 상기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비투광성의 배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는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배색층 사이에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는 상기 명색층 및 반사층 사이에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색층에는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는 관통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영역을 통해서 상기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영역에 제공되는 착색 도전층을 포함하며,
    상기 착색 도전층을 매개로 상기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색층은 상기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배색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와이어부재는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은 0.1 내지 1㎛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은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인쇄 또는 도포를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은 백색의 반투광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
  10.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에 명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명색층의 저면에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하게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상기 반사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트 사이로 상기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배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명색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배색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배색층 사이에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1. 디스플레이 상부에 배치되어 피대상물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연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에 명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기판의 저면을 따라서 형성하되, 단부가 상기 명색층의 저면에 배치되는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명색층 및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의 저면에 복수개의 도트를 포함하여 상기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갖는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층 저면에 상기 도트 사이로 상기 반사층을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는 배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명색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배색층을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레이션은 상기 명색층 및 상기 반사층 사이에서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색층에 상기 전극패턴의 단부에 대응하는 관통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관통영역을 통해서 상기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영역에 착색 도전층을 제공하며,
    상기 착색 도전층을 매개로 상기 전극패턴과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색층은 상기 절연기판의 면 방향에 대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통전 가능한 이방성 전도성을 가지며,
    상기 배색층의 저면에 상기 배색층을 매개로 상기 전극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을 0.1 내지 1㎛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6.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을 인쇄 및 도포를 통해서 적어도 한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17.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색층을 백색의 반투광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센서의 제조방법.
PCT/KR2014/000818 2013-01-28 2014-01-28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WO201411608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20 2013-01-28
KR1020130009520A KR101447590B1 (ko) 2013-01-28 2013-01-28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87A2 true WO2014116087A2 (ko) 2014-07-31
WO2014116087A3 WO2014116087A3 (ko) 2014-10-23

Family

ID=5122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818 WO2014116087A2 (ko) 2013-01-28 2014-01-28 터치패널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7590B1 (ko)
WO (1) WO20141160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470B1 (ko) 2015-03-18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62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74709B1 (ko) * 2011-07-06 2012-08-1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101174707B1 (ko) * 2011-07-29 2012-08-1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20130005972A (ko) * 2011-07-08 2013-01-16 이엘케이 주식회사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562A (ko) * 2010-04-01 2011-10-0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174709B1 (ko) * 2011-07-06 2012-08-1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KR20130005972A (ko) * 2011-07-08 2013-01-16 이엘케이 주식회사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74707B1 (ko) * 2011-07-29 2012-08-17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87A3 (ko) 2014-10-23
KR101447590B1 (ko) 2014-10-07
KR20140096670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9107A2 (ko) 터치패널센서
WO2009157645A1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CN105320388B (zh) 触摸面板和具备该触摸面板的显示装置
WO2010114261A2 (ko) 윈도우 패널 일체형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 및 제조 방법
KR101013037B1 (ko) 터치패널센서
WO2013002609A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2099394A2 (en)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2015284A2 (en) Touch panel
WO2015137755A1 (ko) 전자기기용 필름부재
WO2014021629A1 (ko)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센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15490A1 (en) Touch window and lcd using the same
CN103001624A (zh) 触摸开关
WO2011159080A2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WO2014175553A1 (ko) 접착부재 및 이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용 디스플레이 유닛
WO2014098406A1 (ko) 반사방지층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36184B2 (ja) 配線付き表示装置用前面保護板、及び表示装置
WO2014157841A1 (ko) 투명 전극 패턴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US9712162B2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terminal
WO2014189204A1 (ko) 투명 전극 패턴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N103001623A (zh) 触摸开关
WO2017111540A1 (ko) 터치스크린 센서
WO2010038957A2 (ko) 터치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패널
KR101174709B1 (ko) 터치패널센서
WO2014084696A1 (ko) 전도성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61182B (zh) 触控元件以及平面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434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17.12.2015)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434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