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372A1 -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372A1
WO2014088372A1 PCT/KR2013/011304 KR2013011304W WO2014088372A1 WO 2014088372 A1 WO2014088372 A1 WO 2014088372A1 KR 2013011304 W KR2013011304 W KR 2013011304W WO 2014088372 A1 WO2014088372 A1 WO 201408837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lker
attached
armrest
solar pow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13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어메이징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메이징썬 filed Critical 어메이징썬
Priority to EP13859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EP2929866A4/en
Priority to US14/650,332 priority patent/US20160030273A1/en
Publication of WO201408837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37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27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ns for genera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2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attached or incorporated article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2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attached or incorporated article carrying means
    • A61H2003/003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2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attached or incorporated article carrying means
    • A61H2003/004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76By stopp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와 허리나 무릎이 불편한 사람들을 위하여 탄성부재가 내장된 바퀴 달린 지팡이의 원리에 착안하여 동 지팡이에 지지대를 부착하고 위 노약자 등이 상기 지지대에 반쯤 걸터앉은 채로 보행을 하게 하여 자신의 체중의 절반 이상을 절감시켜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키므로서 혼자 힘으로 보행을 할 수 있게 하였으며, 또한 태양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여 저탄소 녹색에너지의 제조원을 갖추었고, 병실,의료용이나 쇼핑용으로 사용을 확대하여 다목적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본 발명은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이하 “보행기”라 약칭한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허리나 무릎에 부가되는 하중의 절반 이상을 경감할 수 있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동물들은 사람과 달리 직립보행 하지 않고 엎드린 자세로 네 발로 걷기 때문에 체중이 4등분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어 척추나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적은데 반하여 사람은 직립된 상태에서 두 발로 보행을 하므로 인하여 척추나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허리나 무릎에 쉽게 무리가 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두 발로 척추를 세우고 보행을 할 때에는 허리나 무릎에 체중의 전부가 부가되고 뛰어 갈 때에는 부하 정도가 두 배 이상으로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사람이 직립으로 보행할 때에 척추 뒤에 또 하나의 다른 척추, 즉 탄성 부재가 내장된 바퀴 달린 지팡이를 밀착시켜 세우고 상기 지팡이와 합일체가 되어 보행을 할 경우에는 보행자의 척추나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의 절반 정도를 줄일 수가 있다는 원리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등 뒤에 밀착시켜 사용자가 의지하며 함께 갈 수 있는 본 발명의 보행기를 발명하게 되었으며,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나 무릎에 부하되는 하중의 절반 이상이 경감되고, 또한 바퀴에는 동력을 구현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보행기가 뒤에서 밀어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노약자 등이 전동카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보조인의 도움없이 혼자 힘으로 보행을 할 수가 있도록 하였다.
또 본 발명의 보행기는 동력 에너지원으로서 보행기 상단부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저탄소, 녹색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일반적으로 고령의 노인분들이나 허리, 무릎 등이 불편한 사람들은 두 다리로만 걷는데 어려움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행보조기를 앞에 두고 뒤에서 밀고 가는 보행보조기와 지팡이, 목발 등이 대부분으로서 약간의 도움이 되는데 불과하며, 대부분의 노약자들은 전동카나 휠체어를 사용 하고있다.
그러나 전동카는 구매시 고비용과 작동 등이 어려움이 있어 아무나 손쉽게 사용할 수 없으며, 휠체어는 누군가가 뒤에서 밀어 주어야 하므로 혼자힘으로 간편하게 보행할 수 있는 보행보조기가 절실하게 필요하지만 쉽게 이루어질 수 없는 과제로만 생각되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보행자의 후방에서 보행자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부,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후방 감싸도록 설치된 손잡이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안내하도록 회전하는 바퀴부가 포함된 파워 보행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25916호(2012.03.16 공개)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행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타고 내릴 수가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 등이 전동카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보조인의 도움없이 혼자힘으로 걸어갈 수 있으며, 사용이나 작동하기 쉽고 휴대하기도 간편한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탄성력이 내장된 바퀴가 달린 지팡이의 원리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를 발명하였으며, 상기 원리에 의하면 사람이 직립상태로 보행을 할 때에 탄성력이 내장된 바퀴 달린 지팡이를 사람의 척추 뒤에 밀착시켜 세우고 지팡이에 걸터앉을 지지대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반쯤 걸터앉은 채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럴 경우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가되는 하중이 절반 이상 감소되고 바퀴에 동력을 구현시켜 본 발명의 보행기가 뒤에서 밀어주므로서, 누군가가 뒤에서 밀어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혼자힘으로도 보행을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보행기 상단부에는 태양전지판을 부착하여 저탄소 녹색에너지인 태양력을 동력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친환경적인 제조원을 갖추고 있어 보행기의 동력원을 해결할 수 있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혼자힘으로 보행할 수 없는 노약자와 무릎이나 허리가 불편한 환자들이 본 발명의 보행기를 사용함으로써 전동카나 휠체어 등을 사용하지않고 보조인의 도움없이 혼자힘으로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노약자 등이 혼자힘으로 보행을 할 수 없는 것은 하체가 허약하고 보행시 자신의 체중을 허리나 무릎 등에서 지탱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행기의 어떠한 기능을 어떻게 부여하고 부착하므로서 노약자 등이 혼자힘으로 본 발명의 보행기를 사용하여 허약한 하체를 보강하고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행기 사용과 작동하는 법을 간편하게 하여 아무나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크기나 부피가 크지않아 보관이나 운반 및 휴대하는데도 큰 불편이 없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에는 동력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용중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보행기가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그와 같은 안전상의 문제를 어떻게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가 및 본 발명의 보행기의 동력에너지를 어떤 방식으로 조달하여야 하는가 등의 문제점들이 본 발명의 보행기가 해결하고자 하는 주요과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는 보행자 후방에 위치하여 보행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하부관 및 상부관, 상기 하부관 및 상부관과 좌우 팔걸이부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중간연결관, 상기 좌우 팔걸이부와 상기 하부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중간연결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 상기 하부관과 상기 중간연결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중심축 보강부재, 상기 하부관 내측에 내장된 탄성 및 승강 부재와 연결된 지지대가 상기 하부관 일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홀 밖으로 돌출되어 보행자 둔부 사이에 삽입된 채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는 보행자가 사용 중 다리부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절곡되게 하고, 절곡된 하단부에는 주행 휠이 장착된 구동 주행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에는 길이의 연장 또는 축소를 위한 연장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 상단부와 측면에 접이식 또는 탈.부착형 태양전지판이 선택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연장봉의 상면에는 병실 의료용으로 사용 시 의료용 기구 및 링거액이나 링거액 병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링거액 병 걸이대와 거대기가 연장봉 상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면부와 연결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와 보행자 키를 넘겨 교차 방향으로 상기 중간연결관과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상면부를 연결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의 중간지점 하면부와 상기 하부관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굴곡지점에 보조 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내측 직선구간에 탄성 및 승강 부재인 승강 실린더와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로드를 제공하는 중심 폴이 부착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가 상기 중심 폴을 관통한 채로 상.하로 이동 시, 상.하단에 부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함께 연결고정된 상기 지지대와 같이 위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의 일 측면에는 3~5개의 장공과 1개의 원형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 내측에 장착된 스토퍼의 스토퍼 봉이 상기 장공이나 원형공에 돌출 및 복원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와 지지대가 상.하로 이동이나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는 주행 휠을 구비한 구동 주행기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 주행기에는 주행 휠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 속도를 조절하고 정지시키는 구동제어기, 전기를 충전 및 공급하는 배터리, 일정한 하중이 초과할 경우 작동이 자동 정지되도록 하는 하중감시센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의 상기 승강 실린더와 지지대가 승강하는 일정 구간의 상.하단부를 각 절단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의 베어링 휠을 각 설치하여 상기 하부관의 상기 구간과 동 구간에 장착된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가 함께 좌.우로 60도 회전하는 기능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면부와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 연결된 제1 팔걸이 부강부재에는 보관이나 운반의 간편함을 위하여 중간지점에 간격이 유지된 위치에 여러 개의 접철 기능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상면부와 상기 중간연결관을 보행자의 키를 넘겨 교차 연결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꼭지 부분에는 아래 방향으로만 접철이 가능한 링크가 부착되고,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4개의 각 끝 부분에는 탈,부착 용도의 2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이 각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각 끝 부분과 연결 역할을 하는 4개의 연결봉 내측 양면에는 2개의 가압탄성돌기가 각 부착되어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상기 가압탄성 돌기공에 돌출이나 복원되어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를 탈.부착을 위하여 형성된 상기 4개의 연결봉의 내측에 부착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 형태의 가압탄성돌기의 작동 및 해제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봉 들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압탄성돌기의 작동 및 해제 장치의 장동버튼의 돌출 공간을 위한 작동버튼 홀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4개의 끝 부분에 형성된 가압탄성돌기공 외에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측면에 상기 연결봉에 탈.부착 시 작동버튼이 장애가 되지않도록 홈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는 보관이나 이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아래 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가운데 부분에 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팔걸이부 끝 부분은 팔걸이와 접속되는 상단부 끝 부분이 둥그런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 바퀴달린 지팡이가 탈,부착이 가능한 기능이 장착되고, 좌우 팔걸이부 하단부 바깥쪽에는 팔걸이 거대기가 길게 각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 하단부 안쪽에는 쇼핑 바스켓 걸이구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 2개씩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 중간부 내측에는 어린이 및 영.유아 용 시트 걸이구가 각 형성되고, 왼쪽 팔걸이부 바깥쪽에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 걸이구가 형성되고 오른쪽 팔걸이부 바깥쪽에는 애완동물용 시트 걸이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 연장봉에 부착되는 접이식 태양전지판은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연장봉을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구체와 상기 구체가 피봇되는 케이지와 상기 각 부재들을 연장봉 상면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형성되며, 탈.부착형 태양전지판 연결 바에는 일측에 가압탄성돌기가 부착되고 연장봉 측면에 형성된 접속 홀 내부에 가압탄성돌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연장과 축소의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봉과 상기 상부관은 상기 중간연결관과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내장된 가압탄성돌기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연장봉 하단부 내측에 2개의 가압탄성돌기를 부착하고 상기 2개의 가압탄성돌기 사이의 공간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 형태의 가압탄성돌기 작동 및 해제 장치가 장착되며 연장봉 측면에 상기 작동 및 해제장치의 작동버튼이 돌출될 수 있는 작동버튼 홀이 가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 하단부와 중단부 각 양 측면에 상기 가압탄성돌기공 및 작동버튼 돌출구를 각 형성시켜 상기 연장봉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상단부에는 햇빛차단용 펜스를 설치하고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4개의 프레임에 4개의 탄성력 있는 로프를 연결시켜 보행자 앞에 설치된 2개의 탄성 로프 양 단과 보행자 뒤에 설치된 2개의 탄성 로프 양 단을 탄성 밴드의 일단과 타단에 각 연결하여 보행자의 둔부 사이에 상기 탄성 밴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 오른쪽 팔걸이부 하단부에는 구동조작기와 브레이크 레버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조작기와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오른쪽 팔걸이부 하단부 상면에 홈 케이싱을 만들어 비사용 시에는 상기 홈 케이싱에 넣고 사용 시에는 일으켜 세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 실린더 내측에 장착된 스토퍼는 상기 하부관의 장공이나 원형공에 돌출이나 복원되는 스토퍼 봉, 상기 스토퍼 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를 작동하는 작동레버, 상기 스토퍼봉과 상기 작동 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쇠줄,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쇠줄의 작동방향을 바꿔주는 회전공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두고 막아주는 가로막이, 상기 스토퍼 봉이 전진 후퇴할 때 로드를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케이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은 보행자와 접촉면을 넓게 하기 위해 상기 승강 실린더와 지지대가 승강하는 일부 구간의 보행자와 접촉되는 부분의 원통형의 하부관 단면을 반달형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목 부분을 경우에 따라서 지면으로 향하여 “U”자 형으로 굴곡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에 인입된 채로 승강하는 상기 승강 실린더와 연결된 상기 기지대가 상기 하부관에 형성된 원형공에 이르러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하부관 일측에 부착된 보조지지대를 편 후 상기 지지대 양 옆에 밀착시켜 부착하고 별도의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기 지지대를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의 상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일정 구간의 표면과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전기 열선 처리하고 상기 중간연결관 내부에 전기 온풍기를 장착하여 동한기 보온 커버 사용 시 보온 커버 내부에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버와 레인 커버는 안전상의 목적으로 투명재질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안면부가 위치하는 곳에는 다수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소통구 위에는 비,눈 가림의 챙을 부착하고 상기 상부관에 위치하는 연장봉 상단부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에는 전조등과 보안등이 설치되고, 상기 보온 커버와 레인 커버의 양측의 의한쪽에는 출입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버와 레인 커버 사용 시,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에 지팡이 손잡이 부분의 이동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좌우 팔걸이부 하단부에 팔걸이부 거대기를 설치하고 사용 시에는 위쪽으로 세워 사용하고 비사용 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직선 구간 상.하단에 베어링 휠이 설치되고, 상기 배어링 휠이 설치된 구간이 죄.우로 60도까지 회전할 경우, 상기 허용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관 양측면에 회전저지장치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및 탈.부착형의 태양전지판을 연장봉 상단부 양 측면에 부착할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을 이격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상기 태양전지판 테두리 양 측면과 연장봉 상단부 측면에 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의 연결 부재인 구체의 표면에 열십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인입된 두 가닥의 와이어가 구체를 각 감싸고 나와 합일되고 합일되어 돌출된 4개의 와이어를 각 2개씩 분리되어 각 다른 방향의 상기 태양전지판 테두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 상면에 설치된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을 태양의 방향에 맞추어 이동,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봉 상면에는 8방향의 턱이 형성되며 상기 접이식 태양 전지판과 탈,부착형의 태양전지판을 연장봉 상면에 고정부재 등에 의하여 부착시키고 상기 연장봉 측면에 형성된 접속홀에 상기 태양전지판 바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장봉 상단부 일정 구간 단면 지름의 크기를 중단부 이하의 단면의 지름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내측 하단부에는 가스를 이용한 탄성부재인 가스스프링 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를 상기 승강실린더에 연결고정되는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상단부에는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에 부착된 가스압축바를 받아들이고 동 바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로드를 제공하는 가스압축바 로드바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압축바를 관통한 채 상기 가스압축바 로드바 하단부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단부에 코일스프링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와 지지대가 내장되고 부착된 하부관과 상기 연장봉과 태양전지판이 연결되고 부착된 상부관을 중심부에서 연결하는 중간연결관 바깥쪽 가운데 부분에 전방으로 전진하는 프로펠러형의 회전체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의 회전체는 전기모터와 연결되며 철망으로 씌워지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첫째,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이 본 발명의 보행기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남의 도움없이 혼자 힘으로 보행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탄성력이 내장된 바퀴 달린 지팡이의 원리에서 착안하여 직립으로 보행하는 사람의 등 뒤에 탄성력이 내장되고 사람의 체중을 의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부착한 바퀴 달린 지팡이를 밀착시켜 세우고, 상기 지팡이와 합일체가 되어 보행할 경우에는 보행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의 절반 정도를 감소 시킬 수 있게 되는데 그 연유는 끝부분에 바퀴가 달리고 내부에는 탄성력이 내장된 지팡이에 부착된 지지대에 사용자가 체중을 의지하면서 반쯤 걸터앉은 상태로 보행을 하므로서, 사용자와 상기 지팡이가 합일체가 되는 원리이며 이 원리를 본 발명의 보행기에 적용하여 보행기 하부관 내부에 탄성력 있는 탄성 부재를 상.하에 각 설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된 채로 상기 하부관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를 장착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가 동시에 이동하고 승강할 수 있도록 견고한 금속성 재질로 서로 고정 연결하므로서 상기 지지대에도 상기 승강 실린더와 같은 탄성력을 받게 되며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하부관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지지대를 둔부 밑에 삽입시킨 채 보행을 할 경우에 상기지지대가 상용자의 체중을 떠받쳐 올려 사용자의 체중을 절반 이상을 상기 보행기의 하부관으로 전이시키고 상쇄시킬 수가 있어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의 절반 이상을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바퀴에 전동을 구현시켜 보행기가 뒤에서 밀어주어 뒤에서 누군가가 밀어주는 효과가 발생하여 사용자는 훨씬 가볍게 남의 도움없이 혼자 힘으로 보행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둘째, 본 발명의 보행기는 태양전지판을 보행기 상단부에 부착하여 저탄소 녹색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한다.
태양전지판을 보행기 연장봉 상단부에 접이식, 또는 탈부착식으로 형성시켜 태양전기를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탈착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하고 남은 전기는 보행기에 장착된 배터리에 충전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본 발명의 보행기에는 팔걸이부를 형성시켜 팔을 올려놓고 편안히 보행을 할 수가 있으며, 팔걸이부 하단부 바깥쪽 가장자리에 팔걸이 거대기를 길게 형성시켜 지팡이를 넣고 양손으로 잡아 지면에 지탱하면서 팔을 앞.뒤로 저어 가며 보행함으로써 팔과 손에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또한 지면에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추가로 절감시키며 좌.우로 넘어짐을 예방하고 안전하게 보행할 수가 있게 하였으며, 팔이 불편한 사용자는 바퀴 달린 지팡이를 팔걸이부 끝 부분에 탈부착 형식으로 고정시켜 팔을 편안히 올려놓고 밀고 가면서 보행을 할 수가 있게 하였다.
넷째, 본 발명의 보행기에 전방 주시등과 후반보안등을 설치하고 투명한 재질의 레인 커버와 보온 커버를 설치 이용하고, 햇빛 차단커버를 설치 이용하므로서 야간, 우천, 동한기나 하절기 등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천후 기능을 갖추었다.
보행기 연장봉 상단에 거대기를 부착하여 상기 레인 커버나 보온 커버를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키를 넘겨 머리 위에 크로스로 형성된 제2 팔걸이 보강부재 상단부에는 연결 링크를 부착하여 탈,부착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노약자들의 동한기 사용을 위해서 팔걸이부 손잡이 부분이나 둔부에 삽입되는 지지대의 표면에 전기열선을 배치하고 중간 연결관 내부에 전기온풍기를 부착하여 보온 커버 내부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본 발명의 보행기 사용 중 휴식을 취할 때에는 간이의자를 형성시켜 의자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사용자가 둔부에 삽입한 채 보행하는 하는 상기 지지대는 폭이 좁아 의자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보행기 지지대가 장공 밑에 형성된 원형 공에 이르렀을 때, 보행기 하부관 측면에 부착된 보조지지대를 펼쳐 상기 지지대 측면에 붙인 후 고정핀으로 고정시켜 지지대의 가로면적을 넓게 하여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여섯째, 본 발명의 보행기는 연장봉 상단에 의료기구나 링거액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후크가 형성된 거대기를 부착하여 병실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팔걸이부 상단 부분과 중단 부분에 안쪽 가장자리에 쇼핑 바스켓 걸이용 구와 어린이 및 영.유아 시트 걸이용 구를 각 형성시키고, 오른쪽 팔걸이부 중단부분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 걸이용 구와 왼쪽팔걸이부 중단부분 바깥쪽 가장자리에는 산책시 애완견을 대동할 수 있는 애완견 시트걸이용 구를 각 형성시켜 쇼핑 등 바스켓과 어린이나 영.유아용 시트와 애완견 등 시트를 걸 수 있게 하여 어린이나 영.유아를 대동하고 대형쇼핑몰에서 쇼핑용으로 사용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아파트 단지 내에서 재활용품 수거나 운반용으로도 사용하는 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곱째, 본 발명의 보행기는 사용자가 사용 중 보행기에서 쉽게 내리고 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의 상기 지지대와 승강 실린더가 승강하는 상기 하부관 일정구관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관 승강 실린더가 승강하는 구간의 상단부와 하단부 단면에 각 회전기능을 부여하는 배어링 휠이 상면과 하면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각 부착하여 사용자가 보행기 사용 중 상기와 같이 베어링 휠을 설치한 상기 하부관 단면구간을 좌.우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킬 수 있게 하고 또한 중간연결관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고 있는 좌우 팔걸이부 중 사용자가 보행기에서 내리려고 할 때, 장애가 되는 부분을 절단시켜 사용자가 보행기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손쉽게 내리고 타는 것을 반복할 수 있게 하였다.
여덟째, 본 발명의 보행기는 사용함에 있어 철저한 안전보호장치를 갖추었다.
본 발명의 보행기는 동력을 사용함으로 사용 중, 한계를 넘는 하중이 작용하여 동력전달장치가 파손되고 사용자가 전도되는 등 여러 가지 안전상의 문제점이 예상되므로, 미리 설정한 하중을 초과시에는 동력을 자동 차단시키는 하중감시센서와 제어기를 보행기의 승강 실린더와 동력 주행기 등에 갖추고, 서로 간에 케이블로 연결하여 설정한 하중이 초과될 시에는 동력이 자동차단되고 주행 휠에 장착된 제동기와 제동편의 작용에 의하여 주행 휠을 즉시 멈추게 하며, 또한 팔걸이부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 조작기에는 브레이크 레버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사용 중 위험상황 발생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잡아당겨 동력차단과 동시에 주행 휠을 멈추게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주행 휠의 좌.우 앞쪽 방향으로 2개의 보조 휠을 더 설치하여 보행기 직립성을 보강하고 넘어짐을 방지하였다.
아울러 다리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하여 바퀴 달린 지팡이를 팔걸이부 끝단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팔을 편안히 올려놓고 의지하면서 밀고 갈 수 있게 하여 더욱 안전하게 보행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태양전지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태양전지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의료용 거대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용 거대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상단부 표면에 햇빛차단용 펜스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하부관에 장착되는 폴과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구동 주행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1 팔걸이 보강부재의 접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하부관에 장착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와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하부관의 하단부에 전진 회전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하부관, 중심축 보강부재 및 중간 연결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중심축 보강부재와 중간 연결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좌우 팔걸이부의 구성도,
도 17은 구동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쇼핑 바스켓 및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팡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팡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하부관에 파킹 스틱을 장착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지지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제2 팔걸이 보강부재에 로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6에 도시된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하부관에 장착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와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가스 스프링 장치가 하부관 전면 바깥쪽 직선구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행기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자신의 체중을 절반 이상을 보행기의 중심축에 전이시키고 상쇄시켜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큰 폭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그와 같이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는 탄성력이 내장된 중심축을 사용자의 등 뒤에 밀착시켜 위치하게 하고 밀착된 중심축 하부관 공간 내부에 탄성부재인 스프링이 장착되며 또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금속성 앵글로 제작된 승강 실린더가 설치되어 동 승강 실린더가 상기 하부관 내부에서 승강할 수 있는 로드를 제공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가 승강중에 사용자의 체중 이동으로 인하여 한쪽으로 쏠림이나 기울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중심 폴을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 내부 상단과 하단에 고정시키고, 고정시키기 전에 상기 중심 폴을 관통한 채로 상기 승강 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의 위쪽과 아래쪽에 상기와 같이 장착된 각 1개의 탄성력 있는 스프링을 중심 폴을 관통한 채로 삽입시킨 후, 위 스프링들의 승강 실린더와 밀착된 위치에 있는 일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의 상, 하부에 각 연결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 내측 상,하부에 각 연결 고정시켜 상기 승강 실린더가 상기 중심 폴을 관통한 채로 승강할 시, 연직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 몸쪽에 밀착되어 세워진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 승강 실린더가 승강하는 구간에 길게 개구된 홈을 형성시켜 상기 승강 실린더와 연결 고정된 상태로 승강하는 지지대를 상기 홈 밖으로 꺼내어 돌출되게 형성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를 사용자의 둔부 아래 양다리 사이에 삽입시켜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를 상기와 같이 삽입한 채로 반쯤 걸터앉은 상태에서 보행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의 상, 하단에 부착된 탄성력 있는 스프링들이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지지대에도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지지대에 의지할 때 상기 지지대가 사용자의 체중을 탄성력만큼 떠받쳐 올려줌으로써, 사용자의 반 이상의 체중이 보행기 중심축으로 전이되고 상쇄되어 그만큼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므로, 사용자는 훨씬 가볍게 보행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는 동력을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하중을 미리 설정하여 놓고 설정치를 초과 시에는 동력을 자동으로 차단되는 센서와 제어기를 상기 승강 실린더와 동력기에 설치하여 안전사고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였으며, 팔걸이부 하단부에 부착된 구동조작기에 브레이크 레버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사용중 위급 시, 상기 레버를 잡아당겨 즉시 동력을 차단시키도록 하였다.
아울러 팔걸이부 하단부 바깥쪽 가장자리에 지팡이구를 형성시켜 지팡이를 상기 지팡이구에 각각 넣고 양손으로 각 잡고서 지면에 지탱하면서 보행을 할 수 있게 하여 그만큼 허리나 무릎에 가는 하중을 더 저감시켰으며 주행 휠 좌.우 앞에 2개의 보조 휠을 더 설치하여 사용자를 가운데 두고, 주행 휠과 2개의 보조 휠이 지면에 착지된 지점을 서로 연결할 경우 거리와 간격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어 위 지팡이와 함께 보행기의 직립성을 더욱 보강하고 좌.우, 앞.뒤로 넘어짐을 예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의 운반이나 보관 등 휴대 사용하기가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비사용시에는 부피를 가급적 줄여야 하므로 팔걸이부와 팔걸이 보강부재 등을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고 보조 휠과 상기 중심축 하부관을 연결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 프레임에는 여러 개의 링크를 형성시켜 접을 수 있는 접철 기능과 상기 중심축 상부관 상단부에 형성된 연장봉을 단축시키는 기능을 갖추게 하여 비 사용시에는 보행기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행기의 상부관 상단부에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보행기의 에너지원으로 태양력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기를 사용하면서 동력을 자체 조달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100)의 중심축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0)과 상부관(30)으로 구분되고, 보행기(100)의 중간에서 상.하의 상부관(30)과 하부관(20)을 연결하고 좌.우에는 좌우 팔걸이부(50,60)를 중간 연결 역할을 하는 중간연결관(40)이 형성되며, 하부관(20)의 상단부와 중단부를 보강하는 중심축 보강부재(10)가 장착되고, 상부관(30)에는 연장봉(31)이 더 연결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중심축 보강부재(10)와 중간연결관(40)을 나타내기 위해 하부관(2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이 하부관(20)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중심축 보강부재(10)와 중간연결관(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개의 스틸재의 관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며, 상기 하부관과 상부관 및 팔걸이와 제2 팔걸이 보강부재를 보행기 중심에서 연결함으로써, 보행기 중심축을 보강하여 보행기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중, 보행기(100)에서 쉽게 타고 내림을 반복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중간연결관(40)과 연결된 좌우 팔걸이부(50,60)의 사용자의 몸쪽 방향의 일부분을 절단함으로 인하여 구조상 취약해진 팔걸이부의 보강부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좌우 팔걸이부(50,60) 중간지점 하단부에서 보행기(100)의 중심축의 하부관(20)의 하단부 양측면까지 도 1과 같이 "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가 부착되고, 같은 이유로 좌우 팔걸이부(50,60) 중간지점 상단부에서 사용자의 키를 넘겨 교차 방향에 있는 중간연결관(40) 양측 일단과 연결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가 2개 더 형성된다. 또, "ㄴ" 형태로 형성된 양측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의 굴곡점 하단부에 보조 휠(71)을 각각 설치하여 지면을 지탱하게 함으로써 보행기(100)의 직립성과 안정성을 보강하였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50,60)와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와의 사이에는 경사각도로 연결되며 가운데 부분에 링크가 형성되어 접이 기능을 구비한 제3 팔걸이 보강부재(90)가 마련된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에는 그 꼭지점 중심부에 접철 형태의 고정부재(81)가 장착되어 각 2개의 동 보강 부재의 프레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접철과 링크 역활도 수행하므로, 링크 결합에 의해 암수 결합되면서, 회전핀과 회전나사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만 절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를 아래 방향으로 절첩할 때, 링크의 가운데 부분이 열리면서 노출되고, 원위치로의 복원시에는 상기와 같이 노출된 부분이 닫혀지고 서로 맞물려 더 이상 위 방향으로 접철되거나 꺽이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철 형태의 고정부재(8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접철과 원위치로의 반복 동작이 실행되어도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때 보행기(100)의 하부관(20)의 하단부는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중 보행기(100)와 다리부분의 충돌이 예상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절곡되게 형성하였다. 또, 상기 하부관(20) 하단부에는 주행 휠을 구비하는 구동 주행기(21)가 부착되고, 상기 상부관(30)의 상단부에는 연장봉(31)이 연결되어 보행기(100)의 길이를 축소하거나 연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장봉(31)이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 연장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장봉(31) 하단부 내측 양면의 슬롯(32)에 각 1개의 가압탄성돌기(33)를 각 부착하고, 상기 가압탄성돌기(33) 사이 상.하 공간에는 도 1과 같이 가압탄성돌기(33)와 연결한 쇠줄의 탄성력을 반대방향으로 작용하게 하여 일시적으로 가압탄성돌기의 탄성력을 해제시키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형태의 가압탄성돌기 해제장치(34)를 설치하였다. 상기 해제 장치(34)와 연결된 작동버튼은 상기 연장봉(31) 하단부 일 측 밖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손으로 양 단을 누르면 해제되고 놓으면 복원된다.
또한 상기 상부관(30)의 슬롯(32)의 하단부 양측면과 중단부의 양측면에 각 1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을 각 형성시켜 상기 연장봉(31)의 가압탄성돌기(33)가 상기 상부관(30) 가압탄성돌기공에 이르렀을 때 돌출되고, 다시 상기 탄성력 해제장치에 의하여 상기 가압탄성돌기(33)의 탄성력을 일시 해제시키고 놓으면 가압탄성돌기(33)를 복원시킴으로써, 상기 가압탄성돌기(33)가 돌출과 복원이 반복되면서 상기 연장봉(31)이 상기 상부관(30) 하단부에 형성된 가압탄성돌기공에 이르렀을 때, 상기 연장봉(31)에 부착된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돌출되어 연장봉(31)의 길이가 단축되고, 상기 상부관(30) 중단부에 형성된 가압탄성돌기공에 이르렀을 때, 상기 연장봉(31)에 부착된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돌출되어 연장봉(31)의 길이가 확대 연장되어 연장봉(3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관(30)에 연결된 연장봉(31)을 연장 또는 축소하는 기능 외에 보행기의 보관이나 운반의 간편함을 위해 도 1에서 상기 상부관(30) 자체를 탈부착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관(30)이 탈부착하는 기능과 과정은 상기 연장봉(31)이 연장 또는 축소 시에 부착 사용된 가압탄성돌기, 가압탄성돌기공, 가압탄성돌기 작동 및 해제 장치 및 작동 버튼 등이 동일하게 부착 사용되고 작동되는 과정도 상기 연장봉(30)과 동일하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31)에는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장비가 장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태양전지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태양전지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의료용 거대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장착되는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용 거대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31)의 상단부에는 태양전지판(110)을 부착하여 보행기(100)의 동력에너지원으로 조달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병실에서 의료용 기구나 링거액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거대기(120) 또는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용 거대기(13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거대기(120, 130)는 연장봉(31)의 홈부에 거대기 축이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거대기(120,130)의 축과 연장봉(31)의 상부와의 나사 결합 등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대기(120,130)의 각각과 연장봉(31)을 일체로 제작하고, 상기 연장봉(31)을 상기 상부관(30)에 장착하는 구조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예를 들어 실내, 특히 병실 등에서는 재활 치료 등을 위해 연장봉(31)을 분리한 상태에서 보행기(100)를 사용하고, 실외에서는 거대기(120,130)와 일체로 된 연장봉(31)을 상부관(30)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봉(31) 상단부나 측면에 태양전지판(110)을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조달하여 사용한다. 상기 연장봉(31) 상단부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0)은 접이식 형태와 탈,부착 형태로 구분된다.
접이식 형태의 태양전지판(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31) 상면 가운데에 태양전지판(110)과 연장봉(31)을 연결하고 태양전지판의 방향을 바꾸거나 접을 수 있게 회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체(111)가 형성되며, 상기 구체(111)를 받아 들이고 피봇시켜 태양전지판(110)을 상기 연장봉(31)에 연결,고정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싱(31a)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별도의 고정부재(31b)에 의하여 연장봉(31) 상면 가운데에 고정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31a) 내부에 피봇된 구체(111)는 표면에 열십자 형태의 홈을 형성시켜 2 가닥의 와이어(111a)가 상기 홈 속에 들어가 구체(111)를 감싸고서 나와 단일 합성되며 다시 각 2개의 와이어로 나뉘어져 각 다른 방향의 태양전지판 테두리와 연결된다.
상기 접이식 형태의 태양전지판(100)의 연결목은 신축성 있는 와이어 등으로 되어 있어 상기 연장봉(31) 상단에 8개의 방향으로 형성된 턱에 태양의 방향에 맞추어 태양전지판의 위치를 변경시켜 걸 수 있도록 하여 태양전지판의 발전 효율성을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 태양전지판(110)의 탈부착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110)의 탈부착을 위해 연결 바(31f)를 태양전지판 일 측에 형성시키고, 상기 바가 삽입되어 탈,부착할 수 있는 접속 홀(31e)이 상기 연장봉(31) 상단부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가 삽입이나 탈착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접속 홀 내측 일면에 가압탄성돌기공(31)이 형성되어 상기 태양전지판 연결 바의 일측에 형성된 가압탄성돌기(113)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31)에 이르렀을 때 돌출됨으로서 장착되고, 다시 가압탄성돌기(113)의 가압을 해제 시키므로서 탈착이 되어 탈,부착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태양전지판에 태양전지판의 하중을 받쳐주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태양전지판 지지막대(112)가 필요하다. 상기 지지막대(112)는 태양전지판 테두리 양측에 각 부착되어 상기 연장봉(31) 상단부 측면에 도 2와 같이 형성된 지지막대 받침대(31D)에 연결되므로서 태양전지판의 하중을 지탱하고 이탈 등을 방지한다.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은 8 방향으로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설치됨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막대 받침대(31d)도 연장봉(31) 측면으로 돌아가면서 다수개의 설치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장봉(31) 상단부 상면에는 각종 사용 목적의 거대기가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110)에 마련된 구체(111)와 와이어(111a)을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 케이싱(31a), 케이싱(31a)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1b), 8 방향으로 마련된 홈(31c) 등이 마련되고, 상기 연장봉(31) 상단부 측면에는 탈.부착형의 태양전지판(110)의 지지막대(112)를 받쳐주는 지지막대 받침대(31d)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100)의 여러 가지 사용목적에 부합될 수 있도록 각종 부재들이 부착됨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봉(31) 상단부의 일정 구간의 단면 지름의 크기를 중단부 이하 하단부의 단면의 지름의 크기보다 좀 더 크게 형성된다.
또 와이어(111a)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구체(111)의 표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열십자 방향으로 감싸고 일 방향으로 합체되어 케이싱(31a)에 장착되므로 태양의 조사 방향으로 태양전지판(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체(111)와 케이싱(31a)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태양전지판(110)에서 생성된 전력은 구체(111)에 마련된 접속 단자와 케이싱(31a)에 마련된 접속 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장봉(31)의 안에 마련된 전선을 통해 보행기(100)에 마련된 배터리에 충전된다.
도 2에 도시된 태양전지판(110)과 연장봉(31)의 결합 방법 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판(110)의 연결바 프레임에 돌기(113)을 마련하고, 연장봉(31)의 상단에 측면홈(31e)을 마련하여 태양전지판(110)과 연장봉(31)을 결합하여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결합의 전기적 접속 관계도 도 2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은 결선 방법을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의료용 거대기(120)에는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8 방향의 등 간격으로 8개의 후크(121)가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후크(121)에는 각종 의료기구나 링거액 팩 및 링거액 병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121) 아랫부분에는 상기 상부관 연장봉 측면을 360도 돌아가면서 상기의 각종 의료기구 및 링거액 팩이나 링거액 병 등을 상기 후크(121)와 같이 형성된 수납 공간이나 상기 후크(121)에 걸어 사용 중 추락할 경우에 대비하여 안전보호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그 자체에도 링거액 병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반원형 형태의 다목적용의 안전보호대가 설치된다. 상기 안전보호대 아래에는 별도의 지지막대를 부착시켜 상기 안전보호대와 상기 연장봉 측면을 경사각도로 받쳐 주게하여 상기 다목적용의 안전보호대의 견고성을 유지시켜 사용자가 병실 등에서 사용 중 상기와 같이 후크(121) 등에 걸어 사용하는 각종 링거액 등 각종 의료기구의 추락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환자가 사용하는 의료용 거대기에는 도 4와 같이 링거액이나 기타 의료 관련 부재들을 걸을 수 있는 8개의 후크 이외에 상기 후크 상부에 별도의 수납공간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후크 상부에 형성된 별도의 수납 공간은 가운데를 1개의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철망으로 형성된 아래 중심 부분에 조임쇠 틀을 형성시키고 철망의 가운데 일부분을 후크의 연장선과 동일한 높이에 맞추어 함 몰시켜 합일되게 하여 1개의 볼트로 상기 수납공간의 위,아래를 동시에 조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우천시나 동한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인 커버나 보온 커버를 걸어 사용하는 거대기(130)를 마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 있는 앞부분이 돌출되고 길쭉한 모양으로 확장되게 하여 사용자의 전방 시야를 넓게 하고 레인 커버나 보온 커버를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보행기에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131)를 장착한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용도의 거대기들은 상기 커버들은 사용자들을 포함하여 쒸우는 형태의 특성상 도 4와 같은 의료용 거대기와는 다르게 특별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보행기(100) 앞에 직립상태로 보행을 하면서 커버를 씌워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용자 몸체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대기 앞쪽 부분이 길쭉하게 확장되어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동한기에 노약자 등이 보온 커버(131)를 사용시에는 보온 커버(131) 내부에 적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팔걸이부 손잡이 부분과 상기 지지대(24) 표면에 전기 열선을 배선하고 중간 연결관 내부에 전기 온풍기를 장착한다. 상기 레인 커버나 보온 커버(131)는 안전상의 이유로 투명한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앞면부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서리 방지와 공기소통을 위한 공기 소통구(1311)를 다수개 설치하고 눈, 비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통구(1311) 상단부에는 눈, 비막이용 챙(1312)을 부착한다.
한편, 상기 상부관(30)에 위치하는 연장봉(31) 상단부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에는 전조등과 보안등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레인 커버와 보온 커버(131)를 사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보행기(100)에서 벗어나고 다시 탈 경우를 위하여 상기 커버들의 양 측면에 출입구(1313)를 형성시킴이 필요하다. 상기 출입구(13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달형으로 형성시키고, 지퍼를 부착하여 상기 지퍼를 사용자가 안쪽이나 바깥쪽에서 쉽게 내리고 올릴 수 있게 하여 출입문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키를 넘겨 머리 위에 교차형태로 형성된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상단부 표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에서 보행기(100)의 사용 중 햇빛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햇빛차단용 펜스(82)를 설치하여 햇빛을 차단하도록 하였다. 즉 상기 햇빛차단용 펜스(8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재(81)에 그 중심부가 위치하도록 하여 거치 된다.
또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각 끝부분에 형성된 결합 홈(83)과 중간 연결관(40)에 마련된 결합 돌기(43)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가 중간 연결관(40)에 장착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100)에 적용된 승강 수단의 구조에 대해 도 1, 도 8 및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하부관에 장착되는 폴과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의 하부관(20)은 사용자의 등 뒤에 밀착시켜 위치하게 하고, 상기 하부관(20)의 상단부에서 절곡되기 전 직선내부 공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폴(21)을 상기 하부관(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고정시키며, 상기와 같이 고정, 설치하기 전에 상기 중심 폴(21)을 따라 관통한 채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22)가 먼저 장착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중앙 부분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 1개의 탄성력 있는 스프링(23)이 중심 폴(21)을 관통한 채 삽입시켜 일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각 연결 고정하고 타단은 상기 하부관(20) 내측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 연결 고정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승강 시 탄성력을 받도록 한다.
상기 중심 폴(21)은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승강할 때 로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중 체중이 한쪽으로 쏠릴 경우,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한쪽으로 쏠림과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하고 안정감 있게 승강할 수 있게 역할을 하여 보행기(100)의 안정감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탄성력 있는 스프링(23)들은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승강할 때 위쪽에 부착된 스프링(23)은 상기 승강 실린더(22)를 잡아당겨 끌어올리고 아래쪽에 부착된 스프링(23)은 상기 승강 실린더(22)를 떠받쳐 올려줌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승강할 시, 위와 같이 발생된 탄성력은 그만큼 하부관(20)에 전이 또는 상쇄되어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 실린더(2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 시, 체중의 일부를 올려놓고 반쯤 걸터앉아 지지하면서 보행할 수 있는 지지대(24)가 연결 부착된다.
상기 지지대(24)는 상기 하부관(20) 일측 보행기(100)의 사용자 몸쪽 방향의 하부관(20)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홈(203, 도 14 참조) 밖으로 꺼내어진 채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24)는 등받이부(25)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보행기(100)의 사용자는 상기 지지대(24)를 사용자의 둔부 사이에 삽입시켜 삽입한 채로 보행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상. 하부에 연결된 탄성력 있는 스프링(23)들이 작용하는 탄성력이 상기 승강 실린더(22)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기 지지대(24)에도 똑같이 작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떠받쳐 올려주므로 인하여 사용자의 체중의 반 이상을 보행기(100) 중심축 하부관(20)에 전이 또는 상쇄되어 그만큼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24)의 표면은 부드러운 소재로 된 안착 부재가 부착되어 둔부와의 마찰을 줄이고 감촉을 좋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 중 둔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대(24)에는 강한 탄성력이 작용됨으로 인하여 탄성력이 한꺼번에 작용시에는 상기 지지대(24)와 둔부와의 충격이 예상되므로 상기 탄성력을 적절하게 제어하고 조절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 점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내부에 탄성력이 구비된 도 9에 도시된 스토퍼(221)를 장착하고, 상기 하부관(20) 측면에 도 1과 같이 여러 개의 장공(201)을 형성하여 상기 스토퍼(221)가 장공(201)에 이르렀을 때, 상기 스토퍼(221)에 내장된 스토퍼 봉(2210)이 상기 장공(201)에 돌출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22)와 지지대(24)의 승강을 저지하여 상기 지지대(24)가 단번에 상승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여러 개의 장공(201)을 거치면서 승강하도록 하여 사용중 발생하는 둔부와 상기 지지대(24) 간의 충돌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상기 여러 개의 장공(201)은 사용자의 키 높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대(24)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실린더(22)는 8 방향으로 앵글이 마련되며, 각각의 앵글의 끝(외각) 부분은 둥글게 마련된다. 상기 스토퍼(221)와 관련된 스토퍼 봉(2210) 등의 각종 스토퍼 부재 들은 상기 앵글 사이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상기 장공(201)은 상기 하부관(20) 측면에 여러 개 형성되는데 사용자가 보행시 다리의 전진과 후퇴를 반복함에 따라 둔부의 고도가 약간의 편차를 나타낼 수 있다. 그에 맞추어 1개의 장공(201)에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높낮이를 이루고 있는 상기 지지대(24)도 사용자의 둔부 고도의 편차에 적응하면서 높낮이가 유지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키 크기 등 기타의 사유에 따라 1개의 장공(201)의 길이를 1.5~2.5㎝ 범위에서 길이를 정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21)는 상기 승강 실린더(22) 내측 앵글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관(20) 측면에 형성된 장공(201)이나 원형공(202)에 상기 스토퍼(221)에 내장된 스토퍼 봉(2210)이 돌출과 복원을 반복하면서 상기 지지대(24)와 승강 실린더(22)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는 도 9와 같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토퍼(2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공(201)이나 원형공(202)에 돌출과 복원을 위하여 전진,후퇴를 반복하는 스토퍼 봉(2210),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211), 상기 하부관(20) 일측에 개구된 홈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 작동 레버(2212), 스토퍼 봉(2210)과 작동 레버(2212) 사이를 연결한 쇠줄(2213),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쇠줄(2213)의 작동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회전 공이(2214), 탄성 부재(2211)의 탄성력을 가두고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가로막이(2215), 스토퍼 봉(2210)이 전진,후퇴할 때 로드를 제공하고 이탈 방지 역할을 하는 직사각형의 케이싱(2216)으로 형성되어있다.
다음에 구동 주행기의 구조에 대해 도 1, 도 10 및 도 11에 따라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구동 주행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의 접철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하부관(20) 절곡 지점 하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휠을 구비한 구동 주행기(21)가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휠(211)에는 동력의 제동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제동기와 제동편(217)이 부착되었으며, 보행기(100)의 전체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주행 휠(211)은 제동력의 도움을 주는 외주면이 마찰계수가 높으면서 내마모성 소재로 처리한다. 보행기(100)의 직립성 보강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주행 휠(211)의 앞쪽 좌.우 지점에 보조 휠(71)이 부착된다.
상기 보조 휠(71)은 상기 하부관(20) 하단부 양측면에서 연결되어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단부까지, 도 1과 같이 'ㄴ' 자 형태로 형성된 양쪽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의 굴곡지점 하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보조 휠(71)은 상기와 같이 주행 휠(211)의 앞쪽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주행 휠(211)과 양쪽의 보조 휠(71)은 지면에 닿는 착지지점 간에 거리 간격이 사용자를 내부에 둔 채 삼각형을 이루게 되므로, 보행기(100)의 직립성을 좋게 하고, 사용자는 삼각형 내측에서 보행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좌.우 방향으로 넘어짐 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 보조 휠(71)은 보행 중에 방향 전환이 용이하도록 캐스터 방식을 채용하며, 상기 보조 휠(71)이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의 하단부의 굴곡지점에 부착,설치된다.
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의 접철이 용이하게 하도록 접철 링크(72)를 여러 개 형성시켜 보행기(100) 중심축 하부관(20) 쪽으로 접철될 시에 상기 보조 휠(71)도 같이 따라가면서 접철됨으로 인하여 상기 보조 휠(71) 자체에 별도의 접철 기능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구동 주행기(2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4), 주행 휠(211)과 상기 동체들의 동력을 연결하는 전동체(215), 상기 모터(214)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216)를 구비한다. 상기 전동체(215)의 일 예로서 스프라켓과 체인을 사용할 수 있다.
모터(214)는 배터리(216)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방식을 선택한다. 배터리(216)는 자가충전이 가능한 충전투입구가 설치되며, 상기 연장봉(31) 상단에 설치된 태양전지판(11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도 자체 조달 충전된다. 배터리(216)는 용량에 따라서 크기가 달라질 수 있고, 사용되는 전기량이 많아지면, 여러개의 배터리가 사용되므로, 상기 하부관(20)의 하단부 내측이나 측면 등 별도의 여러 개의 공간에 배터리 세팅 장치를 설치 후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 주행기(21)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관(20)에 부하되는 하중이 일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작동이 정지하도록 하는 하중감시센서(218)와 제어수단(219)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219)은 상기 하부관(20) 하단부에 장착된 구동 주행기(21)와 상기 하부관(20) 내부에서 중심 폴(21)을 관통한 채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22) 등에 설치되어 서로 케이블로 연결시키며, 제어 수단(219)에는 구동 주행기(21)의 가동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중센서(218)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설정치를 초과하면 모터(214)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보행기의 하부관(20)에는 상기와 같이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23)을 내장하여 상기 코일 스프링(23)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하부관(20)에 내장된 상기 승강 실린더(22)와 동 실린더에 연결된 지지대 위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고, 상기와 같이 윗 방향으로 발생된 탄성력이 사용자의 하중을 절감시킨다. 또, 상기와 같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인 코일 스프링(23) 외에 다른 형식의 탄성 부재인 가스 스프링 장치를 탄성 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하부관 내측에 장착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와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스프링 장치(230)는 가스압축 통(2301)과 상기 가스압축 통(2301)에 일축이 내장되어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스의 압박과 해제를 반복하는 가스압축 바(2302)가 구비되고, 상기 가스압축 바(2302)를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중심 홀에 삽입시킨 후 중심 홀 상단부와 하단부에 별도의 고정 부재(2305)를 사용하여 상기 가스 압축바(2302)와 이중으로 고정시켜 상기 승강 실린더(22)와 상기 가스압축 바(2302)가 이격되거나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스압축 바(2302)가 가스 압력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사용자의 체중의 부하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시, 상기 승강 실린더(22)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가스 스프링 장치(230)를 상기 하부관(20)의 하단부 내측에 장착시킬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관(20) 내측 상단부에 상기 가스압축 연장 바(2302a)가 상.하로 이동 시에 상기 가스압축 바(2302)의 이동 로드를 제공하고 이탈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가스압축 연장바 로드 관(2304)이 부착된다.
상기 가스 압축바(2302)는 상기 가스압축 연장바(2302a)와 구별된다.
상기 가스 압축바(2302)는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 부착된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의 가스 압축통에서 연결되어 나온 가스 압축바(2302)가 상기 승강 실린더(22) 내측에 이르러 고정되는 지점까지의 가스 압축바를 말하고, 상기 가스압축 연장바(2302a)는 상기 승강 실리더(22) 내측에서 상기 하부관 상단부에 부착된 상기 가스압축 연장바 로드관(2304)까지 연장되는 가스 압축바를 말한다.
상기 로드관(2304)은 상기 가스압축 연장바(2302a)를 상.하로 받아들일 수 있는 원통형의 공간(ℓ)으로 형성되며, 자체에 상기 하부관(20) 내부에서 이격이나 이탈이 되지 않게 하는 별도의 고정 부재(2303)에 의하여 상기 하부관(20) 상단부 내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상 하단부에 코일 스프링(23)이 부착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3) 중 상단부에 부착되는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승강 실린더(22)의 상면부에서 상기 가스 압축 연장바 로드관(2304)까지 연결 형성된 가스 압축 연장바를 관통하여 부착시키고, 하단부에 부착되는 코일 스프링은 상기 승강 실린더(22) 하면부에서 상기 가스 스프링 장치의 가스 압축통까지 연결 형성된 가스 압측바를 관통하여 부착시키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은 접착되는 상기 부재들에 각각 고정연결시켜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의 탄성력 외에 추가로 탄성력을 발생되게 하여 상기 승강 실린더(22)가 상하로 이동시 연직 상하방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을 큰 폭으로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스를 이용한 탄성 부재인 가스스프링 장치를 상기 하부관 내측에 고정 장착시킬 경우에는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에 부착된 높낮이 조절 유압장치(2306)가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지금까지 상기 승강 실린더922)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와 같이 승강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와 그에 부수되는 각종 부재는 부착되지 않는다. 상기 높낮이 조절 유압장치(2306)도 상기 승강 실린더(22) 내측에 장착되며 다만 상기 승강 실린더(22) 내측에 고정연결된 가스 압축바 일단에 장착됨이 다르다.
상기 높낮이 조절 유압장치(2306)에는 높낮이 조절 작동레버(2306a)를 연결시켜 상기 하부관 측면에 노출시켜 형성됨은 상기 스토퍼 작동 레버와 같다.
사용자는 상기의 높낮이 작동레버(2306a)를 당김과 놓음에 의하여 상기 가스스프링의 가스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승강 실리더(22)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0)의 하단부에 전기 모터(400)를 부착하고, 상기 전기모터(400)와 주행 휠(211)에 전동체(215)를 연결시켜 구동 주행을 하는 기능 외에 보행기(100)의 중심축 중간 연결관(40) 바깥쪽 측면 가운데 부분에 전진 회전체인 프로펠러형의 회전체(401)를 부착하여 전방이나 좌.우 방향으로 보행기(100)의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도 13은 보행기의 중심축 중간 연결관 바깥쪽 측면 가운데 부분에 하부관의 하단부에 전진 회전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프로펠러형의 회전체(401)를 추진력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하부관(20) 하단부에 부착된 구동 주행기(21)에 의하여 사용자가 보행기 사용 중에는 허용되는 하중의 한계가 있고, 일시적으로 과다하게 부하되는 하중에는 보행기의 전동체(215) 등이 파손되는 등의 여러 가지 안전상의 문제점 등이 보완된다.
다만, 상기 프로펠러형의 회전체(401)는 자체 회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보행기 중심축 바깥쪽에 장착됨으로 인하여 운반이나 보관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전기모터(400) 등 회전에 필요한 각종 부재들을 중심축 중간 연결관 바깥쪽에 이동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세팅 장치가 필요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 회전체(401)를 도 13과 같이, 보호용 철망(402)으로 감싸고 탈부착이 가능한 탈부착 장치를 부착하며 상기 전기 모터 등 상기 프로펠러 회전체(401)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부재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고정 장치(403)를 상기 중심축 중간연결관(40) 바깥쪽 가운데 부분에 부착한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에 따라 중심축 보강부재 및 중간 연결관의 구조 및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하부관, 중심축 보강부재 및 중간 연결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중심축 보강부재와 중간 연결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100)가 쇼핑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사용자는 수시로 보행기(100)에서 내리고 탈 필요성이 발생하는 데 위와 같이 쉽게 보행기(100)에서 내리고 타는 것을 반복하기 위해서는 보행기(100) 중심축, 상기 지지대(24)와 승강 실린더(22)가 승강하는 상기 하부관(20) 일정구간을 좌우 방향으로 약 60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회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보행기(100)의 하부관(20) 중 상기 승강 구간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 절단한 후 각 절단면의 상면과 하면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도 14 및 도 15와 같이 베어링 휠(205,206)을 상기 하부관(2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 1개씩 설치하여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관(20) 상.하단부에 설치된 배어링 휠(205,206)의 설치구간 전체가 좌.우 방향으로 60도 회전하는 기능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보행기(100)에서 쉽게 내리고 탐을 반복할 수 있게 하였다.
이때 60도 이상 회전할 경우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베어링 휠(205,206)이 설치된 상기 하부관(20) 상단부와 하단부에 도 14와 같이 회전저지장치(204)를 부착한다. 즉 도 14에서는 하부의 베어링 휠(206)에서만 회전저지장치(204)를 부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상부의 베어링 휠(205)의 부분에도 회전저지장치를 마련하여도 좋다.
상술한 같이 보행기(100)의 중심축인 상기 하부관(20)의 일정구간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관(20)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 절단시켜 베어링 휠(205,206)을 각 설치함에 따라 보행기(100)의 중심축의 구조가 취약하게 되어 이를 보강하기 위해, 도 15와 같이 중심축 보강부재(10)가 필요하다. 상기 중심축 보강부재(10)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결관(40)과 하부관(20)을 이중 프레임으로 보강하여 연결시켜 보행기(100)의 중심축의 구조적인 견고성을 보강하였다.
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 보강부재(10)과 중간 연결관(40)은 각각 중심축 보강부재(10)의 양측 홈에 중간 연결관(40)의 축이 삽입되고, 상기 중간 연결관(40)의 중앙축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41)가 중심축 보강부재(10)에 형성된 다수의 홈(11)에 끼워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 중 손쉽게 내리고 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보행기(100)의 중심축의 하부관(20) 승강 구간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 이외에 사용자의 몸체를 가두고 있는 팔걸이부의 몸쪽 방향 일부분을 불가피하게 절단하여야 한다. 상기 절단 부분은 팔걸이부 중 사용자가 쉽게 보행기(100)에서 내리고 탈 수 있을 만큼 절단하여 사용자가 필요 시 언제든지 내리고 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팔걸이부를 절단하면 팔걸이부와 중간연결관(40) 간에 연결이 단절됨으로 인하여 팔걸이부가 구조상 취약하게 되므로 팔걸이부와 보행기(100) 중심축인 중간연결관(40) 간에 별도의 다른 수단에 의하여 연결시켜 팔걸이부를 보강할 팔걸이 보강부재가 필요하다.
이러한 팔걸이 보강부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단부에서 보행기(100)의 하부관(20)의 하단부까지 'ㄴ'자 형태로 연결된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와 사용자의 키를 넘겨 크로스로 연결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를 구비한다.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는 좌우 팔걸이부(50,60) 중간지점 상단부에서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직립 상태에서도 장애가 되지않고, 보행기(100)에서 내리고 탈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키를 넘겨 교차방향에 있는 중간연결관(40) 상단부와 연결된다. 다른 쪽에 있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도 동일한 방법으로 팔걸이 중간지점 상단부에서 교차방향에 있는 중간연결관(40) 상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는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단부에서 보행기 하부관(20) 하단부까지 "ㄴ" 형태로 연결되고,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는 사용자의 키를 넘겨 중간연결관(40)과 교차하여 연결되므로서, 팔걸이부와 보행기(100)의 중심축을 구조적으로 보강하여 서로 이격 되지 않고 견고함이 유지되어 보행기(100)의 구조상 취약점이 서로 상호 보완되며 사용자는 아무런 장애 없이 안전하게 보행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상단부의 교차하는 꼭짓점에는 도 1과 같이 접이 기능을 구비한 링크(81)가 형성되어 비사용시 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를 팔걸이부와 중간연결관(40) 간에 연결하는 수단은 상기 연장봉과 같은 방법으로 가압탄성돌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연결형태는 상기 상부관(30)과 연장봉(31) 간에 연장축소 기능을 수행하는 가압탄성돌기와 탄성돌기공과 동일한 형태로 연결되며 팔걸이부 중간부분 상면에 원통형으로 수직 돌출되는 연결봉을 형성시킨다. 그 후 상기 연결봉 내측 양면에 가압탄성돌기를 도 1과 같이 각 1개씩 부착되고, 상기 가압탄성돌기 끝부분이 연장봉 밖으로 노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끝단 양 측면에 상기 가압탄성돌기에 맞추어 가압탄성돌기공이 각 1개씩 형성된다.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이르렀을 때 돌출이나 복원되게 하며 상기와 같이 가압탄성돌기가 돌출이나 복원되는 과정은 상기 연결봉 내측에 부착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 사이 상.하 공간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형태의 가압돌기 해제 및 복원 장치가 부착되고, 동 장치와 연결된 작동버튼은 상기 연결봉 밖으로 노출시켜 설치되며, 상기와 같이 노출되어 설치된 작동버튼은 손으로 잡고 양끝을 압박과 놓음을 반복할 때에 상기 해제장치와 가압탄성돌기 간에 연결된 쇠줄의 당김과 놓음에 의하여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작동 또는 해제되어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 하단부 끝 부분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압탄성돌기공 외에 상기와 같이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작동버튼(결합돌기(43))이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의 탈,부착 시 장애가 되지 않도록, 상기 작동버튼의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 하단 끝 부분 측면에 결합홈(83)을 형성시킨다.
즉 도 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83)와 결합 돌기(43)를 마련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100)의 운반이나 보관의 간편함을 위하여 도 11과 같이 상기 팔걸이부 부분이 지면을 향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접이 기능과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 중 팔걸이부에 의지할 때 팔걸이부의 견고성 유지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상기 팔걸이부(50,60)에 제3 팔걸이 보강부재(90)가 더 필요하다.
상기 제3 팔걸이 보강부재(90)는 상기 팔걸이부(50,60)와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와의 사이에 경사각도로 연결되며 가운데 부분에 링크가 형성되어 접이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마지막 장공(201) 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공(202)이 형성되는데 보행 중 휴식을 취할 때 상기 지지대(24)를 원형공 위치까지 내려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대(24)는 의자로 사용하기에는 폭이 좁아 상기 지지대(24)가 원형공(202)에 이르러 스토퍼(221)에 내장된 스토퍼 봉(2210)이 돌출되어 높이와 위치가 고정되었을 때 같은 높이의 상기 하부관(20) 측면에 부착된 도 14과 같은 보조지지대(207)를 펴서 도 8에 도시된 지지대(24)의 측면에 부착하고, 상기 지지대(24)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핀 홀(240)에 상기 보조지지대(204)에 장착된 고정핀(2040)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상기 지지대(24)의 가로면적을 넓혀 의자로서의 기능을 보강하였다. 이러한 보조지지대(207)는 보조지지대(207)와 일체로 마련된 보조지지대용 가이드바(2041)에 의해 원형공(202)에 끼워 고정된다.
다음에, 도 16 및 도 17에 따라 팔걸이부의 구체적인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좌우 팔걸이부의 구성도이고, 도 17은 구동조작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좌우 팔걸이부(50,60)에서 왼쪽 팔걸이부(50)와 오른쪽 팔걸이부(60)를 구분하여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좌우 팔걸이부(50,60)의 기능을 반대로 하여 장착하여도 좋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팔걸이부(60)의 하단부에는 구동조작기(600)와 브레이크 레버(700)가 장착된다. 구동조작기(6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OFF와 속도의 단계를 1~3단계로 구분되는 조작기(601)가 있으며, 상기 조작기(601) 바로 옆에는 브레이크 레버(700)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행기(100) 사용중 위급상황 발생시 상기 브레이크 레버(700)를 잡아당겨 가동을 즉시 중단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조작기(600) 등이 팔걸이부(60) 상면에서 돌출되어 사용시에는 외부와의 마찰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어 팔걸이부(60) 상면에 홈 케이싱(610)을 형성하여 비 사용시에는 안전하게 상기 홈 케이싱(610)에 넣어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일으켜 세워 사용함으로써 외부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기(601)는 팔걸이부(60) 내에 장착된 고정부재(60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배터리(2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조작기(601) 및 브레이크 레버(700)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아당기도록 상기 팔걸이부(60)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620)이 마련된다.
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팔걸이부(50,60)의 끝단은 지팡이 상단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둥근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지팡이(300)가 삽입되도록 좌우 팔걸이부(50,60)의 본체보다 가늘게 하고 내부에 탄성부재(6001)가 내장되어 지팡이(300)가 탈부착할 수 있는 이동부재(6002)가 마련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온 커버와 레인 커버(131) 사용하면서 지팡이(300)를 사용할 경우에 지팡이(300)의 손잡이 부분의 이동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좌우 팔걸이부(50,60)의 하단부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거대기(51a,61a)가 설치되고, 상기 팔걸이 거대기(51a,61a)는 사용 시 위쪽으로 세워 사용하고 비사용 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도 16과 같이 팔걸이 거대기(51a,61a)를 좌우 팔걸이부(50,60)에 형성시켜 사용자가 상기 용도의 커버들을 씌운 채 양손에 지팡이(300)를 잡고서 앞뒤로 저어가면서 보행을 할 때에 상기 용도의 커버(131)들이 장애가 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팔걸이 거대기(51a,61a)는 보행기(100) 사용시에는 올려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밑으로 접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춘다.
상기 좌우 팔걸이부(50,60)의 상단부 끝 부분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그런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바퀴달린 지팡이(300)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좌우 팔걸이부(50,60) 하단부 바깥쪽에는 지팡이구(51,61)가 길게 각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50,60) 하단부 안쪽에는 쇼핑 바스켓 걸이구(52, 62)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 2개씩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50,60) 중간부 내측에는 어린이 및 영.유아 용 시트 걸이구(53,63)가 각 형성되고, 왼쪽 팔걸이부(50) 바깥쪽에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 걸이구(54)가 형성되고, 오른쪽 팔걸이부 바깥쪽(60)에는 애완동물용 시트 걸이구(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쇼핑 바스켓 및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8(a)는 2개의 쇼핑 바스켓 걸이구(52,62)에 장착되는 쇼핑 바스켓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8(b)는 영.유아 용 시트 걸이구(53,63)에 장착되는 유아용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8(c)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 걸이구(54)에 장착되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8(d)는 애완동물용 시트 걸이구(64)에 장착되는 애완동물용 시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좌우 팔걸이부(50,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용도의 부재가 부착되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팔을 올려놓는 등 일부의 체중도 의지함으로 인하여 이를 충분히 감내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인 좌우 팔걸이부(50,60) 중심부를 가로로 연결하여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가로 연결 보강프레임을 설치하여 좌우 팔걸이부(50,60)의 구조적 견고성을 유지하게 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팡이(300)의 구조에 대해 도 19 및 도 20에 따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팡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팡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된 지팡이(300)는 손잡이(301) 부분이 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와 지지부 사이에는 높이 조잘부(310)가 마련되며, 지지부(302)가 일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19(b)에 도시된 지팡이(300)는 도 19(a)에 도시된 구조에서 지지부(302)에 바퀴(303)와 정지부(304)를 마련한 구조이다.
또한 도 20(a)에 도시된 지팡이(300)에는 손잡이(301) 부분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팔걸이부(50,60)에 삽입되는 삽입구(305)가 마련되고 본체와 지지부 사이에는 높이 조잘부(310)가 마련되며, 지지부에는 하나의 회전륜(306)이 마련된 구조이다. 도 20(b)에 도시된 지팡이(300)는 도 20(a)에 도시된 구조에서 지지부에 2개의 회전륜(307)이 마련된 구조이다.
또한 도 20에 도시된 지팡이(300)에 마련된 삽입구(305)와 좌우 팔걸이부(50,60)와의 결합은 단순한 삽입 이외에, 지팡이(300)를 고정하기 위해 좌우 팔걸이부(50,60)의 끝단 내측에 탄성 부재(6001)와 이동부재(6002)를 마련하고, 지팡이(300)의 삽입시 상기 이동부재(6002)가 내측으로 인입되었다가 원위치로 복원되어 지팡이(300)가 좌우 팔걸이부(50,60)의 끝단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장착된 후 지팡이(300)가 팔걸이부(50,60)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좌우 팔걸이부(50,60) 하단부 바깥쪽 가장자리 부분에 지팡이구(61)를 도 16과 같이 길게 형성시켜 손잡이(301)가 열십자 형태의 지팡이(300)를 상기 지팡이구(61)에 넣고 양손으로 지팡이의 손잡이(301)를 잡고서 팔을 앞뒤로 저어가면서 보행을 함으로써, 팔운동이 되어 손과 팔에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손과 팔이 불편한 사용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분이 원형으로 삽입구(305)가 형성된 바퀴 달린 지팡이(300)를 탈,부착 장치가 부착된 좌우 팔걸이부(50,60) 끝단 부분에 장착시켜 편안히 팔을 올려놓고 밀고 가면서 보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되는 전기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배터리(216)의 크기와 개체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상기 하부관(20) 하단부 측면에 여러 개의 배터리를 부착할 수 있는 세팅장치를 설치한다. 아울러 보행기 사용자가 사용 중 좌.우로 방향전환을 시행할 경우 보행기 손잡이 부분에 부착된 구동조작기(600)에 방향전환을 위한 도 17과 같은 조작기(600)를 설치하고, 도 13에 도시된 상기 프로펠러 회전체(401)가 좌.우 방향 전환을 위한 회전각도 변경을 위하여 회전각도 변경 시 충분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회전체(401)의 보호용 철망(402)의 크기를 충분한 공간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프로펠러형 회전체(401)의 작동 정지를 위하여 구동조작기(600) 옆에 부착된 브레이크 레버(700)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 사용자는 보행기(100) 하부관(20)에 설치된 지지대(24)에 체중을 의지하고 반쯤 걸터앉은 상태에서 보행을 함으로 이때 가급적 사용자의 몸체가 보행기(100) 중심축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다.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이격이 생길 경우에는 부하되는 하중의 전이와 상쇄율이 떨어짐과 동시에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몸체와 보행기(100)를 최대한 밀착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등,허리 부분과 접촉되는 원통형의 보행기(100)의 하부관(20) 승강구간의 단면을 도 8과 같이 반달형태로 형성시켜 접촉면을 넓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보행기(100)에 부착된 상기 지지대(24)에 체중의 반이상을 의지하고 걸터앉은 상태에서 보행을 함으로 사용자의 체중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상기 지지대(24)와 승강 실린더(22)는 서로 분리되거나 이격되지 않게 일체적으로 견고하게 조립,형성되어야 하며 상당한 하중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구성과 견고성이 좋은 금속성 구조물로 제작되어 중량 있는 자가 사용할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견고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보행기(100) 사용을 일시 중단하고 휴식을 취할 때 장공(201) 밑에 형성된 원형공에 상기 지지대(24)를 고정시킨 후 상기 지지대(24)를 간이의자로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지지대(24)는 폭이 좁아 의자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상기 지지대(24)의 폭을 넓게 하여 주는 도 14와 같이 보조지지대가 필요하다.
보조지지대는 하부관(20)의 원형공이 형성된 위치에 도 14와 같이 상기 하부관(20) 양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대(24)가 원형공에 이르렀을 때 일으켜세워 상기 지지대(24) 양측면에 붙이고, 도 14와 같이 보조지지대(207)에 부착된 고정핀(2040)을 상기 지지대(24)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 홀(240)에 각 삽입시켜 상기 지지대(24)와 상기 보조지지대(207)가 서로 밀착된 채로 고정연결되어 폭이 넓어져 의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하부관(20) 측면에 접어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보조지지대(207)에는 자체 받침대 역할을 하고 비사용시에는 받침대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바가 더 구비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행기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2에 따라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하부관에 파킹 스틱을 장착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지지대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의 제2 팔걸이 보강부재에 로프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100)의 사용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할 때에는 보행기(100)의 넘어짐을 방지하고 직립성을 보강하기 위해, 보행기(100)에는 도 21과 같이 상기 하부관(20) 하단부에 파킹 스틱(2000)이 장착된다. 따라서,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킹 스틱(2000)은 비 사용시에 위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시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주행기(21)의 일측으로 내려서 보행기(100)의 이동을 저지하게 한다.
또 본 발명의 보행기(100)가 쇼핑용으로 사용할 시에는 치마 복장을 한 여성들을 위하여 특별한 형태의 지지대(2400)를 갖추고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2400)와 승강 실린더(22) 간에 연결되는 연결목을 'U'자 형태로 지면을 향하여 굴곡되게 하므로서, 본 발명의 보행기(100)를 치마 복장의 여성들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가급적 사용자의 체중을 보행기(100)에 최대한 전이시키고 상쇄시켜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최소화시킴이 주안점이므로, 병실 의료용으로 허리와 무릎이 불편한 환자들이 사용 시에는 사용자의 머리 위 키를 넘겨 크로스로 설치된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탄성력 있는 로프 부재(800)를 각각 걸고, 사용자 앞부분의 각 2개의 로프 양단은 합일되어 탄력밴드(801) 일단에 연결하고, 사용자 뒷부분 각 2개의 로프는 합일되어 상기 탄력밴드(801) 타단에 연결하여 상기 탄력밴드를 사용자의 둔부 아래에 넣고서 체중을 의지하게 하고, 다시 상기 지지대(24)를 둔부 사이에 이중으로 삽입하여 사용자의 무릎이나 허리에 부하되는 하중을 이중으로 절감시키므로서 병원에서 허리나 무릎 등의 수술환자들도 보행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때 도 23과 같이 상기 탄력밴드(801)는 사용자의 키, 체중을 고려하여 1-3단계로 나누어서 탄력밴드를 바로 조일 수 있도록 하는 탄력밴드 조절장치(802)를 갖추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행기(100)에는 야간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봉(31) 상단부 전면에 전방 주시를 위한 전조등(1314)과 후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연장봉(31) 상단부 후면에는 후방 보안등(1315)을 설치한다. 상기 후방 보안등(1315)은 깜빡거림이 유지되는게 좋다.
도 24에서는 상기 전조등(1314)과 후방 보안등(1315)이 레인 커버 또는 보온 커버(13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조등(1314)과 후방 보안등(1315)은 상기 연장봉(31)에 마련되고, 배터리(2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배선은 각각의 봉 또는 관내에 삽입되어 보행기(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결선된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 사용 중 상기 상부관(30)에 부착된 연장봉(31)은 연장되거나 축소기능을 수행하는데 상부관(30)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장과 축소가 반복됨으로 인하여 상부관 내측으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별도의 방수 장치가 필요하고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탄성돌기가 돌출과 복원을 반복하므로서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도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수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하부관(20) 측면에 형성된 장공(201)이나 원형공(202)에도 빗물이나 이물질 유입등을 방지를 위해 별도 덮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보행기(100)는 상기 좌우 팔걸이부(50,60) 하단부를 아래 방향으로 접철 할 수 있는 링크가 부착되고 제1 팔걸이 보강부재(70)와 제2 팔걸이 보강부재(80)를 각 접거나 탈착하고, 상기 상부관(30)과 연장봉(31)을 축소하거나 탈착하며, 상기 태양전지판(110)을 탈착하거나 접어, 보행기(100)의 각 부분을 분리하는 등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시켜 소형 승용차의 트렁크에 적재 이동도 가능하게 하여 교외에서 간편하게 휴대사용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25 및 도 26에 따라 설명한다.
도 25는 하부관에 장착되는 가스 스프링 장치와 승강 실린더의 결합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가스 스프링 장치가 하부관 전면 바깥쪽 직선구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가스를 이용한 탄성 부재인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230)를 상기 하부관(20) 내측 하단부에 고정 장착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행기 제조의 간편함이나 제조원가 절감을 위하여 가스 스프링장치(230)를 상기 하부관(20) 전면 바깥쪽 직선구간 하단부에 노출시켜 고정 장착한다.
즉, 상기 가스 스프링 장치(230)를 상기 하부관(20) 하단부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도 26 (a)와 같이 상기 하부관(20) 직선구간 하단부에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230)를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 받침대(2330)와 고정부재(2305)가 필요하며, 상기 가스스프링 장치(230)의 가스 압축바(2302) 상단에는 사용자가 둔부 및 양다리 사이에 삽입하고 보행하는 지지대(24)와 등 지지대에 부착 형성된 등받이(25)가 고정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24) 하면부에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 유압장치(2306)가 부착되며, 상기 지지대(24) 일측면에는 등 장치와 연결된 높낮이 조절 작동 레버(2306a)가 노출형성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2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스프링 장치(230)의 탄성력 외에 추가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24) 하면부와 상기 가스 스프링 장치(230)의 가스 압축통(2301) 간에 연결 형성된 가스 압축바(2302)를 관통시켜 코일 스프링(2331)을 부착시키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하단을 상기 지지대의 하면부와 상기 가스 압축통(2301) 상단부에 각 고정연결시켜 상기 지지대(24)의 연직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스 스프링 장치(230)를 하부관(20) 밖으로 노출시켜 형성시키고 상기 가스 압축바(2302)에 코일 스프링(2331)을 관통하여 부착하므로서 보행기 사용자가 보행기 사용시에 허벅지 안쪽 부분이 상기 코일 스프링(2331) 등에 마찰이 예상되므로, 도 2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소재로 주름살이 형성되어 신축성이 반복되는 둥그런 형태의 커버(2332)를 상기 코일 스프링(2331)에 씌워 상기 마찰을 최소화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스프링 장치(230)를 하부관(20) 밖으로 노출시켜 부착시킬 경우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관(20) 내부에 노출 장착된 승강 실린더와 동 승강 실린더 내부에 장착되는 스토퍼와 탄성 부재 등을 장착하지 않고 하부관 상하단부를 각 절단시켜 상하절단면에 형성된 베어링 휠 등을 설치하지 아니하므로 보행기 제조에 간편함과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중심축 보강부재
20 : 하부관
30 : 상부관
40 : 중간 연결관
50, 60 : 좌우 팔걸이부
70 : 제1 팔걸이 보강부재
80 : 제2 팔걸이 보강부재
90 : 제3 팔걸이 보강부재
100 : 안전보행기

Claims (34)

  1. 보행자 후방에 위치하여 보행자의 체중을 지지하는 하부관 및 상부관,
    상기 하부관 및 상부관과 좌우 팔걸이부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중간연결관,
    상기 좌우 팔걸이부와 상기 하부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
    상기 팔걸이부와 상기 중간연결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
    상기 하부관과 상기 중간연결관을 연결하여 보강하는 중심축 보강부재,
    상기 하부관 내측에 내장되어 하부관 상.하 단계까지 길게 고정 부착된 중심폴을 관통한 채 부착 된 탄성 및 승강 부재와 연결된 지지대가 상기 하부관 일측에 상.하로 길게 개구되어 형성된 가이드 홀 밖으로 돌출되어 사용자 둔부 사이에 삽입된 채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는 보행자가 사용 중 다리부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절곡되게 하고, 절곡된 하단부에는 주행 휠이 장착된 구동 주행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에는 길이의 연장 또는 축소를 위한 연장봉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봉 상단부와 측면에 접이식 또는 탈.부착형 태양전지판이 선택적으로 부착되며 상기 연장봉의 상면에는 병실 의료용으로 사용 시 의료용 기구 및 링거액이나 링거액 병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링거액 병 걸이대와 레인커버, 보온커버 용 거대기가 연장봉 상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면부와 연결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와 사용자 키를 넘겨 교차 방향으로 상기 중간연결관과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상면부를 연결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의 중간지점 하면부와 상기 하부관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1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굴곡지점에 보조 휠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내측 직선구간에 탄성 및 승강 부재인 승강 실린더와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승강실린더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로드를 제공하는 중심폴이 부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가 상기 중심폴을 관통한 채로 상.하로 이동 시, 상.하단에 부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함께 연결, 고정된 상기 지지대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의 일 측면에는 3~5개의 장공과 1개의 원형공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실린더 내측에 장착된 스토퍼의 스토퍼 봉이 상기 장공이나 원형공에 돌출 및 복원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와 지지대가 상.하로 이동이나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는 주행휠을 구비한 구동주행기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주행기에는 주행휠을 회전시키는 전기모터, 속도를 조절하고 정지시키는 구동제어기, 전기를 충전 및 공급하는 배터리, 일정한 하중이 초과할 경우 작동이 자동 정지되도록 하는 하중감시센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의 상기 승강실린더와 지지대가 승강하는 일정 구간의 상.하단부를 각 절단하여 서로 맞물린 상태의 베어링 휠을 각 설치하여 상기 하부관의 상기 구간과 동 구간에 장착된 상기 승강실린더와 상기 지지대가 함께 좌.우로 60도 회전하는 기능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하면부와 상기 하부관 하단부에 연결된 제1 팔걸이 부강부재에는 본 보행기의 보관이나 운반의 간편함을 위하여 중간지점에 간격이 유지된 위치에 여러 개의 접철 기능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지점 상면부와 상기 중간연결관을 사용자의 키를 넘겨 교차 연결되는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꼭지 부분에는 아래 방향으로만 접철이 가능한 링크가 부착되고,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4개의 각 끝 부분에는 탈,부착 용도의 2개의 가압탄성돌기공이 각 형성되고, 상기 4개의 각 끝 부분과 연결 역할을 하는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간 지점 상면부와 중간 연결관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4개의 연결봉 내측 양면에는 2개의 가압탄성돌기가 각 부착되어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상기 가압탄성 돌기공에 돌출이나 복원되어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를 탈.부착을 위하여 형성된 상기 4개의 연결봉의 내측에 부착된 2개의 가압탄성돌기 사이의 공간에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 형태의 가압탄성돌기의 작동 및 해제 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봉 들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압탄성돌기의 작동 및 해제 장치의 작동버튼의 돌출 공간을 위한 작동버튼 홀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하단부 4개의 끝 부분에 형성된 가압탄성돌기공 외에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측면에 상기 연결봉에 탈.부착 시 작동버튼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않도록 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는 보관이나 이동의 편리함을 위하여 아래 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하게 하는 가운데 부분에 링크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팔걸이부 끝 부분은 상단부 끝 부분이 둥그런 원형의 공간으로 형성된 바퀴달린 지팡이가 탈,부착이 가능한 탄성부재가 내장되어 양단을 압박시 억지 축소되고 놓을시 원 위치되는 기능이 장착되고, 좌.우 팔걸이부 상단부 바깥쪽 각 측면에는 지팡이구가 길게 각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 상단부 안쪽 각 측면에는 쇼핑 바스켓 걸이구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 2개씩 형성되고, 좌.우 팔걸이부 중간부 양쪽 내측에는 어린이 및 영.유아 용 시트걸이구가 각 형성되고, 왼쪽 팔걸이부 바깥쪽에는 의류전용 쇼핑 바스켓 걸이구가 형성되고 오른쪽 팔걸이부 바깥쪽에는 애완동물용 시트 걸이구가 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 연장봉에 부착되는 접이식 태양전지판은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연장봉을 연결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구체와 상기 구체가 피봇되는 케이지와 상기 각 부재들을 연장봉 상면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형성되며, 탈.부착형 태양전지판 연결 바에는 일측에 가압탄성돌기가 부착되고 연장봉 측면에 형성된 태양접지판의 접속 홀 내부에 가압탄성돌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돌출 또는 복원되어 상기 태양전지판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연장과 축소의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봉과 상기 상부관은 상기 중간연결관과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가 내장된 가압탄성돌기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연장봉 하단부 내측에 2개의 가압탄성돌기를 수평으로 각 부착하고 상기 2개의 가압탄성돌기 사이의 공간에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가위 형태의 가압탄성돌기 작동 및 해제 장치가 장착되며 연장봉 측면에 상기 작동 및 해제장치의 작동버튼이 돌출될 수 있는 작동버튼 홀이 가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 하단부와 중단부 각 양 측면에 상기 가압탄성돌기공 및 작동버튼 돌출구를 각 형성시켜 상기 가압탄성돌기가 상기 가압탄성돌기공에 돌출 또는 복원되어 상기 연장봉의 길이를 축소 또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상단부에는 햇빛차단 용 펜스를 설치하고 제2 팔걸이 보강부재의 4개의 프레임 상단부에 4개의 탄성력 있는 로프를 연결시켜 사용자 앞에 설치된 2개의 탄성로프 양 단과 사용자 뒤에 설치된 2개의 탄성로프 양 단을 신축성 있는 탄성밴드의 일단과 타단에 각 연결하여 사용자의 둔부 사이에 상기 탄성밴드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팔걸이부 중 오른쪽 팔걸이부 상단부에는 구동조작기와 브레이크 레버가 장착되며, 상기 구동조작기와 브레이크 레버는 상기 오른쪽 팔걸이부 상단부 상면에 홈 케이싱을 만들어 비사용 시에는 상기 홈 케이싱에 넣고 사용 시에는 일으켜 세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 내측에 장착된 스토퍼는 상기 하부관의 장공이나 원형공에 돌출이나 복원되는 스토퍼 봉, 상기 스토퍼 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상기 스토퍼를 작동하는 작동레버, 상기 스토퍼봉과 상기 작동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쇠줄,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쇠줄의 작동방향을 바꿔주는 회전공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가두고 막아주는 가로막이, 상기 스토퍼 봉이 전진 후퇴할 때 로드를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케이싱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은 사용자와 밀착시켜 접촉면을 넓게 하기 위해 상기 승강실린더와 지지대가 승강하는 일부구간의 사용자와 접촉되는 부분의 원통형의 하부관 수평 단면을 반달형으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실린더와 상기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목 부분을 경우에 따라서 지면으로 향하여 “U”자 형으로 굴곡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에 인입된 채로 승강하는 상기 승강실린더와 연결된 상기 기지대가 상기 하부관에 형성된 원형공에 이르러 정지되었을 경우 상기 하부관 일측에 부착된 보조지지대를 편 후 상기 지지대 양 옆에 밀착시켜 부착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에 부착 된 고정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켜 상기 지지대를 간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의 상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일정구간의 표면과 상기 지지대의 표면을 전기열선 처리하고 상기 중간연결관 내부에 전기 온풍기를 장착하여 동한기 보온커버 사용 시 보온커버 내부에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와 레인커버는 안전상의 목적으로 투명재질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안면부가 위치하는 곳에는 다수개의 공기 소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소통구 위에는 비,눈 가림의 챙을 부착하며, 상기 상부관에 위치하는 연장봉 상단부의 전방 측면과 후방 측면에는 전조등과 보안등이 설치되고, 상기 보온커버와 레인커버의 양측의 한쪽에는 출입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커버와 레인커버 사용 시, 커버 내부에서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에 지팡이 손잡이 부분의 이동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좌.우 팔걸이부 상단부에 팔걸이부 거대기를 설치하여 사용 시에는 윗 쪽으로 세워 사용하고 비사용 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 상.하단에 베어링휠이 설치되고, 상기 배어링휠이 설치된 구간이 죄.우로 60도까지 회전할 경우, 상기 허용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관 양측면에 회전저지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및 탈.부착형의 태양전지판을 연장봉 상단부 앞 측면에 부착할 경우 상기 태양전지판을 이격이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태양전지판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를 받쳐주는 지지막대 받침대가 상기 태양전지판 테두리 양 측면과 연장봉 상단부 측면에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의 연결부재인 구체의 표면에 열십자형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인입된 두 가닥의 와이어가 구체를 각 감싸고 나와 합일되고 합일되어 돌출된 4개의 와이어를 각 2개씩 분리되어 각 다른 방향의 상기 태양전지판 테두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 상면에 설치된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을 태양의 방향에 맞추어 이동,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봉 상면에는 8방향의 턱이 형성되며 상기 접이식 태양전지판은 연장봉 상면에 고정부재 등에 의하여 부착시키고 탈.부착형의 태양전지판은 상기 연장봉 측면에 형성된 접속홀에 상기 태양전지판바를 삽입시켜 접속되며 상기 연장봉 상단부 일정구간의 단면 지름의 크기는 중단부 이하의 단면의 지름 크기보다 더 크게하여 굵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내측 하단부에는 가스를 이용한 탄성부재인 가스스프링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의 가스압축바를 상기 승강실린더에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관 상단부에는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에 부착 연결된 가스압축연장바를 받아들이고 상기 연장바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로드를 제공하는 가스압축연장바 로드관이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면부에서 상기 가스압축연장바 로드관까지 연결, 고정된 상기 가스압축연장바를 관통하여 윗 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코일스프링을 부착시키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면에서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의 가스압축통까지 연결, 고정된 가스 압축바를 관통하여 윗 쪽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는 코일 스프링을 부착시키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하단부와 상단부에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승강실린더와 가스압축바 및 가스압축바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와 가스압축바 및 가스압축연장바와 동시에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 내측에 고정 연결된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의 가스압축바 일단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 가스압력장치가 부착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 가스압력장치와 연결된 높낮이 조절 작동레버가 상기 하부관 측면에 노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스프링장치를 상기 하부관 직선구간 전면 바깥쪽에 노출시켜 별도의 고정받침대와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스스프링장치를 상기 하부관의 하단부에 고정.부착하고, 상기 가스스프링장치의 가스압축바 상단에 사용자의 둔부 밑 양다리 사이에 삽입하고 보행을 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부착, 형성된 등받이를 각각 고정.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와 지지대가 내장된 하부관과 상기 상부관을 중심부에서 연결하는 중간연결관 뒷쪽 가운데 부분에 프로펠러형의 회전체가 부착되어 보행기가 전방 또는 좌.우 방향으로 전진 또는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형의 회전체는 전기모터와 연결되며 철망으로 씌워지고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보행기.
PCT/KR2013/011304 2012-12-07 2013-12-06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WO201408837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859901.4A EP2929866A4 (en) 2012-12-07 2013-12-06 SAFE MULTI-PURPOSE AID WITH SOLAR ENERGY
US14/650,332 US20160030273A1 (en) 2012-12-07 2013-12-06 Multi-purpose solar power safe wal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1686 2012-12-07
KR10-2012-0141686 2012-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372A1 true WO2014088372A1 (ko) 2014-06-12

Family

ID=5088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1304 WO2014088372A1 (ko) 2012-12-07 2013-12-06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30273A1 (ko)
EP (1) EP2929866A4 (ko)
WO (1) WO201408837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00U (ko) 2015-10-06 2017-04-14 한경희 노약자와 환자 전용 전동안전보행기
CN110916988A (zh) * 2019-12-10 2020-03-27 山东建筑大学 一种电动助行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90982A1 (en) * 2014-04-12 2015-10-15 Carlayne Sims Designer tires
US9962249B2 (en) * 2015-07-29 2018-05-08 Sylvan, Inc. Mobility aid for quadrupeds
US11124081B2 (en) 2020-02-10 2021-09-21 Linda Braun Solar charging shopping scooter
CN111419647A (zh) * 2020-04-02 2020-07-17 武汉尚诚源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适应性升降调节的助行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0187A1 (en) * 2007-08-20 2009-02-26 Lamb Karen Y Walker with underarm supports
US20100270771A1 (en) * 2007-10-02 2010-10-28 Tokyo University Of Science Educational Foundation Adminstrative Organization Walking auxiliary equipment
JP2011067227A (ja) *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歩行補助装置
KR20120025916A (ko) 2010-09-08 2012-03-16 한경희 파워 보행기
KR20120098050A (ko) * 2011-02-28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7969A (en) * 1927-02-09 1929-09-10 Harry L Evans Walker
US4249774A (en) * 1979-02-22 1981-02-10 Andreasson Sven A Invalid chair
US4431206A (en) * 1981-07-27 1984-02-14 Pryor John W Wheelchair medical accessory carrier
US4533170A (en) * 1983-07-05 1985-08-06 Banks Joseph R Stroller cover and support frame therefor
US4949740A (en) * 1989-06-01 1990-08-21 Friday Barry J Wheelchair rainware
US5255697A (en) * 1991-10-23 1993-10-26 Working Inc. Walking support apparatus
US5301975A (en) * 1991-12-11 1994-04-12 Eddy Rivera Overhead screen for a wheelchair
US6254116B1 (en) * 1995-06-16 2001-07-03 Thomas S. Szumlic Wheelchair accessory apparatus
US6012756A (en) * 1997-11-20 2000-01-11 Karen Clark-Dickson UV50+protector-pram/stroller/capsule covers
US6125957A (en) * 1998-02-10 2000-10-03 Kauffmann; Ricardo M. Prosthetic apparatus for supporting a user in sitting or standing positions
US6056673A (en) * 1998-05-05 2000-05-02 Arrecis; Marco T. Walking aid
US5975613A (en) * 1998-07-10 1999-11-02 Sippel; Melanie A. Stroller shading device
US6586668B2 (en) * 1999-02-05 2003-07-01 Powerlight Corporation Electric vehicle with photovoltaic roof assembly
US6231016B1 (en) * 1999-06-09 2001-05-15 Beth A. Slone Medical support carrier
US6209611B1 (en) * 2000-02-04 2001-04-03 Wayne Johnson Collapsible cover apparatus
US6378539B1 (en) * 2000-05-02 2002-04-30 Edward Allee Universal wheelchair umbrella and sheath
JP2001321404A (ja) * 2000-05-17 2001-11-20 Kawamura Cycle:Kk 歩行器兼用車椅子
US7029428B2 (en) * 2002-03-21 2006-04-18 Hanson Iii C William Pelvic extension frame
US7017685B2 (en) * 2002-05-22 2006-03-28 Andrew Schoenberg Combination pedal/motor driven tricycle
US6832770B1 (en) * 2002-11-20 2004-12-21 Christine Wright-Ott Child ambulation aid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US20040129306A1 (en) * 2003-01-06 2004-07-08 Jefferson Jocelyn Sabrina Wheelchair/stroller weather cover
US20040216929A1 (en) * 2003-04-30 2004-11-04 Catherine White Solar powered transporter with stabilized speed control and clutch controlled steering
US20060254630A1 (en) * 2005-04-29 2006-11-16 Larry Mulholland Assistive walking device
US8210295B2 (en) * 2005-05-30 2012-07-03 Yoshisuke Kuramoto Electric wheelchair
JP2007244817A (ja) * 2006-03-15 2007-09-27 Tc Lab:Kk 昇降機能を備えた電動車椅子
ITRM20060684A1 (it) * 2006-12-20 2008-06-21 Carmine Tosti Deambulatore con sedile e schienale regolabili
US7935030B1 (en) * 2007-07-11 2011-05-03 Nesbitt Jonathan C Walker apparatus
WO2009117866A1 (zh) * 2008-03-25 2009-10-01 Zhao Tianyun 一种日照角可调的太阳能电动轮椅
US20090288891A1 (en) * 2008-05-20 2009-11-26 Paul Budg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xpandable photovoltaic panel electricity generation
DE112010000770T5 (de) * 2009-01-29 2013-01-24 Honda Motor Co., Ltd. Gehunterstützungseinrichtung
US8215421B2 (en) * 2009-04-02 2012-07-10 David Kurt Schneider Wheelchair safety, power and shade device and method of use
US8151812B2 (en) * 2010-07-02 2012-04-10 Eli Razon Sit down and stand up walker with seat assembly
WO2013006137A1 (en) * 2011-07-04 2013-01-10 Nanyang Polytechnic Walking aid device with foldable seat
US8608183B2 (en) * 2011-11-01 2013-12-17 Kiho Woo Walker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means and alarm
NL2010082C2 (en) * 2012-04-24 2013-11-18 Alink Walker device with sitting assembly.
WO2014018766A1 (en) * 2012-07-25 2014-01-30 Empathium Mobility, Inc Monocoque ambulation aid
SE537198C2 (sv) * 2012-11-22 2015-03-03 Kent Edlund Fordon med drivanordning som kopplas in när föraren sätter sig
US20140276306A1 (en) * 2013-03-15 2014-09-18 Retrainer Inc. Physical therapy support device and harness
US20150296990A1 (en) * 2013-07-12 2015-10-22 Bashir Malik Covered wheelchair
US20150075880A1 (en) * 2013-09-13 2015-03-19 GK Machine, Inc. Electric cart for facilitating the harvesting of berries and other crops
JP5787112B2 (ja) * 2013-11-08 2015-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太陽電池搭載構造
US8944458B1 (en) * 2014-01-05 2015-02-03 Marcio C. Ferez Adjustable walker with sitting assembly
US9610210B2 (en) * 2014-02-27 2017-04-04 Eagle Petroleum, Corp. Walker with adjustable strap
US9278042B2 (en) * 2014-06-03 2016-03-08 Arnie Osterhaus Walking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s
US9795526B2 (en) * 2014-09-02 2017-10-24 Brenda Fay Davis Protective cover for wheelchair user
JP2016059459A (ja) * 2014-09-16 2016-04-25 株式会社東芝 運搬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0187A1 (en) * 2007-08-20 2009-02-26 Lamb Karen Y Walker with underarm supports
US20100270771A1 (en) * 2007-10-02 2010-10-28 Tokyo University Of Science Educational Foundation Adminstrative Organization Walking auxiliary equipment
JP2011067227A (ja) * 2009-09-22 2011-04-07 Waseda Univ 歩行補助装置
KR20120025916A (ko) 2010-09-08 2012-03-16 한경희 파워 보행기
KR20120098050A (ko) * 2011-02-28 2012-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929866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00U (ko) 2015-10-06 2017-04-14 한경희 노약자와 환자 전용 전동안전보행기
CN110916988A (zh) * 2019-12-10 2020-03-27 山东建筑大学 一种电动助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30273A1 (en) 2016-02-04
EP2929866A1 (en) 2015-10-14
EP2929866A4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8372A1 (ko) 다목적 솔라파워 안전 보행기
US5001789A (en) Invalid lift and transport apparatus
US9849048B2 (en) Mobility system including an exoskeleton assembly releasably supported on a wheeled base
WO2017007114A1 (ko)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유아용 웨건
US5112044A (en) Perambulating therapeutic support
US5301975A (en) Overhead screen for a wheelchair
WO2012118263A1 (en) Walking assistance system
WO2001021128A1 (en) A mobility aid
CN109091319A (zh) 一种履带式爬楼轮椅
WO2018017666A1 (en) Multiple terrain mobility device
KR101647623B1 (ko) 접이식 자동 기립형 휠체어
KR101597961B1 (ko) 접이식 가림막을 갖는 휠체어
KR200486215Y1 (ko) 노약자와 환자 전용 전동안전보행기
US10413471B2 (en) Walker device
JPH09285497A (ja) 歩行支援機の体幹支持具係合方法及び装置
CN113384438B (zh) 一种护理用的助行器
CN109662846A (zh) 一种便于攀爬台阶的轮椅
CN108904157A (zh) 一种具有遮挡与如厕清洗功能的轮椅及其使用方法
CN109998803B (zh) 一种自助转移辅助站立的代步装置
CN209236627U (zh) 一种履带式爬楼轮椅
CN209187260U (zh) 一种带有折叠挡雨棚的轮椅
CN211634192U (zh) 一种医疗康复用多功能拐杖
CN109571511B (zh) 一种辅助起立移位机器人
FR2560766A1 (fr) Appareil de locomotion et de reeducation pour handicapes moteur, amputes ou malades de la colonne vertebrale
CN219375376U (zh) 一种康复训练助步多功能拐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99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599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50332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