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1193A1 - 이차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1193A1
WO2014081193A1 PCT/KR2013/010570 KR2013010570W WO2014081193A1 WO 2014081193 A1 WO2014081193 A1 WO 2014081193A1 KR 2013010570 W KR2013010570 W KR 2013010570W WO 2014081193 A1 WO2014081193 A1 WO 20140811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battery
secondary battery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dhesiv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5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공명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7763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14081193(A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646,318 priority Critical patent/US9698398B2/en
Priority to CN201390001068.0U priority patent/CN204905313U/zh
Publication of WO20140811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11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module.
  • secondary batteries are batteries that can be repeatedly used through a revers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that converts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Examples thereof include nickel-cadmium (Ni-Cd) batteries and nickel-hydrogen (Ni-MH) batteries. Batteries, lithium-metal batteries, lithium-ion (Ni-Ion) batteries,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Li-Ion Polymer Batte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PB").
  • the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 electrolyte, and a separator, and stores and generates electricity by using voltag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materials.
  • discharge means to move electrons from a high voltage cathode to a low anode (generates electricity by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anodes), and charge moves electrons from the anode to the cathode again.
  • the anode material receives electrons and lithium ions. To return to the original metal oxide. That is, when the secondary battery is charged, the charging current flows as the metal atoms move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o the negative electrode through the separator, and when discharged, the metal atoms move from the negative electrode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discharge current flows.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classified into a liquid electrolyte battery and a polymer electrolyte battery according to the type of electrolyte.
  • a battery using a liquid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ion battery
  • a battery using a polymer electrolyte is called a lithium polymer battery.
  •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formed in various kinds, and typical types of exterior materials include cylindrical, prismatic, and pouches.
  •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 negative electrode plate, and a separator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is stacked or wound is provided.
  • secondary batterie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energy sources that are widely used in IT products, automobile fields, and energy storage fields.
  • IT product field secondary batteries can be us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re required, and the automotive field demands high power, durability, and stability to solve the explosion risk.
  • Energy storage is to store the surplus power produced by wind, solar power, etc., can be applied to a secondary battery of a more relaxed condition as used as a fixed type.
  •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carbon as a negative electrode instead of lithium metal have been developed, and have been used for more than 500 cycles and short charging times of 1 to 2 hours.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the highest unit cell voltage (3.0 to 3.7V) and excellent energy density among the existing secondary batteries, and may have characteristics optimized for mobile devices.
  • a secondary battery is generally used in the form of a battery module in which at least one unit battery cell is stacked.
  • a separation space is generated due to a decrease in adhesion between unit battery cells or floating between stack surfaces of unit battery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module of a more stable and reliable laminated structure by inserting an adhesive pad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s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t is for.
  •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attery cell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nit battery cells are stacked to be in surface contact, the adhesive pad is formed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 stack surface; may include; .
  • the adhesive pad may be formed of a polymer material.
  • the adhesive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uble-sided tape.
  • a partition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tacked surfaces of the unit battery cells.
  • the adhesive pad may b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of the unit battery cell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unit battery cell, and at least one bubble preventing hol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unit battery cell.
  • the bubble prevention hole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in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ad.
  • a plurality of bubble prevention holes may be formed, and the bubble prevention holes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unit battery cell.
  • the unit battery cell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formed on the same side surface.
  • the driving performance and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device to which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applied can be improved together. hav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hesive pad formed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dhesive pad formed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hesive pad formed between unit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unit battery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a unit battery cell 10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to be in surface contact, and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on a surface. It may include an adhesive pad 20 formed between (13).
  • a secondary battery module is formed by stacking at least one unit battery cell 10.
  •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1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2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each unit battery cell 10 may be stacked to be bonded to each other alternately.
  • the unit battery cell 10 may be composed of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r a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wherein the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is nickel on the positive electrode, hydrogen storage alloy on the negative electrode, As a secondary battery using an alkaline aqueous solution as an electrolyte, since the capacity per unit volume is large,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an energy sour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 vehicle (HEV), and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ergy storage.
  •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r a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 the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is nickel on the positive electrode, hydrogen storage alloy on the negative electrode
  •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used as an energy sour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EV) or a hybrid vehicle (HEV), and may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nergy storage.
  • EV electric vehicle
  • HEV hybrid vehicle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uses a metal oxide such as LiCoO 2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 carbon material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to place a porous polymer separator between a cathode and an anode, and a non-aqueous electrolyte containing lithium salt such as LiPF 6 . It is prepared by putting. During charging, lithium 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released and inserted into the carbon layer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during discharging, lithium ions of the carbon layer are released and inserted in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lithium ions are mov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Serves as a medium.
  • a metal oxide such as LiCoO 2
  • a carbon material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 the unit battery cell 10 may be formed of a pouch type battery or a square battery includ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pouch case surrounding and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 the pouch type case can be used to insulate the surface on a metallic thin plate, such as aluminum thin plate, the insulating treatment is applied to form a heat-sealing layer of modified polypropylene, for example, CPP (Casted Polypropylene)
  • a resin material such as nylon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may be formed.
  • This structure is described as an embodiment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structure can be selected and applied by appropriate chang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form and type of the battery.
  • At least one unit battery cell 10 is stacked to form a battery module 1
  •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module is formed by stacking at least one unit battery cell 10.
  • it may be formed of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wide width and length.
  • the first electrode part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12 constituting the electrode terminal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cell 10 protrudes from one side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rrangement of the (11)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12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10 is formed of course.
  •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in a pouch-type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 the adhesive pad 20 may be formed to be closely coupled between at least one stacked unit battery cell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may be degraded due to inflow of external air, or fire or explosion may occur. have. Therefore, the adhesive pads 20 are formed between the stacking surfaces 13 of the unit battery cells 10 when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and the stacking surfaces 13 facing each other. The adhesion between the bonds can be improved.
  • the adhesive pad 20 may maintain a more stable close bond by pressing the laminated surface 13 of the unit battery cell 10 with a constant force using a flexible material made of a polymer material.
  • the adhesive pad 20 may further improve the reliability of adhesion of the unit battery cell 10 by using a double-sided adhesive tape.
  • the adhesive pad 20 not only enhances adhesive strength by improving adhesion between the laminated surfaces 13 of the unit battery cells 10, but also fine spaces between the laminated surfaces 13 to which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bonded. By not generat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ignition or explosion of the secondary battery module 1 due to inflow of external air.
  • the adhesive pad 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roperty of the elastic material, as well as using a single adhesive pad 20, it is possible to use the double-sided adhesive tape and the pad of the polymer material at the same time Of course.
  • At least one bubble preventing hole 21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pad 20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formed.
  • the bubble prevention hole 21 may be formed in a linear direction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er end of the adhesive pad 20, the shape and arrangemen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bubble prevention holes 21 may be formed in a suitable number of ranges so as to be closely coupled between the stacking surfaces 13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s 10 that are stacked and coupled.
  • a separate partition member 30 is further included to align accurate stack alignment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unit battery cells 10. can do.
  • the partition member 30 is disposed between the stacking surfaces 13 of the unit battery cells 10 so that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placed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the stacking surfaces 13 when stacked. It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stacking position to match.
  • the partition member 30 has a hollow portion 32 formed therein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portion 31 is formed in a square shape, which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nit battery cell 10.
  • the adhesive pad 20 may be formed together with the partition member 30, and the adhesive pad 20 may be a unit battery cell of the hollow part 32 except for the outer edge portion 31 of the partition member 30. 10 may be formed on the laminated surface 13 bonded to each other. Since the adhesive pad 20 is to prevent the separate space between the unit battery cells 10 when the unit battery cells 10 are stacked, the entire unit battery cells 10 including the partition member 30 are stacked. It would be appropriate to select and apply a material that is flexible so as to be tightly coupled to the face 13.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은, 단위전지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전지셀은 면접촉 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단위전지셀이 적층면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 모듈의 각 단위전지셀간의 밀착성을 높여, 단위전지셀간에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 스파크 또는 기타 전기적 단락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모듈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1월 20일 출원된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10-2012-0131733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 문헌의 내용은 참조를 위해 본 발명에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며, 그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금속 전지, 리튬-이온(Ni-Ion)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Battery, 이하 "LIPB"라 함) 등이 있다.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양극 및 음극 소재의 전압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저장 및 발생시킨다. 여기서, 방전이란 전압이 높은 음극에서 낮은 양극으로 전자를 이동시키는 것이며(양극의 전압 차이만큼 전기를 발생), 충전이란 전자를 다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때 양극물질은 전자와 리튬이온을 받아들여 원래의 금속산화물로 복귀하게 된다. 즉, 이차전지는 충전될 때 금속 원자가 분리막을 통하여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충전 전류가 흐르게 되고, 반대로 방전될 때 금속 원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며 방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일반적으로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전지라 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는 여러가지 종류로 형성될 수 있고, 대표적인 외장재의 종류는 원통형(Cylindrical), 각형(Prismatic), 파우치(Pouch) 등이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의 외장재 내부에는 양극판, 음극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세퍼레이터, Separator)가 적층되거나 권취된 전극조립체가 구비된다.
최근 이차전지는 IT제품, 자동차분야 및 에너지 저장분야 등에서 널리 사용됨으로써 각광받는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IT제품 분야에서 이차전지는 장시간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자동차 분야에서는 고출력, 내구성 및 폭발위험을 해소하기 위한 안정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분야는 풍력,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한 잉여전력을 저장하는 것으로, 고정형으로 사용됨에 따라 보다 완화된 조건의 이차전지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1970년대 초부터 연구개발이 진행되었고, 1990년 리튬금속 대신 탄소를 음극으로 이용한 리튬 이온전지가 개발되면서 실용화되었으며, 500회 이상의 사이클 수명과 1 내지 2시간의 짧은 충전시간을 특징으로 하여 이차전지 중 가장 판매 신장률이 높고 니켈-수소 전지에 비해서 30 내지 40% 정도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현존하는 이차전지 중 단위전지 전압(3.0 내지 3.7V)이 가장 높고 에너지밀도가 우수하여, 이동기기에 최적화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이차전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셀을 적층한 전지모듈 형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적층과정에서 단위전지셀간의 접착력의 저하 또는 단위전지셀의 적층면 사이가 들뜸으로 이격공간이 발생되어 단위전지셀간의 스파크 등이 발생되 발화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적층된 이차전지 모듈의 전기적 신뢰성 또는 적용된 디바이스의 구동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차전지 모듈을 이루는 단위전지셀 사이에 접착패드를 삽입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적층구조의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은, 단위전지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전지셀은 면접촉 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단위전지셀이 적층면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패드는 폴리머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패드는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셀의 적층면 사이에는 파티션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패드는 상기 단위전지셀의 적층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전지셀에 밀착결합되며, 단위전지셀에 결합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포방지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방지홀은 상기 접착패드의 길이방향의 선형으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방지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기포방지홀은 상기 단위전지셀의 접촉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전지셀은 일측면에 제1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이격되어 동일 측면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 모듈을 이루도록 적층된 단위전지셀간의 접착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차전지 모듈의 각 단위전지셀간의 밀착성을 높여, 단위전지셀간에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 스파크 또는 기타 전기적 단락등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된 단위전지셀 사이에 외부 공기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이차전지 모듈의 발화 또는 폭발의 위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차전지 모듈의 적층된 각 단위전지셀간의 접착의 정밀도를 높이고, 단위전지셀간의 틈새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이차전지 모듈이 적용된 디바이스의 구동 성능 및 작동 신뢰성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 사이에 형성된 접착패드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 사이에 형성된 접착패드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 사이에 형성된 접착패드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 사이에 형성된 접착패드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1)은, 단위전지셀(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전지셀(10)은 면접촉 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단위전지셀(10)이 적층면(13)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패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각 단위전지셀(1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1 전극단자(11)와 제2 전극단자(12)가 서로 교호되도록 접합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전지셀(10)은 충방전이 가능한 리튬이차전지 또는 니켈-수소 이차전지 등의 이차전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니켈-수소 이차전지는 양극에 니켈, 음극에 수소흡장합금, 전해질로 알카리 수용액을 사용한 이차전지로서 단위부피당 용량이 크므로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자동차(HEV)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용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리튬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을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과 음극활물질로 탄소 재료 등을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에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위치시키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함유한 비수성 전해액을 넣어서 제조된다. 충전시에 양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음극의 탄소 층으로 삽입되고, 방전시에는 탄소 층의 리튬이온이 방출되어 양극 활물질로 삽입되며, 비수성 전해액은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는 매질의 역할을 한다.
단위전지셀(10)은 전극조립체와 전극조립체를 감싸서 밀봉하는 파우치케이스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 또는 각형 전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파우치형 케이스는 알루미늄 박판과 같은 금속질 박판에 그 표면을 절연처리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절연처리는 폴리머수지인 변성 폴리프로필렌, 예를 들어, CPP(Casted Polypropylene)가 열융착층을 이루며 도포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수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구조는 리튬이차전지의 일실시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이러한 구조는 전지의 형태 및 종류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변경하여 선택,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전지셀(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전지모듈(1)을 이루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이차전지 모듈(1)의 콤팩트화를 이루기 위해 얇은 두께와 넓은 폭 및 길이를 가진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단자를 이루는 제1 전극부(11)와 제2 전극부(12)가 전지셀(10) 일측면상에 돌출되어 상호 이격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전극부(11) 및 제2 전극부(12)의 배치는 전지셀(10)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상호 반대측면에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알루미늄 라이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패드(20)는 이차전지 모듈(1)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층된 단위전지셀(10) 사이에 밀착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위전지셀(10)의 적층면(13) 사이에 이격공간 등의 미세한 틈이 생기는 경우에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이차전지 모듈(1)의 작동성능이 떨어지거나, 발화 또는 폭발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착패드(20)는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될 때, 단위전지셀(10)의 각 적층면(13) 사이에 형성되어, 단위전지셀(10) 상호간 마주보는 적층면(13)간의 결합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패드(20)는 폴리머 재질의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단위전지셀(10)의 적층면(13)을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여 결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밀착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패드(20)는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함으로써, 단위전지셀(10)의 접착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패드(20)는 단위전지셀(10)의 적층면(13) 사이의 접착성을 향상시켜 접착력을 강화할 뿐 아니라, 단위전지셀(10)이 접착되는 적층면(13)간의 미세한 이격공간도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 유입 등으로 의한 이차전지 모듈(1)의 발화나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패드(20)는 탄성재질의 접착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일의 접착패드(20)를 이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양면접착테이프와 폴리머재질의 패드를 동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패드(20)는 단위전지셀(10) 사이에 접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된 공기로 인해 접착되는 각 적층면(13) 사이에 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패드(20)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포방지홀(21)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기포방지홀(21)은 접착패드(20)의 외측단으로부터 일정길이의 내측방향의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 및 배치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적층 결합되는 단위전지셀(10) 사이의 적층면(13)간에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기포방지홀(21)은 적절한 범위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될 때, 단위전지셀(10)의 적층방향으로의 정확한 적층 얼라인(Align)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파티션부재(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부재(30)는 단위전지셀(10)의 적층면(13) 사이에 배치되어, 단위전지셀(10)이 적층시에 정확한 방향과 적층면(13)에 일치되도록 적층위치의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파티션부재(30)는 내부에 중공부(32)가 형성되고 외측둘레 테두리부(31)가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나, 이는 단위전지셀(10)의 모양에 따라 적절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때, 파티션부재(30)와 함께 접착패드(20)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패드(20)는 파티션부재(30)의 외측 테두리부(31)를 제외한 중공부(32)의 단위전지셀(10)이 서로 접착되는 적층면(13)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패드(20)는 단위전지셀(10)이 적층될 때, 단위전지셀(10) 사이의 별도 공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파티션부재(30)를 포함한 전체 단위전지셀(10) 적층면(13)에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재질의 유연성이 있는 것을 선택,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이차전지 모듈
10: 단위전지셀
11: 제1 전극단자
12: 제2 전극단자
13: 적층면
20: 접착패드
21: 기포방지홀
30: 파티션부재
31: 테두리부
32: 중공부

Claims (8)

  1. 단위전지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전지셀은 면접촉 하도록 적층되고, 상기 단위전지셀이 적층면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패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패드는 폴리머재질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패드는 양면테이프인 이차전지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셀의 적층면 사이에는 파티션부재가 더 포함되는 이차전지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패드는 상기 단위전지셀의 적층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위전지셀에 밀착결합되며, 단위전지셀에 결합되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포방지홀이 더 형성되는 이차전지 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포방지홀은 상기 접착패드의 길이방향의 선형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이차전지 모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포방지홀은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기포방지홀은 상기 단위전지셀의 접촉면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차전지 모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셀은 일측면에 제1 전극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이격되어 동일 측면상에 형성되는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PCT/KR2013/010570 2012-11-20 2013-11-20 이차전지 모듈 WO201408119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46,318 US9698398B2 (en) 2012-11-20 2013-11-20 Secondary battery module
CN201390001068.0U CN204905313U (zh) 2012-11-20 2013-11-20 二次电池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733A KR20140064418A (ko) 2012-11-20 2012-11-20 이차전지 모듈
KR10-2012-0131733 2012-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193A1 true WO2014081193A1 (ko) 2014-05-30

Family

ID=5077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570 WO2014081193A1 (ko) 2012-11-20 2013-11-20 이차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8398B2 (ko)
KR (1) KR20140064418A (ko)
CN (1) CN204905313U (ko)
WO (1) WO2014081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82009B1 (en) 2003-10-03 2014-03-05 Boston Scientific Limited, an Irish company Systems for a delivering a medical implant to an anatomical location in a patient
US8439820B2 (en) 2004-05-06 2013-05-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ling delivery and placement
KR101690573B1 (ko) 2014-08-29 2016-12-2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의 가요성 케이스에 부착되기 위한 라벨, 이 라벨이 부착된 리튬 이차전지 및 이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US10403869B2 (en) 2015-04-13 2019-09-03 Cps Technology Holdings, Llc Adhesive tape for position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KR102308635B1 (ko) * 2015-04-17 2021-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FR3048129B1 (fr) * 2016-02-18 2020-04-17 Saft Systeme de compensation du gonflement d'elements electrochimiques
KR102446772B1 (ko) 2017-10-13 2022-09-2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안전 장치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102445835B1 (ko) 2017-10-13 2022-09-20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소화 장치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102424274B1 (ko) 2017-10-23 2022-07-22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열차단 기능을 구비한 전지 모듈
US20210043981A1 (en) * 2018-03-30 2021-02-11 Envision Aesc Japan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KR102129094B1 (ko) * 2018-06-29 2020-07-01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차량용 배터리 모듈
US11936074B2 (en) 2018-08-22 2024-03-19 Alumapower Corporation Rapid electrolyte replenishment system for aerial drones
WO2020039254A1 (en) 2018-08-22 2020-02-27 Alumapower Corporation Metal air battery device
KR102464825B1 (ko) * 2019-10-10 2022-11-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058143A (ko) * 2019-11-13 2021-05-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98575B1 (ko) * 2019-11-13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26400A (ko) * 2020-04-10 2021-10-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KR20220100430A (ko) * 2021-01-08 2022-07-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발포층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220101507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팽창완화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178A (ja) * 2002-08-01 2004-03-04 Nissan Motor Co Ltd 電池集合体
JP2006172994A (ja) * 2004-12-17 2006-06-29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20070096148A (ko) * 2006-03-21 2007-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사이에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JP2008091206A (ja) * 2006-10-02 2008-04-17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
KR20110107528A (ko) * 2010-03-25 2011-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속적인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팩 보호용 라벨 및 이를 이용한 전지팩의 라벨 접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1118B2 (ja) * 1999-02-15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移動体搭載用バッテリ装置
JP5011678B2 (ja) * 2005-08-12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WO2007043392A1 (ja) * 2005-10-03 2009-04-16 Tdkラムダ株式会社 電池パック
WO2011027683A1 (ja) * 2009-09-03 2011-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扁平巻回形電力貯蔵デバイスセルおよび扁平巻回形電力貯蔵デバイス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178A (ja) * 2002-08-01 2004-03-04 Nissan Motor Co Ltd 電池集合体
JP2006172994A (ja) * 2004-12-17 2006-06-29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20070096148A (ko) * 2006-03-21 2007-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사이에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전지모듈
JP2008091206A (ja) * 2006-10-02 2008-04-17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車両
KR20110107528A (ko) * 2010-03-25 2011-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속적인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지팩 보호용 라벨 및 이를 이용한 전지팩의 라벨 접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03425A1 (en) 2015-10-22
US9698398B2 (en) 2017-07-04
KR20140064418A (ko) 2014-05-28
CN204905313U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1193A1 (ko) 이차전지 모듈
KR101057869B1 (ko) 조전지,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조전지를 구비한 차량
WO2014077578A1 (ko) 전지모듈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WO2014148858A1 (ko)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이차전지
WO2011115464A2 (ko) 파우치형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14104728A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해 실링 마진을 가진 파우치형 이차 전지
WO2017061746A1 (ko) 전지 모듈
EP2779269A1 (en) Battery cell having a novel structure
WO2017217641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자동차
WO2014017864A1 (ko) 이차전지
WO2014030910A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4314B1 (ko) 이차전지
WO2018093038A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13065942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60032930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00043402A (ko) 배터리 단자 용 리드 탭
KR102117076B1 (ko)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CN111630699B (zh) 二次电池
KR20160051132A (ko) 이차 전지
KR20160144325A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EP3671941A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130090262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0056376A (ko) 이차전지 모듈
KR20190082180A (ko) 이차전지 모듈
WO2014010872A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6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646318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63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