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73857A1 - 공기분출 신발 - Google Patents

공기분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73857A1
WO2014073857A1 PCT/KR2013/010023 KR2013010023W WO2014073857A1 WO 2014073857 A1 WO2014073857 A1 WO 2014073857A1 KR 2013010023 W KR2013010023 W KR 2013010023W WO 2014073857 A1 WO2014073857 A1 WO 20140738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insole
sheet
sho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00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송춘근
Original Assignee
Song Choon-Ke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ong Choon-Keun filed Critical Song Choon-Keu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3427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58385A/ko
Publication of WO20140738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73857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Definitions

  • the prior art has a small amount of air that is ejected from the foot area through a single air hose installed at the foot area. Air is not ejected when compressed to 3 ⁇ 4.
  • Air is not ejected when compressed to 3 ⁇ 4.
  • paint may develop when walking, and the air flow paths formed convexly on the insole may not be restored when used only a few times.
  • air passages are blocked, which means that 3 ⁇ 43 ⁇ 4 of the air from the air pump is not ejected to the toes.
  • 3 ⁇ 4 also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only delivers air and air to the foot. .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flow of rain during rain by squeezing the air inlet into the shoe, and not only allows the air to be ejected to the toe part even if any part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ole is pressed, and more than 3 ⁇ 4 of the air is ejected To enjoy a comfortable fit.
  • the air flow path that delivers 3 ⁇ 43 ⁇ 4 of air from the pump to the toe, the air flow path is maintained at the closed air pump by allowing the air flow path to maintain the same restoring force as the air pump as long as the air pump maintains the restoring force. the can as air to naked overcome point that can not be delivered to rigs "region.
  • the air flow path was constructed in a form that could be compressed and restored so that the air flow could be expanded along with the air flow to the soles of the feet.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ir flow paths to support air pumps or air pumps. However, the air chamber becomes jjeo is to to mitigate the issues which are difficult to restore.
  • the air contained in the air whip is ejected to the foot area through the air passage when the insole is compressed, and the air contained in the air whip is blown out through the air inlet formed at the top of the air whip.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ir spreads and a plurality of air chambers throughout the shoe insole, or installing only one or two air fans over the entire shoe sole without the air pump. It is done.
  • this air flow path also has the ability to support a plurality of air pumps and a plurality of air chambers, so as to alleviate the idea that a plurality of air pumps or a plurality of air chambers are not crush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an be.
  • the air flow path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bumps and the plurality of air chambers, so that the air flow is blocked only when the resilience of the air pump and the air shaft is maintained (the Korean Patent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2003901210000).
  • the air passage is constructed in a manner that is compressed and restored, the air pump has a function of air pump 3 ⁇ 4, so that the ejected air volume can be obtained even more.
  • 2003901210000 installs one air shaft at the back of the foot and creates convex flaws in the shoe insole to deliver the air from the air spread to the toes. It is a method of forming an air flow path,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vel and advanced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present invention by merely constituting a plurality of air pumps based on the prior art. can do.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different from the prior art in that the air is ejected to the part of the foot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shoe insole is compressed by the sole.
  • an air flow path having a function of delivering 3 ⁇ 43 ⁇ 4 air from the plurality of air pumps to the toes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pumps and the plurality of air shafts, and an air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chambers.
  • the air passage such as (Korean Patent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2003901210000), and the amount of ejected air is also increased by 3/4 month, and the air is ejected to the toe area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insole is pressed. It has different features.
  • the amount of air blown out to the toe is more than half of that of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Patent Office No. 10-1082518), and any part of the insole is compressed to the toe part.
  • Another feature is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10-1082518) in that air is blown out. (Prototype made)
  • the existing flexible insole can be used as it is to configure the air shaft or the air chamber.
  • an insole consisting of an air pump or air chamber filled with a porous cushion body to discharge air when compressed, rather than forming an air pump or an air shaft by using the existing insole as it is, the conventional insole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3 ⁇ 4 water of rainy weather that can occur in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1004628090000) by the pressure of the air inlet and outlet through the same air inlet and do not put a separate air inlet for inlet air It eliminated concerns about inflow.
  •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risk of odor caused by the convex configuration of the air inlet portion, which is 3 ⁇ 4 through the air outlet.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larger amount of air to be ejected to the toe area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front, rear, left, or right sides of the shoe is increased. In rainy weather, 3 ⁇ 4 water inflow is not concerned and 3 ⁇ 4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inlet.
  • the air inflator or the air chamber is configured by using the existing general insole,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the air expand or the air chamber having a separate material from the existing general insole. You can enjoy the tin and strength of the existing general insoles, as well as the restoring force of the air hose and the air chamber, so that the air blower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 Air chamber 12 air pump.
  • 13 Air passage. 11a and 13a: air inlet [Degrees lb]
  • FIG. 2A Detailed cross section view of FIG. 2A
  • a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insole, and only a lower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ole.
  • the upper part of this insole covers the sheet 25.
  • 21-1 Humb to form an air chamber.
  • 22-1 Groove for constituting the air pump 23—1: Hum for constructing the air passage.
  • 24. Holes for sweeping air from the air hose into the air passage
  • 3b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 21-2 Only the lower part for forming the air chamber.
  • 22-2 Lower part only for constructing the air dump.
  • 3A and 3B is a cross-sectional detail view of the air inflator section of the completed insole combined
  • 3e] 3a and 3t> is a cross-sectional detail view of the air pump portion of the insole completed by combining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air pump is added
  • the upper part of this insole covers the sheet 25-1.
  • FIG. 4D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 FIG.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pump to be additionally installed under
  • 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leted state combined with each other.
  • a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one air chamber 31.
  • an air shaft is added as compared to FIG. 5A.
  • Added air pump 31— la Air inlet of the added air 37: A portion of the air pump (31) that is concavely compressed. This may further form an air pump.
  • Resilient material (46). The lower part of the grooved insole is covered and glued, and only the lower part is bonded 1–2).
  • 6b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up.
  • the sheet is glu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groove, and then the lower part (41-2) is convexly installed under the sheet.
  • FIG. 1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air chamber is added as compared with FIG.
  • FIG. 7B A perspective view of FIG. 7B.
  • the sheet is glued to the underside of the insole humb, and only the bottom (41-2. 241-2) is convex under the seat.
  • FIG. 8C A perspective view of a resilient, thin, thin sheet is glued and covered on top of the insole (FIG. 8C) where the humb 51-1 is formed, and only the image 51-2 is adhered thereon.
  • Air is blown to 51a through this air outlet 3 ⁇ 4 with a sheet having an air outlet 54 formed therein.
  • FIG. 8D Perspective view of the insole in which the humb 51-1 is formed
  • FIGS. 8A and 8B (Sheet 56), and FIGS. 8C and 8E are completed cross-sectional views.
  • FIGS. 8A and 8B (sheet 57), and FIGS. 8C and 8E are completed cross-sectional views.
  • FIG. 1 Perspective view of an invention in which an air shaft is formed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insole and the seat by dividing only the existing elastic insole and the seat covering the insole
  • FIG. 9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air chamber of FIG. 9 is installed only in the first half
  • An air inlet 71a is formed through the insole as a perspective view of an existing general insole 75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 a humb 75-1 may be formed and a lower half 75-2 may be installed so that only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75-1. 10B.
  • FIG.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lever 71 fabricated separately from the insole of FIG. 10A. It is glu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75. The air of this air chamber is blown through the air inlet 74 into the air chamber 71a of the three-window. If only the lower part (75-2) is installed, a life preserver (71-1) is formed so that only the lower part can enter the space of the air chamber.
  • the air vent of FIG. 10C may be formed by forming an air inlet in an existing general insole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covering the upper part with the insole. In this case, the hole 71-1 or the air entrance 74 cannot be formed.
  • FIG. 10A and 10C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the completed state [FIG. 10E]
  • Figure 10a and 10c is a case where only the bottom (75-2) is added to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leted appearance is combined. 11A
  • FIG. 8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some component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insole (85) made of strong material, through which the hump (85 ⁇ 4) is formed.
  • a hump (85-1) is formed through the insole.
  • FIG. 11A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ole of FIG. 11A. If soil (85-1) is formed through the 3 ⁇ 4 window, the bottom part (85-2) is installed in a protruding form. A strong thin braid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umb (85-1) and the upper part (85-2).
  • 1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hamber 81 manufactured with the insole ⁇ separate unit. It is glu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85. This air chamber is formed in the form 81-2 in which the air inlet 81a part was lifted. This protru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85-4) of the insole.
  • the hole 81-1 is formed so that only the lower portion can penetrate the space of the air tank 81.
  • 11a and 11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pleted state combin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the air pump and the air chamber, but a plurality of air 3 ⁇ 4 is installed in the foot area, except for the toe area where a plurality of air 3 ⁇ 4 (11)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being pumped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air pumps (12)
  • Air passages (13) ar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air pumps and the plurality of air shafts so that the air contained in the plurality of air pumps can be delivered to the cockpit when compressed. Puts (13a)
  • holes 14 are formed in the portions where the air shaft and the air passages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 air ejected from the plurality of air pumps flows into the air passages.
  • the air passage is configured to have self-resilience in one embodiment.
  • the plurality of air pumps and the plurality of air shafts are also configured to have their own restoring force.
  • the plurality of air spreads, the plurality of air chambers and the air flow passages are made of a non-breathable material and have self-resilience.
  • the air pump, the air chamber, and the air flow passage may be filled with a porous cushion body.
  • the air pump and the air chamber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lamp as shown in Figure la,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ure 2a.
  • the lower half (21 -2.22-2.23-2)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existing general insole made of elastic material is located underneath the humb,
  • the lower half of this lower half is connected by the resilient hoses (21— 3. 22-3. 23— 3), blocking the bottom of the humb (21), air hose (22), and air passage (23).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Air from the air pump runs through the holes 24 to the air passage.
  •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21-2.22-2.23-2) has a humb (21-2.22-1).
  • Compression and restoring force can be maintained well even when worn for a long time.
  • the lower half of the insole when landing, the lower half of the insole is pushed into the insole, so the lower half of the insole is the same or similar in thickness to the insole, so it is level with the insole so that the foreign body does not slow down and there is a lot of stress on the bottom of the foot.
  • the impact absorption is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insoles.
  • this embodiment can be maximized when the air blowing effect when the additional air chamber (Fig. 4d) is installed have.
  • the reinforcing air thorber is provided with a strong insole made of air thorber 21, an air pump 22, and an air flow passage 23 on a flat sheet of a non-breathable material, and the bottom of the seat is folded by folding the edge of the seat. It is a device to put air between the lower half attached to the insole. If an additional air vent is installed, the bottom air chamber (21 -2.22-2.23-2) will be pushed to the insole and the air chamber will be compressed to make the air pump. When it was released from the insole,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was pushed into the hump, and when it was pulled out, it was restored by the resilience of the reinforcement base of the reinforcement air.
  • the air from the replenishing air vents is blown through the openings 7b and 7c in the insole to the air inlets 221a. 221-la formed in the non-breathable sheet 251 1 covering the insole.
  • This heavy air lever can be installed with an additional forefoot chamber (221-1) at the front of the foot to prevent air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tip of the foot when the front of the foot touches the ground.
  • Air in the air chamber 221 of the tooth is moved through the space 221-4 through which the forefoot chamber 221-1 can be spaced to the front of the forefoot fan and through the hole 7b formed in the 3 ⁇ 4 window. It blows off to the air outlet 221a formed in the air permeable sheet 25-1.
  • the forefoot air chamber passes through the bulkhead (221-2) with the booster air pump, and the bulkhead prevents air from leaking out through the lower part (23-2) of the air passage (221-2). It adheres to the side of the lower bay so that the air in the forefoot fan is blown out through the air inlet (221-la) via 7c separately from the booster air pump.
  • inventions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air chambers as a whole insole (Fig. 5a. Fig. 5b). In this case, the air flow path will not be closed.
  • the air outlet 31a of one air valve 31 and the air outlet 31-la of the other air valve 31-1 are configured.
  • the air valve (31) can be crimped (37) to form a single top air valve (31 ⁇ 1).
  • the air chamber may be made of a porous cushioning body in which a non-breathable membrane is enclosed in order to have self-resilience, and may have a convex portion 36 to reinforce the resilience of the air chamber.
  • Tin through the existing general insole made of a strong material, largely digging one humb (41-1) (Fig. 6b) and covered it with a non-breathable sheet (45) formed with an air inlet (41a),
  • Tin The undercarriage (41-2), which is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and thickness as the existing general insole made of strong material,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Nanhum on the insole,
  • the lower half is connected by a resilient 3 ⁇ 4 silver string (41-3) to block the bottom of the groove to form one air sever (41) throughout the insole.
  • an additional forefoot air chamber 241 may be installed to configure two air chambers throughout the rear window. It may be.
  • the humb (241 -1) for forming a forefoot chamber (241>) Digging in addition to the digging of one humb (41-1) to form an air chamber (41) into an existing general 3 ⁇ 4 window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the humb (241 -1) for forming a forefoot chamber (241>) Digging
  • the lower part for forming the forefoot valve is included.
  • An example of connecting only the lower part with a braided string is an example of covering the underside of the soiled insole with a thin sheet of elastic material (46) and adhering it to the lower half (41-2. 241 ⁇ ). 2) Sheets made of thin material with strong adhesiveness to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soiled insole
  • One air chamber 51 is formed throughout the insole with only an image 51-2 having the same or similar quality and thickness as the existing flexible insole and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humb formed in the insole. In this case, only the image is pushed into the insole and the air is blown out by the insole so that the air is blown out through the hole (54) in the seat to the air inlet (51a).
  • the hole formed in the sheet is formed by cooperating with the air outlet.
  • a seat 55 is placed to block the bottom of the soiled insole (FIG. 8C), which is made of a relatively rigid material that is elastic and thin. Shrinkage of the insole can be prevented by the contraction of the material sheet 56. 57.
  • This second embodiment also has the same effect as the 3 ⁇ 4th embodiment.
  • insole to prevent 3 ⁇ 4 window or sheet from crushing due to the difference in size when laminating
  • a sheet of relatively hard material may be add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sheet.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nsole by installing an air lever of the same or similar size as the insole separately from the insole under the existing general insole made of elastic material. That is, the insole does not have air burr, but the air burr is combined separately from the insole.
  • an air inlet 71a> is formed in the existing general 3 ⁇ 4 window 75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and the insole wave is separately separated from the insole wave.
  • a hole 74 is formed on the air outlet of the insole so that the air of the air shaft is ejected to the air outlet port 713 of the insole.
  • a hum (75-1) is dug through the 3 ⁇ 4 window (75), and at the bottom of the hum is an insole: made of the same or similar material, having a height similar to that of the air buff,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ole of the insole.
  • Insole bottom only (75-2) with a strong front is connected by a string (75-3) to block the bottom of the humb, this insole bottom only (75-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chambe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air chamber Only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is pushed into the groove of the insole, and the lower part of the insole is pulled out and the compressed air jammer is restored by pushing the lower part of the air lever. It was made.
  • the air inlet area protrudes through the peg hump (81-2) and the hump (85-4) in an existing general insole (85) made of strong material. If you insert 2), you can carry out limb limbs without straining the soles of your feet.
  • the air exit in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condition a block 3 ⁇ 4 (41 3. 241a). In this case, 3 ⁇ 4 of the foot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into the air inl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분출 신발 또는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 신발바닥의 전후좌우 어느 부위가 압축이 되든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에 홈을 형성하고, 이 깔창의 상부를 탄력성 있는 얇은 재질의 시트로 덮고 그 위에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과 두께의 상판 (홈의 크기보다 약간 작음)을 덧붙이거나, 홈이 파져있는 깔창의 상부와 상판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 사이에 탄력성 있는 얇은 재질의 시트를 붙여, 착지시 상판이 깔창의 홈으로 밀려들어가 홈을 메꾸도록 하였다. 그리고 탄력성 있는 얇은 시트의 수축력에 의해 깔창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창의 하부에 찌그러짐 방지를 위한 시트를 덧붙였다. 본 발명은 기타 여러 실시 예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 명 세 세
[발명 '의 명¾ ] [Ti tle of invention] 공기분출신발 [기술분야] [Technical Field] 걸을 때 발바닥이 누르는 ¾에 의해 발바닥으로 공기가 분출되는 신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발의 전후좌우 어느 부위가 늘리든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며, 우천시에도 빗몰유입 염려가 없도록 하는 공기분출 신발 또는 신발 깔창에 관한 것 이다.
[배경기술] [Background Art]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은 발두ᅵ꼼치 부위에 설치된 한 개 의 에어 ¾프를 통해 발가칵 부위로 공기가 분출되는데 그쳐 분출되는 공기양이 적을 뿐 아니라 발뒤 ¾치 이외의 부분이 신발을 압착할 때는 공기가 분출되지 ¾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펌프에서 펌 핑된 공기를 발가락 부위로 전달하기 뷔한 공기유통로를 깔창에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걸을 때 아 물감이 생길 수 있으며 , 몇 번만 사용하면 깔창에 볼록하게 형성된 공기유통로가 늘려 복원되지 않 음으로써 공기유통로가 막히게 되어 에어펌프에서 ¾¾된 공기가 발가락 부위로 분출되지 ¾는 단점 이 있다, 또한 이 공기유통로는 오로지 에어 ¾프와 공기를 발가학 부위로 전달하는 기눙을 하는데 그친다.
또 다른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1004628090000)은 신발 외부에 형성된 공 기유입구를 통해 우천시 빗물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제 10-1082518)은 깔창 전체에 걸쳐 에어 출입구를 가진 독립한 공간으로 나 ^어 형성된 에어 ¾버로 구성되며 각 에어 ¾버가 압측시 공기가 분출되는 방식이어서 ,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분산 배출되어버 ¾으로써 ¾과 악취가 가장 ¾ 이 발산되는 발가릭 · 부위로 공기가 집증적으로 분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발가락 부위로 분출되 는 공기양이 적어 퇘적한 착웅감을 누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발가칵 부위 이외의 부분이 신발 을 압착할 때는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되지 ¾는 단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에어출입구로 땀이 훑러들어가 고이게 되어 악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발명의 개시 ] [Disclosure of Invention]
1. 븐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발내부에 공기출입구를 듕으로써 우천시 빗플 유입 우려가 없도록 하며 , 깔창의 전후좌 우 어느 부분이 압측되든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다 ¾은 양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누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에어 펌프에서 ¾¾된 공기를 발가락 부위로 전달하는 공기유통로를 들 경우 에어펌프가 복원력이 유지되 는 한 공기유통로도 에어펌프와 동일하게 복원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통로가 막허 에어펌 프에서 ¾된 공기가 발가릭" 부위로 전달되지 못하는 점을 극복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의 공기유통로가 단순히 에어펌프에서 ¾¾된 공기를 발가칵 부위로 전달하는 기눙에 그치는 점을 극복하기 뮈해 공기유통로를 압축 및 복원이 가눙한 형 태로 구성하여 공기를 펼¾할 수 있는 기눙도 함께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발바닥으 로 분출되는 공기양이 더욱 늘어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유통로가 에어펌프나 에어 ¾버 를 지탱해 주는 기눙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에어펌프나 에어챔버가 쩌그러져 복원이 어려워지는 문 제점을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2. 에어 ¾프에 담긴 공기는 깔창이 압축될 때 공기유통로를 통해 발가칵 부위로 분출되며 , 에어 ¾버에 담긴 공기는 에어 ¾버 상부에 형성된 에어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에 있어서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발깔창 전체에 걸쳐 복수의 에어펼프 및 복수의 에 어챔버를 설치하거나, 에어펌프 없이 신발 ¾창 전체에 걸쳐 하나 또는 두 개의 에어 ¾버만을 설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복수의 에어펌프를 설치할 때에는 에어펌프에서 ¾된 공기를 발 가칵 부위로 전달하기 위한 공기유통로를 두게 되는데 이 공기유통로는 복수의 에어 ¾프와 복수의 에어챔버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 공기유통로는 복수의 에어펌프와 복수의 에어챔버를 지지지하 는 기눙도 가지게 되어 복수의 에어 ¾프나 복수의 에어챔버가 장기간 사용시 전후좌우 방향으로 찌 그러져 복원되지 않는 헌상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이 공기유통로는 복수의 에어범프와 복수 의 에어챔버 사이에 설치되기 때문에 에어펌프와 에어 ¾버의 복원력이 유지됨에도 공기유통만 막히 _ 게 되는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의 문제점이 해소된다. 그리고 이 공기유통로는 압축 및 복원이 가눙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에어펌 ¾기능도 가지게 되어 분출되는 공 기양이 더옥 ½·어나는 효파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의 공기유통로가 단순히 공기유통기눙만을 수행하는 것과는 다른 점이다. 종 래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 )은 발뒤 ¾치 부위에 하나의 에어 ¾프를 설 치하고 이 에어펼프에서 ¾¾된 공기를 발가락 부위로 전달하기 위해 신발깔창에 볼록하게 흠을 만 들어 공기유통로를 형성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방식을 바탕으로 단순히 에어펌프를 복 수로 구성하는떼 그치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점에서 본 발명은 신규 성와 진보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깔창의 어느 부위가 발바닥에 의해 압축이 되든 발가칵 부위로 공기가 분출된다는 점에서도 종래 기술과 다튼 특징이 있다.
한편, 또 다른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저 U0-1082518 )은 신발깔창 전체가 복수의 에어 ¾버만으로 구성되다 보니 ¾과 악취가 집증적으로 발생하는 발가^ 부뮈로 분출되는 공 기양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일 실시 에로 발가락부위에는 복수의 에어챔버를 설치 하고 나머지 부분은 복수의 에어 ¾프를 설치함으로써 에어펌프와 에어 ¾버에 담긴 공기가 모두 발가 칵 부뷔로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펌프에서 ¾¾된 공기를 발가락 부위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기유통로가 복수의 에어 ¾프와 복수의 에어 ¾버 사 이에 설치되는떼, 복수의 에어챔버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통로 부분에 에어출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에 어펼프에서 ¾¾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에어챔버에서 분출되는 공기와 합쳐져 발가락 부위 의 ¾과 악취를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깔창의 어느 부분이 압축이 되든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된다는 점에서도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히 등록번호 제 10-1082518)과 다 른 특징이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깔창 전체에 걸쳐 하나 또는 두 개의 에어 ¾버만을 들 경우 종래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2003901210000)와 같은 공기유통로를 돌 필요가 없어지며 , 분출되는 공기양도 월¾1 늩어나게 되며 깔창의 어느 부분이 압측이 되든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된다는 점 에서 종래의 기술과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일 실시 에는 또 다른 종래 기술 (대한민 국 특히청 특허 둥록번호 제 10— 1082518)에 비해 발가락으로 분출되는 공기양이 월씬 ½·어나게 되며 , 깔창의 어느 부분이 압축이 되는 발가락 부위로 공기가 분출된다는 점에서 또 다른 종래 기술 (대한 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제 10— 1082518):라는 다른 특징을 가지게 된다. (시제품 제작한 것 )
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을 그대로 활웅하여 에어 ¾프나 에어챔버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이 가진 탄력성과 안박한 착웅감 을 그대로 누릴 수 있고 공기분출기눙이 오¾ 기간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그대로 활용하여 에어펌프나 에어 ¾버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압축될 때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내부가 다공성쿠션체로 채워진 에어펌프나 에어챔버로 이루어진 깔창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 인 깔창파는 별개의 제질을 가진 별도의 제작이 필요하여 제작비용의 높아질 뿐 아니라 기존의 일반 적인 깔창이 가진 탄력성과 안칵한 착용감을 그대로 누리기 어렵고, 몇 번의 사웅만으로도 복원력이 헌저히 떨어져 에어펌프나 에어 ¾버의 기눙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공기의 유출입이 동일한 에어출입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외부공기 유입을 위 한 별도의 공기유입구를 두지 압음으로써 또 다른 종래 기술 (대한민국 특허청 특허 등록번호 1004628090000)에서 생길 수 있는 우천시의 ¾물 유입 우려를 해소하였다.
그리고 은 발명은 에어출입구 부위를 볼록하게 구성함으로써 에어출입구를 통해 ¾이 러들 어 고이게 되어 악취가 생길 우려를 최소화 하였다.
3. 걸을 때 발바닥에 의해 늘리는 ¾에 의해 발바닥으로 공기가 분출되는 신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신발의 전후좌우 어느 부위가 늘리든 발가락 부위로 보다 많은 양의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 뙈적한 착용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며 , 우천시에도 ¾물유입 염려가 없으며 에어출입구로 ¾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을 활 용하여 에어 ¾프나 에어챔버를 구성할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과는 별도의 제질을 가진 에어펼프 나 에어챔버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이 줄어들고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이 가진 틴:력성과 안 락감을 그대로 누릴 수 있으며 에어 ¾프와 에어챔버의 복원력도 보다 오래 유지되어 공기분출기눙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도 l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11: 에어챔버 . 12: 에어펌프. 13:공기유통로. 11a와 13a: 에어출입구 [도 lb]
도 la의 평면도 [도 lc]
도 la의 단면
[도 Id]
에어펌프 ( 12)의 상세도
14: 에어 ¾프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로 홀러들어가게 하기위한 구멍
[도 2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이는 평면도.
11: 에어챔버. 12: 에어 ¾프. 13:공기유통로. 11a와 13a: 에어출입구
[도 2b]
도 2a의 단면 상세도
14·· 에어 ¾프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로 흘러들어가게 하기 위해 에어 ¾프와 공기유통로가 맞닿은 곳에 형성된 구멍
[도 3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 구성부분 사시도
25: 시트. 21a와 23a: 에어출입구 [도 3b]
깔창의 사시도로 깔창을 관통하여 홈이 형성되고 훑의 하부에는 하부만이 설치된다. 이 깔창의 상부 는 시트 (25)를 덮는다.
21-1: 에어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훔. 22-1: 에어펌프를 구성하기 위한 홈ᅳ 23— 1 :공기유통로를 구 성하기 위한 훔. 24. 에어 ¾프의 공기를 공기유통로로 훑러들어가게 하기 위한 구멍
[도 3c]
도 3b를 밑에서을려다 본 사시도. 에어챔버와 에어 ¾프 그리고 공기유통로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만 이 볼록하게 튀어 나와 있는 형태.
21-2: 에어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만. 22-2: 에어덤프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만. 23— 2:공기유통 로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반.
[도 3d】
도 3a와 도 3b가 결합되어 완성된 깔창의 에어 ¾버 부분을 절개한 단면 상세도
21 : 에어챔버 23: 공기유통로
[도 3e] 도 3a와 도 3t>가 결합되어 완성된 깔창의 에어펌프 부분을 절개한 단면 상세도
22: 에어 ¾프 [도 4a]
도 3에서 에어펌프가 추가된 발명의 일부 구성부분 사시도
25-1: 시트. 21a, 23a, 221a, 221 -la : 에어출입구
[도 4b]
에어필프가 추가될 경우의 깔창의 사시도로 깔창을 관통하여 훔이 형성되고 홈의 하부에는 하부만이 설치된다. 이 깔창의 상부는 시트 (25-1 )를 덮는다.
7b, 7c: 깔창을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
[도 4c]
도 4b를 밑에서을려다 본 사시도. [도 4d]
도 4 b밑으로 추가 설치될 에어펌프의 사시도
221: 증층에어¾프 221-1 : 전족부에어펌프 221 -2: 증충에어펌프와 전족부에어 ¾프를 구분 짓 는 격벽 221—3: 도 4c의 공기유통로를 형성하는 하부반이 지나가는 자리 221—4: 증충에어펌프 의 공기가 전족부에어 ¾프의 앞쪽으로 훌러같 수 있도록 하는 공간
[도 4e]
4d의 평면도ᅵ
[도 4f]
도 4a와 도 4b, 도 4d가 결합되어 완성된 모습을 을려다 본 사시도 [도 5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사시도로 1개의 에어 »버 (31 )로 이루어져 있다.
31a: 에어출입구
[도 5b]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해당하는 사시도로 도 5a에 비해 에어 ¾버가 추가되어 있다.
31-1: 추가된 에어펌프 31— la: 추가된 에어 의 에어출입구 37: 에어 ¾프(31 )를 오목하게 압 착한 부분. 이로 인해 에어펌프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c]
에어 ¾버 (31. 31 -1 )의 내부 바닥 사시도
36: 볼록부분. 압축된 에어펼프가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하는 기눙을 수행한다. [도 5d]
에어 ¾버의 일부 단면 [도 6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 구성부분 사시도
45: 시트 41a: 에어출입구
[도 6b]
깔창의 사시도로 깔창을 관통하여 1개의 훔 (41-1 )이 파져 있다. 이 깔창의 상부는 시트 (45)를 덮는 다.
[도 6c]
탄력성 있는 재질의 ^은 시트 (46) . 홈이 파져 있는 깔창의 하부를 덮어 접착하게 되며 그 밑으로는 하부만 1— 2)을 접착하게 된다.
[도 6d]
도 6b를 올려다 본 사시도. 깔창 홈의 하부에 시트가 접착되고 이어서 하부만 (41— 2)이 시트 밑으로 볼록게 설치된다.
[도 7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 구성부분 사사도. 도 6에 비해 에어 ¾버가 1개 추가된다.
45-1 : 시트 41a, 241a: 에어출입구 [도 7b]
깔창의 사시도로 깔창을 관통하여 훔이 두 개 (41-1. 241-1 )가 파져 있다. 이 깔창의 상부는 시트 ( 45— 1 )를 덮는다.
[도 7c]
도 7b를 을려다 본 사시도. 깔창 훔의 하부에 시트가 접착되고 이어서 하부만 ( 41— 2. 241 -2)이 시트 밑으로 볼록게 설치된다.
[도 7d]
도 7c의 후반부 단면도
41: 에어챔버
[도 7e]
도 7c의 241-2부분 증 에어출인구 (241a)가 있는 부분의 단면도
41 , 241 : 에어 ¾버 W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 구성부분 사시도
51-2: 상만 51a: 에어출입구 [도 8b]
탄력성 있는 제질의 얇은 시트의 사시도로 훔 ( 51—1 )이 형성된 깔창 (도 8c)의 상부에 접착되어 덮히 고 그 위로 상만 (51-2)이 접착된다.
56: 에어출입구 ( 54)가 형성된 시트로 이 에어출 ¾구를 통해 51a로 공기가 분출된다.
57: 홈이 파져 있는 깔창 (도 8c )의 일부만 덮게 되는 시트로 상만의 가장자리와 홈이 파져 있지 ¾ 은 부분의 깔창에 접착된다.
[도 8c]
훔 ( 51—1 )이 형성된 깔창의 사시도 [도 8d]
도 8a와 도 8b 그리고 도 8c가 결합된 사시도
[도 8e]
도 8c의 하부에 접착되는 시트 ( 55)의 사시도
[도 8f]
도 8a와 도 8b (시트 56) 그리고 도 8c, 도 8e가 결합되어 완성된 단면도
51: 에어챔버 [도 8g]
도 8a와 도 8b (시트 57 ) 그리고 도 8c, 도 8e가 결합되어 완성된 단면도
51: 에어챔버
[도 9a]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과 이 깔창을 덮는 시트만을 이웅해 깔창과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 ¾버를 구성한 발명의 사시도
61a: 에어출입구
[도 ]
도 9a의 에어챔버가 전반부에만 설치된 발명의 사시도
61a: 에어출입구
[도 10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 구성부분 사시도.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 ( 75)의 사시도로 깔창을 관통하여 에어출입구 ( 7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훔 ( 75-1 )을 형성하고 하부반 (75-2)을 설치하여 하부만이 홈 (75-1 )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b]
도 10a와 깔창을 을려다 본사시도. 깔창을 관통하여 훔 (75-1)이 형성될 경우 하부만 (75-2)이 돌출 된 형태로 설치된다. 탄력성 있는 ^은 끈 (75— 3)이 훔 (75— 1)의 하부와 하부만 (75-2)의 상부를 이어 준다.
[도 10c]
도 10a의 깔창과 별개로제작된 에어 ¾버(71)의 사시도. 깔창 (75)의 하부에 접착된다. 이 에어 ¾버 의 공기는 에어출입구 (74)를 통해 ¾창의 에어챔버 (71a)로 분출된다. 하부만 (75-2)이 설치될 경우 하부만이 에어챔버의 공간을관통해 들어갈수 있도록구명 (71— 1)이 형성된다. 도 10c의 에어 ¾버는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에 에어출입구가 형성되고 이 깔창으로 상부가 덮여져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구멍 (71-1)이나에어출입구 (74)는형성될 여지가없다.
[도 10d]
도 10a와도 10c가결합되어 완성된 모습의 사시도 [도 10e]
도 10a와도 10c가결합되어 완성된 모습의 단면으로하부만 (75-2)이 추가설치된 경우이다. [도 11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일부구성부분사시도. ¾력성 있는재질로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 (85)의 사시도로 깔창을관통하여 훔 (85ᅳ 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 추가하여 하부만 (85— 2)을설치 할경우깔창을관통하여 훔 (85-1)이 형성된다. [도 lib]
도 11a의 깔창을 읊려다 본 사시도. ¾창을 관통하여 흙〈85-1)이 형성될 경우하부만 (85-2)이 돌출 된 형태로설치된다. 한력성 있는 얇은꼰이 훔 (85— 1)의 하부와하부만 (85-2)의 상부를이어준다.
[도 11c]
도 11a의 깔창퍄 별기!로 제작된 에어챔버 (81)의 사시도. 깔창 (85)의 하부에 접착된다. 이 에어챔버 는 에어출입구 (81a)부위가 들출된 형태 (81-2)로 형성된다. 이 돌출된 부분은 깔창의 홈 (85— 4)으로 삽입된다.
하부만 (85-2)이 설치될 경우 하부만이 에어 ¾버(81)의 공간을 관통해 들어갈 수 있도록 구멍 (81-1) 이 형성된다.
[도 lid]
도 11a와도 11c가결합되어 완성된 모습의 사시도
[발명의 최선의 실시 에]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본발명의 실시 예를나열한다. 비통기성 재질로 만들어진 에어 ¾프의 내부에 담긴 공기가 깔창이 압축될 때 공기유통로를 통해 발가릭" 부위로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또는 비통기성 제질로 만들어진 에어 ¾버의. 내부에 담긴 공기가 깔창이 압축될 때 에어 »버 상부에 형성된 에어출입구를 통해 분출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신발에 있어서 ,
1. ( 1 ) 본 발명의 일 실시 에로 에어펌프와 에어챔버를 복수로 구성하되 복수의 에어 ¾버는 발가칵 부위에 설치하고, 복수의 에어 ¾버 ( 11 )가 설치된 발가락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전체를 복수의 에어 ¾프( 12)로 구성함으로써 ¾핑되는 공기 양을 늘리고
복수의 에어 ¾프에 담긴 공기가 압축시 발가칵 부위로 전달되어 분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에어펌프 와 복수의 에어 ¾버 사이에 공기유통로 ( 13)를 두고 발가락 부근의 공기유통로에 에어출입구 ( 13a)를 둔다 ·
그리고 복수의 에어펌프에서 분출된 공기가 공기유통로로 흘러를어가도록 하기 위해 각 에 어¾프와 공기유통로가 맞닿은 부분에 구멍 ( 14 )이 형성된다.
공기유통로는 일 실시 에로 자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에어펌프와 복수의 에 어¾버 역시 자체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에어펼프와 복수의 에어챔버 및 공기 유통로는 비통기성 재질로 만들어지며 자체복원력읊 가지는 일 실시 예로 에어펌프와 에어챔버 및 공기유통로는 그 내부가 다공성쿠션체로 채워질 수 있다.
에어펌프와 에어챔버는 도 la와 같은 육각기등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 도 2a와 같은 형태로 제작 될 수도 있다.
(2) 한편 기존의 한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을 활용하여 복수의 에어펼프와 복수의 에어챔 버 및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력성 있는 제잘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에 흠 (21 -1. 22-1. 23-1 )이 파져 있고 그 뷔 * 에어출 ¾구(213. 23a>가 형성된 비통기성 시트 (25 )가 덥고 있으며 ,
단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과 두께의 하부 반 (21 -2. 22-2. 23-2)이 훔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이 하부반이 탄력성 있는 ¾은 (21— 3. 22-3. 23— 3)에 의해 연결되어 훔의 아래쪽을 막아 에어 ¾버 (21 ) , 에어 ¾프( 22) , 공기유통로 (2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펌프의 공기는 구멍 ( 24) 을 통해 공기유통로로 훑러들어 간다.
따라서 착지로 인해 깔창의 하부 만 (21 -2. 22-2. 23— 2)이 깔창에 나 있는 훔 (21— 1. 22-1.
23— 1〉으로 밀려들어 갈 때 훔의 아래쪽에서 깔창의 하부반과 연결되어 있는 한력성 있는 ^은 끈
(21-3. 22-3. 23— 3)이 늘어나게 되고, 걸음을 옮길 때는 놀어난 상태로 있는 얇은 꼰이 한력성에 의 해 빠르게 수축되므로 이 곤^ 연결되어 있는 깔창의 하부 반 역시 원래의 위치로 뮈어 나감으로써 착지 시 압축되었던 에어 ¾버와 에어 ¾프 및 공기유통로가 빠르게 복원되며
장시간 착용 시에도 압축 및 복원력이 잘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지 시 ¾창의 하부 만이 깔창에 나 있는 으로 밀려들어가면, 깔창의 하부 반은 그 두께나 재질이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깔창과 수평을 이루게 되어 이물감이 느꺼지지 않고 발 바닥에 무리가 가지도 ¾게 되며 충격흡수력이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에 비해 떨어지지 ¾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 예는 증층에어챔버 (도 4d)를 추가로 설치할 경우 공기분출 효파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증충에어¾버는 비통기성 재질의 평평한시트 위에 에어 ¾버(21)와 에어펌프 (22), 공기유통 로 (23)로 이루어진 튼 발명의 깔창을 얹고시트의 가장자리를 접어 하부 만이 장착된 본 발명의 깔 창들레에 붙여 를출된 하부반사이에 공기가 담기도록하는 장치이다. 증층에어¾버가추가로설치 될 경우 착지시 하부만 (21 -2. 22-2. 23-2)이 깔창의 훑으로 밀려돌어갈때 증충에어챔버도 압축이 되어 공기 펌핑기눙을하게 되며, 착지상태에서 벗어나면 깔창의 훔으로 밀려들어간하부만이 ¾겨 져 나을때 증충에어¾버도하부만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도록하였다.
증충에어¾버의 공기는 깔창에 형성된 구멍 (7b, 7c)을통해 깔창을덮고 있는 비통기성 시트 (25ᅳ 1)에 형성된에어출입구 (221a. 221— la)로분출된다.
이 중충에어¾버는 발의 앞부분이 지면에 닿을 때 공기가 발두 1꼼치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 앞부분에 전족부에어챔버 (221-1)를 추가설치 할수 있으며, 이 경우발뒤¾치가 착지시 뒤¾치의 증충에어챔버 (221)의 공기는 전족부에어챔버 (221-1)를우희할수 있는공간 (221-4) 을통해 전족부에어 ¾프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¾창에 형성된 구멍 (7b)을 통해 비통기성 시트 (25-1) 에 형성된 에어출입구 (221a)로 분출된다. 전족부에어챔버는 격벽 (221-2)을 통해 증충에어펌프와 나 ^며, 격벽은공기유통로를구성하는하부만 (23— 2)이 지나가는곳 (221-3)으로 공기가유출되지 않도 록하부만의 옆면과접착되며 이에 따라 전족부에어 ¾버의 공기는증충에어¾프와는 별도로 7c를통 해 에어출입구 (221— la)로분출된다.
2. (1) 븐 발명은 깔창 전체가 하나 또는 두 기!의 에어챔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도 5b). 이 경우공기유통로는 두지 ¾게 된다. 두 개의 에어 ¾버로구성될 경우 하나의 에어 ¾버(31) 의 에어출입구 (31a)와 다른 하나의 에어 ¾버(31-1)의 에어출입구 (31-la)로 구성된다. 에어 ¾버(31) 를오목하게 압착 (37)하여 다톱하나의 에어 ¾버(31ᅳ1)를형성할수있다.
(에어출입구는 발가락부위에 집증적으로형성된다 (31a. 31— la).
에어챔버는 자체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는 다공성쿠션체를 비통기성제질의 막이 돌러싼 형태 로제작될 수도있고, 볼록부분 (36)을두어 에어 ¾버의 복원력읊보강해 줄수도 있다. (2) 한편, 기존의 ¾력성 있는 일반적인 ¾창을 ¾용하여 깔창 전체가 하나또는 두개 의 에어 ¾버로구성되도록할수도 있다 (도 6. 도 7. 도 8).
이에 대한실시 예를나열한다.
¾ 번째는
틴;력성 있는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크게 1개의 훔 (41-1)을 파 고 (도 6b) 그위를에어출입구 (41a)가 형성된 비통기성 시트 (45)로덮고,
틴:력성 있는재질로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과동일 또는유사한제질과두께를가지며 깔창 에 난훔의 크기보다 약간작은하부만 (41-2)이 훔의 아래 쪽에 위치하고,
이 하부반이 탄력성 있는 ¾은끈 (41-3)에 의해 연결되어 홈의 아래쪽을막아깔창전체에 걸쳐 1개 의 에어 ¾버(41)를구성하게 된다.
한편, 전족부에어챔버 (241)를 추가 설치하여 ¾창 전체에 걸쳐 두 개의 에어 ¾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¾창에 에어챔버 (41 )를 구성하기 위한 1개의 훔 ( 41— 1 )을 파는 것에 추가하여 전족부에어챔버 (241〉를 구성하기 위한 훔 (241 -1 )을 파고
(도 7b) , 그 위를 에어출입구 (41a. 241a)가 형성된 비통기성 시트 (45-1 )로 덮고,
에어 ¾버를 구성하기 우 1한 하부반 (41-2)이외에 전족부에어 ¾버를 구성하기 위한 하부만
(241— 2)을 설치하고 이 하부만들이 한력성 있는 얇은 끈 (41 -3. 241 -3)에 의해 연결되어 훔의 아래쪽 을 막아 깔창 전체에 걸쳐 2개의 에어 ¾버 (41. 241 )를 구성하게 된다.
하부만을 단력성 있는 ¾은 끈으로 연결하는 일 실시 예로 흙이 난 깔창의 아래쪽을 탄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 "어진 얇은 시트 (46)로 덮어 접착한 후 그 시트에 하부반 (41-2. 241ᅳ 2)을 붙이거나, 흙이 난 깔창의 아래쪽과 하부만의 위쪽 가장자리 부위를 한력성 있는 얇은 재질로 만 *어진 시트
( 47)로 접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지 시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의 쿠션감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착지로 인해 깔창에 나 있는 훔으로 밀려들어 간 깔창의 하부만이 걸음을 옮길 때는 탄력성 있는 얇은 제질 의 시트의 한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바르게 뤼어 나김"으로써 압축되었던 에어 ¾버가 빠르게 복원 되며 장시간 사용 시에도 압축 및 복원력이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착지 시 깔창의 하부 만이 깔창에 나 있는 홉으로 밀려들어가면, 깔창의 하부 반은 그 두께나 재질이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깔창과 수평을 이루게 되어 이률감이 느껴지지 ¾게 되고 이를감으로 인한 발의 피로가 가중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출입구를 블록하게 하여 발의 ¾이 에어 ¾버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두 번째는
¾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¾¾을 관통하여 크게 1;개의 훔 ( 51— 1 )읊 형 성하고 (도 8c) , 이 깔창의 상부를 탄력성 있는 얇은 제질의 시트 ( 56)로 덮고 그 위에 기존의 탄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질과 두께를 가지며 깔창에 형성된 훔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상만 ( 51-2)을 덧붙여 깔창 전체에 걸쳐 1개의 에어챔버 ( 51 )를 구성한다. 이 경우 착지시 상만 이 깔창의 훔으로 밀려를어가 훔을 메꾸어 시트에 ¾성된 구멍 ( 54 )을 통해 에어출입구 ( 51a)로 공기 가 분출되도록 하였다. 시트에 형성된 구멍은 에어출입구와 호옹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홈이 파져 있는 깔창의 상부 전체를 한력성 있는 ¾은 재질의 시트로 덮는 것이 아 니라, 흙이 파져 있는 깔창의 상부와 상만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 사이에만 탄력성 있는 얇은 재질의 시트 ( 5가를 붙일 수도 있다. 또한 밀폐된 공간을 만들어 에어 ¾버를 형성하기 위해, 흙이 형성된 깔 창 (도 8c)의 하부를 막는 시트 ( 55)를 두게 되는데, 이 시트를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만들 경우 탄력 성 있는 얇은 제질의 시트 ( 56. 57)의 수축작용에 의해 깔창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두 번째 실시예도 ¾ 번째 실시 예와 같은 효과가 있다. 세 번째는
기존의 한력성 있는 일반적인 깔창과 이 ¾¾을 덮는 시트만을 이웅해 에어 ¾버를 구성하였 다. 구체적으로는 깔창의 크기를 시트보다 크게 만들거나 시트의 크기를 깔창보다 크게 만들어 깔창 과 시트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깔창과 시트를 접착시 ¾으로써 깔창과 시트 사이에 공기를 담을 수 있는 에어 ¾버가 형성되도록 하고 (도 9a) 이 에어 ¾버에 에어출입구 ( 61a)를 두었다. 또한 깔창의 전반부만 에어 ¾버가 형성 (도 9b)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깔창:라 시트를 접착시 크기의 차이로 인해 ¾창이나 시트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깔창파 시트 중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의 하부에 비교적 딱딱한 재질의 시트를 덧붙일 수 있 다. 3. 본 발명은 탄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¾창의 하부에 ¾창과는 별개 로 깔창과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에어 ¾버를 설치하여 깔창하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즉 깔창이 에어 ¾버 기농을 가지는 것미 아니라 깔창과는 별개로 에어 ¾버가 병성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일 실시 예로, 한력성 았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¾창(75)에 에어 출입구 (71a>가 병성되어 있고 깔창 하부에 깔창파는 별개로 깔창파 동일 내지 유사한 크기의 에어 ¾ 버 (71 )를 설치하여 질창하부에 접착시킬 수 있다. 이때 에어 ¾버의 공기가 깔창의 에어출 ¾구(713) 로 분출되도록 에어 ¾버에는 깔창의 에어출입구에 대웅하여 구멍 (7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¾창 (75)을 관통하여 훔 (75-1 )이 파져 있고. 훔의 아래쪽에 깔창: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에어 ¾버와 유사한 높이를 가지며 깔창의 훔으로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진 깔창 하부 만 (75-2)이 ¾력성 있는 앞은 끈 (75-3)에 의해 연결되어 훔의 아래쪽을 막고 있으며, 이 깔창 하부 만 (75-2)이 에어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홈 (71-1 )을 관통하여 에어 ¾버의 하부와 맞¾아 있도록 하여 (도 10e), 착 지시 깔창 하부만이 깔창의 홈으로 밀려들어갔다가 걸음을 옮길 때 깔창 하부만이 ¾겨져 나오며 에 어¾버의 하부를 밀어 압축된 에어잼버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한편. 에어 ¾버의 에어출입구 부위를 돌출되게 하고 (81— 2) 한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 존의 일반적인 깔창 (85)에 훔 (85-4)을 파 그 훔에 돌출된 에어출입구부위 (81-2)를 끼워 넣을 경우 발바닥에 무리를 주지 ¾으면서도 ¾사지 기농을 수행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에서 에어출입구는 블록한 ¾태(413. 241a)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의 ¾이 에어출입구로 휼러들어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대 체 용지 (규 칙 제 26조)

Claims

청구의 볕위
보¾시 비통기성 재질로 만들어진 에어 ¾프의 내부에 담긴 공기가 공기유통로를 통해 발가뱍 부위로 분출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또는 보행시 비통기성 제질로 만들어진 에어 ¾버의 내부에 담긴 공기가 에어 ¾버 상부에 명성된 에어출입구를 통해 발가칵 부위로 분출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 발 또는 신발깔창에 있어서, 에어덛프와 에어 ¾버를 복수로 구성하되 복수의 에어 ¾버는 발가칵 부뷔에 설치하고. 복수의 에어 ¾ 버 ( 11 )가 설치된 발가칵 부위를 제의한 나머지 부분 전체에 복수의 에어펌프 (12)를 설치하고, 복수 의 에어 ¾프에 담긴 공기가 압축시 발가 부위로 전달되어 분출될 수 있도록 각 에어필프와 각 에 어¾버에 맞맣아 있는 공가유통로 U3)를 두고 발가칵 부근의 공기유통로에 에어출입구 (13a)를 두며 , 복수의 에어펌프에 담긴 공기가 압축시 공기유통로로 훑러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각 에어 ¾프와 공기 유통로가 맞¾은 부분에 구멍 ( 14)이 ¾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에어필프와 복수의 에어 ¾버 ¾ 공기유통로는 그 내부가 비통기성의 앞은 막에 의해 밀폐된 채로 둘러싸인 다공성쿠션체로 채워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탄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룽하여 훔 (22-1 )을 파고 (도 3b) 그 위에 비 통기성 시트 (25)를 덮고,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과 두께의 하부 만 (22-2)을 홈의 아래 쪽에 위치시키고 (도 3c), 이 하부 만을 단력성 있는 앞은 끈 (22-3)으로 연결하여 훌의 아래쪽을 막아 에 어 ¾프를 구성 (22)하고ᅳ 탄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홈 (21-1 )을 파고 (도 3b). 그 위에 비통기성 시트 (25)를 덮고, 홈 (21-1 )에 대옹하여 비통기성 시트에 에어출인구 (21a)를 형성하고, 깔 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과 두께의 하부 반 (21-2)을 훔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도 3c), 이 하부 만을 단력성 있는 ¾은 픈(21-3>으로 연결하여 홈의 아래쪽을 막아 에어 ¾버를 구성 (21 )하며 , 한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흠 (23-1 )을 파고 (도 3b) 그 위에 비 통기성 시트 (25)를 덮고, 깔창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과 두께의 하부 만 (23-2)을 훔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도 3c). 이 하부 만을 단력성 있는 ¾은 곤(23-3)으로 연결하여 홈의 아래쪽을 막아 공 기유통로 (23)를 구성하고,
13
대 체 용 지 (규 칙 제 26조) 에어 ¾프가 압축시 에어 ¾프에 담긴 공기가 공기유통로 (23〉로 ¾달될 수 있는 구명 (24)을 두며 (도 3b). 이 공기가 발바다 전반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비통기성 시트 (25)에 에어출 ¾구(2 >를 형성하 는 것올 톡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증충에어¾프(221 >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5]
청구항 4에 있어서 증충에어¾프의 내부에 격벽 (221-2)을 두어 ¾족부에어펌프 (221-1 )를 추가 설치하는 ¾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61
청구항 5에 있어서 중충에어 ¾프의 공기가 전족부에어필프를 우회하여 전족부에어 ¾프 앞쪽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공기 통로 (221— 4 )를 두고. 증충에어펌프의 공기는 ¾창 (도 4b. 도 4c)에 명성된 구멍 (7b)을 통해 비통기 성 시트 (25-1 )에 향성된 에어출입구 (221a)로 분출되고. 전족부에어덤프의 공기는 깔창에 형성된 구 명 (7c)를 통해 비통기성 시트 (25-1 )에 명성된 에어출입구 <221-la)로 분출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7】 상부에 에어출입구 (31a. 31-la. 41a. 241a. 51a. 61a)가 형성된 에어 ¾버를 깔창 전체에 걸쳐 1개 (도 5a. 도 6d. 도 8d. 도 9a. 도 9b) 또는 2개 (도 . 도 7c)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8】
청구항 7의 도 5a와 도 5b에 있어서 깔창은 내부가 비어 있어 에어 버를 이루며 에어¾버의 내부는 볼록부분 (36)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91
청구항 7의 도 6d에 있어서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돌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윷 관붕하여 훔 이 1개 파져 있고 (도 6b), 이 깔창와 상부는 에어출입구 (41a)가 형성된 비통기성 시트 (45)가 접착되어 덮고 있고 하부는 탄력
14 대 체 용지 (규 칙 제 26조 ) 성 있는 ¾은재질의 시트 (46)가 접착되아덮여 진 후그아래쪽에 깔창에 명성된훔보다 작은크기 의 하부만 (41-2)이 시트 (46)와 접착되어 에어 ¾버(41)를구성하는것을특징으로하는신발 【청구항 10 J
청구항 7의 도 7c에 있어서 한력성 있는 재질로 만돌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훔 (41-1. 241-i)이 278 파져 있고 (도 7b>, 이 깔창의 상부는 에어출입구 (41a. 241a)가 명성된 비통기성 시트 (45-1)가 접착되어 덮고 있고 하부는 한력성 있는 얇은제질의 시트 (46)가 접착되어 덮여 진 후그 아래쪽에 깔창에 형성된 홈보다작은크기의 하부만 "1-2· 241-2)이 시트 (46)와 접착되어 에머 ¾버(41. 241)를구성하며. 하 나의 에어 ¾버(41)에 담긴 공기는 비통기성 시트 (45-1)에 ¾성된 에어출입구 (41a)로 분출되고 다른 하나의 에어 ¾버(241)에 담긴 공기는비통기성 시트 (45-1)에 형성된 또다른에어출입구 (241a>로분 출되는것을특정으로하는신발
【청구항 111
청구항 9또는 10에 있어사 홈이 파져있는 깔창의 하부와 하부만의 상부 가장자리 부위 사이에만 붙일 수 있는 형태로 단력성 있는 앞은재질의 시트 (46)를오려 붙이는것을톡정으로하는신발
【청구항 12】
청구항 7의 도 8d에 있어서 한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훔 (51-1)이 파져 있고 (도 8c), 이 깔창의 상부를 한력성 있는재질로 만들어진 ¾은 시트 (56)가 접착되어 덮고 있으며 그위에 이 깔 창파동일 또는유사한재질과두께를 가지며 깔창에 명성된 훔보다작은크기의 상만 (51-2)을붙이 고상만파시트를관통하는에어출입구 (51a. 54)가 성되고, 훔이 명성된 ¾창 (도 8c)의 하부를 막 는시트 (55)를설치함으로써 에어 ¾버를구성하는것을톡정으로하는신발
【청구항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홈이 파져있는 ¾창 (도 8c)의 상부와상만 (51-2)의 하부 가장자리 부뮈 사이에 탄력성 있는 ¾은제 질의 시트 (57)를붙이는것을특정으로하는신발
【청구항 14]
청구항 12또는 13에 있어서
15 대체용지 (규칙 제 26조) 깔창의 하부를 막고 있는 시트 (55)를 비교적 경도가 있는 제질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15】
청구항 7의 도 9a에 있어서 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¾창의 상부에 공간이 영성되도록 깔창보다 크게 만 돌어진 비통기성 제질의 시트를 접착시 ¾으로써 깔창:라 시트 사이에 공기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인 에어잼버를 형성하고 이 에어잼버에는 에어출입구 (61a)를 두는 ¾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16】
청구항 7의 도 9a에 있어서 비통기성 재질의 시트를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깔창의 크기를 시트보다 크게 만들아 깔창과 시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¾창과 시트를 접착시 ¾으로 *) ¾창과 시트 사이에 공기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인 에어 ¾버를 명성하고 이 에어 ¾버에는 에 어출입구 (61a)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깔창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비통기성 제질의 시트에 비교적 딱딱한 재질의 시트를 덧붙이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18】
청구항 15 또는 16 또는 17에 있어서 전족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에어 ¾버 («3 )를 구성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도 9b)
【청구항 19】 한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 (75)의 하부에, 깔창과는 별기!로 제작되고 상부 에 에어출입구 (74)가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압축 및 복¾이 가농한 에어 ¾버 (71 )가 구비되고. 깔창 에도 에어출입구 (71a)를 ¾성하여 깔창의 에어출입구 (71a>롤 통해 에어 버의 에어출입구 (74)로 공 기가 유입되고 에어잼버의 에어출입구를 통해 ¾창의 에어출인구로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특¾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0】
정구항 19에 있어서
16 대 체 용지 (규 칙 제 26조) 에어¾버(81 )의 에어출입구부위가 상부로 돌출되고 (81-2),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 반적인 깔창 (85>에 홈 (85-4)을 파 ¾출된 에어출입구부위 (81-2)가 그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에어 ¾버의 돌출부위 (81-2)를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 (85)보다 경도를 강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2】 만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에 에어출입구가 형성되고 이 깔창으로 상부가 덮여져 에어 ¾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¾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3】
청구항 19 또는 20 또는 21 또는 22에 있어서 탄력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기존의 일반적인 깔창을 관통하여 홈이 파지 있고 (75-1. 85-1 ) , 홈의 아래쪽에 깔창파 동일 또는 휴사한 재질로 만들어 지고 에어 ¾버와 유사한 높이를 가지며 깔창의 훔 으로 삽입될 수 있는 넓이를 가진 하부 반 (75-2. 85-2)이 한력성 있는 앞은 5에 의해 연결되어 훔 의 아래쪽을 막고 있으며 , 이 하부 만이 에어샘버의 공간을 통과하여 에어 ¾버의 하부와 맞맣아 있 는 ¾읊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하부 만을 한력성 있는 제질로 만들어진 깔창보다 경도를 강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신발
【청구항 25】
청구항 1 또는 3 또는 6 또는 7 또는 19 또는 20 또는 22에 있어서
41a나 241a와 같이 에어출입구롤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대 체 용지 (규 칙 제 26조)
PCT/KR2013/010023 2012-11-06 2013-11-06 공기분출 신발 WO201407385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498 2012-11-06
KR20120125498 2012-11-06
KR20120149505 2012-12-18
KR10-2012-0149505 2012-12-18
KR10-2013-0057912 2013-05-21
KR20130057912 2013-05-21
KR20130090757 2013-07-30
KR10-2013-0090757 2013-07-30
KR10-2013-0095426 2013-08-09
KR20130095426 2013-08-09
KR20130122036 2013-10-11
KR10-2013-0122035 2013-10-11
KR10-2013-0122036 2013-10-11
KR20130122035 2013-10-11
KR20130122045 2013-10-11
KR10-2013-0122045 2013-10-11
KR1020130134276A KR20140058385A (ko) 2012-11-06 2013-11-06 공기분출신발
KR10-2013-0134276 2013-11-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73857A1 true WO2014073857A1 (ko) 2014-05-15

Family

ID=5068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0023 WO2014073857A1 (ko) 2012-11-06 2013-11-06 공기분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73857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24U (ko) * 1999-05-19 2000-12-15 여성계 통풍 깔창
KR20030007347A (ko) * 2002-12-23 2003-01-23 신혜승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308116Y1 (ko) * 2002-12-18 2003-03-19 (주)한신코리아 신발밑창과 신발밑창용 에어펌프와 에어펌프가 일체로구비된 신발밑창
KR20030060039A (ko) * 2002-01-05 2003-07-12 권혁수 강제 통풍식 신발 깔창
KR200390121Y1 (ko) * 2005-02-23 2005-07-19 윤점한 숨쉬는 에어펌프가 구비된 신발깔창
KR20100023417A (ko) * 2008-08-22 2010-03-04 송춘근 에어분출 신발 또는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024U (ko) * 1999-05-19 2000-12-15 여성계 통풍 깔창
KR20030060039A (ko) * 2002-01-05 2003-07-12 권혁수 강제 통풍식 신발 깔창
KR200308116Y1 (ko) * 2002-12-18 2003-03-19 (주)한신코리아 신발밑창과 신발밑창용 에어펌프와 에어펌프가 일체로구비된 신발밑창
KR20030007347A (ko) * 2002-12-23 2003-01-23 신혜승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390121Y1 (ko) * 2005-02-23 2005-07-19 윤점한 숨쉬는 에어펌프가 구비된 신발깔창
KR20100023417A (ko) * 2008-08-22 2010-03-04 송춘근 에어분출 신발 또는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4795B2 (ja) スポーツ活動に使用するために設計された、透湿性底革が備わった靴を含む、特に靴のための間底構造体
RU2559558C2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элемент подошвы, а также содержащие его скомпонованный блок подошвы и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ый, дышащий предмет обуви
JP5767329B2 (ja) 防水性且つ通気性の靴及び靴の製造方法
KR101666334B1 (ko) 갑피 구성의 하부 둘레 영역의 통기부 및 통기층을 지닌 신발류
ES2228614T3 (es) Procedimiento de construccion de calzado y calzado obtenido con el mismo.
US9301572B2 (en) Upper arrangement for footwear, and footwear with said upper arrangement
US20070240333A1 (en) Chassis for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footwear
US20200196702A1 (en) Aqua shoe having anti-slip structure
CA2490408A1 (en) Sho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US20070089319A1 (en) Breathing shoe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CN108936947B (zh) 一种防水鞋
US6112432A (en) Insole, footwe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ootwear
JPH01262801A (ja) 単流空気吹き込み靴及び単流空気吹き込み中敷
WO2014073857A1 (ko) 공기분출 신발
GB2382017A (en) Air channel arrangement in ventilated footwear
CN2935895Y (zh) 气囊挤压充气装置
JP2001275708A (ja) 水虫防止用靴
KR100664396B1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KR101258604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신발
KR20080091231A (ko) 뒷굽에 충격 흡수 삽입물을 구비한 “조립된” 신발의 제조시스템
JP3108843U (ja) 靴底構造
KR101082518B1 (ko) 에어분출 신발
KR20140058385A (ko) 공기분출신발
JP3837426B2 (ja) 靴内換気装置及び換気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3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36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