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69855A1 - 용기 캡핑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캡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69855A1
WO2014069855A1 PCT/KR2013/009626 KR2013009626W WO2014069855A1 WO 2014069855 A1 WO2014069855 A1 WO 2014069855A1 KR 2013009626 W KR2013009626 W KR 2013009626W WO 2014069855 A1 WO2014069855 A1 WO 20140698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p
piston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962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재봉
정진옥
권만현
Original Assignee
Son Jae Bong
Jeong Jin 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30008776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002773U/ko
Application filed by Son Jae Bong, Jeong Jin Ok filed Critical Son Jae Bong
Publication of WO20140698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698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4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with non-precipitating compounds, e.g. sulfiting; Sequestration, e.g. with chelate-producing compoun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app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by separating the pumping unit and the cap unit, as a single pumping unit, the cap unit can be individually capped to a plurality of bottle containers such as wine, the pumping unit and the cap unit.
  • the cap unit can be individually capped to a plurality of bottle containers such as wine, the pumping unit and the cap unit.
  • By close contact with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ing unit can be sealed in a vacuum, not onl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se, but also to the storage of the pumping unit after use and relates to a container capping devic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 the contents are gradually changed 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In some cases, the contents may be specified in the container after the initial opening. Since the period is too sh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ake of the flavor is changed after that.
  • the container capping apparatus comprises: a cap unit intermittently guiding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when inserted into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and blocking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 a pumping unit including a housing open to the upper side of the cap unit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cap unit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cap unit to exhaust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while inserting the cap unit into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
  • a sealing part for sealing an upper side of the cap unit and a lower side of the housing.
  • the pumping unit may have a tubular shape extending from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long an edge of the first air hole through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n inlet portion through the second air hole on the upper side thereof;
  • a piston for penetrating the opening hole for inserting the inlet portion, and entering and exit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nd through the fourth air hole thereon;
  • a gasket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inlet part an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pist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assing through a third air hole to allow a flow of air through the second air hole;
  • a coil spring provided inside the piston to elastically support both sides of the gasket and the cap;
  • a ring-shaped connector connected to an upper edge of the housing and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piston; And a cap blocking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 the container capping apparatus unlike the prior art by separating the pump unit and the cap unit can be individually capping the cap unit to a plurality of bottle containers such as wine as one pump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nvenient storage to the user can be stored separately of the pumping unit of a relatively large volume after use.
  • FIG. 8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capp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6 and 7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ainer c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tainer capp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p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10, and is formed to intermittently exhaust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10.
  • the pumping unit 300 exhausts the air inside the container 10 while inserting the cap unit 200 into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10.
  • the pumping unit 300 Since the pumping unit 300 is separated from the cap unit 200, as the relatively bulky pumping unit 300 is stored separately, the plurality of cap units 200 may be blocked to the container 10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ll be.
  • sealing unit 400 serves to seal the upper side of the cap unit 200 and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10.
  • the upper pad 2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10. That is, the housing 310 of the pumping unit 300 presses the pad to insert the cap unit 200 into the container 10.
  • the lower pad 220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container 10 to serve as a secondary capping process.
  • inlet portion 314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shapes.
  • the piston 320 is preferably guided to linear reciprocating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캡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시 용기 내부의 공기를 단속적으로 배기 안내하며 용기의 개방측을 막는 캡유닛, 이 캡유닛을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하면서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캡유닛과 분리된 채 캡유닛의 상측에 밀착되게 접하여 펌핑 작동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및 이 캡유닛의 상측과 하우징의 하측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여,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펌핑유닛으로써 다수의 병 용기에 개별적으로 캡유닛을 캡핑할 수 있고,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으로 진공 밀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펌핑유닛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용기 캡핑 장치
본 발명은 용기 캡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펌핑유닛으로써 다수의 와인 등의 병 용기에 개별적으로 캡유닛을 캡핑할 수 있고,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으로 진공 밀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후 펌핑유닛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용기 캡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이나 맥주 등과 같은 일부의 주류나 음료는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하는 밀폐가 요구된다. 즉, 외부의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내용물 고유의 맛이 쉽게 변하거나 변질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부패되기도 하므로 이런 내용물에 대해서는 제조 과정에서 반드시 특정한 용기에 밀폐시켜 출하되도록 하고 있다.
저장 용기는 단순히 밀폐되기만 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채워진 공기를 최대한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가 특정한 진공압으로 유지되도록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저장 용기로는 알루미늄 캔이나 패트병 등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기는 하나 아직은 유리병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상당한 진공압이 요구되는 내용물일수록 다른 저장 용기는 진공압의 형성시 변형이 초래되기도 하므로 반드시 유리병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이렇게 유리병 보관만을 고집하는 대표적인 내용물 중의 하나가 와인이다. 와인을 즐겨 마시는 유럽 사람들의 경우에는 일단 개봉된 와인일지라도 남은 와인을 처음과 동일한 맛으로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 등의 특정한 재질과 형상의 마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용기를 일단 개봉하게 되면 최초 출하 시 내부에 일정한 진공압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개봉되는 순간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외기가 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면 내용물이 외기의 산소와 접촉되면서 산화되기 시작하며, 이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변질되면서 고유의 맛이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진공 밀폐한 탄산 음료 등은 일단 용기가 개봉되면 내용물을 완전히 비우도록 하고 있으나, 와인 같은 경우는 단순히 마개를 이용해서 밀폐시키도록 하고 있다.
코르크 마개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8670호(발명의 명칭: 삽입과 인출이 용이한 코르크 마개)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코르크 마개는 최초 개봉 후 다시 용기를 밀폐시키더라도 일단 내부에 유입된 외기에 의해서 내용물은 점진적으로 변질되며, 내용물에 따라서는 최초 개봉 직후 내용물 섭취 가능 기간 또는 유효 기간을 용기에 명시하기도 하지만 그 사용 기간이 지나치게 짧아 그 이후에는 맛이 변질된 상태로 섭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펌핑유닛으로써 다수의 와인 등의 병 용기에 개별적으로 캡유닛을 캡핑하고자 하는 용기 캡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펌핑유닛을 사용시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으로 진공 밀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 효율을 높이고자 하는 용기 캡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후 부피가 비교적 큰 펌핑유닛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용기 캡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는: 상기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단속적으로 배기 안내하며 용기의 개방측을 막는 캡유닛; 상기 캡유닛을 상기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상기 캡유닛과 분리된 채 상기 캡유닛의 상측에 밀착되게 접하여 펌핑 작동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및 상기 캡유닛의 상측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캡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에 접하고,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측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를 일차적으로 캡핑 처리하는 어퍼패드; 상기 용기 내부에 억지 삽입되어 상기 용기를 이차적으로 캡핑 처리하는 로어패드;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를 연결하고,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브릿지;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 및 상기 브릿지에 걸쳐 배기(排氣)를 위해 형성되는 채널; 및 상기 채널에 하측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시에만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는 볼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은, 상기 볼의 하측 둘레면과 접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볼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축경홀부; 상기 볼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축경홀부; 및 상기 하부축경홀부와 상기 상부축경홀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축경홀부와 상기 상부축경홀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기 여부에 따라 상기 볼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경홀부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통공된 제 1에어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관 형상이고, 상측에 제 2에어홀을 통공한 인렛부; 상기 인렛부를 축 삽입하기 위해 개구홀을 통공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출입되며, 상측에 제 4에어홀을 통공하는 피스톤; 상기 인렛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접하며, 상기 제 2에어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제 3에에홀을 통공한 가스킷; 상기 가스킷과 상기 캡에 양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피스톤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링형 연결구; 및 상기 피스톤의 상측을 막는 캡을 포함한다.
상기 캡은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 상기 링형 연결구에 접하는 스토퍼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캡유닛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의 둘레면에 연속되게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내측단턱; 및 상기 캡유닛의 상측면 가장자리와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외측단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펌핑유닛으로써 다수의 와인 등의 병 용기에 개별적으로 캡유닛을 캡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펌핑유닛을 사용시 펌핑유닛과 캡유닛을 밀착시킴으로써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으로 진공 밀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후 부피가 비교적 큰 펌핑유닛의 별도 보관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내부를 보인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내부를 보인 부분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캡핑 장치(100)는 캡유닛(200), 펌핑유닛(300) 및 밀봉부(400)를 포함한다.
캡유닛(200)은 용기(10)의 개방측에 삽입된 채 용기(10) 내부를 진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용기(10)는 맥주병이나 와인병 등 병 종류를 포함한다.
아울러, 캡유닛(200)은 용기(10)의 개방측으로 억지 삽입된다. 이때,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캡유닛(200)이 삽입되는 만큼 배기(排氣)되어야 한다.
그래서, 캡유닛(200)은 용기(10) 내부로 삽입되면서,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단속적으로 배기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펌핑유닛(300)은 사용자에 의해 펌핑 작동되며 캡유닛(200)을 용기(10) 내부로 억지 삽입하는 역할을 한다.
즉, 펌핑유닛(300)은 캡유닛(200)을 용기(10)의 개방측으로 삽입하면서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킨다.
다시 말해서, 펌핑유닛(300)은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하고, 펌핑의 동작을 통해 캡유닛(200)을 용기(10) 내부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특히, 펌핑유닛(300)은 캡유닛(200)과 분리된 채 캡유닛(200)의 상측에 밀착되게 접하여 펌핑 작동된다.
펌핑유닛(300)이 캡유닛(200)과 분리됨으로써, 비교적 부피가 큰 펌핑유닛(300)이 별도로 보관됨에 따라 한 개로써 다수 개의 캡유닛(200)을 용기(10)에 일대일 대응되게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밀봉부(400)는 캡유닛(200)의 상측과 하우징(310)의 하측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캡유닛(200)은 어퍼패드(210), 로어패드(220), 브릿지(230), 채널(240) 및 볼(250)을 포함한다.
어퍼패드(210)는 하우징(310)의 하측면에 직접적으로 접한다. 즉, 펌핑유닛(300)의 하우징(310)이 어패패드를 눌러 캡유닛(200)을 용기(10)에 삽입한다.
이때, 어퍼패드(210)는 용기(10)의 개방된 상측 테두리에 걸려 밀착됨으로써 용기(10)를 일차적으로 캡핑(capping) 처리한다.
그리고, 로어패드(220)는 용기(10) 내부에 억지 삽입되어 용기(10)를 이차적으로 캡핑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브릿지(230)는 어퍼패드(210)와 로어패드(220)를 연결하고, 어퍼패드(210)와 로어패드(220)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브릿지(230)는 용기(10)의 개방측 내부면에 접하지 않게 된다. 이는, 용기(10) 내부로 억지 삽입되는 로어패드(220)의 상부 방향 휨에 따른 변형을 허용하기 위함이고, 캡유닛(200)을 용기(10)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캡유닛(200)과 용기(10) 내측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기 위함이다.
특히, 캡유닛(200)의 어퍼패드(210), 로어패드(220) 및 브릿지(230)는 용기(10)의 접한 부위와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채널(240)은 어퍼패드(210)와 로어패드(220) 및 브릿지(230)에 걸쳐 배기(排氣)를 위해 형성된다. 즉, 채널(240)은 공기 유동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한다.
볼(250)은 채널(240)에 하측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구비되어 펌핑유닛(300)의 펌핑 작동시에만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용기(10) 외부로 배기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채널(240)은 하부축경홀부(242), 상부축경홀부(244) 및 확경홀부(246)로 나뉘어진다.
하부축경홀부(242)는 볼(250)의 하측 둘레면과 접하게 된다. 그래서, 하부축경홀부(242)는 평상시 외부 공기가 채널(240)을 통해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축경홀부(242)는 볼(250)이 채널(240)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부축경홀부(244)는 볼(250)이 채널(240)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하부축경홀부(242)의 직경과 상부축경홀부(244)의 직경은 볼(25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확경홀부(246)는 하부축경홀부(242)와 상부축경홀부(244)를 연결하고, 하부축경홀부(242)와 상부축경홀부(24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기 여부에 따라 볼(250)의 이동을 허용한다. 즉, 확경홀부(246)의 직경은 볼(2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펌핑유닛(300)의 펌핑 작용시, 볼(250)이 하부축경홀부(242)의 상측 테두리와 유격되도록 부상함으로써,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배기된다.
다시 말해서, 볼(250)은 자중에 의해서 하부축경홀부(242)의 상측 테두리에 접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용기(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펌핑유닛(300)의, 후술할, 피스톤(320)에 의해서 펌핑 작용시에만 용기(1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기 허용한다.
볼(250)은 자중에 의해 하부축경홀부(242)의 상측 테두리에 밀착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볼(250)은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캡유닛(200)의 내부, 특히, 확경홀부(246)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펌핑유닛(300)은 하우징(310), 피스톤(320), 링캡(330), 가스킷(340), 링형 연결구(350), 코일 스프링(360) 및 캡(370)을 포함한다.
하우징(310)은 어퍼패드(210)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캡유닛(200)을 용기(10) 내부로 미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우징(310)은 사용자가 하부 방향으로 누른다.
아울러, 하우징(310)은 피스톤(320), 링캡(330), 가스킷(340), 링형 연결구(350) 및 코일 스프링(360)을 수용하거나 연결한다.
이때, 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310)은 피스톤(320)을 출입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아울러, 하우징(310)은 캡유닛(200)의 채널(240)을 통해 배기되는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바닥면에 제 1에어홀(312)을 통공한다. 이때, 제 1에어홀(312)의 직경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310)은 내부 바닥면에서 관 형상인 인렛부(314)를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이때, 인렛부(314)는 제 1에어홀(312)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하우징(310)의 바닥면에서 연장 형성된다. 특히, 인렛부(314)는 하우징(3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인렛부(314)는 상측 테두리 또는 상측 둘레면에 제 2에어홀(315)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제 1에어홀(312)로 유입된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제 2에어홀(315)을 통해 배출된다.
물론, 인렛부(31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피스톤(320)은 하우징(310)의 개방측으로 삽입되고, 하우징(310)의 축 방향으로 출입되며 승하강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피스톤(320)은 하우징(310)에 대해 승하강 작동되며 용기(1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피스톤(320)이 펌핑 작동하게 된다. 특히, 피스톤(320)이 하우징(310)에 대해 하강시, 캡유닛(200)의 볼(250)이 부상하고,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제 1에어홀(312)과 제 2에어홀(315)로 이동하며 배기된다.
반대로, 피스톤(320)이 하우징(310)에 대해 상승시, 볼(250)이 하부축경홀부(242)를 막게 된다.
특히, 피스톤(32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피스톤(320)은 인렛부(314)를 축 삽입하기 위해 바닥면에 개구홀(322)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320)은 인렛부(314)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며 펌핑 작동하게 된다.
아울러, 피스톤(320)은 상측 테두리 또는 상측 둘레면에 제 4에어홀(328)을 통공한다.
따라서, 피스톤(320)이 하우징(310)에 대해 하강시,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캡유닛(200)의 채널(240), 제 1에어홀(312), 제 2에어홀(315)을 통해 피스톤(320) 내부로 유입된다.
피스톤(3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4에어홀(328)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피스톤(32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개구홀(322)을 통해 피스톤(320)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채널(240) 내부에서 하부축경홀부(242)의 상측을 막고 있는 볼(250)을 부상시키려는 힘이 약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단시간에 많이 배기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구홀(322) 내측면에 대응되는 피스톤(320)의 바닥면과 인렛부(314) 사이의 틈새가 밀봉 처리되어야 한다.
그래서, 피스톤(320)은 내부 바닥면 또는 외부 바닥면에 링캡(330)을 구비한다. 편의상, 링캡(330)은 피스톤(320)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때, 링캡(330)은 개구홀(322)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피스톤(320)의 바닥면에 구비된다.
특히, 피스톤(320)은 링캡(330)을 고정 장착하기 위해 바닥면에 바닥홈(324)을 형성한다. 링캡(330)은 바닥홈(324)에 억지 끼움된다. 물론, 링캡(330)은 피스톤(320)의 바닥면 또는 바닥홈(324)에 본딩 처리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링캡(330)은 내측으로 노출되거나 돌출되는 제 1오링(332)을 구비한다. 제 1오링(332)은 인렛부(314)의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즉, 제 1오링(332)은 개구홀(322) 내측면에 대응되는 피스톤(320)의 바닥면과 인렛부(314) 사이의 틈새를 밀봉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링캡(330)은 제 1오링(33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스킷(340)은 인렛부(314)의 상측에 연결된다. 이때, 가스킷(340)은 인렛부(314)의 상측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인렛부(314)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억지 끼움될 수도 있다.
가스킷(340)이 인렛부(31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 인렛부(314)에 본딩 처리되어 임의적으로 분리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가스킷(340)은 피스톤(320) 내부를 2등분하도록 구획한다. 즉, 피스톤(320) 내부는 가스킷(340)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나뉘어진다. 아울러, 가스킷(340)은 인렛부(314)의 제 2에어홀(315)을 통해 피스톤(320) 내부 하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피스톤(320) 내부 상측으로 흐름 허용하기 위해 제 3에어홀(346)을 통공한다.
그래서, 피스톤(320)이 하우징(310)에 대해 상승시, 피스톤(320) 내부 하부 공간이 가스킷(340)에 의해 줄어들기 때문에, 피스톤(320) 내부 하측에 잔류하는 공기는 제 3에어홀(346)을 통해 피스톤(320) 내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20) 내부 상측의 공기는 제 4에어홀(328)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피스톤(320)이 하우징(310)에 대해 하강시, 피스톤(320) 내부 하측의 공기 압력은 용기(10) 내부의 공기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된다. 그래서,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피스톤(320) 내부 하측으로 유입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축경홀부(242)의 상측 테두리를 막고 있는 볼(250)이 부상하게 됨에 따라, 용기(10) 내부의 공기는 캡유닛(200)의 채널(240), 제 1에어홀(312) 및 제 2에어홀(315)을 순서대로 통과하며 피스톤(320)의 내부 하측으로 유입된다.
한편, 가스킷(340)은 둘레면에 링홈(342)을 형성한다. 그리고, 링홈(342)에는 제 2오링(344)이 삽입된다. 제 2오링(344)은 승하강 작동되는 피스톤(320) 내측면과 밀착된다. 이에 따라, 구획되는 피스톤(320) 내부의 상측과 하측의 압력 차이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공기가 단시간에 배기되도록 한다.
또한, 링형 연결구(350)는 피스톤(320)의 외측면과 하우징(310)의 내측면 사이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링형 연결구(350)는 피스톤(320)이 안정적으로 승하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링형 연결구(35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310)에 조립된다. 예로서, 하우징(310)은 상측 테두리에 제 1단턱(316)을 형성하고, 링형 연결구(350)는 하측에 요홈(356)을 형성한다. 그래서, 제 1단턱(316)이 요홈(356)에 억지 삽입됨으로써, 링형 연결구(350)는 용이하게 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한편, 코일 스프링(360)은 가스킷(340)과 캡(370)에 양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피스톤(320) 내부에 구비된다. 그래서, 코일 스프링(360)은 피스톤(320)을 누르는 외력 제거시 가스킷(340)에 대해 피스톤(320)을 탄성적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스킷(340)은 코일 스프링(360)의 하측의 심한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위치고정부재(348)를 구비한다. 위치고정부재(348)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원 궤적을 따라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360)의 하측이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320)은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피스톤(320)은 둘레면에 가이드 블레이드(326)를 구비한다. 가이드 블레이드(326)는 피스톤(320)의 축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피스톤(32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블레이드(326)는 피스톤(32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링형 연결구(350)는 가이드 블레이드(326)를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 홀(352)을 내측면에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 블레이드(326)는 가이드 홀(352)을 따라 승하강 안내된다.
아울러, 펌핑유닛(300)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보관 부피를 줄이기 위해, 피스톤(320)은 하우징(310)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사용자는 피스톤(320)을 하우징(310) 내부로 하강시킨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가이드 블레이드(326)는 피스톤(32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링형 연결구(350)는 걸림턱(354)을 형성한다. 가이드 블레이드(326)의 상측은 걸림턱(354) 내측에 수용되어 걸림으로써, 피스톤(320)은 임의적으로 상승되지 않게 된다.
이때, 피스톤(320)은 코일 스프링(360)을 내부에 설치 조립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캡(370)은 피스톤(320)의 개방된 상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캡(370)은 피스톤(320)의 제 4에어홀(328)을 막지 않도록 피스톤(320)에 조립된다. 예로서, 캡(370)은 홈 형상의 결합부(372)를 형성한다. 결합부(372)는 피스톤(320)의 상측 가장자리를 삽입한다.
특히, 캡(370)과 피스톤(32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캡(370)과 피스톤(320)의 접합 부위는 본딩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370)은 피스톤(320)의 하강시 링형 연결구(350)에 접하는 스토퍼(374)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 블레이드(326)가 걸림턱(354)에 걸릴 때, 스토퍼(374)는 링형 연결구(350)와 접하지 않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이는, 펌핑유닛(300) 내부의 공기가 제 4에어홀(328)을 통해 배출 허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펌핑유닛(300)과 캡유닛(200)이 별도로 구비되고, 펌핑유닛(300)이 캡유닛(200)의 상측에 접촉한 채 펌핑으로 용기(10)의 공기를 빼는 작동과 캡유닛(200)을 용기(10) 내부로 삽입하는 작동을 동시에 하게 된다.
그래서, 펌핑유닛(300)과 캡유닛(200)은 접촉 부위가 밀봉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캡유닛(200)의 상측과 하우징(310)의 하측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400)가 구비된다.
밀봉부(400)는 돌기부(410), 내측단턱(420) 및 외측단턱(430)을 포함한다.
돌기부(410)는 캡유닛(200)의 상측면 특히 어퍼패드(210)의 상측면에 돌기부(410)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돌기부(410)에는 채널(240)이 연장 형성된다. 돌기부(410)는 평면상 원형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내측단턱(420)은 돌기부(410)의 둘레면에 연속되게 접하도록 하우징(310)의 바닥면에 돌출된다. 즉, 돌기부(410)는 내측단턱(420)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하우징(310)의 바닥면과 내측단턱(420)의 내측면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
아울러, 외측단턱(430)은 캡유닛(200)의 상측면 가장자리 특히, 어퍼패드(210)의 가장자리와 접하도록 하우징(310)의 바닥면에 돌출된다. 즉, 외측단턱(430)은 내측면에 어퍼패드(210)의 가장자리를 접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캡유닛(200)과 하우징(31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펌핑유닛(300)의 작동시, 배기가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단속적으로 배기 안내하며 상기 용기의 개방측을 막는 캡유닛;
    상기 캡유닛을 상기 용기의 개방측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상기 캡유닛과 분리된 채 상기 캡유닛의 상측에 밀착되게 접하여 펌핑 작동되고, 상측으로 개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펌핑유닛; 및
    상기 캡유닛의 상측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에 접하고,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측 테두리에 걸려 상기 용기를 일차적으로 캡핑 처리하는 어퍼패드;
    상기 용기 내부에 억지 삽입되어 상기 용기를 이차적으로 캡핑 처리하는 로어패드;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를 연결하고,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브릿지;
    상기 어퍼패드와 상기 로어패드 및 상기 브릿지에 걸쳐 배기(排氣)를 위해 형성되는 채널; 및
    상기 채널에 하측 방향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펌핑유닛의 펌핑 작동시에만 상기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기 유도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볼의 하측 둘레면과 접하며 외부 공기가 상기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볼의 하부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축경홀부;
    상기 볼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축경홀부; 및
    상기 하부축경홀부와 상기 상부축경홀부를 연결하고, 상기 하부축경홀부와 상기 상부축경홀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기 여부에 따라 상기 볼의 이동을 허용하는 확경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통공된 제 1에어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서 연장되는 관 형상이고, 상측에 제 2에어홀을 통공한 인렛부;
    상기 인렛부를 축 삽입하기 위해 개구홀을 통공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서 출입되며, 상측에 제 4에어홀을 통공하는 피스톤;
    상기 인렛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접하며, 상기 제 2에어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제 3에에홀을 통공한 가스킷;
    상기 가스킷과 상기 캡에 양측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피스톤 내부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
    상기 하우징의 상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링형 연결구; 및
    상기 피스톤의 상측을 막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피스톤의 하강시 상기 링형 연결구에 접하는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상기 캡유닛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
    상기 돌기부의 둘레면에 연속되게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내측단턱; 및
    상기 캡유닛의 상측면 가장자리와 접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외측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캡핑 장치.
PCT/KR2013/009626 2012-10-29 2013-10-28 용기 캡핑 장치 WO20140698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743 2012-10-29
KR20120120743 2012-10-29
KR2020130008776U KR20140002773U (ko) 2012-10-29 2013-10-25 용기 캡핑 장치
KR20-2013-0008776 2013-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9855A1 true WO2014069855A1 (ko) 2014-05-08

Family

ID=50627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9626 WO2014069855A1 (ko) 2012-10-29 2013-10-28 용기 캡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0698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243A (zh) * 2018-06-10 2018-10-30 沈建冬 一种小巧的真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633A (en) * 1986-01-20 1991-03-12 Schneider Bernardus J J A Stopper for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and including slit valve structure, for use with a pump for altering and thereafter maintaining altered pressure in the container
KR940026724U (ko) * 1993-05-01 1994-12-09 곽춘근 병 마개
KR200445177Y1 (ko) *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0969703B1 (ko) * 2010-03-22 2010-07-14 김용국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8633A (en) * 1986-01-20 1991-03-12 Schneider Bernardus J J A Stopper for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and including slit valve structure, for use with a pump for altering and thereafter maintaining altered pressure in the container
KR940026724U (ko) * 1993-05-01 1994-12-09 곽춘근 병 마개
KR200445177Y1 (ko) * 2008-06-04 2009-07-07 풍강산업 주식회사 용기 마개용 진공 펌프
KR100969703B1 (ko) * 2010-03-22 2010-07-14 김용국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243A (zh) * 2018-06-10 2018-10-30 沈建冬 一种小巧的真空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69723A1 (ko) 병 용기 마개 진공장치
WO2011118886A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WO2015083891A1 (ko) 내용물 배출펌프
RU2341425C2 (ru)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мешка напитком и разлива напитка из мешка
WO2012053734A1 (ko) 내부압력 해제기능을 갖춘 음식물 보관용기용 밀폐뚜껑
WO2010126341A2 (ko)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이종물질이 혼합되는 병뚜껑
WO2013125813A1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WO2016163672A1 (ko) 병 마개
WO2017039236A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WO2017146408A1 (en) Push type cosmetic container
WO2018026070A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US5156200A (en) Apparatus for filling bottles and the like
WO2011118885A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병마개
WO2014069855A1 (ko) 용기 캡핑 장치
RU2392204C1 (ru) Введение продувочного газа в банки для напитков
WO2010082771A2 (ko) 내용물 배출펌프
WO2020246687A1 (ko) 버튼 출몰식 용기
WO2015072732A1 (ko) 내용물 배출펌프
JP4524959B2 (ja) 充填バルブ
IE43680B1 (en) A reopenable closure which serves hermetically to close a bottle or similar container
WO2014204034A1 (ko) 내용물 배출펌프
WO2019221367A1 (ko) 용기 제조 방법 및 용기 제조 장치
WO2023043206A1 (ko) 마개 시스템
KR20080074544A (ko) 반도체 패키지 처리 장치
JP4347171B2 (ja) 充填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50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509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