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10922A1 -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 Google Patents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10922A1
WO2014010922A1 PCT/KR2013/006107 KR2013006107W WO2014010922A1 WO 2014010922 A1 WO2014010922 A1 WO 2014010922A1 KR 2013006107 W KR2013006107 W KR 2013006107W WO 2014010922 A1 WO2014010922 A1 WO 20140109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door handle
layer
sens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61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진경화
Original Assignee
Jin Kyeong Hwa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in Kyeong Hwa filed Critical Jin Kyeong Hwa
Publication of WO20140109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109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05B65/10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actuated in response to heat, e.g. with fusible element, bimetal, memory shape or swell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75Insulating, e.g. for limiting heat transfer; Increasing fire-resistance of loc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handle, and more specifically, the color is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h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degree of fire through the temperature rise detection to detect the flashover and back draft signs. It's about the door handle.
  • Flashover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upper temperature of the compartment reached 400 °C ⁇ 600 °C after the fire occurred.In this case, the safety of evacuation is very low due to the high temperature generation, the danger of suffocation caused by toxic gas and the generation of smoke. low. If you open the door of a room or passage where Flashover is already in progress during the evacuation, the fire will spread rapidly to the area where the evacuee is located, which is very dangerous for evacuation safety. Fires can also spread rapidly to other areas, leading to building burnout. In particular, the backdraft (Backdraft) appear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lashover (fire) and the reverse flow in the sense of reverse flow means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about 1100 °C.
  • Backdraft appear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flashover (fire) and the reverse flow in the sense of reverse flow means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about 1100 °C.
  •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draft can be observed when air is sucked into the building through cracks or small holes, or when there is a peculiar sound caused by it, the flame is not visible, but the window or door handle is hot. Tar-like oily substances flow down inside of the building, or when smoke is swirling or hovering in a building when viewed through a window.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visually distinguish these signs in an emergency fire situation, so it is very difficult to extinguish a fire or evacuate to a safe place while detecting signs of backdraf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methods, by including a color change layer 300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firefighters or evacuees room temperature rise due to fire, room It is easy to check the signs of flashover and backdraft with the naked eye so that the evacuation area can be avoided during evacuation and the temperature rise detection function can prevent the fatal damage caused by the flashover and backdraft occurrenc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oor handle having.
  • the door handle including a body portion 100 to be gripped by the hand and a fixing portion 200 for fixing the body portion 100 to the door,
  • thermochromic layer 30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 or the fixing portion 200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 a protective film layer 40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thermochromic layer 300 to prevent the thermochromic layer 300 from being damaged.
  • thermochromic layer 300 Preferably, the thermochromic layer 300,
  •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hange color change material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 or the fixing portion 200 is coated.
  • thermochromic layer 300 More preferably, the thermochromic layer 300,
  • the temperature change can be determined stepwise by separating into two or more sections.
  • thermochromic layer 300 More preferably, the thermochromic layer 300,
  • thermochromic material having a discoloration temperature of more than 40 °C and 60 °C respectively.
  • Flashover and backdraft signs can be easily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to prevent catastrophic damage from flashover and backdraft occurrences and to detect temperature increase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rod-shaped body portion 100 in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300 detects the flashover and the back draft signs through the temperature rise Figure is shown.
  •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temperature fading layer 300 form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in a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urther including a protective film layer 400 in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mochromic layer 400 protective film layer
  •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degree sensing func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a fixing part 200, and a temperature discoloring layer 300. It is characterized by.
  •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degree sensing function includes a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so that a firefighter or a evacuator is subjected to a temperature change in an enclosed indoor space.
  • a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so that a firefighter or a evacuator is subjected to a temperature change in an enclosed indoor space.
  • Body portion 100 is a configu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being gripped by the hand
  • the fixing portion 200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body portion 100 to the door,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 Figure 1 is shown for the circular body portion 10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ure 2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od (rod). have.
  •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300 is to detect the flashover and back-draft signs in the event of a fire by changing the col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space, as shown in Figure 1, the body portion 100 and / or I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xing part 200. More specifically, the thermochromic layer 300 may be formed by coating a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nd / or the fixing portion 200 with a thermochromic material that changes color when a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rmochromic material is generally composed of a microcapsule structure of 1 ⁇ 10 ⁇ m, it can be colored and transparent due to the binding and separation phenomenon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electron donor and the electron acceptor in the microcapsules.
  • the color change material is a fast color change, it may have a variety of color change temperature, such as 40 °C, 60 °C, 70 °C, 80 °C, 90 °C, 100 °C, 120 °C, 150 °C, 180 °C, 200 °C This discoloration temperature can be easily adjusted in several ways.
  • thermochromic material that can be used in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is various kinds of thermochromic materials based on the principle of molecular rearrangement of organic compounds, rearrangement of atomic groups, etc. This can be used.
  • FIG 3 is a state in which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300 detects the flashover and the back draft signs through the temperature rise Figure is shown.
  •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oo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i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heat, and the hea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disposed on the door handle 10, more specifically, the rear of the door (indoor space). It is conducted to the body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of the door handle 10.
  • the door handles 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heat conducted to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on the rear side (indoor space) of the door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utdoor) of the door.
  •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color of the color change layer 300 formed on the door handle 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oor is changed. This allows the firefighters to see the color change on the door handle 10 when the firefighters try to open the door to extinguish the fire or to enter any room to avoid the fire, indicating signs of flashover and backdraft. You can immediately check with the naked eye, not only to prevent the fatal damage caused by flashover and back draft, but also to detec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nclosed indoor space.
  •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metal material excellent in thermal conductivity
  • the door handle installed indoors Not only the heat conducted to 10 may be conducted to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outdoors, but the heat conducted to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outdoors may be moved to the outside.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outdoors is different may occur.
  • thermochromic material forming the thermochromic layer 300 has a color change temperature of 60 ° C.
  • the temperature of the door handle 10 installed indoors is 60 ° C. or more, so that the color change of the color change layer 300 occurs.
  • the temperature of the door handle 10 disposed outdoors is less than 60 °C can be the case that the color change of the color fading layer 300 does not occu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ct the flashover and back draft signs Cases may occur.
  •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will still remain high (approximately 1100 ° C.).
  • the temperature fading layer 300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sectio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coating two or more thermochrom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discoloration temperature
  •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rise degree sens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xample, it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fading layer 300 form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may be formed to coat two or more temperature chang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olor change temperatures so as to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section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 the temperature discoloration layer 300 is preferably a temperature discoloratio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discoloration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discoloratio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discoloration temperature, more preferably 40 ° C. or higher and 60 ° C. or higher discoloration temperature. Using a temperature change material having a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can be formed.
  • the protective film layer 400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temperature fading layer 300
  • Figure 5 is a protective film layer 400 in the door handle 10 having a temperature increase degree detec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containing. As shown in FIG. 5, the passivation layer 400 is formed on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to protect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from being damaged due to an external impact, and whether the temperature change layer 300 is discolored.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transparent coating agent having an insulation effect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thermochromic material is weak to hea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에 따르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함으로써, 소방관 또는 대피자가 밀폐된 실내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발생으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하고, 온도상승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본 발명은 문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 공간의 온도 여부에 따라 색이 변함으로써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를 감지하여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는 한번 발생하면 진행속도가 매우 빠르고,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한 질식, 백드래프트로 인한 피해 등 다양한 위험요인으로 인해 그 피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화재를 진압하거나 화재를 피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위해서는 화재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을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실화재(Flashover)란 화재발생 후 구획실 상부온도가 400℃~600℃에 이른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 고열발생과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위험과 다량의 연기발생으로 가시거리가 짧아져 피난안전성이 매우 낮다. 만약 피난 중에 이미 전실화재(Flashover)가 진행되고 있는 실이나 통로의 문을 열게 되면 화재가 피난자가 있는 구역까지 급격히 번져, 피난안전에 매우 위험한 요소가 된다. 또한 다른 구역으로 화재가 급속히 확산되어 건물전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백드래프트(Backdraft)는 전실화재(Flashover) 발생 이후에 나타나며 역류의 의미대로 불이 반대로 흐른다는 뜻으로 그때의 실내온도는 1100℃ 정도이다. 공기유입이 적은 실내에서 화재 혹은 연소반응이 일어났을 때, 유입되는 산소량보다 연소반응을 하여 소비되는 산소량이 많아져 산소가 점차 부족해 져서 불완전 연소반응을 하게 되어 점차 일산화탄소 등의 연소가스가 축적된다. 이때, 문을 여는 행위 등을 통하여 외부산소가 갑자기 유입되면, 실내의 불완전연소가스와 유입속도 15㎧이상의 산소와 만나 폭발적인 연소반응을 하게 된다. 폭발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건물 붕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백드래프트는, 화염이 폭풍을 동반하여 산소가 유입된 곳으로 갑자기 분출되기 때문에 폭발력 또한 매우 강한바, 화재 진압을 하는 소방관이나 실내 거주자의 대피상황을 매우 위험하게 하여 치명적인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히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항상 백드래프트 발생 여부를 유의해서 화재를 진압하거나 대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백드래프트의 징후를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은 균열된 틈이나 작은 구멍을 통하여 건물 안으로 공기가 빨려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되거나 이로 인한 특이한 소리가 들리는 경우, 화염은 보이지 않으나 창문이나 문 손잡이가 뜨거운 경우, 유리창의 안쪽으로 타르와 유사한 기름성분의 물질이 흘러내리는 경우, 창문을 통해 보았을 때 건물 내에서 연기가 소용돌이치거나 맴도는 경우 등이 있다. 하지만 긴급한 화재 상황에서 이러한 징후들을 육안 구분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기 때문에,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면서 화재를 진압하거나 안전한 곳으로 대피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온도상승을 감지하여 화재 진행 상황과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고, 관련된 장치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함으로써, 소방관 또는 대피자가 화재로 인한 실내 온도 상승, 전실화재(Flashover)와 백드래프트 발생 징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피난시 화재구역을 피해서 피난하고,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발생으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는,
손으로 쥐어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문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및/또는 고정부(200)의 표면에 형성되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변색층(300) 위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변색층(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변색층(300)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상기 몸체부(100) 및/또는 고정부(200)의 표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변색층(300)은,
두 가지 이상의 상기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변색층(300)은,
각각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에 따르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함으로써, 소방관 또는 대피자가 밀폐된 실내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발생으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하고, 온도상승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로드(rod) 형태의 몸체부(100)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온도변색층(300)이 온도상승을 통한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다수의 구간으로 형성된 온도변색층(300)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보호막층(4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100: 몸체부 200: 고정부
300; 온도변색층 400: 보호막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는 몸체부(100), 고정부(200) 및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함으로써, 소방관 또는 대피자가 밀폐된 실내 공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발생으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하고, 온도상승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몸체부(100)는 손으로 쥐어져서 문을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며, 고정부(200)는 몸체부(100)를 문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도 1은 원형의 몸체부(100)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rod)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온도변색층(300)은 실내 공간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화재 시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 및/또는 고정부(2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변색층(300)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몸체부(100) 및/또는 고정부(200)의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90℃, 100℃, 120℃, 150℃, 180℃, 20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온도변색층(300)이 온도상승을 통한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감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는 문의 앞면과 뒷면에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이를 통해 실내 및 실외에서 문을 개폐할 수 있다. 문이 닫힌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열로 인해 실내 공간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면서 해당 열이 문 손잡이(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의 뒷면(실내 공간)에 배치된 금속 재질의 문 손잡이(10)의 몸체부(100) 및 고정부(200)로 전도된다.
문의 양면에 설치된 문 손잡이(10)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바, 문의 뒷면(실내 공간)에 설치된 문 손잡이(10)로 전도된 열은 즉시 문의 앞면(실외)에 설치된 문 손잡이(10)로 전도될 수 있고,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면 문의 양면에 설치된 문 손잡이(10)에 형성된 온도변색층(300)의 색이 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또는 대피자들이 화재를 피하기 위하여 어떠한 실내로 들어가기 위해 문을 개방하려고 할 때, 문 손잡이(10)의 색 변화를 보고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 여부를 즉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바,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밀폐된 실내 공간의 온도상승 정도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의 몸체부(100) 및 고정부(200)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실내에 설치된 문 손잡이(10)로 전도된 열이 모두 실외에 설치된 문 손잡이(10)로 전도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문 손잡이(10)로 전도된 열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바, 실내와 실외에 설치된 문 손잡이(10)의 온도가 상이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변색층(300)을 형성하는 온도변색물질이 60℃의 변색온도를 갖는 경우, 실내에 설치된 문 손잡이(10)의 온도는 60℃ 이상이 되어 온도변색층(300)의 변색이 일어나더라도 실외에 배치된 문 손잡이(10)의 온도는 60℃ 이하가 되어 온도변색층(300)의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이 훈소상태에 있다고 하더라도 실내 공간의 온도는 여전히 높은 상태(대략 1100℃정도)를 유지할 것인바, 내부 공간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백드래프트 현상의 발생 확률 및 화염의 폭발력도 그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온도 변색층(300)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다수의 구간으로 형성된 온도변색층(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변색층(300)은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온도변색층(300)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온도변색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 공간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현상의 발생 확률 및 화염의 폭발력 정도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와 실외에 설치된 문 손잡이(10)의 온도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실내와 실외에 설치된 문 손잡이(10) 중 어느 하나의 온도변색층(300)만 변색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전실화재(Flashover) 및 백드래프트 징후의 감지를 위해 실내 공간의 온도상승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호막층(400)은 온도변색층(300)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10)에서 보호막층(4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막층(400)은 온도변색층(300) 위에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온도변색층(300)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며, 온도변색층(300)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손으로 쥐어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포함하는 문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및 고정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어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온도변색층(300)을 포함하되,
    상기 온도변색층(300)은,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상기 몸체부(100) 및 고정부(200)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온도변색층(300) 위에 형성되어 상기 온도변색층(3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변색층(300)은,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상승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PCT/KR2013/006107 2012-07-09 2013-07-09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WO20140109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359A KR101243386B1 (ko) 2012-07-09 2012-07-09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KR10-2012-0074359 2012-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10922A1 true WO2014010922A1 (ko) 2014-01-16

Family

ID=4818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6107 WO2014010922A1 (ko) 2012-07-09 2013-07-09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386B1 (ko)
WO (1) WO2014010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7352A (zh) * 2021-05-27 2021-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门锁的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门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22B1 (ko) 2019-08-26 2020-07-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드래프트 방지용 도어손잡이
KR102235143B1 (ko) * 2019-10-08 2021-04-02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KR102233091B1 (ko) * 2019-11-22 2021-03-29 주식회사 켐코 자기소화성 물질이 포함된 테이프 제조 기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55Y1 (ko) * 2001-11-23 2002-04-10 (주)화진금속 감온기능을 가진 문 손잡이
JP2007090071A (ja) * 2005-09-26 2007-04-12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料理器具用の熱変色蓋
KR100880175B1 (ko) * 2008-07-22 2009-01-23 오성듀랄루민(주) 온도계가 부착된 등산용 지팡이
JP2010169270A (ja) * 2009-01-20 2010-08-05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55Y1 (ko) * 2001-11-23 2002-04-10 (주)화진금속 감온기능을 가진 문 손잡이
JP2007090071A (ja) * 2005-09-26 2007-04-12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td 料理器具用の熱変色蓋
KR100880175B1 (ko) * 2008-07-22 2009-01-23 오성듀랄루민(주) 온도계가 부착된 등산용 지팡이
JP2010169270A (ja) * 2009-01-20 2010-08-05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27352A (zh) * 2021-05-27 2021-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门锁的解锁方法、装置、存储介质及智能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386B1 (ko) 201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0922A1 (ko) 상온이상의 온도상승 감지를 통한 화재 진행 정도 감지 기능을 갖는 문 손잡이
WO2014104580A1 (ko) 피난장치
CN109324149A (zh) 一种电缆的阻燃和耐火检测装置
CN101168604B (zh) 一种采煤机低烟低卤屏蔽橡套软电缆
CN211349680U (zh) 一种消防安全体验装置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KR102388786B1 (ko)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 시설물 및 그 연기확산 실험 방법
CN216559768U (zh) 一种外幕墙系统防火试验装置
CN201183053Y (zh) 防火节能型通风柜
CN211313957U (zh) 一种防火窗
CN202957003U (zh) 一种安全出口指示牌及使用这种指示牌的紧急疏散系统
CN106661913B (zh) 消防墙壳体系统
CN214253389U (zh) 一种弱电工程安全报警装置
KR101477088B1 (ko) 반대편 방화구획의 화재 상황 감지가 가능한 방화셔터
CN114137145A (zh) 一种外幕墙系统防火试验装置及方法
CN211719282U (zh) 一种阻燃耐火低烟无卤电缆
WO2018212469A1 (ko) 고층건물 비상탈출용도의 내화·방연 구조로 된 도관 장치
KR20190088290A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CN211573262U (zh) 一种具有双重密封结构的内开式防火窗
CN216536609U (zh) 一种消防工程用耐高温防护服
CN207233442U (zh) 一种耐老化抗干扰防火监控线
KR102335567B1 (ko) 소방호스 연결이 가능한 백드래프트 대응 출입문
KR102442054B1 (ko) 연기거동에 따른 피난훈련용 실화재 훈련장의 유해가스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4587A (ko) 고온에 반응하는 비상스티커
Smolka et al. Wind Driven (Forced Draught) Impact on Enclosure F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6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645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