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91444A1 -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91444A1
WO2013191444A1 PCT/KR2013/005363 KR2013005363W WO2013191444A1 WO 2013191444 A1 WO2013191444 A1 WO 2013191444A1 KR 2013005363 W KR2013005363 W KR 2013005363W WO 2013191444 A1 WO2013191444 A1 WO 20131914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nnel state
state information
base station
information
quant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3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효진
박정수
이용환
변용석
김윤선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914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914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898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 H04L25/03904Spatial equalizers codebook-based design cooperative design, e.g. exchanging of codebook information between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Definitions

  • the user selects cells having a small quantization error of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in a process of deciding actual cells to be serviced among signal transmission candidate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perative transmission schem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which reduces channel feedback overhead and improves transmission efficiency by feedback channel information of corresponding cells together with information.
  • Multi-antenna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ing beamforming using multiple antennas may improv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k due to constructive interference between multiple channels.
  • SINR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 CoMP multi-antenna-based cooperative operation technology
  • a process of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estimated by a receiver to a transmitter base station is required.
  • explicit channel quantization it is considered as a method of feeding back the current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CDI) estimated by the terminal and a codebook index having the smallest error.
  • CDI current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 a feedback overhead increases.
  • inter-beam interference is a major cause of deterioration of user performan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multiplexing beamforming used when the strength of the serving signal is large due to the increase in the log channel capacity in log scale with respect to the SINR.
  • an intelligently moving terminal adaptively selects cells having a small quantization error among cooperative candidate cells, and selects a channe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elected cell information. Feedback can be brought back together to improve the channel capac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 a communication method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t least one antenna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pilot signal from at least one base station; Estim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pilot signal; And quantizing the channel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estim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determining an error between the quantized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channel state information.
  • a communication method of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using one or more antennas includ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pilot signal; And receiving the selected base station information and the quantized channel state information.
  • Multi-user beamforming with multiple antennas can be used to greatly increase the radio channel capacity when cooperating between multiple cells.
  • inaccurate feedback of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causes interference between multiple beams, which limit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base station cooperative operation as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by selecting only the base stations with a small quantization error among the base station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on to deliver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with the selected base station index. .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procedur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may be displayed as a user.
  • 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one or more base stations 1,..., Participating in a cooperative transmission. ..., User u 1 ,... Serviced by N 101 and the one or more base stations via cooperative beamforming. , u M 103.
  • One or more base stations 101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on may serve the users 103 having one or more receiving antennas using N T transmitting antenna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xtension to the case where the user uses a plurality of receive antennas is easily possible.
  • the users 103 may have different channel environments for the one or more base stations 101.
  • the user may feedback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estimated through the pilot signal to one or more serving base stations for cooperative operation.
  • the beam generator 105 of the at least one base station 101 receiving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receive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107 using a beam weight vector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feedback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field 103.
  • the base stations participating in the cooperation may be connected to the wired backhaul link 109 to share data signals to be sent to the user and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d back by the user.
  • the base stations may determine a user to service based on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d back by the user received through the wired backhaul link 109.
  • a channel vector representing the channel characteristics between base station i and user u k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ed by the user u k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 quantized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in a system using explicit channel quantization Is a set of codebook vectors consisting of unit vectors It is determined by one element, and follows the conditions as shown in Equation 2 and Equation 3 below.
  • B represents the number of channel quantization feedback bits
  • Is a matrix Denotes a Hermitian matrix.
  • Equation 5 A set that satisfies Equation 4 below It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Equation 5.
  • the user If incorrect channel information is fed back due to the quantization error, it may interfere with a signal sent to an adjacent user, causing performance degradation.
  • a user selects a base station having a small quantization error among all cooperative candidate base stations and feeds back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 First user May calculate a quantization error generated when quantizing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estimated for all cooperative candidate base stations.
  • the quantization error for the base station i is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 the user Is the calculated quantization error Top of least quantization error based on Base stations can be selected.
  •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fed back to the serving base station together with the index information about the base stations selected in this way.
  • the value of may be a preset value.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a user receives a pilot signal, estimates a channel between each base station and itself using the received pilot signal, and calculates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 step 203 the user quantizes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calculated in step 201. Quantization of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through a codebook,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hannel information may be quantized using channel quantization.
  • the user may calculate a quantization error value between the quantized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obtained in operation 203 and the actual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 step 207 based on the quantization error calculated by the user in step 205, having the smallest quantization error among the N base stations Base stations may be selected.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terminal K 300 may include a transceiver 310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 the transceiver 310 may include one or more antennas.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in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base station may broadcast a pilot signal to an adjacent terminal.
  • the broadcast signal may be a preset signal, and the terminal receiving the pilot signal may grasp channel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may receive the selected base station index and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edback from the terminal.
  • the base station index selected by the terminal may calculate a quantization error, and a preset number of base stations may be selected from the base stations with small calculated quantization errors.
  • the base station may select a user to service based on the received base station index.
  • a beam weight corresponding to a user to be service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received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edback.
  •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data by applying the beam weight to the user to be serviced.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500 may include a data receiver 501, a signal generator 503, a feedback information receiver 505, a signal transmission determiner 507, and a signal transmitter 509.
  • the data receiver 301,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r 305, and the signal transmitter 309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ceiver.
  • the signal generator 303 and the signal transmission determiner 307 may be referred to as a controller.
  • the data receiver 501 may receive data about service candidate users from a higher network and transmit the data to the signal generator 503.
  • the feedback information receiver 505 may transmit the base station index and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eedback from the users to the signal transmission determination unit 507.
  • the signal transmission determining unit 507 determines which user he / she will serve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index returned by the users, and transmits the user to the signal generation unit 503 along with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users.
  • the signal generator 503 selects only the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s to be serviced received from the signal transmission determiner 507 from the user data received from the data receiver 501, and selects the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s.
  • the beam weight to be transmitted is generated to generate a signal to be actually transmitted,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509.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signal transmission performed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N cooperative transmission candidate base stations 601 may broadcast 605 a pilot signal to neighboring users 603.
  • the users 603 receiving the pilot signal may estimate a channel corresponding to each base station 401 and calculate 607 a quantization error.
  • the terminal 603 may select a base station for feeding back channel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quantization error (609), and feed back 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for the base station with the selected base station index (611).
  • the base stations may determine users to service and generate a beam weight 613 to service the determined users. Based on the set beam weights, the base stations may transmit data to service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셀이 협력하여 사용자를 서비스하는 협력통신(CoMP) 환경에서 기지국과 사용자가 협력적으로 서비스 받을 셀을 선택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처한 채널 상태에 따라서 서비스 후보 셀 중에 실제 서비스 받을 셀을 채널 양자화 오차를 고려하여 선택함으로써 다중 셀 협력전송 시에 주파수 효율 향상을 얻을 뿐 아니라, 다중 셀 협력전송을 위한 채널 정보 궤환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본 발명은 다중 셀이 협력하여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신호 전송 후보 셀들 중 실제 서비스 받을 셀들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채널 방향 정보의 양자화 오차가 작은 셀들을 선택하고, 선택한 셀 정보와 함께 해당 셀들에 대한 채널 정보를 궤환 함으로써 채널 궤환 오버헤드를 줄이는 동시에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협력적 전송 기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안테나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로써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을 이용하면 다중 채널 간의 보강간섭으로 인하여 무선통신 전송 링크의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 안테나 기반의 다중 셀 간의 협력 운용 기술(CoMP)은 인접 섹터나 인접 셀로부터 받는 간섭을 제거하고, 다중 셀이 협력적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셀 경계 사용자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기법으로 널리 고려되고 있다.
상기 다중 셀 협력 운용 기술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신단에서 추정한 채널 정보를 송신단 기지국에게 궤환(feedback)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례로, 명시적 채널 양자화(explicit channel quantization)의 경우에 단말이 추정한 현재 채널 방향 정보(channel direction information, CDI)와 가장 오차가 작은 코드북(codebook) 인덱스를 궤환하는 방법으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다중 셀 협력 운용 환경에서는 다수의 셀에 대한 채널 방향 정보를 궤환하여 서비스 받게 되므로 궤환 오버헤드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를 같은 자원에서 동시에 서비스를 하는 경우, 양자화 오차에 따른 부정확한 채널 방향 정보는 다중 빔 간의 간섭을 유발하게 된다. SINR에 관하여 로그(log) 스케일로 증가하는 무선 채널 용량의 특성상 서빙 신호의 세기가 클 때에 사용되는 공간 다중화 빔포밍의 특성상 다중 빔 간 간섭은 사용자 성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
다중 셀 협력 전송 시에 궤환 오버헤드를 줄이는 동시에 양자화 오차로 인한 성능 저하를 완화하기 위하여 지능적으로 움직이는 단말이 협력 후보 셀들 중 양자화 오차가 작은 셀들을 적응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셀 정보와 함께 채널 방향 정보를 함께 궤환하여 무선 통신의 채널 용량을 향상을 가지고 올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통신 방법은 1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양자화 하고, 상기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와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 사이의 오차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돈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1개 이상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신 방법은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중 셀 간의 협력 운용 시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빔포밍을 사용함으로써 무선 채널 용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으나, 부정확한 채널 방향 정보의 궤환은 다중 빔 간의 간섭 문제를 야기하므로 성능 개선의 한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협력에 참여하는 기지국들 중에 양자화 오차가 작은 기지국들만을 선택하여 선택한 기지국 인덱스와 함께 채널 방향 정보를 전달하게 함으로써 종래 기법을 사용한 경우에 대비하여 다중 기지국 협력 운용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통신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신호 전송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되는 내용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은 사용자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다른 통신 시스템은 협력 전송에 참여하는 1개 이상의 기지국 1,…,N(101) 및 상기 1개 이상의 기지국이 협력 빔포밍을 통하여 서비스하는 사용자 u1,…,uM(1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력에 참여하는 1개 이상의 기지국(101)은 각각 NT 개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한 개이상의 수신 안테나를 가진 상기 사용자들(103)을 서비스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수 개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로의 확장은 쉽게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들(103)은 상기 1개 이상의 기지국(101)에 대하여 서로 다른 채널 환경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파일럿 신호를 통해 추정한 채널 방향 정보를 협력 운용을 위하여 1개 이상의 서빙 기지국에게 궤환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방향 정보를 수신한 상기 1개 이상의 기지국(101)의 빔생성기(105)에서는 궤환 받은 채널 방향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된 빔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신호생성기(107)에서 생성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들(1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협력에 참여하는 기지국들은 유선 백홀 링크(109)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보낼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사용자가 궤환한 채널 방향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들은 유선 백홀 링크(109)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가 궤환한 채널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할 사용자를 결정 할 수 있다.
기지국 i와 사용자 uk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 백터를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1
라고 하면, 사용자 uk 가 수신하는 신호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1
여기서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2
는 기지국 i와 사용자 uk 사이의 경로 감쇠(path loss)를 나타내고,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3
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4
인 복소 가우시안 잡음(complex Gaussian noise)을 나타내고,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5
는 기지국 i와 사용자 uk 사이의 단기 페이딩(small-scale fading) 성분을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6
는 기지국 i가 사용자 uj를 서비스 해주기 위하여 생성한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7
빔 가중치를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8
는 사용자 uj에게 전송해줄 데이터를 나타낸다.
사용자 uk는 자신과 기지국 i 사이의 채널인 hi,uk에 대하여 채널 방향 정보를 양자화하여 기지국 i에게 궤환한다. 이 때 명시적 채널 양자화(explicit channel quantization)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양자화된 채널 방향 정보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09
는 단위 벡터(unit vector)들로 이루어진 코드북(codebook) 벡터 집합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0
중 하나의 원소로 정해지며, 하기 <수학식 2>, <수학식 3>과 같은 조건을 따른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2
수학식 3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3
이 때, B는 채널 양자화 궤환 비트수를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1
는 유클리드 놈 연산자 (Euclidean norm operator)를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2
는 행렬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3
의 복소전치 행렬(Hermitian matrix)을 나타낸다.
한편, 기지국 i는 사용자 uk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4
에 직교하면서도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5
가 가장 큰 SINR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빔을 형성한다. 이를 하기 <수학식 4>를 만족하는 집합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6
에 대하여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4
수학식 5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5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사용자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7
가 받는 간섭을 수식적으로 나타내면 하기 <수학식 6>과 같다.
수학식 6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6
따라서, 사용자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8
가 양자화 오차로 인하여 부정확한 채널 정보를 궤환하게 될 경우, 인접 사용자에게 보내는 신호를 간섭을 받게 되어 성능 저하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간섭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체 협력 후보 기지국들 중에 양자화 오차가 작은 기지국을 선택하여 채널 방향 정보를 궤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우선 사용자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19
는 전체 협력 후보 기지국들에 대해 추정한 채널 방향 정보를 양자화할 때에 발생하는 양자화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 i 에 대한 양자화 오차는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7
Figure PCTKR2013005363-appb-M000007
사용자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20
는 상기 계산한 양자화 오차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21
에 기반하여 양자화 오차가 가장 작은 상위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22
개의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선택된 기지국들에 대한 인덱스 정보와 함께 채널 방향 정보를 서빙 기지국에게 궤환할 수 있다. 상기 의 값은 기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01단계에서 사용자는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과 자신 사이의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 방향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203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201단계에서 계산한 채널 방향 정보를 양자화한다. 채널 방향 정보를 양자화하는 것은 코드북을 통해서 이루어 지며, 실시예에 따라 채널 양자화를 사용하여 채널 정보를 양자화 할 수 있다.
205단계에서 사용자는 상기 203단계에서 구한 양자화된 채널 방향 정보와 실제 채널 방향 정보 사이의 양자화 오차 값을 계산할 수 있다.
207단계에서는 상기 205단계에서 사용자가 계산한 양자화 오차에 기반하여 전체 N개의 기지국 중 양자화 오차를 가장 작게 가지는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23
개의 기지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
209단계에서는 상기 207단계에서 선택한 기지국의 인덱스와 함께 해당 기지국들에 대한 양자화된 채널 정보를 궤환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단말 K(300)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310)는 1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 K(300)은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채널 정보를 양자화 하며 양자화된 채널 방향 정보와 실제 채널 방향 정보 사이의 양자화 오차 값을 계산할 수 있는 제어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계산된 양자화 오차 값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신한 기지국 중 양자화 오차 값이 작은 기지국
Figure PCTKR2013005363-appb-I000024
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택된 기지국 정보와 양자화된 채널 정보는 상기 송수신부(310)를 통해 기지국으로 궤환 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통신 절차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기지국은 인접한 단말에게 파일럿 신호를 동보할 수 있다. 동보하는 파일럿 신호는 기 설정된 신호 일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채널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선택된 기지국 인덱스 및 채널 방향 정보 궤환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선택된 기지국 인덱스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자화 오차를 계산하고 계산된 양자화 오차가 작은 기지국 중 기 설정된 개수의 기지국이 선택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기지국은 수신한 상기 선택된 기지국 인덱스를 기반으로 서비스할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채널 방향 정보 궤환을 기반으로 서비스할 사용자에 대응되는 빔 가중치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할 사용자에게 상기 빔 가중치를 적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I (500)는 데이터 수신부(501), 신호 생성부(503), 궤환 정보 수신부(505), 신호 전송 판단부(507) 및 신호 전송부(509)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301), 궤환 정보 수신부(305) 및 신호 전송부(309)를 송수신부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303) 및 신호 전송 판단부(307)를 제어부라 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501)에서는 상위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후보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 생성부(50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궤환 정보 수신부(505)에서는 사용자들로부터 궤환받은 기지국 인덱스와 채널 방향 정보를 신호 전송 판단부(507)에게 전달할 수 있다.
신호 전송 판단부(507)에서는 상기 사용자들이 궤환한 기지국 인덱스에 따라서 자신이 어떤 사용자를 서비스 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사용자들에 대한 채널 방향 정보와 함께 신호 생성부(503)에게 전달한다.
신호 생성부(503)에서는 상기 신호 전송 판단부(507)로부터 전달받은 서비스할 사용자들에게 보낼 데이터만을 상기 데이터 수신부(501)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데이터에서 선택하고, 해당 사용자들에 대한 채널 방향 정보에 따라 전송할 빔 가중치를 생성하여 실제 전송할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신호 전송부(509)에게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과 사용자 간에 수행되는 신호 전송을 위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N 개의 협력 전송 후보 기지국들(601)은 주변 사용자들(603)에게 파일럿 신호를 동보(broadcast)(605)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신호를 받은 상기 사용자들(603)은 각 기지국(401)에 대응되는 채널을 추정하고, 양자화 오차를 계산(607)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603)은 양자화 오차를 고려하여 채널 정보를 궤환할 기지국을 선택(609)하고, 선택된 기지국 인덱스와 함께 해당 기지국에 대한 채널 방향 정보를 궤환(611)할 수 있다.
궤환받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기지국들은 서비스할 사용자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빔 가중치를 생성(613)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빔 가중치를 바탕으로 하여 기지국들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해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의 단말기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1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양자화 하고, 상기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와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 사이의 오차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채널 상태 정보 오차를 기반으로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상기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오차가 적은 N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은 기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1개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순시적인 단기 페이딩 채널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양자화 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코드북을 기반으로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와 가장 유사한 상기 코드북의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개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1개 이상의 안테나에 각각 대응되는 빔 포밍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개 이상의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1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파일럿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양자화 하고, 상기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와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 사이의 오차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판단된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오차를 기반으로 기지국을 선택하며,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상기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상태 정보 오차가 적은 N개의 기지국을 선택하며,
상기 N은 기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개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순시적인 단기 페이딩 채널을 추정하여 상기 채널 상태 정보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코드북을 기반으로 상기 추정된 채널 상태 정보와 가장 유사한 상기 코드북의 채널 상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개 이상의 안테나부를 포함하며 데어터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된 기지국 정보 및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선택된 기지국 정보에 상기 제어부가 포함된 기지국이 포함된 경우에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양자화된 채널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1개 이상의 안테나부에 각각 대응되는 빔 포밍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PCT/KR2013/005363 2012-06-18 2013-06-18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WO201319144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086 2012-06-18
KR1020120065086A KR101997822B1 (ko) 2012-06-18 2012-06-18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91444A1 true WO2013191444A1 (ko) 2013-12-27

Family

ID=4976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363 WO2013191444A1 (ko) 2012-06-18 2013-06-18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7822B1 (ko)
WO (1) WO2013191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74B1 (ko) * 2015-06-19 2016-09-2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시스템의 동작 제어 방법
CN113364496B (zh) * 2021-05-18 2022-08-09 西安交通大学 一种基于建设性干扰的多小区分布式协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198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수신 장치, 기지국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신호 결합 방법
US20100104033A1 (en) * 2008-10-24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69164A (ko) * 2008-10-10 2011-06-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127054A (ko) * 2010-05-18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통신을 위한 적응적 피드백 및 적응적 전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120014424A1 (en) * 2010-07-15 2012-01-1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ing predictive vector quant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670B1 (ko) * 2008-12-02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협력 기지국 클러스터를 이용한 기지국 협력 기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307512B1 (ko) * 2009-12-18 2013-09-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6198A (ko) * 2007-12-18 2009-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수신 장치, 기지국의 송신 장치 및 수신 신호 결합 방법
KR20110069164A (ko) * 2008-10-10 2011-06-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피드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104033A1 (en) * 2008-10-24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ble channel state feedbac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27054A (ko) * 2010-05-18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셀 협력 통신을 위한 적응적 피드백 및 적응적 전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20120014424A1 (en) * 2010-07-15 2012-01-1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munica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using predictive vector quant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822B1 (ko) 2019-07-08
KR20130141941A (ko) 201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346B2 (ja) コラボラティブ多入力多出力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プリコーディングされた信号を送信する方法
WO2013100579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perating in fdd mode
EP2227869B1 (en) Method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KR101507088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빔 성형 및 공간분할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WO2010005162A1 (en) Collaborative mimo using sounding channel in multi-cell environment
US9820290B2 (en) Virtual antenna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of virtual antenna mapping information in MIMO system
WO201010142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multi-user interference in multi-antenna system
WO20090938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feedback channel in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KR101650699B1 (ko) 프리코딩 및 프리코딩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다중 사용자 mimo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방법
WO201302227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alog beam in hybrid beam-forming system
WO2014112779A1 (ko) 이차원 평면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 전송 및 하이브리드 공간분할 다중화와 공간분할 다중 접속 방법 및 장 치
WO2010079913A2 (ko) 다중 셀 협력에 기반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8633006B (zh) 一种上行发送波束确定方法和装置
KR20090109644A (ko) 복합 분할 복신 기반의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빔포밍 장치 및 방법
KR20120014792A (ko) 상향 링크에서의 다중 사용자 간섭 정렬 시스템 및 방법
JP5744833B2 (ja) Mimo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
WO2014163451A1 (ko) 거대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141199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back channel estimation in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KR20110078084A (ko) 네트워크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244546A1 (e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baseband apparatus for use with multiple remote radio heads
JP2020512745A (ja) 機器ビーム相反性特定方法、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134520A (ko) Mu­mimo 간섭 채널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간섭정렬 송수신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3191444A1 (ko) 다중셀 협력통신 시스템에서 협력적 신호 전송 방법
WO2016195334A1 (ko) Mimo 기반 빔포밍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을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2881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하향 링크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063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063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