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3606A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3606A1
WO2013133606A1 PCT/KR2013/001766 KR2013001766W WO2013133606A1 WO 2013133606 A1 WO2013133606 A1 WO 2013133606A1 KR 2013001766 W KR2013001766 W KR 2013001766W WO 2013133606 A1 WO2013133606 A1 WO 20131336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uplink signal
reception beam
recep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17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수룡
김태영
박정호
설지윤
유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382,936 priority Critical patent/US9258785B2/en
Priority to EP13757398.6A priority patent/EP2824976B1/en
Publication of WO20131336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36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evolving to support higher data rates in order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for wireless data traffic.
  • the 4G (4th Generation) system which has been commercialized, has been developed mainly to improve the spectral effici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data rate.
  • 4G (4th Generation) system which has been commercialized, has been developed mainly to improve the spectral effici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data rate.
  •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use a very wide frequency band.
  • a frequency band of less than 10 GHz is generally used, and securing a wide frequency band is very difficul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cure a wider frequency band of a higher frequency band in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 beamforming technique is conventionally used as one of important techniques for mitigating a path loss of radio waves and increasing a transmission distance of radio waves.
  • Beamforming includes transmit beamforming performed at a transmitter and receive beamforming performed at a receiver.
  • the transmission beamforming is a technique of concentrating a region of arrival of radio waves in a specific direction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 the form in which the plurality of antennas are collected is referred to as an antenna array, and each antenna included in the antenna array is referred to as an array element.
  •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signal is not only increased, but since the signal is hardly transmit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interference to the adjacent cell is greatly reduced.
  • the reception beamforming is a technique using an antenna array in the receiver, by increasing the receiving distance of the signal by concentrating the receiving area of the radio wave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reception beamforming provides a gain that blocks an interference signal by excluding a signal receiv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from the received signal.
  • the absolute amount of neighbor cell interference is reduced, and one or more additional beams can be used in the cell.
  • SDMA Spatial /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uplink power control method needs to be different from the uplink power control method used in the previous cellular environment, but conven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beamforming and SDMA technology is used.
  • the uplink power control method suitable for the above is not propo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mobile terminal to transmit a signal by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o allocate an adjacent reception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ntrol variable value calculated by the mobile station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beamforming when the uplink power control the al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nd the reception gain of the angle between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nd the like.
  •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uplink power are proposed.
  • a method for transmitting a UL signal by a first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receiving an interference value for a first received beam used to receive an uplink signal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receive beams of a base station; Receiving, based on the received power control variable from the base station,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remaining received beams other than the first received beam among the plurality of received beams are used for uplink signal reception; Receiving an uplink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determin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based on the received power control variable and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nd using the determined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to transmit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 a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by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based on an interference value for a first receiving beam used to receive an uplink signal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receiving beams of the base station; Determining a power control variable; transmitting the determined power control variable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other receiving beams other than the first receiving beam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beams are used to receive an uplink signal. Transmitting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ignal is genera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us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The 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ansmitted power control variable and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a first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ower control variable determined based on an interference value for a first received beam used to receive an uplink signal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receive beams of a base station; A receiver which receives, from the base station,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remaining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first reception beam of the plurality of reception beams are use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the received power control variable and the neighboring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based on the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determined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power control variable is determined based on an interference value for a first receiving beam used to receive an uplink signal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receiving beams of the base station,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djacent reception beam assignment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remaining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first reception beam among a plurality of reception beams are use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and the power control variable and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ssignment information;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a first mobile terminal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transmitted using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wherein the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is the transmitted power control variable. And based on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dicting uplink interference amount by performing power control in consideration of internal cell interference amount and the lik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and improving accuracy of uplink power control based on the predicted interference amount. hav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uplink transmis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ccuracy of the uplink power control.
  • FIG. 1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graph illustrating a gain pattern of a reception beam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by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by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suring stable link performance by performing power control according to the amount of beam interference allocated through up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 Equation 1 Denote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L denotes the radio wave attenuation, NI denotes the external interference and noise, Represents the target SINR or the required SINR.
  • Equation 1 when beamforming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nce adjacent cell interference is significantly reduced, the importance of power control using Equation 1 is reduced.
  • SDMA Spatial /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 Equation 2 may be used for the additional power control.
  • Equation 2 I_Inter represents interference due to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an adjacent cell, I_Intra represents interference due to mobile terminals included in the same cell, and Pnoise represents intensity of white noise.
  • Equation 2 () linear ⁇ dBm indicates that the linear value in parentheses is converted to dBm.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for accurately performing uplink power control by accurately predicting an inter-beam interference value due to additional beam usage in the same cell.
  • Equation 3 a power control equation such as Equation 3 may be used. Unlike Equation 2 described above, Equation 3 allows power control to be performed by additionally using an amount of change of interference generated by interference between beams in the same cell.
  • ⁇ I_intra represents an amount of change in interference caused by inter-beam interference in the same cell at a specific time point.
  • the ⁇ I_intra may be determined based on an angle between reception beams for transmission signals of respective mobile terminals transmitting simultaneously in the same frame.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1 to describe this in detail.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base station 100 exists at the center of a cell, and mobile terminal A 102 transmits a signal toward a receive beam A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the received beam A.
  • An example of receiving the signal us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any mobile terminal B 104 transmits a signal toward another reception beam B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base station 100 transmits a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B 104 to the reception beam.
  • the angle between the reception beams for the transmission signals of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A and B 102 and 104 is ⁇ .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ption gain in the reception beam A and the reception beam B is shown in FIG. 2.
  • FIG. 2 is a graph illustrating a gain pattern of a reception beam of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obile terminal A 202 transmits a signal to a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receives a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A 202 through a receive beam A, and mobile terminal B 204 receives the signal.
  • the base station 200 transmits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200 and receives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B 204 through the receiving beam B, at the angle ⁇ between the receiving beam A and the receiving beam B.
  • the receive gain for the signal is determined by the interference value reduced by -11 dB.
  • the mobile terminal A 202 and the mobile terminal B 204 transmit a signal with the same power at the same distance, the reception of the base station 200 f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A 200 In beam A, the signal of mobile terminal B 204 is received with a signal strength that is -11 dB less than the actual transmission signal strength of mobile terminal B 204.
  • the amount of interference affecting each other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ngle between the corresponding reception beams. That is, the greater the angle, the less the amount of interference, and the smaller the angle, the greater the amount of interference.
  • an arbitrary power control variable is determined using the angle between the signals.
  • the power control variable It may be expressed as, for example, the following equation (4).
  • Equation 4 Denotes a power control variable (for example, may indicate a difference value of interference amount of adjacent reception beams) determined based on a reception gain of another reception beam spaced n from the corresponding reception beam. Denotes an angle between the corresponding reception beam and the other reception beam.
  • the power control variabl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4 is used for uplink power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is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ignal toward the adjacent reception beam during the fram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or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reception 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three forms. Hereinafter, the three types of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propos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corresponds to a frame in which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signal in response to the reception beam, and uplink in response to the remaining reception beams except for the reception beam. It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re are mobile terminals transmitting a signal.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a broadcast channel or used in a bitmap format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P') so that mobile terminals using the same reception beam may be commonly used. It is included and transmitted.
  • the base station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 + 2th reception beam 302 and the i-3rd reception beam 304 together with the i-th corresponding reception beam 300,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same in the same frame.
  • the presence or absence information on the adjacent reception beams of the i-th reception beam 300 is generated as bitmap allocation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lists indices of reception bea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ference reception beams') that are determined to cause interference above the i-th reception beam 300 from the left or in order according to an arbitrary rule. . And the base station is set to 1 when the corresponding reception beam is used for signal reception during the frame in which the i-th reception beam 300 is used, corresponding to each index of the interference reception beams, and 0 otherwise. Set to. That is,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remaining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i th reception beam 300 (ie, i-4 th reception beam, i-3 th reception beam, i-1 th reception beam, i + 1 th reception beam, i).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ssig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such that a value of 1 or 0 is mapped to each of the indices of the +2 th reception beam, the i + 3 th reception beam, and the i + 4 th reception beam.
  • the i + 2 th reception beam 302 and the i-3 th reception beam 304 are used during a frame in which the i th reception beam 300 is used for signal reception.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ssignment information is generated such that 1 is mapped to each of the indices of the +2 th reception beam 302 and the i-3 th reception beam 304 and 0 is mapped to the indexes of the remaining reception beams.
  • the base station is allocat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MAP (that is, an area allocated for the i-th broadcast channel or mobile terminals using the i-th reception beam 300).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 the MAP also includes channel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mobile terminals using the i-th reception beam 300.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MAP to mobile terminals using the i-th reception beam 300, so that all mobile terminals using the i-th reception beam 300 are adjacently received in a bitmap form in the MAP.
  • the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mobile terminal which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reception beam.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each mobile terminal so that each mobile terminal can directly know whether adjacent reception beams are used for the allocated channel.
  • the overhead of the MAP is increased,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power control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in each mobile terminal.
  • the base station generate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for mobile terminals using an i-th reception beam.
  • the generated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re are mobile terminals transmitting uplink signals corresponding to neighboring reception beams for each channel.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remaining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i-th reception beam corresponding to the CH # 1 with respect to the mobile station A using the first channel (CH # 1) and the i-th reception beam.
  • Information on whether a mobile terminal exists is generated a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itmap.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other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i-th reception beam in correspondence to the CH # 2 with respect to the mobile station B using the second channel (CH # 2) and the i-th reception beam.
  •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xists is generated a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itmap.
  • the bas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remaining reception beams other than the i-th reception beam corresponding to the CH # 3 with respect to the mobile station C using the third channel (CH # 3) and the i-th reception beam.
  •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mobile terminal exists is generated a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itmap.
  • the base station include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channel of each of the mobile stations A, B, and C in the MAP and transmits them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s.
  •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configuration of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verhead of MAP transmission may be reduced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of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together.
  • the base station generates first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presence or absence information on neighboring reception beams of the i-th reception beam according to the first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generates second bitmap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adjacent reception beams for each channel are used according to the second configuration of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the base station includes the first bitmap information in a preset position of the MAP.
  •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MAP by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adjacent reception beam is used for each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bitmap information. Then, each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MAP can perform power control more accurately for each channel while reducing overhead.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uplink power control equation as shown in Equation 5 based on the power control variable for each adjacent reception beam of Equation 4 described above and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 Equation 5 S (n) indicates whether an nth neighboring reception beam is allocated.
  • Equation 5 by multiplying the power control variable for each adjacent reception beam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llocation of the adjacent reception beam, if the adjacent reception beam is used in the same frame, the power control weight for this ) Is multipli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power control.
  • Equation 6 if I_inter + I_intera + Pnoise in Equation 5 is replaced with NI indicating inter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existing cell,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below.
  • Equation 6 may be added to Equation 2 by adding a power control weight to the amount of change of inter-beam interference in the same cell.
  • the mobile station estimates a path attenuation L through downlink measurement,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time averaged interference and noise value NI to the mobile terminals in the cell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NI time averaged interference and noise value
  • the mobile terminal indicates a difference value of interference amount of adjacent reception beams as a power control variable. Is transmitted to each mobile terminal. remind May appear as shown in Table 1 below.
  • Table 1 corresponds to each of the adjacent reception beams of the i-th reception beam. Is shown as an example.
  • the information shown in Table 1 may be used together with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configured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information shown in Table 1 may be used to control the transmission power of each mobile terminal as follows. Referring to FIG. Since the mobile terminal A is allocated an i-3 th neighboring reception beam, the mobile terminal A corresponds to the i-3 th neighboring reception beam in Table 1 above. (I.e. 1 dB) is detected. And the mobile terminal A determines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detected mobile power. By increasing the dB by 1 dB, the target received SINR at the base station (i.e. ) Is satisfied.
  • the mobile terminal B detects 1dB and 2dB corresponding to the i-3rd and i + 2th adjacent reception beams in Table 1 above. .
  • the mobile station B increases the transmit power by the detected two values plus 3 dB.
  • the mobile station C since the mobile terminal C is allocated an i + 2th neighboring reception beam, the mobile station C detects 2dB corresponding to the i + 2th neighboring reception beam in Table 1 and increases the transmission power by the detected 2dB.
  • the angle between adjacent reception beams Power control variable according to
  • uplink power control in the mobil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use of the adjacent reception beam (S (n)) and the like.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eiving an uplink signal by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uses a broadcast channel or the like to transmit power control parameters for adjacent reception beams to each mobile terminal.
  • the power control variable for the adjacent receive beam ( ) Is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receive beams ( ) And a value calculated using the received gain thereof.
  • the power control variable ( )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a difference value of interference amounts of adjacent reception beams shown in Table 1 below.
  • the base station performs uplink scheduling to allocate uplink resources for mobile terminals requiring signal transmission for each frame.
  • the base station classifies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uplink resource is allocated for each adjacent reception beam, and distinguishes a reception beam to be used and a reception beam not to be used.
  • step 606 the base station generates a MAP for mobile terminals to which uplink resources are allocated for each adjacent reception beam.
  • the base station generates neighboring reception beam assignment information S (n).
  •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s together with the MAP in step 610.
  •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MAP in one of three forms shown in FIGS. 3 to 5.
  •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reception beam in a predetermined frame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ends all processes.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by a mobi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700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 power control variable for a neighboring reception beam from a base station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And store it for use for uplink power control in the future.
  •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MAP and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in step 702, and determines whether uplink resources are allocated using the MAP in step 704.
  •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he power control variable (step 708).
  •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 the mobile terminal can use the uplink power control equation shown in Equation (5).
  • the mobile station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determined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in step 710.
  •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se station includes a controller 800, a transmitter 802, a receiver 804, and a memory 806.
  • the transmitter 802 and the receiver 804 are component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nd the memory 806 is a variety of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for example, MAP and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etc.).
  • the controller 800 proposes an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by controlling the transmitter 802, the receiver 804, and the memory 806.
  • the control unit 800 uses a broadcast channel or the like to transmit power control parameters for adjacent reception beams to each mobile terminal.
  • the power control variable for the adjacent receive beam ( ) Is the angle between the adjacent receive beams ( ) And the received gain thereof.
  • the controller 800 performs uplink scheduling to allocate uplink resources for mobile terminals requiring signal transmission for each frame.
  • the controller 800 classifies a mobile terminal to which an uplink resource is allocated for each adjacent reception beam, and distinguishes a reception beam to be used and a reception beam not to be used. Subsequently,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MAP and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S (n) for the mobile terminals allocated to the reception beam to be used.
  • the controller 800 transmits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to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s together with the MAP.
  • the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MAP in one of three forms shown in FIGS. 3 to 5. Subsequently, the controller 800 receives an uplink signal through a predetermined reception beam in a preset frame with the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 FIG. 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controller 900, a transmitter 902, a receiver 904, and a memory 906.
  • the transmitter 902 and the receiver 904 are component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the memory 906 is a variety of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eg, power control variabl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MAP, etc.).
  • the controller 900 proposes an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transmitter 902, the receiver 904, and the memory 906.
  • the control unit 900 is a power control variable (for the adjacent reception beam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broadcast channel, etc.) ) And store it for use for uplink power control in the future.
  • the controller 900 receives MAP and neighboring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an uplink resource is allocated using the MAP.
  • the control unit 900 includes the power control variable ( ) And the adjacent reception beam allocation information to determine an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900 uses the uplink power control equation shown in Equation 5.
  • the controller 900 transmits an uplink signal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determined uplink transmission power value when it is time to transmit an uplink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이동 단말이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traffic)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가 시작된 4G(4th Generation)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로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것만으로는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다. 현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10GHz이하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며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경로 손실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전파의 경로 손실이 증가하면 전파의 도달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결과적으로 서비스 영역(coverage)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 중 하나로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 사용된다.
빔포밍은 송신기에서 수행되는 송신 빔포밍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수신 빔포밍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빔포밍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이 집합된 형태는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로 지칭되며,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각 안테나는 어레이 엘리먼트(array element)로 지칭된다.
상기 송신 빔포밍이 사용될 경우 신호의 전송 거리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해당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송신되지 않으므로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은 크게 감소된다.
한편, 수신 빔포밍은 수신기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기술로서, 전파의 수신 가능한 영역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해당 신호의 수신 거리를 증가시킨다. 상기 수신 빔포밍은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수신 신호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이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 또는 수신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 간섭의 절대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해당 셀 내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빔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하나의 셀 또는 기지국에서 하나 이상의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SDMA(Spatial/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이라 한다.
한편, 빔포밍 및 SDMA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이 이전의 셀룰러 환경에서 사용되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과 달라질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상기 빔포밍 및 SDMA 기술이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인접 수신 빔에 대한 할당 여부 정보 등을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전력 제어시에 인접 수신 빔에 대한 할당 여부 정보와 해당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의 수신 이득으로 산출한 전력 제어 변수 값 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이동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다른 장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내부 셀 간섭량 등을 고려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향링크 간섭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간섭량을 근거로 상향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도 향상에 따라 상향링크 송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 빔에 대한 이득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3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빔포밍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할당되는 빔 간섭량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링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먼저 종래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종래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난 바와 같이, 전파 감쇄(Path loss) 보상, 외부 간섭 및 잡음(Noise and Interference: NI) 보상, 그리고 목표 신호 대 간섭 잡음비(Target 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또는 요구(Required) SINR을 근거로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1
는 이동 단말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며, L은 상기 전파 감쇄를 나타내며, NI는 상기 외부 간섭 및 잡음을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2
은 상기 목표 SINR 또는 상기 요구 SINR를 나타낸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이 사용될 경우 인접 셀 간섭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수학식 1을 사용한 전력 제어의 중요성이 저하된다. 반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DMA(Spatial/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사용될 경우, 셀 내에서 추가적인 빔 사용과 이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셀 내 다른 빔에 대한 추가적인 전력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추가적인 전력 제어를 위해 다음 수학식 2가 사용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I_Inter는 인접 셀에 포함된 이동 단말들로 인한 간섭을 나타내며, I_Intra는 동일 셀 내에 포함된 이동 단말로 인한 간섭을 나타내고, Pnoise는 백색 잡음의 세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에서 ( )linear→dBm은 괄호 안의 linear 값을 dBm으로 변환함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수학식 2에서 사용되는 I_Inter 및 I_intra의 값은 각각 기지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인접 셀 간 간섭의 평균값 및 동일 셀 내 간섭의 평균값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 셀 내에서 추가적인 빔이 사용되는 경우 빔 간 간섭이 발생하고, 이러한 빔 간 간섭은 동시에 할당된 수신 빔에 따라서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동일 셀 내에서의 추가적인 빔 사용에 따른 빔 간 간섭값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향링크 전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하기 수학식 3과 같은 전력 제어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3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2와 다르게,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간섭의 변화량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수학식 3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I_intra는 특정 시점에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간섭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I_intra는 동일 프레임에서 동시에 송신하는 각 이동 단말들의 송신 신호에 대한 각각의 수신 빔들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셀의 중심에 기지국(100)이 존재하고, 이동 단말 A(102)가 상기 기지국(100)의 수신 빔(A)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00)이 상기 수신 빔(A)을 사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임의의 이동 단말 B(104)가 상기 기지국(100)의 또 다른 수신 빔(B)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00)이 상기 이동 단말 B(104)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 빔(B)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 A 및 B(102, 104) 각각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빔들의 사이각은 θ가 된다.
상기 수신 빔(A)에서의 수신 이득과 상기 수신 빔(B)와의 관계를 도시하면 도 2와 같이 나타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 빔에 대한 이득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 A(202)가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 A(202)의 신호를 수신 빔(A)를 통해 수신하고, 이동 단말 B(204)가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200)이 상기 이동 단말 B(204)의 신호를 수신 빔(B)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빔(A)와 수신 빔(B)의 사이각 θ에 대한 수신 이득은 -11dB만큼 감소된 간섭 값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이동 단말 A(202)와 상기 이동 단말 B(204)가 동일한 거리에서 동일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 A(20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200)의 수신 빔 (A)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B(204)의 실제 송신 신호 세기보다 -11dB만큼 적은 신호 세기로 상기 이동 단말 B(204)의 신호가 수신된다.
이렇듯, 서로 다른 두 이동 단말에서 동시에 송신된 신호가 기지국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수신 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간섭량은 해당 수신빔들 간의 사이각에 반비례한다. 즉, 상기 사이각이 커질수록 간섭량은 감소하고 상기 사이각이 작아질수록 간섭량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해당 수신 빔이 아닌 다른 수신 빔을 향해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해당 사이각을 사용하여 임의의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상기 전력 제어 변수는 일 예로,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3
등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4
은 해당 수신 빔으로부터 n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수신 빔의 수신 이득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일 예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낼 수 있음)를 나타내며,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5
는 상기 해당 수신 빔과 상기 다른 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학식 4에 따라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가 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이동 단말이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동안 인접 수신 빔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해당 수신 빔에 대한 정보(이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라 칭함)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3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3가지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해당 이동 단말이 해당 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해당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동일한 수신 빔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되거나 자원 할당 정보(이하'MAP'이라 칭함)의 미리 설정된 부분에 비트맵 형식으로 포함되어 송신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i번째 해당 수신 빔(300)과 함께 i+2번째 수신 빔(302)과 i-3번째 수신 빔(304)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동일한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경우,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의 인접 수신 빔들에 대한 사용 유무 정보를 비트맵 할당 정보로서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에 대해 임계값 이상의 간섭을 발생시킬 것으로 판단되는 수신 빔들(이하'간섭 수신 빔들'이라 칭함)의 인덱스를 좌측부터 또는 임의의 규칙에 따라 차례대로 나열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간섭 수신 빔들의 인덱스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수신 빔이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이 사용되는 프레임 동안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즉, i-4번째 수신 빔, i-3번째 수신 빔, i-1번째 수신 빔, i+1번째 수신 빔, i+2번째 수신 빔, i+3번째 수신 빔, i+4번째 수신 빔)의 인덱스들 각각에 대응하여 1 또는 0의 값이 매핑되도록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i+2번째 수신 빔(302)과 상기 i-3번째 수신 빔(304)이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이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동안 사용되므로, 상기 i+2번째 수신 빔(302)과 상기 i-3번째 수신 빔(304)의 인덱스 각각에 1이 매핑되고 나머지 수신 빔들의 인덱스에는 0이 매핑되도록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기지국은 MAP의 해당 부분(즉, i번째 방송 채널 또는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들에 대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MAP에는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들 각각에 대한 채널 할당 정보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MAP을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들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모든 이동 단말들이 MAP에 비트맵 형태로 포함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인접 수신 빔에 대응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와 달리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각 이동 단말이 할당받은 채널에 대하여 인접 수신 빔들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 이동 단말 별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생성된다. 이 경우, MAP의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각 이동 단말에서 보다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들에 대하여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인접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제1채널(CH #1)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A에 대해서는, 상기 CH #1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제2채널(CH #2)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B에 대해서는, 상기 CH #2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제3채널(CH #3)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이동 단말C에 대해서는, 상기 CH #3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단말 A, B, C 각각의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MAP에 포함시켜 해당 이동 단말들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3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 및 제2구성을 함께 사용하여 MAP 전송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에 따라 i번째 수신 빔의 인접 수신 빔들에 대한 사용 유무 정보를 나타내는 제1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에 따라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들의 사용 유무 정보를 나타내는 제2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비트맵 정보를 MAP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비트맵 정보를 근거로 각 이동 단말 별 인접 수신 빔의 사용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MAP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MAP을 수신한 각 이동 단말은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채널 별로 더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수학식 4의 인접 수신 빔 별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하는 다음 수학식 5와 같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제안한다.
수학식 5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5
상기 수학식 5에서 S(n)은 n번째 인접 수신 빔의 할당 유무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 수신 빔 별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인접 수신 빔의 할당 유무를 곱하는 과정을 통해, 만일 인접 수신 빔이 동일한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전력 제어 가중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6
)가 곱해져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학식 5에서 I_inter + I_intera + Pnoise를 기존 셀 내외부의 간섭을 나타내는 NI로 대체할 경우,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CTKR2013001766-appb-M000006
상기 수학식 6을 수학식 2와 비교하여 보면, 상기 수학식 6은 상기 수학식 2에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의 변화량에 대한 전력 제어 가중치를 추가한 형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 단말은 하향링크 측정을 통해 경로 감쇄(L)를 추정하고, 기지국은 시평균 간섭 및 잡음 값(NI)을 셀 내의 이동 단말들에게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아울러,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7
은 사전에 정의된 값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간 MCS 레벨 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은 전력 제어 변수로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8
를 각 이동 단말에게 송신한다. 상기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09
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표 1
Figure PCTKR2013001766-appb-T000001
상기 표 1에서는 i번째 수신 빔의 인접 수신 빔들 각각에 대응되는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0
를 일 예로 보이고 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경우, 상기 표 1에 나타난 정보는 다음과 같이 각 이동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 A는 i-3번째 인접 수신 빔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i-3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1
(즉, 1d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 A는 송신 전력을 상기 검출된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2
에 따라 1dB 증가시킴으로써 기지국에서의 목표 수신 SINR(즉,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3
)이 만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 B는 i-3번째 및 i+2번째 인접 수신 빔이 동시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상기 i-3번째 및 i+2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1dB 및 2d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 B는 상기 검출된 두 개의 값을 더한 값(즉, 3dB)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동 단말 C는 i+2번째 인접 수신 빔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상기 i+2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2dB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dB 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4
)에 따른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5
)와 해당 인접 수신 빔의 사용 유무(S(n)) 등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방송 채널 등을 사용하여 각 이동 단말에게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6
)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7
)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8
)과 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19
)는 표 1에 나타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602 단계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대하여 신호 송신이 필요한 이동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604 단계에서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을 분류하고, 사용할 수신 빔과 사용하지 않을 수신 빔을 구분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606 단계에서 상기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들에 대한 MAP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608 단계에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S(n))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MAP을 이동 단말들에게 송신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610 단계에서 상기 MAP과 함께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들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시된 3가지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MAP에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은 612 단계에서 해당 이동 단말과의 미리 설정된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수신 빔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방송 채널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0
)를 수신하고, 이를 향후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은 702 단계에서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704 단계에서 상기 MAP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706 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 708 단계에서 상기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1
)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은 수학식 5에 나타난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할 시점이 되면, 71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과 이동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제어부(800), 송신부(802), 수신부(804) 및 메모리(80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802) 및 수신부(804)는 이동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이며, 상기 메모리(806)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일 예로,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송신부(802), 수신부(804) 및 메모리(80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안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800)는 방송 채널 등을 사용하여 각 이동 단말에게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2
)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3
)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4
)과 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이 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대하여 신호 송신이 필요한 이동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을 분류하고, 사용할 수신 빔과 사용하지 않을 수신 빔을 구분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800)는 사용할 수신 빔에 대해 할당된 이동 단말들을 위한 MAP과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S(n))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MAP을 이동 단말들에게 송신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MAP과 함께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들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시된 3가지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MAP에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800)는 해당 이동 단말과의 미리 설정된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수신 빔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제어부(900), 송신부(902), 수신부(904) 및 메모리(90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902) 및 수신부(904)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이며, 상기 메모리(906)는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일 예로, 전력 제어 변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 및 MAP 등)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송신부(902), 수신부(904) 및 메모리(90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안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900)는 방송 채널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5
)를 수신하고, 이를 향후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900)는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MAP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변수(
Figure PCTKR2013001766-appb-I000026
)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900)는 수학식 5에 나타난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사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900)는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할 시점이 되면,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 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제1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간섭값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제1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간섭값은 상기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이동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제1이동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제1이동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이동 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이동 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제1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이동 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검출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섭값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이동 단말.
  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제1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이동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2이동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제1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상기 제1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이동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상기 나머지 수신 빔들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간섭값은 상기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PCT/KR2013/001766 2012-03-05 2013-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313360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82,936 US9258785B2 (en) 2012-03-05 2013-03-05 Uplink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3757398.6A EP2824976B1 (en) 2012-03-05 2013-03-05 Uplink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69 2012-03-05
KR20120022369 2012-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606A1 true WO2013133606A1 (ko) 2013-09-12

Family

ID=4911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1766 WO2013133606A1 (ko) 2012-03-05 2013-03-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8785B2 (ko)
EP (1) EP2824976B1 (ko)
KR (1) KR101977668B1 (ko)
WO (1) WO2013133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28B1 (ko) * 2015-06-04 2021-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259149B (zh) * 2016-12-29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接收参考信号的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CN108271175B (zh) * 2017-01-0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和通信设备
CN110199557B (zh) 2017-01-25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设备
US10237754B1 (en) * 2017-05-12 2019-03-19 Sprint Spectrum L.P. Minimizing interference in different sectors of wireless networks
US10945214B2 (en) * 2017-08-18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JP6952653B2 (ja) * 2018-07-11 2021-10-20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の送信電力を制御する基地局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53500B2 (en) * 2019-09-30 2023-01-10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ed TCI state signaling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CN115087010B (zh) * 2022-06-20 2024-04-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灵活帧结构仿真系统的下行信号检测方法及装置
CN115087012B (zh) * 2022-06-20 2024-04-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灵活帧结构仿真系统的上行信号检测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73A (ko) * 2009-12-03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67317A (ko) * 2009-12-14 2011-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향링크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064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93B1 (ko) * 2001-01-15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7340267B2 (en) * 2002-04-17 2008-03-04 Lucent Technologies Inc. Uplink power control algorithm
KR101287219B1 (ko) * 2006-01-13 2013-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9922B1 (ko) 2006-05-12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방법
US8358631B2 (en) * 2008-09-04 2013-0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eamforming systems and method
US8369791B2 (en) * 2009-09-22 2013-02-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user beamforming with inter-cell interference suppres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473A (ko) * 2009-12-03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67317A (ko) * 2009-12-14 2011-06-2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향링크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064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8785B2 (en) 2016-02-09
EP2824976A4 (en) 2015-10-21
EP2824976B1 (en) 2017-09-20
KR101977668B1 (ko) 2019-05-13
EP2824976A1 (en) 2015-01-14
US20150215873A1 (en) 2015-07-30
KR20130101477A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33606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126130A1 (ko) 우선 순위를 갖는 송신 빔 인덱스 선택 및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41756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uplink in a beam forming system
KR960000147B1 (ko) 셀룰라 무선전화시스템의 송신전력 제어방법
KR970002762B1 (ko) 마호(maho)를 이용한 디지탈 이동 무선 시스템의 지향성 변환 제어
WO201509949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모드 운용을 위한 방법 장치
WO20140035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beam forming-based communication system
WO20131258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3028012A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base statio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multi-cooperative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WO201209644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ell cooperative transmission
WO20140075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resources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4058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WO2011040773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CoMP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단말 장치
WO2013172637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t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40812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nterference cancellation code for inter-base station coordinated communica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10074470A2 (ko) 중계국 선택 방법
WO2013137635A1 (ko) 단말의 상향 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H07107545A (ja) セクタセル構成移動通信システム
WO20150125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6089087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자원 및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0850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code words during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WO2014073780A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WO2009145546A2 (ko)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적응형 부분 주파수 재사용 방법 및 장치
WO2013073825A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펙터 값 결정 방법 및 장치
WO2010101382A2 (en)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femto base station and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73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38293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573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57398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