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668B1 -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668B1
KR101977668B1 KR1020130023482A KR20130023482A KR101977668B1 KR 101977668 B1 KR101977668 B1 KR 101977668B1 KR 1020130023482 A KR1020130023482 A KR 1020130023482A KR 20130023482 A KR20130023482 A KR 20130023482A KR 101977668 B1 KR101977668 B1 KR 10197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ion beam
reception
allocation information
uplink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477A (ko
Inventor
정수룡
김태영
박정호
설지윤
유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6Deriving transmission power values from another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제1단말이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NASMITTING AND RECEIVING A UPLINK SIG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traffic)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가 시작된 4G(4th Generation)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로 주파수 효율성(spectral efficiency)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주파수 효율성을 개선시키는 것만으로는 폭증하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매우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안이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10GHz이하의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며 넓은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좀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광대역 주파수를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통신을 위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파의 경로 손실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전파의 경로 손실이 증가하면 전파의 도달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결과적으로 서비스 영역(coverage)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기술 중 하나로서 빔포밍(beamforming) 기술이 사용된다.
빔포밍은 송신기에서 수행되는 송신 빔포밍 및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수신 빔포밍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빔포밍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파의 도달 영역을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기술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들이 집합된 형태는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로 지칭되며,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포함되어 있는 각 안테나는 어레이 엘리먼트(array element)로 지칭된다.
상기 송신 빔포밍이 사용될 경우 신호의 전송 거리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해당 방향 이외의 다른 방향으로는 신호가 거의 송신되지 않으므로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은 크게 감소된다.
한편, 수신 빔포밍은 수신기에서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기술로서, 전파의 수신 가능한 영역을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해당 신호의 수신 거리를 증가시킨다. 상기 수신 빔포밍은 해당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수신 신호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간섭 신호를 차단하는 이득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 또는 수신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접 셀 간섭의 절대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해당 셀 내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빔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하나의 셀 또는 기지국에서 하나 이상의 빔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송신 또는 수신함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SDMA(Spatial/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이라 한다.
한편, 빔포밍 및 SDMA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이 이전의 셀룰러 환경에서 사용되던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과 달라질 필요가 있으나, 종래에는 상기 빔포밍 및 SDMA 기술이 사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인접 수신 빔에 대한 할당 여부 정보 등을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전력 제어시에 인접 수신 빔에 대한 할당 여부 정보와 해당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의 수신 이득으로 산출한 전력 제어 변수 값 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상향링크 전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제1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생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내부 셀 간섭량 등을 고려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상향링크 간섭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간섭량을 근거로 상향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전력 제어의 정확도 향상에 따라 상향링크 송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 빔에 대한 이득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3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단말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안되는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빔포밍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할당되는 빔 간섭량에 따른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인 링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의 설명에 앞서, 먼저 일반적인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인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난 바와 같이, 전파 감쇄(Path loss) 보상, 외부 간섭 및 잡음(Noise and Interference: NI) 보상, 그리고 목표(target)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또는 요구(Required) SINR을 근거로 결정된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PTx는 단말의 송신 전력을 나타내며, L은 상기 전파 감쇄를 나타내며, NI는 상기 외부 간섭 및 잡음을 나타내며, SINRTarget/Required은 상기 목표 SINR 또는 상기 요구 SINR를 나타낸다.
그러나,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이 사용될 경우 인접 셀 간섭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수학식 1을 사용한 전력 제어의 중요성이 저하된다. 반면, 통신 시스템에서 SDMA(Spatial/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사용될 경우, 셀 내에서 추가적인 빔 사용과 이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셀 내 다른 빔에 대한 추가적인 전력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추가적인 전력 제어를 위해 다음 수학식 2가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I_Inter는 인접 셀에 포함된 단말들로 인한 간섭을 나타내며, I_Intra는 동일 셀 내에 포함된 단말로 인한 간섭을 나타내고, Pnoise는 백색 잡음의 세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2에서 ( )linear→dBm은 괄호 안의 linear 값을 dBm으로 변환함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수학식 2에서 사용되는 I_Inter 및 I_intra의 값은 각각 기지국에서 일정 시간 동안 측정된 인접 셀 간 간섭의 평균값 및 동일 셀 내 간섭의 평균값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 셀 내에서 추가적인 빔이 사용되는 경우 빔 간 간섭이 발생하고, 이러한 빔 간 간섭은 동시에 할당된 수신 빔에 따라서 크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동일 셀 내에서의 추가적인 빔 사용에 따른 빔 간 간섭값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상향링크 전력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하기 수학식 3과 같은 전력 제어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수학식 3은 앞서 설명한 수학식 2와 다르게,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간섭의 변화량을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3
상기 수학식 3에서 △I_intra는 특정 시점에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으로 발생되는 간섭의 변화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I_intra는 동일 프레임에서 동시에 송신하는 각 단말들의 송신 신호에 대한 각각의 수신 빔들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셀의 중심에 기지국(100)이 존재하고, 단말 A(102)가 상기 기지국(100)의 수신 빔(A)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00)이 상기 수신 빔(A)을 사용하여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임의의 단말 B(104)가 상기 기지국(100)의 또 다른 수신 빔(B)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100)이 상기 단말 B(104)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 빔(B)를 사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 A 및 B(102, 104) 각각의 송신 신호에 대한 수신 빔들의 사이각은 θ가 된다.
상기 수신 빔(A)에서의 수신 이득과 상기 수신 빔(B)와의 관계를 도시하면 도 2와 같이 나타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수신 빔에 대한 이득 패턴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A(202)가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 A(202)의 신호를 수신 빔(A)를 통해 수신하고, 단말 B(204)가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200)이 상기 단말 B(204)의 신호를 수신 빔(B)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빔(A)와 수신 빔(B)의 사이각 θ에 대한 수신 이득은 -11dB만큼 감소된 간섭 값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단말 A(202)와 상기 단말 B(204)가 동일한 거리에서 동일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단말 A(200)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상기 기지국(200)의 수신 빔 (A)에서는 상기 단말B(204)의 실제 송신 신호 세기보다 -11dB만큼 적은 신호 세기로 상기 단말 B(204)의 신호가 수신된다.
이렇듯, 서로 다른 두 단말에서 동시에 송신된 신호가 기지국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수신 빔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간섭량은 해당 수신빔들 간의 사이각에 반비례한다. 즉, 상기 사이각이 커질수록 간섭량은 감소하고 상기 사이각이 작아질수록 간섭량은 증가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해당 수신 빔이 아닌 다른 수신 빔을 향해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해당 사이각을 사용하여 임의의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상기 전력 제어 변수는 일 예로,
Figure 112018009241166-pat00004
등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5
상기 수학식 4에서 γn은 해당 수신 빔으로부터 n만큼 떨어져 있는 다른 수신 빔의 수신 이득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일 예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낼 수 있음)를 나타내며, θn 는 상기 해당 수신 빔과 상기 다른 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학식 4에 따라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가 단말의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이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 동안 인접 수신 빔을 향해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에 대한 할당 정보 또는 해당 수신 빔에 대한 정보(이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라 칭함)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3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3가지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차례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해당 단말이 해당 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해당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동일한 수신 빔을 사용하는 단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되거나 자원 할당 정보(이하 'MAP'이라 칭함)의 미리 설정된 부분에 비트맵 형식으로 포함되어 송신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i번째 해당 수신 빔(300)과 함께 i+2번째 수신 빔(302)과 i-3번째 수신 빔(304)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신호가 동일한 프레임에서 수신되는 경우,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의 인접 수신 빔들에 대한 사용 유무 정보를 비트맵 할당 정보로서 생성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에 대해 임계값 이상의 간섭을 발생시킬 것으로 판단되는 수신 빔들(이하 '간섭 수신 빔들'이라 칭함)의 인덱스를 좌측부터 또는 임의의 규칙에 따라 차례대로 나열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간섭 수신 빔들의 인덱스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수신 빔이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이 사용되는 프레임 동안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는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설정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들(즉, i-4번째 수신 빔, i-3번째 수신 빔, i-1번째 수신 빔, i+1번째 수신 빔, i+2번째 수신 빔, i+3번째 수신 빔, i+4번째 수신 빔)의 인덱스들 각각에 대응하여 1 또는 0의 값이 매핑되도록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i+2번째 수신 빔(302)과 상기 i-3번째 수신 빔(304)이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이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동안 사용되므로, 상기 i+2번째 수신 빔(302)과 상기 i-3번째 수신 빔(304)의 인덱스 각각에 1이 매핑되고 나머지 수신 빔들의 인덱스에는 0이 매핑되도록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기지국은 MAP의 해당 부분(즉, i번째 방송 채널 또는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해 할당된 영역)에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포함시킨다. 상기 MAP에는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단말들 각각에 대한 채널 할당 정보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MAP을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단말들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i번째 수신 빔(300)을 사용하는 모든 단말들이 MAP에 비트맵 형태로 포함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인접 수신 빔에 대응하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실시 예에서와 달리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각 단말이 할당받은 채널에 대하여 인접 수신 빔들이 사용되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각 단말 별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생성된다. 이 경우, MAP의 오버헤드(overhead)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나 각 단말에서 보다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단말들에 대하여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인접 수신 빔들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기지국은 제1채널(CH #1)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단말A에 대해서는, 상기 CH #1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제2채널(CH #2)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단말B에 대해서는, 상기 CH #2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제3채널(CH #3)과 i번째 수신 빔을 사용하는 단말C에 대해서는, 상기 CH #3에 대응하여 상기 i번째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수신 빔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트맵 형태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A, B, C 각각의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MAP에 포함시켜 해당 단말들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3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 및 제2구성을 함께 사용하여 MAP 전송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1구성에 따라 i번째 수신 빔의 인접 수신 빔들에 대한 사용 유무 정보를 나타내는 제1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의 제2구성에 따라 각 채널 별 인접 수신 빔들의 사용 유무 정보를 나타내는 제2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비트맵 정보를 MAP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포함시킨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비트맵 정보를 근거로 각 단말 별 인접 수신 빔의 사용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MAP에 포함시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MAP을 수신한 각 단말은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채널 별로 더 정확하게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수학식 4의 인접 수신 빔 별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하는 다음 수학식 5와 같은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제안한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6
상기 수학식 5에서 S(n)은 n번째 인접 수신 빔의 할당 유무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 수신 빔 별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인접 수신 빔의 할당 유무를 곱하는 과정을 통해, 만일 인접 수신 빔이 동일한 프레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전력 제어 가중치(γn)가 곱해져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학식 5에서 I_inter + I_intera + Pnoise를 기존 셀 내외부의 간섭을 나타내는 NI로 대체할 경우,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7
상기 수학식 6을 수학식 2와 비교하여 보면, 상기 수학식 6은 상기 수학식 2에 동일 셀 내 빔 간 간섭의 변화량에 대한 전력 제어 가중치를 추가한 형태가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수학식 6을 사용하기 위해, 단말은 하향링크 측정을 통해 경로 감쇄(L)를 추정하고, 기지국은 시평균 간섭 및 잡음 값(NI)을 셀 내의 이동 단말들에게 방송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아울러, SINRTarget/Required 은 사전에 정의된 값으로서 상기 기지국과 이동 단말간 MCS 레벨 등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은 전력 제어 변수로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γn를 각 이동 단말에게 송신한다. 상기 γn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13019346674-pat00008
상기 표 1에서는 i번째 수신 빔의 인접 수신 빔들 각각에 대응되는 γn를 일 예로 보이고 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가 도 5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경우, 상기 표 1에 나타난 정보는 다음과 같이 각 이동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 A는 i-3번째 인접 수신 빔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i-3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γn (즉, 1d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 A는 송신 전력을 상기 검출된 γn에 따라 1dB 증가시킴으로써 기지국에서의 목표 수신 SINR(즉, SINRTarget/Required)이 만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 B는 i-3번째 및 i+2번째 인접 수신 빔이 동시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상기 i-3번째 및 i+2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1dB 및 2dB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 B는 상기 검출된 두 개의 값을 더한 값(즉, 3dB)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이동 단말 C는 i+2번째 인접 수신 빔이 할당되어 있으므로 상기 표 1에서 상기 i+2번째 인접 수신 빔에 대응되는 2dB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2dB 만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θn)에 따른 전력 제어 변수(γn)와 해당 인접 수신 빔의 사용 유무(S(n)) 등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00 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방송 채널 등을 사용하여 각 이동 단말에게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θn)과 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제어 변수(γn)는 표 1에 나타난 인접 수신 빔 별 간섭량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602 단계에서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대하여 신호 송신이 필요한 이동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604 단계에서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을 분류하고, 사용할 수신 빔과 사용하지 않을 수신 빔을 구분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606 단계에서 상기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들에 대한 MAP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608 단계에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S(n))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MAP을 이동 단말들에게 송신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610 단계에서 상기 MAP과 함께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들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시된 3가지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MAP에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지국은 612 단계에서 해당 이동 단말과의 미리 설정된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수신 빔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700 단계에서 이동 단말은 방송 채널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를 수신하고, 이를 향후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어 상기 이동 단말은 702 단계에서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704 단계에서 상기 MAP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 706 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 708 단계에서 상기 전력 제어 변수(γn)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은 수학식 5에 나타난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은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할 시점이 되면, 710 단계에서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과 이동 단말의 내부 구성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은 제어부(800), 송신부(802), 수신부(804) 및 메모리(80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802) 및 수신부(804)는 이동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이며, 상기 메모리(806)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일 예로,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 등)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송신부(802), 수신부(804) 및 메모리(80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안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800)는 방송 채널 등을 사용하여 각 이동 단말에게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는 인접 수신 빔과의 사이각(θn)과 그에 대한 수신 이득을 이용하여 산출한 값이 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함으로써 각 프레임에 대하여 신호 송신이 필요한 이동 단말들을 위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각 인접 수신 빔 별로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이동 단말을 분류하고, 사용할 수신 빔과 사용하지 않을 수신 빔을 구분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800)는 사용할 수신 빔에 대해 할당된 이동 단말들을 위한 MAP과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S(n))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MAP을 이동 단말들에게 송신해야 하는 시점이 도래하면, 상기 MAP과 함께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들로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에서 제시된 3가지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MAP에 포함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800)는 해당 이동 단말과의 미리 설정된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수신 빔을 통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제어부(900), 송신부(902), 수신부(904) 및 메모리(906)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902) 및 수신부(904)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부이며, 상기 메모리(906)는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일 예로, 전력 제어 변수,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 및 MAP 등)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송신부(902), 수신부(904) 및 메모리(90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이동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안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900)는 방송 채널 등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수신 빔에 대한 전력 제어 변수(γn)를 수신하고, 이를 향후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900)는 MAP 및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MAP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900)는 상기 상향링크 자원이 할당된 경우, 상기 전력 제어 변수(γn)와 상기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900)는 수학식 5에 나타난 상향링크 전력 제어식을 사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900)는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해야 할 시점이 되면,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한편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통신 시스템에서 제1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할당 정보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제1수신 빔과 관련된 단말들로 방송된 방송 정보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간섭값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7.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를 상기 제1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되거나, 상기 제1수신 빔과 관련된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간섭값은 상기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13. 통신 시스템에서 제1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와,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제1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상기 기지국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제1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단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단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자원 할당 정보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제1수신 빔과 관련된 단말들로 방송된 방송 정보로부터 획득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단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을 검출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간섭값을 기반으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단말.
  19.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제1단말과 관련된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근거로 전력 제어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다수의 수신 빔들 중 상기 제1수신 빔과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이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결정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생성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단말로부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을 사용하여 송신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전력 제어 변수 및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근거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은 상기 제1수신 빔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간의 사이각을 근거로 결정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은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 빔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이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각 채널 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기지국.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는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되거나, 상기 제1수신 빔과 관련된 단말들로 방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값은 상기 송신된 인접 수신 빔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수신 빔 중 상기 상향링크 신호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수신 빔에 대한 간섭값을 기반으로 결정되며, 상기 간섭값은 상기 전력 제어 변수를 기반으로 검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023482A 2012-03-05 2013-03-05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77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22369 2012-03-05
KR1020120022369 2012-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477A KR20130101477A (ko) 2013-09-13
KR101977668B1 true KR101977668B1 (ko) 2019-05-13

Family

ID=4911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82A KR101977668B1 (ko) 2012-03-05 2013-03-05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58785B2 (ko)
EP (1) EP2824976B1 (ko)
KR (1) KR101977668B1 (ko)
WO (1) WO2013133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128B1 (ko) * 2015-06-04 2021-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빔 식별자 설정 방법 및 장치, 가상 빔 식별자를 이용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N108259149B (zh) * 2016-12-29 2023-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接收参考信号的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CN108271175B (zh) * 2017-01-0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和通信设备
CN110199557B (zh) 2017-01-25 2021-10-26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侧设备和终端设备
US10237754B1 (en) * 2017-05-12 2019-03-19 Sprint Spectrum L.P. Minimizing interference in different sectors of wireless networks
US10945214B2 (en) * 2017-08-18 2021-03-0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power control
JP6952653B2 (ja) * 2018-07-11 2021-10-20 Kddi株式会社 端末装置の送信電力を制御する基地局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53500B2 (en) * 2019-09-30 2023-01-10 Qualcomm Incorporated UE assisted TCI state signaling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CN115087010B (zh) * 2022-06-20 2024-04-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灵活帧结构仿真系统的下行信号检测方法及装置
CN115087012B (zh) * 2022-06-20 2024-04-1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灵活帧结构仿真系统的上行信号检测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93B1 (ko) * 2001-01-15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협대역 시분할 듀플렉싱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7340267B2 (en) * 2002-04-17 2008-03-04 Lucent Technologies Inc. Uplink power control algorithm
KR101287219B1 (ko) * 2006-01-13 2013-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향 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869922B1 (ko) 2006-05-12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장치 및방법
US8358631B2 (en) * 2008-09-04 2013-01-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eamforming systems and method
US8369791B2 (en) * 2009-09-22 2013-02-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user beamforming with inter-cell interference suppression
KR101662316B1 (ko) * 2009-12-03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36485B1 (ko) * 2009-12-14 2012-04-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상향링크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90646A (ko) * 2010-02-04 201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477A (ko) 2013-09-13
US20150215873A1 (en) 2015-07-30
EP2824976A4 (en) 2015-10-21
WO2013133606A1 (ko) 2013-09-12
EP2824976A1 (en) 2015-01-14
EP2824976B1 (en) 2017-09-20
US9258785B2 (en) 201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66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45455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measurement parameters using beamforming
US76096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ffic load in a cellular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92444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llocation of distributed antennas, base station
US95165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beamforming
US892988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small cell base station, radio termin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allocation control method
KR20140126686A (ko) 빔포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830483A (zh) 波束配置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8913555B2 (en) Radio relay sta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9026120B2 (en) Large cel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04145512B (zh) 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
EP3185435B1 (en) Multi-cell beamforming method and device
US9048973B2 (en) Base station device
KR2012001146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037380B (zh) 一种基于隔离度的td-lte系统上行功率控制方法
KR101585422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제한적 협력을 통한 프리코딩 장치 및 방법
US9078273B2 (en) Base st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able radio resource se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KR2013005466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백오프 펙터 값 결정 방법 및 장치
US8831036B2 (en) Large cel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16167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할당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981089B1 (ko) 이종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99423B1 (ko) 인접 셀간 간섭 제거 방법
KR20200001827A (ko) 사운딩 참조 신호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63915A (ko) 단말간 직접 통신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