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9317A1 -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9317A1
WO2013089317A1 PCT/KR2012/001549 KR2012001549W WO2013089317A1 WO 2013089317 A1 WO2013089317 A1 WO 2013089317A1 KR 2012001549 W KR2012001549 W KR 2012001549W WO 2013089317 A1 WO2013089317 A1 WO 201308931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ng
making
user
information
rhyth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15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홍인실
최민주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308931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931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nd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 Cognitive or cognitive ability refers to a wide range of intellectual activity skill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processing, storage, retrieval, learning, and thinking of information about yourself and the environment, including memory, attention, abstraction, intelligence, judgment, learning, Includes computing power, spatial perception, and comprehension.
  • Various drug and psychosocial therapies may be prescribed to delay cognitive decline or to relieve symptoms.
  • Psychosocial treatment methods include lifestyle guidance, recreational therapy, music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art therapy, horticultural therapy, and recall therapy.
  • music therapy is noninvasive without drug use, and song making is known to have a relatively good effect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 existing song-making techniques are limited to simple song-making centers, and their scope is limited in terms of content. Especially, they do not include reinforcing musical activities necessary for cognitive training.
  •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nd stimulating song that stimulates and trains cognitive abilities of various subjects, including growing children who need cognitive training, elderly people with reduced cognitive function,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to provide a cognitive training device using making.
  • a method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creation includes song information about a song selected from among so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selecting a song for enhanced song creation.
  • step of providing said song making means making a lyric to enable at least some of the lyrics or all to be changed in said provided song information, making a rhythm to change or create a rhythm in said provided song information, said provided song information
  • said provided song information You can add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ypes of song creations, including adding musical instrument sounds that allow you to add musical instrument sounds in your computer, adding sound effects that allow you to add various sound effects from the song information provided above, and various musically similar types of song creation. Can provide an interface.
  • step of providing the song making means if the interface for making the lyrics is provided, a part of the song lyrics of the provided song information is removed and provided as a blank, and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lyrics to enter the blank will also be provided. Can be.
  • the user uses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song to perform one or more of sing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 rhythm, moving, playing a game, and musically similar activities. You can provide an interface to do this.
  • An apparatus for training cognitive abilities using enhanced song making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song information that is the object of musical play activities to enhance song making and song making, and to enhance song making and song making. And a controller that is operated by a program configured to perform musical play activities.
  • the set program includes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method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the enhanced so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includes a song making process and various musical play activity processes for enhancing song making.
  •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using enhanced song making is a database for storing song information that is the object of song making and musical play, and a song making process and song making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t includes a controller that is operated by a program set to perform a musical play activity process to enhance the.
  •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the song making can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furthermore, to sing an existing song or a song that is made by himself or to perform an action such as playing the song accordingly
  • Cognitive skills can be trained by enabling subsequent musical play activities that further enhance cognitive function by making.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verall overview of a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execution menu of a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a method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examples of a song making process and providing a song making means in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8 to 12 are flowcharts illustrating examples of a musical play activity process in a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comparing the existing simple song making method and the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table comparing pre- and post-intervention MMSE-K levels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enhanced song making progra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ety of musical activities to enhance song making and actively train cognitive abilities in the existing 'songmaking technique' where cognitive improvement is limit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which greatly improves the musical effect.
  •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training cognitive abilities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using enhanced song making includes a database 100 and a controller 200.
  • the database 10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about a song that is the object of the method of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ong lyrics, a rhythm of a song, and a played song may be stored.
  • the database 100 may store a plurality of songs to be created, and each song to be created has a question of lyrics inference, a question of inferencing, a musical instrument selection, a rhythm selection, a pitch adjustment, and a time signature selection. Includes details, beat selections, tempo adjustments, and volume adjustments.
  • the question of inferring lyrics is a question that makes at least one space in the lyrics of the song to be made to infer the lyrics to be included in each blank, and the question of inferring words is at least one space in the lyrics of the song to be made. It might be a question that allows you to infer the lyrics of a creative to go into each blank.
  • the rhythm options may include rhythms such as samba, bossa nova, rock, and reggae.
  • 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a memory, and associated hardware, and may be operated by a program including a series of instructions for performing a method of improving a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device, and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database 100 and the controller 200 described above. And necessary hardware such as an output device.
  • the inpu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allow a user (a patient, a therapist, a subject, etc.) to input various commands or necessary information to perform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keyboard, a touch screen, a microphone, or the like, and may include an instrument such as a digital piano for playing by a user.
  • the output device is for outputting an image or sound for performing a production target song, a created song, othe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 stored in the database 100.
  •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 speaker, and the like.
  • a musical play activity process 205 that performs activities using songs, such as playing, rhythm playing, movement, and games, may be performed.
  • the song making process can stimulate cognitive functions, and furthermore, musical play activities can enhance cognitive functions.
  • the song made in the song making process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00, wherein the song made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a separate category.
  • various musical play activities may be performed, such as singing and rhyming, using a song made and stored by a song making process or existing song information.
  • the database 100 may include a song information file 101 in which information about a song that is a song making target is stored.
  • the song information file 101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ad only DB (Access only DB).
  • DB Read only DB
  • so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ong information file 101 may be read and provided to the user.
  • the database 100 may include a personal data file 103 that stores information about a song created by song making.
  • the personal data file 103 may be made for each person to use the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writable DB. Accordingly, when a specific user makes a plurality of songs, the created so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personal data file 103.
  • the controller 200 provides song information about a song selected from song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0 in response to a song selection request for making a song of a user.
  • the controller 200 may provide a selection information input means such as an interface for inputting information for the user to select music.
  • the controller 200 inputs the user's favorite inpu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ong to be created that matches the song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database 100. If the song to be created that matches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s favorite song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100, the controller 200 notifies the user through an output device so that the user can input the user's favorite song information again. If a matching song to be created is stored in the database 100, the song information of the matching song to be created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song name of the song may be provided or lyrics may be provided.
  • user's favorite song information for example, a song title, a singer's name, a genre, a release year, etc.
  • the controller 200 may provide a song making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perform song making using the provided song information.
  • the controller 200 has an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perform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types of song making, rhythm making, adding instrument sounds, adding sound effects, and various types of song musically similar to them.
  • the user can perform a song making process through the provided song making means.
  • the provision of song making means and song making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4 to 7.
  • the controller 200 stores the song made by the song making performed by the user in the database 100.
  • Songs stored in the database 100 can be further enhanced by improving the user's cognitive function by performing various musical plays, such as singing a so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 rhythm, moving, and playing games.
  • the controller 200 provides a musical play activity means for executing a musical play activity using song information about a selected song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for executing a musical play activity.
  • musical play activity refers to a variety of musical play activities using songs such as singing songs, playing songs and instruments, playing songs and rhythms, songs and movements, songs and games, etc., as briefly mentioned above. it means.
  • the controller 200 may provide a user with an input interface for selecting a song to be a song activity, and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song using the provided input interface.
  • the controller 200 may then provide the user with song information about the song through the output interface to the user of the selected song activity, and use the so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ser to sing songs, play songs and instruments, and It can provide an interface for performing various musical play activities using songs, such as rhythm performance, songs and movements, songs and games, and musically similar activities.
  • this musical play activity execution means provided by the controller 200 the user can perform various musical play activities, thereby enhancing the cognitive improvement function.
  • FIG. 3 conceptually describes a method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using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may actually be configured as a first screen when a program is executed to implement a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using enhanced song making or a cognitive ability training apparatus using enhanced song making.
  •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using enhanced song making may be largely composed of 'selection', 'song making', and 'musical play'.
  • the 'Selection' section can provide a selection means such as loading a song from a database, selecting a song through a song title, selecting a song by a search word, and selecting a song by genre. , Save, and the like.
  • the 'making song' part may include functions such as making lyrics, making rhythms, adding musical instrument sounds, and giving sound effects, and may include other song making functions.
  • the 'musical play' part may include functions such as sing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 rhythm, moving, playing a gam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other musical play activities.
  • FIGS. 4 to 7 Various examples of song mak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S. 4 to 7.
  • Figure 4 is an example of making a song through the lyrics making
  • Figure 5 is an example of making a song through the rhythm making
  • Figure 6 is an example of making a song through the addition of the instrument sound
  • Figure 7 is a song through the sound effect It is an example of making. 4 to 7 show examples of making a song by making lyrics, making a rhythm, adding an instrument sound, and putting sound effects as an example, but the method of making a song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of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are provided.
  • Song creation can be performed.
  • the controller 200 outputs lyrics and blanks of a song that is a song making target (S121a).
  • the controller 200 may display song lyrics including a blank on a display screen.
  • the controller 200 may also output the query details for the lyrics to enter the blank (S122a).
  • the query item may include a question for inferring lyrics for lyrics to be filled in a blank or a question for inferring lyrics for creative lyrics to be filled in a blank.
  • a content such as "Monday Tue Wed Thu Fri Sat Today is happy () day” can be output so that the user can fill in the blank ().
  • the blank may be in the form of a word or may be in the form of a sentence.
  • the controller 200 receives the lyrics. However, since a situation in which the lyrics cannot be filled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ge or the intellectual ability of the user, the controller 200 may check whether the lyrics are filled in the set space for a set time (S123a).
  • the controller 200 may give the preset lyrics (S124a).
  • the controller 200 may cause the rhythm selection mode to be output (S121b). For example, a list of various rhythms such as simple rhythm, rock, march, jazz, country, bluegrass, bossa nova, waltz, etc. may be presented, and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m.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rhythm is selected by the user (S122b).
  • controller 200 may give a preset rhythm (S123b).
  • the controller 200 may cause the instrument sound selection mode to be output (S121c).
  • the instrument sound selection mode For example, a list of maracas / shakers, castanets, playwoods, drums, velvets, chimes, tambourines, other rhythm instruments, melody instruments, etc. may be presented.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musical instrument is selected by the user (S122c).
  • controller 200 may assign a preset musical instrument (S123c).
  • the controller 200 may cause the sound effect selection mode to be output (S121d). For example, a list of things such as beating an object (knocking on a desk), beeping using body parts (clap, tongue-making, screaming with lips, etc.), animal sounds, nature sounds, etc. Can be presented.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sound effect is selected by the user (S122d).
  • the controller 200 may give a preset sound effect (S123d).
  • each of the songs is created by creating lyrics, creating rhythms, adding musical instruments, and adding sound effects.
  • each item may be performed in part or in all, and the order of execution is not prioritized and is selected by the user.
  • the various musical play activities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sing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 rhythm, moving, playing a game, and musically similar activities. Each item can be done in part or all, and the order of execution has no priority and is chosen by the user.
  • the controller 200 may output a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a background image (S81), and a user may sing accordingly.
  •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instrument selection mode (S91).
  • the user can select an instrument through the output instrument selection mode.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instrument is selected after outputting the instrument selection mode (S9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rument is selected in step S92, the controller 200 outputs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s, and the selected instrument sound (S94). On the other h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instrument is not selected in step S92, the controller 200 may give a predetermined instrument (S93), and may perform step S94 by using the assigned instrument sound.
  • the user can perform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ctivity using the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instrument sounds.
  •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rhythm selection mode (S101). The user can then select a rhythm through the output rhythm selection mode.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rhythm is selected (S102).
  • step S102 the controller 200 outputs the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 and the selected rhythm (S104).
  • step S104 the controller 200 gives a preset rhythm (S103), and then outputs the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 and the assigned rhythm (S94).
  • the user can then perform a rhythm playing activity using the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rhythm.
  • the motion activity is described, and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motion selection mode (S111). The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motion type through the output motion selection mode.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motion is selected (S1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2 that the mo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200 may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s, and the selected motion (S114).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2 that the motion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200 may give a preset motion (S113), and then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s, and the assigned motion (S114). ).
  • the user can perform a movement activity using the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movement.
  •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game selection mode (S121). The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game through the output game selection mode.
  •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game is selected (S12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2 that the game is selected, the controller 200 outputs a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 and the selected game (S124).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2 that the game is not selected, the controller 200 gives a preset game (S123), and then outputs the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background image, and the assigned game (S124).
  • the user can perform a game activity using the output song accompaniment, lyrics, and game.
  •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effect is enhanced through the 'enhanced song making', which combines the existing 'song making' technique with various musical activities that enhance song making. That is, referring to FIG. 13, in addition to the existing lyrics making, the effects of the song lyrics such as making a rhythm, adding an instrument sound, and adding a sound effect, and musical play activities such as singing,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playing a rhythm, and a motion game Through reinforcing activities through the cognitive ability improvement effect can be further enhance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who were admitted to the nursing home. Dementia types include 26 Alzheimer's dementia, 3 vascular dementia, and 1 dementia due to Parkinson's syndrome. In order to reduce bias and comparability of the two groups, 15 randomly selected experimental groups and 15 randomized control groups were used.
  •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Folstein et al. 1975 Teng et al. 1987, Folstein et al. 1985
  • MMSE can objectively assess cognitive impairment in a short time.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xacerba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urse of treatment or treatment (Drum et al. 1993).
  • MMSE-K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Kwon Yong-cheol, Park Jong-hwan 1989 was used.
  • MMSE-K had a reliability of 0.86 at the time of tool development and is widely used for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various literatures in Korea.
  • the scores of MMSE-K by area were 5 points for time history, 5 points for place history, 3 points for memory registration, 3 points for memory recall, 5 points for attention and calculation, 7 points for language, 2 points for understanding and judgment, and 30 points for 12 questions. It consists of. Overall scores of 24 or more are normal, 20-23 are suspected of dementia, and 19 or less are classified as dementia. In this experiment, time and place history were represented by history (10 points), memory registration and memory recall (6 points), attention and calculation 5 points, language ability 7 points, and understanding and judgment 2 points. Indicated.
  • the enhanced songmaking interven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6 weeks, 60 minutes per week.
  • the control group was given free time while applying the mediation program.
  • Thirty subjects participated in all other nursing home activities.
  • MMSE-K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wo weeks before the program and one week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program.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between the operators, the inspectors were trained before the test. MMSE-K was measured by the researcher and the nursing home social worker,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of the two measures was used. The mutual agreement of test results was 92%.
  •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cognitive function MMSE-K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19 or less and is within the 'dementia' range.
  • the individual scores of the elderly in the experimental group varied between 13 and 23 points, and 6 out of 15 changed their scores from 'dementia' to 'suspect dementia' to more than 20 points.
  • this study did not medically verify whether the 'suspected dementia' verdict was based solely on the MMSE-K score and was actually treated. In general, if dementia begins, treatment is almost impossible. Even if the score of MMSE-K is higher than 20, dementia is not treated, and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is temporarily improved or the cognitive decline is likely to be delayed.
  • MMSE-K for assessing orientation consists of ten items and 10 points.
  • the mean stres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by 22.2% from 5.7 points before to 7.0 points after.
  • the lasting force of the control group was the lowest in the sub-domain of cognitive function, from 6.1 to 5.6.
  • the item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ost change were 'day of the week' and 'season' among the history of time. Regarding the place history, he recognized his address in the order of 'do', 'si', 'dong' and most of 'noodle' could not be remembered. The place and use were not well answered at first, but most of them were recognized as the session was repeat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can be expected that if the elderly with dementia have the information about their time-space and repeat it in the song, it will help them to improve their mental ability.
  • the MMSE-K for the evaluation of 'memory' which is a sub-domain of cognitive function, consists of six points, three items of memory registration and three items of memory recall.
  • the mean memor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by 15.8% from 5.0 before to 5.8 after.
  • the memory of the control group was similar to that of 4.8 to 4.7.
  • many scored well on memory scores (40% before, 87% after).
  • memory registration called three object names once and responded immediately.
  • Memory recall called three object names six times and spoke the word five minutes later.
  • the familiarity of the object used in the memory evaluation is expected to affect the memory score.
  •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recollection of past memories, playing them with songs and movements, and they were very interesting.
  • the average score of Attention & Calculation increased from 0.1 before to 0.4 after,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ventions to improve attention focused on singing and rhythm performance as directed. Arbitration to figure out the number concept was to play with a certain number of rhythms. Subjects had difficulty counting numbers or saying sentences backwards. However, subjects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the song-making activities and increased their accuracy in the recurring sessions. Nevertheless, the scores of attention and computational domains of MMSE-K did not appear to improve. For this reas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cognitive function training apparatus and a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through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MSE-K's assessment of the attention and computational domain scores the ability to continuously subtract 7 to 100 or to hear five words and speak backwards.
  •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apparatus and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through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is experiment do not include the calculation of the two digits required in the evaluation and the direct content of saying the word backwards. It is believed that mediating activities using this differentiating song making would not be reflected in the attention and calculation scores of the MMSE-K.
  • the mean score of the language fun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by 40.4% from 2.8 points before to 3.9 points after. Compared to other sub-domains of cognitive function, pre-post-language ability scores were very large.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score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2.9 before to 2.7 after.
  • the cognitive function training device and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through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fully used to improve the language ability, memory, and long-term ability among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demented elderly. It is expected to be.
  •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device and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ing method through enhanced song mak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 the user since the user may input the favorite song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input the user correspondence information to the question of the detected therapeutic song information based on this, inferring or recalling the song lyrics, etc.
  • the user's cognitive function may be improved by, for example, reminding the user's past memori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cognitive ability using song making,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 만들기 기법에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다양한 음악적인 활동을 포함하도록 하여 기존의 단순한 노래 만들기 기법에 비해 임상적인 효과를 크게 개선한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사용자의 노래 만들기를 위한 노래 선곡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정보 중 선곡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음악적 놀이 활동 요구에 대응하여 선택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음악적 놀이 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본 발명은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지(cognition)란 아는 것에 관련된 모든 정신적인 활동 또는 상태로 마음의 기능을 포함하며 지각력, 주의력, 기억력, 상상력, 언어기능, 발달과정, 문제 해결 능력 등을 포함한다. 인지 기능 또는 인지 능력이란 자신과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의 입수, 처리, 저장, 검색, 학습 및 사고 등에 관여하는 광범위한 지적 활동 능력을 의미하며, 기억, 주의 집중, 추상력, 지능, 판단력, 학습력, 계산력, 공간 지각 능력 및 이해력 등을 포함한다.
사람의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며 이중 음악을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프로그램은 음악 치료의 한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인지 기능의 훈련이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 또는 인지 기능이 저하된 노인 또는 발달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자의 인지 기능을 자극하고 훈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최근, 외상, 뇌 질환 또는 정신적 질환에 의한 인지 기능 저하의 원인에 대한 부분이 연구되고 있으나, 아직 인지 기능 저하를 완전히 치료하는 방법은 없다. 인지 기능 저하를 지연시키거나 또는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약물 요법과 정신 사회적인 요법이 처방될 수 있다. 정신 사회적 치료 방법에는 생활지도 방법, 레크리에이션 치료, 음악치료, 작업치료, 미술치료, 원예치료, 회상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정신 사회적 치료 방법 중 음악 치료는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침습적이며, 특히 노래 만들기는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노래 만들기 기법은 단순한 노래 만들기 중심으로 되어 있어 내용적으로 범위가 제한적이며 특히 인지 능력 훈련에 필요한 강화적 음악 활동을 포함하지 않고 있어 임상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지 능력 훈련이 필요한 성장기 어린이 또는 인지 기능이 저하된 노인 또는 발달 장애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상자의 인지 능력을 자극하고 훈련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위한 노래 선곡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정보 중 선곡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노래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음악적 놀이 활동 요구에 대응하여 선택된 노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적어도 일부의 가사 또는 전부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가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리듬을 변경하거나 새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리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악기 소리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하는 악기 소리 첨가 하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다양한 음향 효과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효과 넣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노래 만들기 유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사 만들기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의 노래 가사 중 일부를 제거하여 빈칸으로 제공하고, 상기 빈칸에 들어갈 가사에 관련된 질의 사항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사 만들기, 상기 리듬 만들기, 상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그리고 상기 음향 효과 넣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로부터 가사 만들기, 리듬 선택, 악기 선택, 그리고 음향 효과 선택 중 하나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가사, 미리 설정된 리듬, 미리 설정된 악기, 미리 설정된 음향 효과 중 하나 이상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노래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하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활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악기 연주, 상기 리듬 연주, 상기 움직임, 그리고 상기 게임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로부터 악기 선택, 리듬 선택, 움직임 선택, 게임 선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악기, 미리 설정된 리듬, 미리 설정된 움직임, 미리 설정된 게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는, 노래 만들기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의 대상이 되는 노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노래 만들기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노래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노래 만들기 과정, 그리고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는 노래 만들기 및 음악적 놀이 활동의 대상이 되는 노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 과정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노래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기존의 노래 또는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를 직접 부르거나 그에 따라 연주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노래 만들기에 의한 인지 기능을 더욱 강화하는 후속 음악적 놀이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 능력을 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의 전체 개요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구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메뉴의 예를 보여준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중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고 그에 따른 노래 만들기 과정의 예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중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의 예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기존의 단순 노래 만들기 방법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비교하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피실험자들에 대한 중재 전/후 MMSE-K 수준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표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제한적인 기존의 '노래 만들기 기법'에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며 인지 능력을 적극적으로 훈련하도록 하는 다양한 음악적인 활동을 포함하도록 하여 기존의 단순 '노래 만들기 기법'에 비해 임상적인 효과를 크게 개선한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는 데이터베이스(100)와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본 발명의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의 대상이 되는 노래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며, 예를 들어 노래 가사, 노래의 리듬, 연주된 곡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에는 복수 개의 만들기 대상 노래가 저장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만들기 대상 노래에는 가사 유추용 질문, 개사 유추용 질문, 악기 선택 사항, 리듬 선택 사항, 음정 조절 사항, 박자 선택 사항, 비트 선택 사항, 템포 조절 사항 및 볼륨 조절 사항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가사 유추용 질문은 만들기 대상 노래의 가사에 적어도 하나의 빈칸을 만들어 각 빈칸에 들어갈 가사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사항이고, 그리고 개사 유추용 질문은 만들기 대상 노래의 가사에 적어도 하나의 빈칸을 만들어 각 빈칸에 들어갈 창작 가사를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 사항일 수 있다. 또한, 리듬 선택 사항 내에는 샴바, 보사노바, 락, 레게 등의 리듬이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그리고 관련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훈련 장치는 컴퓨터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능력 훈련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100)와 컨트롤러(200) 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와 같은 필요한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의 수행을 위해 사용자(환자, 치료사, 대상자 등)가 각종 명령이나 필요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장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연주를 위한 디지털 피아노와 같은 악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출력 장치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만들기 대상 노래, 만들어진 노래, 기타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나 소리 등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는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지 기능 개선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정보에서 원하는 노래를 선곡하는 과정(201), 선곡된 노래를 이용하여 가사 만들기,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 하기, 음향 효과 넣기 등을 통해서 노래를 만드는 노래 만들기 과정(203),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 또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노래 중 선택한 노래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등 노래를 이용한 활동을 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205)이 수행될 수 있다. 노래 만들기 과정을 통해서 인지 기능을 자극할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음악적 놀이 활동은 인지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노래 만들기 과정에서 만들어진 노래는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별 만들어진 노래가 별도의 카테고리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노래 만들기 과정에 의해 만들어져 저장되어 있는 노래, 또는 기존의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율동 하기 등 각종 음악적 놀이 활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데이터베이스(100)는 노래 만들기의 대상이 되는 노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곡 정보 파일(101)을 포함할 수 있다. 곡 정보 파일(101)은 읽기만 가능한 DB(Access only 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곡 요청이 있는 경우, 곡 정보 파일(101)에 저장된 노래 정보를 읽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100)는 노래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별 데이터 파일(10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별 데이터 파일(103)은 인지 기능 개선 프로그램을 사용할 대상자별로 각각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시 쓰기 가능한 DB(rewritable 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가 여러 번의 노래 만들기를 수행하는 경우 각각 만들어진 노래 정보를 개인별 데이터 파일(103)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노래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노래 만들기를 위한 노래 선곡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정보 중 선곡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컨트롤러(200)가 사용자가 선곡을 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같은 선곡 정보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곡 정보 입력 수단을 통해 사용자 선호 노래 정보(예를 들어, 노래 제목, 가수 이름, 장르, 발매 연도 등)를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하면, 컨트롤러(200)는 입력된 사용자 선호 노래 정보와 매칭되는 만들기 대상 노래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사용자 선호 노래 정보와 매칭되는 만들기 대상 노래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사용자 선호 노래 정보를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200)는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매칭되는 만들기 대상 노래가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되어 있으면 그 매칭되는 만들기 대상 노래의 노래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노래의 곡명이 제공될 수도 있고 가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200)는 사용자가 제공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가 가사 만들기,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 하기, 음향 효과 넣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노래 만들기 유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적어도 일부의 가사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리듬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리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악기 소리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하는 악기 소리 첨가 하기, 그리고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음향 효과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효과 넣기 등이 일 예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노래 만들기 수단을 통해서 노래 만들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노래 만들기 수단의 제공 및 그와 관련된 노래 만들기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공된 노래 만들기 수단을 통하여 인지 능력 훈련 장치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노래 만들기를 완료하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노래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를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노래는 추후 그 노래를 이용한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등 다양한 음악적 놀이를 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의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요구에 대응하여 선택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적 놀이 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수단을 제공한다. 여기서, 음악적 놀이 활동이라고 함은, 위에서 간단히 언급한 바와 같이, 선택된 노래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노래와 악기 연주, 노래와 리듬 연주, 노래와 움직임, 노래와 게임 등 노래를 이용한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에게 노래 활동의 대상이 되는 노래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제공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노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컨트롤러(200)는 사용하자 선택한 노래 활동의 대상이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가 제공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노래와 악기 연주, 노래와 리듬 연주, 노래와 움직임, 노래와 게임,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활동 등 노래를 이용한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는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을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인지 개선 기능의 강화가 도모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실제로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또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의 실시를 위한 프로그램 실행 시 첫 화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크게, '선곡', '노래 만들기', '음악적 놀이'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곡' 부분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노래 불러오기 기능, 노래 제목을 통한 선곡 기능, 검색어를 통한 선곡 기능, 장르별 선곡 기능 등의 선곡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외에서 사용자 파일 열기, 감상하기, 저장하기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노래 만들기' 부분은 가사 만들기,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음향 효과 주기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노래 만들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악적 놀이' 부분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타 음악적 놀이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노래 만들기의 여러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가사 만들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의 예이고, 도 5는 리듬 만들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의 예이며, 도 6은 악기 소리 첨가하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의 예이고, 도 7은 음향 효과 넣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의 예이다. 도 4 내지 도 7에는 가사 만들기,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음향 효과 넣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의 예가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으나, 노래 만들기 방법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인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노래 만들기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노래 만들기 대상인 노래의 가사 및 빈칸을 출력한다(S121a). 예를 들어, 컨트롤러(200)는 빈칸이 포함된 노래 가사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컨트롤러(200)는 빈칸에 들어갈 가사에 대한 질의 사항도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S122a). 여기서, 질의 사항은 빈칸에 들어갈 가사에 대한 가사 유추용 질문 또는 빈칸에 들어갈 창작 가사에 대한 개사 유추용 질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월화수목금토일 오늘은 즐거운 ( )요일" 등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빈칸인 ( ) 안을 채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빈칸은 단어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문장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입력 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빈칸에 가사를 채우면, 컨트롤러(200)는 그 가사를 입력 받는다. 그러나 사용자의 연령 또는 지적 능력에 따라 가사를 채울 수 없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여 컨트롤러(200)는 설정 빈칸에 가사가 채워졌는지를 설정 시간 동안 체크할 수 있다(S123a).
설정 시간 동안 빈칸에 들어갈 가사를 입력 받지 못하면,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가사를 부여할 수 있다(S124a).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리듬 만들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리듬 선택 모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121b). 예를 들어, 간단 리듬, 락, 행진곡, 재즈, 컨트리, 블루그라스, 보사노바, 왈츠 등 다양한 리듬 목록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에 의해 리듬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b).
사용자에 의해 리듬이 선택되었으면 노래 만들기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컨트롤러(200)가 미리 설정된 리듬을 부여할 수도 있다(S123b).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악기 소리 첨가를 통한 노래 만들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악기 소리 선택 모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121c). 예를 들어, 마라카스/쉐이커류, 캐스터네츠, 플레이 우드류, 드럼류, 벨류, 차임류, 탬버린류, 기타 리듬 악기, 멜로디 악기 등의 목록이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에 의해 악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c).
사용자에 의해 악기가 선택되었으면 노래 만들기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컨트롤러(200)가 미리 설정된 악기를 부여할 수도 있다(S123c).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음향 효과 넣기를 통한 노래 만들기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200)는 음향 효과 선택 모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S121d). 예를 들어, 사물을 이용하여 소래 내기(책상 두드리기 등), 신체 부분을 이용하여 소리 내기(박수 치기, 혀로 소리 내기, 입술로 소리 내기 등), 동물 소리, 자연의 소리 등의 목록이 사용자에게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컨트롤러(200)는 사용자에 의해 음향 효과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d).
사용자에 의해 음향 효과가 선택되었으면 노래 만들기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컨트롤러(200)가 미리 설정된 음향 효과를 부여할 수도 있다(S123d).
위에서 가사 만들기,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음향 효과 넣기를 통해 각각 노래 만들기를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각 항목은 일부 또는 모두 수행될 수 있으며 실행 순서는 우선 순위가 없으며 사용자가 선택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은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하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활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항목은 일부 또는 모두 수행될 수 있으며 실행 순서는 우선 순위가 없으며 사용자가 선택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노래 부르기 활동에 대해 설명하면, 컨트롤러(200)는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을 출력하고(S81), 사용자는 그에 따라 노래 부르기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여 악기 연주 활동에 대해 설명하면, 컨트롤러(200)는 악기 선택 모드를 출력한다(S91). 사용자는 출력된 악기 선택 모드를 통해 악기를 선택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악기 선택 모드를 출력한 후 악기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며(S92), S92 단계에서 악기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선택된 악기 소리를 출력한다(S94). 반면, S92 단계에서 악기가 선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악기를 부여하고(S93), 부여된 악기 소리를 이용하여 S94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출력된 노래 반주와 가사, 악기 소리를 이용하여 악기 연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리듬 연주 활동에 대해 설명하면, 컨트롤러(200)는 리듬 선택 모드를 출력한다(S101).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리듬 선택 모드를 통해서 리듬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리듬 선택 모드를 출력한 후, 컨트롤러(200)는 리듬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2).
S102 단계에서 리듬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며, 컨트롤러(200)는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선택된 리듬을 출력한다(S104). 반면, S102 단계에서 리듬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리듬을 부여하고(S103), 그리고 나서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부여된 리듬을 출력한다(S94).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노래 반주와 가사, 리듬을 이용하여 리듬 연주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움직임 활동에 대해 설명하면, 컨트롤러(200)는 움직임 선택 모드를 출력한다(S111).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움직임 선택 모드를 통해서 원하는 움직임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움직임 선택 모드를 출력한 후, 컨트롤러(200)는 움직임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2). S112 단계에서 움직임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00)는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선택된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S114). 반면, S112 단계에서 움직임이 선택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움직임을 부여하고(S113), 그리고 나서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부여된 움직임을 출력할 수 있다(S114).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노래 반주와 가사, 움직임을 이용하여 움직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게임 활동에 대해 설명하면, 컨트롤러(200)는 게임 선택 모드를 출력한다(S121).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게임 선택 모드를 통해서 원하는 게임을 선택할 수 있다.
게임 선택 모드를 출력한 후, 컨트롤러(200)는 게임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2). S122 단계에서 게임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00)는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선택된 게임을 출력한다(S124). 반면, S122 단계에서 게임이 선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00)는 미리 설정된 게임을 부여하며(S123), 그리고 나서 노래 반주, 가사 및 배경영상, 그리고 부여된 게임을 출력한다(S124).
그러면 사용자는 출력된 노래 반주와 가사, 게임을 이용하여 게임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노래 만들기'기법과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다양한 음악적인 활동을 결합하는'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해 인지 능력 개선 효과를 높인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기존의 가사 만들기에 더하여, 리듬 만들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음향 효과 넣기 등의 노래 가사에 효과 주기, 그리고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등 음악적 놀이 활동을 통한 강화적 활동에 의해 인지 능력 개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가지고 대상자들을 상대로 실험한 내용에 대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1. 실험 방법
본 실험은 노인전문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매 유형은 알츠하이머형 치매 26명, 혈관성치매 3명, 파킨슨증후군으로 인한 치매 1명이다. bias를 줄이고 두 집단의 비교성(comparability)을 위해 무작위로 15명을 실험집단, 15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는 MMS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lstein et al. 1975, Teng et al. 1987, Folstein et al. 1985)가 있으며, MMSE는 인지기능 장애를 단시간 내에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시간의 경과 또는 치료에 의한 악화 및 호전 여부를 평가할 수 있게 한다 (Drum et al. 1993). 본 연구에서는 MMSE의 한국판 MMSE-K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권용철, 박종환 1989)를 사용하였다. MMSE-K는 도구 개발 당시 신뢰도가 0.86이었으며, 국내 여러 문헌 등을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인정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MMSE-K의 영역별 점수는 시간 지남력 5점, 장소 지남력 5점, 기억등록 3점, 기억회상 3점,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언어 7점, 이해 및 판단 2점으로 총 12문항 30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점수가 24점 이상은 정상, 20-23점은 치매의심, 19점 이하는 치매로 분류된다. 본 실험에서는 시간 지남력과 장소 지남력을 지남력(10점)으로, 기억등록과 기억회상을 기억력(6점)으로 나타냈으며, 주의 집중 및 계산 5점, 언어능력 7점, 이해 및 판단은 2점 그대로 표시하였다.
2. 실험 절차
강화된 노래 만들기 중재 프로그램은 주1회 60분씩 16주 동안 실험집단에게 적용했다.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동안에 통제집단에게는 자유시간이 주어졌다. 피실험자 30명은 그 밖의 요양원에서 실시하는 활동에는 다 같이 참여하였다. MMSE-K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 2주 전과, 중재 프로그램 종료 1주 후에 수행 하였다. 측정자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 전에 검사자들은 사전 훈련을 받도록 하였다. 피실험자에 대해 MMSE-K 측정은 연구자와 요양원 사회복지사가 각각 측정하였고, 두 측정자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검사자간 상호 측정 일치도는 92%로 나타났다.
3. 자료 분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은 독립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은 강화된 노래 만들기 중재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MMSE-K 점수 차이를 대응표본 t-test로 통계 처리하였다. 유의수준은 p<0.01 수준으로 해석하였고,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4. 실험 결과
4.1 실험 대상자의 MMSE-K 동질성 검증
도 14는 모든 피실험자들에 대한 사전 MMSE-K 수준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표이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MMSE-K 평균점수는 실험집단 14.60점, 통제집단 15.00점으로 서로 비슷한 값을 보이고 있다. 동질성 평가를 위한 t-test의 결과는 t=-0.364, p>0.01 이며, 통계적으로 유의 수준 범위 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MMSE-K 수준은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4.2 중재 전/후 MMSE-K 점수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집단의 MMSE-K 평균점수는 사전 검사에서 14.6점으로 강화된 노래 만들기 중재 프로그램 적용 후인 사후 검사에서는 18.40점으로 3.80점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17.076, p<0.01). 통제집단의 경우 MMSE-K 평균점수는 사전 검사에서 15.00점으로 실험집단보다도 약간 높았으나 16주 후에는 오히려 14.1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아졌다(t=4.026, p<0.01).
5. 결과 토의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강화된 노래 만들기 중재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MMSE-K: 30점 만점)을 사전 14.6점에서 사후 18.4점으로 3.8점(26.0%)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은 16주 후 MMSE-K 점수가 15.0점에서 14.1점으로 0.9점 더 낮아졌다.
실험집단의 사후 인지기능 MMSE-K의 평균점수는 19점 이하로 '치매' 범위 안에 위치한다. 실험집단 노인의 개별 점수는 13에서 23점 사이에서 변화했고, 15명중 6명은 20점 이상으로 '치매'에서 '치매 의심' 영역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본 실험서는 '치매 의심' 판정은 단지 MMSE-K score 상으로 평가된 것으로 실제로 치료됐는지 여부는 의학적으로 검증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치매가 시작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하다. 설령 MMSE-K의 점수가 20점 보다 높더라도 치매가 치료되었다고 할 수 없으며, 인지기능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었거나 인지기능 저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해석된다.
인지 능력의 구성 요소 중 지남력(Orientation)을 평가하기 위한 MMSE-K는 열 개 항목, 10점으로 구성된다. 실험집단의 지남력 평균점수는 사전 5.7점에서 사후 7.0점으로 22.2%가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지남력은 6.1점에서 5.6점으로 인지기능의 하위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이 낮아졌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이 인지기능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이름, 요일, 현재 거주지를 기억해 낼 수 있음을 보인 결과이다. 치매노인의 시간 지남력에 대해서는 날짜의 '요일', '년도', '계절', '월' 순으로 인지를 했고 '일'은 대부분 인지하지 못했다. 실험집단이 가장 많이 변화를 보인 항목은 시간 지남력 중 '요일', '계절'이었다. 장소 지남력에 대해서는 자신의 주소의 '도', '시', '동' 순으로 인지를 했고 '면'은 대부분 기억하지 못했다. 장소와 용도는 처음에는 대답을 잘 하지 못했으나 회기가 거듭되면서 대부분 인지되었다. 실험 결과로부터, 치매노인에게 자신이 속한 시-공간에 대한 정보를 노래에 실어 반복하도록 한다면, 지남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인지기능의 하위 영역인 '기억력(Memory)' 평가를 위한 MMSE-K는 기억 등록 세 개 항목, 기억 회상 세 개 항목으로 총 6점으로 구성된다. 실험집단의 기억력 평균점수는 사전 5.0점에서 사후 5.8점으로 15.8%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의 기억력은 4.8점에서 4.7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이 치매노인의 기억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보인 결과이다. 특이한 점으로, 기억력 점수에서 만점을 받은 사람이 많이 나타났다 (사전 40%, 사후 87%). 본 실험에서 기억력 평가 시, 기억 등록은 세 가지 물건 이름을 한 번씩 불러주고 바로 대답하도록 했으며, 기억 회상은 세 가지 물건 이름을 6번 불러주고 5분 후에 그 단어를 말하도록 했다. 기억력 평가에 사용한 대상 물건의 친숙성은 기억력 점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대상자들은 과거의 기억의 회상하며 이를 노래와 동작으로 연주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매우 흥미로워 했다.
주의 집중 및 계산 영역(Attention & Calculation)의 평균점수는 사전 0.1점에서 사후 0.4점으로 증가했지만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주의 집중 향상을 위한 중재는 개사하여 노래 부르기, 리듬 연주를 지시에 따라 수행하게 했다. 수 개념 파악을 위한 중재는 리듬연주를 할 때 일정한 수를 증감하면서 연주하도록 했다. 대상자들은 수를 계산하거나 문장을 거꾸로 말하는 것을 어려워했다. 그러나 대상자들은 회기가 거듭되면서 대상자의 노래 만들기 활동에 대한 참여도가 높아졌고 지시 수행 정확도가 높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MSE-K의 주의 집중 및 계산 영역의 점수는 향상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과 평가 방법에 대한 상이성을 들 수 있다. MMSE-K의 주의 집중 및 계산 영역의 평가는 100에서 7을 계속적으로 차감해 나가거나 다섯 개의 낱말을 듣고 거꾸로 말하는 능력을 점수화 한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평가에서 요구하는 두 자리 숫자의 계산과 단어를 거꾸로 말하는 직접적인 내용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이성이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재적 활동이 MMSE-K의 주의 집중 및 계산 점수로 반영이 되지 않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집단에서 언어능력(Language function)의 평균점수는 사전 2.8점에서 사후 3.9점으로 40.4% 증가했다. 인지기능의 다른 하위 영역에 비해 사전-사후 언어 능력은 점수 차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사전 2.9점에서 사후 2.7점으로 감소했다.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을 포함하는 모든 실험 대상자들의 MMSE-K 사전 언어능력은 짧은 단어 표현, 1단계 지시 수행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실험집단의 대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통한 노래 만들기 활동 후에 2단계, 3단계 지시 수행이 가능했다. 본 실험에서 확인된 노래 만들기의 언어 능력 향상 효과는 노랫말 채우기를 통해 대상자의 언어 기능을 자극했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이해 및 판단 영역(Comprehension & judgment)에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사전 0.8점에서 사후 1.2점으로 0.3점 증가했지만,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통제집단의 이해 및 판단 영역의 평균점수는 사전-사후 0.8점으로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MMSE-K의 이해 및 판단 평가 방법은 두 가지 문항에서 총 2점으로 한다. 매우 작은 점수의 범위를 가지는 두 가지 문항만으로 이해 및 판단 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대상자간의 변별력이 크지 않다. 향후 이해 및 판단 능력에 대한 비중이 큰 연구에서는 평가 방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6. 결론
본 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MMSE-K 평균점수를 14.6점에서 18.4점으로 3.8점(26.0%)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기능 하부 영역별로, 언어능력 40.4%, 지남력 22.2%, 기억력 15.8% 순으로 향상되었다. 주의 집중 및 계산, 이해 및 판단 영역 점수는 향상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기능 개선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중 언어능력, 기억력, 지남력을 개선하기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통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 및 인지 기능 개선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호 노래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에 기초로 검출된 치료 노래 정보의 질의 사항에도 사용자가 사용자 대응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노래 가사 등을 유추 또는 회상하는 등 사용자의 과거 기억을 상기시키는 등의 과정으로 사용자의 인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지 기능 개선 및 인지 능력 훈련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9)

  1. 상기 사용자의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위한 노래 선곡 요구에 대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노래 정보 중 선곡된 노래에 관한 노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노래 만들기에 의해 만들어진 노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음악적 놀이 활동 요구에 대응하여 선택된 노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적어도 일부의 가사 또는 전부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가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리듬을 변경하거나 새로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리듬 만들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악기 소리를 첨가할 수 있도록 하는 악기 소리 첨가 하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에서 다양한 음향 효과를 넣을 수 있도록 하는 음향 효과 넣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형태의 노래 만들기 유형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노래 만들기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사 만들기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공된 노래 정보의 노래 가사 중 일부를 제거하여 빈칸으로 제공하고, 상기 빈칸에 들어갈 가사에 관련된 질의 사항도 함께 제공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4. 제2항에서,
    상기 가사 만들기, 상기 리듬 만들기, 상기 악기 소리 첨가하기, 그리고 상기 음향 효과 넣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로부터 가사 만들기, 리듬 선택, 악기 선택, 그리고 음향 효과 선택 중 하나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가사, 미리 설정된 리듬, 미리 설정된 악기, 미리 설정된 음향 효과 중 하나 이상을 부여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음악적 놀이 활동 실행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노래의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 리듬 연주, 움직임, 게임 하기, 그리고 이들과 음악적으로 유사한 활동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악기 연주, 상기 리듬 연주, 상기 움직임, 그리고 상기 게임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로부터 악기 선택, 리듬 선택, 움직임 선택, 게임 선택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악기, 미리 설정된 리듬, 미리 설정된 움직임, 미리 설정된 게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여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7. 노래 만들기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의 대상이 되는 노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노래 만들기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
  8. 노래 만들기 과정, 그리고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다양한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을 포함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9. 노래 만들기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의 대상이 되는 노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노래 만들기 과정 및 노래 만들기를 강화하는 음악적 놀이 활동 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능력 훈련 장치.
PCT/KR2012/001549 2011-12-14 2012-02-29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WO201308931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391 2011-12-14
KR1020110134391A KR20130142204A (ko) 2011-12-14 2011-12-14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317A1 true WO2013089317A1 (ko) 2013-06-20

Family

ID=48612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1549 WO2013089317A1 (ko) 2011-12-14 2012-02-29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42204A (ko)
WO (1) WO2013089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0289A1 (en) * 2020-07-15 2022-01-20 IQS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language train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7835B1 (ko) 2019-10-07 2022-05-16 이향진 음악회상기법 기반 인지능력 향상 시스템
KR20220118780A (ko) 2021-02-19 2022-08-26 정상원 인공지능기반 경도인지장애환자 인지재활 교육 및 관리 플랫폼
KR20230072218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브레인힐 경도인지장애 및 경증 치매환자를 위한 맞춤형 인지재활 에듀테크 플랫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645A (ja) * 2002-08-13 2004-03-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歌詞生成装置および歌詞生成機能を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60079094A (ko) * 2004-12-30 2006-07-05 이병승 휴대용 음악 편집기를 갖는 음악 작곡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90065084A (ko) * 2007-12-17 2009-06-22 권영수 온라인을 이용한 암기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645A (ja) * 2002-08-13 2004-03-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歌詞生成装置および歌詞生成機能を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60079094A (ko) * 2004-12-30 2006-07-05 이병승 휴대용 음악 편집기를 갖는 음악 작곡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라인 노래방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90065084A (ko) * 2007-12-17 2009-06-22 권영수 온라인을 이용한 암기학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WANG, SEON MAN.: "Study on Development of web-based instruction system for enhancing Musical Recognition Ability.", GRADUATE SCHOOL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cember 2008 (2008-12-01), pages 49, 57 - 59, 6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20289A1 (en) * 2020-07-15 2022-01-20 IQSon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language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04A (ko) 2013-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vitin What does it mean to be musical?
Overy et al. Being together in time: Musical experience and the mirror neuron system
Lenhoff et al. Absolute pitch in Williams syndrome
Lipe The use of music performance tasks in the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amo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aut et al. Musical attention control training
Cordobés Group songwriting as a method for developing group cohesion for HIV-seropositive adult patients with depression
Demorest et al. The influence of contextual cues on cultural bias in music memory
Marvin et al. The effect of key color and timbre on absolute pitch recognition in musical contexts
WO2013089317A1 (ko) 강화된 노래 만들기를 이용한 인지 기능 개선 방법 및 인지 능력 훈련 장치
Dogruoz Karatekin et al. The effect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method on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adolescent cerebral palsy
Wyatt From the field: Clinical resources for music therapy with juvenile offenders
Norman Music therapy assessment of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Lipe et al. Construct validation of two music-based assess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Fritz et al. Benefits of listening to a recording of euphoric joint music making in polydrug abusers
Prior et al. Processing of timbre and rhythm in musicians and non-musicians
Molnar-Szakacs Music: The language of empathy
Brennan et al. Specialist musical training and the octave illusion: Analytical listening and veridical perception by pipe organists
Hamid et al.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happiness of depressed women
Bell Music therapy and percussion for persons with dementi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etteridge et al. Beat it! Music overloads novice dancers
Lee et al. The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Musical Passages for an Emotion Perception Scal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illy LIGHTNING strikes: A correlational study of the gesturo-musical responses of in-patients with acute manic or depressive symptomatology using the LIGHTNING module
KR102525440B1 (ko)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진단하기 위한 음악 진단 평가 장치
Beevers et al. Music used for Parkinson’s dancing classes: rationale and validity or instruments and methods
Lee et al. Developing an Attention Assessment Tool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Timbre, Rhythm, and P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567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567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