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85078A1 -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85078A1
WO2013085078A1 PCT/KR2011/009355 KR2011009355W WO2013085078A1 WO 2013085078 A1 WO2013085078 A1 WO 2013085078A1 KR 2011009355 W KR2011009355 W KR 2011009355W WO 2013085078 A1 WO2013085078 A1 WO 201308507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ower
power consumption
terminal
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93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승효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알텍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알텍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ublication of WO201308507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8507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204/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ariff-metering apparatus
    • G01D2204/10Analysing; Displaying
    • G01D2204/14Displaying of utility usage with respect to time, e.g. for monitoring evolution of usage or with respect to weather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소자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으로서, 조명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 계량기와,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량을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원격의 단말기로부터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망과,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본 발명은 전기 소자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으로서, 조명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시스템 및 원격 제어 방법이다.
야간 또는 주간에 빛이 충분하지 않은 시설(예를 들면 주차장, 건물 내부 등)에 사용자에게 충분한 시각적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조명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조명 설비는 통상 1개의 스위치에 다수개의 램프가 연결되어 스위치 조작에 따라 다수개의 램프가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되어 있어 스위치 온(ON)시 불필요한 램프까지 점등되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사무실의 경우 창가, 직원 부재중의 자리 등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구역에서도 램프가 점등되어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경우가 있고, 지하주차장의 경우 24시간 점등되어 에너지 낭비가 심하나 에너지 절감의 목적으로 형광등 점등 수량을 줄이는 경우 범죄 발생 측면에서 위험한 단점이 있다.
한편,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전기 등의 에너지를 공급받고, 제공받은 에너지의 사용량(소비 전력량)에 상응하는 비용을 지불한다.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소비 전력량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지만, 실제로 전력 사용자들은 이러한 계량기의 소비 전력량을 체크하지 않고 있다. 계량기는 전력 사용비로 표시되지 않고 사용량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실제 전력 사용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해서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량기에서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따른 전력 사용비를 근거로 효율적인 전력 제어 방안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소자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소자의 전력 사용비를 원격의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기 소자의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다양한 원격 제어 방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 계량기와,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량을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원격의 단말기로부터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망과,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소비 전력량에 따른 각국의 전력 사용비로의 환산에 사용되는 환산 파라미터를 각국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와,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에 대해서 상기 환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전력 사용비로 환산시키는 환산부와,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의 범위에 따라서 상기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환산부는,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상기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 후,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소자가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소자가 복수의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거나 일정 주기로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조명 소자를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며, 제어부는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환산된 전력 사용비를 일정 주기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전력 사용비를 이용하여 시간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일별/월별/계절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력 계량기가,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전력 계량기가, 상기 소비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가,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는 것은,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소자를 손쉽게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소자의 전력 사용비를 원격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그에 따른 전기 소자의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사용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량 환산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부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산 파라미터의 예를 도시한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량 환산 및 원격 제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전기 소자의 예를 조명 소자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전기 소자는 조명 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감지 센서, TV 등 모든 전기 소자에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량 환산 및 원격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이다.
조명 소자(10)는 LED, 형광 램프 등과 같이 빛을 내는 전기 소자로서, 전력을 제공받아 구동된다. 조명 소자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 구비되어 실내 및 실외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소자는 그룹핑되어 그룹별로 조명이 동작될 수 있다.
전력 계량기(30)는 조명 소자에 제공되어 사용되는 전력량(소비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 장치로서, 각 전기 소자에서 사용되는 소비 전력량을 개별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전기 소자의 그룹별로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거나 복수의 전기 소자의 전체 소비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전력 계량기는 측정된 소비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원격 전송한다. 실제로는, 전력 계량기는 소비 전력량을 데이터 패킷화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카메라(20)는 조명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조명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한 영상(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단말기에 전송한다.
구동부(40)는 상기 조명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부로서, 전력수단(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조명 소자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동부는 조명 소자 단위로 제어하거나, 또는 조명 소자를 그룹핑하여 그룹별로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조명 소자의 조명을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들을 번갈아가며 온/오프시켜 교번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조명 세기 단계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다. 구동부는 단말기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 전송되어 오는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조명 소자의 구동을 제어한다. 실제로는 구동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은 원격 제어 메시지가 포함된 패킷 데이터에서 원격 제어 메시지를 디코딩하여 구동 제어에 이용한다.
유무선 통신망(50)은 전력 계량기에서 측정된 소비 전력량을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원격의 단말기로부터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실제로 소비 전력량 및 원격 제어 메시지는 데이터 패킷화되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환되며, 단말기 및 구동부에서 소비 전력량 및 원격 제어 메시지가 각각 디코딩되어 추출되어 이용된다.
유무선 통신망(50)은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유선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RS232 규격에 의한 USART(Universal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serial Receiver and Transmitter),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무선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무선 랜(Wireless LAN), Wi-Fi, CDMA, Zigbee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60)는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계산하여 산출한 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전력 사용비라 함은, 전력 사용에 따라 전력 공급 업체에 납부해야 할 사용 비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소비 전력량이 늘어 날수록 전력 사용비 역시 증가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60)는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태블릿(Tablet),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전력 계량기 및 구동부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단말기(6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산부(61), 저장부(62), 제어부(63), 표시부(64),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65)를 구비한다.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65)는 소비 전력량에 따른 각국의 전력 사용비로의 환산에 사용되는 환산 파라미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환산 파라미터는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 환산할 시에 사용되는 파라미터값으로서, 각국마다 파라미터 값을 달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환산 파라미터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 것이다. 전력 사용량에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가 산출되기 때문에, 동일한 소비 전력량이라 하더라도 환산 파라미터의 값이 클수록 전력 사용비가 크게 나오며, 환산 파라미터의 값이 작을수록 전력 사용비가 적게 나온다.
참고로, 도 3은 환산 파라미터의 예를 도시한 테이블로서, 도 3(a)는 한국의 환산 파라미터의 예시를, 도 3(b)는 미국의 환산 파라미터의 예시를 도시한 그림이다. 전력 사용비는 소비 전력량의 크기에 따라서 전력 사용비를 더 크기 계산하는 누진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량별로 환산 파라미터를 달리한다. 또한, 상기 환산 파라미터는 주택용 저압/고압, 일반용 저압/고압, 사무용 저압/고압 등과 같이 다양한 옵션에 따라 다양한 환산 파라미터가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환산부(61)는 주기적으로 원격 수신되는 소비 전력량에 대해서 상기 환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그때 그때마다 전력 사용비로 환산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환산부는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상기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 후,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하는
예를 들어, 현재까지의 소비 전력량이 90[kwhr], 즉, 한 시간[1 hour]에 90[kw]인 경우 도 3(a)의 100[kwhr] 이하라는 1단계 요금의 환산 파라미터인 55.1원이 선택되어 9[kwhr]×55.1[원]이 되어서 495,9원이 전력 사용비로서 산출된다. 만약, 100[kwhr] 이상 전력 사용을 할 경우에는 2단계 환산 파라미터가 적용될 것이다.
저장부(62)는 상기 환산된 전력 사용비를 일정 주기로 저장한다. 저장된 전력 사용비는 시간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일별/월별/계절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등을 작성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추적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력 사용비를 다양한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하드디스크(Hard Disk),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C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시부(64)는 LCD, LED 등의 터치스크린 입력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로서, 소비 전력량, 전력 사용비, 추적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63)는 환산한 전력 사용비의 범위에 따라서 조명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 사용비의 범위에 따라서 원격 제어 메시지를 달리하여 생성한다. 너무 많은 전력 사용비가 나올 경우 자동으로 조명 소자를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63)는,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동부에 전송한다. 상기 전력오프 임계치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전력이 너무 과다하게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기준값이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한 전력오프 임계치보다 전력 사용비가 초과할 경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또는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전력량 소비가 최소로 되도록 한다. 따라서 야외 광고 조명의 경우 전력 사용량이 크게 나올 경우 자동으로 전력을 오프시켜 조명이 꺼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전시장의 경우 전력 사용비가 크게 나올경우 자동으로 조명 빛을 낮추어 소비 전력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는, 전기 소자가 복수의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거나 일정 주기로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조명 소자를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구동부에 전송한다. 전력 사용비가 전력오프 임계치보다 높게 나올 경우, 미리 설정해놓은 우선 순위에 따라서 우선 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고 다른 조명 소자는 오프시킴으로써 소비 전력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력 사용비가 전력오프 임계치보다 높게 나올 경우, 일정 주기로서 그룹핑된 조명 소자들을 그룹별로 번갈아 구동시킴으로써 소비 전력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3)는,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경고 임계치는 침입자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전력 사용비의 값이다. 예를 들어, TV 등의 전자제품이 진열된 전자 대리점, 보석 대리점의 경우, 아무도 없는 밤에 누군가 침입하여 대리점 전등을 켜거나 TV 등을 켠 경우 전력 사용비가 갑자기 급증하여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할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침입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대리점 매장에 설치된 알람등/알람스피커(미도시)를 통하여 경고 알람을 하게 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63)는, 저장부에 저장된 전력 사용비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시간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일별/월별/계절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를 작성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추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전력 사용비를 다양한 관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비 전력량 환산 및 원격 제어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전력 계량기가 조명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가진다(S41). 전력 계량기는 소비 전력량을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한다(S42). 이때, 전력 계량기는 소비 전력량을 패킷 데이터로 구성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한다.
단말기는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한다(S43).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 환산하는 것은, 상기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는 것은,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과정과,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환산한 전력 사용비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단말기는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원격의 구동부에 전송함으로써 조명 소자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방식은 다음의 다양한 예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 소자가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 소자가 복수의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거나 일정 주기로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조명 소자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소자인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는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단말기는 상기 조명 소자를 점멸 제어하여 알람 경고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 계량기;
    상기 측정된 소비 전력량을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원격의 단말기로부터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망;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전기 소자의 구동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유무선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한 원격 제어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소비 전력량에 따른 각국의 전력 사용비로의 환산에 사용되는 환산 파라미터를 각국별로 구분하여 저장한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에 대해서 상기 환산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전력 사용비로 환산시키는 환산부;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의 범위에 따라서 상기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구동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산부는,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상기 환산 파라미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한 후,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소자가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소자가 복수의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거나 일정 주기로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조명 소자를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경고 알람을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환산된 전력 사용비를 일정 주기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전력 사용비를 이용하여 시간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일별/월별/계절별 사용비 추적 그래프 작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원격 제어 시스템.
  9. 전력 계량기가, 전기 소자의 소비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전력 계량기가, 상기 소비 전력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원격 수신한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여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전력 사용비에 따라서 상기 전기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소비 전력량을 전력 사용비로서 환산하는 것은,
    측정되는 소비 전력량에 적용될 환산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과정;
    측정된 소비 전력량에 상기 선택한 환산 파라미터를 곱함으로써 전력 사용비를 산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원격 제어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가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조명 소자의 동작을 오프시키거나 조명 소자의 밝기 단계를 낮추어서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가 복수의 조명 소자이고,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전력오프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우선순위 높은 조명 소자만을 동작시키거나 일정 주기로서 교대로 번갈아 가며 조명 소자를 동작시키는 원격 제어 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전기 소자가 위치한 지역을 촬영한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원격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환산한 전력 사용비가 미리 설정한 경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전기 소자 위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기 소자에서 경고 알람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 방법.
PCT/KR2011/009355 2011-12-05 2011-12-05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WO201308507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747 2011-12-05
KR1020110128747A KR101164562B1 (ko) 2011-12-05 2011-12-05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078A1 true WO2013085078A1 (ko) 2013-06-13

Family

ID=4671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9355 WO2013085078A1 (ko) 2011-12-05 2011-12-05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4562B1 (ko)
WO (1) WO201308507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77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휴대폰 원격제어방법
KR20060037490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폰과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KR20080007825A (ko) * 2006-07-18 2008-01-23 창신정보통신(주) 홈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77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휴대폰 원격제어방법
KR20060037490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폰과 텔레메틱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 방법
KR20080007825A (ko) * 2006-07-18 2008-01-23 창신정보통신(주) 홈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562B1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3622B2 (en) Artificial light source based messaging platform
US9131550B2 (en) Lighting device having status indication by modulated light
US9691307B2 (en) Apparatus real time control and navigation system using networked illuminated signs improving safety and reducing response time of first responders
WO2011069085A2 (en) Energy efficient lighting system and method
JP2010238572A (ja) Led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5004921A (ja) 可変表示機能看板装置およびその表示作動方法
CN102542710A (zh) 一种音视频报警监控装置与方法
JP2008186602A (ja) 防災照明システム
CN109920220A (zh) 一种智能巡检装置及系统
CN202135355U (zh) 照明控制系统
WO2013085078A1 (ko)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047307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을 이용한 경로이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경로이탈 정보 제공 방법
KR101554345B1 (ko) 독립전원을 구비한 보안 시스템
CN206236387U (zh) 一种基于智慧城市的显示终端
KR200377874Y1 (ko) 조도 측정기가 구비된 씨씨티브이 카메라와 그를 이용한조명제어 시스템
KR20050028170A (ko) 무인등대 원격관리시스템
CN108090726A (zh) 用于小区住宅的快递物件配送管理系统及配送方法
CN210324555U (zh) 一种燃气抄表装置
JP6893689B2 (ja) 文字判別通信システム
KR100938402B1 (ko) 건축물 조명 시스템
KR101935253B1 (ko) F-IoT형 디지털 사이니지 시설물의 환경감지를 통한 스마트 보안·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KR200380050Y1 (ko) 조도 측정기가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조도제어 시스템
CN202757036U (zh) 照明系统
WO2013073771A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장치
CN204680124U (zh) 具有照明功能的预警设备和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770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770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