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65933A1 - 슬러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65933A1
WO2013065933A1 PCT/KR2012/006191 KR2012006191W WO2013065933A1 WO 2013065933 A1 WO2013065933 A1 WO 2013065933A1 KR 2012006191 W KR2012006191 W KR 2012006191W WO 2013065933 A1 WO2013065933 A1 WO 201306593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udge
electrode
treatment apparatus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1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인원
오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웨이브테크놀러지
Publication of WO201306593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659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6Electrochemical treatment, e.g. electro-oxidation or electro-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ode used to remove cell membranes, cell walls, and the like of microorganisms contained in sludge introduced into a sludge drying apparatus.
  • Sludge is a type of waste that is suspended in water and has become mud. These sludges include industrial wastewater sewage, by-products of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nd household food waste.
  • sewage sludge contains a large number of organic matter containing microorganism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ell membranes of these microorganism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mbrane is very difficult to dry because it maintains heat insulation and airtigh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remove the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easily dry the moisture inside the cell membrane.
  •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body portion into which sludge is introduced; An electrode part provided on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 electrode and a ( ⁇ ) electrode in contact with the sludge introduced into the body part; And a quantitative input unit for grinding the sludge flowing out of the electrode unit to adjust the sludge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converter of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 FIG. 5 is a structural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of a converter of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ludge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body part 10 into which sludge flows, an electrode part 20 provided inside the body part 10, and A fixed amount input unit 30 for maintaining a constant amount of sludge discharged from the electrode unit 20 is included.
  • An inlet 11 through which sludge flows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
  • the inlet 11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12 for guiding the inflow of sludge.
  • the guide part 1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art 10.
  • the inlet 11 is provided with an insulator 13 supporting the electrode portion 20.
  • the insulator 13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rough which electricity does not pass.
  • the shape of the insulator 13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in a lattice shape cross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the electrode part 20 may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ulator 13.
  •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coupled to the insulator 13 and extend downward.
  • the electrode unit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is composed of a (+) electrode and a (-) electrode.
  • the electrode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med in a columnar shape with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 In one example, the electrode portion 20 may b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of the top and bottom open.
  • the electrode unit 20 is composed of electrodes of various sizes, the largest square pillar-shaped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the next larger square pillar-shaped electrode is disposed directly inside, The smallest sized electrode may be disposed at the innermost. That is, the plurality of electrodes are disposed to overlap each other, and the size thereof decrea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 the electrode part 2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part 21, a second electrode part 22, a third electrode part 23, and a fourth electrode part 24.
  • the first to third electrode parts 21, 22, and 23 may be formed in a square pillar shape in which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 the first electrode part 21 is an electrode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22 is smaller than the first electrode part 21, and is located immediately inside the first electrode part 21. do.
  • the third electrode portion 23 is smaller than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22 and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22.
  • the fourth electrode part 24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positioned between inner surfaces of the body part 10.
  • the side surface 15 of the body portion 10 may als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may serve as one electrode. That is,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may also be applied to the side surface 15 of the body part 10.
  • a positive electrode or a negativ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s 21, 22, 23, and 24.
  • the first electrode portion 21 located just inside the side surface 15 has the opposite polarity ( ⁇ ). The electrode is applied.
  •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portion 21 is a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22 positioned immediately inside the first electrode portion 21.
  •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second electrode part 22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part 23 positioned immediately inside the second electrode part 22.
  • the fourth electrode 24 is formed in a planar shap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ide surfaces 15 of the body portion 10,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15 may be applied.
  • the sludg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 of the body portion 10 is introduced into the electrode portion 20, the sludge passes between the electrodes having the opposite polarity. At this time, the sludge flows in contact with electrodes having opposite polarities, and since the electrolyte is also present in the sludge, current flows in the sludge. When an electric current flows in the sludge, ion exchange occur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ell membrane of the microorganisms present in the sludge, so that the cell membrane (or cell wall) bursts.
  • the cell membranes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sludge are effectively removed, and as the cell membranes are removed, the moisture in the cell membranes can be effectively dried.
  • the electrode unit 20 receives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usually an AC voltage of 220V having a frequency of 60 Hz, and since the external power supply is a high voltage, it may be dangerous because there is a risk of electric shock to the user.
  • an AC-DC converter 5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ode unit 20.
  • the AC-DC converter 51 may lower the high voltage to the low voltage while changing the AC voltage to the DC voltage.
  • the AC-DC converter 51 may lower the AC voltage of 220V to a DC voltage of 48V. Since the voltage is lowered by the AC-DC converter 51, the risk may be reduced.
  • the frequency converter 52 for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he power source in order to effectively burst the cell membrane or cell wall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ludge may be provided.
  • the frequency converter 52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electrode unit 20.
  • the frequency converter 52 may convert the DC voltage of 48V to the AC voltage of 10 to 200kHz while maintaining the same voltage by the AC-DC converter 51.
  • the sludge flowing out of the electrode part 20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 and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17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
  •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outlet 17.
  • the dosing unit 30 includes a gear 31 and a motor 32 driving the gear 31.
  • the gear 3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etered-in portion 30, and the gear 31 may be configured as a pinion gear that meshes with and rotates.
  • the portion where the gear 31 is engaged with each other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outlet 17, the sludge flowing out of the outlet 17 is introduced into the portion where the gear 31 is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gear 31 may be rotated at a constant speed, and sludge introduced in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gear 31 may be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amount after being crushed by the gear 31.
  • the motor 32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 and may rotate the gear 31 at a predetermined speed.
  • the motor 32 is provided with a drive shaft 320 coupled to the gear 31.
  • the sludge flowing out from the metering unit 30 is introduced into a dryer (not shown) and dried.
  • the dryer dries the sludge by the action of heating the sludge by microwave irradi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in technical idea to provide a sludge treatment apparatus for destroying the cell membrane or cell walls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ludge before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dryer, any dryer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cell membranes and cell walls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ludge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sludge, and to effectively remove the cell membranes and cell walls of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sludge safely by using a high frequency current.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로 유입된 슬러지와 접촉하는 (+)전극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에서 유출된 슬러지를 분쇄하여, 슬러지가 일정량이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정량투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 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처리장치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 건조장치에 유입되는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내지 세포벽 등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을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지(sludge)는 폐기물의 일종으로 물속의 부유물이 침전하여 진흙상태로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슬러지에는 산업 폐기물인 하수도와 산업 폐수 처리의 부산물, 가정의 음식물 쓰레기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슬러지 내의 수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특히, 하수 슬러지는 미생물이 포함된 유기물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의 세포막 속에 수분이 내포되어 있고, 세포막이 단열 및 기밀을 유지하고 있어서 건조시키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러지 내의 미생물의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막 내부의 수분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로 유입된 슬러지와 접촉하는 (+)전극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에서 유출된 슬러지를 분쇄하여, 슬러지가 일정량이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정량투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 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하여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컨버터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조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하여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의 컨버터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장치(1)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바디부(10)와, 상기 바디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극부(20)와, 상기 전극부(20)에서 배출된 슬러지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량투입부(30)가 포함된다.
상기 바디부(10)의 상부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의 테두리에는 슬러지의 유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2)는 상기 바디부(10)의 상단에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11)에는 상기 전극부(20)를 지지하는 절연체(13)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체(13)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지만,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교차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체(13)의 하부에는 상기 전극부(2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절연체(13)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며, (+)전극 및 (-)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극부(2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전극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20)는 다양한 크기의 전극으로 구성되고, 가장 큰 사각 기둥 형상의 전극이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그 다음으로 크기가 큰 사각 기둥 형상의 전극이 그 바로 안쪽에 배치되며, 가장 작은 크기의 전극이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줄어든다.
상세하게, 상기 전극부(20)는 제1 전극부(21)와, 제2 전극부(22)와, 제3 전극부(23)와, 제4 전극부(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극부(21, 22, 23)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부(21)는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부(22)는 상기 제1 전극부(21)보다 작고, 상기 제1 전극부(21)의 바로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3 전극부(23)는 상기 제2 전극부(22)보다 작고, 상기 제2 전극부(22)의 안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4 전극부(24)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1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10)의 측면(15)도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10)의 측면(15)도 (+)전극 또는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전극(21, 22, 23, 24)에는 (+)전극 또는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디부(10)의 측면(15)에 (+)전극이 인가되었다면, 상기 측면(15)의 바로 안쪽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전극부(21)에는 이와 반대 극성인 (-)전극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부(21)의 바로 안쪽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전극부(22)에는 상기 제1 전극부(21)와 반대 극성인 (+)전극이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부(22)의 바로 안쪽에 위치되는 상기 제3 전극부(23)에는 상기 제2 전극부(22)와 반대 극성인 (-)전극이 인가된다.
상기 제4 전극(24)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의 측면(15)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측면(15)과 반대 극성인 (-) 전극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0)의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슬러지가 상기 전극부(20)에 유입되면, 슬러지는 서로 반대 극성을 띄는 전극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슬러지는 서로 반대 극성을 띄는 전극에 접촉한 상태로 흐르고, 상기 슬러지에도 전해질이 존재하므로, 상기 슬러지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 슬러지에 전류가 흐를 때, 슬러지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세포막 내부 및 외부 사이에 이온 교환이 발생하므로, 상기 세포막(또는 세포벽)이 터지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 내의 미생물의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세포막이 제거됨에 따라 세포막 속에 있던 수분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전극부(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다만, 외부 전원은 보통 60Hz의 주파수를 갖는 220V의 교류전압으로서, 고압이므로 사용자에게 감전의 위험 등이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외부전원과 상기 전극부(20) 사이에 AC-DC 컨버터(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AC-DC 컨버터(51)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바꾸면서,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낮출 수 있다. 일례로, 상기 AC-DC 컨버터(51)는 220V의 교류전압을 48V의 직류전압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AC-DC 컨버터(51)에 의하여 전압이 낮아지므로, 위험도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또는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터뜨리기 위하여 전원의 주파수를 높여주는 주파수 변환기(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변환기(52)도 외부전원과 상기 전극부(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파수 변환기(52)는 상기 AC-DC 컨버터(51)에 의하여 48V의 직류전압을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10 내지 200kHz의 교류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부(20)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증가하므로,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및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에서 유출된 슬러지는 상기 바디부(10)의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바디부(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구(17)를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 바디부(10)의 저면은 상기 유출구(17)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10) 및 상기 전극부(20)에서 유출된 슬러지는 상기 정량투입부(30)로 유입된다. 상기 정량투입부(30)에는 기어(31)와 상기 기어(31)를 구동하는 모터(32)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31)는 상기 정량투입부(3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31)는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31)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은 상기 유출구(17)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유출구(17)에서 유출된 슬러지는 상기 기어(31)가 서로 맞물리는 부분으로 유입된다.
상기 기어(31)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기어(31)의 맞물리는 부분으로 유입된 슬러지는 상기 기어(31)에 의하여 분쇄된 후 일정량씩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모터(32)는 상기 바디부(10)의 일 측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기어(31)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32)에는 상기 기어(31)에 결합되는 구동축(320)이 구비된다.
상기 정량투입부(30)에서 유출된 슬러지는 건조기(미도시)로 유입되어 건조된다. 상기 건조기는 슬러지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하여 가열하는 등의 작용에 의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기에 슬러지가 유입되기 전에 상기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내지 세포벽을 파괴하는 슬러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요 기술적 사상이므로, 상기 건조기는 공지의 어떠한 건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지 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및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주파의 전류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슬러지에 포함된 미생물의 세포막 및 세포벽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7)

  1. 슬러지가 유입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로 유입된 슬러지와 접촉하는 (+)전극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극부에서 유출된 슬러지를 분쇄하여, 슬러지가 일정량이 배출되도록 조절하는 정량투입부;
    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기둥 형상의 복수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줄어드는 슬러지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가장 크기가 큰 전극이 가장 외측에 배치되고, 가장 크기가 작은 전극이 가장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극부는 크기 순서대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전극 및 (-)전극이 교대로 배치되는 슬러지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측면에는 슬러지가 통과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슬러지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DC 컨버터 및 주파수를 고주파로 변환하는 주파수 컨버터와 연결되는 슬러지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투입부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처리장치.
PCT/KR2012/006191 2011-10-31 2012-08-03 슬러지 처리장치 WO201306593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55 2011-10-31
KR1020110112055A KR101175041B1 (ko) 2011-10-31 2011-10-31 슬러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5933A1 true WO2013065933A1 (ko) 2013-05-10

Family

ID=4688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191 WO2013065933A1 (ko) 2011-10-31 2012-08-03 슬러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5041B1 (ko)
WO (1) WO2013065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3003A (zh) * 2019-10-21 2020-03-24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活塞注入式污泥成型布料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199A (ja) * 2001-12-11 2003-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汚泥減量化装置及び汚泥減量化方法
KR20040078720A (ko) * 2003-03-04 2004-09-13 이재복 전해 슬러지 개량 장치 및 방법
KR100457957B1 (ko) * 2002-01-11 2004-11-18 김병화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KR20100082699A (ko) * 2009-05-11 2010-07-19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함수폐기물 건조기
KR101070222B1 (ko) * 2011-07-19 2011-10-06 주식회사 성일엔텍 고전압 수중충격파를 이용한 슬러지 미생물 파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199A (ja) * 2001-12-11 2003-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汚泥減量化装置及び汚泥減量化方法
KR100457957B1 (ko) * 2002-01-11 2004-11-18 김병화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KR20040078720A (ko) * 2003-03-04 2004-09-13 이재복 전해 슬러지 개량 장치 및 방법
KR20100082699A (ko) * 2009-05-11 2010-07-19 주식회사 한국아쿠오시스 함수폐기물 건조기
KR101070222B1 (ko) * 2011-07-19 2011-10-06 주식회사 성일엔텍 고전압 수중충격파를 이용한 슬러지 미생물 파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041B1 (ko) 201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4994B (zh) 辉光放电等离子体水处理方法及装置
EP2714234A1 (en) Active regeneration method for deionization module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6467012U (zh) 一种电极除垢装置
CN106430454B (zh) 一种基于电化学原理的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101497591B1 (ko) 방전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US11383996B2 (en) Integrated physical method oily sewage treatment device
WO2015016556A1 (ko) 스컴 제거를 위한 고전압 방전 시스템
WO2013065933A1 (ko) 슬러지 처리장치
CN206219259U (zh) 一种有机废水处理装置与系统
NL2024123B1 (en) An electrochemical sewage treatment plant and process
CN107344791A (zh) 电磁技术处理高盐高有机废水设备与方法
CN206599507U (zh) 一种医疗污水处理设备
CN206142890U (zh) 一种电化学水处理箱
CN208327652U (zh) 一种工业污水净化装置
CN106698762A (zh) 乳胶漆废水预处理装置
CN206940664U (zh) 一种污水用高速旋转式处理装置
CN206417946U (zh) 废水预处理装置
CN106977072B (zh) 一种污泥干化处理电场及污泥干化处理设备
WO2018164480A1 (ko) 전기응집장치
CN109534649A (zh) 一种低温闭式循环污泥干化智能装置
CN207811463U (zh) 一种新型的环保排污装置
CN104550215A (zh) 电动修复重金属污染土壤的方法和设备
CN103693720A (zh) 一种格栅式污水处理设备
CN207404904U (zh) 一种电催化氧化装置
CN209619093U (zh) 一种多项协调处理工业污水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46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460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