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32154A2 -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32154A2
WO2013032154A2 PCT/KR2012/006472 KR2012006472W WO2013032154A2 WO 2013032154 A2 WO2013032154 A2 WO 2013032154A2 KR 2012006472 W KR2012006472 W KR 2012006472W WO 2013032154 A2 WO2013032154 A2 WO 201303215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rinal
washing water
water supply
counter
forming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4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32154A3 (ko
Inventor
준 한스티븐
Original Assignee
Han Steven J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Han Steven Joon filed Critical Han Steven Joon
Priority to AU201230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12302548A1/en
Publication of WO201303215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2154A2/ko
Publication of WO201303215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3215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order to prevent the odor caused by the urin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age, even if the water is not lowered after the urine drainage is filled with a barrier film-forming emuls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which is applied to a urinal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urinal.
  • a general urinal installed in a men's toilet is provided with a urine drain in the lower part, while washing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after urine in the upper part is provided.
  • a sensor box is installed to detect the user's approach an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after the user urinates. Therefor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urinal, the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sensor box detects this, and when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urinal after the urine, the detection sensor detects it to operate the cleaning means.
  • a urine drain or a backflow trap is filled with a barrier-forming emulsion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urine, so that urine passes through the barrier-forming emulsion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urine drain, whil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
  • a barrier-forming emulsion remains suspended.
  • a barrier film is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urin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 or the backflow prevention trap, so that some clean state is maintained even if the user does not supply the washing water after using the urinal.
  • the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described above is also supplied in the form of a cartridge.
  • the urine drainage should be cleaned using water at the time of replenishing or replacing the barrier-forming emulsion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f cleanliness.
  • the urinal does not use the washing water is required to periodically clean the water, in this case, if the urinal itself is not equipped with a washing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he water is transported using a separate container and then cleaned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have to do.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ircumstances of the prior art, and supplying the washing water of the urinal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the urinal by allowing the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urinal.
  • An object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wash the water at regular intervals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urinal in the urinal filled with a barrier forming emulsion in the urine drain so that the urine drain is not odor due to urine from the urine drain even if the water is not lowered after urine It is to provide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so that the supply of water.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he urinal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in the sensor box for detecting the user and the urine drainage after the user urinates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sensor box
  • a urinal configured to supply washing water toward the body, the urine comprising: a counter fo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ri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Counte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arget value of the counter;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when the number counted through the counter reaches the target value. It is made, including.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he urinal comprises a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tank for storing the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filled in the urine drain; And a barrier film-forming emulsion valve installed to induce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barrier film-forming emulsion stored in the barrier film-forming emulsion tank to the urine drain port. It may further include.
  •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may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through the control means.
  • the control means may be set to supply the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after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tank may be installed in the sensor box.
  • the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tank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ensor box.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rotary switch.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dip switch.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digital input device.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the target value of the counter through the counter setting means; Detecting a urinal user by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around the urinal; A counter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urinal based on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And controlling the washing means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ward the urine drainage port of the urinal when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reaches a target value.
  • Controlling by the control means,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the barrier film forming agent stored in the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tank after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ward the urine drain; It may be made to include more.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rotary switch.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dip switch.
  • the counter setting means may be a digital input device.
  •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use cycl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rinal is used, thereby saving water for washing the urinal as well as the cycle
  • a certain level of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by the usual water washing.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even if the water is not used by using a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in the urine drainage urinal design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due to the urin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age Even when applied to the water wash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rinal has the advantage that a certain level of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ur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existing urinal.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of the ur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 chart of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or box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or box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nsor bo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Numeral 100 denotes a urinal
  •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sensor box in which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may be provided in the sensor box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urinal 100 as shown in FIG.
  • Water supply pipe 120 is installed in the upper side of the urinal 100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rinal 100, and detects this when the user stands in front of the urinal 100 to use the urinal 100
  • the sensor box 200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2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water supply pipe 120 passes. Therefore, when the user withdraws after standing for a certain time in front of the urinal 100, the detection sensor 210 provided in the sensor box 200 detects it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20.
  • the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the counter 220 for counting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210 in order to enable the supply of the washing wat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uses the urinal ) Is included as one of the components.
  • the counter setting means 23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ox 200.
  • the counter setting means 230 may include a rotary switch 230a of the type shown in FIG. 5, a dip switch 230b of the type shown in FIG. 6, or FIG. 7. As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made of a digital input unit 230c such as a keypad.
  • the rotary switch 230a, the dual inline package switch 230b, the digital input 230c, and the like are switch type components used to change a hardware function by being plugged into a circuit board, and thu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target value of the counter 220 is set to any number among 1, 2, 5, 10, 20, 50, 100, 200, etc. using the counter setting means 230 such as a rotary switch or a dip switch.
  • the control means 240 controls the control means 240. Since the washing water valve 250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120 is ope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 the digital input unit 230 when used as the counter setting unit 230 as shown in FIG. 7, the range in which the target value can be set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rotary switch 230a or the dip switch 230b. May be advantageous.
  •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unter 220 and the control unit 240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a predetermined electronic circuit board.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can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general urinal for washing is performed using the wash water after the user urinates.
  • a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can be applied to a urinal which does not use water that is recently installed in public institutions.
  • the urine drainage 110 of the urinal 100 or the backflow trap by filling a certain amount of the barrier film forming fluid with a relatively low specific gravity as compared to urine to the user when the urine through the urine drainage (110)
  • Washing water supply control device can be applied to the urinal of the type to prevent the rise of the odor from the remaining urine is formed by the blocking film formed on the upper layer of the urine remaining after discharge.
  • the barrier film forming fluid tank 300 is provided around the sensor cover 200 in order to automatically supply the aforementioned barrier film forming fluid at a predetermined cycle.
  • the barrier film forming fluid tank 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nsor cover 200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ensor cover 200.
  • the control means 240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120. There is provided a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260 that is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may be suppli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prevent the washing of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by the washing water.
  • the control means 240 is set to be. That is, after the washing water valve 250 is opened, the control means 240 is set to open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260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solenoid valves may be used for the above-described washing water valve 250 and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260.
  • the urinal manager sets the target value of the counter by using the counter setting means (S110).
  • the detection sensor 210 provided in the sensor box 200 detects whether the user uses the urinal (S120), and the counter 220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sensor 210. To 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urinal used (S130).
  • the washing water valve 250 is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240.
  •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b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washing water valve 250 and washing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urine remaining in the urinal is performed (S140).
  •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260 is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240. In this way,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is supplied by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blocking film forming emulsion valve 260 (S150).
  • the supplied barrier film forming emulsion forms a barrier film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upper layer of the washing water or urin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 port 110.
  • the odor generated from the urine remaining in the urine drain port 110 is transferred into the toilet by forming a barrier film formed by the wash water remaining in the urine drain port 110 of the urinal or an upper layer of urine. This can be blocked.
  • the washing water supply is made when the number of times of use is reached,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ly clean the toilet manager. do.
  • the toilet manager can easily set the target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rinal, the degree of cleanliness, etc. through the counter setting means 230, the toilet can be easily maint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을 본 후에 물을 내리지 않더라도 소변 배수구로부터 소변으로 인한 악취가 나지 않도록 소변 배수구에 차단막 형성 유제가 채워지는 소변기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횟수에 기초하여 일정 간격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박스에 장착된 감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소변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기 위한 카운터 설정수단; 및 상기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 된 숫자가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본 발명은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소변을 본 후에 물을 내리지 않더라도 소변 배수구에 잔류하는 소변으로 인한 악취가 나지 않도록 소변 배수구에 차단막 형성 유제가 채워지는 소변기 등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횟수에 기초하여 일정 간격으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남자 화장실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소변기에는 하부에 소변 배수구가 마련되는 한편 상부에 소변을 본 후에 세척을 위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자동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센서 박스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에 접근하면 센서 박스에 설치된 감지 센서에서는 이를 감지하고,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소변기로부터 멀어지면 감지 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세척수단을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물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소변기의 설치가 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소변기에서는 소변 배수구 또는 역류 방지 트랩 등에 소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차단막 형성 유제를 채워 둠으로써, 소변은 차단막 형성 유제를 통과한 후 소변 배수구를 통해 배출이 되는 한편 소변 배수구에 잔류하는 소변의 상층에는 차단막 형성 유제가 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소변 배수구 또는 역류 방지 트랩에 잔류하는 소변의 상층에 차단막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한 후에 세척수를 공급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청결 상태는 유지된다. 전술한 차단막 형성 유제는 카트리지 형태로도 공급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소변기라 하더라도 차단막 형성 유제를 보충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시기에는 물을 이용하여 소변 배수구를 청소해주어야만 어느 정도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는 소변기의 경우에도 주기적인 물청소가 요구되는데, 이 경우에 소변기 자체에 세척수 공급을 위한 세척수단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용기를 이용해서 물을 운반한 후 청소를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소변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 횟수에 기초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변기 세척에 사용되는 물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변을 본 후에 물을 내리지 않더라도 소변 배수구로부터 소변으로 인한 악취가 나지 않도록 소변 배수구에 차단막 형성 유제가 채워지는 소변기에서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횟수에 기초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는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박스에 장착된 감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소변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기 위한 카운터 설정수단; 및 상기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 된 숫자가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는 상기 소변 배수구에 채워지는 차단막 형성 유제가 저장되는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 및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 내에 저장된 차단막 형성 유제가 상기 소변 배수구로 향해 일정량씩 공급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후에 차단막 형성 유제가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는 상기 센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는 상기 센서 박스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로터리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딥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디지털 입력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은 카운터 설정수단을 통해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 소변기 주변에 설치된 감지 센서가 소변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카운터가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목표값에 이르면 제어수단이 상기 소변기의 소변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이후에 상기 제어수단이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에 저장된 차단막 형성 유제가 상기 소변 배수구를 향해서 일정량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로터리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딥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디지털 입력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기초로 하여 일정 사용 주기에 따라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소변기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물 세척이 이루어짐으로써 일정 수준의 청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소변 배수구에 차단막 형성 유제를 사용하여 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변 배수구에 잔류하는 소변으로 인한 악취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설계된 소변기에 적용될 경우에도 소변기 사용 횟수를 기초로 물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일정 수준의 청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기존에 설치된 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박스의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의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소변기를 지시하는 것이며, 도면부호 2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가 부설된 센서 박스를 지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10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센서 박스(200)에 마련될 수 있다. 소변기(100)에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소변기(100)의 상부 측에 물 공급 파이프(120)가 배관 설치되고, 사용자가 소변기(100)를 사용하기 위해서 소변기(100) 앞에 설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210)가 마련된 센서 박스(200)는 물 공급 파이프(120)가 지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기(100) 앞에 일정 시간 서 있은 후 물러나게 되면, 센서 박스(200)에 마련된 감지 센서(210)가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 파이프(120)를 통해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에는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한 횟수에 기초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감지 센서(210)의 감지 결과를 카운트하는 카운터(220)가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로 포함된다. 한편, 소변기 관리자가 카운터(220)의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센서 박스(200)의 한쪽에는 카운터 설정수단(230)이 장착된다.
카운터 설정수단(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로터리 스위치(230a)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딥 스위치(DIP switch, 230b)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 등의 디지털 입력기(23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230a), 딥 스위치(Dual Inline Package switch, 230b), 디지털 입력기(230c) 등은 회로 기판 등에 꽂아 하드웨어의 기능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스위치 형태의 부품으로써, 여러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만큼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스위치, 딥 스위치 등의 카운터 설정수단(230)을 이용하여 카운터(220)의 목표값을 1, 2, 5, 10, 20, 50, 100, 200 등 중에서 어느 한 숫자로 설정해 놓거나 또는 디지털 입력기(230c) 등의 카운터 설정수단(230)을 이용하여 목표값을 입력한 상태에서, 카운터(220)에서 카운트 된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수단(240)의 제어에 의해서 물 공급 파이프(120)의 도중에 설치된 세척수 밸브(250)가 일정 시간 개방이 됨으로써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설정수단(230)으로써 디지털 입력기(230)가 사용될 경우에는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는 범위가 로터리 스위치(230a)나 딥 스위치(230b)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전술한 카운터(220), 제어수단(240) 등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소정의 전자회로 기판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세척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공공기관 등에 설치되고 있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소변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소변기(100)의 소변 배수구(110) 또는 역류 방지 트랩에 소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차단막 형성 유체를 어느 정도 채워 둠으로써 사용자가 소변을 보게 되면 소변 배수구(110)를 통해 소변이 배출된 후 잔류하게 되는 소변의 상층에 차단막이 형성되어 잔류한 소변으로부터의 냄새가 상승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형태의 소변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가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차단막 형성 유체가 소정 주기로 자동으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센서 커버(200)의 주변에는 차단막 형성 유체 탱크(300)가 마련된다. 차단막 형성 유체 탱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커버(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센서 커버(2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 커버(300)의 주변에 마련된 차단막 형성 유체 탱크(300)에 저장되어 있는 차단막 형성 유체가 소정 주기로 일정량씩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 공급 파이프(120)의 도중에는 제어수단(240)에 의해서 개폐가 제어되는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가 마련된다.
특히, 차단막 형성 유제가 공급된 후에 세척수가 공급될 경우에 세척수에 의해서 차단막 형성 유제가 씻겨 내려가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차단막 형성 유제는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수단(240)이 설정된다. 즉, 세척수 밸브(250)의 개방이 이루어진 후,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수단(240)이 설정된다.
한편, 전술한 세척수 밸브(250) 및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등에서는 감지 센서(210), 카운터(220), 카운터 설정수단(230), 제어수단(240), 세척수 밸브(250) 및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는 전원 공급부의 도시는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을 통해서 소변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소변기 관리자는 카운터 설정수단을 이용해서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게 된다(S110).
그리고 사용자가 소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센서 박스(200)에 마련된 감지 센서(210)에서는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여부를 감지하고(S120), 카운터(220)에서는 감지 센서(21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소변기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게 된다(S130).
이후, 카운터(220)에서 카운트 된 값이 목표값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수단(240)의 제어에 의해서 세척수 밸브(250)가 개방 동작하게 된다. 세척수 밸브(250)의 개방 동작에 의해서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소변기에 잔류하게 되는 소변 등 이물질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S14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의 경우에는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진 후, 제어수단(240)의 제어에 의해서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가 개방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260)의 개방 동작에 의해서 차단막 형성 유제의 공급이 이루어진다(S150).
따라서, 공급된 차단막 형성 유제는 소변 배수구(110)에 잔류하는 세척수 또는 소변의 상층에 소정의 두께로 차단막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변기의 소변 배수구(110)에 잔류하는 세척수 또는 소변의 상층에 차단막 형성 유제에 의한 차단막이 형성이 됨으로써 소변 배수구(110)에 잔류하는 소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등이 화장실 내로 전달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다.
특히, 설정된 목표값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매번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함에 따른 물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변 배수구(110)에 역류 방지 트랩 등이 설치되어 물 사용을 하지 않도록 설계된 소변기의 경우에는 설정된 사용 횟수에 이르게 되면 세척수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화장실 관리자가 별도로 물청소를 해야만 함에 따른 불편을 덜게 된다.
특히, 화장실 관리자는 카운터 설정수단(230)을 통해서 소변기의 사용 빈도, 청결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목표값을 쉽게 설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화장실의 유지 관리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 박스에 장착된 감지 센서의 감지에 따라 사용자가 소변을 본 후에 소변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소변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기 위한 카운터 설정수단; 및
    상기 카운터를 통해 카운트 된 숫자가 상기 목표값에 도달하면 상기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수구에 채워지는 차단막 형성 유제가 저장되는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 및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 내에 저장된 차단막 형성 유제가 상기 소변 배수구로 향해 일정량씩 공급될 수 있게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 를 더 포함하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밸브는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후에 차단막 형성 유제가 공급되도록 설정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는 상기 센서 박스의 내부에 설치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는 상기 센서 박스의 외부에 설치된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로터리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딥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디지털 입력기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10. 카운터 설정수단을 통해 카운터의 목표값을 설정하는 단계;
    소변기 주변에 설치된 감지 센서가 소변기 사용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카운터가 소변기의 사용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터의 카운트 값이 목표값에 이르면 제어수단이 상기 소변기의 소변 배수구를 향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 공급된 이후에 상기 제어수단이 차단막 형성 유제 탱크에 저장된 차단막 형성 유제가 상기 소변 배수구를 향해서 일정량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로터리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딥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설정수단은 디지털 입력기로 이루어지는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장치.
PCT/KR2012/006472 2011-08-26 2012-08-14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13032154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2302548A AU2012302548A1 (en) 2011-08-26 2012-08-14 Apparatus for controlling supply of cleansing water in ur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915 2011-08-26
KR20110085915 2011-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54A2 true WO2013032154A2 (ko) 2013-03-07
WO2013032154A3 WO2013032154A3 (ko) 2013-04-25

Family

ID=4775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472 WO2013032154A2 (ko) 2011-08-26 2012-08-14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AU (1) AU2012302548A1 (ko)
WO (1) WO201303215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7180B2 (en) 2014-02-28 2017-08-22 Brandie Allesa Banner Toilet with urine diversion and method for waste reus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94B1 (ko) * 1984-05-25 1991-10-24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소변기 세정장치
KR950003005B1 (ko) * 1992-04-09 1995-03-29 주식회사 진흥전자 자동소변세척기
KR200173546Y1 (ko) * 1999-09-28 2000-03-15 강장원 자기발전형 전자식 프레시 밸브
KR100390142B1 (ko) * 2000-07-11 2003-07-04 안상호 수세대가 구비된 소변기
KR20110064929A (ko) * 2009-12-09 2011-06-15 박희범 소변기의 세척수 배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94B1 (ko) * 1984-05-25 1991-10-24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소변기 세정장치
KR950003005B1 (ko) * 1992-04-09 1995-03-29 주식회사 진흥전자 자동소변세척기
KR200173546Y1 (ko) * 1999-09-28 2000-03-15 강장원 자기발전형 전자식 프레시 밸브
KR100390142B1 (ko) * 2000-07-11 2003-07-04 안상호 수세대가 구비된 소변기
KR20110064929A (ko) * 2009-12-09 2011-06-15 박희범 소변기의 세척수 배출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7180B2 (en) 2014-02-28 2017-08-22 Brandie Allesa Banner Toilet with urine diversion and method for waste re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32154A3 (ko) 2013-04-25
AU2012302548A1 (en)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377B2 (en) Wat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WO2017039076A1 (ko) 모듈식 애완동물용 배변기 청소장치
CN202644209U (zh) 带储水功能的洗衣机
WO2013122307A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WO2011028055A2 (ko) 수세식 좌변기
WO2019054525A1 (ko) 세면수를 변기세척수로 재활용이 가능한 절수기 장치
WO2016140417A1 (ko) 공용시설의 절수시스템{water saving system for public facilities}
WO2013032154A2 (ko)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15060479A1 (ko) 진공변기시스템의 자동배출장치
WO2022182197A1 (ko) 수세 겸용 소변기
WO2013100428A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WO2013022288A2 (ko) 층상 배수장치
CN101824850B (zh) 一种粪尿分离装置
WO2013032155A2 (ko) 소변기용 감지 센서의 감지기능 차단장치
WO2011145776A1 (en) Backflow prevention urinal using control ball
WO2022055211A1 (ko) 양변기 악취 제거 장치
WO2021060675A1 (ko) 비산 소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산 소변 세척 방법
CN101785881A (zh) 一种带自动清洗、排放功能的负压吸引装置
CN207811424U (zh) 城市泔水分离机
WO2016056825A1 (ko) 절수형 양변기 물탱크
CN109629641A (zh) 具有防臭结构的污水提升器及其控制方法
KR20130064524A (ko) 소변기
CN108146460A (zh) 列车厕所用真空泵排污系统及工作方法
WO2013048142A2 (ko) 양변기
WO2021045490A2 (ko) 공기 정화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7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2302548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2081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1.07.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27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