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34125A2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34125A2
WO2012134125A2 PCT/KR2012/002161 KR2012002161W WO2012134125A2 WO 2012134125 A2 WO2012134125 A2 WO 2012134125A2 KR 2012002161 W KR2012002161 W KR 2012002161W WO 2012134125 A2 WO2012134125 A2 WO 201213412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microwave
tube
decomposi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1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34125A3 (ko
Inventor
임채구
Original Assignee
이엠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엠더블류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213412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25A2/ko
Publication of WO201213412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3412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7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ir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6Micro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6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71Heating or cooling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73Materials to be treated
    • B01J2219/0881Two or more materials
    • B01J2219/0883Gas-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09Features relating to the reactor or vessel
    • B01J2219/1221Features relating to the reactor or vessel the reactor per se
    • B01J2219/1239Means for feeding and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12Processe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2219/1203Incoherent waves
    • B01J2219/1206Microwaves
    • B01J2219/1248Features relating to the microwave cavity
    • B01J2219/1272Materials of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using microwaves, and more particularly, by implementing a heat source in microwave to maintain an ultra-high temperature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and thus causing harmful harmful gas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as decomposition device and a decomposition method using microwaves that provide high efficiency heat without generating gas.
  • Global warming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earth's surface rises, and it may be included as the temperature rises, such as changes in ecosystems and sea level rise.
  • the cause of the warming has not yet been clearly identified, but the greenhouse gas causing the greenhouse effect is considered to be the leading cause, and the representative greenhouse gas is carbon dioxide, which accounts for 65% of the greenhouse gas.
  • Carbon dioxide treatment technology currently being promoted around the world has been developed to agglomerate carbon dioxide and store it on the seabed, and its cohesion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o the extent that it is commercially available, but carbon dioxide transportation and storage technology has not been developed yet.
  • the most ideal method is to decompose carbon dioxide using heat, which is the most efficient,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advantageous.
  • the heating method using electricity must constitute a very complicated structure inside the heating chamber.
  • the conventional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a plasma arc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 a high temperature plasma generator for generating a high temperature plasma for separating into oxygen,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a high temperature separation gas introduced from the high temperature plasma generator, and a carbon dioxide in a cooling state input from the heat exchanger and the separation gas.
  • a low temperature plasma generator for secondary separation of the gas in the state into a low temperature plasma and a multi-cyclone separator for gas separation.
  • the conventional decomposition process of carbon dioxide can be represented as follows.
  • the air is compressed through a compressor (compressor) in the air through an air compressor and a he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ed moisture is dried. The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by introducing air at a constant pressure through an expansion valve is performed. Proceed.
  • carbon dioxide is separated into carbon and oxygen by the plasma arc generated in the high temperature plasma generator.
  • Carbon and oxygen separated in this way are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a heat exchanger.
  • the cooling process of the heat exchanger is a hot gas is cooled to a low temperature gas while the separated carbon, oxygen and carbon dioxide, which are not separated, co-exist and achieve high temperature.
  • the mixed gas becomes a gas of low temperature and low pressure.
  • Low-temperature, low-pressure gas is once again subjected to a low temperature plasma generation process, which is less efficient than the high temperature plasma generation process, but it is more efficient than carbon dioxide and oxygen. Cars will be processed.
  • Carbon and oxygen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are subjected to a process of separating and recycling carbon through a cyclone separator.
  • the carbon dioxide is generated by branching made of a single or alloy metal material of numerous heat-resistant metals (tungsten and molybdenum, zirconia, cobalt, cobalt, etc.) in the shape of lightning rod when gas pressure is activated by high temperature.
  • the plasma arc (the spark generated by the heat source such as the laser beam) is discharged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carbon and oxygen are separated.
  • the heat-resistant metal that can withstand extremely high temperatures must be used as an electrode.
  • Carbon dioxide decomposing device and method using a microwa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in response to the microwave to provide a heat source for high-efficiency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without the generation of harmful gases and pollution gases, the high temperature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It is to provide a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apparatus using a microwave to provide a heat of through a microwave, and to effectively detect and detect the carbon dioxide decomposed by the provided heat.
  •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device using a microwa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the injection pipe for receiving carbon dioxide on one side and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carbon and residual gas after thermal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on the opposite side;
  • a heating element installed outside of the pyrolysis tube to generate heat by the microwaves irradiated from the microwave oscillation means to heat the pyrolysis tube;
  • Insulation material for insulating the heating element so that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 a first temperature sensing means for sensing a temperature in a pyrolysis tube provided for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by a heating element
  • the decomposition method of carbon dioxide the carbon dioxide pre-heating process of collecting only carbon dioxide and receiving and condensing stored carbon dioxid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compose carbon dioxide at a high temperature by having a heating element reacting to the microwave, so that carbon can be separated and recycled, and the separated oxygen can be reduced to the atmosphere,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 a heating element reacting to the microwave, so that carbon can be separated and recycled, and the separated oxygen can be reduced to the atmosphere,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 FIG. 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microwave.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in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metho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microwav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microwave to provide a high temperature heat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through a microwave, and to effectively detect and detect the carbon dioxide decomposed by the provided heat.
  • the first injection pipe 10 for receiving the carbon dioxide,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for receiving the catalyst gas for activating the carbon dioxide for the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is composed of one side, the other side after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 the preheating unit 50 for preheating the gas before it is introduced into the pyrolysis tube, and the guide 7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yrolysis tube and inducing the irradiation of the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80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 the formed outer cylinder 60 the microwaves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guides 70 to generate microwaves, and the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80 To maintain the proper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carbon dioxide by heat-insulating the heat generating element 90 installed outside the pyrolysis tube to heat the heat cracking tube and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90 so as not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temperature sensor 13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0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of the heat decomposition pipe, and the lower discharge pipe 30 Third temperature sense to sense temperature A sensor 150,
  • the magnetron 80, the preheating unit 50, and the cooling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s input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0,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process of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40 by the operation control 110.
  •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device using a microwa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for proceeding the decomposition process of the effective carbon dioxide by maintaining and controlling the proper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carbon dioxide by using a heating element that generates heat in response to the microwave.
  • One side of the pyrolysis tube constitutes a first injection tube 10 and a second injection tube 10 for receiving a mixed gas for catalyzing the activation of carbon dioxide when the carbon dioxide and carbon dioxide are pyrolyzed.
  • the mixed gas includes methane (CH 4), hydrogen (H), argon (Ar) gas, and the like.
  • Back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may be configured.
  •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may be configured by the same means as the check valve 170.
  • the check valve 170 is configured at a stage before the preheating part 50 of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on the injection progress path of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flowing from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is a low temperature of about 2 °C to 5 °C consumes a lot of energy to heat to a high temperature instantaneously Also, when the decomposition of the carbon dioxide proceeds, preheating unit 50 for preheating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ntroduced in order to increase the decomposition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to the pyrolysis tube.
  • the preheating unit 50 is configured outside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to configure a heater al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Increasing the conductivity o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reheating unit 50 by reduc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tub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tube 20 and lengthening it, and more time for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to pass through the tube This large amount can be made relatively longer than at once, so that preheating can be done efficiently.
  • a discharge pipe 30 for discharging carbon and residual gas by thermal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 the pyrolysis tube is a means for providing a space for pyrolyzing carbon dioxide supplied by receiving carbon dioxide, a heating tube 40 heated by heat conducted from the heating element 90, and a high temperature heating tube 40.
  • Tube connection part 41 i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eating tube 40 to connect the), and tube connection cooling part 4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connection part 41 to cool the tube connection part 4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heating tube 40 may be made of a metal or ceramic material or a mixture of silicon carbide (SiC) series.
  • the tube connecting portion 41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heating tube 40 to maintain the ultra-high temperature state,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that does not occur deformation even at ultra-high temperature.
  • the tube connecting portion 41 may form a vortex forming means for forming a vortex so that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can effectively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tube 40.
  • the vortex form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rotary blade 180 that rotates by the inlet pressure of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n which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s injected.
  •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 180 by rotating the rotary blade 180 using the drive means to facilitate the inflow of carbon dioxide and mixed gas and the carbon dioxide and mixed gas introduced into the first It may be configured as a backflow prevention means for preventing backflow into the injection pipe 10 or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 the heating element 90 is a means for heating the heating tube 40 by heating in response to the microwave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80, it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heating tube 40 .
  • the heating element 90 is composed of a mixture of silicon carbide, a binder, an antioxidant, and a sintering accelerator, and may self-heat a temperature of 2200 ° C. or higher through the silicon carbide self-absorbing property that absorbs microwaves.
  • the outer cylinder 60 is a chamber, and means for installing the guide 70 and the magnetron 80.
  • a plurality of guides 70 are install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6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60.
  • the guide 70 is a means for inducing microwaves generated from the magnetron 80 to irradiate the heating element 90.
  • the guide 70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prevention pad (not shown)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guide 70 to enable efficient microwave induction.
  • Moisture barrier pad may be made of mica, quartz, Teflon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microwave permeability.
  • the magnetron 80 is installed in the guide 70 by microwave oscillation means.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not only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tube 40 from becoming unstable as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9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lso the released heat is transferred to the magnetron 80 to provide a magnetron ( 80) is an insulation means to prevent damage.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is installed in the form of completely enclosing the heating tube 40 and the heating element 90 to the outside of the heating element 90, that is, between the outer cylinder 60 and the heating tube 40 in a cylindrical shape.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is a material through which microwaves are transmitted, and is made of a ceramic-based material of ceramics that can perform a heat insulating function without melting even when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n extremely high temperature of 2000 ° C. or higher.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may be made of a mixture of alumina oxide, zirconia, and an inorganic binder.
  • the cooling unit 110 is a means for cooling carbon that is formed under the heating tube 40 and is thermally decompos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 the cooling unit 110 forms a water cooling type or a cooling pipe in the form of a heat sink to dissipate heat into the air by installing a cooling fin in the discharge pipe, and has various forms such as water cooling for cooling the discharge pipe 30 while circulating the cooling water in the cooling pipe. It can be configured as a cooling system.
  • the dust collector 120 is a means for collecting the carb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0 is a means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tube 40, when the temperature for each part of each position of the heating tube 40 is required, one or more may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 the control unit 160 is a control means for decomposing carbon dioxide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tube 40, the heating tube 40 by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tube 40 from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0
  •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preheating unit 50 by checking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flowing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ipe 10,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by checking the sensed temperature,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Checking the temperature detected from the 150 provides a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ooling unit 110 by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ipe (30).
  • the control unit 160 is composed of an automatic control device such as a PCB control panel type or a PLC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providing the control process.
  • an automatic control device such as a PCB control panel type or a PLC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providing the control process.
  • a gas detection sensor 190 which is a gas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inflow of carbon dioxide.
  • the controller 16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control process by determining the operations of the magnetron 80, the preheater 50, and the cool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gas detection result of the gas detection sensor. have.
  •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200 for detec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residual ga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 the control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rocess for controlling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control process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agnetron 8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detected from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200.
  •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200 as a monitoring means for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will control the temperature in the heating tube 40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process pure carbon dioxide,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o collect the previously known carbon dioxide, and to decompose the stored carbon dioxide through the method of storing the collected carbon dioxide For technical purposes.
  •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are flowed back by the check valve 170 formed in the first injection pipe 10 and the second injection pipe 20. Is prevented.
  • the microwaves oscillated from the magnetron 80 is guided by the guide 70 is transmitted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is irradiated to the heating element 90 installed in the heating tube 40.
  • the heating element 90 is heated to 2000 ° C. or higher in response to the microwave.
  • the heat of the heating element 90 is transferred to the heating tube 40, the carbon dioxid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tube 40 is decomposed as the heating tube 40 is in a very high temperature state.
  • the rotary blade 180 installed in the tube connection portion 41 is rotated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flowing in, and thus the vortex is formed and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ntroduced into the wall of the gas tube 40 As they collide, they break down more effectively.
  •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90 by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0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s it is transmitted to the heating tube (40).
  • the carbon is separated in the gas tube 40, the separated carbon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residual gas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 the discharge pipe 30 is provided with a cooling unit 110 to cool the carbon in a high temperature state.
  • Carb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0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120, the residual gas is absorbed in the atmosphere.
  •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apparatus and maintains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gas decomposition tube 40 consistently with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temperature to decompose carbon dioxide through the above process.
  • the gas detection sensor 190 when the gas detection sensor 190 is configured and the inlet gas is set to automatically proceed with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only when the inlet gas is detected, when the detection signal for the inflow of carbon dioxide is input from the gas sensor 190, the device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magnetron 80, the preheating unit 50, the cooling unit 110 to proceed with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agnetron 80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in the gas decomposition tube 4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nsing result detect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30. do.
  • controller 160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 dioxide and the mixed gas introduced by controlling the preheater 5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40, and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50.
  •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ipe 30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cool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etection result detected from the).
  •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agnetron 80 to control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 the output of the magnetron 80 is increased to allow complete decomposition of carbon dioxide.
  • the supply of the driving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magnetron 80 and the operating power of the controller 160 is generally known in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thus the power supply means is omitted from the configuration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decomposes carbon dioxide in an ultra-high temperature state using a microwave, and in the process of decomposing the same, by maintaining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carbon dioxide constan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table and effectiv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 the gas cracking pipe is constructed in a stand-up form, but may be configured in a horizontal form and one or more. It can be systemized to decompose a large amount of carbon dioxide from the decomposer.
  • Such 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decomposition process.
  • CO2 preheating process that collects pure carbon dioxide and condenses and receives preheated carbon dioxide
  • the carbon dioxide preheating process may further include supplying an activation gas for activating carbon dioxide with carbon dioxide when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is performed.
  •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further includes a vortex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 vortex in the pyrolysis tube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inflow of carbon dioxid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pyrolysis tube.
  •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further includes a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emaining to check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discharged through the thermal cracking tube after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icrowave oscillation means.
  • the carbon dioxide preheating process further includes a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inflow gas detec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preheating process and the carbon dioxide decomposition process proce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ga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supply of carbon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켜 탄소와 산소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1800℃ 이상의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며, 완전하게 탄소와 산소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2000℃이상의 초고온에 도달하여야 하나 종래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에서는 이를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에 반응하여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하여 유해가스 및 공해가스의 발생없이 고효율의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한 열원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고온의 열을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제공하고, 그 제공된 열에 의해 분해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규칙 제26조에 의한 보정 18.04.2012]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초고온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열원을 마이크로웨이브로 구현함으로서, 유해한 유해가스 및 환경에 영향을 주는 공해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고효율의 열을 제공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가스 분해장치 및 분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는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생태계의 변화, 해수면의 상승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서 발생하는 포함 하여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가스의 증가에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며, 산업 발달에 따라 석유와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숲이 파괴되면서 온실효과의 영향이 커졌다고 보고 있다.
이미 이산화탄소가 온난화의 주범임을 공식기구에서 밝힌 바 있으며, 일반인들에게도 상식처럼 알려져 있다.
온난화의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고 있으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실기체가 유력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대표적인 온실기체가 온실기체의 65%를 차지하고 있는 바로 이산화탄소이다.
온난화의 가장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나,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이에 이산화탄소의 처리문제가 가장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현재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이산화탄소 처리기술은 이산화탄소를 응집하여 해저에 보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의 응집기술은 상용화가 가능한 정도로 개발되었으나, 이산화탄소의 운송 및 저장기술은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이다.
현재 상태에서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열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며 경제적, 환경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화석연료, 전기 에너지 등의 열원을 사용하여 온도를 생산하는 가열방법으로는 대기분위기에서 이산화탄소의 분해온도를 유지하기가 어렵고 에너지의 효율적 측면에서 경제성이 결여된다.
또한 전기를 이용한 가열방법은 가열 챔버 내부에 매우 복잡한 구조를 구성해야만 한다.
이에 특허출원 2009년 제58597호에서는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챔버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압축함과 동시에 함께 녹아져 있는 수분을 건조하는 공기압축 및 가온기와, 상기 공기 압축 및 가온기로부터 고온의 건조된 이산화탄소를 압력 조절용 팽창변을 통해 입력받아 이산화탄소의 화학결합을 탄소와 산소로 분리하기 위한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고온 플라즈마 발생기와, 고온 플라즈마 발생기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분리가스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입력된 냉각상태의 이산화탄소와 그 분리 가스가 혼합된 상태의 가스를 저온 플라즈마로 다시 2차 분리시키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기 및 가스 분리를 위한 멀티 사이크론 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종래 이산화탄소의 분해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먼저, 공기압축 및 가온기를 통하여 공기 중 압축기(콤프레셔)를 통하여 공기를 압축함과 동시에 함께 녹아져 있는 수분을 건조시킨 후, 팽창변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준비과정을 진행한다.
이후, 고온 플라즈마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아크에 의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소와 산소로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탄소와 산소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기의 냉각과정은 분리된 탄소, 산소와 미처 분리되지 못한 이산화탄소가 공존하며 고온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고온의 가스가 냉각되어 저온의 가스로 변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고온의 혼합 가스는 저온저압의 가스가 된다.
이제 저온 저압의 가스는 다시 한번 저온의 플라즈마 발생 발생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는 고온의 플라즈마 발생의 분리공정 보다는 효율이 떨어지지만 미처 탄소와 산소로 분리되지 못한 이산화탄소를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저온 플라즈마 발생기에 의한 2차 처리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 분해된 탄소와 산소는 싸이크론 분리기를 통하여 탄소를 분리하여 재활용하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하는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는
이산화탄소가 고온에 의해 기체압력이 활성화 상태가 된 상태에서 피뢰침 모양의 수많은 내열성의 금속(텅스텐 및 몰리브데늄,지로코늄,코발트,코발트등)의 단일 혹은 합금금속 재질로된 가지침에 발생 되어지는 플라즈마 아크(레이저 빔등의 열원이 발생하는 불꽃)에 고온 상태에서 방전되면서 탄소와 산소가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켜 탄소와 산소로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1800℃ 이상의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며, 완전하게 탄소와 산소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2000℃이상의 초고온에 도달하여야 하나 이를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온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농도가 낮기 때문에 재차 분리공정을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플라즈마 아크를 이용하기 위해서 초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상기 내열성의 금속을 전극으로 이용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은 마이크로웨이브에 반응하여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하여 유해가스 및 공해가스의 발생없이 고효율의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한 열원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고온의 열을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제공하고, 그 제공된 열에 의해 분해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기 위한 주입관이 일 측으로 구성되고 그 반대 측에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 후 탄소와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성한 가열분해관과,
내측으로 가열분해관이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 내측에 설치된 상기 가열분해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유도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이 설치되는 외통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에서 조사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발열되어 가열분해관을 가열시키기 가열분해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발열체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재와,
가열분해관으로 분리 배출되는 탄소를 수거하기 위한 집진부와,
발열체에 의해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해 제공되는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 값에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이산화탄소의 가열분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분해방법은, 이산화탄소만을 포집하여 응축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예열하는 이산화탄소 예열과정과,
예열된 이산화탄소를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가열분해관내에 주입하는 이산화탄소 주입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확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가열분해온도를 제공하여 주입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여 탄소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분해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에서 분해되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는 탄소냉각과정과,
냉각된 탄소를 집진 수거하는 탄소수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웨이브에 반응하는 발열체를 구비하여 이산화탄소를 고온에서 분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탄소를 분리하여 재활용하고, 분리된 산소를 대기 중으로 환원할 수 있어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마이크로웨이브를 에너지원으로 적용함에 따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분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고온의 열을 마이크로웨이브를 통해 제공하고, 그 제공된 열에 의해 분해된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해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그 구조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기 위한 제 1주입관(10),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촉매 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제 2주입관(20)이 일 측으로 구성되고, 그 반대측으로는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 후 탄소와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0)을 구성하여 내부 유입된 이산화탄소를 분해시키기 위한 가열분해관과,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를 가열분해관 내로 유입되기 전에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부(50)와, 상기 가열분해관의 외측에 형성되고 마그네트론(80)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의 조사를 유도하기 가이드(70)가 외면에 다수 개 형성된 외통(60)과, 상기 각 가이드(70)에 설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기 위한 마크네트론(80)과, 마그네트론(80)으로 부터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발열되어 가열분해관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가열분해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체(90)와, 발열체(9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단열하여 이산화탄소의 적정분해 온도의 유지 및 마크네트론(8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체(90)의 외부로 형성되는 단열재(100)와, 가열분해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열분해관의 배출관(30)를 통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110)와, 가열분해관으로 부터 분리 배출되는 탄소를 수거하기 위한 집진부(120)와, 가열분해관 내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하여 발열체(90)로 부터 제공된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온도감지센서(130)와, 상기 가열분해관의 상부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온도감지센서(140)와, 하부 배출관(30) 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3온도감지센서(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온도감지센서(130), 제 2온도감지센서(140) 및 제 3온도감지센서(150)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 값에 따라서 마그네트론(80) 및 예열부(50), 냉각부(110)를 동작제어하여 가열튜브(40) 내에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가열분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 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에 에 반응하여 발열하는 발열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의 적정분해 온도를 유지 제어하여 효과적인 이산화탄소의 분해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가열분해관의 일 측으로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할 때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촉매작용을 할 혼합가스를 제공받기 위한 제 1주입관(10), 제 2주입관(10)을 구성한다.
혼합 가스는 메탄(CH4), 수소(H), 아르곤(Ar) 가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주입관(10)과 제 2주입관(20)을 통해 가열분해관 내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제 1주입관(10) 또는 제 2주입관(2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체크밸브(170)와 같은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주입진행 경로 상에서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의 예열부(50) 이전 단에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으로 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는 약 2℃ 내지 5℃의 저온 상태임에 따라서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또한 이산화탄소의 분해가 진행될 때, 이산화탄소의 분해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를 예열하여 가열분해관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예열부(50)를 구성한다.
상기 예열부(50)는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의 외부에 구성하여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의 외면을 따라 히터를 구성하고,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의 내경을 작게 하고 길이를 길게 하여 예열부(50)에서 발생된 열의 전도도를 높이고, 보다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관 내를 통과하는 시간이 많은 양이 한꺼번에 지나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예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열분해관의 다른 일 측으로는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하여 탄소와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30)이 형성된다.
상기 가열분해관은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기 발열체(90)로 부터 전도된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튜브(40)와, 고온의 가열튜브(40)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열튜브(40)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되는 튜브연결부(41)와, 튜브연결부(41)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튜브연결부(41)의 외면에 형성되는 튜브연결냉각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튜브(40)는 금속이나 세라믹소재 또는 탄화규소(SiC) 계열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튜브연결부(41)는 초고온상태를 유지하는 가열튜브(4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초고온에서도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연결부(41)의 내에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효과적으로 가열튜브(40) 내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형성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와류형성수단은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주입되는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유입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1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날개(18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구성하고,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회전날개(180)를 회전시켜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하면서 더불어 유입된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제 1주입관(10) 또는 제 2주입관(2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90)는 마그네트론(80)으로 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에 반응하여 발열하여 가열튜브(40)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통형의 가열튜브(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90)는 탄화규소, 바인더, 산화방지제 및 소결촉진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는 탄화규소 자체성질을 통하여 2200℃ 이상의 온도를 자체 발열할 수 있다.
상기 외통(60)은 챔버이며, 가이드(70) 및 마그네트론(80)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외통(60)의 외면으로 가이드(70)는 외통(6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가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70)는 마그네트론(80)으로 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유도하여 발열체(90)로 조사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가이드(70)는 가이드(70)로 유입되는 습기를 방지하여 효율적인 마이크로웨이브의 유도가 가능하도록 습기방지패드(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습기방지패드는 마이크로웨이브의 투과성을 고려하여 운모, 석영, 테프론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80)은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으로 상기 가이드(70)에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100)는 발열체(9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서 가열튜브(40)의 온도가 불안정하게 됨을 방지함은 물론, 또한 방출된 열이 마그네트론(80)에 전달되어 마그네트론(80)이 손상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수단이다.
상기 단열재(100)는 상기 발열체(90)의 외측으로 즉, 상기 외통(60)과 가열튜브(40) 사이에 원통형으로 가열튜브(40)와 발열체(90)를 전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단열재(100)는 마이크로웨이브가 투과되는 소재이며, 또한 온도가 2000℃ 이상의 초고온으로 상승될 경우에도 녹지 않고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자기 성분의 세라믹계열 소재로 제작된다.
상기 단열재(100)는 산화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무기질 바인더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부(110)는 가열튜브(40)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열 분해되어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고온에 의해 분해된 탄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냉각부(110)는 냉각핀을 배출관에 설치하여 열을 공기 중으로 발산시키는 히트싱크 형태의 공랭식 또는 냉각파이프를 구성하고 냉각파이프 내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배출관(30)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식 등 다양한 형태의 냉각장치(cooling system)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120)는 상기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는 탄소를 수거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제 1온도감지센서(130)는 가열튜브(4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열튜브(40) 각 위치의 부분별 온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가열튜브(40)의 온도를 제어하여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제 1온도감지센서(130)로 부터 가열튜브(40)의 온도를 확인하여 가열튜브(40)의 온도에 따라서 마그네트론(80)의 출력을 제어하여 발열체(9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열튜브 내의 이산화탄소 분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제 2온도감지센서(140)로 부터 감지된 온도를 확인하여 제 1주입관(10), 제 2주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온도를 확인하여 예열부(5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와, 제 3온도감지센서(150)로 부터 감지된 온도를 확인하여 배출관(30)의 온도를 감지하여 냉각부(110)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제어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PCB 제어패널 타입 또는 PLC 등의 자동제어장치로 구성된다.
한편, 이산화탄소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수단인 가스감지센서(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가스감지센서의 가스감지 결과에 따라서 마그네트론(80) 및 예열부(50), 냉각부(110)의 동작을 결정하여 이산화탄소분해제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는 잔류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센서(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이산화탄소감지센서(200)로 부터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에 따라서 마그네트론(80)의 출력을 제어하여 이산화탄소분해제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감지센서(200)는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에 대한 모니터링 수단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라서 가열튜브(40) 내의 온도를 제어하기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해대상인 이산화탄소 및 메탄, 수소, 아르곤 가스를 포함하는 혼합가스가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을 통하여 가스분해관 내로 유입된다.
본 발명 실시 예는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전에 공지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그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방법을 통해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
이때, 예열부(5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는 예열된 상태로 가스분해관의 튜브연결부(41)로 유입된다.
상기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을 통해 유입된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는 제 1주입관(10) 및 제 2주입관(20)에 형성된 체크밸브(170)에 의해 역류가 방지된다.
한편 마그네트론(80)으로 부터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는 가이드(70)에 의해 유도되어 단열재(100)를 투과하여 가열튜브(40)에 설치된 발열체(90)에 조사된다.
발열체(90)는 마이크로웨이브에 반응하여 2000℃ 이상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발열체(90)의 열은 가열튜브(40)에 전달되고, 가열튜브(40)가 초고온 상태로 됨에 따라서 가열튜브(40) 내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분해된다.
여기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압력에 따라 튜브연결부(41) 내에 설치된 회전날개(180)는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류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는 가스튜브(40)의 벽면에 부딪히게 되면서 보다 효과적으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단열재(100)에 의하여 발열체(90)에서 발생된 열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가열튜브(40)에 전달되어짐에 따라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해과정을 거치게 되면, 가스튜브(40) 내에는 탄소가 분리되고, 이의 분리된 탄소는 배출관(30)을 통해 잔류가스와 함께 배출된다.
배출관(30)에는 냉각부(110)가 설치되어 있어서, 고온상태의 탄소를 냉각시켜준다.
배출관(30)을 통해 배출되는 탄소는 집진부(120)에 집진되고, 잔류 가스는 대기 중에 흡수된다.
여기서 잔류가스(산소)를 이용하는 후처리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장치를 동작시키고, 가스분해튜브(40)의 온도를 이산화탄소 분해온도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 제어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분해시킨다.
한편 가스감지센서(190)를 구성하고, 유입가스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을 자동 진행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가스감지센서(190)로 부터 이산화탄소의 유입에 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장치를 동작시켜, 마그네트론(80) 및 예열부(50), 냉각부(110)를 동작시켜 상기의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을 진행시킨다.
제어부(160)에서는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이 진행되면, 제 1온도감지센서(130)로 부터 감지된 온도 감지결과에 따라서 가스분해튜브(40)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마그네트론(8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에서는 제 2온도감지센서(140)로 부터 감지된 온도 감지결과에 따라서 예열부(50)를 제어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온도를 제어하고, 제 3온도감지센서(150)로 부터 감지된 온도 감지결과에 따라서 냉각부(110)를 제어하여 배출관(30)의 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이산화탄소검출센서(200)로 부터 검출된 잔류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안하여 제어부(160)에서는 마그네트론(80)을 제어하여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즉, 이산화탄소검출센서(200)로 부터 이산화탄소가 검출되면 마그네트론(80)의 출력을 높여 완전한 이산화탄소의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마그네트론(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전원 및 제어부(160)의 동작전원의 공급은 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일반적인 공지내용으로 본 발명의 구성 및 상세한 설명에서 전원공급수단은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초고온 상태에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고, 그 분해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분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이산화탄소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 예에서는 가스분해관이 세워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가로형태 및 하나 이상의 다수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고온의 가스분해관을 구성하는 이산화탄소 분해장치를 하나 이상 다수 개를 구성하여 다수의 분해장치로 부터 동시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분해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는 다음과 같은 분해 과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순수 이산화탄소만을 포집하여 응축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예열하는 이산화탄소 예열과정과,
예열된 이산화탄소를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가열분해관내에 주입하는 이산화탄소 주입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확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가열분해온도를 제공하여 주입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여 탄소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분해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에서 분해되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는 탄소냉각과정과,
냉각된 탄소를 집진 수거하는 탄소수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 예열과정은, 이산화탄소 분해과정 수행 시 이산화탄소를 활성화 하기위한 활성화 가스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공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은 가열분해관 내에 와류를 형성시켜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가열분해관 내벽에 접촉되는 빈도 수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와류형성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은 이산화탄소 분해 후 가열분해관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확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잔류 이산화탄소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해제어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예열과정은 이산화탄소의 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서 예열과정 및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유입가스 감지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해제어과정을 더 포함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32)

  1.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기 위한 주입관이 일 측으로 구성되고 그 반대 측에 이산화탄소를 가열분해 후 탄소와 잔류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을 구성한 가열분해관과,
    내측으로 가열분해관이 설치되고, 그 외측으로 내측에 설치된 상기 가열분해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유도조사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이 설치되는 외통과,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에서 조사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발열되어 가열분해관을 가열시키기 가열분해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발열체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재와,
    가열분해관으로 분리 배출되는 탄소를 수거하기 위한 집진부와,
    발열체에 의해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해 제공되는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온도감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 값에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을 동작 제어하여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분해하는 이산화탄소의 가열분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내에 이산화탄소의 분해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활성화 가스를 더 주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산화탄소를 유입되기 이전에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분해관은 상기 발열체로 부터 전도된 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가열튜브와, 고온의 가열튜브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열튜브의 양단에 결합되는 튜브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연결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튜브연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튜브연결냉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분해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이산화탄소를 공급받기 위한 제 1주입관, 이산화탄소 분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스를 공급받기 위한 제 2주입관이 별개로 구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활성화를 위하여 공급되는 가스는 메탄(CH4), 수소(H), 아르곤(Ar) 가스를 포함하는 혼합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에는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체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수단은 주입관의 외면을 따라 히터를 구성하고, 상기 주입관의 내경을 작게 하고 길이를 길게 하여 히터에서 발생된 열의 전도도를 높이고 보다 이산화탄소 및 가스가 관 내를 통과하는 시간이 많은 양이 한꺼번에 지나갈 때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튜브는 금속 또는 세라믹소재 또는 탄화규소(Si C) 계열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분해관의 튜브연결관 내에는 유입되는 이산화탄소가 가열튜브 내벽에 접촉될 수 있도록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와류형성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성수단은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의 유입압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구성하고,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이산화탄소 및 가스의 유입이 원활하게 하면서 더불어 유입된 이산화탄소 및 혼합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원통형의 가열튜브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통형 발열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7.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탄화규소, 바인더, 산화방지제 및 소결촉진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가이드로 유입되는 습기를 방지하여 습기방지패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발열체의 외측으로 상기 외통과 가열튜브 사이에 원통형으로 가열튜브와 발열체를 전체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세라믹계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0. 제1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산화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무기질 바인더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가열분해관의 배출관에 냉각핀을 설치하여 열을 공기 중으로 발산시키는 히트싱크 형태의 공랭식 냉각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배출관에 냉각파이프를 구성하고 냉각파이프 내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면서 배출관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식 냉각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온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에 따라서 예열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3온도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온도감지수단으로 부터 입력되는 온도감지값에 따라서 냉각수단을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의 유입을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가스감지수단의 가스감지 결과에 따라서 장치의 동작을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잔류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이산화탄소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이산화탄소감지수단으로 부터 감지된 이산화탄소의 양에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여 이산화탄소분해제어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
  27. 이산화탄소만을 포집하여 응축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예열하는 이산화탄소 예열과정과,
    예열된 이산화탄소를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하여 반응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 가열분해관내에 주입하는 이산화탄소 주입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의 온도를 확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가열분해온도를 제공하여 주입된 이산화탄소를 분해하여 탄소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분해과정과,
    가열분해관 내에서 분해되어 배출되는 탄소를 냉각시키는 탄소냉각과정과,
    냉각된 탄소를 집진 수거하는 탄소수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예열과정은, 이산화탄소 분해과정 수행 시 이산화탄소를 활성화 하기위한 활성화 가스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공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가스는 메탄, 수소, 아르곤을 포함하는 혼합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은 가열분해관 내에 와류를 형성시켜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가열분해관 내벽에 접촉되는 빈도 수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와류형성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은 이산화탄소 분해 후 가열분해관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을 확인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발진수단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하는 잔류 이산화탄소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해제어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예열과정은 이산화탄소의 공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가스감지수단의 감지결과에 따라서 예열과정 및 이산화탄소 분해과정의 진행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유입가스 감지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해제어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방법.
PCT/KR2012/002161 2011-03-28 2012-03-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WO201213412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618 2011-03-28
KR1020110027618A KR20120109858A (ko) 2011-03-28 2011-03-28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25A2 true WO2012134125A2 (ko) 2012-10-04
WO2012134125A3 WO2012134125A3 (ko) 2013-03-07

Family

ID=4693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161 WO2012134125A2 (ko) 2011-03-28 2012-03-27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09858A (ko)
WO (1) WO2012134125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5195A (zh) * 2015-12-31 2017-07-0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水热法制备粉体材料的装置
CN106925196A (zh) * 2015-12-31 2017-07-0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黏度流体的微波加热装置
WO2019025843A1 (en) * 2017-08-04 2019-02-07 Szamoskozi Ferenc AUTOCLAVE MICROWAVE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ECOND GENERATION BIOFUELS MORE EFFICIENTLY AT INDUSTRIAL SCALE
WO2022261697A1 (en) * 2021-06-14 2022-12-22 Barrington IP Holdings Pty Ltd A process and plant for carbon extra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536B1 (ko) * 2019-08-01 2021-05-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의 환원 방법
KR102381916B1 (ko) * 2021-10-14 2022-04-01 강예찬 반도체 공정 폐가스 플라즈마 열분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622A (ja) * 1990-10-23 1994-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廃棄物の浄化焼却装置
KR20000014273U (ko) * 1998-12-30 2000-07-25 김덕중 마이크로웨이브 및 광에너지를 이용한 탈황장치
KR100579760B1 (ko) * 2004-07-30 2006-05-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
JP2006216412A (ja) * 2005-02-04 2006-08-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マイクロ波加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二酸化炭素分解方法
KR20090064866A (ko) * 2007-12-17 2009-06-22 한진영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 및 산업폐가스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1622A (ja) * 1990-10-23 1994-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廃棄物の浄化焼却装置
KR20000014273U (ko) * 1998-12-30 2000-07-25 김덕중 마이크로웨이브 및 광에너지를 이용한 탈황장치
KR100579760B1 (ko) * 2004-07-30 2006-05-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탈착장치
JP2006216412A (ja) * 2005-02-04 2006-08-1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マイクロ波加熱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二酸化炭素分解方法
KR20090064866A (ko) * 2007-12-17 2009-06-22 한진영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질 및 산업폐가스 제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5195A (zh) * 2015-12-31 2017-07-0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水热法制备粉体材料的装置
CN106925196A (zh) * 2015-12-31 2017-07-0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高黏度流体的微波加热装置
WO2019025843A1 (en) * 2017-08-04 2019-02-07 Szamoskozi Ferenc AUTOCLAVE MICROWAVE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ECOND GENERATION BIOFUELS MORE EFFICIENTLY AT INDUSTRIAL SCALE
WO2022261697A1 (en) * 2021-06-14 2022-12-22 Barrington IP Holdings Pty Ltd A process and plant for carbon ext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4125A3 (ko) 2013-03-07
KR20120109858A (ko)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34125A2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해장치와 방법
JP4219889B2 (ja) 有害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WO2009136737A9 (ko)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시스템 및 열분해방법
WO2012002693A2 (ko) 온실가스 연소장치
JP4323638B2 (ja) 高温空気加熱器
CN104266197A (zh) 一种等离子体焚烧垃圾设备及其方法
WO2016013759A1 (ko) 플라즈마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법
KR101033825B1 (ko) 완전연소와 간접열원 전달방식을 가지는 신·재생연료 연소시스템
WO2010008237A2 (ko) H₂o의 고온 분해에 따른 기체 추출 및 열에너지 발생장치
CN211450945U (zh) 一种余热利用高效环保炉
CN107152689A (zh) 医疗废物微波等离子体无氧催化裂解装置
KR101416679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폐기물 고주파 탄화처리장치
JP2000239010A (ja) 廃棄物からの活性炭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6336955A (ja) 医療系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設備
JP2003254516A (ja) ゴミ焼却発電設備
CN216441352U (zh) 一种油漆废物以废治废系统
JP4631227B2 (ja) 廃棄物炭化設備の飛灰処理方法
JPH10185152A (ja) 高温空気加熱器
CN211176810U (zh) 一种炉体壁面热量可利用的气化反应炉
JP2004277551A (ja) 熱分解ガス配管
JP2004239687A (ja) 熱分解炉
JP4434531B2 (ja) 熱分解ガス化改質システム
JP3570885B2 (ja) 電気式灰溶融炉の排ガス処理設備
WO2022191632A1 (ko) 디젤을 전자파 플라스마 토치로 개질 하여 합성가스를 생산하는 장치와 방법
JP2001208310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廃棄物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46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46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