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43902A1 -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43902A1
WO2012043902A1 PCT/KR2010/006669 KR2010006669W WO2012043902A1 WO 2012043902 A1 WO2012043902 A1 WO 2012043902A1 KR 2010006669 W KR2010006669 W KR 2010006669W WO 2012043902 A1 WO2012043902 A1 WO 20120439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medicine
image
symp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66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명은
허지영
이종수
홍승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0/0066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43902A1/ko
Publication of WO20120439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439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약품과 관련된 각종 약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약품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품에 대한 사용 이력 정보, 약품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각종 약품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질병 및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질병 및 건강 관리를 위하여, 운동, 식이 요법, 약물 요법 등 다양한 건강 증진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약품에 관련된 복합적인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복합적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한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약품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약품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연계된 약품 관련 정보, 사용 이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용법을 기초로 자동으로 복약 스케쥴을 생성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는, 출력부,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의 사용증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증상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상기 약품이 사용되었던 과거의 증상에 관련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는, 출력부, 증상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증상 관련 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하여 과거 사용된 약품의 이름 및 약품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는,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의 사용 용법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은, 입력부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적어도 하나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의 사용증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사용증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상기 약품이 사용되었던 과거의 증상에 관련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은, 입력부를 통하여, 증상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에 연관되어 저장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하여 과거 사용된 약품의 이름 및 약품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은, 입력부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의 사용용법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생성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품과 관련된 각종 약품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품 관련 정보, 사용 이력 정보를 연계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연계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약품의 사용용법에 기초하여 복약 스케쥴을 자동 생성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이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약 스케쥴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생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5)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3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시각 알림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순응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조회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의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설명하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이력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약품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약품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시스템 환경>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연계시켜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약품에 대한 어떠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입력된 약품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통합 관리되는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 즉 약품 정보는, 예를 들어, 약품 관련 정보, 약품의 사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환경은, 약품 정보 서버(10), 원격 진료 서버(20), 건강 관리 서버(30), 네트워크(40),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므로 이보다 적거나 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약품 정보 및 건강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어떠한 구성도 본 시스템 환경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는, 제약사, 약국과 연계하여, 약품과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관리하고 다른 전자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는 상기 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는, 임의의 약품과 관련된 서지사항 예를 들어, 약품명, 사용용법, 부작용, 효능 금기, 임부 투여 안전, 약품의 외관을 반영하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는 상기 관리되는 정보를 상기 약품 관리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진료 서버(20)는, 병원과 연계하여,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진료 서버(20)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원격 진료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병원과 연계하여 원격 진료를 수행하고, 수행된 원격 진료 결과를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환자의 건강을 케어(care)하는 서버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환자의 건강 상태, 환자의 약물 복용 상태 등 환자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지역의 건강 관리 센터로부터 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약품 관리 단말기(100)로부터, 환자의 복용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상기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 원격 진료 서버(20), 건강 관리 서버(3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필요한 정보를 상기 서버(10, 20, 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40)는,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 원격 진료 서버(20), 건강 관리 서버(30)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40)는 유/무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의 구성>
이하,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전원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이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구성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0)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및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입력부(120)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사용자 입력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3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양태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일반적으로 키패드 방식, 휠 키 방식, 터치 패드 방식, 터치 스크린 방식 등과 이들의 둘 이상을 병용한 복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의 증대,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대 요구, 디자인적 고려에 의해 터치 스크린 방식이 다수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 입력부(140)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151)가 하나로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 원격 진료 서버(20), 건강 관리 서버(30)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현존하는 통신수단뿐 만 아니라, 장래 사용될 통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부(1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이외에도 촉각과 관련된 출력(예를 들어,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햅틱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외부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에서 생성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52)는,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이어폰잭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출력되는 음향을 들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생성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약품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종의 정보를 연계 시키고 연계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미디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와 별개의 서버로부터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로 다운로딩 됨으로써,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임의의 서버에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요청하고, 요청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상기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구현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의 생성>
이하에서는,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연계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환경 및 기기를 참고하여, 약품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환경이나 특정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이미지 획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이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약품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 생성 방법은,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S100],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1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100)는 단말기(100)로 약칭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한다는 것은, 약품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약품에 관련된 각종 정보는, 특정 약품과 관련된 사용 이력 정보와 특정 약품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약품에 관련된 각종 정보는 약품 정보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특정 약품에 대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품 명, 약품 이미지, 유효기간, 사용용법, 부작용, 효능 금기, 임부 투여 안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의 사용 이력 정보는, 약품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약품의 사용시점과 관련된 정보, 약품이 사용된 증상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 및 마이크(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약품 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약품 명의 일 예로서, XXX를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하거나, 상기 마이크(1220)를 통하여, XXX라고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120)의 카메라(121)를 통하여 약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121)를 조작함으로써, 약품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이미지 처리(image process)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처리는, 상기 약품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로서, 상기 약품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를 말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한 정지 영상을 출력하고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약품 이미지(200)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보다 정확한 약품 이미지 획득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영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영역 내의 이미지에 대하여 이미지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약품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이미지 경계선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점선(210)을 따라 터치 신호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점선(210) 내에 있는 영역, 즉 약품 이미지(200)를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점선(210) 외부에 있는 주위 배경 이미지에 의한 노이즈(noise)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복수의 약품 이미지를 인식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말기(100)가 복수 개의 약품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입력 받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약품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약품 이미지 중에서 원하는 약품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명 XXX연고에 대한 약품 이미지(200)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한다[S110].
상기 약품 정보는,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연계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약품 정보는, 예를 들어, 약품과 관련된 정보, 약품과 관계된 사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 관련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이후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앞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상기 사용 이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존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약품 관리 종보는 약품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약품 명, 약품 이미지, 유효기간, 사용용법, 부작용, 약품의 효능, 금기, 임부 투여 안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품 명은 상기 S1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이미지 처리의 결과에 따라 획득된 약품의 이름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약품의 효능은 상기 약품이 적용될 수 있는 증상을 말할 수 있다. 상기 용법은, 상기 약품을 어떻게 사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법은, 식사 후 30분 이내, 자기 전 복용, 환부에 하루 수회 적당량 바르기와 같은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부작용은 상기 약품의 사용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부작용을 말하고, 상기 금기는 예를 들어, 눈에 넣지 말라는 지시를 말할 수 있고, 상기 임부 투여 안전 여부는 상기 약품이 임산부에게 사용가능 한지를 나타내고,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은 상기 약품이 사용될 수 있는 기간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00단계에서 약품 명이 획득된 경우에는,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약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S100단계에서 약품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에는,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약품 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에 의하여 식별되는 약품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약품의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60) 또는 외부 서버 예를 들어,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로부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100단계에서 약품 명 XXX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약품 명 XXX에 의하여 식별되는 약품에 대한 약품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160) 및 외부 서버, 예를 들어 약품 정보 서버(1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 명 XXX에 대한 약품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약품 이미지, 유효 기간, 사용 용법, 부작용, 효능, 금기, 임부 투여 안전 여부와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 명 XXX에 대한 약품 관련 정보로서, 사용 용법으로서, 적당량씩 하루 5-6회 환부에 바른다는 것, 부작용으로서 가려움, 효능으로서 아토피, 피부발진, 금기로서 눈에 넣지 말라는 것, 임부 투여 안전하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 관련 정보 중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없는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의 유효 기간을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약품 이미지를 분석하거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약품 XXX의 유효기간을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 명 XXX에 의하여 식별되는 약품의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상기 XXX 약품의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의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 이력 정보는, 상기 약품과 관련된 각종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이력 정보는 앞서 설명한 약품 관련 정보와는 구별되는 개념임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상기 사용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에 의하여 식별되는 약품이 사용된 증상과 관련된 정보, 약품의 사용시점에 관련된 정보, 약품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의 각각의 용어의 의미와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사용 이력 정보를 어떻게 생성하는지를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증상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약품을 어떠한 증상에 사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증상 명, 증상 이미지, 증상 내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상 명은 증상을 지칭하는 의학적 용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냉방병, 아토피, 소화 불량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증상 명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122)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증상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224)에 현재 증상의 이름이 아토피라는 것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증상 이미지는, 상기 증상에 대한 이미지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화상에 의하여 발생한 화상 이미지, 피부 질환에 의하여 발생한 피부 이미지와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증상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121)를 통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환부 이미지 예를 들어, 아토피의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증상 내용은, 상기 증상 명과 달리 구체적인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증상 내용은, 어지러움, 발열과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증상 내용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마이크(122)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증상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224)에 증상 내용, 예를 들어, 피부가 붉게 변하고, 균열이 생기고, 딱지가 생긴다는 증상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약품의 사용시점에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약품을 복용 또는 사용한 시점을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 시점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222)에 상기 약품을 2010.08.31일 사용하였다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약품의 사용자 관련 정보는, 상기 약품을 복용 또는 사용한 사용자 이름 또는 사용자 식별자를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220)에 상기 약품을 홍길동이 사용하였다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음성인식기술 및/또는 안면인식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사용 이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거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한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100단계에서 획득된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 예를 들어, 약품 관련 정보 및 사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함으로써,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S100단계에서 약품 XXX연고에 대한 약품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S110단계에서, 사용 이력 정보로서 사용자: 홍길동, 사용 증상: 아토피, 증상 이미지, 사용일자: 2010.08.31, 를 획득하고, 약품 관련 정보로서, 약품 이름: XXX연고, 유효 기간: 2012.08.01, 용법: 적당량씩 하루 5-6회 환부에 바르기, 부작용: 가려움, 효능: 아토피, 피부발진, 금기: 눈에 넣지 마시오, 임부 투여 안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S100단계에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100단계에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다른 정보 예를 들어, 증상 명, 증상 내용, 증상 이미지, 약품을 사용한 시점 등을 획득한 경우에도,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를 상기 메모리(160) 또는 외부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각 종 약품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각종 약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사용자에게 유용한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투약 스케쥴의 생성>
상기에서 획득된 약품 정보를 기초로 투약 스케쥴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약 스케쥴을 생성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생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55)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3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시각 알림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순응도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생성 방법은, 투약 관리 약품으로 등록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S200], 상기 약품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약 스케쥴을 생성하는 단계[S210], 상기 생성된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투약 시각을 알리는 단계[S220], 투약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0], 투약 하지 않은 경우, 투약 시각을 재 알람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므로, 이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투약 관리 약품으로 등록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00].
상기 단말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경우, 사용자에게 투약 관리 약품으로 등록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도 10를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5)는 투약 등록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230) 및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 또는 약품 명에 대한 효능, 용법과 같은 약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도 3의 S11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5)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약품 관련 정보를 기초로 약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투약 스케쥴을 생성할지에 대한 판단에 대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약품을 복용하여야 하는 약품인지를 별도의 추가적인 자료를 검색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55)의 사용 등록 아이콘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200단계에서 사용 등록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에 대한 약품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한다[S21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도 3의 S110단계에서 획득된 정보, 예를 들어 약품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도 11에 도시된 상기 투약 스케쥴(3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투약 스케쥴(300)의 첫 행은 날짜를 도시하고, 상기 투약 스케쥴(300)의 첫 열은 시간을 도시한다. 상기 투약 스케줄(300)의 셀(310)은 상기 약품 이미지, 상기 약품의 복용 시각, 상기 약품의 효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관련 정보 중 사용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상기 약품의 복용 시간이 매일 아침 식사 후 30분 이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복용자의 아침 식사 시각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아침 식사 시간을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아침 식사 시간이 예를 들어, 9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용법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매일 아침 9시 30분을 복약 시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를 상기 셀(31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도 3의 S11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 중 효능 또는 상기 사용 이력 정보 중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약품의 효능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압이라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200단계에서 상기 사용 등록 선택이 있는 경우, 생성될 투약 스케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투약 스케쥴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투약 스케쥴 식별자, 투약 스케쥴 생성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을 말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단말기(100)에 지정된 사용자 이름이 자동으로 연계되거나 상기 사용 이력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상기 투약 스케쥴 식별자는 투약 스케쥴의 제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약 스케쥴 식별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상기 단말기(100)가 자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에서 투약 스케쥴 식별자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투약 시각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S22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투약 시각을 알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투약 시각을 음성 및 디스플레이로 알릴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복용하여야 할 약품의 이미지, 약품 명, 약품 복용 시각, 약품 복용 여부에 대한 확인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약품 복용 여부에 대한 확인 인터페이스는 복용에 상응하는 아이콘(410), 복용하지 않음에 상응하는 아이콘(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음향출력부(152)를 통하여, 복용하라는 음성 메시지를 상기 약품 복용 시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투약 스케쥴에 따라 복용 시각을 알림받는 동시에, 어떠한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지를 약품 이미지, 약품 명을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투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된 복용에 상응하는 아이콘(410)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약품을 복약 하였다고 판단하고, 사용자가 도 12에 도시된 복용하지 않음에 상응하는 아이콘(420)에 상응하는 아이콘(420)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약품을 복약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약품을 복용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투약을 지시하는 재알람을 할 수 있다[S240].
상기 재알람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도 12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동일, 유사할 수 있다.
상기 재알람 간격은 사용자가 입력할 수 도 있고, 상기 단말기(100)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복약하지 않은 경우, 상기 투약 스케쥴에 복약 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투약 스케쥴을 제공하고, 또한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약 복용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복약 순응도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순응도 판단방법은, 투약 스케쥴을 전송하는 전송 단계[S300], 수신한 투약 스케쥴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S310], 투약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S320], 수신한 투약 스케쥴 및 투약 정보에 기초하여 투약 순응도를 분석하는 분석 단계[S330], 투약을 지시하는 지시 단계[S34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 도 13에 도시된 각 단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약 순응도 판단방법이 도시된 모든 단계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도 9에 과정에 따라 생성된 투약 스케쥴을 건강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S300].
이 때 건강 관리 서버(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어떠한 서버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투약 스케쥴이 누구에게 지정된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사용자 정보, 투약 스케쥴 식별자, 투약 스케쥴 생성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수신한 투약 스케쥴을 저장한다[S310].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투약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로 전송한다[S320]. 상기 투약 정보는 상기 투약 스케쥴에 따라 복약을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약 정보는 상기 복약 여부 확인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약 정보는 사용자가 2010.09.04일 아침 9시 30분에 복용하여하는 혈압약을 복용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상기 수신한 투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된 투약 스케쥴에 따라 복약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S330]. 이를 통하여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사용자가 복약을 투약 스케쥴에 따라 충실히 하고 있는지, 즉 복약 순응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상기 수신한 투약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가 약을 복용했는지 하지 않았는지, 어떠한 약을 환자가 복용 시각 이후에 복용하였는지 등에 대한 판단을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로 투약 지시를 할 수 있다[S340]. 예를 들어,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환자가 복용하지 않은 약에 대한 복용을 주의하라는 정보 및 복용하지 않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증상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투약 지시를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투약 스케쥴에 따라 복약을 충실히 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복약 순응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투약 스케쥴 조회>
이하에서는, 도 14 및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약 스케쥴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조회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의 예이다.
도 1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스케쥴 조회방법은, 투약 스케쥴 조회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S400], 투약 스케쥴을 제공하는 제공 단계[S4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4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투약 스케쥴 조회를 입력 받는다[S40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하여 상기 투약 스케쥴 조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투약 스케쥴을 지정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한 사용자 정보, 투약 스케쥴 식별자, 투약 스케쥴 생성 날짜를 이용하여 투약 스케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이름으로서 홍길동 및 상기 투약 스케쥴 생성 날짜인, 2010.08.31일을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상기 조회하고자 하는 투약 스케쥴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투약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S41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사용자 정보, 투약 스케쥴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상기 투약 스케쥴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투약 스케쥴을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투약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을 참고하면, 상기 투약 스케쥴은 언제 어떤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투약 스케쥴을 참고하면, 상기 투약 스케쥴은 월요일부터 일요일 아침 9시 30분에 혈압약을 복용하여야 한다는 정보, 및 혈압약의 약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월, 수, 금, 일요일 점심 13:30분에 당뇨약을 복용하여야 한다는 정보, 및 당뇨약의 약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수요일 취침전인 23시에는 아토피약을 발라야 한다는 정보, 및 아토피 약의 약품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복용하여야 할 약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약 스케쥴은 금일인 9월 2일을 기준으로 어제인 9월 1일에 아침약을 복용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언제 어떠한 약을 복용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복용하지 않은 약에 대한 누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떠한 약을 복용하지 했는지 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자가 판단을 할 수 있다.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약품 정보 획득 방법>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2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약품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약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도 17 내지 도 26을 참고하여 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획득 방법은, 약품 이미지, 약품명, 증상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S500], 상기 입력된 정보와 연계된 약품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S51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이미지, 약품명, 증상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5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증상 관련 정보는, 증상 명, 증상 내용, 증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된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510].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500단계에서 상기 입력받은 약품 이미지, 약품 명,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500단계에서 획득한 정보가 약품 이미지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510단계에서, 입력된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사용 이력 정보, 약품 관련 정보를,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하여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출려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는, 상기 S500단계에서 입력받은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로서,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약품과 관련된 다양한 약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약품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 17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S500단계에서 약품 명 또는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를 설명하고, 이후 도 21 내지 도 26를 참조하여 S500단계에서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는, 먼저 도 17 내지 도 20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도 16의 상기 S500단계에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이력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과 관련된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7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약품 정보 제공 방법은,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S600], 상기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610], 상기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약품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6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 각 단계가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므로, 이 보다 적은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한다[S600].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은 상기 도 3의 단계 S100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입력부(120)를 통하여 복수의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사용자에게 하나의 약품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획득된 복수의 약품 이미지에 대하여 이하의 S610 및 S620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복수의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사용자가 하나의 약품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약품 이미지의 경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를 제공한다[S61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사용 이력 정보가 있는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와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획득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를 통하여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이미지에 의하여 식별되는 약품 명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거나,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된 약품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이미지 검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약품 이름을 획득하고, 상기 약품 이름과 연계되어 있는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메모리(160) 또는 서버에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도 18에 도시된 약품의 이름이 XXX임을 인식하고, 상기 약품 명 XXX와 관련된 사용 이력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 매칭되는 이미지가 있는 경우, 상기 매칭되는 이미지와 연관된 사용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연계되어 있는 사용 이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획득된 약품 이미지에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이력 정보는, 사용증상정보,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사용시점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사용자가 과거 어떠한 증상에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에 의하여 지시되는 약품을 사용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도 3의 S110단계에서 설명한 증상과 관련된 정보를 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상기 획득한 사용 이력 정보를 함께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9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와 함께, 8월 31일 홍길동님이 아토피 증상에 사용하였다는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약품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약품의 과거 사용자 관련 정보, 과거 사용시점에 대한 정보, 과거 사용증상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정보와 관련된 약품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62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에 상응하는 약품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10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약품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에 연계된 약품 관련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에 연계된 약품 관련 정보를 증강 현실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의 실사 이미지와 상기 약품 관련 정보에 해당하는 효능, 증상 이미지, 유효기간, 부작용, 금기, 임부 투여 안전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유효기간이 도과한 경우, 유효기간이 도과하였음을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품 이미지를 상기 단말기(10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약품과 연계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S600단계에서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를 상정하였으나, 약품 명을 획득한 경우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이후, 사용자에게 상기 약품 이미지에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어느 정보를 출력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S610 단계 및 S620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600단계에서 획득한 약품 이미지에 연계된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관련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상기 약품 이미지와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라는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획득한 약품 이미지와 연계된 사용 이력 정보 및 약품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약 스케쥴을 생성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약품 및 약품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한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말기(100)가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한 경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한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하에서는, 도 2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도 16의 상기 S500단계에서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 24,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 23, 및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련 약품 정보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품 정보 제공 방법은,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S700],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와 연계된 약품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710],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와 연계된 병원, 원격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7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 이는 필수적인 단계는 아니므로 이 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S700].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증상 관련 정보는, 증상 명, 증상 내용, 증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증상 명, 증상 내용을, 상기 사용자 입력부(140)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마이크(122)를 통하여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증상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부(121)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의 입력부(120)를 통하여 상기 증상 관련 정보로서, 아토피를 입력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제공한다[S7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약품 정보는, 약품 관련 정보, 약품 사용 이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증상 명 또는 증상 내용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S700 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명 또는 증상 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상기 저장된 약품 정보에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증상 명 또는 증상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명 또는 증상 내용과 연계된 약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증상 이미지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증상 이미지와 저장된 증상 이미지의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 상기 저장된 약품 정보에 상기 S700 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이미지와 매칭되는 증상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이미지와 연계된 약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약품 정보를 출력함에 있어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약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약품을 추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상 관련 정보에 의하여 식별되는 증상에 효능이 있는 약품을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증상이 무엇인지 분석한 후, 상기 증상에 적합한 약품 추천을 외부 서버에 요청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추천 약품을 선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증상 이미지에 상응하는 증상이 아토피인 경우, 상기 약품 정보 서버(10)로 아토피를 치유하기 위한 약품 이름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함으로써, 도 24에 도시된 XXX약품을 추천 약품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추천 약품을 선정함에 있어서, 약품의 가격, 약품의 제조사, 전문가의 추천정도,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적이 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상기 단말기(10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700단계에서획득한 증상을 치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약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약품에 대한 정보로서, 약품 이미지, 약품의 유효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에 대한 약품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약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에 과거 사용된 하나 이상의 약품에 대한 약품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23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에 효능이 있는 약품 XXX, A, B를 제공하고, 각 약품의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실사 이미지일 수 있고, 임의적인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도 23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XXX 약품의 유효기간이 2012년 08월 01일, A약품의 유효기간이 2020년 07월 01일, B약품의 유효기간이 2005년 12월 09일 이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B약품의 유효기간이 도과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유효기간이 도과한 약품을 오 복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된 약품 정보를 제공함과 아울러 투약 등록을 할지를 질의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투약 스케쥴 생성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그에 따라 자동으로 투약 스케쥴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 관련 정보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연계된 약품 정보, 추천 약품, 약품 유효기간 도과 여부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약품 선택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정보와 관련된 연계된 병원, 원격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720].
상기 단말기(100)는. 도 21의 S700단계에서 획득한 증상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증상을 치유하기 위한, 병원 및 원격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4 내지 도 26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 정보 제공 방법은, 증상과 관련된 병원을 검색하는 검색 단계[S1000], 상기 검색된 병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S101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이미지와 관련된 증상을 치유하기 위한 병원을 검색한다[S1000].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과 증상을 치유하기 위한 병원을 매칭하는 매칭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칭 테이블은, 병원 그룹 별로 치유할 수 있는 증상을 매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그룹의 일 예인, 피부과는 치유할 수 있는 증상으로서, 아토피, 피부 발진, 가려움, 습진, 피부 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병원 그룹의 일 예인, 내과는 치유할 수 있는 증상으로서, 소화 불량, 복부 통증, 감기, 배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S700단계에서 획득된 증상 이미지에 관련된 증상이 아토피인 경우, 아토피를 치료하는 피부과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병원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S1010].
상기 병원과 관련 정보는, 병원 이름, 병원의 위치, 병원의 연락처, 병원의 진료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피부과에 대한 병원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30)를 통하여, 피부과 병원을 외부 서버에서 검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160)에 병원 관련 정보를 기 저장(pre-stored)하고, 기 저장된 병원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병원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을 치유하기 위한 병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현재 단말기(100)의 위치에 근접한 병원을 우선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100)의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 기지국 식별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현재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기(100)에 근접한 병원을 우선적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근접한 병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지점,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 위치, 사용자의 회사 위치를 기준으로 근접한 병원을 우선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병원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도 25을 참고하면, 상기 병원 관련 정보의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100)와 근접한 병원과 병원의 이름을 맵(map)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병원 관련 정보의 일 예로서,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적이 있는지 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증강 현실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 이미지만으로 적합한 병원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병원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을 참고하여, 원격 진료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진료 방법은, 원격 진료소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S1100], 상기 검색된 원격 진료소로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단계[S1110], 전자 처방전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S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된 증상 이미지와 관련된 원격 진료소를 검색한다[S1100].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증상에 관련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원격 진료소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원격 진료 서버(20)를 원격 진료소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원격 진료소로 획득된 증상 이미지를 전송한다[S111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검색된 원격 진료소로, 상기 획득된 증상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원격 진료소에서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증상 이미지와 관련된 증상에 사용자가 사용한 약품에 대한 정보, 즉 약품 사용 이력 정보를 상기 원격 진료소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원격 진료소는, 상기 증상 이미지 및 약품 사용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전을 작성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진료소는, 약품 사용 이력 정보를 기초로 어떠한 약품이 상기 증상을 위하여 사용되었는지 및 사용자의 복용 순응도를 기초로 사용자가 약품을 충실히 복용하고도 상기 증상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고 이에 따라 처방전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격 진료소는 복용 순응도가 높은 경우에도 증상이 그대로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기존의 약품과 다른 약을 처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원격 진료소로부터 전자 처방전을 수신한다[S1120].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한 전자 처방전을, 상기 출력부(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상기 수신한 전자 처방전에 대한 약품을 상기 투약 스케쥴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약 스케쥴에 따라 복약 시각을 사용자에게 알람할 수 있음은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획득한 증상 이미지를 기초로 전자 처방전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증상 이미지와 함께 약품 사용 이력 정보를 함께 원격 진료소로 제공하고, 원격 진료소는 수신한 사용 이력 정보 및 복용 순응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처방전을 작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원격 진료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단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한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약품과 관련된 약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약품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5)

  1. 출력부;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의 사용증상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증상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상기 약품이 사용되었던 과거의 증상에 관련된 정보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이미지와 상기 사용증상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과거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더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과거 사용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더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과 관련된 약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약품의 사용용법을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과 관련된 약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약품의 효능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증상 이미지를 출력하며,
    상기 증상 이미지는, 상기 약품이 사용되었던 증상에 대한 이미지인,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을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복수의 약품 이미지를 입력 받은 경우, 하나의 약품 이미지를 선택받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0. 출력부;
    증상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증상 관련 정보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하여 과거 사용된 약품의 이름 및 약품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과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과거 사용시점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연관된 병원 정보를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과거 사용된 약품의 유효기간을 출력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의 유효기간이 도과한 경우, 유효기간이 도과하였음을 알리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6.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입력부; 및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의 사용 용법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7. 제16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투약 시각을 알리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을 투약하였는지를 질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약품을 투약하지 않았다는 입력을 받은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투약 시각을 재알람하는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20. 입력부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적어도 하나에 연관하여 저장된 약품의 사용증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사용증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증상정보는, 상기 약품이 사용되었던 과거의 증상에 관련된 정보인 약품 정보 관리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약품의 사용용법 및 효능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방법.
  22. 입력부를 통하여, 증상에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증상 관련 정보에 연관되어 저장된 약품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약품 관련 정보는, 상기 증상 관련 정보와 관련하여 과거 사용된 약품의 이름 및 약품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과거 사용된 약품의 유효기간을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더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방법.
  24. 입력부를 통하여,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획득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획득된 약품 명 및 약품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약품의 사용용법에 기초하여, 상기 약품의 투약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투약 스케쥴에 기초하여 투약 시각을 알리는 알림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약품 정보 관리 방법.
PCT/KR2010/006669 2010-09-30 2010-09-30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WO2012043902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669 WO2012043902A1 (ko) 2010-09-30 2010-09-30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6669 WO2012043902A1 (ko) 2010-09-30 2010-09-30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3902A1 true WO2012043902A1 (ko) 2012-04-05

Family

ID=4589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6669 WO2012043902A1 (ko) 2010-09-30 2010-09-30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204390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196A (ja) * 2002-12-02 2004-07-02 Higashi Nihon Medicom Kk 処方薬剤による病態推測データベース
JP2004265356A (ja) * 2003-03-04 2004-09-24 Saito Kazue 医療等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90073125A (ko) * 2006-09-29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관리 지도 지원 시스템
KR20100020877A (ko) * 2008-08-13 2010-02-23 박종일 웹 카메라를 이용한 약품인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5196A (ja) * 2002-12-02 2004-07-02 Higashi Nihon Medicom Kk 処方薬剤による病態推測データベース
JP2004265356A (ja) * 2003-03-04 2004-09-24 Saito Kazue 医療等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90073125A (ko) * 2006-09-29 2009-07-0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 관리 지도 지원 시스템
KR20100020877A (ko) * 2008-08-13 2010-02-23 박종일 웹 카메라를 이용한 약품인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0592A1 (en) Support structure including conductive path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21125719A1 (ko) 스마트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34163A1 (en) Method of providing notif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WO2018012719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le area within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133349A1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0222340A1 (ko) 인공지능 로봇과 그의 제어 방법
WO20181398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7209502A1 (ko) 전자 장치와 충전 장치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장치
WO20171421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mmary information of a video
EP3609395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WO2016109986A1 (zh) 基于健康管理的线上医患交互系统及交互方法
WO201606413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
WO2019088555A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의 충혈도 판단 방법
WO2020098013A1 (zh) 电视节目推荐方法、终端、系统及存储介质
WO2018062894A1 (ko)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WO2016182090A1 (ko) 안경형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217066A1 (ko) 생체 정보를 측정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12046887A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동작 방법
WO20171960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WO2014200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EP3750148A1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state of display using one or more specified pins
WO2017150912A1 (ko) 의료 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013475A1 (ko)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2043902A1 (ko) 약품 정보 관리 단말기 및 약품 정보 관리 방법
WO2022186447A1 (ko) 수술 전후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79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79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