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26688A2 -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26688A2
WO2012026688A2 PCT/KR2011/005768 KR2011005768W WO2012026688A2 WO 2012026688 A2 WO2012026688 A2 WO 2012026688A2 KR 2011005768 W KR2011005768 W KR 2011005768W WO 2012026688 A2 WO2012026688 A2 WO 201202668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aster
article
disaster response
main body
brea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57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26688A3 (ko
Inventor
백종태
홍정우
기환종
Original Assignee
(주)씨아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8218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20019069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906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0866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00010007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65483Y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4815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61180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아이제이 filed Critical (주)씨아이제이
Publication of WO201202668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6688A2/ko
Publication of WO201202668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668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A62B7/04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and lung-controlled oxygen or air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aster response supplies and disaster storage supplies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disaster response supplies that can be used for emergency breathing, suffocation prevention, safe evacuation, etc. in emergencies such as fire or toxic gas is released And a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 Conventional life-saving articles for preventing toxic gas asphyxiation include wet wipes, emergency wipes or gas masks.
  • the general public feels difficult because they are not used to wearing a conventional gas mask, and the gas mask is packaged in a gas mask case for product protection and transportation, so it is difficult to expect to open the gas mask case properly and wear it properly in an urgent and emergency situation. .
  • the gas mask is stored in the disaster response locker in a public place, but the storage door is closed for management even if the place where it is stored is not easy to find and knows where it is stored. Because of the external force to destroy and find the necessary supplies, not only time is delayed, but also when people flock together, secondary accidents, such as falling or rolling, can occur.
  • a new concept life-saving article that prevents inhalation of toxic gases and provides breathing gas (air or oxygen) by maintaining a positive pressure until it is easily and simply worn in an emergency and emergency situation and evacuated to a safe area.
  • breathing gas air or oxygen
  • the disaster handling supplies are discharging in the form of pouring down from the disaster handling supplies storage device in a disaster situation, and are distributed in an irregular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atch and use the emergency handling supplies and disaster handling supplies storage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article in a form in which the envelope itself is constituted by a protective case, which does not require packag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aster response supplies and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that can be easily found even in the space where the smoke is pres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active way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from the storage device, rather than a passive way to take out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after destroying the storage device that stores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 breathing function, identification function, lighting function, distribution status information function, location recognition function, or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in one touch for ease of use and speed. To provide disaster relief suppli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aster response article in the form of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to prevent the carbon dioxide emitted from the user to be sucked back into the user's nose or mouth, and to prevent toxic gas, mist, etc. from entering the user's nose or mouth
  • a disaster response article in the form of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to prevent the carbon dioxide emitted from the user to be sucked back into the user's nose or mouth, and to prevent toxic gas, mist, etc. from entering the user's nose or mouth
  • Disaster response articl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xygen-filled space containing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and the user's face portion can provide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for the breathing of the oxygen filled space to the user.
  • a main body part having a face contact part formed to be formed to be provided; And a cap part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ace contact part of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main body part and the cap part have an oval ball shape in an outer shape in a coupled state.
  • a flat stopper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 the main body or the cap may be provided with an RFID tag for position recognition and distribution status monitoring.
  • the outer shape may be an elliptical polygonal ball shape.
  • a weight center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cap portio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ap portion are combined, the weight cent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 a handle may be formed at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cap portion.
  • the face contact portion inside the body portion when the cap portion is separated, the mouth and nose of the user is inserted into the nose insertion space,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the oxygen filling space is the mouth nose insertion It can be formed to be supplied to the space.
  •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prevent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face contact portio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contact portion may be maintained at a positive pressure of 1 atm or more. Can be.
  •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check valve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face contact portion.
  • the face contact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breath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ite.
  •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is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 the supply control means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rotatable rotary handle portion, and the respiratory compressed gas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handle portion is supplied to the face close contact portion It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 the supply control means may include a safety means for automatically outflowing part or all of the oxygen when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oxygen filling spac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a pressure lowering space for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on the path that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the oxygen filling space is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ortion.
  •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wall of the pressure lowering space and the face contact part so that the breathing compressed gas dispersed in the pressure lowering space is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art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 the oxygen filling space is a compression vessel for storing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And a decompression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of the compression container, and when the user separates the cap from the main body, the compression vessel is connected by an operation line connecting the cap and the decompression unit.
  • the breathing compressed gas may be formed to be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art through the decompression part.
  • the compressed gas for respiration is from a container fill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high pressure oxygen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high pressure air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liquefied oxygen liquefied oxygen, and liquefied air liquefied air. It may be supplied, or may be supplied from an oxygen generator in which oxygen is generated.
  •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lamp that receives power and emits light,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lamp, and a switch for supplying power of the battery to the lamp when an impact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to the main body.
  • Disaster response supplies characterized in that.
  • the main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and which is fixed to the head of the user so that the face contac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 a luminous material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r the cap portion.
  •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disaster response supplies;
  • a housing having an article storage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isaster response articles are stored;
  •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provided in the housing for detecting a disaster situation;
  • a product discharg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to the outside when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detects that a disaster situation has occurred, and disperses them to be dispersed in various directions.
  • the coping product includes a body part having an oxygen filling space containing a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and a face close contact part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face portion of the user to provide the breathing compressed gas of the oxygen filling space to the user; And a cap part form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ace contact part of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main body part and the cap part have an oval ball shape in an outer shape in a coupled state.
  •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is a disaster situation signal is output by detecting the fire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a disaster situation signal output by the driving of the emergency bell to inform that the disaster situation, a disaster situ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ituation room, the housing
  •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output by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provided in can detect any one of the disaster situation signal.
  •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outside.
  • the housing vib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place where the housing is installed, fir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occurrence of fire, vib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earthquake,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s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ir pollu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ir pollution.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product discharging outlet for discharging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and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rticle storage space;
  •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rticle storage space;
  • opening the article storage space through the switchgear may include a sliding portion forme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article discharge port so that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rolls down to the article discharge port.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respiratory distress and suffocation during disaster situations,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utomatically and safely distributed to the evacuee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catch the evacuator in a disaster situation, it can be used quickly.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duct that can be used without the need for packaging.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found even in a power outage, the evacuator can be easily and quickly evacuated by providing evacuation information, etc., there is a distribution status and location recognition function, such as easy maintenance and evacuation Do.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reathing function, identification function, lighting function, distribution status providing function, location recognition function, evacuation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with one touch.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n active response method in which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is automatically discharged in a disaster situ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arbon dioxide emitted from the user is inhaled into the user's nose or mouth.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xternal poisonous gases, mists, etc. from entering the user's nose or mouth.
  • FIG. 1 is a sid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xed ban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ing the mouth position space and the nose position space.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reath discharge tube.
  • FIG. 9 is a sid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is stored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that stores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having a spr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i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Disaster response supplies and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is formed to be used for the user's breathing difficulties, suffocation prevention, safe evacuation, etc. in an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fire or toxic gas is released.
  • FIG. 1 is a sid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xed band.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an oval ball shape of the overall appearance (shape).
  • the elliptical ball shape allow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to move away in an irregular direction as it moves toward the floor or slides off the floor at a higher point than the floor of the building.
  • a user can easily grasp and us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at a close distance without having to move a long distance without a problem of crowding in a urgent fire situation or a toxic gas leakage situation.
  •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has an elastic shell to form the outer shape so that it can bounce when hit the object.
  • the elasticity of the outer shell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elastic and irregular bound a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hits the floor of a building whe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discharged and falls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o make them distributed farther and wider and evenly.
  • the envelope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may be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 the urethane material is excellent in elasticity so that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can be easily dispersed while splashing against the object.
  • the envelope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may be thickened so that the elasticity is excellent.
  •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ap 20, the main body 1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ortable oxygen respirator.
  • the main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n oxygen filling space 11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mpressed gas for respiration is filled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 Breathing compressed gas may be formed of compressed oxygen that can help the user breath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ressed gas for respiration is a container filled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high pressure oxygen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high pressure air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liquefied oxygen liquefied oxygen, liquefied air liquefied air. It may be supplied from or from an oxygen generator in which oxygen is generated.
  • the main body 10 needs to prevent the user from inhaling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user again, and needs to prevent the toxic gas from flowing through the nose or mouth, and can be used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make this possible.
  • the main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face contact portion 12,
  •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contact part 12 may be maintained at a positive pressure of 1 atm or more.
  • the main body 10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face contact part 12 and the face contact part 12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art of the user to the outside and prevents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face contact part 12.
  • the check valve 30 is provided. Such a check valve 30 is provided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12. The check valve 30 is for surely preventing the carbon dioxide emitted by the user from being sucked back to the user.
  •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ready for use only by contacting the 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12 after removing the cap portion 20 is ready for use in the urgent risk situation can be used quickly.
  • the cap portion 20 serves to protect the face contact portion 12 and the mouth nose insertion space 13 by being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 when not in use or storage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That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face contact portion 12 and the mouth nose insertion space 13 and the lik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s contaminated or broken.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preferably such that the face contact portion 12 is immediate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only the cap 20 is removed.
  • the face contact portion 12 may include a mouth nose insertion space 13 into which the user's mouth and nose are inserted when the cap 20 is separated.
  •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the oxygen filling space 11 may be formed to be supplied to the mouth nose insertion space (13).
  • the face contact part 12 is made of rubber or silicone having elasticity to increase the adhesion with the face part of the user.
  • Separating the cap portion 20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main body portion 10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of the oxygen filling space 11 is naturally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ortion 12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 separate supply
  • the control means 40 may be provided so that oxygen is suppli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supply control means 40.
  • the supply control means 4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and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by the rotation of the rotatable rotary handle portion 41a and the rotary knob 41a.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1b to be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ortion 12.
  •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in the sealed oxygen filling space 11 may be maintained at a pressur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compressed gas for respiration of the oxygen filling space 11 may naturally flow into the face contact part 12 by the operation of the supply control means 40.
  •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 structure that can determine the supply of oxygen by rotating the rotary knob 41a locat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41b of the valve is blocked or opened.
  • the supply control means 4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means (not shown) for automatically outflowing part or all of the oxygen when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oxygen filling space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the main body 10 includes a lamp 70 that receives power and emits light, a battery 72 that supplies power to the lamp 70, and a battery 72 when an impact greater than or equal to a value set in the main body 10 is applied.
  • a switch 73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mp 70 is further provided.
  • a light is emitted from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to devise a structure for easily finding its position.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provided with a lamp 70 that receives power to emit light.
  • the battery 72 which supplies power to the said lamp 70 is provided.
  •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72 to the lamp 70 is cut off or a shock is applied to the lamp 70 or more in the state that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witch 73 for su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72 to the lamp 70 ).
  • the switch 73 when a fire occurs, the switch 73 is grounded whe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ined in a box or the like and is suspended in a box or dropped from the box when the fire occurs. As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lamp 70, the lamp 70 may emit light.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and used through light even in a space where smoke exists.
  • the switch 73 which is grounded to supply power when subjected to an impact, is already well known and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may be modified and used in various form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lamp 70 may be implemented to continuously emit light, or may be implemented to blink.
  • luminous paint or the like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even in a dark place.
  • Cap portion 20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a lamp and power so that the cap portion 20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10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fresh.
  • the cap part 20 when the cap part 20 functions as a flash, it is easy to secure a user's field of vision in a situation where the field of view is difficult due to haze or the like.
  • the cap 20 or the main body 10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radio waves transmitted from the situation room.
  • the main body 10 or the cap 20 is displayed away from or near the evacuation site or entrance, so that the user using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oxygen resp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fire or toxic gas leakage. May lead to a smooth evacuation of
  • the cap unit 20 or the main body unit 10 is provided with a flashing lamp 70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lamp 70 is provided, the controller is the main body unit 10 ) Or the cap unit 20 may be away from the evacuation site so that the lamp 70 blinks.
  • the lamp 70 may emit blue light, and when the cap 20 or the main body 10 faces the other direction, the lamp 70 may emit red light. There will be.
  • the cap unit 20 or the main body unit 10 When the cap unit 20 or the main body unit 10 outputs a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can be received in the situation room or the like, the position of the user who used the portable oxygen resp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sped in the situation room. The location of the user or the user who has not been evacuated can be identified so that rescue workers can respond quickly.
  • the face contact part 12 is formed in an oblique line.
  • This structure can form a wider face contact portion 12 is very sui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oval ball shape.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locat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is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art 12, It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lowering space 60 for lowering the pressure. That i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space for evenly and smoothly supplying oxygen to the user.
  • the pressure lowering space 60 may be provided with a dispersion protrusion 61.
  •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in the pressure lowering space 60 may be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part 12 via a plurality of fine perforation holes 13a serving as the diffusion membrane.
  • a plurality of perforation holes 13a are formed in the boundary wall between the pressure lowering space 60 and the face contact part 12 so that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in the pressure lowering space 60 passes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13a. 12).
  •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front fac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be used even if the user does not hold continuously.
  • the face contact portion 12 of th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wearing means for maintaining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human body.
  • Such wear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fixing band 80 that is fixed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in a stat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0).
  • the fixing band 80 is fixed to the head of the human body to keep the face contact portion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human body.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ing the mouth position space and the nose position space.
  •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breath discharge tube.
  • 9 is a side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i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FIGS. 5 to 9 is the same reference numeral or the same a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according to FIGS. 1 to 4. Names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2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lliptical polygonal ball in the main body 210 and the cap 220 is coupled.
  • the oval rugby ball-shaped disaster response article 200 is les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can be rolled around and can fall down when the evacuator stepped on. Therefor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aintain the ellipse shape, but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so as to stably stop on the ground.
  • at least one of the main body 210 and the cap 220 may be provided with handles 210a and 220a to facilitate carrying and to easily separate the cap 220 from the main body 210. Can be.
  • the main body 210 or the cap 220 may be provided with an RFID tag (215, RFID tag) for location recognition and distribution status monitoring.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300 may have a center of gravity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310 or the cap 320.
  •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in the cap 320.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300 may be erected such that the cap 320 having the center of gravity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at i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evacuator from slipping over and prevents the evacuator from stepping on, and is built up like a tower so that the evacuator can easily obtain the distributed disaster response article 300. It may be in the form.
  • the basic form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300 is an oval ball shape, one side of the center of gravity is formed for stability can be a blunt form.
  • the weight for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cap portion 320 filled with urethane, which is a molding material, and if the weight is insufficient, it may be formed by additionally inserting a heavy material such as metal.
  • the cap part 320 may be separated in actual use, so it may be heavy, but there is no problem in use.
  • the main body 310 or the cap 320 may be provided with an RFID tag (315, RFID tag) for position recognition and distribution status monitoring.
  • at least on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310 or the cap 3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310a to facilitate carrying and to easily separate the cap 320 from the main body 310. have.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ng partition 400a is further formed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12 of the body portion 10 of the wearer do. Separation partition 400a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of the face contact portion 12 is separated from the nose insertion space 14 into which the user's nose is inserted and the mouth position space 15 where the user's mouth is located.
  • the perforated hole 13a is formed to supply the compressed gas for respiration of the oxygen filling space 11 to the nasal insertion space 14. That is, the main body 10 is to supply oxygen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to the nose insertion space 14, the user wearing fresh oxygen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when the user wears the main body 10 Can be slowly inhaled.
  • the main body 10 needs to prevent the user from inhaling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user again, and needs to prevent the toxic gas from flowing through the nose or mouth, and can be used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 is a need to do so.
  • the main body 10 has a face contact portion 12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of the human body, the nose insertion space 14 and the mouth of the human body is inserted into the nose of the human body inside the face contact portion 12
  • Positioning position space 15 to be located is formed to be divided, the oxygen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is to be supplied to the nose insertion space (14). Accordingly, smoke or toxic gas outside the face contact part 12 may not be introduced into the face contact part 12, thereby preventing the user from inhaling smoke or toxic gas.
  • the user may not inhale the carbon dioxide spit out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if you breathe in through the nose and breathe out through the mouth, the user may not inhale the carbon dioxide emitted by themselves.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500 is connected to the check valve 30 on the inside of the face contact portion 12 and the breath discharge pipe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bite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500a.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500 may further include an oxygen refill means 90 for recharging when the compressed breathing gas is exhausted.
  • the oxygen refill means 90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91 for preventing the back flow of the gas to be fill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oxygen charged and the means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oxygen detected by the sensor (not shown) so that the amount of oxygen filled in the oxygen filling space 11 can be confirmed.
  • Such display means may be in the form of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in the form of a character or a picture,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having a speaker for expressing the amount of oxygen detected by voice.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600 includes a main body 610 and a cap 620.
  • a flat stopper surface 610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610 or the cap 620.
  • the stopper surface 610a serves to caus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600 to roll stably and stop on the ground at an arbitrary posit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700 includes a main body 710 and a cap 720.
  • the main body portion 710 and the cap portion 7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oval ball shape in the coupled state.
  • the body 710 and the cap 720 may be molded by injection molding using an elastic polymer material.
  • the body portion 710 and the cap portion 720 may be formed of urethane.
  • the compressed gas supply unit 770 is formed with a pressure vessel 771 and a pressure reduction unit 772.
  • the pressure vessel 771 stores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Breathing compressed gas may be packed by compressing oxygen or air into a vessel at tens to hundreds of atmospheric pressure, or may be obtained from a liquid gas or an oxygen generator.
  • the compression container 771 uses a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high pressure, and may use aluminum of a light material because it must be worn on the face.
  • the decompression unit 772 serves to control the high pressure compressed gas to be provided to a user at a suitable pressure to breathe.
  • the decompression unit 772 functions to maintain a positive pressure so that the poisonous gas outsid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700 does not enter the inside.
  • the pressure reducing unit 772 is connected to the cap 720 by the operation line 740.
  • a force is applied to the decompression portion 772 through the operation line 740, so that the compressed gas supply portion 770 controls the compressed gas for breathing. do. That is, one end of the operating line 740 is connected to the compressed elastic spring on one side of the pressure-reducing unit 772, when the pulling force by the operating line 740 is applied to the elastic spring,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 slider is slid to the compression vessel Respiratory compressed gas stored in the 77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ecompression unit 772.
  • the breathing gas is supplied by one operation to pull the cap portion 720, ordinar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gas mask may use it easily and simply.
  • the compressed compressed gas supplied through the compressed gas supply unit 770 is supplied to the face contact unit 712 through the buffer space 760 and the perforation hole 713a.
  • the lamp 716 may be formed to be switched on when the cap part 720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710 by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compressed gas supply part 770. In addition, the lamp 716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storage state through the main body subcap part 715.
  • the main body 710 may include a check valve 730 at one side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face contact part 712 to the outside and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face contact part 712. .
  • Figure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is stored disaster response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that stores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having a spring and the opening and closing i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ed in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according to Figures 11 to 13 is used disaster response suppli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Figures 1 to 10.
  •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for having a disaster response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ter-prone place it is necessary to be a form capable of discharging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stor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situation.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has a housing 810, and the housing 810 is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n article storage space 811 in which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stored.
  •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has a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for detecting a disaster situation.
  •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such as a fire sensor to discharg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to the outside but distributed in various directions It has a product discharging means 830 for.
  •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by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100 automatically from the storage device. And, and to be distributed so as to be widely distributed near the storage device, to facilitate the user to easily use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scattered widely in many places.
  •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are located in various places, it is easy for a user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and many people simultaneously respond to the disaster supplies 100 in a large area without moving directly to the storage device. Since it can be used to catch, the inconvenience that had to take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directly from the storage device as in the prior art does not occur.
  •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having a sensor that can detect various disaster conditions, such as a conventional fire detector, earthquake detector or toxic gas detector fire emergency bell ringing detector.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includes a housing 810 having an article storage space 811 in which a plurality of disaster response articles 100 are stored.
  • the housing 810 is provided with a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for detecting a disaster situation.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discharges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to the outside, in various directions Discharge so that it is scattered and dispersed widely.
  • the housing 810 has an article discharge port 812 through which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discharged, and the article discharge means 830 opens and closes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 the switch 832 and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are opened,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 sliding portion 831 for rolling down for discharge.
  • the sliding unit 831 is a product discharge opening so that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when the opening of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through the switch 832 rolls down to the article discharge port 812 ( I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812.
  • the stored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rolls down from a high place to a low place along the sliding part 831 to move to a far distance from the article discharge port 812 by the potential energy.
  • the article discharge port 81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roll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y are distribut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switch 832 in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to block or open a specific path such as a valve.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it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discharged by the compressed air.
  • the source of compressed air may be a compressed air storage cylinder in which compressed air is stored, or may be in the form of a compressor that generates compressed air in real time.
  •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 a number of directions by spraying the stored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discharged in a number of directions, whereby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can be dispersed to be located.
  • the article discharge ports 812 through which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discharged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As another form of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as shown in Figure 12, has a spring 831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o that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is under pressure, the article storage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which is under pressure when the space 811 is opened, is pushed out of the housing 810 by the repulsive force.
  • the switch 843 There is a form with the switch 843 to prevent it from being pushed out.
  • the switch 843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to block or open a specific path such as a valve.
  • Vibration detection means 841, fire detection means 842, earthquake detection means 843, respectively, for detecting vibration, fire, and earthquake in the place where the housing 810 is installed may be further provided. (See Figure 12)
  •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is output from the disaster situation signal output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ion sensor, the emergency situation signal output by the drive of the emergency bell to inform that the disaster situation,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 the disaster situation signal, the disaster situ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ituation room, the disaster situation signal output by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utton provided in the housing 810 may be to detect any one of the disaster signal.
  • the housing 810 may further include a nitrogen oxide concentr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xide in the place where the housing 810 is installed and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 the sensing means By providing a variety of sens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cure a variety of data, such as data related to the environment of the place where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t may also detect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 the data sensed through the sensing means as described above may be transmitted to the situation room of the subway station or the situation room of the public place (including a controller 850 for transmission), and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 where it is located can be seen from a distance.
  • data may be used as data for analyzing information on which subway stations are in good or bad air. It is also possible to map the air quality and environmental gas quality of the entire subway station in a particular city.
  •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the controller 850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ensed to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to the outside more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provided.
  • the controller 850 a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controller 850 provid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computer or various electronic devices.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signal from another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article discharge port 812. That is, it can be driven to interlock between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 the controller 850 may be implemented to output the usage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discharged through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through the speaker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 the speaker in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a speaker provided in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speaker located in a space (place) in which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 the article discharging means 830 may be implemented to discharge all of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stored in the article storage space 811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o discharge only a part of the stored disaster response article 100 Can be implemented.
  •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to be stored may be packaged in a set number of units.
  • the number of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set in each partitioned space may be located.
  • the above-mentioned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may be in the form based on the data by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sensor (fire, etc.) built in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itself.
  • the disaster situation detection means 820 may be in the form based on the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neighboring storage devic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 Disaster response supplies storage device i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855, such as DID to display how to use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how to use the storage device (emergency button press function) and discharge examples, or advertisement of goods It can be implemented to be in the form of a display.
  • a display device 855 such as DID to display how to use the disaster response supplies 100, how to use the storage device (emergency button press function) and discharge examples, or advertisement of goods It can be implemented to be in the form of a display.
  • the air quality sensor module such as fine dust, yellow sand, oxygen, nitrogen, and the like with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that can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housing 810 is installed, NOx, SOx, COx, ozone, etc.
  • the environmental gas detection sensor module, vibration and earthquake detection sensor modul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living environment detection sensor module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etc. can be built-in.
  •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and the disaster response article storage devic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r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mbined to make it poss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쉽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는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의 보관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은 호흡용 압축가스가 담긴 산소충전공간 및,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산소충전공간의 호흡용 압축가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안면밀착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본체부 및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본 발명은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등의 긴급상황에서 호흡곤란, 질식방지, 안전한 대피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또는 밀폐된 공간에서 화재 발생이나 유독가스 유출상황에서 질식사를 막기 위해서는 산소를 호흡하면서 신속하게 현장을 탈출하는 것이 최선이므로, 안전지대로 대피하기까지 유독가스의 흡입을 막고 산소 호흡을 유지할 수 있는 인명구조 용품이 필수적이다.
유독가스 질식사를 막기 위한 종래의 인명구조 용품으로서 물수건, 비상용 물티슈 또는 방독면이 있다.
종래의 방독면은 유독가스를 완전히 여과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또한 모든 종류의 유독가스를 여과시켜주는 것이 아니어서 안정성에 한계가 있고, 밀폐된 공간의 화재 발생시 공기 중의 산소량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공기 중의 산소량이 18% 이하로 줄어드는 경우 안정적인 호흡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일반인들은 종래의 방독면을 착용하는데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데다, 방독면은 제품 보호와 운반을 위하여 방독면 케이스 안에 포장되어 있어 급박하고도 위급한 상황에서 방독면 케이스를 열고 제대로 착용한다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방독면은 공공장소의 재난대처용 보관함에 비치되어 있으나, 보관된 장소를 쉽게 찾을 수 없다는 점과 보관된 장소를 알고 찾아가도 관리를 위하여 보관함 문이 닫혀져 있어, 보관함 앞면 아크릴을 도구를 사용하거나 외력을 가하여 파괴하고 필요한 용품을 찾아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한꺼번에 사람이 몰릴 경우 전도나 압사 등의 2차적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나 유독가스 유출시 능동적이고도 자동으로 대피자에게 제공하고 대피자는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급박하고도 위급한 상황에서 쉽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안전지대로 대피하기까지 양압을 유지하여 유독가스의 흡입을 막고 호흡용 가스(공기 또는 산소)를 제공하는 신개념의 인명구조 용품(이하 본 발명에서는 '재난 대처용품'이라 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상황 시에 호흡곤란 및 질식사를 막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또한 능동적이고도 안전하게 대피자에게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는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의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재난상황에서 재난 대처용품이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형태로 토출되고, 불규칙한 방향으로 흩어져 분포됨으로써 다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피 자체가 보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어, 포장이 필요 없는 형태의 재난 대처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포가 용이하면서도 대피자가 수득하기 편리하도록 타원형의 럭비공 형태, 오뚝이 형태 또는 다각진 럭비공 형태인 재난 대처용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찾아서, 신속하게 사용 가능한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상황 발생시 재난 대처용품을 보관하고 있는 보관장치를 파괴한 후 재난 대처용품을 꺼내어 사용하는 수동적 방식이 아닌, 보관장치에서 재난 대처용품이 자동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능동적 방식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의 간편성과 신속성을 위하여 한 번의 조작(one touch)으로 사용자에게 호흡기능, 식별기능, 조명기능, 배포현황 정보 제공 기능, 위치인식기능, 또는 대피정보제공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재난 대처용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대처용품이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이되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의 코나 입으로 다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독가스, 연무 등이 사용자의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은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담긴 산소충전공간 및,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평평한 스토퍼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 또는 캡부에는 위치인식 및 배포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다각진 공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캡부의 일단부에는 무게중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상기 무게중심부가 맞닿도록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는 내측에, 상기 캡부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삽입되는 입코삽입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는 상기 입코삽입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면밀착부의 내부 압력은 1기압 이상의 양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는 상기 체크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입에 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숨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산소충전공간에 충전된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공급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급제어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한 회전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산소충전공간에 충전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게 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압력낮춤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력낮춤공간과 상기 안면밀착부의 경계벽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낮춤공간에서 분산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산소충전공간은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저장하는 압축용기; 및 상기 압축용기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감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캡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캡부와 상기 감압부를 연결하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기 압축용기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감압부를 통해 상기 안면밀착부에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산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공기, 산소를 액화시킨 액화 산소, 공기를 액화시킨 액화 공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충진된 용기로부터 공급되거나, 또는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부에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램프로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이 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캡부의 표면에는 야광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복수개의 재난 대처용품;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재난 대처용품이 저장되는 용품저장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상황감지수단과;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의 감지결과 재난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을 외부로 토출하되, 여러 방향으로 넓게 흩어져 분산되도록 토출하는 용품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난 대처용품은 호흡용 압축가스가 담긴 산소충전공간 및,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은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재난상황임을 알리는 비상벨의 구동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황실에서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버튼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재난상황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에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용품토출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장소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 지진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오염도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품토출수단은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와, 상기 용품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통한 상기 용품저장공간의 개방시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이 상기 용품토출구로 굴러 내리도록 상기 용품토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난상황 시에 호흡곤란 및 질식사를 방지하며, 능동적이고도 안전하게 대피자에게 자동으로 배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난상황 시에 대피자가 쉽게 잡아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이 필요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상황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대피정보 등을 제공하여 대피자가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배포현황과 위치인식 기능 등이 있어 유지 관리와 대피 현황 파악 등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 번의 조작(one touch)으로 호흡기능, 식별기능, 조명기능, 배포현황제공 기능, 위치인식기능, 대피정보제공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 상황시에 재난 대처용품이 자동적으로 토출되는 능동적 대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의 코나 입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외부의 유독가스, 연무 등이 사용자의 코나 입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고정밴드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입위치공간과 코위치공간을 분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숨배출관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서 스프링과 개폐부를 갖는 용품토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화재나 유독가스가 방출되는 긴급상황에서 사용자의 호흡곤란, 질식방지, 안전한 대피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고정밴드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은 전체 외형(外形)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이다. 타원형의 공 형태는 재난 대처용품(100)이 건물의 바닥보다 높은 지점에서 바닥을 향해 쏟아져 내리거나 바닥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때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멀리 이동되도록 한다.
이는 다수개의 재난 대처용품(100)을 구비해 놓은 상태에서 재난상황 발생시 보관중이던 재난 대처용품(100)이 높은 지점에서 쏟아져 내리도록 하는 경우에, 재난 대처용품(100)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다급한 화재발생 상황이나 유독가스 누출 상황에서 사람의 밀집화 문제없이, 사용자가 먼 거리를 이동하지 않고 가까운 거리에서 재난 대처용품(100)을 쉽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재난 대처용품(100)은 물체에 부딪히면 튀어오를 수 있도록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가 탄성을 가진다. 재난 대처용품(100)의 외피의 탄성은 재난상황 발생시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되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면 건물의 바닥 등에 재난 대처용품(100)이 부딪혀 통통 튕기면서 탄성 및 불규칙적인 바운드에 의해 더욱 멀리 그리고 더욱 넓고 고르게 분포되도록 한다.
재난 대처용품(100)의 외피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우레탄 재질은 탄성이 우수해 재난 대처용품(100)이 물체에 부딪혀 튀면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재난 대처용품(100)의 외피는 탄성력이 우수하도록 두께를 두껍게 구현할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100)은 본체부(10)와 캡부(2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본체부(10)는 휴대용 산소호흡기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내부에 다량의 호흡용 압축가스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채워지는 산소충전공간(11)을 구비한다. 호흡용 압축가스는 사용자의 호흡을 도울 수 있는 압축 산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호흡용 압축가스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산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공기, 산소를 액화시킨 액화 산소, 공기를 액화시킨 액화 공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충진된 용기로부터 공급되거나, 또는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자가 다시 흡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안면밀착부(12)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면밀착부(12)의 내부 압력은 1기압 이상의 양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 및 안면밀착부(12)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가 안면밀착부(12)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체크밸브(30)는 안면밀착부(12) 내측에 구비된다. 체크밸브(30)는 사용자가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이 사용자에게 다시 흡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캡부(20)를 제거한 후 안면밀착부(12)에 얼굴을 밀착시키는 것만으로 사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본체부(10)의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다.
캡부(20)는 재난 대처용품(100)의 미사용시 또는 보관시 본체부(10)에 결합되어 안면밀착부(12)와 입코삽입공간(1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체부(10)의 안면밀착부(12)와 입코삽입공간(13) 등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재난 대처용품(100)은 캡부(20)만을 제거하였을 때 곧바로 안면밀착부(12)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면밀착부(12)는 내측에 캡부(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의 입과 코가 삽입되는 입코삽입공간(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산소충전공간(11)의 호흡용 압축가스는 입코삽입공간(13)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면밀착부(12)는 사용자의 안면부와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탄력을 갖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본체부(10)에 결합된 캡부(20)를 분리하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산소충전공간(11)의 호흡용 압축가스가 자연스럽게 안면밀착부(12)로 공급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별도의 공급제어수단(4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공급제어수단(40)을 조작하였을 때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공급제어수단(40)은 본체부(10)의 후방에 위치되며 회전 가능한 회전 손잡이부(41a)와, 회전 손잡이부(41a)의 회전에 의해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호흡용 압축가스가 안면밀착부(12)로 공급되게 하는 개폐부(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밀폐된 산소충전공간(11) 내의 호흡용 압축가스는 대기압 보다 높은 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제어수단(40)의 동작으로 산소충전공간(11)의 호흡용 압축가스는 안면밀착부(12)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체부(10)의 후방에 위치된 회전 손잡이부(41a)를 회전시켜 밸브의 개폐부(41b)가 차단되거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의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공급제어수단(40)은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70)와, 램프(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2)와, 본체부(10)에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72)의 전원을 상기 램프(70)로 공급하는 스위치(73)를 더 구비한다.
재난 대처용품(100)이 화재가 발생된 장소에 위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화재발생 장소에 상당량의 연기가 존재하여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재난 대처용품(100)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곧 화재발생 장소에서 그 기능을 온전히 수행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재난 대처용품(100)에서 빛이 발산됨으로써 그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재난 대처용품(100)에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70)를 구비한다. 또, 상기 램프(7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2)를 구비한다. 또, 램프(70)에 배터리(72)의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되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배터리(72)의 전원을 램프(70)로 공급하는 스위치(73)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화재 발생시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박스 등에 담겨 있거나 높은 곳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화재 발생시 바닥으로 낙하하거나 박스에서 쏟아져 나오면서 충격을 받도록 할 경우 상기 스위치(73)가 접지되어 램프(70)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램프(70)가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에서도 빛을 통해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100)을 쉽게 인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충격을 받으면 접지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73)는 이미 널리 공지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 가능한 것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램프(70)는 지속적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점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재난 대처용품(100)의 표면에 야광 페인트 등을 도포하거나 야광 테이프를 부착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체부(10)로부터 분리된 캡부(20)를 후레쉬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캡부(20)는 램프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부(20)가 후레쉬의 기능을 하도록 할 경우 연무 등으로 시야 화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사용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캡부(20)나 본체부(10)에는 상황실 등에서 발신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부(10)나 캡부(20)가 대피장소나 출입구 등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나 유독가스 누출 등의 위험상황에서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산소호흡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원활한 대피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부(20)나 본체부(10)에 점멸되는 램프(70)가 구비되어 있고 이 램프(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가 구비되어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기는 본체부(10)나 캡부(20)가 대피장소에서 멀어지면 램프(70)가 점멸 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캡부(20)나 본체부(10)가 화재지역에 가까워지면 램프(70)가 빠르게 점멸되면서 사용자가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 캡부(20)나 본체부(10)가 대피장소나 출입구 등으로 향하는 경우에는 램프(70)가 파란빛을 발산하고, 그 외의 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램프(70)가 붉은 빛을 발산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캡부(20)나 본체부(10)에서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출력되는 신호를 상황실 등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사용하던 사용자의 위치를 상황실에서 파악할 수 있어 매몰된 사용자나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구조대원 등이 신속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안면밀착부(12)는 사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보다 넓은 안면밀착부(12)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외형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 매우 적합하다.
전술한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지는 호흡용 압축가스 즉, 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본 발명의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공간에서 충전되는 산소의 양이 많을수록 더 높은 압력의 고압상태로 산소가 충전될 수밖에 없다. 고압의 상태로 충전된 산소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압력으로 낮추어진 후 흡입되도록 해야 사용자의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은 산소충전공간(11)에 충전된 호흡용 압축가스가 안면밀착부(12)로 공급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산소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압력낮춤공간(6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은 고르고 부드럽게 산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완충공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압력낮춤공간(60)에는 분산돌기(61)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낮춤공간(60)의 호흡용 압축가스는 확산막 기능을 하는 다수 개의 미세한 타공홀(13a)을 경유하여 안면밀착부(12)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압력낮춤공간(60)과 안면밀착부(12)의 경계벽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13a)이 형성되어 압력낮춤공간(60)의 호흡용 압축가스가 타공홀(13a)을 통해 상기 안면밀착부(12)로 공급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잡고 있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얼굴 전면부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본체부(10)의 안면밀착부(12)가 인체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착용수단은 본체부(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밴드(8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밴드(80)는 안면밀착부(12)가 인체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인체의 머리에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입위치공간과 코위치공간을 분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숨배출관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100)과 동일 도면 부호 또는 동일 명칭을 사용하며,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200)은 본체부(210) 및 캡부(220)가 결합 상태에서 타원형의 다각진 공 형태로 형성된다. 타원형의 럭비공 형상의 재난 대처용품(200)은 지표면과 접촉이 적어 이리 저리 굴러다닐 수 있고 대피자가 밟았을 때 미끄러져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200)은 타원 형태는 유지하되, 안정적으로 지면상에 정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210) 또는 캡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본체부(210)에서 캡부(22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210a, 220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0) 또는 캡부(220)에는 위치인식 및 배포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RFID 태그(215, RFID tag)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300)은 본체부(310) 또는 캡부(320)의 일단부에 무게중심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에서는 캡부(320)에 무게중심부가 형성된 것을 가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본체부(310) 및 캡부(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무게중심부가 형성된 캡부(320)가 지면에 맞닿도록 재난 대처용품(300)이 세워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300)은 대피자가 밟아서 미끄러져 넘어짐을 방지하고, 대피자가 분산 배포된 재난 대처용품(300)을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오뚝이처럼 스스로 세워지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재난 대처용품(300)의 기본적인 형태는 타원형 공 모양으로, 안정성을 위하여 무게중심부가 형성되는 일 측은 뭉툭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무게중심부를 위한 무게추는 캡부(320)에 성형 재료인 우레탄을 가득 채워 형성할 수 있고, 무게가 모자라면 금속 등과 같은 무거운 재료를 추가로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캡부(320)는 실제 사용시 분리하여 버릴 수도 있으므로 무거워도 사용상에는 지장이 없다. 또한, 본체부(310) 또는 캡부(320)에는 위치인식 및 배포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RFID 태그(315, RFID tag)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0) 또는 캡부(3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에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본체부(310)에서 캡부(32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400)은 착용자의 본체부(10)의 안면밀착부(12)의 내측에 분리격벽(400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격벽(400a)은 안면밀착부(12)의 내측이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14)과 사용자의 입이 위치되는 입위치공간(15)이 분리 구분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산소충전공간(11)의 호흡용 압축가스는 코삽입공간(14)으로 공급되도록 타공홀(13a)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부(10)는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가 코삽입공간(14)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는 본체부(10)를 착용하면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신선한 산소를 서서히 공급받아 흡입 가능하다.
본체부(10)는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자가 다시 흡입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고, 유독가스 등이 코나 입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급한 위험상황에서도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0)는 인체의 안면부에 밀착되는 안면밀착부(12)를 갖고, 안면밀착부(12)의 내측에는 인체의 코가 삽입되는 코삽입공간(14)과 인체의 입이 위치하는 입위치공간(15)이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가 코삽입공간(14)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면밀착부(12) 외측의 연기나 유독가스가 안면밀착부(12)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연기나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삽입공간(14)과 입위치공간(15)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스로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을 다시 흡입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코로는 숨을 들이마시고 입으로는 숨을 내뱉을 경우 사용자는 스스로 내뱉은 이산화탄소 등을 다시 흡입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500)은 안면밀착부(12)의 내측에 체크밸브(30)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입에 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숨배출관(500a)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본체부(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코로 숨을 들이마시고 숨배출관(500a)을 통해서 숨을 내뱉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내뱉은 이산화탄소가 본체부(10) 내측에 머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500)은 충전된 호흡용 압축가스가 소진되었을 때 재충전을 위한 산소재충전수단(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재충전수단(90)에는 충전되는 가스의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91)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소충전공간(11)에 채워진 산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산소충전양을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산소의 양을 디스플레이하는 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수단은 문자나 그림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을 갖는 형태일 수도 있고, 검출된 산소의 양을 음성으로 표현하기 위한 스피커를 갖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600)은 본체부(610) 및 캡부(6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체부(610) 및 캡부(620)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럭비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본체부(610) 또는 캡부(620)의 일측면에는 평평한 스토퍼면(610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면(610a)은 재난 대처용품(600)이 굴러가다가 임의의 위치의 지면상에 안정적으로 멈추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700)은 본체부(710) 및 캡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710) 및 캡부(720)는 결합된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710)와 캡부(720)는 탄성이 있는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여 사출성형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본체부(710) 및 캡부(720)는 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710)의 내측에는 호흡용 압축가스가 저장된 산소충전공간 즉, 압축가스 공급부(77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압축가스 공급부(770)는 압력용기(771) 및 감압부(772)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압력용기(771)는 호흡용 압축가스를 저장한다. 호흡용 압축가스는 산소 또는 공기를 수십~수백 기압으로 용기에 압축하여 충전하거나, 액체가스 또는 산소발생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압축용기(771)는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데, 안면에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가벼운 재질의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다. 감압부(772)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사용자에게 호흡하기에 적절한 압력으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감압부(772)는 재난 대처용품(700) 외측의 유독가스가 내측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양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체부(710)와 캡부(72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감압부(772)는 작동줄(740)에 의하여 캡부(720)와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캡부(720)를 본체부(71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작동줄(740)을 통해 감압부(772)에 힘이 가하여져, 압축가스 공급부(770)가 호흡용 압축가스를 제공하도록 제어된다. 즉, 작동줄(740)의 일단은 감압부(772)의 일측의 압축된 탄성 스프링과 연결되고, 작동줄(740)에 의한 당김힘이 탄성 스프링에 가하여지면, 개폐 스핀들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되어 압축용기(771)에 저장된 호흡용 압축가스가 감압부(77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캡부(720)를 잡아당기는 한 번의 조작으로 호흡용 가스가 공급되기 때문에 방독면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압축가스 공급부(770)를 통해 공급된 호흡용 압축가스는 완충공간(760) 및 타공홀(713a)을 통해 안면밀착부(712)로 공급된다.
본체부(710)의 일측에는 램프(7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716)는 압축가스 공급부(770)와 연동하여 캡부(720)가 사용자에 의하여 본체부(710)에서 분리되는 경우, 스위치 온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716)는 본체 서브캡부(715)를 통해 보관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710)는 일측에 안면밀착부(712)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공기가 안면밀착부(712)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7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이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서 스프링과 개폐부를 갖는 용품토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보관되는 재난 대처용품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을 재난발생 가능 장소에 비치해 놓기 위한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재난상황 발생시 보관중인 재난 대처용품(100)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형태일 필요성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하우징(810)을 가지며, 이러한 하우징(810)은 재난 대처용품(100)이 저장되는 용품저장공간(811)을 갖는 형태로 구현된다.
그런데 재난상황 발생시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100)을 쉽게 인지하고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복수 개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하우징(810)의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되어 있도록 하고, 재난상황으로 감지된 경우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복수 개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보관장치 주변 공간에 넓게 분포되도록 토출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재난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을 갖는다.
또, 화재센서 등 재난상황감지수단(820)에 의해 재난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을 외부로 토출하되 여러 방향으로 넓게 분산되도록 토출하기 위한 용품토출수단(830)을 갖는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있는 곳을 찾아 이동하고, 재난 대처용품(100)을 직접 꺼내어 사용해야 했지만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보관장치로부터 재난 대처용품(100)이 자동으로, 그리고 보관장치 근처에 넓게 흩어져 분포되도록 토출하고, 여러 곳으로 넓게 흩어져 있는 재난 대처용품(100)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재난 대처용품(100)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위치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재난 대처용품(100)의 위치를 인지하는 것이 쉽고, 보관장치까지 직접 이동하지 않고 넓은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재난 대처용품(100)을 잡아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재난 대처용품(100)을 보관장치로부터 직접 꺼내야 했던 불편함도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은 종래의 화재감지기, 지진감지기 또는 유독가스감지기 화재비상벨 울림 감지기와 같이 각종 재난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갖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또, 외부로부터 재난상황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유무선의 신호수신기나 제어기(850)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용품토출수단(83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내부에 복수 개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저장되는 용품저장공간(811)이 구비된 하우징(810)을 구비한다. 하우징(810)은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이 구비한다. 그리고,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의 감지결과 재난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용품토출수단(830)은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을 외부로 토출하되, 여러 방향으로 넓게 흩어져 분산되도록 토출한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10)은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812)를 갖고, 용품토출수단(830)은 용품저장공간(811)을 개폐하는 개폐기(832)와 용품저장공간(811)이 개방되었을 때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을 위해 굴러 내리는 슬라이딩부(83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831)는 개폐기(832)를 통한 상기 용품저장공간(811)의 개방시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이 용품토출구(812)로 굴러 내리도록 상기 용품토출구(812)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 형성된다.
즉,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이 슬라이딩부(831)를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굴러 내리면서 위치에너지에 의해 용품토출구(812)에서 상당히 먼 곳까지 이동하여 분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용품토출구(812)가 복수 개 형성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재난 대처용품(100)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굴러감에 따라 각각 다른 방향으로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서의 개폐기(832)는 밸브의 형태 등 특정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용품토출수단(830)의 또 다른 형태로서, 압축공기에 의해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압축공기의 발생원은 압축공기가 저장되어 있는 압축공기저장실린더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압축공기를 실시간으로 만들어내는 컴푸레셔의 형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분사됨으로써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이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고, 이로 인해 재난 대처용품(100)이 분산되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812)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용품토출수단(830)의 또 다른 형태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난 대처용품(100)이 압력을 받고 있도록 재난 대처용품(100)에 압력을 가하는 스프링(831)을 가지며, 용품저장공간(811)이 개방되었을 때 압력을 받고 있는 재난 대처용품(100)이 반발력에 의해 하우징(810)의 외부로 밀려나가도록 하고 용품저장공간(811)이 개방되지 않았을 때는 하우징(810)의 외부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하는 개폐기(843)를 갖는 형태가 있다. 개폐기(843)는 밸브의 형태 등 특정 경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하우징(810)이 설치된 장소의 진동, 화재, 지진을 각각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841), 화재감지수단(842), 지진감지수단(84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2 참조)
구체적으로,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은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재난상황임을 알리는 비상벨의 구동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황실에서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하우징(810)에 구비된 비상버튼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재난상황 신호를 감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810)은, 상기 하우징(810)이 설치된 장소의 진동(지진)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841),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842),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오염도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810)은 하우징(810)이 설치된 장소의 질소산화물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감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위치된 장소의 환경과 관련된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의 재난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데이터가 지하철역의 상황실이나 공공장소의 상황실 등으로 전송되도록(전송을 위한 제어기(850) 등을 구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위치된 곳의 환경을 원거리에서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러한 데이터는 어느 지하철역의 공기가 좋고 나쁜지의 정보 등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도시에서 전체 지하철 역의 공기 질 및 종류별 환경가스 질을 매핑(mapping)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용품토출수단(8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재난상황감지수단(820)에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기(850)가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기(850)는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나 각종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제어기(850)와 같은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또 다른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의 신호를 수신받아 용품토출구(81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간에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지하철역이나 공공장소 등의 상황실에서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구비된 용품토출수단(83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기(850)를 갖는 구조에서, 제어기(850)는 재난상황이 발생된 경우 용품토출수단(830)을 통해 토출되는 재난 대처용품(100)의 사용법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의 스피커는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구비된 스피커일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설치된 공간(장소)에 위치되어 있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품토출수단(830)은 재난 상황 발생시 용품저장공간(811)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의 전부를 토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의 일부만을 토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100)의 일부만을 토출하도록 구현함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량만큼만 토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총 100개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재난상황이 1회 발생할 때마다 50개씩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 저장되는 재난 대처용품(100)이 설정된 갯수 단위로 패키지화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설정된 갯수의 재난 대처용품(100)이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전술한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자체에 내장된 재난상황감지센서(화재 등)에 의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상황실 직원에 의해 보관장치에 있는 재난 대처용품(100)을 토출 필요성 판단에 의해 작동된 신호에 의한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재난 대처용품(100) 토출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사람에 의해 보관장치에 내장된 ‘비상버튼‘을 직접 매뉴얼로 작동한 경우의 데이터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재난상황감지수단(820)은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가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는 구조에서 이웃하는 보관장치에서 감지된 재난상황 정보에 근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DID 등 디스플레이장치(855)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서 재난 대처용품(100)의 사용방법, 보관장치 사용방법(비상버튼 누름 기능) 및 토출 예시 등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상품의 광고를 디스플레이로 하는 형태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810)이 설치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인식 모듈과 함께 주변의 미세먼지, 황사, 산소, 질소 등의 공기질 감지센서모듈, NOx, SOx, COx, 오존 등의 환경 가스 감지센서모듈, 진동 및 지진 감지센서모듈, 화재 감지센서모듈, 온도, 습도 등의 생활 환경 감지센서모듈 등이 내장되어 있는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장에 가서 직접 공기의 질 등을 측정하지 않고 원격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하우징(810) 위치, 역위치 등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매핑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5)

  1. 호흡용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재난 대처용품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담긴 산소충전공간 및,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평평한 스토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캡부에는 위치인식 및 배포현황 모니터링을 위한 RFID 태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다각진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캡부의 일단부에는 무게중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면에 상기 무게중심부가 맞닿도록 세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는 내측에, 상기 캡부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사용자의 입과 코가 삽입되는 입코삽입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는 상기 입코삽입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면밀착부의 내부 압력은 1기압 이상의 양압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안면밀착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는 상기 체크밸브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가 입에 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숨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산소충전공간에 충전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공급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제어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회전 가능한 회전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 손잡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산소충전공간에 충전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게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제어수단은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압력 및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값 이상이 될 경우 산소 일부 또는 전부를 자동 유출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의 압력을 낮추어주는 압력낮춤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압력낮춤공간과 상기 안면밀착부의 경계벽에는 다수 개의 타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낮춤공간에서 분산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타공홀을 통해 상기 안면밀착부로 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소충전공간은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저장하는 압축용기; 및
    상기 압축용기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감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캡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캡부와 상기 감압부를 연결하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기 압축용기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가 상기 감압부를 통해 상기 안면밀착부에 공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산소,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 공기, 산소를 액화시킨 액화 산소, 공기를 액화시킨 액화 공기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충진된 용기로부터 공급되거나, 또는 산소가 발생되는 산소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램프;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부에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램프로 공급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안면밀착부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캡부의 표면에는 야광 물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21. 복수개의 재난 대처용품;
    내부에 상기 복수개의 재난 대처용품이 저장되는 용품저장공간이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재난상황을 감지하는 재난상황감지수단과;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의 감지결과 재난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을 외부로 토출하되, 여러 방향으로 넓게 흩어져 분산되도록 토출하는 용품토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재난 대처용품은
    호흡용 압축가스가 담긴 산소충전공간 및, 사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상기 산소충전공간의 상기 호흡용 압축가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면밀착부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안면밀착부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캡부는 결합 상태에서, 외형 형상이 타원형의 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은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재난상황임을 알리는 비상벨의 구동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황실에서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비상버튼의 조작에 의해 출력되는 재난상황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재난상황 신호를 감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재난상황감지수단에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용품토출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설치된 장소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감지수단, 지진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감지하는 질소산화물농도감지수단,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농도감지수단, 공기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오염도감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용품토출수단은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이 토출되는 용품토출구와,
    상기 용품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개폐기와;
    상기 개폐기를 통한 상기 용품저장공간의 개방시 상기 용품저장공간에 저장된 재난 대처용품이 상기 용품토출구로 굴러 내리도록 상기 용품토출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져 형성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PCT/KR2011/005768 2010-08-24 2011-08-08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WO201202668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84A KR20120019069A (ko) 2010-08-24 2010-08-24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2010-0082184 2010-08-24
KR1020100090683A KR101208662B1 (ko) 2010-09-15 2010-09-15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2010-0090683 2010-09-15
KR20-2010-0010007 2010-09-28
KR2020100010007U KR200465483Y1 (ko) 2010-09-28 2010-09-28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KR1020110048153A KR101361180B1 (ko) 2011-05-20 2011-05-20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KR10-2011-0048153 2011-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688A2 true WO2012026688A2 (ko) 2012-03-01
WO2012026688A3 WO2012026688A3 (ko) 2012-05-03

Family

ID=4572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5768 WO2012026688A2 (ko) 2010-08-24 2011-08-08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2026688A2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270A (en) * 1984-07-06 1987-06-09 Midori Anzen Industry Co., Ltd. Portable oxygen inhaler
KR900001192Y1 (ko) * 1987-01-12 1990-02-17 탁순갑 인명구조용 산소마스크
US5318019A (en) * 1992-03-19 1994-06-07 Celaya Marty A Emergency portable oxygen supply unit
KR200344729Y1 (ko) * 2003-12-27 2004-03-18 이승준 산소 자동판매기 작동시스템
KR20050090937A (ko) * 2004-03-09 2005-09-14 김관식 비상용 산소 흡입기
KR20050108891A (ko) * 2004-05-14 2005-11-17 이영준 자동인출 비상용품함
KR20110002246U (ko) * 2009-08-28 2011-03-08 최우찬 산소캔용 직립식 흡입 마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270A (en) * 1984-07-06 1987-06-09 Midori Anzen Industry Co., Ltd. Portable oxygen inhaler
KR900001192Y1 (ko) * 1987-01-12 1990-02-17 탁순갑 인명구조용 산소마스크
US5318019A (en) * 1992-03-19 1994-06-07 Celaya Marty A Emergency portable oxygen supply unit
KR200344729Y1 (ko) * 2003-12-27 2004-03-18 이승준 산소 자동판매기 작동시스템
KR20050090937A (ko) * 2004-03-09 2005-09-14 김관식 비상용 산소 흡입기
KR20050108891A (ko) * 2004-05-14 2005-11-17 이영준 자동인출 비상용품함
KR20110002246U (ko) * 2009-08-28 2011-03-08 최우찬 산소캔용 직립식 흡입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688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36545A2 (ko) 헬멧형의 개인용 재난구제기
WO2011059128A1 (ko) 유해작업장 안전관리시스템
WO2021086028A1 (ko) 전자제어에 의한 들숨 산소배합과 날숨 이산화탄소 제거기능을 갖는 재호흡장치
KR101208662B1 (ko)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101361180B1 (ko) 능동적 배포형 산소면
KR101298769B1 (ko) 건물 내 구명 호흡 장치
WO2013137703A1 (ko) 산소 공급 승강기
WO2015080320A1 (ko) 긴급대피용 산소호흡기
KR200388729Y1 (ko) 긴급 대피용 산소호흡기 및 랜턴을 겸비한 소화장치
WO2012026688A2 (ko) 재난 대처용품 및 재난 대처용품 보관장치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CN206852128U (zh) 带有应急救援功能的地下作业专用安全帽
KR200465483Y1 (ko) 긴급 상황에 사용 가능한 분산형 재난 대처용품
WO2013085143A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WO2012150824A2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KR20110002173U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CN208044770U (zh) 一种便携式多用途火灾自救定位报警装置
CN208465012U (zh) 一种易识别的荧光防护头罩
KR101722090B1 (ko) 전기밀폐공간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483699Y1 (ko) 휴대용 위치 추적 공기 호흡기
WO2024071881A1 (ko) 산소공급마스크
CN114040158A (zh) 一种楼宇安防监控系统
CN112037453A (zh) 一种智能建筑应急式火灾报警系统
CN215916259U (zh) 有氧逃生面罩
CN212347481U (zh) 一种森林消防员紧急呼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201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201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