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15357A2 -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 Google Patents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15357A2
WO2011115357A2 PCT/KR2010/009073 KR2010009073W WO2011115357A2 WO 2011115357 A2 WO2011115357 A2 WO 2011115357A2 KR 2010009073 W KR2010009073 W KR 2010009073W WO 2011115357 A2 WO2011115357 A2 WO 201111535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oe
elastic piece
groove
so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0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15357A3 (ko
Inventor
조익현
Original Assignee
Cho Ik Hy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Cho Ik Hyun filed Critical Cho Ik Hyun
Publication of WO201111535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15357A2/ko
Publication of WO201111535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1535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43B11/02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with built-in shoe-hor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with a built-in wear aid,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e with a built-in wear aid developed so that a user can easily wear the shoe without heeling the shoe. will b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shoe with a built-in wear assisting function to pull back the heel portion so that shoes can be worn more easily.
  • wear aids protrude to develop a shoe with a built-in wear aids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aesthetics worse or the user feels uncomfortable.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paced portion spac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lls constituting the heel of the shoe, and slides up and down through the space portion, the upper end of which wear aids protruding outwards In shoes;
  • the wearing ai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shape of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e end is fixed on the sole of the shoe, the other end is an elastic piece drawn through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space portion; ; A ring-shaped ring mounted by an end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drawn out through the groove; Two sheets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pace portion are overlapped and fixedly mounted to the space portion, but the bracket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elastic piece is inserted and guided.
  • the portion fixed to the sole of the elastic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ly formed several engaging pieces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portion fixed to the sole of the elastic piec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penetrating vertically and the upper half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extending its inner diameter stepwise;
  •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hole is inserted and th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ole, and the upp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s further formed.
  • a first bulk tape is formed on the rear upper end of the shoe protruding ring, and the coupling part further includes a second bulk tape attach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bulk tap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shoe while pulling back the ring while the user naturally wears the shoe.
  • the elastic piece is to be built in the bottom of the shoe but is firmly fixed is not separated from the strong forc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 the coupling part including the ring is normally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new room to clean the appearance of the shoe neat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user's body or clothing to feel uncomforta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main portion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pace portion 14 formed between the inner shell 12 and the outer shell 13 constituting the heel 11 of the shoe 1 is formed, and through the space portion 14 To slide up and down, but the top is in the shoe built-in wearing aids (2) protruding to the outside;
  • the wearing aid 2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ilience in the shape of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e end is fixed on the sole 15 of the shoe 1, the other end is the space portion 14
  • a shoe with a built-in wearing aid is shown.
  • the most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med so that the ring 23 protrudes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axle 11 so as to easily wear the shoe 1 so that the heel can easily enter by pulling the ring 23 when worn.
  • the pulling operation by the elastic piece 21 is to allow the ring 23 to be further extended.
  • the ring 23 is return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axle 11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addition operation is completed.
  • the elastic piece 21 is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is bonded between the sole 15 and the midsole 18 when the sole 15 and the midsole 18 and the insole 19 in the shoe (1). .
  • brackets 24 are formed to ensure that the elastic piece 21 is made to stretch and contract in a stable position.
  • the ring 23 is also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too hard and the coupling portion 22 surrounds the ring 23 and both ends of the elastic It is preferable to be sewn and fixed to the piece (21).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art fixed to the sole 15 of the elastic piece 21 is integrally formed with several catching pieces 25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n embodiment for preventing the elastic piece 21 is detached from the portion is fixed to be more firmly fixed even to a strong force to fall off.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side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nlarg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perpendicular to a portion fixed to the sole 15 of the elastic piece 21.
  •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26 are formed through which the insertion grooves 261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alf is expanded.
  •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hole 26 is inserted so that the end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sole 15, the upper por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member 2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61 is further formed.
  • This is also an embodiment presented as a means for fixing the elastic piece 21 more firmly, and even if fixed by the fixing member 27 is preferably combined with a fixed by a basic adhesive.
  • a first bulk tape 17 is formed at the rear upper end of the ring 23 of the shoe 1, and the coupling portion ( In 22), an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bulk tape 28 is additional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bulk tape 17.
  • the ring 23 may be caught between the heel and the heel, and the user may feel discomfort or pain, and the ring 23 moves when walking or running, which may not look good. It is an embodiment formed in order to.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뒤축이 구겨지지 않고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용이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착용 보조기구는 일정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이 신발의 밑창 위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을 통하여 인출되는 탄성편과; 상기 홈을 통하여 인출된 탄성편의 끝단과 결합부에 의하여 장착되는 고리 형태의 링과; 상기 공간부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진 두 장이 겹쳐 공간부에 고정 장착하되 상기 탄성편이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본 발명은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발의 뒤축이 구겨지지 않고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용이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슬리퍼 종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발의 크기에 적합한 신발을 신는 것이 가장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걷거나 뛰는 활동에도 지장이 없게 된다.
이때 운동화나 캐주얼화, 구두 같은 경우는 발이 들어가는 입구부분이 작을 수 밖에 없으므로 신발을 신을 때 뒤축 부분에 손을 넣고 신거나 또는 구두 주걱을 사용하여 신발을 신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이는 안정적인 착용감을 주기 위하여 발등을 포함하여 신발이 발목에 이르기까지 최대한 감싸는 것이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것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잠시 신발을 신고 아주 짧은 거리를 이동할 경우나 신발의 장시간 착용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에는 신발의 뒤축을 구겨 신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뒤축이 구겨져 신발 본래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뒷축의 일부분이 구겨짐으로 인해 신발에 손상을 가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즉, 종래 신발의 경우에는 신발 뒷축이 천연 가죽이나 또는 합성수지재를 원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한 것처럼 자주 신발을 구겨신을 경우에는 뒤축이 닳아져 신발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또는 자주 구겨 신던 신발의 경우 제대로 신을 때 구겨졌었던 부분 때문에 신는 동작이 더 불편해지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상당수의 신발에서 제조할 때 신발 뒤축 상단에 조각편을 부착시킨 신발을 제조하여 그 불편함을 해소하려고 하였으나 강하게 잡아 당겨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각편에서 쉽게 미끄러지거나 또는 조각편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신발을 보다 쉽게 신을 수 있도록 뒤축부분을 뒤로 당기는 기능을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착용 보조기구가 강한 힘에 의하여 끊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 신발을 신은 후에는 착용 보조기구가 돌출되어 미관이 나빠지거나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의 뒤축을 구성하는 내피와 외피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보조기구는 일정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이 신발의 밑창 위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공간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을 통하여 인출되는 탄성편과; 상기 홈을 통하여 인출된 탄성편의 끝단과 결합부에 의하여 장착되는 고리 형태의 링과; 상기 공간부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진 두 장이 겹쳐 공간부에 고정 장착하되 상기 탄성편이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편의 밑창에 고정된 부분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소폭 연장되는 수 개의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의 밑창에 고정되는 부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반은 단턱지게 그 내경이 확장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 개의 장착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의 하단이 삽입되어 밑창에 끝단이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고정부재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신발의 링이 돌출된 후방 상단에는 제1 벌크로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1 벌크로테이프에 상응하여 부착되는 제2 벌크로테이프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고리를 잡아당겨 뒤축이 자연스럽게 후방으로 밀리면서 신발을 쉽게 신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편이 신발의 바닥에 내장되도록 하되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한 힘에도 이탈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평상시 고리를 포함한 결합부를 신방의 후방면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여 신발의 외관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사용자의 신체나 의복에 걸리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 11 : 뒤축 12 : 내피
13 : 외피 14 : 공간부 15 : 밑창
16 : 홈 17 : 제1 벌크로테이프 18 : 중창
19 : 깔창 2 : 착용 보조기구 21 : 탄성편
22 : 결합부 23 : 링 24 : 브라켓
241 : 가이드 홈 25 : 걸림편 26 : 장착홀
261 : 삽입홈 27 : 고정부재 28 : 제2 벌크로테이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신발(1)의 뒤축(11)을 구성하는 내피(12)와 외피(13)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1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4)를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착용 보조기구(2)가 내장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보조기구(2)는 일정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이 신발(1)의 밑창(15) 위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공간부(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16)을 통하여 인출되는 탄성편(21)과; 상기 홈(16)을 통하여 인출된 탄성편(21)의 끝단과 결합부(22)에 의하여 장착되는 고리 형태의 링(23)과; 상기 공간부(14)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진 두 장이 겹쳐 공간부(14)에 고정 장착하되 상기 탄성편(21)이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241)을 구비한 브라켓(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을 나타내었다.
먼저 본원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은 신발(1)을 용이하게 신기 위하여 뒤축(11)의 상단에 링(23)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신을 때 상기 링(23)을 당겨 발 뒤꿈치가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되 탄성편(21)에 의하여 당기는 동작이 보다 편하게 링(23)이 더욱 연장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링(23)은 담기는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뒤축(11)의 상단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1)은 신발(1)에 밑창(15)과 중창(18) 및 깔창(19)가 있을 때 밑창(15)과 중창(18)의 사이에 접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이다.
또한 상기 브라겟(24)은 상기 탄성편(21)이 일정한 위치에서 신장과 수축을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편(21)은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재질을 가진 것이 가장 적당하면 상기 링(23)도 너무 딱딱하지 않은 재질을 하고 결합부(22)는 상기 링(23)을 감싸고 양단이 상기 탄성편(21)에 재봉되어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로서, 상기 탄성편(21)의 밑창(15)에 고정된 부분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소폭 연장되는 수 개의 걸림편(25)이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강한 힘에도 접착된 부분이 떨어져 나가 탄성편(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요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확대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상기 탄성편(21)의 밑창(15)에 고정되는 부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반은 단턱지게 그 내경이 확장되는 삽입홈(261)이 형성되는 수 개의 장착홀(26)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26)의 하단이 삽입되어 밑창(15)에 끝단이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삽입홈(261)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7)가 추가로 형성되도록 한 실시 예이다. 이는 역시 탄성편(21)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된 실시 예이며 상기 고정부재(27)에 의하여 고정되었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접착제에 의한 고정을 겸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제3 확대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신발(1)의 링(23)이 돌출된 후방 상단에는 제1 벌크로테이프(1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에는 상기 제1 벌크로테이프(17)에 상응하여 부착되는 제2 벌크로테이프(28)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링(23)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면 자칫 링(23)이 뒤꿈치와 뒤축 사이로 끼어 사용자가 불편함 또는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걷거나 뛸 때 링(23)이 움직여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

Claims (4)

  1. 신발(1)의 뒤축(11)을 구성하는 내피(12)와 외피(13) 사이에 이격된 공간부(14)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4)를 통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하되 상단은 외부로 돌출되는 착용 보조기구(2)가 내장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착용 보조기구(2)는 일정 폭을 가지는 띠의 형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측단이 신발(1)의 밑창(15) 위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공간부(14)의 상단에 형성되는 홈(16)을 통하여 인출되는 탄성편(21)과;
    상기 홈(16)을 통하여 인출된 탄성편(21)의 끝단과 결합부(22)에 의하여 장착되는 고리 형태의 링(23)과;
    상기 공간부(14)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진 두 장이 겹쳐 공간부(14)에 고정 장착하되 상기 탄성편(21)이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 홈(241)을 구비한 브라켓(2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1)의 밑창(15)에 고정된 부분은 길이 방향과 직교하여 소폭 연장되는 수 개의 걸림편(25)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1)의 밑창(15)에 고정되는 부분에는 수직으로 관통되고 상반은 단턱지게 그 내경이 확장되는 삽입홈(261)이 형성되는 수 개의 장착홀(26)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26)의 하단이 삽입되어 밑창(15)에 끝단이 삽입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삽입홈(261)에 삽입되는 고정부재(27)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1)의 링(23)이 돌출된 후방 상단에는 제1 벌크로테이프(1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에는 상기 제1 벌크로테이프(17)에 상응하여 부착되는 제2 벌크로테이프(28)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PCT/KR2010/009073 2010-03-16 2010-12-17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WO201111535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072 2010-03-16
KR20100023072A KR101092246B1 (ko) 2010-03-16 2010-03-16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5357A2 true WO2011115357A2 (ko) 2011-09-22
WO2011115357A3 WO2011115357A3 (ko) 2011-11-10

Family

ID=4464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073 WO2011115357A2 (ko) 2010-03-16 2010-12-17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2246B1 (ko)
WO (1) WO201111535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633A (ja) * 2013-02-12 2014-09-25 Next Innovation合同会社 靴、靴の踵部材、及び、脱靴補助部材
CN106963023A (zh) * 2017-05-24 2017-07-21 肇庆学院 一种体重超标提醒运动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7429B1 (ja) * 2015-07-21 2016-07-06 實 大津 靴踵部に取り付けて使用される靴べら用補助部材
KR102016091B1 (ko) * 2019-04-24 2019-08-29 신승래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140A (en) * 1989-08-28 1992-02-2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with integrated counterpocket shoe horn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20070186447A1 (en) * 2006-02-10 2007-08-16 Arturo Ramos Inner Lacing Sho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2244U (ko) 1971-04-26 1972-12-11
JPS502547U (ko) 1973-05-01 1975-01-11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140A (en) * 1989-08-28 1992-02-25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with integrated counterpocket shoe horn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20070186447A1 (en) * 2006-02-10 2007-08-16 Arturo Ramos Inner Lacing Sho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76633A (ja) * 2013-02-12 2014-09-25 Next Innovation合同会社 靴、靴の踵部材、及び、脱靴補助部材
CN106963023A (zh) * 2017-05-24 2017-07-21 肇庆学院 一种体重超标提醒运动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246B1 (ko) 2011-12-15
WO2011115357A3 (ko) 2011-11-10
KR20110104130A (ko) 2011-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0446B (zh) 具有弹性的鞋
EP2040574B1 (en) Dance shoe
US8056149B2 (en) Combination sock and shoe
EP2320761B1 (en) Footwear with expandable entry and exit feature
WO2009154350A1 (ko) 신발용 뒤축 보조구
EP2023756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pen upper
JP2009516535A (ja) 履物
WO2018230961A1 (ko) 신기 편한 신발구조
WO2011013940A2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US20110314694A1 (en) Sandal toe post and strap system
WO2011115357A2 (ko) 착용 보조기구가 내장된 신발
US20150250266A1 (en) Shoe accessory devices
WO2014042380A1 (ko) 기능성 깔창
WO2019164357A1 (ko) 바른발 기능성 양말
WO2013054358A2 (en) A sandal or a shoe
KR101314663B1 (ko) 일체결합형 휴대용 신발
US11497271B2 (en) Shoes
WO2018088768A1 (ko) 스트레칭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신발
JP4928889B2 (ja) 靴用中敷
CN214283573U (zh) 一种新型机能稳步鞋
CN220212066U (zh) 一种凉鞋
KR200342186Y1 (ko) 휴대용 운동화
JP3168787U (ja) 鼻緒及び当該鼻緒を備えた履物
CN211703641U (zh) 一种防臭男靴
KR101205185B1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8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80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