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4028A2 -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 Google Patents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4028A2
WO2011084028A2 PCT/KR2011/000168 KR2011000168W WO2011084028A2 WO 2011084028 A2 WO2011084028 A2 WO 2011084028A2 KR 2011000168 W KR2011000168 W KR 2011000168W WO 2011084028 A2 WO2011084028 A2 WO 201108402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ank
seawater
water
sea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16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4028A3 (ko
Inventor
김창운
Original Assignee
Kim Chang W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Chang Woon filed Critical Kim Chang Woon
Publication of WO201108402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4028A2/ko
Publication of WO201108402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402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and marine culture tank capable of natural circulation of seawater.
  • the methods of collecting marine organisms for food are divided into natural capture and hunting.
  • the artificial culture is to form an artificial boundary by tapping a branch of a nearby sea, and to trap the marine life within the range of the boundary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artificial farming, which occupies a small proportion in the field of marine food supply, more easily and more stably, and the source of fishing is limited to the hunting and farming of seafood
  • the technical challenge is to provide an inland marine culture tank capable of natural circulation of seawater that can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by expanding the economic sector.
  • An inlet passage including a first filter installed in the underground passage and a second filter installed at a communication position between the fish tank and the underground passage to prevent the marine organism from leaving the fish tank;
  • a water extraction passage having a third filter formed along the ground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sh tank so that the seawater of the fish tank flows out, and installed to prevent detachment of marine life while filtering foreign matters of the seawater;
  •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aqua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intake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ayou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 the sea culture tank guides the outflow of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fish tank 100 and the water inlet 200 to guide the inflow of seawater into the fish tank 100 and the fish tank 100 installed inland. It includes a water extraction path 300, and may inclu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400 for purifying the sea water discharged from the fish tank 100 as necessary.
  • Fish tank 100 is to excavate the ground to secure a space for accommodating seawater, and the waterproofing is made to prevent leakage of the earth and sand, the water inlet (Gu) to guide the movement of seawater flowing from the sea (S) 200,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ter discharge path 30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eawater flowing out of the fish tank 100, a publicly known, public engineering method is applie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ivil engineering method that is proces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fish tank 100,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300 is omitted.
  • the water inlet 200 is a ground road 210 through which the seawater flows from the sea (S), and an underground passage for guiding seawater introduced along the ground road 210 to the fish tank 100 ( 220). This is to force the circulation of seawater in the fish tank 100,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Water outlet 300 is for guiding the sea water flowing out of the fish tank 100 to the sea (S) or estuary (R), etc., the sea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is relatively relative to the cultured marine life Since it may be contaminated with water, it is preferable to purify the water prior to the outflow into the sea (S) or the estuary (R).
  • a common water purification system 400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outlet 300.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 the fish tank 100 is installed inland, and the inlet passage 200 and the outlet passage 300 for smooth circulation of the seawater flowing in and out of the fish tank 100 are provided. Is installed on the ground.
  • the inlet passage 200 includes a ground passage 210 and an underground passage 220 for guiding seawater introduced from the sea S to the fish tank 100.
  • the depth of the ground road 210 will be sufficient if it is constructed to a depth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sea water at high tide, in order to commercialize the artificially created ground road 210, as shown in Figures 2 (a) and 2 (b) As shown, it may be constructed to a depth where the inflow of seawater is always performed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low tide and high tide.
  • ground road 210 since it will be constructed at a relatively deep depth for the inflow of seawater without distinction between low tide and high tide, it is possible to build an artificial structure for various uses aft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road 210 to form a ground space. Of course.
  • Seawater introduced along the ground road 210 is introduced into the basement along the underground road 220 and is tanked into the fish tank 100.
  • the underground passage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100 and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the tank of the fish tank 100 must be smoothly made without artificial pumping, so that the underground passage 220 is constructed as a ramp. It is preferable.
  • the first filter f1 may filter various floats and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seawater.
  • the second filter f2 may be implied.
  • the first and second filters f1 and f2 may be disposed at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underground passage 220, respectively, and in particular, the second filter f2 may prevent the escape of marine life in the fish tank 100. It will include the ability to block.
  • Fish tank 100 is a water tank installed inland to accommodate the marine life of the aquaculture target, while the sea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inlet 200 is discharged to the lower end of the fish tank 100, the outflow passage 300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fore, the sea water stored in the fish tank 100 flows in an ascending form, so that a smooth circulation of the entire fish tank 100 is naturally achieved.
  • the outlet 30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end of the fish tank 100, the installation position (height) is naturally discharg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a water stored in the fish tank 100 reaches the height of the outlet 300 If there is enough point, it is enough.
  • the sea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may be passed throug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400, through which the seawater may be purified and discharged to nature.
  •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400 filters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seawater discharged from the fish tank 100, and is a publicly known and common purification means for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 the purified sea water from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400 may flow directly to the estuary R or the sea S along the water outlet 300.
  • a third filter f3 is install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sh tank 100 and the water extraction passage 300.
  • the third filter f3 filters various foreign matters formed in the fish tank 100 due to the culture of marine life, and prevents the foreign matter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natural world through the water outlet 300, and also in the fish tank 100.
  • the inhabited marine life is blocked from escaping through the waterway (300).
  • Figure 2 (a) shows the state of the amount of sea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00 during the low tide is low, the inlet 200 is constructed so as to have a sufficient depth so that the sea water tank 100 even at low tide ) Can be continuously introduced.
  • the bottom height of the water inlet 200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a water at the time of low tide, the inflow of seawater through the inlet 200 will be blocked.
  •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water outlet 300 is constructed at a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sea water to be accommodated by the fish tank 100 for aquaculture.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a), when the water inlet 200 is constructed so that the inflow of sea water even at low tide, since the seawater flows into the fish tank 100 without the distinction between low tide or high tide, 300 is to be constructed at a height that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fish tank 100 can continue to flow out.
  • the seawater height introduced into the fish tank 100 can not only change depending on low water and high water, but the change in seawater height of the fish tank 100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water outlet 300 disposed at a constant height.
  • Figure 2 (b) shows the state of the amount of sea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200 during the high water, the water level in the fish tank 100 is also slightly increased, the amount of water discharged by the increase It is immediately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300).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 an auxiliary tank 120 exten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tank 110 may be further formed.
  • the auxiliary water tank 120 is a space partition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main water tank 110 via the boundary wall 111.
  • the seawater is confined by the boundary wall 111.
  • the water flow path 300 flows into the auxiliary water tank 120 after crossing the boundary wall 111. Since the outflow, the seawater accommodated in the main water tank 110 is to maintain a stable circulation state.
  • the main water tank 110 may maintain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in the height range of the boundary wall 111, and the various types of the sea water stored in the main water tank 110 is floated to the sea surfac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flowing upward Since foreign matters are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tank 120 through the boundary wall 111 at high tide, the manager has a safety to perform the collection and removal of the foreign matter in the auxiliary tank 120 having a relatively low depth.
  • the depth of the auxiliary tank 120 is constructed to be shallower than the depth of the main tank 110, but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water outlet 300, the foreign matter moved to the auxiliary tank 120 beyond the boundary wall 111 is auxiliary It is deposited relatively stable in the tank 120, through which the manager can easily collect the foreign matter deposited in the auxiliary tank (120).
  • the third filter (f3) is disposed between the auxiliary tank 120 and the water outlet 30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 of the third filter (f3).
  • the inlet passage 200 and the outlet passage 300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let door 230 and an outlet door 310, respectively.
  • the inlet door 230 and the outlet door 310 maintain the direction of seawater flowing along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300 around the fish tank 100, and the inlet 200 and the inlet 200.
  • the backflow occurs in the water exit 300 has a function to prevent this.
  • the inlet door 230 prevents the sea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00 at the time of low tide backflow along the inlet 200, and the outlet door 310 is the water outlet 300 at high tide It is to prevent the flow back to the fish tank 100 along.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cquisition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 Inlet door 230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231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inlet 200, the movable base 232 is slidably seated on the support plate 231, the support plate 231 And a holder 233 for rotatably fixing the entrance door 234, and a door 234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lder 233.
  • the acquisition door 230 and the exit door 310 is the same structure, so, the structure description of the exit door 310 is replaced by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ntrance door 230, the exit door 310 is It is revealed that the water outlet 300 is disposed.
  • the acquisition door 230 and the exit door 31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oor'.
  • the support plate 231 is provided with a rail 231a lengthwise in the seawater movement direction of the inlet passage 100 and is fixed to the bottom upper surface of the inlet passage 200.
  • the movable table 232 is movably engaged with the rail 231a and moves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r-shaped rack 232a, the guide 232b, the rack 232a, and the guide 232b, which move along the corresponding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plates 232c and 232c ' are formed, but the rack 232a and the guide 23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 the rack 232a and the guide 232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and second resistor plates 232c and 232c 'position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of, and are fix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 the gear of the rack 232a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guide 232b.
  •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plates 232c and 232c ' have a flat surfac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awater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plates 232c and 232c' can receive a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eawater.
  • the first and second resistance plates 232c and 232c ' may move effectively under the force of the sea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inlet 200, and thus the rack 232a and the guide 232b may also be rails. It is precisely moved in one direction with the guidance of 231a.
  • the fixing stand 233 rotatably fixes the entrance door 234 and forms a through hole 233a through which the moving table 232 passes.
  • the fixing stand 233 is dispos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inlet 200, and as shown in FIG.
  • the door 234 is rotatably fixed to the holder 233 via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and the end of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is between the rack 232a of the movable table 232 and the guide 232b. It is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refore, when the rack 232a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e sea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inlet 200, the pinion-type rotation shaft 234a meshing with the rack 232a rotates to interlock.
  • the door 234 fixed to the furnace holder 233 is rotated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 the door 234 is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so that the resistance of running water in the open state as shown in Figure 5 (a) is minimized.
  • FIG. 5 (a) shows that when the seawater flow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long the water inlet 200, the movable table 232 moves to the right by the force of the seawater, and thus the rack 232a moving to the right is opened. It shows the state which maximized the space
  • FIG. 5 (b) shows that when the seawater flows in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the water inlet 200, the moving table 232 moves to the left by the force of the seawater, thereby moving the rack 232a to the left.
  •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of the door 234 rotates the door 234 to minimize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doors 234.
  • the neighboring doors 234 overlap each other as show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ealing effect.
  •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of the mobile unit 232 is physically limited, it does not move indefinitely to the force of the seawater flowing along the inlet 200, as shown in the mobile unit 232 is the maximum of the right or left When located outside the spacing of neighboring doors 234 will be minimum or maximum.
  • the guide 232b is spaced apart from the pinion-type rotating shaft 234a so as not to fri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is stably guided by the rail 231a, so that the guide 23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door 234. Ensures a balanced move.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a cultur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 Fish tank (100 ) temporarily stores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water tank 110 whil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water tank 110 and the main water tank 110, and directly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inlet 200 Therefore, the drainage tank 13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le coveri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main water tank 110, and is not shown but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main water tank 110. It is lifted and fixed in the sump 130 by the formed support.
  • the seawater is stored only in the main water tank 110 at low tide, and at high tide, the seawater overflows the main water tank 110 as shown in FIG. 6 (b). Circulates the sea water of the main water tank 110 while flowing into the (130).
  • the seawater introduced into the drainage tank 130 is forcibly drained to the water outlet 300 by the drainage device 140, for this purpose, the drainage device 14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drainage tank 130 and the other end is discharged. It is composed of a drain pipe 141 communicating with the furnace 300, and a drain pump 142 forcing the transfer through the drain pipe 141 of the sea water.
  •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water tank 110 is shown to be lower than the other side, and the third filter f3 is installed only on the one side, but the main water tank 11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one side.
  • the third filter f3 may also be all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water tank 1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에 관한 것으로,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는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및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본 발명은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에 관한 것이다.
식용을 위한 해양생물의 채집 방식은 크게 자연 포획(수렵)과 인공양식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인공양식은 인근 해의 일지점에 망을 쳐서 인위적인 경계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경계의 범위 내에 해양생물을 가두어 양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양식은 해양생물을 실제 서식환경에서 인공적으로 대량 생장시킬 수 있고, 필요 시 필요한 수만큼의 채집을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인공양식은 바다를 낀 어촌에서 널리 실시되는 어업활동이다.
그런데, 인공양식장은 자연과 직접 접하는 바다에 조성되므로, 자연재해 및 각종 재해 발생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이러한 영향은 양식중인 해양생물에 악영향을 끼쳐 폐사의 원인이 되므로, 해양생물에 대한 인공양식은 쉽지 않은 어업 분야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해양식량 공급분야에서 적지않은 비율을 차지하는 인공양식을 손쉽고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해산물의 수렵 및 양식으로 수입원이 한정되는 어촌의 경제 분야를 확장시켜서 지역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는 일정 체적의 어수조;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와, 어수조의 하단부와 지상로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는 지하로와,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 또는 지하로에 설치되는 제1필터와, 어수조와 지하로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를 구비한 입수로; 및
어수조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를 구비한 출수로;
를 포함하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해수의 자연순환을 가능케 하는 구조를 통해 해양생물의 인공양식을 내륙에서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식하는 해양생물을 다양한 자연재해 및 사고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므로 어획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륙에 인공양식장을 둠으로서, 인공양식장의 관리와 채집 및 해양생물에 대한 양식을 위한 필수수단인 선박을 이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인공양식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내륙 내 인공양식장 주변을 관광지로 개발해서 해당 어촌의 수입원을 다원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배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는 내륙에 설치되는 어수조(100)와, 어수조(100)로의 해수 유입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의 유출을 안내하는 출수로(300)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를 정수하는 정수시스템(400)을 포함할 수 있다.
어수조(100)는 지면을 굴착해서 해수의 수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토사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것으로,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입수로(200)와,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의 이동을 안내하는 출수로(300)의 시공방식과 더불어 공지,공용의 토목공사 방법이 적용된다. 따라서, 어수조(100),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의 시공을 위해 처리되는 토목공사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지상로(210)와,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는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이는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순환을 강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한다.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바다(S) 또는 하구(R) 등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양식되는 해양생물에 의해 상대적으로 오염될 수 있으므로, 바다(S) 또는 하구(R)로의 유출 이전에 정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수시스템(400)이 출수로(300)에 설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1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는 어수조(100)가 내륙에 설치되고, 어수조(100)를 유출입하는 해수의 원활한 순환을 위한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가 지상에 설치된다.
입수로(200)는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어수조(100)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로(210)와 지하로(220)로 구성된다. 지상로(210)의 깊이는 만조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는 깊이로 시공되면 족할 것이나, 인위적으로 조성된 지상로(210)를 관광상품화하기 위해,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이 해수의 유입이 항시 이루어지는 깊이로 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상로(210)의 경우 간조와 만조의 구분없는 해수의 유입을 위해서는 비교적 깊은 깊이로 시공될 것이므로, 지상로(210)의 상면을 덮어서 지상공간을 형성시킨 후 다양한 용도의 인공구조물을 건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상로(210)를 따라 유입된 해수는 지하로(220)를 따라 지하로 유입돼 어수조(100)로 입조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로(220)는 어수조(100)의 하단부에 연결돼 연통해야 하고, 인위적인 펌프질 없이도 어수조(100)의 입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지하로(220)는 경사로로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지하로(220)는 지상로(210)로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에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므로, 해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낼 수 있는 제1필터(f1) 및 제2필터(f2)가 내설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필터(f1, f2)는 지하로(220)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특히 제2필터(f2)는 어수조(100)에 양식되는 해양생물의 탈출을 차단하는 기능을 포함할 것이다.
어수조(100)는 양식 대상인 해양생물을 수용하도록 내륙에 설치된 수조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어수조(100)의 하단부로 출수되면서 상단부에 연결된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는 상승하는 형태로 흘러서 어수조(100) 전체에 대한 원활한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출수로(300)는 어수조(100)의 상단부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설치 위치(높이)는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의 수위가 출수로(300)의 높이에 이르면 자연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지점이면 족하다. 참고로, 출수로(300)를 통해 유출되는 해수는 정수시스템(400)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해수는 정화되어 자연으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수시스템(400)은 어수조(100)로부터 배출되는 해수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내어서, 환경오염에 대한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정화수단이다. 정수시스템(400)에서 정화된 해수는 출수로(300)를 따라 하구(R) 또는 바다(S)로 직접 유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어수조(100)와 출수로(300)의 경계에는 제3필터(f3)가 내설된다. 제3필터(f3)는 해양생물의 양식으로 인해 어수조(100)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들을 걸러서, 상기 이물질들이 출수로(300)를 통해 자연계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어수조(100)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이 출수로(300)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1실시모습에 대한 구동모습을 설명한다.
도 2(a)는 간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적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입수로(200)가 충분한 깊이를 갖도록 시공되어서 간조시에도 해수가 어수조(100)에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입수로(200)의 바닥 높이를 간조시의 해수 높이보다 높게 할 경우에는, 입수로(200)를 통한 해수의 유입이 차단될 것이다.
한편, 출수로(300)의 바닥 높이는 양식을 위해 어수조(100)가 수용해야 할 해수의 양이 고려된 높이로 시공된다. 즉,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도 해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입수로(200)가 시공되면, 간조 또는 만조의 구분없이 어수조(100)로 해수가 유입되므로, 출수로(300)는 어수조(100)로 유입된 해수가 지속해 유출될 수 있는 높이로 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수조(100)에 유입된 해수 높이는 간조 및 만조에 따라 변할 수밖에 없으나,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 출수로(300)로 인해 어수조(100)의 해수 높이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도 2(b)는 만조시, 입수로(200)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의 양이 많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따라 어수조(100) 내 해수의 수위 또한 다소 증가하고, 그 증가량만큼이 출수로(300)를 통해 곧바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2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본수조(110)의 둘레를 따라 확장된 보조수조(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조수조(120)는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경계벽(111)을 매개로 구획된 공간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조시에는 경계벽(111)에 의해 해수가 가두어지면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저수상태로 유지되고,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만조시에는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된 후 출수로(300)로 유출되므로, 본수조(110)에 수용된 해수가 안정된 순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본수조(110)는 경계벽(111)의 높이 범위로 해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본수조(110)에 저수된 해수가 상방으로 유수되는 특성으로 인해서 해수면으로 부유하게 되는 각종 이물질들이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유입되므로, 관리자는 상대적으로 수심이 낮은 보조수조(120)에서 상기 이물질에 대한 수거 및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보조수조(120)의 깊이는 본수조(110)의 깊이보다는 얕되 출수로(300)의 깊이보다는 깊도록 시공되어서, 경계벽(111)을 넘어 보조수조(120)로 이동된 상기 이물질이 보조수조(120)에 상대적으로 안정하게 퇴적되고, 이를 통해 관리자는 보조수조(120)에 퇴적된 상기 이물질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제3필터(f3)는 보조수조(120)와 출수로(300) 사이에 배치되어서, 제3필터(f3)의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입수로(200) 및 출수로(300)에는 각각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입수도어(230) 및 출수도어(310)는 어수조(100)를 중심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입수로(200)와 출수로(300)에서의 역류발생시 이를 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입수도어(230)는 간조시 어수조(100)에 저수된 해수가 입수로(200)를 따라 역류해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출수도어(310)는 만조시 해수가 출수로(300)를 따라 역류해 어수조(100)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의 동작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수도어(230)는 입수로(2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판(231)과, 지지판(23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이동대(232)와, 지지판(231)에 고정되고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대(233)와,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입설되는 문(234)을 포함한다. 참고로,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는 그 구조가 동일,유사하므로, 출수도어(310)의 구조 설명은 입수도어(230)의 구조 설명으로 대신하되, 출수도어(310)는 출수로(300)에 배치됨을 밝히는 바이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입수도어(230)와 출수도어(310)를 '도어'로 통칭한다.
지지판(231)은 입수로(100)의 해수이동 방향으로 길이형성된 레일(231a)을 구비하고, 입수로(200)의 바닥 상면에 고정된다.
이동대(232)는 레일(231a)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해당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바아 형상의 렉(232a)과 가이드(232b)와 렉(232a) 및 가이드(232b)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2저항판(232c, 232c')으로 구성되되,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 배치된다. 결국, 렉(232a)과 가이드(232b)는 전,후단에 각각 위치하는 제1,2저항판(232c, 232c')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렉(232a)의 기어는 가이드(232b)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와 직접 맞닿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면서 해수의 유향에 따라 유력을 받을 수 있도록 되고, 그 대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제1,2저항판(232c, 232c')을 지나는 해수의 와류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결국, 제1,2저항판(232c, 232c')은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반응해 힘을 받아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렉(232a)과 가이드(232b) 또한 레일(231a)의 안내를 받아 일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한다.
고정대(233)는 입설된 문(234)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이동대(232)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구(233a)를 형성한다. 참고로, 고정대(233)는 입수로(200)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문(234)을 일렬로 배치 고정한다.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말단이 이동대(232)의 렉(232a)과 가이드(232b) 사이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향에 따라 렉(232a)이 이동할 때, 렉(232a)과 맞물리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이 연동해 회전하므로,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대(233)에 고정된 문(234)은 피니언형 회전축(234a)의 회전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문(234)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서, 도 5(a)와 같이 개구된 상태에서 유수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5(a)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대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입수로(200)를 따라 정해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해수가 흐를 경우, 상기 해수의 유력에 의해 이동대(232)가 왼쪽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는 렉(232a)이 문(234)의 피니언형 회전축(234a)과 연동해 문(234)을 회전시켜서 이웃하는 문(234) 간의 간격을 최소로 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이웃하는 문(23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면서,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동대(232)의 최대 이동거리는 물리적으로 제한되므로, 입수로(200)를 따라 흐르는 해수의 유력에 무한대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대(232)가 오른쪽 또는 왼쪽의 최 외곽에 위치할 때 이웃하는 문(234)의 간격은 최소 또는 최대가 될 것이다.
가이드(232b)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에 마찰을 주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되 레일(231a)에 의해 이동 방향이 안정적으로 안내되므로, 문(234)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대(232)의 균형적인 이동을 보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다양식 수조의 제3실시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직접 연통하는 본수조(110)와, 본수조(110)의 외면 둘레를 감싸면서 본수조(110)로부터 유출되는 해수를 일시 저수하는 배수조(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배수조(130)는 본수조(110)의 둘레 전체를 감싸면서도 서로 접하지 않도록 이격 배치되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본수조(11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에 의해 배수조(130) 내에서 들어 올려져 고정된다.
이를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조시에는 해수가 본수조(110)에만 저수되고, 만조시에는 해수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수조(110)를 넘쳐 배수조(130)로 유입되면서 본수조(110)의 해수를 순환시킨다. 한편, 배수조(130)로 유입된 해수는 배수장치(140)에 의해 출수로(300)로 강제 배수되는데, 이를 위해 배수장치(140)는 일단이 배수조(130)에 연통하고 타단이 출수로(300)에 연통하는 배수관(141)과, 해수의 배수관(141)을 통한 이송을 강제하는 배수펌프(142)로 구성된다.
도 6에서는 본수조(110)의 상단 일측이 타측에 비해 낮게 도시되고 상기 일측에만 제3필터(f3)가 설치된 것으로 하였지만, 본수조(110) 전체가 상기 일측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고, 제3필터(f3) 또한 본수조(110)의 선단면 둘레를 따라 모두 배치될 수 있다.

Claims (4)

  1. 내륙 지면의 굴착을 통해 조성되는 일정 체적의 어수조(100);
    해수가 유입되도록 일단이 바다(S)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는 지상로(210)와, 어수조(100)의 하단부와 지상로(210)를 상호 연통하도록 경사지게 조성되는 지하로(220)와, 바다(S)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도록 지상로(210) 또는 지하로(220)에 설치되는 제1필터(f1)와, 어수조(100)와 지하로(220)의 연통 위치에 내설되어서 어수조(100)의 해양생물 이탈을 방지하는 제2필터(f2)를 구비한 입수로(200); 및
    어수조(100)의 해수가 유출되도록 어수조(100)에 연통하면서 지면을 따라 조성되고, 상기 해수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해양생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제3필터(f3)를 구비한 출수로(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연통하는 본수조(110); 및
    본수조(110)의 상단 둘레에 형성된 경계벽(111)으로 구획된 공간이고, 만조시 경계벽(111)을 넘은 본수조(110)의 해수를 수용해서 출수로(300)로 안내하는 보조수조(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수조(100)는
    입수로(200)와 연통하는 본수조(110);
    본수조(110)를 이격되게 감싸도록 지면에 조성되고, 만조시 본수조(110)를 넘친 해수를 수용하는 배수조(130); 및
    배수조(130)와 출수로(300)를 연통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배수관(141)과, 해수의 배수관(141) 이동을 강제하는 배수펌프(142)로 된 배수장치(14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에 설치되고,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231a)을 구비한 지지판(231);
    일면에 기어가 형성되고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렉(232a)과, 레일(231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고 렉(232a)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가이드(232b)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렉(232a) 및 가이드(232b)의 전,후단을 각각 연결하면서 해수의 유력을 받는 제1,2저항판(232c, 232c')을 구비한 이동대(232);
    지지판(231)에 안착 고정되고, 이동대(232)가 관통하는 관통구(233a)를 형성한 고정대(233); 및
    렉(232a)과 맞물려 연동하고 고정대(23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니언형 회전축(234a)을 매개로 고정되어서, 해수가 일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입수로(200) 또는 출수로(300)를 개폐하는 문(234);
    으로 이루어진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PCT/KR2011/000168 2010-01-11 2011-01-11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WO201108402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242 2010-01-11
KR1020100002242A KR101170537B1 (ko) 2010-01-11 2010-01-11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4028A2 true WO2011084028A2 (ko) 2011-07-14
WO2011084028A3 WO2011084028A3 (ko) 2011-12-22

Family

ID=4430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168 WO2011084028A2 (ko) 2010-01-11 2011-01-11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0537B1 (ko)
WO (1) WO20110840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1509A (zh) * 2017-12-20 2020-08-04 索夫皮兰股份有限公司 水产养殖场及用于操作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364Y1 (ko) * 2002-05-24 2002-08-13 서경영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JP2002262706A (ja) * 2001-03-13 2002-09-17 Hitachi Zosen Corp 海水等利用水槽
JP4000054B2 (ja) * 2002-12-25 2007-10-31 株式会社細田電機 水中生物の飼育装置
KR200439362Y1 (ko) * 2008-01-10 2008-04-08 하정수 소수력발전기가 구비된 육상 양식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5674A (en) * 1979-07-06 1983-03-11 Syntex Corp Process for the resolution of d,1 2-(6-methoxy-2-naphthyl)propionic acid
KR100748017B1 (ko) * 2006-11-01 2007-08-14 한상관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06A (ja) * 2001-03-13 2002-09-17 Hitachi Zosen Corp 海水等利用水槽
KR200285364Y1 (ko) * 2002-05-24 2002-08-13 서경영 자연산 어류의 유도 및 사육을 위한 양식장 구조
JP4000054B2 (ja) * 2002-12-25 2007-10-31 株式会社細田電機 水中生物の飼育装置
KR200439362Y1 (ko) * 2008-01-10 2008-04-08 하정수 소수력발전기가 구비된 육상 양식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1509A (zh) * 2017-12-20 2020-08-04 索夫皮兰股份有限公司 水产养殖场及用于操作的方法
US11751543B2 (en) 2017-12-20 2023-09-12 Sølvpilen As Fish farm and method for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4028A3 (ko) 2011-12-22
KR101170537B1 (ko) 2012-08-01
KR20110082319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85128B (zh) 一种有效改善河道水质的原位生态净化方法
WO2011084029A2 (ko) 지상에 설치되는 바다양식장
WO2012086970A2 (ko) 새우 양식장 및 그 시공방법
WO2013183906A1 (ko) 기능성 펌프실과 이를 이용한 자연생태 호수 시공법
RU2720096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разведения рыб
WO2016052892A1 (ko)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WO2011084028A2 (ko) 해수의 자연순환이 가능한 내륙 내 바다양식 수조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WO2012086869A1 (ko) 호소용 물순환장치
CN112479386B (zh) 一种污染河道水体微生物净化方法及装置
CN107094693B (zh) 跑道式鱼箱鱼类排泄物收集装置及方法
WO2015088258A1 (ko)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CN101898825A (zh) 修复微污染水体的模拟河道生物反应装置
KR101170535B1 (ko) 부유물 제거의 효율성을 높인 육상의 해양어류 양식구조물
WO2018128416A1 (ko) 보조수원을 이용한 수자원 연계시스템
CN116046474A (zh) 一种农林水系检测用取水装置
CN203159335U (zh) 校园景观水体生态维护系统
WO2015016440A1 (ko) 비점오염제거를 위한 수생식물식재용 성장박스 시스템
CN201986589U (zh) 中层取水防钉螺拦网
CN205116086U (zh) 用于景观河湖的岸边自循环式曝气清淤装置
CN114611846A (zh) 一种城市新区多模式生态补水系统及方法
CN210728768U (zh) 一种沉淀池排表面水装置
CN209890479U (zh) 水下施工浮泥收集装置
CN205821063U (zh) 静态水体污染治理装置
US20230323620A1 (en) System for the cleaning and removal of oily and floating substances from rivers, channels and stream in gen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31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7.11.2012)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31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