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3951A2 -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3951A2
WO2011083951A2 PCT/KR2011/000032 KR2011000032W WO2011083951A2 WO 2011083951 A2 WO2011083951 A2 WO 2011083951A2 KR 2011000032 W KR2011000032 W KR 2011000032W WO 2011083951 A2 WO2011083951 A2 WO 201108395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ntent
multimedia content
control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0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3951A3 (ko
Inventor
채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US13/575,038 priority Critical patent/US9924209B2/en
Publication of WO201108395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3951A2/ko
Publication of WO201108395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395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별도의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하고 더 나아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재생장치를 제어하던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재생장치에서의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시청 방해를 예방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즉 제1단말장치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PTV(Internet Protocol TV), PC TV-out, 인터넷 TV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는, 원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시청하거나 양방향서비스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방송에서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재생장치는, IP기반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수신/재생하는 재생 동작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에 종래에는 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감상하는 시청자가 재생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종래의 리모콘은, 여러 개의 버튼 위주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입력받고, 조작된 제어신호를 적외선을 이용하여 재생장치로 제공하기 때문에, 재생장치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또한, 여러 시청자들이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시청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서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시청자 입장에서는 시청에 방해를 받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다른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재생장치에서의 재생동작과 동기되도록 그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은 소정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1단말장치;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과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말장치; 및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 및 외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입력되는 사용자조작부; 및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기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 장치는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능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제어기능부는,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며,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단말장치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정보 및 상기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능부는,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정보 및 상기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능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관리부; 및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해당 양방향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관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서비스관리부는,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정보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는,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연동부는,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은, 제1단말장치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단말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과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메뉴를 통한 상기 재생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1단말장치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재생 방법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단계; 및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단계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요청단계; 및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 기능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요청단계는, 상기 제1단말장치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정보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말장치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요청단계는,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요청을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은,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단계; 및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정보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 서비스 방법은,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 연동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연동단계는,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2단말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컨텐츠서비스서버를 통해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2단말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직접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여,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단말장치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제2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에 의하면,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제1단말장치의 재생 동작 제어 및 양방향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일반적인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재생장치 즉 제1단말장치에서의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시청 방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장치의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은, 소정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1단말장치(200)와,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말장치(100)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를 포함한다.
제1단말장치(200)는, 외부로부터 특히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컨텐츠 등)를 재생한다. 이러한 제1단말장치(200)는, IPTV(Internet Protocol TV), PC TV-out, 인터넷 TV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구성의 재생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단말장치(200)는, 외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1단말장치(200)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재생 동작에 따른 멀티미디어컨텐츠를 표시하는 형태의 장치일 수 있으며, 별도의 표시장치와 연결되어 재생 동작에 따른 멀티미디어컨텐츠를 표시장치로 제공함으로써 표시장치에서 멀티미디어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하는 형태의 장치일 수도 있을 것이다.
제2단말장치(100)는, 제1단말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또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와의 연동을 통해,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제2단말장치(100)는, 이동통신 기능 및/또는 모바일 인터넷 기능을 내장하는 휴대가 가능한 이동형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송출된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해당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제1단말장치(20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공되는 제어신호 또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제2단말장치(200)을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단말장치(200)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210)와, 통신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220)와, 외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재생부(22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컨텐츠 등)를 수신할 수 있고, 그 밖에도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10)는, IP기반의 통신을 지원하여 IP기반의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컨텐츠 등)를 수신하고 그 밖에 다양한 IP기반의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텐츠재생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러한, 컨텐츠재생부(220)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제어부(230)는, 외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재생부(22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통신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240)는,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예 : 제2단말장치(1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부(240)는, 블루투스 또는 WiF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장치제어부(230)는, 근거리통신부(240)를 통해 연결된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어시도가 요청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 즉 컨텐츠재생부(22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재생, VOD컨텐츠 재생 등)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근거리통신부(240)를 통해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정보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의 방송 채널 정보, 재생 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단말장치(200)에서 VOD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중인 VOD컨텐츠정보, 재생 구간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제2단말장치(100)가 동기화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제어부(230)는, 근거리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되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재생부(22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서 장치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재생부(22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장치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수신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추출/인지하고, 인지된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재생부(220)의 재생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컨텐츠재생부(220)는, 제어신호에 따른 장치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방송 채널을 전환하거나 또는 재생 볼륨을 업/다운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예 : 영화1)을 재생하거나, 또는 재생 중인 VOD컨텐츠(예 : 영화1)의 재생 구간을 이동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예 : 영화2)를 다운로드하는 등의 재생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제2단말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는, 통신인터페이스부(110)와,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입력되는 사용자조작부(130)와,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기능부(120)를 포함한다.
통신인터페이스부(110)는, 이동통신 기능 및/또는 모바일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부이다.
사용자조작부(130)는, 제2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조작을 입력 받는 기능부로써, 다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조작부(13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제2단말장치(100)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화면 상에 터치스크린 UI를 구비한 터치기능의 모바일 제2단말장치일 수 있다.
제어기능부(120)는,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통신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부(140)는,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예 : 제1단말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근거리통신부(140)는, 블루투스 또는 WiF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능부(120)는, 근거리통신부(14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와 연결되고,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입력되면, 제1단말장치(200)로 제어시도를 요청한다.
이에, 제어기능부(120)는, 근거리통신부(14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수신하고 제1단말장치(200)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기능부(120)는,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동기화정보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의 방송 채널 정보, 재생 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단말장치(200)에서 VOD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중인 VOD컨텐츠정보, 재생 구간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제2단말장치(100)가 동기화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되는 가이드정보는, 실시간 방송에 대한 채널/시간 대 별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정보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 및 각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하는 EPG정보와, 카테고리 별 추천컨텐츠리스트정보와, VOD컨텐츠리스트정보와, 각 VOD컨텐츠 별 썸네일정보 및 인기영역정보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제2단말장치(100)가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어기능부(120)는, 현재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채널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EPG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EPG화면을 전환하여 특정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리스트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가이드메뉴에는 방송 채널을 전환하거나 재생 볼륨을 업/다운시키기 위한 항목 역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VOD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어기능부(120)는, 현재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VOD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및 인기영역 및 재생/일시정지/정지/되돌리기 등의 조작항목 및 재생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프로그래스바(Progress bar)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VOD상세화면을 전환하여 VOD컨텐츠리스트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EPG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표시되는 가이드메뉴를 인지하는 사용자가 사용자조작부(130)를 조작을 입력하면,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근거리통신부(14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메뉴(예 : EPG화면)에서 방송 채널 전환이 선택되면, 제어기능부(120)는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선택된 방송 채널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가이드메뉴(예 : VOD상세화면)에서 재생구간 이동이 선택되면, 제어기능부(120)는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선택된 재생구간으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능부(12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근거리통신부(14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에서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를 통신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외부의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제어시도 요청에 대응하여,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가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되면, 제어기능부(120)는,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된다. 그리고,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제어기능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메뉴(예 : EPG화면, VOD상세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가이드메뉴를 인지하는 사용자가 사용자조작부(130)를 조작을 입력하면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통신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것이다.
이에, 제어기능부(12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통신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되고, 이 경우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송출된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해당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할 것이다.
한편, 제어기능부(120)는, 사용자조작부(130)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또는 VOD컨텐츠)에 대응하는 선택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 광고보기, 광고상품주문하기 등)에 따른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하여 수신/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기능부(120)는,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에 따른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하고, 이에 따라 통신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시청평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제2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타 시청자들이 등록한 시청평을 제2단말장치(100)를 통해 시청함으로써, 타 시청자들의 시청 의견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능부(120)는,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즉, 제어기능부(120)는,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입력받고,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통신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관리부(310)와,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양방향데이터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를 포함한다.
컨텐츠제공관리부(310)는, 서비스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컨텐츠)를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제공관리부(310)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제공 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와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정보는 실시간 방송에 대한 채널/시간 대 별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정보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 및 각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하는 EPG정보와, 카테고리 별 추천컨텐츠리스트정보와, VOD컨텐츠리스트정보와, 각 VOD컨텐츠 별 썸네일정보 및 인기영역정보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제2단말장치(100)가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양방향데이터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컨텐츠제공관리부(31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의 관련정보 및 기 등록된 시청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메타정보와,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의 구간 또는 장면 별 광고정보 및 시청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세메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데이터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이에,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또는 VOD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 광고보기, 광고상품주문하기 등)이 요청되면,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광고보기)에 따른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물론,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광고보기)에 따른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제1단말장치(200)로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예 : 시청평)가 제공되면,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토대로 해당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 즉,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평을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컨텐츠메타정보 및/또는 상세메타정보)에 등록 처리함으로써, 해당 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타 시청자들이 제2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등록한 시청 의견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연동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연동부(330)는 소정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요청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제어연동부(33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요청되면, 제1단말장치(200)로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관리부(310)와 연동하여 가이드정보를 획득하고 제1단말장치(200) 특히 장치제어부(230)와 통신하여 제1단말장치(200)의 동기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제어연동부(330)는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연동부(33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연동부(330)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컨텐츠제공관리부(310)로 전달하여 컨텐츠제공관리부(310)로 하여금 제1단말장치(200)로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관리부(310)는 방송서비스 및/또는 VOD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컨텐츠제공서버로써 마련되고, 양방향서비스관리부(320)는 양방향데이터를 관리하고 양방향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서버로써 마련되고, 제어연동부(330)는 제2단말장치(100) 및 제1단말장치(200) 간을 연동 지원하는 연동서버로써 별도 마련되어, 각각의 상호 연동을 통해 전술한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역할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직접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여,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은,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은,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 제어 및 양방향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일반적인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재생장치 즉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시청 방해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장치 즉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동작 제어 및 양방향서비스를 지원하는 제2단말장치(100)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를 고려한다면, 전술한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 최적의 제어 서비스 제공,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시청 방해 예방의 효과가 보다 극대화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의 전체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단말장치(200)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받아(S10),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한다(S20).
한편, 제1단말장치(200)의 제어를 원하는 사용자에 의해 제2단말장치(100)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단말장치(200)에 연결된다(S30).
이에, 제2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입력되면, 제2단말장치(100)는 제1단말장치(200)로 제어시도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어(S35),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한다(S40).
이에, 제2단말장치(200)는 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신호를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S50).
제1단말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S55).
한편 제2단말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선택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광고보기)을 컨텐츠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하고(S60),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70). 물론, 컨텐츠서비스서버(300)는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해당 제1단말장치(200)로도 제공할 수 있다(S80).
이에 제2단말장치(100)에서는, 제공된 앙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5).
한편,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단말장치(200)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소정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받아(S100),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한다(S110).
한편, 제2단말장치(100)에서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입력되면, 제2단말장치(100)는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를 컨텐츠서비스서버(300)에 요청한다(S120).
이에 따라 제2단말장치(100)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제공받고(S125), 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어(S130),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한다(S140).
이에, 제2단말장치(100)는 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하여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S150)
이에, 제1단말장치(200)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S155).
한편, 도 5의 전술한 S60단계~S80단계는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단말장치(2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한다(S2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가이드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어시도가 요청되는 경우(S210),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재생, VOD컨텐츠 재생 등)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20).
여기서, 동기화정보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현재의 방송 채널 정보, 재생 중인 실시간 방송 컨텐츠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단말장치(200)에서 VOD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재생 중인 VOD컨텐츠정보, 재생 구간 정보, 재생 볼륨 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제2단말장치(100)가 동기화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연결된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30),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S2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S210단계에서 제어시도가 요청되지 않으면 외부 특히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공/수신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제어신호를 추출/인지함으로써,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판단 결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을 제어한다(S260).
한편, 도 7에서는 S210단계의 판단 후 S250단계를 수행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S220단계 이후에,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230단계와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S250단계를 병렬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직접 제공되는 제어신호 또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제공되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 채널을 전환하거나 또는 재생 볼륨을 업/다운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예 : 영화1)을 재생하거나, 또는 재생 중인 VOD컨텐츠(예 : 영화1)의 재생 구간을 이동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예 : 영화2)를 다운로드하는 등의 재생 동작을 수행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단말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를 요청한다(S3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 요청에 따른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한다(S31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단말장치(200)와 연결되면, S300단계에서 제1단말장치(200)로 제어시도를 요청할 수 있고, S310단계에서 제어시도 요청에 따라 제1단말장치(2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수신하고 제1단말장치(200)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S300단계에서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를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고, S310단계에서 제어시도 요청에 따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S320).
여기서 가이드정보는, 실시간 방송에 대한 채널/시간 대 별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정보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 및 각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하는 EPG정보와, 카테고리 별 추천컨텐츠리스트정보와, VOD컨텐츠리스트정보와, 각 VOD컨텐츠 별 썸네일정보 및 인기영역정보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제2단말장치(100)가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현재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방송 채널 및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EPG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EPG화면을 전환하여 특정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추천컨텐츠리스트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가이드메뉴에는 방송 채널을 전환하거나 재생 볼륨을 업/다운시키기 위한 항목 역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VOD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가이드정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현재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 중인 VOD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및 인기영역 및 재생/일시정지/정지/되돌리기 등의 조작항목 및 재생구간을 이동하기 위한 프로그래스바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VOD상세화면을 전환하여 VOD컨텐츠리스트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VOD컨텐츠의 상세정보를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하거나 또는 EPG화면을 가이드메뉴로써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표시되는 가이드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330).
예를 들어, 가이드메뉴(예 : EPG화면)에서 방송 채널 전환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선택된 방송 채널로 전환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가이드메뉴(예 : VOD상세화면)에서 재생구간 이동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여 선택된 재생구간으로 이동하도록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S330단계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는 제2단말장치(100)와 제1단말장치(200) 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S330단계에서 송출된 제어신호는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되어, 컨텐츠서비스서버(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송출된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해당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S340),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또는 VOD컨텐츠)에 대응하는 선택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 광고보기, 광고상품주문하기 등)에 따른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하여 수신/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을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요청하고(S350), 이에 따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양방향데이터(예 : 시청평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360). 이에, 제2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타 시청자들이 등록한 시청평을 제2단말장치(100)를 통해 시청함으로써, 타 시청자들의 시청 의견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단말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이 선택되면,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입력받고(S370),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S38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VOD컨텐츠)를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한다(S400).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멀티미디어컨텐츠 제공 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와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정보는 실시간 방송에 대한 채널/시간 대 별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정보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 정보 및 각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상세정보 등을 포함하는 EPG정보와, 카테고리 별 추천컨텐츠리스트정보와, VOD컨텐츠리스트정보와, 각 VOD컨텐츠 별 썸네일정보 및 인기영역정보 등을 포함하는 VOD상세정보 등을 포함함으로써,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제2단말장치(100)가 표시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외부의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제어시도 요청이 수신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42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한 제어시도가 요청되면, 제1단말장치(200)로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의 가이드정보를 획득하고, 제1단말장치(200)와 통신하여 제1단말장치(200)의 동기화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30),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신호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4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S450),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 요청에 따른 해당 양방향데이터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460).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의 관련정보 및 기 등록된 시청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메타정보와,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의 구간 또는 장면 별 광고정보 및 시청평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세메타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양방향데이터를 저장/관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 또는 VOD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보기, 광고보기, 광고상품주문하기 등)이 요청되면,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광고보기)에 따른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제2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요청된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광고보기)에 따른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예 : 광고정보)를 제1단말장치(200)로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예 : 시청평)가 수신되면(S470), 입력정보(예 : 시청평)를 토대로 해당 양방향서비스 기능(예 : 시청평등록)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48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서버(300)의 서비스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평을 해당 멀티미디어컨텐츠(예 : 실시간 방송 컨텐츠-스포츠중계)에 대응하는 양방향데이터(컨텐츠메타정보 및/또는 상세메타정보)에 등록 처리함으로써, 해당 스포츠중계에 대응하여 타 시청자들이 제2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등록한 시청 의견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은,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컨텐츠서비스서버(300)를 통해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2단말장치(1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직접 제1단말장치(200)로 제공하여,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제1단말장치(200)의 재생 동작을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은, 제1단말장치(200)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은,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100)를 이용하여 재생 동작 제어 및 양방향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일반적인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또한 재생장치 즉 제1단말장치(200)에서의 양방향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시청 방해를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통신인터페이스를 갖는 제2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제1단말장치의 재생 동작 제어 및 양방향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일반적인 TV리모콘 이용의 한계를 극복하고 최적의 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을 적용할 경우, 서비스 구축의 비용 부담 없이 재생장치 제어 환경 및 시청 환경 개선,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제2단말장치, 제1단말장치, 컨텐츠서비스서버, 서비스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3)

  1. 소정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제1단말장치;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며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과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2단말장치; 및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2.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 및
    외부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재생부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입력되는 사용자조작부; 및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기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소정의 근거리 내에 위치한 장치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능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능부는,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단말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며,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단말장치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정보 및 상기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능부는,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리모콘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가이드정보 및 상기 동기화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능부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와 관련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수신/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관리부; 및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해당 양방향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서비스관리부는,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정보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연동부는,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14. 제1단말장치가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제2단말장치가 상기 제1단말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과 관련되는 가이드메뉴를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가이드메뉴를 통한 상기 재생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제1단말장치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방법.
  15.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단계; 및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제어단계는,
    근거리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텐츠 재생단계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재생 방법.
  16.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를 요청하는 제어요청단계; 및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동기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제어 기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청단계는,
    상기 제1단말장치로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정보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단말장치 또는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가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청단계는,
    상기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요청을 외부의 소정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서비스서버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입력정보를 해당 컨텐츠서비스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제어 방법.
  20.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컨텐츠를 외부의 소정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단계; 및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컨텐츠와 관련되는 소정의 양방향서비스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멀티미디어컨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을 통해 생성되는 양방향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양방향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의 서비스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서비스 제공단계는,
    상기 제2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소정 입력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입력정보를 토대로 상기 양방향서비스 기능에 따른 해당 서비스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의 서비스 방법.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외부의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응하는 제어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제어 연동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서비스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연동단계는,
    소정 제2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제1단말장치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면, 상기 제1단말장치에서의 멀티미디어컨텐츠 재생 동작에 대응되는 동기화정보 및 가이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2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서버 서비스 방법.
PCT/KR2011/000032 2010-01-08 2011-01-05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WO2011083951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75,038 US9924209B2 (en) 2010-01-08 2011-01-05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using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742A KR101278721B1 (ko) 2010-01-08 2010-01-08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KR10-2010-0001742 2010-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51A2 true WO2011083951A2 (ko) 2011-07-14
WO2011083951A3 WO2011083951A3 (ko) 2011-11-03

Family

ID=4430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032 WO2011083951A2 (ko) 2010-01-08 2011-01-05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4209B2 (ko)
KR (1) KR101278721B1 (ko)
WO (1) WO20110839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879B1 (ko) * 2010-08-24 2013-11-27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459551B1 (ko) 2011-07-05 2014-11-10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52724B1 (ko) 2012-07-31 2019-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엔-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8966521B2 (en) * 2013-03-14 2015-02-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supplemental media on a second screen
US10536741B1 (en) * 2018-10-19 2020-01-14 Philo, Inc. Synchronizing internet (“over the top”) video streams for simultaneous feedbac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678A (ko) * 2004-12-18 2006-06-22 주식회사 팬택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주변장치제어방법,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
KR20070001482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20080043493A (ko) * 2006-11-14 2008-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가능한 방송수신기 및 그의 콘텐츠 제어방법,원격진단방법
KR20090017795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4926B1 (en) * 1999-09-03 2004-08-1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Personal television channel system
FI20001570A (fi) * 2000-06-30 2001-12-31 Nokia Corp Synkronoitu palveluntarjonta tietoliikenneverkossa
KR100837777B1 (ko) * 2002-04-02 2008-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US7522675B2 (en) * 2002-12-30 2009-04-21 Motorola, Inc. Digital content preview generation and distribution among peer devices
US7873983B2 (en) * 2004-11-23 2011-01-18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xperiential data stream in a social space
US20060136753A1 (en) * 2004-12-16 2006-06-22 Shoei-Lai Chen Method of power on/off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
KR20060068142A (ko)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텔레비젼 포털 서비스시스템
KR20090064559A (ko) * 2006-10-16 2009-06-19 (주)제이슨알앤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9678A (ko) * 2004-12-18 2006-06-22 주식회사 팬택 주변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주변장치제어방법, 콘텐츠제공시스템 및 콘텐츠제공방법
KR20070001482A (ko) * 2005-06-29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KR20080043493A (ko) * 2006-11-14 2008-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가능한 방송수신기 및 그의 콘텐츠 제어방법,원격진단방법
KR20090017795A (ko) * 2007-08-16 200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51A3 (ko) 2011-11-03
US20130047183A1 (en) 2013-02-21
KR101278721B1 (ko) 2013-06-25
KR20110081537A (ko) 2011-07-14
US9924209B2 (en)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1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1043597A2 (ko) Iptv 수신기 및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105295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service in network based on content use history
WO2012176993A2 (en) Method for displaying program informa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thereof
WO2013047948A1 (ko) 방송 콘텐츠와 연관된 콘텐츠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WO2011132984A2 (ko) 서로 다른 소스에 의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이전 시청 리스트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080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associated with broadcasting
WO2011059157A1 (en) Provin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network television
WO2011155703A2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WO2012026750A2 (ko)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
WO2017142133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0071269A1 (en) Request signal of an image program according to specific input sources based on the received list to the external display devices
WO2011083951A2 (ko)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WO201307374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ing the same
WO2019117451A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WO201613713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690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917247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88568A1 (en)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scrap fun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7047848A1 (ko) 다중화 특성을 이용한 재핑 광고 시스템
WO2013022177A1 (en) Imag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WO20210294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34935A1 (ko) 맞춤 광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26025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WO202218186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31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75038

Country of ref document: US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31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