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34431A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34431A1
WO2023234431A1 PCT/KR2022/007676 KR2022007676W WO2023234431A1 WO 2023234431 A1 WO2023234431 A1 WO 2023234431A1 KR 2022007676 W KR2022007676 W KR 2022007676W WO 2023234431 A1 WO2023234431 A1 WO 20232344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ent
nudge
display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76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설성운
안오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76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34431A1/ko
Publication of WO20232344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344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한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가 제1 컨텐츠이면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1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이 갖춰진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에 노출되는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증가하고 그에 대한 구매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에 노출된 아이템에 대해 인터넷과 같은 별도의 매체나 과정을 통해서 정보를 접하고 구매하여야 한다면,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해 광고 넛지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해 적합한 광고 넛지를 적절한 타이밍에 제공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컨텐츠의 특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적시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캡쳐 자원의 가용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컨텐츠의 특성에 적합한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한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가 제1 컨텐츠이면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1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넛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해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특정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컨텐츠의 특성에 적합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캡쳐 자원의 무관하게 컨텐츠의 특성에 적합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어,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넛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노출하여 광고주의 기대에 부응하고, 사용자에게는 컨텐츠 시청 중에 다양한 광고를 편리하게 접하여 이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7은 상기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넛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와 10은 상기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넛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가 제공 중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가 제공 중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Video on Deman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적합한 넛지 서비스 데이터(nudge service data)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기술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되는 넛지 서비스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와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광고를 위한 브랜드명 등이 노출되지 않는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내용과는 관련성이 낮은 넛지 서비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브랜드명 등이 노출될 수 있으며, 보다 광고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내용 또는 해당 컨텐츠 내 특정 장면이나 특정 아이템 등과 연관된 넛지 서비스 데이터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상기한 정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요청이나 설정 등에 따라 컨텐츠 내에서 출력 시점이 특정될 수도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점은 해당 컨텐츠의 재생 중이면 언제든지 임의로 결정될 수 있고 특정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도 11과 같이) 또는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도 12와 같이)를 재생 중인 컨텐츠 화면의 일 영역상에 노출(즉,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노출 위치는 도 11 또는 12에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으며, 가장 광고 효과가 높은 위치가 임의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 및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모두 재생 중인 컨텐츠 화면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와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고, 시간 차이를 두고 서로 다른 재생 시점에 각각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에서, 동시에 일반 및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각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서로 구분되도록 출력 영역이 달라지거나 특히,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와는 차별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 및/또는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각각 반드시 1개일 필요는 없으며,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재생 중인 컨텐츠의 특성(예를 들어, 종류, 속성 등)에 따라 일반 또는 스폰서 넛지 서비스를 구분하여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여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가 VOD 영상인 경우에는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고, 라이브tv와 같은 경우에는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도 5와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처리부(500)와 메모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처리부(500)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러(170)나 메인보드(main board)에 대응되거나 그 일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메모리(600)는 도 1에 도시된 메모리(140)이거나 별개의 메모리 또는 원격에 위치한 저장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단지 서비스(Service)나 라이브러리(Library)라고 명명하여 설명하더라도 그것은 해당 서비스나 라이브러리를 담당 또는 관리하는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6과 7은 상기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넛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1110)가 제공 중인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처리부(500)는 www 서비스(510), 캡쳐 서비스(520),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5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상 서비스, 매니저 등으로 명명하셔 설명하더라도 그것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메모리(6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즉, 처리부(500)는 하나의 모듈로 통합된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www 서비스(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면 캡쳐 등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www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라이브러리를 가질 수 있으며, 넛지 제공과 관련하여 연산 및 판단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www 서비스(5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예시일 뿐,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5에는 www 서비스(510) 외에도 구동 가능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native application)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도 포함될 수 있다.
캡쳐 서비스(520)는 www 서비스(510)를 포함하여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다른 서비스들로부터 캡쳐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530)는 캡쳐 라이브러리 모듈(WebOS captureLib)(530)에 포함되어, 상기 캡쳐 서비스(520)를 통해 캡쳐 자원 할당을 원하는 다양한 캡쳐 요청에 대한 우선순위 체크(priority_check)에 기반하여 상기 캡쳐 자원에 대한 할당 등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메모리(600)는 처리부(500)에서 필요한 또는 처리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넛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S101), www 서비스(510)는 캡쳐 서비스(520)로 화면 캡쳐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03).
이 때, 상기 www 서비스(510)는 상기 화면 캡쳐 요청을 통해서 JPG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상기 JPG 포맷은 일 실시 예일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컨텐츠 재생 명령은 컨텐츠와 관련된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 명령으로 예를 들어, 파워-온(power-on) 요청, 입력 전환(input change) 요청 및 채널 변경(channel change) 요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에 볼륨 제어(volume control) 입력과 같이 컨텐츠와 무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대한 제어 명령은 제외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53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 등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105).
캡쳐 서비스(520)는 상기 www 서비스(510)의 화면 캡쳐 요청에 따른 동작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리소스 매니저(530)를 통해서 우선순위에 따른 자원 할당 가부에 대해 체크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530)는 상기 캡쳐 서비스(520)를 통한 화면 캡쳐 요청에 대하여 자원 할당 가부(또는 우선순위)에 대해 리턴(return)할 수 있다.
캡쳐 서비스(520) 또는 리소스 매니저(530)는 다른 캡쳐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7).
상기 리소스 매니저(530)는 캡쳐 자원 할당 요청이 복수 개이면, 각 요청에 대한 캡쳐 자원 할당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해당 캡쳐 자원의 할당 가부를 결정하여 리턴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에 대한 결정은 결국 상기 S103에서 www 서비스(510)의 요청에 따른 재생 중인 화면의 캡쳐가 수행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리소스 매니저(5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서비스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ACR(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서비스 등으로부터 화면 캡쳐 요청에 따른 캡쳐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캡쳐 서비스(520)는 www 서비스(510)에서 화면 캡쳐 요청이 수신되면, 리소스 매니저(530)를 통해 우선순위 판단 결과 다른 캡쳐 요청 등이 수신되지 않았으면, 캡쳐 자원을 할당 받아 상기 요청에 따른 재생 중 화면 캡쳐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캡쳐 서비스(520) 또는 라이브러리 모듈에서는 만약 다른 캡쳐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요청에 따른 캡쳐 동작을 수행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109).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캡쳐 서비스(520)를 거쳐 www 서비스(510)로 전달될 수 있다(S111).
www 서비스(510)는 전달받은 캡쳐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연산을 하고, 연산 결과값에 기초하여 재생 중 컨텐츠에 대한 장면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컨텐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3). 상기 분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서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처리부(500)는 상기 S113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 정보가 획득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해 미리 결정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115).
이 때, 상기 넛지 서비스의 출력(노출) 시점은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시간 정보가 참조하거나 미리 정의된 이벤트나 정보의 검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처리부(500)는 상기 넛지 서비스의 출력 시점을 식별하기 위해서 계속하여 전술한 www 서비스(510), 캡쳐 서비스(520) 및 리소스 매니저(530) 사이의 동작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캡쳐 이미지 파일을 획득하고 분석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7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캡쳐 서비스(520)는 www 서비스(510)로부터 수신한 화면 캡쳐 요청에 따라 리소스 매니저(530)를 통해 확인한 결과, 한정된 캡쳐 자원에 대한 복수의 캡쳐 요청이 있거나 캡쳐 요청이 중복되고, 다른 캡쳐 요청의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높아 캡쳐 자원의 할당이 어려운 경우, www 서비스(510)로 요청된 화면 캡쳐의 실패와 같이 요청된 화면 캡쳐 불가능에 대한 사실을 리턴하고, 화면 캡쳐에 대한 요청을 재수행할 것을 리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www 서비스(510)은 라이브TV 등이 실행되면, 라이브러리(libHash)를 초기화한 후에 타이머(Timer)를 등록(register)할 수 있다. 이 때, 등록되는 타이머에 따라 스레드(thread)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머는 예를 들어, 인터벌(interval)이 120초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이브러리는 www 서비스(510)에 의해 타이머가 등록되면, 서버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오프닝(opening) 영상 해시(hash)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된 오프닝 영상 해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외부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업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오프닝이라 함은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에 대한 실제 장면이 제공 전 사전 출력되는 로고(Logo) 등과 같이 컨텐츠 제공업자(CP: Contents Provider)나 서비스 제공업자(SP: Service Provider)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닝 데이터는 해당 컨텐츠가 방송사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등 라이브 방송 컨텐츠가 아닌 VOD와 같이 다른 경로를 통해 동일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이를 판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즉, 라이브 방송과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iTV와 같은 각종 컨텐츠 제공자(CP) 앱에서 VOD로 재생 시 동일 컨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판별할 수 있는 피쳐(feature)로 오프닝 영상을 선정하고 해당 씬(scene)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에서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한 오프닝 영상 해시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면, www 서비스(510)에서 상기 라이브러리에 기등록한 타이머가 시작될 수 있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벌 즉, 120초 간격으로 해당 과정들이 순차 또는 그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라이브러리는 www 서비스(510)로 화면 캡쳐 요청을 하고, www 서비스(510)는 전술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쳐 서비스(520)와 리소스 매니저(530)를 통해 JPG 포맷의 화면 캡쳐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라이브러리로 리턴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상기 www 서비스(510)로부터 리턴된 JPG 포맷의 화면 캡쳐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dhash 연산을 수행하여 해시 데이터를 획득하여, 획득한 해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라이브러리로부터 수신한 해시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상기 라이브러리로 리턴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라이브러리에서 연산한 dhash 데이터를 수신하여 서버 DB의 데이터와 비교하고, 장면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메타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러리로 리턴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상기 서버로부터 리턴된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론치(nudge launch)를 www 서비스(510)에 요청할 수 있다.
www 서비스(510)는 상기 라이브러리의 넛지 서비스 데이터 론치 요청에 대하여 판단하여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 여부 즉, 넛지 블록(block nudge) 또는 넛지 출력(output nudge)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타이머에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20초) 단위로 www 서비스(510)는 넛지의 출력 여부를 계속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를 들어, 글러벌 넛지 정책(Global nudge policy)에 따라 넛지가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글러벌 넛지 정책에 따르면 예컨대, 10분 내에 넛지를 재출력하지 못하도록 하는바, 10분 내에 넛지가 출력된 경우에는 넛지 출력 등을 위한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도 7의 최하단과 같이, 매 120초 단위로 넛지 출력 여부를 판단한 결과, www 서비스(510)는 넛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www 서비스(510), 라이브러리 및 서버 사이에는 넛지를 출력한 이후에도 계속하여 상기 라이브러리에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종료 시점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컨텐츠에 할당된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도 5 내지 7의 내용이 예컨대, 일반 넛지의 출력을 위한 실시 예로 본다면, 이하 도 8 내지 10은 스폰서 넛지의 출력을 위한 일 실시 예로 볼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다. 도 9와 10은 상기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넛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넛지 서비스가 제공 중인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도 8 내지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5 내지 7과 중복되는 설명은 특별히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내용을 참조하고,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7의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www 서비스(510)는 예컨대, 캡쳐 서비스(520)로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 캡쳐를 요청하고, 리소스 매니저의 캡쳐 자원 할당 우선순위에 따라 결정된 캡쳐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이었다. 다만, 이 경우 만약 캡쳐 서비스(520)로 www 서비스(510)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로부터 화면 캡쳐 요청이 전송되면, 넛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상기 www 서비스(510)에서 요청한 화면 캡쳐 요청의 우선순위가 늦어 캡쳐 자원의 할당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을 참조하면, www 서비스(510)는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타이머에 따라 해당 타이밍의 캡쳐는 건너뛰고 다음 타이밍의 캡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다음 타이밍의 캡쳐 요청 역시 반드시 캡쳐 자원을 할당 받아 캡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재생되는 컨텐츠의 장면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적절한 타이밍에 획득할 수 없어 넛지 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더불어, 후술하는 HDMI 입력을 통한 컨텐츠가 VOD인 경우에는 일반 넛지가 아니라 스폰서 넛지를 출력하여야 하는데, 도 5 내지 7의 방식에 따르면 일반 넛지와 스폰서 넛지 둘 중 어떤 넛지를 제공할지 등에 대해 제대로 결정할 수 없어 문제가 될 수 있다.
더불어, 도 8 내지 10에서 언급되는 예를 들어, HDMI 입력에 따른 컨텐츠의 경우에는 오프닝 데이터를 통해 쉽게 해당 컨텐츠의 특성(예를 들어, 종류나 속성 등)을 식별할 수 있으나, 도 5 내지 7에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타이머로는 상기 오프닝 데이터에 대한 화면 캡쳐 데이터를 얻고 해당 컨텐츠의 종류가 VOD 컨텐츠이므로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 내지 10에서는, ACR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일 실시 예로 하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ACR 서비스는 예컨대, 초당 1 내지 10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ACR 서비스는 초당 5 내지 8 프레임을 캡쳐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수치는 임의로 변경될 수 있는바, 본 개시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ACR 서비스에서 예를 들어, 초당 1 프레임 이상의 프레임에 대해 캡쳐를 하고, 본 개시에 따라 www 서비스(510)에서 라이브러리를 초기화한 후에 타이머를 등록할 때, 등록되는 타이머를 상기 1초 이상으로 설정하면, 문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서 상기 라이브러리에 등록되는 타이머는 컨텐츠의 오프닝 구간으로 볼 수 있는 대략 1 내지 10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초로 간주하여 그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편의상 오프닝 구간을 컨텐츠 재생 시작 시점으로부터 5초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처리부(500)와 메모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도 5와 달리 상기 처리부(500)는 ACR 처리모듈(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ACR 서비스(540)는 광고 컨텐츠 인식을 위해서 예를 들어, 초당 5 내지 8 프레임 단위로 계속하여 화면을 캡쳐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상기와 같은 ACR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한다. 다만, 상기 ACR 서비스(540)는 후술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그 이용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고, 컨텐츠의 종류에 무관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처리부(500)는 ACR 서비스(540)의 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캡쳐 화면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500)는 현재 시청 중인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처리부(500)는 상기 확인한 현재 시청 중인 입력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확인한 현재 시청 중인 입력이 라이브TV인 경우(VOD 재생이 가능한 예를 들어, iTV Hub App 등도 마찬가지이다.)에는 예컨대, 전술한 도 5 내지 7에 기술된 바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즉, www 서비스(510)는 캡쳐 서비스(520)와 리소스 매니저(530)를 거쳐 JPG 포맷의 화면 캡쳐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여 넛지 서비스 제공에 관해 판단하고, 결정된 시점에 스폰서 넛지가 아니라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도 11과 같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확인한 현재 시청 중인 입력이 라이브TV가 아닌 HDMI 입력인 경우에는, 도 5 내지 7과 달리 ACR 서비스(54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www 서비스(510)는 ACR 서비스(540)로 현재 시청 중인 화면에 대해 캡쳐를 요청하거나 캡쳐한 이미지 파일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은 YUV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ACR 서비스(540)는 www 서비스(510)로부터 이미지 파일 생성(또는 캡쳐) 요청받은 시점의 이미지 프레임을 활용하여 YUV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www 서비스(510)로 리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현재 시청 중인 입력이 HDMI인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캡쳐 서비스(520)로 화면 캡쳐 요청을 하는 경우에 리소스 매니저(530)에서 우선순위를 판단한 결과, 상기 화면 캡쳐 요청에도 불구하고 해당 요청이 무시(ignore)되거나 실패(fail)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ACR 서비스(540)는 리소스 매니저(530)를 통해서 미리 캡쳐 자원을 할당받아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하여 화면을 캡쳐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개시에서 www 서비스(510)는 캡쳐 서비스(520)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JPG 포맷의 화면 캡쳐 이미지 파일을 획득할 수 있으나, ACR 서비스(540) 경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YUV 포맷의 화면 캡쳐 이미지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 경우에, www 서비스(510)에서 연산 과정이 상이할 수 있다.
www 서비스(510)는 ACR 서비스(540)로부터 리턴된 YUV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를 dhash 연산을 수행하여,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가 라이브TV인지 아니면 VOD 영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www 서비스(510)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라이브TV인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예를 들어, “장만월(배역명)의 착장을 확인하시겠어요?”, “Click to see Geoff's outfit!” 등)를 출력하고, VOD 영상인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예를 들어, “제임스 하든이 착용한 나이키 농구화를 JD 스포츠에서 확인하시겠어요?”, “Lace up like Steph with Under Armour!”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와 10을 참조하여 특히, www 서비스(510)에서 ACR 서비스(540)를 이용하는 것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www 서비스(510)는 ACR 서비스(540)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S201).
www 서비스(510)는 입력이 HDMI 인지 판단하여(S203), 만약 HDMI가 아닌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의 S103 이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www 서비스(510)는 입력이 HDMI로 판단되면, S201 단계에서 상태 체크한 ACR 서비스(540)로 이미지 파일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205).
한편, www 서비스(510)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수신된 경우에만 S201 단계와 S203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ACR 서비스(540)는 상기 www 서비스(510)의 요청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S207).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파일은 www 서비스(510)로 전송될 수 있다.
www 서비스(510)는 상기 ACR 서비스(540)로부터 요청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수신되면,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연산을 수행하고, 상기 연산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S209).
www 서비스(510)는 상기 식별 컨텐츠의 종류가 VOD 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제2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3).
그러나 www 서비스(510)는 상기 식별 컨텐츠의 종류가 VOD 영상이면, 도 12와 같이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5).
도 10을 참조하면,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www 서비스(510)와 라이브러리 및 서버가 도시되었다. 각각은 전술한 도 7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편의상 도 10은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가 아니라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플로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www 서비스(510)은 입력 변경 명령(예를 들어, HDMI 입력으로)이 실행되면, 라이브러리(libHash)를 초기화하여 현재 타이머(예를 들어, 인터벌이 120초 단위)를 제거하여 기생성된 스레드를 해제(release)할 수 있다.
www 서비스(510)는 라이브러리에 새로운 타이머를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등록되는 새로운 타이머의 인터벌은 예를 들어, 5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이브러리는 상기 www 서비스(510)에 의해 새로운 타이머가 등록되면, 그에 따른 스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서버로 오프닝 영상 해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요청한 오프닝 영상 해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는 상기 www 서비스(510)에 의해 새로운 타이머가 등록되면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www 서비스(510)는 이후에는 예를 들어, 5초 단위의 인터벌로 계속하여 라이브러리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설정된 타이머에 따라 5초 인터벌로 www 서비스(510)에 캡쳐 요청을 하고, www 서비스(510) 상기 라이브러리의 요청에 대응하여 도 8과 9에서 전술한 바에 따라 ACR 서비스(540)를 통해 획득된 YUV 포맷이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라이브러리로 리턴할 수 있다.
라이브러리는 www 서비스(510)로부터 요청에 따라 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가 리턴되면, 기다운로드 받은 오프닝 영상 해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스폰서 로고가 상기 리턴된 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스폰서 로고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결국 캡쳐의 대상이 된 재생 중 컨텐츠에 대하여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할지 말지 즉, 해당 컨텐츠가 VOD 영상인지 판단하기 위함이다.
결국 라이브러리에서 컨텐츠의 종류를 판단한 결과 VOD 영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일반 넛지가 아니라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 시점과 관련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www 서비스(510)는 24 틱(tick) 동안 라이브러리와 캡쳐 요청 및 ACR 서비스(540)를 통해 획득한 화면 캡쳐 이미지 데이터 리턴을 수행하면서, 어느 시점에 스폰서 로고가 출력되는지 즉, 스폰서 넛지 서비스를 언제 출력할 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ㅅ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해당 캡쳐 화면 이미지 데이터 내에 스폰서 로고가 포함되었는지 여부 판단 또는 식별된 스폰서 로고가 해당 스폰서 로고가 맞는지 여부는 예컨대, 서버로 판단 요청 및 리턴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에서 해당 캡쳐 이미지 데이터 내에 스폰서 로고가 포함되었다고 판단 또는 해당 캡쳐 이미지 데이터 내 로고가 스폰서 로고가 맞다는 값이 리턴되면,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서버로부터 상기 값이 라이브러리를 거쳐 www 서비스(510)에 수신되면, www 서비스(510)는 넛지 서비스를 론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의 출력 시점 판단과 관련하여, 24틱은 일 실시 예일뿐, 본 개시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에서, 1틱은 5초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컨텐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넛지 서비스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5)

  1. 메모리;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한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가 제1 컨텐츠이면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1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 기설정된 제1 타이머를 제거하여 제1 스레드를 해제하고, 제2 타이머를 설정하여 제2 스레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서버로 오프닝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오프닝 영상에 대한 데이터를 다운로드받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상기 설정한 제2 타이머에 기초하여 제2 서비스에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 생성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상기 제2 서비스로부터 전송된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대해 dhash 연산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대해 dhash 연산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기저장하고 있는 hash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식별 결과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가 제2 컨텐츠이면 제2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상기 제2 서비스에서 전송된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 내 로고 데이터를 식별하여 상기 컨텐츠의 종류를 식별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에서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가 식별되면, 소정 주기로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제1 또는 제2 포맷의 캡처 이미지를 획득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의 라이브러리를 초기화하고 제1 타이머를 설정하고 소정 주기의 제3 스레드를 생성하고, 서버로 오프닝 영상의 해시 데이터를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고, 제2 포맷의 캡처 데이터이 획득되면, 서버로 해시 데이터를 전송하여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2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현재 재생 중인 화면의 일 영역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스폰서 넛지 서비스 데이터이고, 상기 제2 넛지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무관하게 설정된 일반 넛지 서비스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은,
    파워-온 요청, 입력 전환 요청 및 채널 변경 요청 중 어느 하나에 대한 명령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맷의 이미지 파일은 YUV 이미지 데이터이고, 상기 제2 포맷의 이미지 파일은 JPG 이미지 데이터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종류가 제1 컨텐츠는 VOD 영상이고, 상기 제2 컨텐츠는 라이브tv 영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컨텐츠 재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에 대해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특정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넛지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의 화면 일 영역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넛지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22/007676 2022-05-30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23443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676 WO2023234431A1 (ko) 2022-05-30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7676 WO2023234431A1 (ko) 2022-05-30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4431A1 true WO2023234431A1 (ko) 2023-12-07

Family

ID=8902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7676 WO2023234431A1 (ko) 2022-05-30 2022-05-3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323443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047A (ko) * 2013-04-29 2014-11-07 야후! 인크. 제안된 온라인 광고를 기존의 광고 창작물로부터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032B1 (ko) * 2013-10-16 2015-05-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서치 커서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200036092A (ko) * 2018-09-2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2152B1 (ko) * 2014-05-08 2021-03-24 구글 엘엘씨 광고로서 라이브 스트림의 서빙
KR102244941B1 (ko) * 2019-12-30 2021-04-27 제이티비씨미디어텍 주식회사 생방송 광고방법 및 광고 송출장치, 광고 대체장치 및 광고 송출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047A (ko) * 2013-04-29 2014-11-07 야후! 인크. 제안된 온라인 광고를 기존의 광고 창작물로부터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032B1 (ko) * 2013-10-16 2015-05-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서치 커서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102232152B1 (ko) * 2014-05-08 2021-03-24 구글 엘엘씨 광고로서 라이브 스트림의 서빙
KR20200036092A (ko) * 2018-09-2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4941B1 (ko) * 2019-12-30 2021-04-27 제이티비씨미디어텍 주식회사 생방송 광고방법 및 광고 송출장치, 광고 대체장치 및 광고 송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2151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5194697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913543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917247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5151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5186857A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190094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3569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34431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1029453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102946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230923A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012227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22322A1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18186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4959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9555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20002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26025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WO2021261874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82547A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85820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14739A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074920A1 (ko) 콘텐츠 제공자 추천 서버 및 방법
WO2023191122A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449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