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52865A1 -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52865A1
WO2011052865A1 PCT/KR2010/002148 KR2010002148W WO2011052865A1 WO 2011052865 A1 WO2011052865 A1 WO 2011052865A1 KR 2010002148 W KR2010002148 W KR 2010002148W WO 2011052865 A1 WO2011052865 A1 WO 20110528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hot melt
sheet
nanofiber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21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주) 에프티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프티이앤이 filed Critical (주) 에프티이앤이
Publication of WO20110528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528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01D39/16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sintered or 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68The layers being joined by heat or melt-bond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edium, and relates to a nanofiber filt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he filter is a filtration device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fluid, and in recent years, the use of nanofiber filter media using nanofibers has been proposed to increase filtration efficiency.
  • Conventional nanofiber filter media has a bonding structure in which nanofibers are focused on a substrate in an electrospinning process.
  • the conventional nanofiber filter media has a problem in that the nanofibers easily fall off by external force because the binding force of the nanofibers is weak. Therefore, improvement is requir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us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flow of the filtration fluid is strong or may be exposed to an external impact such as a gas turbine filter, an automobile filter or a bag filter.
  • Nanofiber filter media are provided.
  • a gas turbine filter or bag filter comprising the nanofiber filter media.
  • a method for producing a nanofiber filter media is provided.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hot melt sheet attach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hot melt sheet with the nanofiber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nanofibers are bonded to the substrate layer by the hot melt sheet, the nanofibers do not fall well from the substrate layer regardless of the type of substrate.
  • the nanofibe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further increases.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is bonded to the substrate by thermal fusion, the nanofiber filter media having a strong bonding force can be produced relatively easily.
  •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hot melt sheet and the nanofibers may be further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thermal fus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anofiber filter having improved binding force of the nanofiber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nanofiber filter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nanofiber filter media of FIG.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described in FIG.
  • FIG. 4 is a process diagram briefly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shown in FIG.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described in FIG.
  • 111a first side
  • 111b second side
  • 120a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 120b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nanofiber filter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anofiber filter media 100 includes a base layer 110, a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and a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 Since the two nanofiber adhesive layers 120a and 120b are respectively bonded to both sides of the base layer 110, the bonding force of the nanofibers is strong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 the base layer 110 serves to structurally support the nanofiber filter media 100. Any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the filter medium may be used as the base layer 110. In this embodiment, the base layer 110 is described as being made of a nonwoven fabric for a polypropylene (PP) filter.
  • the base layer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surface 111a and a second surface 111b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111a.
  •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is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11a of the substrate layer 110.
  •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is composed of nanofibers and an adhesive, and a nanofiber adhesive sheet formed of nanofibers and hot melt sheets is thermally fused to the first side 111a of the base layer 110. It is formed.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nanofibers of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are strongly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constituting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on the first surface 111a of the base layer 110. Therefore, the nanofibers of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are not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layer 110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ering process.
  • the nanofibers of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are formed of fibers having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50 to 1,000 nm, and may be formed of conventional nanofibers. Since the nanofibers of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have fine pores,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 the nanofibers of the first nanofiber adhesive layer 120a may be manufactured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commonly use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is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11b of the substrate layer 110.
  •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is composed of nanofibers and an adhesive, and a nanofiber adhesive sheet formed of nanofibers and hot melt sheets is thermally fused to the second surface 111b of the base layer 110. It is formed.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 the nanofibers of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are strongly bond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on the second surface 111b of the base layer 110. Therefore, the nanofibers of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are not separated from the substrate layer 110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ering process.
  • the nanofibers of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are formed of fibers having an average fiber diameter of 50 to 1,000 nm, and may be formed of conventional nanofibers. Since the nanofibers of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have fine pores, the filtrat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 the nanofibers of the second nanofiber adhesive layer 120b may be manufactured by an electrospinning method commonly used for manufacturing nanofibers.
  • the nanofiber adhesive layers 120a and 120b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layer.
  • the nanofiber adhesive layers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layer, and in this ca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limited to th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belongs.
  •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manufacturing the nanofiber filter of FIG.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nanofiber filter media comprises a nanofiber adhesive sheet preparing step (S10), and a thermal fusion step (S20).
  • 3 shows a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a nanofiber adhesive sheet.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includes a hot melt sheet 210 and a nanofiber web 220 formed on the hot melt sheet 210.
  • the hot melt sheet 210 is a sheet that exhibits adhesiveness by heat and solidifies upon cooling to maintain adhesive strength.
  • a hot melt nonwoven fabric including a hot melt fabric or a bicomponent type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hot melt sheet 210.
  • a polyester hot melt fabric, a polyurethane hot melt nonwoven fabric, or a polyamide hot melt nonwoven fabric may be used.
  • Hot melt sheet 210 should be formed so that the pores formed in the nanofiber web 220 in the heat fusion step (S20) can be properly maintained.
  • Nanofiber web 220 is formed by the electrospinning method commonly used in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 Figure 4 shows a process for producing a nanofiber adhesive sheet by electrospinning.
  • the spinning solution 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spinning nozzles 320a, 320b, 320c, and 320d provided in the nozzle block 310 in a state where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spinning space is extended toward the collector 330 and is nano.
  • the fibers are formed, and the formed nanofibers are focused on the hot melt sheet 210 positioned on the spinning space to form a nanofiber web (220 of FIG. 3).
  • the spinning solution may include any type of spinning solu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 the spinning solution is obtained by dissolving a polymer resin (for example, polyacrylonitrile, polyvinyl alcohol, cellulose acetate, polyurethane, polycarbonate, etc.) in a solvent.
  • a polymer resin for example, polyacrylonitrile, polyvinyl alcohol, cellulose acetate, polyurethane, polycarbonate, etc.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in FIG. 3) is pressure-treat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substrate (110 in FIG. 1).
  •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10 in FIG. 1) may be a hot melt sheet 210 of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the nanofiber web (220 of FIG. 3) of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It may be.
  • the heat fusion is performed while the substrate 110 is in contact with the hot melt sheet 210, there is an effect that a stronger bonding force can be obtained.
  • the heat-sealing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bstrate 110 is in contact with the nanofiber web 220, the nanofibers may be protected by the hot melt sheet 210 positioned outside.
  • the heat fusion step (S20) not only the hot melt sheet 210 and the substrate 110 are adhered, but also the bond between the hot melt sheet 210 and the nanofiber web 220 is strengthened. That is,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before heat fusion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nanofiber web 210 and the hot melt sheet 220 are bonded only by the adhesive force formed in the electrospinning process.
  • the heat treatment under pressure by the heat fusion step (S20) the adhesiveness of the hot melt sheet 220 appears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nanofiber web 210 and the hot melt sheet 220 is further improved.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300 includes a hot melt sheet 210, an additional hot melt sheet 320, and a nanofiber web 220 formed between two hot melt sheets 210 and 320.
  •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300 is an additional hot melt sheet 320 to the nanofiber web 220 in addition to the nanofiber adhesive sheet 200 shown in FIG. Since the hot melt sheet is formed on both sides, it is possible to obtain both the adhesion improvement and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nanofibers, and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the side on which the hot melt sheet is form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in manufacturing nanofibers.
  • the nanofiber filter mediu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gas turbine filter or a bag filter us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low of the filtration fluid is strong or exposed to an external impact because the nanofibers have high bonding strength. It is suitable to be used.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나노섬유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 층과, 상기 기재 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결합된 나노섬유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 접착층은 나노섬유가 부착된 핫멜트 시트가 상기 기재 층에 열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 및 핫멜트 시트 상에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나노섬유 접착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섬유 접착 시트를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필터여재에 관한 것으로서, 나노섬유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터는 유체 속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장치로서, 최근에는 여과효율을 높이기 위해 나노섬유를 이용하는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나노섬유 필터여재는 전기방사 과정에서 나노섬유가 기재 상에 집속된 형태의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나노섬유 필터여재는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나노섬유가 쉽게 떨어져 나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 필터, 자동차용 필터 또는 백 필터와 같이 여과대상 유체의 흐름이 강하거나 외부 충격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향상된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향상된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재 층과, 상기 기재 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결합된 나노섬유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 접착층은 나노섬유가 부착된 핫멜트 시트가 상기 기재 층에 열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여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필터 또는 백 필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핫멜트 시트 상에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나노섬유 접착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섬유 접착 시트를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나노섬유 접착시트는 상기 나노섬유 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핫멜트 시트의 반대편에 부착된 추가 핫멜트 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나노섬유가 핫멜트 시트에 의해 기재 층에 결합되므로 나노섬유가 기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기재 층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나노섬유가 기재 층 양면에 형성되므로 필터의 여과효율이 더욱 상승한다.
그리고, 나노섬유 접착시트가 열융착에 의해 기재에 결합되므로 결합력이 강한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열융착되는 과정에서 핫멜트 시트와 나노섬유 사이의 결합력이 한단계 더 강화될 수 있으므로,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향상된 나노섬유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기재된 나노섬유 접착시트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나노섬유 접착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도 2에 기재된 나노섬유 접착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나노섬유 필터여재, 110 : 기재 층
111a : 제1 면, 111b : 제2 면
120a : 제1 나노섬유 접착층, 120b : 제2 나노섬유 접착층
200, 300 : 나노섬유 접착시트, 210 : 핫멜트 시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여재(100)는 기재 층(110)과,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과,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b)을 구비한다. 두 나노섬유 접착층(120a, 120b)이 기재 층(11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므로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강하며, 여과효율이 높아진다.
기재 층(110)은 나노섬유 필터여재(1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재 층(110)으로는 필터 여재로 사용가능한 모든 소재가 이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 층(110)이 폴리프로필렌(PP) 필터용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기재 층(110)에는 제1 면(111a)과, 제1 면(111a)의 반대 면인 제2 면(111b)이 마련된다.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은 기재 층(110)의 제1 면(111a) 위에 형성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은 나노섬유와 접착제로 구성되며, 나노섬유와 핫멜트 시트로 형성된 나노섬유 접착시트가 기재 층(110)의 제1 면(111a)에 열융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나노섬유 접착시트에 대해서는 이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의 나노섬유는 기재층(110)의 제1 면(111a) 상에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을 구성하는 접착제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링 과정에서 필터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의 나노섬유가 기재 층(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의 나노섬유는 섬유 직경이 평균 50 내지 1,000nm인 섬유로 형성된 층으로서, 통상적인 나노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의 나노섬유는 미세한 기공을 갖기 때문에,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1 나노섬유 접착층(120a)의 나노섬유는 나노섬유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은 기재 층(110)의 제2 면(111b) 위에 형성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은 나노섬유와 접착제로 구성되며, 나노섬유와 핫멜트 시트로 형성된 나노섬유 접착시트가 기재 층(110)의 제2 면(111b)에 열융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나노섬유 접착시트에 대해서는 이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의 나노섬유는 기재층(110)의 제2 면(111b) 상에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을 구성하는 접착제에 의해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링 과정에서 필터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의 나노섬유가 기재 층(1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의 나노섬유는 섬유 직경이 평균 50 내지 1,000nm인 섬유로 형성된 층으로서, 통상적인 나노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의 나노섬유는 미세한 기공을 갖기 때문에,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나노섬유 접착층(120b)의 나노섬유는 나노섬유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방사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나노섬유 접착층(120a, 120b)이 기재 층의 양면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기재 층의 어느 한쪽 면에만 나노섬유 접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나노섬유 필터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제조방법은 나노섬유 접착시트 준비 단계(S10)와, 열융착 단계(S20)를 구비한다. 도 3에는 나노섬유 접착시트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나노섬유 접착시트(200)는 핫멜트 시트(210)와, 핫멜트 시트(210) 상에 형성된 나노섬유 웹(220)을 구비한다. 핫멜트 시트(210)는 열에 의해 접착성을 나타내고 냉각시 다시 고화되어 접착력을 유지하는 시트로서 접착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핫멜트 시트(210)로서, 핫멜트 직물 또는 바이콤포넌트 타입 부직포를 포함하는 핫멜트 부직포가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계의 핫멜트 직물, 폴리우레탄계 핫멜트 부직포 또는 폴리아미드계 핫멜트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핫멜트 시트(210)는 이후 열융착 단계(S20)에서 나노섬유 웹(220)에 형성된 기공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나노섬유 웹(220)은 나노섬유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기방사법에 의해 형성된다.
도 4에는 전기방사에 의해 나노섬유 접착시트가 제조되는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사공간에 고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노즐블록(310)에 마련된 다수의 방사노즐(320a, 320b, 320c, 320d)로부터 방사된 방사용액은 컬렉터(330) 쪽으로 가면서 신장되어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형성된 나노섬유는 방사공간 상에 위치하는 핫멜트 시트(210) 상에서 집속되어 나노섬유 웹(도 3의 220)이 형성된다. 이때, 방사용액은 나노섬유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방사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용액은 고분자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 폴리비닐 알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등)를 용매에 녹인 것이다.
열융착 단계(S20)에서는 나노섬유 접착시트(도 3의 200)를 기재(도1의 110)의 양면 또는 한 면에 가압 열처리한다. 이때, 기재(도 1의 110)와 접하는 부분이 나노섬유 접착시트(200)의 핫멜트 시트(210)가 될 수도 있고, 나노섬유 접착시트(200)의 나노섬유 웹(도3의 220)이 될 수도 있다. 기재(110)가 핫멜트 시트(210)와 접한 상태에서 열융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더욱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기재(110)가 나노섬유 웹(220)과 접한 상태에서 열융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바깥에 위치하는 핫멜트 시트(210)에 의해 나노섬유가 보호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열융착 단계(S20)에서 핫멜트 시트(210)와 기재(110)가 접착될 뿐만 아니라, 핫멜트 시트(210)와 나노섬유 웹(220)의 사이의 결합도 강화된다. 즉, 열융착 이전의 나노섬유 접착시트(200)는 나노섬유 웹(210)과 핫멜트 시트(220)가 전기방사 공정 상에서 형성된 부착력 만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열융착 단계(S20)에 의해 가압 열처리되면, 핫멜트 시트(220)의 접착성이 나타나면서 나노섬유 웹(210)과 핫멜트 시트(220) 사이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도 5는 도 2에 기재된 나노섬유 접착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나노섬유 접착시트(300)는 핫멜트 시트(210)와, 추가 핫멜트 시트(320)와, 두 핫멜트 시트(210, 320) 사이에 형성된 나노섬유 웹(220)을 구비한다. 나노섬유 접착시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나노섬유 접착시트(200)에 추가 핫멜트 시트(320)를 나노섬유 웹(220)에 추가로 부착한 것이다. 핫멜트 시트가 양면에 형성되므로 접착성 향상 및 나노섬유의 보호 효과를 모두 얻을 수 있으며, 핫멜트 시트가 형성된 면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나노섬유 제조시 작업성이 좋아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섬유 필터여재는 나노섬유의 결합력이 높기때문에, 여과대상 유체의 흐름이 강하거나 외부 충격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가스 터빈 필터 또는 백 필터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기재 층과,
    상기 기재 층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결합된 나노섬유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섬유 접착층은 나노섬유가 부착된 핫멜트 시트가 상기 기재 층에 열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섬유 필터여재.
  2. 청구항 1 의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필터.
  3. 청구항 1의 나노섬유 필터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필터.
  4. 핫멜트 시트 상에 전기방사된 나노섬유 층을 구비하는 나노섬유 접착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나노섬유 접착 시트를 기재의 양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의 나노섬유 필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접착시트는 상기 나노섬유 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핫멜트 시트의 반대편에 부착된 추가 핫멜트 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필터여재의 제조방법.
PCT/KR2010/002148 2009-10-29 2010-04-08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10528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18A KR20110046907A (ko) 2009-10-29 2009-10-29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0103618 2009-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2865A1 true WO2011052865A1 (ko) 2011-05-05

Family

ID=4392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2148 WO2011052865A1 (ko) 2009-10-29 2010-04-08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46907A (ko)
WO (1) WO201105286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5413B6 (cs) * 2013-09-25 2015-09-09 Spur A.S. Vrstvený mikrofiltrační materiál
EP3072996A4 (en) * 2013-11-21 2017-07-19 Finetex Ene, Inc. Electrospinning device for manufacturing nanofiber
WO2017209520A1 (ko) * 2016-05-31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CN107921337A (zh) * 2015-08-13 2018-04-17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便携式净水袋
CN110049807A (zh) * 2016-12-15 2019-07-23 曼·胡默尔有限公司 过滤介质、其制备方法和所述过滤介质在过滤元件中的用途
US10543441B2 (en) 2016-12-15 2020-01-2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and/or oleophobic properties
US10700372B2 (en) 2014-12-15 2020-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mbrane electrode assembly
US10695486B2 (en) 2015-10-14 2020-06-30 Amogreentech Co., Ltd. Liquid drug-filtering filter medium and filter module
US10898838B2 (en) 2016-12-15 2021-01-26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700B1 (ko) * 2012-06-29 2014-08-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사이토카인 흡착시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혈액 필터
US20160243478A1 (en) * 2013-10-07 2016-08-25 Finetex Ene, Inc. Filter comprising nano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15053443A1 (ko) * 2013-10-07 2015-04-16 (주)에프티이앤이 기재 양면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26876A1 (ko) 2015-08-13 2017-02-1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여재용 나노섬유, 이를 포함하는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KR101724623B1 (ko) * 2015-11-24 2017-04-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요소수 탱크용 나노섬유 밴트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8395B1 (ko) * 2016-05-31 2016-10-21 주식회사 아담스컴퍼니 나노섬유를 구비한 필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1062A (ko)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대창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필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04797B1 (ko) * 2019-11-20 2022-06-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 플라스틱 필터 뚜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468A1 (en) * 2001-06-19 2002-12-19 Kyung-Ju Choi Method, apparatus and product for manufacturing nanofiber media
US20060048355A1 (en) * 2001-07-04 2006-03-09 Hag-Yong Kim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KR100635136B1 (ko) * 2004-12-30 2006-10-17 이재근 기능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필터의 제조방법
KR100714219B1 (ko) * 2006-05-22 2007-05-02 이봉대 나노소재를 이용한 복합섬유필터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80110342A1 (en) * 2006-11-13 2008-05-15 Research Triangle Institute Particle filter system incorporating nanofib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2468A1 (en) * 2001-06-19 2002-12-19 Kyung-Ju Choi Method, apparatus and product for manufacturing nanofiber media
US20060048355A1 (en) * 2001-07-04 2006-03-09 Hag-Yong Kim Electronic spinning apparatus, and a process of preparing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KR100635136B1 (ko) * 2004-12-30 2006-10-17 이재근 기능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필터의 제조방법
KR100714219B1 (ko) * 2006-05-22 2007-05-02 이봉대 나노소재를 이용한 복합섬유필터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80110342A1 (en) * 2006-11-13 2008-05-15 Research Triangle Institute Particle filter system incorporating nanofibers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5413B6 (cs) * 2013-09-25 2015-09-09 Spur A.S. Vrstvený mikrofiltrační materiál
EP3072996A4 (en) * 2013-11-21 2017-07-19 Finetex Ene, Inc. Electrospinning device for manufacturing nanofiber
US10700372B2 (en) 2014-12-15 2020-06-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N107921337A (zh) * 2015-08-13 2018-04-17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便携式净水袋
US11161752B2 (en) 2015-08-13 2021-11-02 Amogreentech Co., Ltd Portable water-purifying pouch
US10695486B2 (en) 2015-10-14 2020-06-30 Amogreentech Co., Ltd. Liquid drug-filtering filter medium and filter module
WO2017209520A1 (ko) * 2016-05-31 2017-12-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필터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US11511235B2 (en) 2016-05-31 2022-11-29 Amogreentech Co., Ltd. Filter assembly,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ilter module comprising same
CN110049807A (zh) * 2016-12-15 2019-07-23 曼·胡默尔有限公司 过滤介质、其制备方法和所述过滤介质在过滤元件中的用途
US10543441B2 (en) 2016-12-15 2020-01-2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and/or oleophobic properties
US10898838B2 (en) 2016-12-15 2021-01-26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US11369904B2 (en) 2016-12-15 2022-06-28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and/or oleophobic properties
US11484821B2 (en) 2016-12-15 2022-11-0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US11819790B2 (en) 2016-12-15 2023-11-21 Hollingsworth & Vose Company Filter media including adhesives and/or oleophobic proper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07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52865A1 (ko) 나노섬유 접착층을 갖는 나노섬유 필터여재 및 그 제조방법
JP6172924B2 (ja) エアフィルター又はマスク用不織布基材の製造方法
CA2282856C (en) Air filter
US79275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filter media
EP216106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filter media
KR20110055588A (ko) 복합 필터 매체
JP2011529779A5 (ko)
KR100952421B1 (ko) 내연기관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98310A (ko) 헤파(h-10) 성능 합성 부직 및 나노섬유 복합체 필터 매질
JP2011529778A5 (ko)
GB2463964A (en) A composite filter medium
CN1334770A (zh) 多孔性材料、空气过滤器滤材、空气过滤器单元以及空气过滤器滤材用支持材料
KR20070067884A (ko) 공기 정화용 필터 소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53314A (ko) 다층 필터 소재 및 그로부터 제조된 필터 부품
KR20070035343A (ko) 복합방사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이용한 필터의 제조방법
KR20180069721A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JPWO2020004007A1 (ja) フィルター用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67502B2 (ja) フィルター基材およびフィルター
WO2018110990A1 (ko) 필터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유닛
JPS622060B2 (ko)
CN112774326A (zh) 过滤介质、其制备方法和该过滤介质在过滤元件中的用途
JP2008272692A (ja) 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049807B (zh) 过滤介质、其制备方法和所述过滤介质在过滤元件中的用途
JP3233988B2 (ja) 濾過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62134A (ko) 공기필터 지지체용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269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269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N DATED 05/07/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