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47305A2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47305A2
WO2010147305A2 PCT/KR2010/002962 KR2010002962W WO2010147305A2 WO 2010147305 A2 WO2010147305 A2 WO 2010147305A2 KR 2010002962 W KR2010002962 W KR 2010002962W WO 2010147305 A2 WO2010147305 A2 WO 201014730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xture
bone
filling
male scre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29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47305A3 (ko
Inventor
박광범
류경호
양동준
양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CN201090000943X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2776601U/zh
Publication of WO201014730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7305A2/ko
Publication of WO201014730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730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capable of filling a bone forming material, such as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 .
  • BMP Bis Morphogenetic Protein
  • a healing abutment or cover screw is applied before the abutment is bonded to the fixture, i.e., until the fixture is fused to the alveolar bone. It can also be coupled to a fixture to remain engag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hape in which a fixture of a dental impla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n alveolar bone.
  • the threaded filling groove may be recessed from the surface of the male threaded portion at an outer region of the male threade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eaded filling through hole.
  • the bone forming material is a bone forming protein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 the male screw portion, the vertical section is provid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fixture body; A lower curved section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an inner direction; And an upper curved section provid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an inner direction.
  • BMP bone forming protein
  •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
  • the fixture body is placed in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A male screw portion spiral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body; And at least one dental filling hol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ture body between the male threaded portions and filling the bone forming material necessary for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bone. It is also achieved by the fixture of.
  • the fixture body is placed in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 a male screw portion spiral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body;
  • the fixture body is placed in the drill hole drilled in the alveolar bone in the oral cavity;
  • a male screw portion spirally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body;
  • a screw filling groove formed recessed in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le screw portion along the helical direction of the male screw portion to fill a bone forming material necessary for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bone. It is also achieved by chews.
  • the dental implant 100 includes a fixture 110 and a fixtur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5 as an artificial root.
  • Abutment 102 coupled to the abutment
  • abutment screw 103 fixing the abutment 102 to the fixture 110
  • an artificial crown (not shown) coupled to the abutment 102. ).
  • the upper curved section 135 and the lower curved section 133 are mutu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ection 131, the upper curved section 135 and the lower curved section 133 may be asymmetrically provided in some cases. It may be.
  • the cutting edge 128 is a fixture for the alveolar bone 5 by preventing the fixture 110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alveolar bone 5 after the fixture 110 has been placed in the alveolar bone 5. It serves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of (110).
  • the plurality of thread-filled through-holes 140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inner region of the male screw part 130 having a relatively thicker thickness than the outer side, and the spiral direction of the male screw part 130. Are regularly spaced apart along. Therefore, even if the threaded filling through-hole 140 is formed through the male screw portion 130,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and since the relatively thick portion is penetrated, the filling space of the bone-forming protein 160 can be secured. have.
  • bone formation protein 160 filled in the thread filling through hole 140 during the bone fusion period may be supplied from the thread filling through hole 140 to the adjacent alveolar bone 5 to promote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bone 5. Accordingly, the alveolar bone 5 forming the inner wall of the drill hole 7 and the male screw portion 130 of the fixture 110 are firmly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force of the fixture 110 to the alveolar bone 5 is increased. It can be strengthened.
  • the plurality of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s 151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ture body 120 between the male screw parts 130.
  • the bone forming protein 160 for promoting bone formation of the alveolar bone 5 is filled like the thread filling through hole 140.
  • Each of the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s 151 is formed through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ture body 120 as illustrated in FIG. 5, and the plurality of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s 151 have a parallel structure to each other.
  • the body filling through hole 15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for each one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 130,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body filling through hole 151 is not one between each of the male screw portion 130, but a plurality. Dogs may be provided.
  • two body filling through holes 151 may be formed between the male screw portions 130 so as to cross each other in a cross shape.
  • the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 151 when the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 151 is excessively formed on the fixture body 120, the durability of the fixture 110 may be weakened, and thus, the main body filling through hole 151 may be a male screw par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more preferable that one is formed through each one between the 130, or two formed crossw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수나사부에 관통 형성되어,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에 골 형성 물질, 예를 들면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충전시킬 수 있어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 주변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조골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 형성 물질, 예를 들면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충전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인공 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식립한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어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루(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관(Artificial Crown)을 포함한다. 그러나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지대주 스크루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픽스츄어와 지대주가 지대주 스크루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치유 지대주(Healing Abutment) 또는 커버 스크루(Cover Screw)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식립될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드릴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히 식립되어야만 한다.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 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나사산은 치조골에 암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는, 골밀도가 높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경우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골융합이 견고히 이루어져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나, 가령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치조골에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경우 치유를 위한 수개월의 골융합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골융합이 밀도 있게 진행되지 않아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임플란트의 재시술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치조골과의 골융합을 촉진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본체 주변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조골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강화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스츄어본체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에 충전된 골 형성 물질, 예를 들면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을 통해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본체 주변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현저히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수나사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은,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일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나사부 충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충전홈은 상기 나사부 충전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수나사부의 영역에서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 충전홈은 상기 나사부 충전 관통공과 이격된 상기 수나사부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 충전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본체 충전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중앙 충전 관통공; 및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의 관통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경사 충전 관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과 상기 경사 충전 관통공은 탄소 원자의 화학 결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픽스츄어본체 상에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골 형성 물질은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이며,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수직구간; 상기 수직구간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하부곡면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곡면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본체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나사부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되는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100, Dental Implant)는, 인공 치근으로서 치조골(5)에 식립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픽스츄어(110, Fixture)와, 픽스츄어(100)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102, Abutment)와, 지대주(102)를 픽스츄어(110)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루(103, Abutment Screw)와, 지대주(102)에 결합되는 인공치관(미도시, Artificial Crown)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치조골(5)에 형성된 드릴 홀(7)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픽스츄어(110)를 식립한 후, 지대주 스크루(103)를 이용하여 지대주(102)를 픽스츄어(110)에 결합시키고, 지대주(102)의 외면으로 미리 제작된 인공치관을 결합시킴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시술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구성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것이며,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구성은 시술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10)는, 치조골(5, 도 1 참조)의 드릴 홀(7, 도 1 참조)에 식립되어 인공 치근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치조골(5)에 천공된 드릴 홀(7)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120)와, 픽스츄어본체(12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치조골(5)에 식립되는 수나사부(130)와, 수나사부(130) 및 픽스츄어본체(120)에 마련되어 골융합 기간동안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골 형성 물질(160, 도 6 참조)이 충전되는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 본체 충전 관통공(151) 및 본체 충전홈(155)을 포함한다.
여기서, 골 형성 물질(160)이란 골 형성에 필요한 생체물질 및 생리활성 단백질, 예를 들면 BMP2, BMP3, TGF-베타, PDGF, VGEP/EGF 등일 수 있으며, 또한 이와 유사한 액체, 기체 및 고체를 불문한 물질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뼈 형성 단백질(160,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이 적용된다.
픽스츄어본체(120)의 설명에 앞서, 수나사부(130)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수나사부(130)는 일반적인 픽스츄어(미도시)의 수나사부(미도시)와는 달리 픽스츄어본체(120)의 외면으로부터 산의 높이가 크게 형성되는 광폭나사부(130)로 마련된다. 즉, 종래의 픽스츄어의 수나사부는, 수나사부의 산의 높이가 대략 0.3 내지 0.35mm인 반면에 본 실시 예의 수나사부(130)의 산의 높이는 0.4 내지 2.0mm의 값을 가짐으로써 골밀도가 그리 크지 않은 치조골(5)에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110)를 식립하더라도 치조골(5)의 내측벽으로 수나사부(130)가 깊게 식립되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수나사부(130), 즉 광폭나사부(130)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본체(120)의 중심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수직구간(131)과, 수직구간(13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하부곡면구간(133)과, 수직구간(13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곡면구간(135)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곡면구간(133)과 상부곡면구간(135)은 수직구간(13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수나사부(130)의 형상에 의해, 픽스츄어(110)가 치조골(5)의 드릴 홀(7)에 식립될 때 발생되는 저항 토크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식립이 용이해지는 잇점이 있다. 참고로, 상부곡면구간(135) 및 하부곡면구간(133)을 이루는 가상의 직선 라인이 이루는 경사도(θ, 도 5 참조)는 대략 30도 정도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곡면구간(135)과 하부곡면구간(133)이 수직구간(13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된다고 전술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상부곡면구간(135)과 하부곡면구간(133)은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곡면구간(135) 및 하부곡면구간(133)이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상부곡면구간(135) 및 하부곡면구간(133)은 볼록한 형상 및 편평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픽스츄어본체(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110)에서 중심 스템(stem)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티타늄(titanium)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제작된다. 이러한 픽스츄어본체(120)는, 픽스츄어본체(120)의 가장 큰 구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외면에 전술한 수나사부(130)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몸통부(121)와, 메인몸통부(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몸통부(125)와, 메인몸통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베벨부(127)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몸통부(121)의 하단부와 테이퍼몸통부(125)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의 커팅 에지부(128)가 마련되어 있다.
메인몸통부(121)는, 드릴 홀(7)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내측벽과 실질적으로 가장 긴 구간에서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외면에 수나사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몸통부(121)는 적어도 일부 구간이 실질적으로 패러럴(parallel)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드릴 홀(7)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내측벽과 균일한 압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테이퍼몸통부(125)는, 메인몸통부(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메인몸통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테이퍼몸통부(125)는 드릴 홀(7)의 개구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짐으로써 픽스츄어(110)가 치조골(5)의 드릴 홀(7)에 최초 식립될 때의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테이퍼몸통부(125)는 메인몸통부(12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구간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테이퍼몸통부(125)가 치조골(5)의 드릴 홀(7)에 인입된 후 바로 상대적으로 긴 구간의 메인몸통부(121)가 치조골(5)의 드릴 홀(7)에 인입될 수 있어, 최초 식립 시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식립 방향이 정확하게 자리 잡힐 수 있다.
커팅 에지부(128)는, 테이퍼몸통부(125) 및 메인몸통부(121)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된다. 따라서, 픽스츄어(110)가 회전하며 치조골(5)의 드릴 홀(7)의 내부로 인입될 때 드릴 홀(7)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내측 부분에 커팅할 부분이 잔존하여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커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치조골(5)과 픽스츄어본체(12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30)의 셀프 태핑(self-tapping)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커팅 에지부(128)는 픽스츄어(110)가 치조골(5)에 식립 완료된 이후, 치조골(5)에 대해 픽스츄어(110)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베벨부(12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몸통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되 선형적으로 그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베벨부(127)의 구조적 형상으로 인해 치조골(5)이 과도 성장(over growth)하여 픽스츄어(110)와 지대주(102, 도 1 참조) 간의 체결을 방해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베벨부(127)는 픽스츄어(110)에 대한 치조골(5)의 골융합이 완료되면 픽스츄어(110)가 상방으로 올라가는 것을 억제하여 고정의 안정성을 배가시키는 역할도 겸한다.
한편, 인터널(internal) 결합홈부(170)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주(102, 도 1 참조)와, 지대주(102)를 픽스츄어(110)에 결합시키는 지대주 스크루(103, 도 1 참조)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인터널 결합홈부(170)는, 픽스츄어본체(120)의 상단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되 내부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는 지대주 결합홈(171)과, 지대주 결합홈(171)의 하단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내측면에 규칙적인 암나사산(176)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루 결합홈(175)을 포함한다.
지대주 결합홈(171)은 지대주(102)의 하단부가 부분적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지대주 결합홈(171)의 형상은 지대주(102)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스크루 결합홈(175)은, 지대주(102)에 관통 결합된 지대주 스크루(103)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지대주 결합홈(171)에 지대주(102)를 삽입 결합시킨 후 지대주 스크루(103)를 지대주(102) 및 스크루 결합홈(175)에 결합시킴으로써 픽스츄어(110)에 지대주(102)를 견고히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골밀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식립된 경우 픽스츄어의 식립 후 치유를 위한 수개월의 골융합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골융합이 신뢰성 있게 진행되지 않아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실시 예의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픽스츄어(110)는, 골융합 기간동안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골 형성 물질(160),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160, 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 도 6 참조)이 충전되는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 및 복수 개의 본체 충전홈(155)을 구비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 여기서, 뼈 형성 단백질(160)이란, 생체 단백질의 일종으로서, 뼈를 형성하는 조골세포에 활동 신호를 전달하여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단백질을 가리킨다.
먼저,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130)의 나선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각각이 수나사부(13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뼈 형성 단백질(160)이 충전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있는 수나사부(130)의 내측 영역에 관통 형성되며, 수나사부(130)의 나선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수나사부(130)에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이 관통 형성되더라도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이 관통되기 때문에 뼈 형성 단백질(160)의 충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160)은, 드릴 홀(7)의 내측벽을 형성하는 치조골(5) 부분 중 수나사부(130)와 인접한 치조골(5) 부분과 상호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당 영역의 골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골융합 기간동안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160)이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으로부터 인접한 치조골(5)으로 공급되어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릴 홀(7)의 내측벽을 형성하는 치조골(5)과 픽스츄어(110)의 수나사부(130)가 상호 견고하게 골융합되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에서 픽스츄어본체(120)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본체 충전 관통공(15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과 마찬가지로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뼈 형성 단백질(160)이 충전된다.
본체 충전 관통공(151)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160)은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에 존재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골밀도를 향상시킨다. 즉, 본체 충전 관통공(151)으로부터 제공되는 뼈 형성 단백질(160)에 의해 치조골(5)의 골 형성이 촉진되고, 형성된 치조골(5)이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로 보다 깊숙이 인입하게 됨으로써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체 충전 관통공(151)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본체(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되,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은 상호 나란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 예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은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마다 하나씩 마련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 충전 관통공(151)은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마다 하나가 아닌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십자형으로 교차되도록 두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이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마다 각각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본체 충전 관통공(151)이 픽스츄어본체(120) 상에서 과도하게 관통 형성되는 경우 픽스츄어(110)의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으므로, 본체 충전 관통공(151)은 본 실시 예에서처럼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마다 하나씩 관통 형성되거나 십자형으로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픽스츄어본체(120)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충전 관통공(151) 외에도,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에서 픽스츄어본체(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본체 충전홈(155)이 더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 충전홈(155)은 픽스츄어본체(120)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함몰 형성된 공간에는 뼈 형성 단백질(160)이 충전되어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본체 충전홈(155)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본체(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기 때문에 치조골(5)의 골 형성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본체 충전 관통공(151)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160)에 의해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에 인접한 치조골(5)의 골 형성이 촉진될 수는 있으나, 본체 충전 관통공(151)과 다소 이격된 치조골(5) 영역에서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본체 충전홈(155)이 띠 형상을 이룸으로써 수나사부(130)의 사이로 인입된 치조골(5)의 거의 전(全) 영역과 접촉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나사부(130)의 사이사이에 인입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전체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어 치조골(5)의 전체적인 골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110)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뼈 형성 단백질(160)이, 수나사부(13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과, 픽스츄어본체(120)의 반경 방향을 향해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과, 픽스츄어본체(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본체 충전홈(155)에 충전됨으로써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골융합 기간동안 픽스츄어(110)에 인접한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어 치조골(5)의 전체적인 골밀도를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00)의 픽스츄어(110)를 치조골(5)에 식립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픽스츄어(110)의 식립 작업의 사전 작업으로서 픽스츄어(110)가 식립될 치조골(5)의 위치에 드릴(미도시)을 이용하여 드릴 홀(7)을 형성한다. 이후, 픽스츄어(110)를 치조골(5)의 드릴 홀(7)에 위치시킨 후 핸드피스(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픽스츄어(110)를 회전시킴으로써 픽스츄어(110)를 치조골(5)의 드릴 홀(7)의 내부 방향으로 인입시킨다.
픽스츄어(110)가 드릴 홀(7)에 식립될 때, 픽스츄어본체(120)의 하단에 형성된 테이퍼몸통부(125)가 드릴 홀(7)의 개구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으며, 이후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부(130)가 드릴 홀(7)의 측벽을 이루는 치조골(5)에 셀프 태핑(self-tapping)되면서 인입되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식립이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수나사부(130)는 종래의 일반적인 수나사부(130)에 비해 광폭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치조골(5)에 더 깊숙이 셀프 태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픽스츄어(110)의 식립이 완료된 이후에 치유 지대주(미도시) 또는 커버 스크루(미도시)를 결합한 후, 치유를 위한 수개월의 골융합 기간을 갖게 된다.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13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과, 픽스츄어본체(12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과, 픽스츄어본체(120)에 함몰 형성된 본체 충전홈(155)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160)이 드릴 홀(7)의 측벽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며, 이에 따라 해당 부분의 골밀도가 향상되어 종래보다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수나사부(13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140)과, 픽스츄어본체(12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151)과, 픽스츄어본체(120)에 함몰 형성된 본체 충전홈(155)에 각각 뼈 형성 단백질(160)을 충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치조골(5)에 픽스츄어(110)의 식립을 완료한 이후 골융합이 이루어지는 기간동안 드릴 홀(7)의 측벽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110)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식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210)는, 수나사부(230)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240)과, 픽스츄어본체(220)에 형성되는 본체 충전 관통공(251) 및 본체 충전홈(255) 이외에도, 픽스츄어본체(220)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골 형성 물질(260),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260)이 충전되는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연통되도록 픽스츄어본체(220)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중앙 충전 관통공(281)의 관통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경사 충전 관통공(285)을 더 포함한다.
중앙 충전 관통공(281)은 픽스츄어(210)가 치조골(5)의 드릴 홀에 식립이 완료된 후 드릴 홀의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5)에 뼈 형성 단백질을 공급함으로써 드릴 홀의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릴 홀의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밀도가 다소 작은 값을 갖더라도 중앙 충전 관통공(281)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260)이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210)의 골융합이 치유 기간동안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앙 충전 관통공(281)은 픽스츄어본체(220)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되기 때문에 치조골(5)에 픽스츄어(210)를 식립 완료한 이후에도 중앙 충전 관통공(281)에 뼈 형성 단백질(260)을 계속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 충전 관통공(281)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260)이 치조골(5)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그 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게 되더라도 인터널 결합홈부(270)와 연통된 중앙 충전 관통공(281)으로 뼈 형성 단백질(260)을 재충전시킬 수 있어 골융합 기간동안 뼈 형성 단백질(260)을 통한 치조골(5)의 골 형성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그 내부에 뼈 형성 단백질(260)을 충전함으로써 드릴 홀의 측벽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픽스츄어본체(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120도 등간격으로 마련되되 세 개의 경사 충전 관통공(285)들의 내부 방향으로의 단부가 중앙 충전 관통공(281)의 일 지점에서 교차함으로써 세 개의 경사 충전 관통공(285)과 중앙 충전 관통공(281)은 상호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픽스츄어본체(22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사 충전 관통공(285)의 개구를 통해 뼈 형성 단백질(260)을 충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 충전 관통공(281)을 통해서도 경사 충전 관통공(285)에 뼈 형성 단백질(260)을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충전 관통공(251) 역시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연통되어 중앙 충전 관통공(281)을 통해 본체 충전 관통공(251)에도 뼈 형성 단백질(260)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통 구조로 인해, 가령, 경사 충전 관통공(285) 및 본체 충전 관통공(251)에 충전된 뼈 형성 단백질(260)이 치조골(5)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그 양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줄어들게 되더라도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연통된 경사 충전 관통공(285) 및 본체 충전 관통공(251)으로 뼈 형성 단백질(260)을 재충전시킬 수 있어 골융합 기간동안 뼈 형성 단백질(260)을 통한 치조골(5)의 골 형성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상호 연통되도록 픽스츄어본체(220) 상에서 관통 형성되되 탄소 원자의 화학 결합 구조 중 다이아몬드(C)의 그물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다이아몬드의 화학 결합 구조인 그물 구조의 경우, 하나의 탄소 원자를 중심으로 4개의 탄소 원자가 결합되는데,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상의 선으로 잇게 되면 정사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갖게 된다.
본 실시 예의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3개의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그 교차 지점을 중심으로 픽스츄어본체(220) 상에서 관통 형성되는데, 관통 방향은 하나의 탄소 원자를 둘러싼 4개의 탄소 원자가 배치되는 방향이다. 즉, 중앙 충전 관통공(281)은 픽스츄어본체(220)의 중심축 방향, 즉 4개의 탄소 중 하나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3개의 경사 충전 관통공(285)은 4개의 탄소 중 다른 3개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앙 충전 관통공(281) 및 경사 충전 관통공(285)에 의해 픽스츄어본체(220)의 내부 일 영역이 비어 있더라도, 탄소 구조로 인해 픽스츄어(210)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치조골(5)에 픽스츄어(210)가 식립된 후 장시간이 지나도 픽스츄어(2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수나사부(23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240)과, 픽스츄어본체(220)에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본체 충전 관통공(251)과, 픽스츄어본체(220)에 함몰 형성된 복수 개의 본체 충전홈(255)과, 픽스츄어본체(220)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된 중앙 충전 관통공(281)과, 중앙 충전 관통공(281)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 충전 관통공(285)에 뼈 형성 단백질(260)을 충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골융합 기간동안 드릴 홀의 측벽과 바닥을 형성하는 치조골(5)의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5)에 대한 픽스츄어(210)의 고정력을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수직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310)는, 픽스츄어본체(320)와, 수나사부(330)와, 수나사부(330)의 사이사이에서 픽스츄어본체(320)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골 형성 물질(미도시),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이 충전되는 본체 충전 관통공(351)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310)에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나사부 충전 관통공과 본체 충전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체 충전 관통공(351)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은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330)의 사이사이로 인입되는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켜 해당 영역의 골밀도를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3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410)는, 픽스츄어본체(420)와, 수나사부(430)와, 수나사부(430)의 사이사이에서 픽스츄어본체(4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픽스츄어본체(420)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골 형성 물질(미도시),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이 충전되는 본체 충전홈(455)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410)에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나사부 충전 관통공과 본체 충전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본체 충전홈(455)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은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430)의 사이사이로 인입되는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켜 해당 영역의 골밀도를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4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510)는, 픽스츄어본체(520)와, 수나사부(530)와, 수나사부(530)의 나선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530)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골 형성 물질(미도시),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이 충전되는 나사부 충전홈(545)을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픽스츄어(510)에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달리, 나사부 충전 관통공과 본체 충전 관통공과 본체 충전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나사부 충전홈(542)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은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530)의 사이사이로 인입되는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켜 해당 영역의 골밀도를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5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610)는, 수나사부(630)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640)과, 픽스츄어본체(620)에 형성되는 본체 충전 관통공(651) 및 본체 충전홈(655) 이외에도, 수나사부(630)의 나선 방향을 따라 수나사부(63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며, 함몰 영역에는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는 골 형성 물질(미도시),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이 충전되는 나사부 충전홈(645)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나사한 충전홈(645)은, 수나사부(630) 상에서 나사부 충전 관통공(640)의 외측 영역에 마련된다. 나사부 충전홈(645)에 충전되는 뼈 형성 단백질은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610)의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630)와 인접한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킴으로써 치조골의 골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610)의 고정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710)는, 수나사부(730)에 나사부 충전홈(745)이 형성되되 전술한 제6 실시 예의 나사부 충전홈(645, 도 11 참조)이 수나사부(630) 상에서 나사부 충전 관통공(640)의 외측 영역에 마련되는 것과는 달리 나사부 충전 관통공(740)들이 형성된 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나사부 충전홈(745)에도 역시 골 형성 물질(미도시), 즉 본 실시 예의 뼈 형성 단백질이 충전되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710)의 골융합 기간동안 수나사부(730)와 인접한 치조골의 골 형성을 촉진시키며, 이로 인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7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일부분을 확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810)는, 전술한 제6 실시 예의 나사부 충전홈(645, 도 11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나사부 충전홈(845a)과 제7 실시 예의 나사부 충전홈(745, 도 12 참조)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나사부 충전홈(845b)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더 많은 양의 뼈 형성 단백질이 나사부 충전홈(845a, 845b)들에 충전될 수 있어, 치조골의 골 형성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치조골에 대한 픽스츄어(81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나사부 충전 관통공, 본체 충전 관통공, 본체 충전홈이 모두 구비된 픽스츄어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나사부 충전 관통공만으로 골 형성 물질을 충분히 충전시킬 수 있다면 픽스츄어본체에 나사부 충전 관통공만 형성되어도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치과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3)

  1.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두께 방향으로 상기 수나사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은,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상호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나사부 충전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나사부 충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충전홈은 상기 나사부 충전 관통공이 형성되는 상기 수나사부의 영역에서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 충전홈은 상기 나사부 충전 관통공과 이격된 상기 수나사부의 외측 영역에서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 충전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본체 충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중앙 충전 관통공; 및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의 관통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경사 충전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충전 관통공과 상기 경사 충전 관통공은 탄소 원자의 화학 결합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픽스츄어본체 상에서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 물질은 뼈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etic Protein)이며,
    상기 수나사부는,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중심축과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마련되는 수직구간;
    상기 수직구간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하부곡면구간; 및
    상기 수직구간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부곡면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1.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반경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본체 충전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2.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사이사이에서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되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본체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3. 구강 내의 치조골에 천공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픽스츄어본체;
    상기 픽스츄어본체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수나사부; 및
    상기 수나사부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의 표면으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치조골의 골 형성에 필요한 골 형성 물질이 충전 가능한 나사부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CT/KR2010/002962 2009-06-19 2010-05-1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147305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90000943XU CN202776601U (zh) 2009-06-19 2010-05-10 牙科植体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80A KR101092312B1 (ko) 2009-06-19 2009-06-19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09-0055180 200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7305A2 true WO2010147305A2 (ko) 2010-12-23
WO2010147305A3 WO2010147305A3 (ko) 2011-03-24

Family

ID=4335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2962 WO2010147305A2 (ko) 2009-06-19 2010-05-1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092312B1 (ko)
CN (1) CN202776601U (ko)
WO (1) WO201014730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04A (ko) * 2017-08-18 2019-02-27 박용덕 임플란트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33B1 (ko) * 2011-02-11 2012-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픽스쳐
WO2013030835A1 (en) 2011-08-29 2013-03-07 David Regev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s for accessing intra cavity areas therethrough
KR101293966B1 (ko) * 2012-09-12 2013-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IL230833A0 (en) *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CN105796194A (zh) * 2014-12-29 2016-07-27 上海新世纪齿科材料有限公司 口腔种植体
CN105662621B (zh) * 2016-02-23 2018-10-19 浙江工业大学 一种可携带药物缓释系统的多孔牙种植体及其制造方法
KR102096885B1 (ko) * 2017-12-04 2020-04-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90374312A1 (en) * 2018-06-07 2019-12-12 Taiwan Shan Yin International Co., Ltd. Implant device
CN109965996A (zh) * 2019-03-19 2019-07-05 湖南省紫百合义齿科技有限公司 一种钽钽铌合金牙种植体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291A1 (en) * 2002-12-30 2006-01-05 Jan Hall Implant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4755A (en) 1986-08-13 1988-05-17 Ross Systems Corporation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JPH0194846A (ja) * 1987-10-05 1989-04-13 Noriyuki Nagai 歯科用インプラント部材
EP1070485B1 (en) 1999-07-19 2004-12-15 Uimberto Tramonte Silvano Dental endosseous im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3291A1 (en) * 2002-12-30 2006-01-05 Jan Hall Implant arran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604A (ko) * 2017-08-18 2019-02-27 박용덕 임플란트 조립체
KR102002218B1 (ko) 2017-08-18 2019-10-21 박용덕 임플란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76601U (zh) 2013-03-13
KR20100136848A (ko) 2010-12-29
WO2010147305A3 (ko) 2011-03-24
KR101092312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47305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131879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6769913B2 (en) Impression cap
US6840770B2 (en) Expandable polymer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use
EP0237505B1 (en) Anchoring member for permanent anchorage in bone tissue
AU2003300196B2 (en) Dental implant system
WO2010098543A2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US20020004189A1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WO2009142429A2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JP2000300582A (ja) 歯内骨内根形状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インプラント延長部
KR10112213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3077672A1 (ko) 힐링 어버트먼트
WO2013151258A1 (ko) 각도조절과 위치조절이 자유로운 틀니 고정용 어태치먼트
WO2015068945A1 (ko) 스파이크 고정형 임플란트 및 이의 식립방법
WO2019240478A1 (ko)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WO2010126301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0090399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WO2015012431A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WO2023085641A1 (ko) 다중지지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WO2010085058A2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WO2012161356A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WO2015115692A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90000943.X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896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896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