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40809A2 -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 Google Patents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40809A2
WO2010140809A2 PCT/KR2010/003488 KR2010003488W WO2010140809A2 WO 2010140809 A2 WO2010140809 A2 WO 2010140809A2 KR 2010003488 W KR2010003488 W KR 2010003488W WO 2010140809 A2 WO2010140809 A2 WO 201014080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efibrillator
alarm sound
generation
vibr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48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40809A4 (ko
WO2010140809A3 (ko
Inventor
김기창
최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네트웍스
Publication of WO201014080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0809A2/ko
Publication of WO201014080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0809A3/ko
Publication of WO2010140809A4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40809A4/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211Means for communicating with stimulators
    • A61N1/37252Details of algorithms or data aspects of communication system, e.g. handshaking, transmitting specific data or segmenting data
    • A61N1/37258Alerting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61N1/3931Protecting, e.g. back-up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having an anti-thef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a vibration sensor inside or outside the defibrillator, which is stored in a public place and used when an emergency patient occurs, and the vibration is more than a certain size and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ibrillator equipped with an anti-theft device to prevent theft of emergency relief equipment such as a defibrillator by generating an alarm sound in consideration of a theft accident.
  • the human heart has a command system that operates the myocardium in a certain order in order to release blood effectively.
  • the heart supplies blood to the arteries by repeating contraction and expansion in a certain order. If the heart does not move in a certain order, the heart cannot efficiently supply blood to the arteries.
  • ventricular fibrillation is a case where the ventricular muscles move disorderly.
  • ventricular fibrillation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atient may suffer irreparable fatal injury or even death.
  • the heart beats faster than normal, also called ventricular tachycardia.
  • a defibrillator is used to apply a predetermined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 the electric shock is applied to the patient, the heart of the patient operates normally.
  • the defibrillator is installed in an emergency room of an hospital or an ambulance, and when an emergency patient occurs, an electrode of the patient's chest is attached to a pulse of an appropriate size according to a biosignal.
  •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the defibrillator used in case of an emergency patient should be stored in a place that is easily accessible to the public and can be easily stolen.
  • a general citizen takes out a defibrillator and takes i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ft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taken for the purpose of theft or for an emergency patient to use it.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with an anti-theft device including a vibration sensor inside or outside the defibrillator, and to generate an alarm sound only when the use is not legitimate use to distinguish the alarm from theft and party u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ibrillator equipped with an anti-theft device to ring.
  • the defibrillator which is provided in a public place and is easily accessible to anyone, so that it can be used by emergency patients in need, and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can reduce the budget.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fibrillator.
  •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nti-theft process of the defibrillator.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fibrillator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stored in a storage box installed in a public place, checks the heart rhythm of the emergency patient ventricular fibrillation or ventricular tachycardia occurs when the defibrillator is applied to the normal heart bea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defibrillator for detecting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efibrillator is moved or moved
  • an alarm sound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soun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included in the defibrillator,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alarm sound when the vibration sensor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generator.
  •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alarm sound to terminate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ound when vibration is not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vibration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wealth.
  •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detects that the power switch included in the defibrillator is turned 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larm sound generator to stop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oun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n electrode pad installed in the defibrillator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so that the human body is intrinsic to the human body.
  • the controller When detecting the impedance or the bio-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to terminate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ound.
  •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may control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when the alarm sound generation end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controller until a predetermined time passes after the alarm sound generation is start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alarm sound generator to terminate the generation of the alarm sound when the switch input is detected in a specific order or manner.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to generate an alarm sound when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a communication signal in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a defibril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fibrillator') equipped with an anti-thef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fibrillator.
  • the defibrill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112 for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ystem (not shown).
  •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and location of the defibrillator 100 to the management system, and provides emergency advice to the first responder about the use of the defibrillator 100 at a remote location. .
  •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communicates with a management system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the like.
  • the communication methods available in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include USN, Zigbee, CDMA, Bluetooth,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se, other communication protocols may be used.
  • the defibrillator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0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memory 104 for stor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fibrillator 100 and the alarm sound generation state. do.
  • the power supply unit 106 is configured of a DC rechargeable battery to generate an electric shock wav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f the defibrillator 100.
  • a storage box not shown
  • the pulse generator 108 generates an electric shock wave for recovering the heartbeat of the emergency pati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 the electrode pad 110 is attached to the chest of the emergency patient, the shock wave generated in the pulse generator 108 is applied to the human body.
  • the electrode pad 110 detects the heart rate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02 to determine whether the use of the defibrillator 100 is necessary.
  • the controller 102 checks the heartbeat of the emergency patient and applies an electric shock when ventricular fibrillation or ventricular tachycardia occurs. Make your heart beat.
  • the transmission of shock pulses and the detection of heart rate may be separate pads, in which case the pads should be attached at different positions. That is, the heart rate sensing pads may be installed on the wrist or neck and the electric shock pads near the heart.
  •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e of the defibrillator 100 (battery charging status, error message generation, pad and battery expiration date, periodic inspection date, etc.) to a remote administrator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built in the defibrillator 100, but may be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side.
  • FIG. 1 and 2 illustrate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is installed inside the defibrillator 100.
  • LED 114 is a part that blinks to inform the use state of the defibrillator 1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fibrillator 100 is stolen, it also serves to inform the user about the theft while blinking.
  • the alarm sound generator 116 displays the theft of the defibrillator 100 to the outside by sound or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 the place for storing the defibrillator 100 is a place where there are many public public,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overpower the perpetrator if it is known that theft is detected by the voice alarm.
  •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16 generates an alarm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2, and the alarm sound may increase the warning effect by increasing the volume more and more as time passes.
  • the vibration sensor 118 is a device that detects the vibration applied when the defibrillator 100 is moved to determine that the defibrillator 100 is moving. Vibration may be applied to the defibrillator 100 stored in places where citizens are free to go for various reasons. If an alarm sounds every time such a slight vibration is applied, management can be very cumbersome. Thus, the control unit 102 does not sound an alarm by considering that the vibration occurring only for a short time or a short time is not moved by the cutaway. Instead, if the vibration over a certain amount of time continu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larm sounds as if it is a movement by the percolator.
  • the vibration of a certain size typically means a vibration that occurs when a person carries the defibrillator 100 and moves
  • the constant time means that the vibration continues for a period of about 10 seconds to 1 minute.
  • the exact time can be set appropriately at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or.
  • the control unit 102 recognizes the stolen situation and controls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16 to generate an alarm sound.
  • the vibration sensor 118 may be integrally installed inside the defibrillator 100, but may be installed externally. When the vibration sensor 118 is installed on the outside, it should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efibrillator 100 and should not be easily damaged by the perforator. When the vibration sensor 118 is installed outside the defibrillator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vibration sensor 118 is installed inside a case or a bag accommodating the defibrillator 100.
  • the power switch 120 is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of the defibrillator 100. After the defibrillator 100 is moved to a place where an emergency patient occurs, the power switch 120 is pressed to start an operation.
  • On-off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120 can be set in a conventional manner.
  • the guide switch 122 is used to hear how to use the defibrillator 100.
  • pressing the guide switch 122 a pre-stored guidement is spoken. The user may proceed to first aid while listening to the announcement.
  • the power switch 120 and the guide switch 122 may also be used to release the alarm sound of the defibrillato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anti-theft process of the defibrillator.
  • the vibration sensor 118 detects the vibration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control unit 102 controls the alarm sound generating unit 116 to generate an alarm sound, and controls the LED 114 to light the light. To blink (S104).
  • the control unit 102 and the vibration sensor 118 change the volume or content of the alarm sound at regular time intervals while detecting whether the vibration continues or not, if the time is further continued. Makes this bigger and bigger.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vibration is detected and the alarm sounds for the first time, the volume of the alarm sound is set to 1, and if the vibration continues for 30 seconds, the volume is increased to 3, and if the vibration continues for 30 seconds, the volume is increased to 5 .
  • the defibrillator 100 may be easier to know. You can leave it.
  • the control unit 102 monitors whether the power switch 120 is input. (S108) If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is detected, it is likely that the power switch 120 is intended for use by an emergency treatment subject. The controller 102 controls the alarm sound generator 116 to prevent the alarm sound from being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S110) The controller 102 records the temporary release start time of the alarm sound in the memory 104. .
  • the time for temporarily disabling the alarm is preferably about 10 seconds to 1 minute. If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is not detected during this temporary release time, the alarm sound will continue.
  • the controller 102 monitors whether the electrode pad 110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 the biosignal of the patient may be grasped so that the electrode pad 110 may be distinguished from the one attached to the non-human body. Therefore, when it is recognized that it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can be estimated that the defibrillator 100 is being used for a legitimate purpose, the control unit 102 completely releases the alarm sound (S114).
  • the person who moved the defibrillator 100 for the purpose of cutting may repeat the operation to temporarily stop the alarm sound by pressing the power switch 120 when the alarm sound occurs. That is, if the alarm sound is generated again over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alarm sound is temporarily released, the power switch 120 may be additionally pressed, and the movement may be continued while pressing the power switch 120 again after a certain tim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prevention of theft by the generation of an alarm sound, cannot be achieved. In order to prevent such repeated alarm sound releas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number of temporary alarm sounds released by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 the controller 102 records the number of times the alarm sound is canceled due to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and if the number exceeds the preset number, the controller 102 does not release the alarm sound even when the power switch 120 is pressed again.
  • the number of times for prohibiting repetition of the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may be freely determined from 1 to 5 times.
  • the use of the defibrillator 100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n input of the power switch 120 or upon detection of a normal heartbeat. It ends (S116).
  • the manager After placing the defibrillator 100 in the storage box, the manager initializes the defibrillator 100 by pressing a switch in a predetermined manner.
  • the guide switch 122 is pressed for 2 seconds, or another method is used to determine how to press the switch. Since the input method is managed so that it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by the administrator, if the input method is correct, it can be recognized as a just administrator.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ternal components of the defibrillator of FIG. 4.
  • the communication module 112 is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defibrillator 100. 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set to be located outside the defibrillator 100 '. .
  •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located outside the defibrillator 100 ′ and exchanges data with the defibrillator 100 ′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 Infrared communication is most typical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but oth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may be applied.
  • the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for this purpose, the defibrillator 100 ′ is provided with an infrared receiver 130.
  • Communication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efibrillator (100 ') by interference fit method, the defibrillator (1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accommodated in a detachable storage bag that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Velcro or buckle It is also possible to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uch. In this case, the bag in which the defibrillator 100 'is stored and the bag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stored need to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not be separated or easily separated.
  • the vibration sensor 118 may also be installed outside the defibrillator 100' like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grasps the current state of the defibrillator 100 'and send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so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fibrillator 100' can be roughly grasped.
  •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and the management system may use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taker steals the defibrillator (100 ') and forcibly separates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even if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defibrillator (100'). Controls the alarm sound generator 116 to generate an alarm sound. Particularly, if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s forcibly separated, there is a great possibility that theft is caused by a perpetrator except in a special case. Therefore, when separating the communication module 200,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alarm sound at the maximum volume from the begin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응급환자 발생시에 사용되는 제세동기 내부 또는 외부에 진동센서를 설치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 그리고 일정한 시간 동안 진동이 감지될 경우, 도난사고라고 간주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세동기와 같은 응급구호장비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세동기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실제 필요한 응급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부 또는 지자체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본 발명은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응급환자 발생시에 사용되는 제세동기 내부 또는 외부에 진동센서를 설치하고, 일정한 크기 이상 그리고 일정한 시간 동안 진동이 감지될 경우, 도난사고라고 간주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세동기와 같은 응급구호장비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심장은 혈액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기 위하여 심근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작용시키는 명령체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심장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수축과 팽창을 되풀이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한다. 만약, 심장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으면 심장은 효율적으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할 수 없다.
심장이 일정한 순서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이라 하는데, 심실세동은 심실근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경우이다.
심실세동이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되면 환자는 회복할 수 없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거나 사망할 수도 있다.
또한 정상적인 경우보다 심장이 더 빨리 뛰는 것을 심실빈맥이라고 한다.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세동기(Defibrillator)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소정의 전기충격을 가하게 되는데, 환자에게 전기충격이 가해지면 환자의 심장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세동기는 병원 응급실이나 구급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환자의 가슴에 전극을 부착한 상태에서 생체신호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펄스를 가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인들이 공공장소에서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을 일으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에는 현장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해 주어야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 공공장소에 자동 외부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를 설치하고, 응급상황시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응급환자 발생시에 사용하는 제세동기는 일반인들의 접근이 쉽고 눈에 잘 띄는 곳에 보관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에 따라 도난사고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일반 시민이 제세동기를 꺼내서 가져갈 경우, 도난을 목적으로 가져가는 것인지 아니면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세동기 내부 또는 외부에 진동센서를 포함한 도난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정당한 사용이 아닌 경우에만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도난사고와 정당 사용을 구분하여 경보음을 울릴 수 있도록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제세동기의 도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실제 필요한 응급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정부 또는 지자체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제세동기의 도난방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4의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된 보관함 내부에 보관되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세동기로서, 상기 제세동기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세동기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제세동기에 포함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에 일정한 시간동안 연속해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에 일정한 시간동안 진동이 감지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고 있는 중에 일정한 시간동안 연속해서 상기 진동센서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세동기에 포함된 전원스위치가 켜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일정한 시간동안 경보음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세동기에 설치된 전극패드가 인체에 부착되어 인체 고유의 임피던스 또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경보음의 발생이 시작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음 발생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음의 음량을 더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특정한 순서 또는 방식으로 스위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모듈과의 접속이 끊어질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이하, '제세동기'라 함)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세동기(100)는 관리시스템(도면 미도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12)이 구비된다. 통신모듈(112)은 현재 제세동기(100)의 상태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시스템에 전송하며, 응급환자 발생시 응급처치자에게 제세동기(100)의 사용에 대한 조언을 원격지에서 할 수 있도록 해준다.
통신모듈(112)은 근거리통신망, 이동통신망, 휴대인터넷망 등을 통해 관리시스템과 통신을 하게 되는데, 통신모듈(112)에서 사용가능한 통신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USN, Zigbee, CDMA, Bluetooth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방식의 통신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제세동기(100)에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부(102)가 구비되며, 제세동기(100)의 동작상황과 경보음 발생상황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04)가 구비된다.
전원부(106)는 직류 충전지로 구성되어 응급상황에서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제세동기(100)의 동작과 통신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세동기(100)가 보관함(도면 미도시)에 보관 중일 때에는 충전단자를 이용해 전원부(106)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발생부(108)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응급환자의 심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한 전기충격파를 발생시킨다. 전극패드(110)는 응급환자의 가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펄스발생부(108)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인체에 가해지도록 한다. 또한 전극패드(110)는 응급환자의 심박동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02)에 전달함으로써 제세동기(100)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공공장소에서 심장질환이 발생하여 쓰러진 응급환자의 몸에 전극패드(110)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어부(102)는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충격펄스의 전달과 심박동수의 감지를 별개의 패드로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패드를 부착하여야 할 것이다. 즉 심박동 감지패드는 손목이나 목에, 전기충격패드는 심장과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통신모듈(112)은 무선통신을 이용해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제세동기(100)의 현상태에 관한 정보(배터리 충전상태, 오류메세지 발생여부, 패드 및 배터리 유효기간, 정기점검일 등)를 전송하는 부분으로서, 제세동기(100)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지만, 외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과 2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112)이 제세동기(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한다.
LED(114)는 제세동기(100)의 사용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점멸하는 부분이며, 제세동기(100)가 도난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깜박거리면서 도난 사실을 주위에 알리는 역할도 한다.
경보음 발생부(116)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음향이나 음성으로 제세동기(100)의 도난 사실을 외부에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제세동기(100)를 보관하는 장소는 공공 대중이 많은 곳이므로, 음성 경보음에 의해 도난 사실이 알려지면 쉽게 절취자를 제압할 수 있을 것이다.
경보음 발생부(116)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서 경보음을 발생하는데, 경보음은 시간이 지날수록 음량이 점점 더 커지게 함으로써 경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진동센서(118)는 제세동기(100)의 이동시에 가해지는 진동을 감지하여 제세동기(100)가 이동중임을 파악하는 장치이다. 시민들이 자유롭게 오고가는 곳에 보관되는 제세동기(100)에는 갖가지 원인에 의해 진동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소한 진동이 가해질 때마다 경보음이 울린다면 관리가 무척 번거로워질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02)는 미약하거나 짧은 시간 동안만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절취자에 의한 이동이 아니라고 간주하여 경보음을 울리지 않도록 한다. 대신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진동이 일정한 시간 이상 계속 되는 경우에는 절취자에 의한 이동이라고 간주하여 경보음을 울리게 된다.
여기서 일정한 크기의 진동이란 통상적으로 제세동기(100)를 사람이 들고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정도의 진동을 의미하며, 일정한 시간이란 10초 내지 1분 정도의 시간동안 계속해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확한 시간에 관해서는 관리자의 재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진동센서(118)에서 심한 진동이 약 1분 이상 지속된다면 제어부(102)는 도난 상황으로 인식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경보음 발생부(116)를 제어한다.
진동센서(118)는 제세동기(100)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진동센서(118)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세동기(100)와 쉽게 분리가 되지 않아야 하며, 절취자에 의해 용이하게 훼손되어서도 안된다. 진동센서(118)가 제세동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세동기(100)를 수납하는 케이스나 가방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스위치(120)는 제세동기(10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버튼으로서, 응급환자가 발생한 곳에 제세동기(100)를 이동시킨 후, 전원스위치(120)를 눌러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전원스위치(120)의 온오프 동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안내스위치(122)는 제세동기(100)의 사용방법을 들을 때 사용한다. 응급처치에 익숙지 않은 일반시민이 제세동기(100)를 사용할 때, 안내스위치(122)를 누르면 미리 저장된 안내멘트가 음성으로 표현된다. 사용자는 안내멘트를 들으면서 응급처치를 진행할 수 있다.
전원스위치(120)와 안내스위치(122)는 제세동기(100)의 경보음 해제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제세동기의 도난방지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제세동기(100)를 사용하기 위해 보관함에서 꺼내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절취자에 의해 제세동기(1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제세동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진동센서(118)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진동을 일정한 시간 이상 감지한다.(S102)
진동센서(118)가 미리 설정된 크기 및 시간 이상으로 진동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02)는 경보음 발생부(116)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LED(114)를 제어하여 불빛이 깜박이도록 한다.(S104)
그리고 제어부(102)와 진동센서(118)는 진동의 지속 여부를 감지하면서 시간이 더 지속되면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경보음의 음량이나 내용을 변화시킨다.(S106)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경보음이 점점 더 커지게 한다. 다시 말해서 처음 진동이 감지되어 경보음을 최초로 발생할 때에는 경보음의 음량을 1로 하고, 30초 동안 진동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음량을 3으로, 그 이후에도 30초 동안 진동이 계속되면 음량을 5로 높여준다.
따라서 정당한 사용자라면 경보음의 변화를 통해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응급처치 대상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접근하려고 노력할 것이고, 절취자라면 주변 사람들에게 절취 사실이 더 쉽게 알려질 수 있으므로 제세동기(100)를 놓고 갈 수도 있을 것이다.
경보음이 계속되는 동안에 제어부(102)는 전원스위치(120)가 입력되는지를 감시한다.(S108) 만약 전원스위치(120)의 입력이 감지된다면 이는 응급처치 대상자에게 사용하기 위한 것일 확률이 높으므로, 제어부(102)는 경보음 발생부(116)를 제어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경보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S110) 제어부(102)는 메모리(104)에 경보음의 임시 해제 시작시간을 기록하여 둔다.
임시로 경보를 해제하는 시간은 10초 내지 1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임시 해제 시간동안 전원스위치(12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경보음의 발생이 계속되고 있을 것이다.
임시로 경보가 해제된 상황에서 제어부(102)는 전극패드(110)가 인체에 부착되는지를 감시한다. 전극패드(110)가 인체에 부착되면 환자의 생체신호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인체가 아닌 다른 곳에 부착한 것과는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체에 부착된 것이 인식되면 제세동기(100)가 정당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2)는 경보음의 발생을 완전히 해제한다.(S114)
만약 임시로 경보가 해제된 상태에서 전극패드(110)의 부착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경보의 임시 해제를 취소하고 다시 경보음 발생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절취를 목적으로 제세동기(100)를 이동시키던 사람이 경보음이 발생한 상황에서 전원스위치(120)를 눌러서 임시로 경보음 발생을 중단시키는 동작을 반복하여 할 수도 있다. 즉, 임시로 경보음이 해제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나서 다시 경보음이 발생하면 추가로 전원스위치(120)를 누르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전원스위치(120)를 누르면서 계속 이동을 시킬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경보음 발생에 의한 도난방지라는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경보음 해제를 막기 위해 전원스위치(120)의 입력에 의한 임시적인 경보음의 해제 회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제어부(102)는 전원스위치(120)의 입력으로 인해 경보음이 해제되는 회수를 기록하고, 미리 설정된 회수를 넘어서게 되면 전원스위치(120)를 다시 눌러도 경보음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전원스위치(120) 입력의 반복 금지를 위한 설정회수는 1회에서 5회까지 자유롭게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몸에 전극패드(110)가 부착되어 인체의 고유한 임피던스가 감지되거나 심박동이 감지되면 전원스위치(120)의 입력에 의해 또는 정상 심박동의 감지에 따라 자동으로 제세동기(100)의 사용이 종료된다.(S116)
사용이 종료된 제세동기(100)는 관리자에 의해 보관함으로 이동하게 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스위치를 입력하면 다시 도난방지 감시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S118) 일반적으로 제세동기(100)의 사용이 종료될 정도의 시간이라면 응급구호센터의 요원들이 현장에 출동해 있을 것이다. 또는 제세동기(100)를 관리하는 책임자가 나와있을 수도 있다. 제세동기(100)의 사용이 종료된 때에는 이들 관리자에 의해 다시 보관함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관리자는 보관함에 제세동기(100)를 안치한 후, 정해진 방법으로 스위치를 눌러서 제세동기(100)를 초기화시킨다.
예를 들어 전원스위치(120)를 2초간 누른 후, 안내스위치(122)를 2초간 누른다든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스위치를 누르는 방법을 정한다. 이러한 입력방법은 관리자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관리되므로, 입력방법이 맞을 경우 정당한 관리자라고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세동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세동기의 내부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112)이 제세동기(100)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두 번째 실시예에서는 제세동기(100')의 외부에 통신모듈(200)이 위치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통신모듈(200)은 제세동기(100')의 외부에 위치하며,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제세동기(100')와 주고받게 된다. 무선통신방식으로는 적외선 통신이 가장 대표적이지만, 다른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 통신방식을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제세동기(100')에는 적외선 수신부(130)가 구비된다.
통신모듈(200)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제세동기(10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수납가방에 제세동기(100')와 통신모듈(200)이 수용되어 벨크로나 버클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세동기(100')가 수납된 가방과 통신모듈(200)이 수납된 가방은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을 정도로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통신모듈(200)이 제세동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진동센서(118) 역시 통신모듈(200)과 같이 제세동기(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통신모듈(200)은 제세동기(100')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여 관리시스템으로 정보를 보내는 역할을 하므로, 제세동기(100')의 현재 위치를 개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통신모듈(200)과 관리시스템 사이의 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통신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절취자가 제세동기(100')를 훔치면서 통신모듈(200)을 강제로 분리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통신모듈(200)이 제세동기(100')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02)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경보음 발생부(116)를 제어한다. 특히 통신모듈(200)을 강제로 분리하는 경우라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취자에 의한 도난사고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통신모듈(200)을 분리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최대의 음량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공공장소에 설치된 보관함 내부에 보관되며, 응급환자의 심장박동을 체크하여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이 발생하면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적인 심장박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세동기로서,
    상기 제세동기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세동기를 움직이거나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제세동기에 포함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에 일정한 시간동안 연속해서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센서에 일정한 시간동안 진동이 감지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고 있는 중에 일정한 시간동안 연속해서 상기 진동센서를 통해 진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세동기에 포함된 전원스위치가 켜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일정한 시간동안 경보음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세동기에 설치된 전극패드가 인체에 부착되어 인체 고유의 임피던스 또는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음 발생부는
    상기 경보음의 발생이 시작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날 때까지 상기 제어부로부터 경보음 발생 종료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경보음의 음량을 더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한 순서 또는 방식으로 스위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경보음의 발생을 종료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모듈과의 접속이 끊어질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PCT/KR2010/003488 2009-06-03 2010-06-01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WO2010140809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64 2009-06-03
KR1020090048964A KR100989070B1 (ko) 2009-06-03 2009-06-03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0809A2 true WO2010140809A2 (ko) 2010-12-09
WO2010140809A3 WO2010140809A3 (ko) 2011-03-31
WO2010140809A4 WO2010140809A4 (ko) 2011-05-26

Family

ID=4313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488 WO2010140809A2 (ko) 2009-06-03 2010-06-01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9070B1 (ko)
WO (1) WO201014080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1642A1 (es) * 2017-11-02 2019-05-06 Automated Devices S L Sistema de desfibriladores y proceso de control del estado de cada uno de ellos mediante un dispositivo comunicador acoplado en su interi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799B1 (ko) 2011-03-08 2011-06-03 (주)나눔테크 공공시설용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KR101255088B1 (ko) 2012-11-28 2013-04-19 (주)나눔테크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사용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22Y1 (ko) * 1999-08-18 2000-02-15 다이아몬드전자주식회사 진동센서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0173291Y1 (ko) * 1999-09-21 2000-03-15 주식회사디프로매트 금고용 도난경보기
KR200329066Y1 (ko) * 2003-07-15 2003-10-04 아그니 시스템 (주) 비상용구 함
JP2008210193A (ja) * 2007-02-27 2008-09-11 Chiiki Keikaku Center:Kk 盗難防止装置
KR20080087249A (ko) * 2007-03-26 2008-10-01 전태구 보관함 도난방지 무선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22Y1 (ko) * 1999-08-18 2000-02-15 다이아몬드전자주식회사 진동센서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0173291Y1 (ko) * 1999-09-21 2000-03-15 주식회사디프로매트 금고용 도난경보기
KR200329066Y1 (ko) * 2003-07-15 2003-10-04 아그니 시스템 (주) 비상용구 함
JP2008210193A (ja) * 2007-02-27 2008-09-11 Chiiki Keikaku Center:Kk 盗難防止装置
KR20080087249A (ko) * 2007-03-26 2008-10-01 전태구 보관함 도난방지 무선경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11642A1 (es) * 2017-11-02 2019-05-06 Automated Devices S L Sistema de desfibriladores y proceso de control del estado de cada uno de ellos mediante un dispositivo comunicador acoplado en su interi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070B1 (ko) 2010-10-25
WO2010140809A4 (ko) 2011-05-26
WO2010140809A3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796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pediting the rescue of victims experiencing sudden cardiac arrest (SCA)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S11690781B2 (en) Mobile device control
US5782878A (en) External defibrillator with communications network link
JP5659215B2 (ja) 救助者が患者を蘇生させるのを支援する蘇生装置
US6697671B1 (en) Visual and aural user interface for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N1921906A (zh) 用于播送来自于外部除纤颤器的可听信息提示的方法和设备
US9987496B2 (en) Wearable cardiac defibrillator (WCD) poking the patient when not ready for use
US200702709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ed defibrillator
JP2017506148A (ja) 体外式除細動器
EP1006871A1 (en)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medical conditions
WO2002060529A2 (en) A remotely operated defibrillator
CN109171686A (zh) 一种智能可穿戴医疗设备及家庭便携式实时监测系统
WO2020141644A1 (ko) 자동심장충격기의 패드 부착 안내시스템 및 그 부착 안내방법
WO2010140809A2 (ko) 도난방지장치가 구비된 제세동기
KR101255088B1 (ko) 사용자 인식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보관함 사용시스템
US20090112274A1 (en) Defibrillator with remote region on its casing
KR20130026006A (ko) 자동제세동기 관리 시스템
WO2023108042A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KR101069421B1 (ko) 동영상 기능을 갖는 제세동기
CN109843375A (zh) 用于自动体外除颤器(aed)的一次性检测器
KR101968492B1 (ko) 테이저 제세동기
RU2673373C1 (ru) Способ общедоступ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наружной дефибрилляции
CN219815042U (zh) 一种体外除颤设备
WO2008107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 external defibrillator
AU8426798A (en) Remote monitoring apparatus for medical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83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835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