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95799A1 -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95799A1
WO2010095799A1 PCT/KR2009/006177 KR2009006177W WO2010095799A1 WO 2010095799 A1 WO2010095799 A1 WO 2010095799A1 KR 2009006177 W KR2009006177 W KR 2009006177W WO 2010095799 A1 WO2010095799 A1 WO 20100957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late
movement
base plate
slid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61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Publication of WO20100957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957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assembly and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te assembly and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having the sliding part and the main body of the slide phon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lide phone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sliding part 220 provided with a screen.
  • the sliding unit 220 i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such a coupling structure is known in various form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8-90884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848,400.
  •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not only very difficult to increase the stroke, bu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sliding portion does not operate smoothly.
  • the link plate and the link frame have to be lengthened, but in this structure, the width of the rotation trajectory of the link is large and the friction force acts accordingly.
  • the stopping distance of the middle part of the slide is also increased. Therefore, even if the sliding part is not pushed up, the interval for artificially pushing up the point where the sliding part automatically slides, that is, the force conversion point becomes long, thereby reducing the naturalness of the operation of pushing the sliding part.
  •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d to be provided in a very limited and narrow space in order to avoi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sliding portion from interfering with the sliding portion. Therefore, the longer the stroke, the more difficult it becomes to selec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part naturally even in the sliding phone that requires a large stroke and minimize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art It is to provide a sufficient assembly spac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further improve the plate assembly and the sliding assembly for the slide phone having the structure to minimize the wear and noise caused by the friction.
  • the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e; A first movement pl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reciprocate linearly mov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A first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such that the first movement plate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late; The first pl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plate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disposed so that one side surface of the base plate facing the opposite direction Two movement plates;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to elastically bias the second movement plat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 the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is a fixed plate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slide phone; A sliding plate coupled to the sliding part of the slide phone; A base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liding plate; A first movement pl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base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ing pl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liding plate; A first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such that the first movement plate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late; I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so as to reciprocate linear moveme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plate with respect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is disposed so that one side of the base plate is fac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 second movement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liding plate;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to elastically bias the second movement plate in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 the sliding assembly for another type of slide phone is fixed plate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lide phone; A sliding plate coupled to the sliding part of the slide phone; A base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liding plate; A first movement plate coupled to the base plate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from the base plate and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and the sliding plate; A first elastic member inter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an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a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plate; A second movement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vement plate and coupled to the base plate so as to reciprocate linearly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A second elastic member interconnecting the base plate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and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in a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movement plate; The first movement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movement plate to reciprocate linearly move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from the first movement plat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ing plate.
  • the sliding portion is stopped by the frictional force in the vicinity of the change point of the force that the sliding portion is automatically pushed up even if the sliding portion of the sliding phone is not pushed up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phone.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ance. Therefore, even in a sliding phone which requires a large stroke, an operation of pushing up the sliding part of the sliding phone can be naturally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 sufficient space for install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cts on the plate assembly in a balanced manner. Therefore, wear of the link due to friction can be minimized even after a long time operation, and friction noise can be minimized.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lide phone.
  •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assembly shown in FIG.
  • FIG. 4 is a rear view of the plate assembly shown in FIG. 2.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assembly shown in FIG.
  •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blem occurring in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liding assembly.
  • 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lide phone
  • Figure 2 is a schematic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ssembly for a slide 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chematic separation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assembly shown in Figure 2 4 is a rear view of the plate assembly shown in FIG. 2.
  • the sliding assembly 1 for a slide phone has a sliding part 220 of the portable slide phone 200 shown in FIG. 1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10 of the slide phone. It is provided to slide and installed inside the slide phone 20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main body 210 includes a batter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 keypad for operation is installed, and a sliding part 220 is provided with a keypad for operating the sliding phone 200 and a screen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 the sliding assembly 1 includes a fixed plate 110, a sliding plate 120, and a plate assembly 100.
  • the fixed plate 11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10 of the slide phone.
  • the sliding plate 120 is coupled to the sliding portion 220 of the sliding phone.
  • the plate assembly 100 connects the fixed plate 110 and the sliding plate 120.
  • the plate assembly 100 includes a base plate 10, a first movement plate 20, a first elastic member 30, a second movement plate 4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50. .
  • the base plate 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s a whol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110 and the sliding plate 120.
  • a plurality of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spring receiving holes 12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0.
  •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are each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equal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receiving holes 12 are also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equal interva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one direction.
  • the center axis of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accommodation holes 12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axes of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accommodation holes 11.
  • Each first spring receiving hole 11 is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10
  • each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12 is formed to be open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0.
  •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0 is a plane formed to fac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0, the other side of the base plate 10 is direc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one side Flat.
  • first guide holes 13 and second guide holes 14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0.
  • the pair of first guide holes 13 ar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plat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Each first spring receiving hole 11 is disposed betwee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guide hole 13.
  • the pair of second guide holes 14 are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that is,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movement plate,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 Each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12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axes of the second guide holes 14.
  • the first guide hole 13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first plane of the base plate 10
  • the second guide hole 14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second plane of the base plate 10.
  • the first plane and the second plane are planes faci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 plate 10 but opposite to each other.
  • the open portion 131 of the first guide hole 13 and the open portion 141 of the second guide hole 14 are each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110 and the sliding plate 120.
  •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ivot pin 121 with respect to the sliding plate 120.
  • the pivot pin 121 is coupled to the sliding plate 120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20 together.
  •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the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
  • a plurality of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are formed in the first movement plate 20.
  •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are each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first guide rods 22 and a pair of first locking protrusions 23 are formed on the first movement plate 20.
  • the pair of first guide rods 22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guide holes 13, respectively.
  • the pair of first catching protrusions 23 protrude from the pair of first guide rods 22, respectively, and are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s 131 of the first guide hole, respectively, of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t interlocks with linear movement and moves linearly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hole 13. Since the pair of first catching protrusions 23 are caught in contact with one sid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guide holes 13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detachment of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prevented. .
  • the first elastic member 30 interconnects the base plate 10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20.
  • the first elastic member 30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21).
  • the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30 ar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movement plate 20, respectively, and are composed of compression coil springs.
  • the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30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 a plurality of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3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pressed against the base plate 10, the first elastic member 30 is compressed and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ovement plate 20 approaches the base plate 10.
  • the first movement plate 20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 first movement plate 20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late 1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 the plurality of first elastic members 30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receiving holes 11 separately,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adjacent first elastic members 30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s are deformed. This does not happen.
  •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also disposed between the fixed plate 110 and the sliding plate 120 like the first movement plate 20.
  • the base plate 1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20, the base plate 10, the first movement plate 20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s a whole.
  •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rotatably coupled around the pivot pin 111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plate 110.
  • the pivot pin 111 is coupled to the fixed plate 110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together.
  •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late 10.
  • a plurality of second spring support rods 4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receiving holes 12 are formed in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support rods 41 are each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support rods 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one direc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cond guide rods 42 and a pair of second locking projections 43.
  •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42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pair of second guide holes 14, respectively.
  • the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43 protrude from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42, respectively, and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open portions 141 of the second guide hole 14 so that the second movement plate ( 40 is linearly moved along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second guide hole 14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Since the pair of second catching protrusions 43 are caught in contact with one sid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guide holes 13 i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detachment of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prevented. .
  •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connects the base plate 10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to each other.
  •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is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bar (41).
  •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members 50 ar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respectively, and are composed of compression coil springs.
  •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members 50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spring receiving holes 12, respectively.
  • a plurality of second spring support rods 42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members 5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pressed against the base plate 10,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is compressed,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linearly moves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ase plate, thereby releasing the pressing.
  •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linearly moves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late 1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 the plurality of second elastic members 50 are separate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receiving holes 12,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s 50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second elastic members 50 are deformed. No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m.
  • the plurality of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the plurality of second spring support rods 41, the pair of first guide rods 22, and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42 are all formed on the base plate 10. It is arranged to be face symmetric about an imaginary pla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 the plate assembly 100 when the sliding part 220 is pushed up, the plate assembly 100 is positioned at the final position through the point of change of forc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as shown in FIG. 5. In this process, the components of the plate assembly 100 rotate about the pivot pins 111 and 121. In addition, the first movement plate 20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is compressed to the maximum by the force pushing up the sliding portion 220 to the conversion point, after which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nd Sin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acts, the sliding plate 120 automatically moves linearly to the final posi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the force.
  • the stroke is larger than in the prior art.
  • the distance moving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120 that is, the width direction.
  • the amount of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plate assembly 1 is reduced.
  • the sliding part 220 is automatically pushed when the sliding part 220 is pushed up. Si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ance at which the sliding portion stops near the conversion point of the rising force, the operation of pushing up the sliding portion 220 can be made naturally.
  •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50 is the first movement plate 20.
  • the second motion plate 40 in a balanced manner. Therefore, even when used by Jangsi,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wear of the base plate 10, the first movement plate 20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by friction and further reduce noise caused by friction.
  • the sliding assembly of this embodiment i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satisfy the design conditions that require a long stroke.
  • the sliding assembly 1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signed to easily satisfy the design conditions as shown in FIG. 5.
  • the plate assembly of the sliding assembly described in the prior art even if it is difficult to meet the design conditions from Figures 6 and 7 even if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mechanism is unstable and the dur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two plates constituting the plate assembl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ur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length and the maximum compression length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that is, the displacement amount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problem is that the service life is considerably shortened.
  • the relative movement distance of the plates that is, the length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iding direction is greatly increased to 23.77 mm, so that the sliding part is slidably.
  •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also increase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and the first guide rod are formed on the first movement plate
  •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and the second guide rod are formed on the second movement plate
  • the first spring receiving hole and the second plate are formed on the base plate.
  • Plate assembly is configured to form a spring receiving hole, the first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 the first spring receiving hole (not shown) and the first guide hole 13 are formed in the first movement plate 20a an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movement plate 40a. 12) and the second guide hole 14 is formed and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21,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41, the first guide rod 22 and the second guide rod 42 in the base plate (10a)
  • the plate assembly 100a may be configured to form the plate assembly 100a.
  • the first spring receiving hole and the first guide hole are formed in the first movement plate,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and the second guide rod are formed in the second movement plate,
  •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the first guide rod, the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can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 addition to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 the center axis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center axes of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but as shown in FIG. 9,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alternate with each other once. It can also be arranged to appear. That is, in the plate assembly 100b shown in FIG. 8, the center axis line of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21 and the center axis line of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41 are alternately arranged on the same plane. In additi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spring receiving hole 11 and the central axis of the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12 also appear alternately on the same plane.
  • the plate assembly 100c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air of first guide rods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as shown in FIG. 10.
  • each of the first spring support rods 21 is no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rods 22, but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guide rods 22. Is placed.
  • each second spring support rod 41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guide rods 42.
  • Each of the first guide rods 22 and the second guide rods 42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refore, the first guide hole 13 into which the first guide rods 22 are inserted is also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guide hole 14 into which the second guide rods 42 are inserted.
  • the first movement plate 20c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unlike the plate assembly 100 illustrated in FIG. 3, the first movement plate 20c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are disposed. Since the friction caused by the eccentricity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can be reduced, the first movement plate 20c and the second movement plate 40 operate more smoothly.
  • the first movement plate 20d is disposed between the third movement plate 60 and the base plate 10d so that the base plate 10d and the first movement plate 20d are disposed.
  • the third movement plate 60 are general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 a pair of third spring support rods 61 and a pair of third guide rods 62 are formed on the third movement plate 60, and a pair of third spring support rods 61 are formed on the first movement plate 20d.
  • a pair of third guide holes 25 into which a pair of third spring receiving holes 24 and a pair of third guide rods 62 are respectively inserted is formed.
  • a third catching protrusion 63 is formed to protrude from each of the pair of third guide rods 62, and the pair of third catching protrusions 63 are opened by the pair of third guide holes 25. It is inserted into the portion 251 and reciprocate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pen portion 251. Then, the third movement plate 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iding plate 120, the second movement plate 40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late (110).
  • the third elastic member 70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includes a pair of compression coil springs.
  • the pair of third elastic members 7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third spring receiving holes 24,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third elastic members 70 has a pair of third spring supporting rods 61, respectively. Is inserted.
  • the third elastic member 70 is compressed while the third movement plate 60 is the first movement plate 20d.
  • the third movement plate 60 is linearly mov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movement pl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hird elastic member (70).
  • the pair of third locking projections 63 are caught by one inner side surface of the pair of third guide holes 25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third movement plate 60.
  • a first spring receiving hole 11 and a first guide hole 13 are formed in the first movement plate 20d, and the first spring support rod 21 and the first guide rod 22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0d.
  • a second spring receiving hole 12 and a second guide hole 14 are formed, and the second spring support rod 41 and the second guide rod 42 are formed in the second movement plate 40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로크가 크게 요구되는 슬라이딩폰에 있어서도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되며 나아가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조립체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운동플레이트; 제1운동플레이트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대해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운동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본 발명은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부 및 본체부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폰(20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키패드가 구비된 본체부(210)와, 화면이 구비된 슬라이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부(220)는 본체부(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구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90884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48,400호 등에 다양한 형태로 공지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슬라이딩부(220)를 본체부(210)에 대해 슬라이딩시키는 거리인 스트로크, 즉 슬라이드폰을 사용하기 위해 슬라이딩부(220)를 밀어 올리는 거리를 증가시키는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에는 LCD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60mm 전후의 롱 스트로크에 대한 요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로는 스크로크를 크게 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부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90884호에 개시된 구조로 긴 스트로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링크 플레이트 및 링크 프레임이 길어져야 하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링크의 회전 궤적 폭이 커질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마찰력이 작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슬라이드 중간부분의 멈춤거리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를 밀어 올리지 않더라도 슬라이딩부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는 지점, 즉 힘의 변환 지점까지 인위적으로 밀어올리는 구간이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를 밀어올리는 동작의 자연스러움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48,400호에 개시된 구조로 긴 스트로크를 구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과정에서 마찰에 의한 마모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구성요소간의 유격이 증가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가 밀어올려지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소음도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스트로크가 작은 구조에 있어서도, 본체부 및 슬라이딩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슬라이딩부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이 매우 제한적이면서도 좁은 공간에 설치되어야만 했다. 따라서, 스트로크가 길어지면 질수록,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로크가 크게 요구되는 슬라이딩폰에 있어서도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어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되며 나아가 마찰에 의한 마모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조립체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대해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는 슬라이드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대해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는 슬라이드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1탄성부재;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3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조립체의 폭방향으로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슬라이딩폰의 슬라이드 동작시에 슬라이딩폰의 슬라이딩부를 밀어올리지 않더라도 슬라이딩부가 자동적으로 밀려 올라가는 힘의 변환점 부근에서 슬라이딩부가 마찰력에 의해 정지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트로크가 크게 요구되는 슬라이딩폰에 있어서도 슬라이딩폰의 슬라이딩부를 밀어올리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성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가 면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므로, 제1탄성부재 및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플레이트조립체에 균형있게 작용한다. 따라서, 장시간 동작 후에도 마찰에 의한 링크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마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슬라이드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조립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슬라이딩조립체를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은 슬라이드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슬라이드폰(200)의 슬라이딩부(220)를 슬라이드폰의 본체부(210)에 대해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드폰(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본체부(210)에는 배터리 및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고 조작을 위한 키패드도 설치되며, 슬라이딩부(220)에는 슬라이딩폰(200)의 조작을 위한 키패드 및 조작상태가 표시되는 화면이 구비된다. 슬라이딩조립체(1)는 고정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와, 플레이트조립체(100)를 구비한다.
고정플레이트(110)는 슬라이드폰의 본체부(210)에 결합된다.
슬라이딩플레이트(120)는 슬라이딩폰의 슬라이딩부(220)에 결합된다.
플레이트조립체(100)는 고정플레이트(110) 및 슬라이딩플레이트(120)를 연결한다. 플레이트조립체(100)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제1운동플레이트(20)와, 제1탄성부재(30)와, 제2운동플레이트(40)와, 제2탄성부재(50)를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 및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12)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은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은 일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12)도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호 등간격을 이루면서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12)의 중심축선은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의 중심축선 사이에 배치된다. 각 제1스프링수용공(11)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되며, 각 제2스프링수용공(12)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타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께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평면이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타측면은 일측면과 반대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에는 한 쌍의 제1가이드공(13) 및 제2가이드공(14)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가이드공(13)은 일방향, 즉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가이드공(13)의 중심축선 사이에는 각 제1스프링수용공(11)이 배치된다. 한 쌍의 제2가이드공(14)도 제1가이드공(13)과 마찬가지로 일방향, 즉 제2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가이드공(14)의 중심축선 사이에는 각 제2스프링수용공(12)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공(13)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제1평면쪽으로에 개방되게 형성되며, 제2가이드공(14)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제2평면쪽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평면 및 제2평면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두께방향을 향하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평면이다. 또한, 제1가이드공(13)의 개방된 부분(131) 및 제2가이드공(14)의 개방된 부분(141)은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운동플레이트(20)는 고정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된다. 제1운동플레이트(20)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대해 피봇핀(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피봇핀(121)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및 제1운동플레이트(20)에 함께 결합된다. 그리고, 제1운동플레이트(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운동플레이트(20)에는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에 대응되는 개수의 제1스프링지지봉(21)이 복수 형성된다.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21)은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21)은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운동플레이트(20)에는 한 쌍의 제1가이드봉(22) 및 한 쌍의 제1걸림돌기(23)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1가이드봉(22)은 각각 한 쌍의 제1가이드공(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제1걸림돌기(23)는 한 쌍의 제1가이드봉(22)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각각 제1가이드공의 개방된 부분(131)에 삽입되어 제1운동플레이트(20)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제1가이드공(13)의 형성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한 쌍의 제1걸림돌기(2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제1가이드공(13)의 일측 내측면에 접촉하여 걸리게 되므로 제1운동플레이트(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탄성부재(30)는 베이스플레이트(10) 및 제1운동플레이트(20)를 상호 연결한다. 제1탄성부재(30)는 제1스프링지지봉(2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1탄성부재(30)는 제1운동플레이트(20)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각각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1탄성부재(30)는 각각 제1스프링수용공(11)에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제1탄성부재(30)에는 각각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21)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1운동플레이트(20)를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해 누르면 제1탄성부재(30)가 압축되면서 제1운동플레이트(20)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누름을 해제하면 제1탄성부재(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운동플레이트(20)가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1탄성부재(30)는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11)에 각각 분리되게 삽입되어 있어서, 제1탄성부재의 변형시에 인접하는 제1탄성부재(3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2운동플레이트(40)도 제1운동플레이트(20)와 마찬가지로 고정플레이트(110)와 슬라이딩플레이트(1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운동플레이트(40)와 제1운동플레이트(20) 사이에는 베이스플레이트(10)가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 제1운동플레이트(2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는 전체적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2운동플레이트(40)는 고정플레이트(110)에 대해 피봇핀(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피봇핀(111)은 고정플레이트(11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에 함께 결합된다. 그리고, 제2운동플레이트(40)는 베이스플레이트(1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운동플레이트(40)에는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12)에 대응되는 개수의 제2스프링지지봉(41)이 복수 형성된다.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41)은 각각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41)은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2운동플레이트(40)에는 한 쌍의 제2가이드봉(42) 및 한 쌍의 제2걸림돌기(43)가 형성된다. 한 쌍의 제2가이드봉(42)은 각각 한 쌍의 제2가이드공(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제2걸림돌기(43)는 한 쌍의 제2가이드봉(42)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각각 제2가이드공(14)의 개방된 부분(141)에 삽입되어 제2운동플레이트(40)의 직선이동에 연동되어 제2가이드공(14)의 형성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한 쌍의 제2걸림돌기(43)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제2가이드공(13)의 일측 내측면에 접촉하여 걸리게 되므로 제2운동플레이트(40)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2탄성부재(50)는 베이스플레이트(1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를 상호 연결한다. 제2탄성부재(50)는 제2스프링지지봉(41)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2탄성부재(50)는 제2운동플레이트(40)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각각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제2탄성부재(50)는 각각 제2스프링수용공(12)에 삽입된다. 또한, 복수의 제2탄성부재(50)에는 각각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42)이 삽입된다. 따라서, 제2운동플레이트(40)를 베이스플레이트(10)에 대해 누르면 제2탄성부재(50)가 압축되면서 제2운동플레이트(40)가 베이스플레이트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누름을 해제하면 제2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운동플레이트(40)가 베이스플레이트(1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탄성부재(50)는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12)에 각각 분리되게 삽입되어 있어서, 제2탄성부재(50)의 변형시에 인접하는 제2탄성부재(5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21),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41), 한 쌍의 제1가이드봉(22) 및 한 쌍의 제2가이드봉(42)은 모두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평면에 대해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조립체(1)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부(220)를 밀어올리면 플레이트조립체(100)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준위치로부터 힘의 변환지점을 거쳐 최종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플레이트조립체(100)의 구성요소는 피봇핀(111,1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1운동플레이트(2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는 변환지점까지는 사용자가 슬라이딩부(220)를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최대로 압축되며, 그 이후에는 제1탄성부재(30) 및 제2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슬라이딩플레이트(120)가 자동으로 최종위치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운동플레이트(2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가 각각 베이스플레이트(10)를 중심으로 서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트로크를 종래에 비해 크게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플레이트조립체(1)의 구성요소가 슬라이딩플레이트(120)의 슬라이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조립체(1) 구성요소의 이동거리가 최소화되면, 플레이트조립체(1)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부(220)를 밀어올릴 때에 슬라이딩부(220)가 자동적으로 밀려 올라가는 힘의 변환지점 근처에서 슬라이딩부가 정지하는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므로, 슬라이딩부(220)를 밀어올리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조립체(100)의 구성요소가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30) 및 제2탄성부재(50)도 면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탄성부재(30) 및 제2탄성부재(50)의 탄성력이 제1운동플레이트(2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에 균형있게 인가된다. 따라서, 장시가 사용하더라도 베이스플레이트(10), 제1운동플레이트(20) 및 제2운동플레이트(40)가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마찰에 의한 소음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조립체는 긴 스트로크를 요구하는 설계조건을 쉽게 만족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조립체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구조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에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서 고정플레이트 및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생략되어 있다.
제1운동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된 피봇핀(111,121) 사이의 거리가 17.8mm로 규정되고 스트로크 길이, 즉 슬라이딩부(220)가 슬라이딩되는 최대 거리가 60mm로 규정되는 설계조건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조립체(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계조건을 쉽게 만족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슬라이딩조립체의 플레이트조립체는 도 6 및 도 7로부터 상기 설계조건을 만족하기 어렵고 설령 만족한다 하더라도 작동 메커니즘이 불안정하여 내구성이 상당히 떨어지게 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조립체를 구성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분리되고 나아가 압축코일스프링의 초기길이 및 최대압축길이 사이의 차이, 즉 변위량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의 수명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면 플레이트의 상대 움직임 거리, 즉 슬라이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23.77mmm로 크게 증가하게 되어 슬라이딩부가 안정적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나아가 압축코일스프링의 변위량도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증가하게 되어 압축코일스프링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는 제1운동플레이트에 제1스프링지지봉 및 제1가이드봉이 형성되고 제2운동플레이트에 제2스프링지지봉 및 제2가이드봉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에 제1스프링수용공, 제2스프링수용공, 제1가이드공 및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플레이트조립체가 구성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운동플레이트(20a)에 제1스프링수용공(미도시) 및 제1가이드공(13)이 형성되고 제2운동플레이트(40a)에 제2스프링수용공(12) 및 제2가이드공(14)이 형성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a)에 제1스프링지지봉(21), 제2스프링지지봉(41), 제1가이드봉(22) 및 제2가이드봉(42)이 형성되도록 플레이트조립체(100a)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제1운동플레이트에 제1스프링수용공 및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제2운동플레이트에 제2스프링지지봉 및 제2가이드봉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에 제1스프링지지봉, 제1가이드봉, 제2스프링수용공 및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2스프링지지봉의 중심축선이 제1스프링지지봉의 중심축선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나,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스프링지지봉 및 제2스프링지지봉이 서로 한 번씩 교대로 나타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100b)에 있어서는 제1스프링지지봉(21)의 중심축선 및 제2스프링지지봉(41)의 중심축선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나타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수용공(11)의 중심축 및 제2스프링수용공(12)의 중심축도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교번적으로 나타난다.
한편, 플레이트조립체(100c)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가이드봉이 각각 한 쌍의 제2가이드봉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100c)에 있어서, 각 제1스프링지지봉(21)은 한 쌍의 제1가이드봉(22) 사이에 배치되지 않고, 제1가이드봉(22)의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각 제2스프링지지봉(41)은 한 쌍의 제2가이드봉(4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각 제1가이드봉(22) 및 각 제2가이드봉(42)은 서로 인접한다. 따라서, 각 제1가이드봉(22)이 삽입되는 제1가이드공(13)도 각 제2가이드봉(42)이 삽입되는 제2가이드공(1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봉(13) 및 제2가이드봉(42)이 도 3에 도시된 플레이트조립체(100)와 달리 인접하게 배치되면, 제1운동플레이트(20c) 및 제2운동플레이트(40)의 슬라이딩 작동시 편심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제1운동플레이트(20c) 및 제2운동플레이트(40)가 보다 부드럽게 작동하게 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중심으로 제1운동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가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조립체에 제3링크플레이트 및 제3탄성부재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조립체의 플레이트조립체(100d)에서, 제3운동플레이트(60) 및 베이스플레이트(10d) 사이에서는 제1운동플레이트(20d)가 배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10d), 제1운동플레이트(20d) 및 제3운동플레이트(60)는 전체적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제3운동플레이트(60)에는 한 쌍의 제3스프링지지봉(61) 및 한 쌍의 제3가이드봉(62)이 형성되며, 제1운동플레이트(20d)에는 한 쌍의 제3스프링지지봉(61)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스프링수용공(24) 및 한 쌍의 제3가이드봉(62)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3가이드공(25)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3가이드봉(62)에는 각각 제3걸림돌기(63)가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제3걸림돌기(63)는 한 쌍의 제3가이드공(25)의 개방된 부분(251)에 삽입되어 그 개방된 부분(25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제3운동플레이트(60)는 슬라이딩플레이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운동플레이트(40d)는 고정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3탄성부재(70)는 탄성변형 가능한 것으로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제3탄성부재(70)는 한 쌍의 제3스프링수용공(24)에 각각 삽입되며, 한 쌍의 제3탄성부재(70)에는 각각 한 쌍의 제3스프링지지봉(61)이 삽입된다. 또한, 제1운동플레이트(20d)와 마찬가지로 제3운동플레이트(60)를 제1운동플레이트쪽으로 누르면 제3탄성부재(70)가 압축되면서 제3운동플레이트(60)가 제1운동플레이트(20d)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누름을 해제하면 제3탄성부재(7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운동플레이트(60)가 제1운동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3걸림돌기(63)가 한 쌍의 제3가이드공(25)의 일측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제3운동플레이트(60)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1운동플레이트(20d)에는 제1스프링수용공(11) 및 제1가이드공(13)이 형성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d)에는 제1스프링지지봉(21), 제1가이드봉(22), 제2스프링수용공(12) 및 제2가이드공(14)이 형성되며, 제2운동플레이트(40d)에는 제2스프링지지봉(41) 및 제2가이드봉(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12)

  1.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대해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된 제2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일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 제1스프링지지봉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복수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1탄성부재는 각각 상기 제1스프링수용공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탄성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일방향으로 각각 길게 형성되며 상기 일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각 스프링지지봉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제2스프링수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복수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2탄성부재는 각각 상기 제2스프링수용공에 삽입되며, 상기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1탄성부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탄성부재는 가상의 평면을 중심으로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2탄성부재는 상기 가상의 평면을 중심으로 면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은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1스프링수용공 및 제2스프링수용공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제2스프링지지봉은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수용공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1스프링수용공 각각의 중심축선 사이에는 상기 제2스프링수용공의 중심축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수용공 및 제2스프링수용공은, 상기 제1스프링수용공의 중심축선 및 제2스프링수용공의 중심축선이 동일 평면상에서 교번적으로 나타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가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가이드봉 및 상기 제1가이드봉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공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가이드공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가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가이드봉 및 상기 제2가이드봉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제2가이드공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 및 한 쌍의 제1가이드봉은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봉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봉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봉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봉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봉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 및 한 쌍의 제1가이드봉은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스프링지지봉은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봉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 및 한 쌍의 제2가이드봉은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스프링지지봉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봉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제1가이드봉은 상기 한 쌍의 제2가이드봉과 각각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3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3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조립체.
  11. 슬라이드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대해 일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1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타측면에 대해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제2운동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12. 슬라이드폰의 본체부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폰의 슬라이딩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1탄성부재;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운동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2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2탄성부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슬라이딩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1운동플레이트 및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3운동플레이트의 직선이동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제3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PCT/KR2009/006177 2009-02-18 2009-10-26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WO20100957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47 2009-02-18
KR20090013347 2009-02-18
KR20090020117 2009-03-10
KR10-2009-0020117 2009-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95799A1 true WO2010095799A1 (ko) 2010-08-26

Family

ID=4263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6177 WO2010095799A1 (ko) 2009-02-18 2009-10-26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94327A (ko)
WO (1) WO20100957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3557A1 (ko) * 2022-02-28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605B1 (ko) * 2004-09-15 2006-09-25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16446B1 (ko) * 2006-01-10 2007-05-10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856682B1 (ko) * 2007-05-15 2008-09-04 정영조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605B1 (ko) * 2004-09-15 2006-09-25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16446B1 (ko) * 2006-01-10 2007-05-10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856682B1 (ko) * 2007-05-15 2008-09-04 정영조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327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94963A1 (en) Driving apparatus for camera lens assembly
WO2014038920A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WO2018164374A1 (ko) 모바일 기기 슬라이딩 장치
EP3599756B1 (en) Slide rail and mobile terminal
WO2011111892A1 (ko) 도어 댐퍼용 완충기
WO2009099275A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use in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siliding with respect to each other
KR20070096365A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스프링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슬라이드 모듈
WO2010095799A1 (ko)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CN217847355U (zh) 可折叠的电子设备以及壳体装置
WO2010104244A1 (ko) 플레이트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KR100843584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WO2009151297A4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형 휴대용 정보기기
US11314155B1 (en) Elevato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WO2009131320A2 (ko) 슬라이드 힌지
WO2010093098A1 (ko)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20100104226A (ko) 슬라이드폰용 슬라이딩조립체
WO2010107222A2 (ko) 휴대 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WO2012169786A2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KR20080084444A (ko) 듀얼 슬라이딩 개폐장치
KR20080032400A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슬라이드 구동장치
WO2010090446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WO2012067303A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힌지장치
CN115225792B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WO2011052881A2 (ko) 슬라이드 힌지 액추에이터 모듈
WO2010047472A2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40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40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