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35970A2 - 풍력발전기용 날개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35970A2
WO2010035970A2 PCT/KR2009/005134 KR2009005134W WO2010035970A2 WO 2010035970 A2 WO2010035970 A2 WO 2010035970A2 KR 2009005134 W KR2009005134 W KR 2009005134W WO 2010035970 A2 WO2010035970 A2 WO 201003597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ind
wind direction
coupled
blad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51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35970A3 (ko
Inventor
김상훈
Original Assignee
Kim Sang-Hu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Sang-Hun filed Critical Kim Sang-Hun
Publication of WO201003597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35970A2/ko
Publication of WO201003597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3597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F03D1/064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of the section profile of the blades, i.e. aerofoil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2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B2240/301Cross-section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70Shape
    • F05B2250/71Shape curv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turbine blade using the action and reaction of the wind direction to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and increase the air density inside the dust by collecting the wind direc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front surface having an angle of more than 15 degrees to the rear of the curved form
  •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is collected by the large dust collector, it becomes a large amount of wind direction and changes into a wind speed higher than the wind speed of the wind blowing from the front.
  •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wind turbine rotor rotates while hitting the right end of the rear side It becomes higher, the wind direction by the large dust collecting device acts to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wind turbine rotor rotates, it is again collected by the small dust collector, the dust collector of the wind direction by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coupled to the small dust collector
  • the high-density wind direction is caused by the action and reaction caused by the exit of the wind direction outlet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when the wind turbine rotor rotates, and behind the wind direction outlet has a curved back to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back of the wing. It relates to a wind turbine blad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configuration.
  • the blade coupled to the wind turbine rotor has a problem that the wind direction hits the blade at the low wind speed of 3m / sec or less at the same time and flows out of the blade and thus cannot collect the wind direction on the blade itself so that the rotor has rotational force.
  •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but the wind direction directly affects the rotor blades, which does not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 the blade has a large cross-sectional area so that it can have a high power generation capacity.
  • Wind direction entering the inside of the wing through the suction slot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ing by the discharge nozzle shown only in the drawing, the wind turbine rotor can increase the driving force when rotating, but the wind direction enters the inside of the wing directly
  •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increase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rotor of the wind turbine can rotat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narrow and high power generation capacity cannot be increased, and the frame provided inside the wing also has a disadvantage of not using the wind direction more actively as a frame only for the safety of the wing when manufacturing the wing. It is limited to the range limited to the horizontal axis wind turbine.
  •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7-248935 (2005.09.15.) Has been developed in the vertical shaft type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wing of the wind gen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main wing and a secondary wing in the vertical axis wind power generator. It is configured to maximize the air pressure in the windshield by placing the windshield, and the drip-shaped windshield is U-shaped. The windshield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shiel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g which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in a wind power generator capable of producing electrical energy by using the wind direction, the wing should be able to apply the principle of centrifugal force by using the wind direction, the wing function The principle of overaction should be applied, and the wing should be able to increase the air density to maximize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even if it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 the wing should be able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back side, and the wing is not finished using the wind direction twice, while the rotor has a rotational force even at a low wind speed of less than 3m / sec per second
  • the wings are blown in front of the wing hit
  • the wind direction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of the wing to use the entire wind direction that hits the wing
  • the wing is a wind power generation so that the tower is composed of a central axis coupl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or at high wind speeds of more than 25m / sec per second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ng for the aircraft.
  •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op housing, forms a right front surface coupled to the front right side of the top housing, forms a bottom housing coupled to the rear bottom of the right front surface, coupled to the rear housing rear configuration
  •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curved form, and forming at least on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rear, forming two or more wind direction collecting plat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1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 the above small dust collector is formed, and the large dust collector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small dust collector, while the front surface is angled to 15 degrees or more in a rearward direction.
  • the small dust collecting device when forming at least two wind collecting plat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when forming at least one small dust collect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wind collecting plate, the small dust collecting device is formed wide,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more than 1/2 narrower than the small dust collector.
  • the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is made of a wind turbine in the form of a vertical axis.
  • the fron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and the small dust collector is configured to give an angle of 15 degrees or more in the rear direction.
  •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entrifugal force by the rear right side by collecting the wind direction hit the wind front blowing from the front, the wind direction to increase the air density in the interior by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 It has the effect of producing electric energy by providing wind turbines in the form of vertical axis to be developed, and since it is a pollution-free resource development, it will have an eco-friendly effect and bring a very useful effect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lade for a wind turb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effect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rear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inside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ffect of the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wind turbine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top housing 27, forms a right front surface 26 that is coupled to a front right side of the top housing 27, and the right front surface 26.
  • the lower housing 28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lower side, the lower housing 28 is formed to form a rear surface 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upling coupled to the rear, the one or more end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eft end of the rear surface 20
  • the left dust collector (26) is symmetrical so that the large dust collector (21)
  •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o provide a wind turbine blade 100 characterized in that is made as follows.
  •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by the upper housing 27 and the lower housing 28 does not flow to the outside of the wing 100 has an effect of entering into the inside of the wing 100, the front by the right front side 26
  • the blowing wind direction is collected to the right by the front surface 10 with an angle of 15 degrees or more toward the rear surface 20 without flowing to the outside of the wing 100 and passes through the large dust collecting device 21.
  • the wing 100 is pushed back and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even at low wind speed while hitting the right surface of the rear surface 20 of the curved shape, and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by forming the curved rear surface 20 is the rear surface 20.
  • Large dust collector while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to the large dust collector (21) formed by symmetrically coupled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of pushing the front (10) at an angle of more than 15 ⁇ , such that the wing 100 is pushed backward
  • the wind direction 'd' pushes the rear side (b) of the rear surface 20 while hitting the right end (a) of the rear side 20 as in the wind direction 'I' to have the effect of centrifugal force. It has the effect of being pushed back.
  •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2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more than 1/2 narrower than the small dust collector 23, the wind direction entered through the large dust collector 21 ' 'Is the effect of the secondary wind direction is collected in at least one small dust collector (23), the wind direction' da 'entered into the small dust collector (23) is the two or mor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mall dust collector (23)
  • the dust collection of the wind direction is maximized by (25)
  • the wind direction collected on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25 can be escaped to the outside by the one or more wind direction outlet 22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25).
  • the wind direction is high There is a difference in wind spe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p, middle and bottom of the wing 100 when the wind direction by the difference in the wind speed enters the small dust collector 23 through the one large dust collector.
  • the one or more small dust collectors 23-a, 23-b, and 23-c have the effect of efficiently utilizing the wind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and the two or more wind direction dust collector plates 25-
  • the combination of a, 25-b)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collection of wind direction, because the wind direction is collected in the space consisting of the two or more wind collecting plate (25-a, 25-b) the wing (100)
  • the wind direction 'multi' collected by the wind direction dust collecting plate 25 is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outlet (22) In narrow space of)
  • the wind direction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ir density inside
  • the blade 100 is formed by coupling to the wind turbine 200 of the vertical axis form, all the wind direction blows in any direction having the wind turbine 200 of the vertical axis form
  • the rotating body 201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rotational force
  • the rotating body 201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rotational force without the maximum resistance by the curved back 20
  • the wind collecting plate ( 25) by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ing (100) has the effect of making a rotating body having a high power generation capacity
  • the wind turbine generator (200) of the vertical axis form combined with the wing 100 generates electric energy while generating pow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oduced.
  • the front surface 1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 direction discharge port 22 and the wind direction collecting plate 25 and the small dust collector 23 is configured to give an angle of 15 degrees or more toward the rear surface 20 direction.
  • the front 10 has an effect of collecting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to the large dust collector 21 without flowing outside the wing 100, the front 10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20 20 degrees Due to the above-mentioned angle,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changes in the direction of the large dust collector 21, and actively uses the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to push back the wing 100, and the front surface 10
  • the wind direction blowing from the front in a wid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arge dust collector 21 is narrower than the front surface (10)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wind speed, the front surface 10 is the wind direction outlet 22 and the Weather vane
  • the plate 25 and the small dust collector 23 the wind direction blowing in front of the front surface 10 is collected by the large dust collector 21, and is changed to a wind speed higher than the wind speed blowing from the front, so that
  • the wind direction is maximized to obtain the effect of exit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 direction outlet 22 to blow the front by combining the front (10)
  • the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Darius type and the H type which are typical types of the vertical axis wind turbine.
  • the w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ducing electrical energy by providing a wind power generator in the vertical axis form using the wind direction, and has a very useful effect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while having an eco-friendly effect because it is a pollution-free resource development. Will c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향을 집진시켜 원심력을 높이고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이며 빠져나가는 풍향의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 형태의 후면으로 15˚이상의 각도를 가진 전면에 의하여 가속이 붙은 풍향이 대 집진장치로 들어가면서 원심력이 높아지고, 상기 대 집진장치를 통하여 가속이 붙은 풍향이 소 집진장치를 통한 후 풍향집진판에 의하여 풍향이 더욱 집진되면서 동시에 풍향집진판을 구성한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이며, 상기 풍향집진판을 통하여 집진된 풍향과 높은 밀도의 풍향이 풍향배출구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되는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추진력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풍향배출구 뒤에 날개 뒷면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곡선 형태의 후면이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날개
본 발명은 풍향을 집진시켜 원심력을 높이고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이며 빠져나가는 풍향의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 형태의 후면으로 15˚이상의 각도를 가진 전면에 의하여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대 집진장치로 집진되어 들어가면서 많은 량의 풍향이 되어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의 풍속보다 높은 풍속으로 변하여 상기 후면의 오른 쪽 끝 부분을 강타하면서 풍력발전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의 원심력이 높아지고, 상기 대 집진장치에 의하여 풍향은 풍력발전기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을 높이도록 작용한 후 소 집진장치에 의하여 다시 집진되며, 상기 소 집진장치에 결합 구성되는 풍향집진판에 의하여 풍향의 집진을 더욱 높여 날개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이며, 상기 풍향집진판에 의하여 높은 밀도의 풍향이 풍향배출구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되는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풍력발전기 회전체가 회전 시에 회전력이 높아지도록 하며, 상기 풍향배출구 뒤에 날개 뒷면의 저항을 줄일 수 있는 곡선 형태의 후면이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 회전체에 결합 구성되는 날개는 초속 3m/sec이하의 낮은 풍속에서는 풍향이 날개에 부딪힘과 동시에 날개 외부로 흘러버려 회전체가 회전력을 갖도록 날개 자체에 풍향을 집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회전체가 회전하면서 원심력이 높아지나 풍향이 직접 회전체 날개에 영향을 주어 원심력을 높여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날개의 단면적이 넓어야만 높은 발전용량을 가질 수 있어 단면적이 좁으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날개가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에 의하여 작동을 한 후 풍향은 바로 날개 외부로 흘러감으로서 풍향을 한번 이용하고 끝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날개 외부로 빠져나가는 풍향이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회전체가 회전 시에 추진력을 높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초속 3m/sec이상의 높은 풍속에서는 날개 뒷면으로 부는 풍향의 저항으로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초속 25m/sec 이상의 높은 풍속에서는 회전체의 회전력이 너무 높아 중심축이 결합 구성되어 있는 타워가 불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수평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일본공개실용신안 평02-147872호(1990.12.14)가 개발되어있던 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의 날개는 날개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의 일부분을 이용하도록 박리시킨 블레이드의 앞면에 흡입슬롯(홀)을 구성시켜 공기를 유입시키는 특징만을 청구범위로 한 것으로서 이는 블레이드의 앞면에 흡입슬롯(홀)을 구성시켜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의 일부분만을 이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흡입슬롯(홀)을 통하여 날개 내부에 들어간 풍향이 도면에만 표기한 토출노즐에 의하여 날개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풍력발전기의 회전체가 회전 시에 추진력을 높여줄 수 있으나 풍향이 날개 내부에 들어가면서 직접적으로 풍력발전기의 회전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원심력을 높여주지 못하는 문제점과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여 단면적이 좁으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 이 있으며, 상기 날개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프레임도 날개를 제작 시 날개의 안전성만을 위한 프레임으로서 풍향을 좀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구비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수평축 풍력발전기에 국한되는 범위 내로 한정된다.
또한 종래에는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있어서 일본공개특허공보17-248935호(2005.09.15.)가 개발되어있던 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의 날개는 수직축 풍력발전기에서 주날개, 부날개을 구비하고 수풍부를 두어 수풍부에 공기의 압력을 극대화 하는 구성으로 U자형을 한 물받이 형태의 수풍부는 수풍부의 상단과 하단이 개봉되어 있으면서 U자형의 거의 중심에 주날개만 결합 구성함으로 인하여 공기가 주날개를 타고 수풍부에 들어가 짧은 시간이나마 고여 있을 내부공간이 없음으로 인하여 날개의 회전력을 도울 수는 있으나 공기의 압력을 극대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주날개에 결합 구성한 부날개도 날개의 회전력을 도울 수는 있으나 이 또한 풍향이 고여 있을 내부공간이 없음으로 공기의 압력과 풍향의 집진을 극대화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U자형을 한 물받이 형태의 수풍부에 결합 구성한 주날개의 결합 구성한 U자형을 한 물받이 형태의 뒷부분과 주날개의 뒷면이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과 일직선상에 놓였을 때 발생되는 저항의 문제점이 있으며, 일반적인 풍력발전기와 같이 풍향을 한번 이용하고 끝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풍향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에 있어서의 주요 구성요소 중에 하나인 날개이며, 상기 날개는 풍향을 이용하여 원심력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날개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날개는 공기 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단면적을 줄여도 발전용량을 극대화 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날개는 고도의 차이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풍향의 풍속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날개는 뒷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상기 날개는 초속 3m/sec이하의 낮은 풍속에서도 회전체가 회전력을 갖도록 하면서 풍향을 한번 이용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2회 이상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날개는 날개와 부딪히는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날개 외부로 흐르지 않으면서 날개에 부딪히는 풍향 전체를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날개는 초속 25m/sec이상의 높은 풍속에서도 회전체의 회전력에 의하여 중심축이 결합 구성되어 있는 타워가 불안하지 않도록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단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하우징의 앞쪽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우측앞면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 앞면의 뒤쪽 아래에 결합 구성되는 하단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하우징 뒤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곡선 형태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의 좌측 끝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풍향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의 오른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소 집진장치 앞에 대 집진장치가 구성되도록 하면서 후면 방향으로 15˚이상의 각을 준 전면이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풍향배출구의 오른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의 오른 쪽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를 구성할 때 상기 소 집진장치는 넓게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는 소 집진장치 보다 1/2이상 좁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개에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은 상기 후면 방향으로 15˚이상 각을 주어 상기 풍향배출구와 상기 풍향집진판과 상기 소 집진장치 위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는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날개 전면에 부딪히면서 풍향을 집진시켜 후면 오른쪽 면에 의하여 원심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풍향집진판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이며 풍향배출구로 빠져나가는 풍향이 풍향배출구와 풍향집진판에 의하여 작용과 반작용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날개에 의하여 날개의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갖은 회전체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날개는 풍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제공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으며, 무공해 자원 개발이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면서 신재생대체에너지 산업 상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뒷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작용효과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후면의 뒷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작용효과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용 날개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단하우징(27)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하우징(27)의 앞쪽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우측앞면(26)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 앞면(26)의 뒤쪽 아래에 결합 구성되는 하단하우징(28)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하우징(28) 뒤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곡선 형태의 후면(20)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20) 좌측 끝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풍향배출구(22)를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22)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25)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25)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23)를 형성하고, 상기 소 집진장치(23) 위에 상기 후면(20) 방향으로 15˚이상의 각을 주어 결합 구성되는 전면(10)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10)의 우측 끝과 상기 우측앞면(26)의 좌측 끝이 대칭이 되도록 하여 대 집진장치(21)가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100)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상단하우징(27)과 하단하우징(28)에 의하여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날개(100)의 외부로 흐르지 않으면서 날개(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우측 앞면(26)에 의하여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은 날개(100)의 외부로 흐르지 않으면서 상기 후면(20) 방향으로 15˚이상의 각을 준 전면(10)에 의하여 우측으로 집진되어 상기 대 집진장치(21)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풍향은 상기 곡선 형태의 후면(20) 우측면을 강타하면서 낮은 풍속에서도 날개(100)가 뒤로 밀리고 원심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곡선 형태의 후면(20)을 구성하여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후면(20)의 곡선을 따라 풍향 ‘마’와 ‘바’와 ‘사’와 같이 뒤로 흐르면서 날개(100)의 뒷면에 주는 저항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후면(20)의 좌측 끝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풍향배출구(22)를 구성하여 풍향이 날개(1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풍향 ‘라’와 같이 상기 풍향집진판(25) 안에서 공기 밀도가 극대화 되며 동시에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의하여 풍력발전기의 회전체(201)가 회전할 때 좀 더 높은 추진력을 얻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풍향배출구(22)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25)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날개(100)의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갖은 날개(100)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풍향집진판(25)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23)를 형성함으로서 풍향 ‘다’가 상기 소 집진장치(23) 속으로 들어가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상기 풍향배출구(22)로 집진하여 나가면서 날개(100) 내부 공기의 밀도를 높여 풍향의 파워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소 집진장치(23) 위에 결합 구성되는 상기 후면(20) 방향으로 15˚이상의 각을 준 전면(10)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10)의 우측 끝과 상기 우측 앞면(26)의 왼쪽 끝을 대칭으로 결합 구성하여 형성되는 대 집진장치(21)로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풍향 ‘가’와 같이 15˚이상의 각을 준 전면(10)을 밀어 날개(100)가 뒤로 밀리는 효과를 갖으면서 대 집진장치(21)로 들어가 풍향 ‘나’와 같이 상기 후면(20)의 오른쪽 끝(a)을 강타하여 원심력의 효과를 갖도록 하면서 풍향 ‘다’는 상기 후면의 (b)를 밀어 날개(100)가 뒤로 밀리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풍향배출구(22)의 오른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25)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25)의 오른 쪽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23)를 구성할 때 상기 소 집진장치(23)는 넓게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22)는 소 집진장치(23) 보다 1/2이상 좁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 대 집진장치(21)를 통하여 들어 온 풍향 ‘다’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23)에 풍향이 2차 집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소 집진장치(23)로 들어간 풍향 ‘다’는 상기 소 집진장치(23)에 결합 구성된 상기 2이상의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풍향의 집진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집진된 풍향은 상기 풍향집진판(25)에 결합 구성된 상기 1이상의 풍향배출구(22)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풍향은 고도의 차이에 따라서 풍속의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풍속의 차이에 의한 풍향이 상기 1개의 대 집진장치를 통하여 상기 소 집진장치(23)에 들어올 시에 상기 날개(100)의 상단과 중간 그리고 하단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1이상의 소 집진장치(23-a, 23-b, 23-c)에 의하여 풍향과 풍속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소 집진장치(23)에 상기 2이상의 풍향집진판(25-a, 25-b)을 결합 구성함으로서 풍향의 집진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2이상의 풍향집진판(25-a, 25-b)이 구성되어 있는 공간에 풍향이 집진됨으로 인하여 상기 날개(100) 내부의 공기 밀도를 높여 날개의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갖은 회전체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집진된 많은 량의 풍향 ‘다’가 상기 풍향배출구(22)의 좁은 공간에 의하여 외부로 빠져 나갈 시에 풍속이 높아지면서 풍향 ‘마’와 같이 작용과 반작용의 이론에 의하여 상기 날개(100) 내부의 공기 밀도를 더욱더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풍속이 높을 시에는 상기 풍향배출구(22)를 통하여 나온 풍향이 앞에서 불어오는 풍속보다도 높은 풍속으로 변하면서 중심축 주변에 가변성 풍향을 만들어 중심축의 불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100)를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200)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200)가 갖는 어느 방향에서 풍향이 불어도 모두 이용하여 회전체(201)가 회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곡선 형태의 후면(20)에 의하여 회전체(201)가 최대한 저항 없이 회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날개(100)의 단면적을 줄이면서도 높은 발전용량을 갖은 회전체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날개(100)를 결합 구성한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200)가 발전하면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10)은 상기 후면(20) 방향으로 15˚이상 각을 주어 상기 풍향배출구(22)와 상기 풍향집진판(25)과 상기 소 집진장치(23) 위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 전면(10)은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날개(100) 외부로 흐르지 않으면서 상기 대 집진장치(21)로 집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전면(10)을 후면(20) 방향으로 15˚이상 각을 줌으로 인하여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상기 대 집진장치(21)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날개(100)를 뒤로 밀어 주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전면(10)의 넓은 단면적에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상기 전면(10) 보다 좁은 상기 대 집진장치(21) 한 방향으로 빠져나가면서 풍속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전면(10)을 상기 풍향배출구(22)와 상기 풍향집진판(25)과 상기 소 집진장치(23) 위에 결합 구성함으로서 상기 전면(10)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이 대 집진장치(21)로 집진되면서 앞에서 불어오는 풍속보다도 높은 풍속으로 변화하여 상기 후면(20)의 오른 쪽 면을 강타한 후 풍향은 다시 상기 전면(10) 뒤에 결합 구성된 상기 소 집진장치(23)에 의하여 풍향이 집진되고 상기 소 집진장치(23)에 의하여 집진된 풍향은 다시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더욱 더 집진되며 상기 풍향집진판(25)에 의하여 집진이 극대화된 풍향이 상기 풍향배출구(22)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면(10)을 결합 구성함으로써 앞에서 불어오는 풍향을 한번만 이용하지 않고 여러 번 이용함으로서 풍향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날개는 수직축 형태 풍력발전기의 대표적인 종류인 다리우스 형과 H 형에 결합 구성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날개는 풍향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제공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으며, 무공해 자원 개발이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으면서 신재생대체에너지 산업 상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Claims (4)

  1. 상단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상단하우징의 앞쪽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우측앞면을 형성하고, 상기 우측 앞면의 뒤쪽 아래에 결합 구성되는 하단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단하우징 뒤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곡선 형태의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후면 좌측 끝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풍향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의 우측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소 집진장치 위에 상기 후면 방향으로 15˚이상의 각을 주어 결합 구성되는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의 우측 끝과 상기 우측앞면의 좌측 끝이 대칭이 되도록 하여 대 집진장치가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배출구의 오른쪽으로 결합 구성되는 2이상의 풍향집진판을 형성하고, 상기 풍향집진판의 오른 쪽에 결합 구성되는 1이상의 소 집진장치를 구성할 때 상기 소 집진장치는 넓게 형성하고, 상기 풍향배출구는 소 집진장치 보다 1/2이상 좁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를 수직축 형태의 풍력발전기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은 상기 후면 방향으로 15˚이상 각을 주어 상기 풍향배출구와 상기 풍향집진판과 상기 소 집진장치 위에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날개.
PCT/KR2009/005134 2008-09-24 2009-09-10 풍력발전기용 날개 WO2010035970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72 2008-09-24
KR1020080093472A KR100897164B1 (ko) 2008-09-24 2008-09-24 풍력발전기용 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5970A2 true WO2010035970A2 (ko) 2010-04-01
WO2010035970A3 WO2010035970A3 (ko) 2010-06-10

Family

ID=4086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5134 WO2010035970A2 (ko) 2008-09-24 2009-09-10 풍력발전기용 날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97164B1 (ko)
WO (1) WO201003597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209A (zh) * 2012-02-17 2012-07-18 北京石光龙腾风力科技发展有限公司 垂直轴风叶
CN116428107A (zh) * 2023-04-19 2023-07-14 上海玻璃钢研究院东台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叶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954B1 (ko) * 2011-09-07 2013-09-06 곽상칠 풍력 발전 장치
KR101450611B1 (ko) * 2013-02-15 2014-10-15 주식회사 이앤씨 풍속 증폭형 풍력터빈
KR101410871B1 (ko) * 2013-12-19 2014-06-23 금창에너지 주식회사 풍력발전장치
KR101973065B1 (ko) * 2017-09-13 2019-04-26 (주)썬테크 풍력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팁
KR102406742B1 (ko) * 2022-03-30 2022-06-08 주식회사 엘씨엠에너지솔루션 양방향 수직형 풍력발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872U (ko) * 1989-05-18 1990-12-14
JP2004108330A (ja) * 2002-09-20 2004-04-08 Tsuneo Noguchi 風力発電用の風車
JP2005069082A (ja) * 2003-08-22 2005-03-17 Fuji Heavy Ind Ltd 風車の温度制御装置
JP2005248935A (ja) * 2004-03-03 2005-09-15 Haruo Fujiwara 風力発電用の風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7872U (ko) * 1989-05-18 1990-12-14
JP2004108330A (ja) * 2002-09-20 2004-04-08 Tsuneo Noguchi 風力発電用の風車
JP2005069082A (ja) * 2003-08-22 2005-03-17 Fuji Heavy Ind Ltd 風車の温度制御装置
JP2005248935A (ja) * 2004-03-03 2005-09-15 Haruo Fujiwara 風力発電用の風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209A (zh) * 2012-02-17 2012-07-18 北京石光龙腾风力科技发展有限公司 垂直轴风叶
CN116428107A (zh) * 2023-04-19 2023-07-14 上海玻璃钢研究院东台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叶片
CN116428107B (zh) * 2023-04-19 2023-10-20 上海玻璃钢研究院东台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叶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164B1 (ko) 2009-05-14
WO2010035970A3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35970A2 (ko) 풍력발전기용 날개
Wong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s on vertical axis wind turbines using flow augmentation systems: A review
US8128337B2 (en) Omnidirectional vertical-axis wind turbine
US20100310361A1 (en) Wind turbine with two successive propellers
EP2379881B1 (en) Prime mover
AU2007283443B2 (en) Omni-directional wind power station
CN109944737A (zh) 一种通道鳃膜式垂直轴风力机叶片及制作方法
AU2008235238B2 (en) Wind wheel
CN108730113B (zh) 适用于微风发电的微风聚能装置
CN102196961B (zh) 高效率的涡轮
CN105452649B (zh) 风力发电塔
US20090053057A1 (en) Wind powered rotor mechanism with means to enhance airflow over rotor
SE0802459A1 (sv) Effektökande stolpliknande anordning för luftturbin
CA2349443C (en) Wind turbine design
KR20140102853A (ko) 풍속 증폭형 풍력터빈
KR200365582Y1 (ko) 풍력 발전기용 프로펠라
CN214944723U (zh) 一种多路径导风的建筑外墙结构
KR20150082804A (ko) 수직형 풍력발전기
RU2498106C1 (ru) Ветроустановк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ым разрежением затурбинн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CN212360026U (zh) 一种风力回收发电系统
CN216975113U (zh) 一种塔吊式风力发电机的风叶组件
CN220890393U (zh) 一种新型发电机
US11274661B2 (en) Solar chimney configuration
CN212642954U (zh) 一种基于风力发电装置的微电网控制系统
CN111927707B (zh) 一种风力发电机叶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16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1636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