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13895A2 -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 Google Patents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13895A2
WO2010013895A2 PCT/KR2009/003503 KR2009003503W WO2010013895A2 WO 2010013895 A2 WO2010013895 A2 WO 2010013895A2 KR 2009003503 W KR2009003503 W KR 2009003503W WO 2010013895 A2 WO2010013895 A2 WO 2010013895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il
bodies
plate
magnet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35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13895A3 (ko
Inventor
장석호
Original Assignee
Jang Suk H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ang Suk Ho filed Critical Jang Suk Ho
Publication of WO2010013895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13895A2/ko
Publication of WO2010013895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13895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3/00Alleged dynamo-electric perpetua mobili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3/00D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Universal AC/DC commutator motors
    • H02K23/54Disc armature motors or generators

Definitions

  • the most common electric motor according to this principle is that the shade i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lampshade, the rotor 110 of the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is built in the stator 100 of the permanent magnet or electromagnet as shown in FIG. something to do.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act point 13, 13 '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12 or may be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10, the grounding method is by a mechanical grounding means or an optical sensor Various grounding methods such as grounding means can be selected and applied.
  • the coil bodies 11 and 11 'and the magnet bodies 21 and 21' are ideally manufactured to have the same area in plan view, and are effective without losing mutual attraction and repulsive force between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It is to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장치의 동력발생수단으로 사용되는 전동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수평 권선된 코일체가 비전도체에 분할 배치된 회전판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하측에는 상기 코일체와 대향 분할 배치된 자석체를 갖는 비전도체로 된 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체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코일체에 형성되는 전하의 부호에 의해 자석체와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판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지게 하고, 회전판의 회전작용에 따라 상기 코일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반복적으로 전환되게 하여, 코일체로부터 작용하는 전하의 부호에 의해 상,하의 자석체와 인력과 척력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회전판의 초기 기동성 확보 및 연속하여 분할 배치된 자석체와 코일체 간의 인력과 척력에 의한 회전 동력을 지속적으로 부여함에 따라, 최소의 전류만으로도 상기의 회전판을 고속 회전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설정된 회전속도 하에서 최소의 전류 소모량을 요구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장치의 동력발생수단으로 사용되는 전동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수평 권선된 코일체가 비전도체에 분할 배치된 회전판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하측에는 상기 코일체와 대향 분할 배치된 자석체를 갖는 비자성체로 된 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체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코일체에 형성되는 전하의 부호에 의해 자석체와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므로 상기의 회전체가 최소의 전류만으로도 고속 회전될 수 있게 한 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역학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고 일반적으로 모터(motor)를 말한다. 전원의 종류에 따라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로 분류되며, 교류전동기는 다시 3상 교류용과 단상교류용으로 구분되며, 오늘날에는 3상 교류용 전동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전류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바꾸는 장치로서, 대부분의 전동기는 회전운동의 동력을 만들지만 직선운동을 생산하기도 한다.
상기의 전동기는 1831년 페러데이가 전자기유도를 발견한 무렵부터 전동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고, 초기의 전동기는 영구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가동부는 회전시키지 않고 요동시키는 방식이었다. 1830년 대에는 오늘날의 직류전동기 형식이 전기자와 직류 여자 된 전자석을 사용하여 최초로 만들어졌으나 출력이 적고 연구 단계에 불과하였다.
이후, 페라리스와 테슬라가 교류에서 만들어지는 회전자기장을 발견한 것을 계기로 각각 독자적으로 2상 교류전동기를 발명하였다. 1889년 독일의 도브로월스키가 출력 100와트(W)의 3상 교류전동기를 처음 만든 이래 3상 교류전동기가 오늘날 교류전동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직류전동기와 교류전동기 모두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데,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자기장 속에 놓으면 자기장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자기적인 힘(로렌츠 힘)이 발생한다. 전동기 내부에 자석을 놓아 자기장을 만들고, 축에 연결된 도선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력이 발생하여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동력을 창출한다. 도선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은 자기장의 세기, 전류의 세기 그리고 도선의 길이에 비례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한 가장 일반적인 전동기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된 고정자(100)의 내부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된 회전자(110)가 내장되어 있는 갓이 보편적인 기본 구성이라 할 것이다.
특히, 직류 전동기는 도 2의 도시와 같은 4접점인 경우 전자석으로 된 회전자는 상기의 접점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기화에 의한 인력과 척력을 통해 연속적인 회전 운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동기는 거의 원통형으로 회전중심체에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구성체로 하고 각극의 인력과 척력을 교번하여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회전중심축의 중량이나 자성의 인력으로 인해 기동성이나 회전 지구력이 떨어지게 되고, 6극성 이하의 교번기능은 인력과 척력의 한계로 인해 효율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직류 전동기의 경우 초기 기동력이 우수하다는 것에 반해 전기한 바와 같은 전원공급 방식에 의해 회전측에 부하가 발생하여 속도가 낮아질 경우 직류저항이 낮아져 급작스럽게 공급전력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한 주동력의 소모전력과 부가해야하는 장치의 전력 소모 대비 회전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수평 권선된 코일체가 비전도체에 분할 배치된 회전판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하측에는 상기 코일체와 대향 분할 배치된 자석체를 갖는 비전도체로 된 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체에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코일체에 형성되는 전하의 부호에 의해 자석체와 고도의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판의 회전작용이 발생되게 하고, 회전판의 회전작용에 따라 상기 코일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전환되게 하여, 자석체의 극성에 따라 코일체에 대한 전하의 부호가 전환되어 코일체의 전하 부호와 자석체의 극성에 따라 인력과 척력의 연속 작용으로 인해 상기의 회전체가 최소의 전류만으로도 고속 회전될 수 있게 한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 권선된 코일체가 방사상으로 분할 배치된 비전도체인 회전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체와 대향되는 자석체가 분할 배치된 비자성체인 상측고정판과 하측고정판을 각각 구비하여, 상측고정판과 하측고정판의 사이에 상기의 회전판을 이격 위치시켜, 상기 회전판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직렬 연결된 상기의 코일체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코일체에서 유도된 전하의 부호와 상,하측 자석체의 극성에 의해 회전판의 초기 기동력이 발생되게 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코일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강제 전환되게 하여 코일체에서 유도되는 전하의 부호가 반복적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자석체와의 인력과 척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면서 상기의 회전판이 연속 회전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 권선된 코일체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전하의 부호에 의해 상,하의 자석체와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여 회전판의 초기 기동성을 확보하고, 회전판의 회전작용에 따라 코일체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가변되면서 연속하여 분할 배치된 자석체와 코일체 간의 인력과 척력이 반복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소의 전류만으로도 상기의 회전판을 고속 회전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면서도, 설정된 회전속도 하에서 최소의 전류 소모량을 요구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기를 보인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직류 전동기에 대한 4접점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측면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회전판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접점과 코일체의 결선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코일체 회전 작동도로서,
도 7은 전원이 인가된 코일체와 자석체 간의 인력이 발생한 상태도
도 8은 전원 극성의 전환으로 코일체와 자석체 간의 척력이 발생한 상태도
도 9는 코일체가 자석체와 자석체의 사이를 지나는 동안 전원의 극성이 전환되는 상태도
도 10은 전원 극성의 전환으로 코일체와 자석체 간의 인력이 발생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10" : 회전판 11,11' : 코일체
12 : 회전축 13,13' : 접점
20 : 상측고정판 20' : 하측고정판
21,21' : 자석체
30,30' : 지지대 31,31' : 베어링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회전판 평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회전판(10)의 상,하측에 각기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이 이격 상태로 고정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의 회전판(10)은 비전도체인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고, 회전판(10)에는 납작한 상태로 수평 권선된 코일체(11)(11')가 원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분할 배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각각의 코일체(11)(11')는 직렬 연결되어 있게 된다.
또한, 비자성체로 된 상기의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에는 상기 회전판(10)의 코일체(11)(11')와 대향된 자석체(21)(21')가 방사상 분할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코일체(11)(11')가 8분할 또는 16분할의 개체수를 갖고 있다면 상기의 상측고정판(20) 및 하측고정판(20')에 위치하고 있는 자석체(21)(21')의 개수도 8분할 또는 16분할의 개체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판(10)의 중심부에는 수직의 회전축(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회전축(12)은 전원의 공급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10)의 회전동력을 전달하여 다양한 피동체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코일체(11)(1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점(13)(13')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접점(13)(13')은 상기 회전축(12)의 외면에 직접 형성할 수도 있고 회전판(10) 상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접지 방식은 기구적 접지수단 또는 광센서에 의한 접지수단 등 다양한 접지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에 분할 형성된 상기의 자석체(21)(21')는 단일의 개체로 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나,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자석체를 겹쳐 제작함에 따라 겹쳐진 자석의 중첩부에서 더욱 강력한 자력이 형성되므로 동일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두 개 내지 세 개 겹쳐 상기의 자석체(21)(21')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이상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자석체(21)(21')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평면상 폭과 길이는 1:4의 비율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높이는 대략적으로 상기의 비율에 대하여 2에 해당하는 수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성 면에서 가장 극대의 발전량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자석체(21)(21')는 크기보다는 자력의 강약에 따라 인력과 척력의 세기가 결정될 것이므로 동일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21)(21')를 겹쳐 사용함으로써 자력의 상승 및 집중작용을 기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넓은 면보다는 좁은 면을 이용하여 좁은 면으로부터의 강력한 자장이 코일체(11)(11')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 자석체(21)(21')의 분할 개체수의 증설이 가능한 면적의 확보로 이어지는 것이며,
반면에 자석의 넓은 면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코일체(11)(11')의 면적 역시 함께 넓어져야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코일체(11)(11')를 형성하기 위한 경제적인 지출에 비하여 얻어지는 회전 기동력의 상승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와 같은 평면 비율로서 자석체(21)(21')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실험에 의해 도출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는 평면상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서, 자력과 전자기장의 상호 인력과 척력의 손실 없이 효과적인 구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 간의 상,하 이격 폭은 최소가 되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인데, 이때에는 상측고정판(20)의 자석체와 하측고정판(20')의 자석체가 서로 자장의 간섭을 받지 않을 정도의 이격 폭을 유지하여야 상호 간의 자장 간섭으로 인한 인력과 척력의 손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은 수직의 지지대(30)(30')에 고정되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상기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의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판(10)은 회전축(12)에 결합된 베어링(31)(31')이 상기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에 동시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판(10)은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전동장치는 상기 회전판(10)에 분할 배치된 코일체(11)(11')에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전자기장이 유도되면 상기의 자석체(21)(21')와의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기 회전판(10)이 회전되는 것인데,
상기의 코일체(11)(11')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게 되면 상기의 코일체(11)(11')에는 전류에 의한 전하가 유도되는 것이며, 상기의 전하는 코일체(11)(11')의 권선 방향에 따라 양부호와 음부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하의 부호 특성은 코일체(11)(11')의 상,하측에 위치한 자석체(21)(21')의 자기 극성에 따라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코일체(11)(11')의 개체수에 대하여 2배수로 분할된 접점(13)(13')은 간헐 순차적으로 2분할되어 서로 통전 상태가 되게 한 후, 상기의 접점(13)(13')에 직류 전원의 각 단부를 접지시키면 되는 것이고,
상기 접점(13)(13') 또는 직류 전원의 회전이 이동을 통해 접점(13)(13')에 대한 접지부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코일체(11)(11')에 전해지는 직류 전원의 극성이 전환되므로 결국 상기 코일체(11)(11')로부터 유도되는 전하의 부호가 전환되는 특성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초기 기동시 작류전원을 상기 코일체(11)(11')에 인가하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코일체(11)(11')를 통해 양부호와 음부호의 전하가 유도될 것이고, 상기와 같이 유도되는 전하는 자석체(21)(21')와의 극성으로 인해 인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회전판(10)은 초기 기동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의 회전판(10)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의 코일체(11)(11')가 상,하의 자석체(21)(21')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코일체(11)(11')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을 순간적으로 전환시키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코일체(11)(11')로부터 유도되는 전하의 부호가 전환되면서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 간의 인력은 상실되는 반면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 간에는 척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선행의 인력을 받고 회전하는 상태의 회전판(10)을 더욱 빠르게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접점(13)(13')은 코일체(11)(11')의 개체수에 대하여 2배의 개체수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판(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직류전원은 코일체(11)와 코일체(11')의 사이에서 도 9의 도시와 같이 다시 한 번 직류전원의 극성이 전환되므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자석체(21)(21')를 향하여 회전하면 인력이 유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직류전원은 분할된 코일체(11)(11') 중앙에서 극성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코일체(11)와 코일체(11')의 사이에 다른 극성의 자성이 존재하여 연속적인 인척력을 위한 극성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코일체(11)(11')의 개체수에 대하여 2배의 개체수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직류전원의 극성을 전환시켜가며 자석체(21)(21') 그리고 이들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의 회전판(10)은 최소의 전류만으로도 고속의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효율은, 40그램의 중량체를 상기 회전판(10)의 회전축(12)에 적용한 상태에서 1.5V 및 15mA의 직류전원을 인가하였을 경우 종래의 전동기는 기동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10)은 회전이 잘 되는 것으로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40그램의 중량체를 1200rpm의 회전속도로 고속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종래의 전동기의 경우 280mA가 소모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는 70mA의 전류만을 소모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약 4배의 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상기 코일체(11)(11')의 도선 굵기나 조밀 간격 또는 자석체(21)(21')의 세기나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 간의 간격을 최적의 상황으로 세팅하는 경우에는 상기 예시된 효율 이상의 특성이 나타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전동장치는 상기와 같이 단일의 회전판(10) 상,하측으로 자석체(21)(21')를 갖는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을 배치하는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더욱 효율적인 장치의 구성을 위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상측고정판(20) 상부에 제2의 회전판(10')을 더 형성하여 상측고정판(20)의 자석체(21)(21')를 회전판(10)(10')이 공유할 수 있게 하거나,
하측고정판(20')의 하부에 제3의 회전판(10")을 더 형성하여 하측고정판(20') 상의 자석체(21)(21')를 회전판(10)(10")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되는 구성이 비해 더욱 뛰어난 효율을 얻을 수 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0)

  1. 수평 권선된 코일체(11)(11')가 방사상으로 분할 배치된 비전도체인 회전판(10)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체(11)(11')와 대향되는 자석체(21)(21')가 분할 배치된 비자성체인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을 각각 구비하여,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의 사이에 상기의 회전판(10)을 이격 위치시켜, 상기 회전판(10)의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직렬 연결된 상기의 코일체(11)(11')에는 직류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코일체(11)(11')에서 유도된 전하의 부호와 상,하측 자석체(21)(21')의 극성에 의해 회전판(10)의 초기 기동력이 발생되게 하고, 상기 회전판(10)의 회전에 따라 코일체(11)(11')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강제 전환되게 하여 코일체(11)(11')에서 유도되는 전하의 부호가 반복적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자석체(21)(21')와의 인력과 척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면서 상기의 회전판(10)이 연속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판(10)의 중심에는 수직의 회전축(12)을 형성하고, 상기의 회전축(12)에는 분할 배치된 코일체(11)(11')의 개체수에 대하여 2배에 해당하는 수의 접점(13)(13')을 형성하며, 상기의 접점(13)(13')은 간헐 순차적으로 서로 통전되어 반분된 접점(13)(13')이 직렬의 코일체(11)(11') 양단과 통전되게 하되,
    직류전원의 양극과 음극에 접지된 상태의 접점(13)(13')은 회전축(12)의 회전 작용에 따라 코일체(11)(11')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순차적으로 전환되면서 코일체(11)(11')로부터 유도되는 전하의 부호가 전환되어 자석체(21)(21')와의 인력과 척력이 연속적으로 작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은 수직의 지지대(30)(30')에 의해 이격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10)의 중심에는 회전축(12)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축(12)에는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과 결합되는 베어링(31)(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의 회전판(10) 및 회전축(12)이 상측고정판(20)과 하측고정판(20')으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는 서로 대향된 8분할 또는 16분할 중 어느 하나의 분할 개체수로 배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자석체(21)(21')는 평면상 직사각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고, 평면의 폭과 길이의 비율이 1:4이 되게 하며, 높이는 상기의 비율에 대하여 2가 되게 하여 이를 방사상으로 분할 배치하되, 비율이 유지되는 폭의 범위 내에서 자석체를 적어도 2개 이상 겹쳐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코일체(11)(11')는 자석체(21)(21')의 수평면과 동일한 면적으로 갖도록 수평 권선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코일체(11)(11')와 자석체(21)(21')이 이격 폭은 최소로 형성하되, 코일체(11)(11')의 상,하측에 각기 대향된 자석체(21)(21')의 자장은 코일체(11)(11')에는 간섭을 끼치는 반면 상호 대응의 자석체(21)(21')에는 간섭을 끼치지 않도록 이격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자석체(21)(21')를 갖는 상측고정판(20)의 상부에 제2의 회전판(10')을 이격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자석체(21)(21')를 갖는 하측고정판(20')의 하부에 제2의 회전판(10')을 이격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자석체(21)(21')를 갖는 상측고정판(20)의 상부에 제2의 회전판(10')을 이격 배치하여 구성하고, 하측고정판(20')의 하부에는 제3의 회전판(10")을 이격 배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PCT/KR2009/003503 2008-07-28 2009-06-29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WO2010013895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431A KR100978828B1 (ko) 2008-07-28 2008-07-28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의한 전동장치
KR10-2008-0073431 2008-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13895A2 true WO2010013895A2 (ko) 2010-02-04
WO2010013895A3 WO2010013895A3 (ko) 2010-04-01

Family

ID=4161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3503 WO2010013895A2 (ko) 2008-07-28 2009-06-29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8828B1 (ko)
WO (1) WO201001389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371A (ko) * 2010-04-19 2011-10-26 장석호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KR101369614B1 (ko) 2013-12-10 2014-03-04 장석호 복수의 보조동력 구조를 갖는 발전겸용 전동수단을 갖는 바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65A (ja) * 1998-07-16 200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対向型発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60025618A (ko) * 2004-09-17 2006-03-22 조윤현 아이형의 고정자 치 코아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전동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822A (ja) * 1995-06-03 1996-12-13 Omron Corp ブラシレス直流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65A (ja) * 1998-07-16 200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対向型発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60025618A (ko) * 2004-09-17 2006-03-22 조윤현 아이형의 고정자 치 코아 및 이를 이용한 평판형 전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78A (ko) 2010-02-08
KR100978828B1 (ko) 2010-08-30
WO2010013895A3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48656A1 (ko) 분할 코일체를 갖는 코일판과 분할 자석을 갖는 왕복 이동형 자석판을 이용한 발전겸용 전동장치
WO2011136475A2 (ko) 이중돌극형 영구자석 전기기기의 권선 배치법
US6833638B2 (en) Integrated system for non-contact power feed device and permanent magnet-excited transverse flux linear motor
WO2016024777A1 (en) Washing machine
WO2020138583A1 (ko) 자기부상 회전체를 포함하는 축방향 모터
US4843268A (en) Asymmetric field electromagnetic motor
CA2038480C (en) Two-stator induction synchronous motor
WO2010013895A2 (ko) 분할 코일체를 갖는 회전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전동장치
WO2015190719A1 (en) Brushless motor
WO2010008144A2 (ko) 분할 코일부를 갖는 회전원반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고정판에 의한 발전장치
WO2023063740A1 (ko) 역기전력 감소 효율이 향상된 발전장치
WO2011132907A2 (ko) 양극착자점을 이용한 디스크형 발전 겸용 전동모듈
WO2023063741A1 (ko) 자력선 흐름 제어 방식의 자력 발전장치
KR101025387B1 (ko) 분할 코일체를 갖는 고정판과 분할 자석체를 갖는 회전판에 의한 전동장치
CN215769307U (zh) 致动器驱动装置、扩展像素分辨率致动器系统和投影系统
WO2019050382A2 (ko) 다중브러시와 분배기를 이용한 ac 또는 dc 발전장치
KR20030039945A (ko) 유도전류를 이용한 회전기의 자기회로
WO2010117178A2 (ko) 전기자동차의 동력발생 장치
CN1336031A (zh) 具有节能控制的永磁电机
WO2023022515A1 (ko) 자력회전장치
KR20190090755A (ko) 모터와 알터네이터를 융합한 구동기계
WO2021075747A1 (ko) 고효율 직류모터
WO2023239135A1 (ko) 부하 상쇄부재가 구비된 자력 발전장치
WO2022220579A1 (ko) 프로펠러 구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론
WO2024010435A1 (ko) 비회전식 전력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031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505A DATED 17/06/201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031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