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05159A1 -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05159A1
WO2010005159A1 PCT/KR2009/001733 KR2009001733W WO2010005159A1 WO 2010005159 A1 WO2010005159 A1 WO 2010005159A1 KR 2009001733 W KR2009001733 W KR 2009001733W WO 2010005159 A1 WO2010005159 A1 WO 20100051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lider
key button
unit
bas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7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정세운
Original Assignee
Jung Se Woon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ung Se Woon filed Critical Jung Se Woon
Priority to CN200980126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090048B/zh
Priority to US12/999,373 priority patent/US8947269B2/en
Publication of WO20100051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051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unit,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key input unit, and a key input method.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key button for inputting letters / numbers, a function key button for starting and ending a telephone call, a plurality of function key buttons for selecting menu items, and the like.
  • a key button for inputting letters / numbers
  • a function key button for starting and ending a telephone call
  • a plurality of function key buttons for selecting menu items, and the like.
  • the above-described key buttons perform an essential function for inputting a user operation command and must b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key input method having a key input unit capable of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buttons by maximizing the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using one key button.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for maintaining a feeling of operation (tactile feeling) of the key button even when one key button performs a plurality of functions (e.g., selecting and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 functions).
  • a key input unit for maintaining a feeling of operation (tactile feeling) of the key button even when one key button performs a plurality of functions (e.g., selecting and inputt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 functio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key input method including a key input unit for maximizing the recognition rate of information input by using a key button or a user operation command.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a key input method having a key input unit that can be minimized the number of key buttons to maximize the size and / or display area of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key button and a key button for inputting a user operation command according to a moving direction.
  • the base is fix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key button unit; A slider for moving 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by user manipulation; A frame supporting the slider to move in parallel; And a restoring unit providing resistance to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and allowing the parallel moved slid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the base and the slider may be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oblique surface of the frame.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r to detect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unit by the user operation.
  • the information plate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of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 PCB printed circuit board
  •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 the restoration unit the C-shaped elastic band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base and the slider at the same time; And it may includ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 the key button unit may include: an elastic band inserted into each of the C-shaped grooves formed inside the base and the slider to simultaneously surround the base and the slider; And it may includ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n sensors (arbitrary nat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slider formed in a ring shape.
  • the n sensors may be operated by a detection signal of a movement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n increase in an elastic band due to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s.
  • a center of the base may be formed higher than an outer portion, and the center may be inserted into an inner groove of the slider formed in a ring shape.
  • the restoration unit may be an elastic body that allow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lider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n sensors (arbitrary nat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or the inner periphery of the slider.
  • the sensor may be one or more of a contact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distance sensing sensor.
  • the movement detector may be one or more of a tact switch, a tension detector, a variable resistor, and an elastic terminal.
  • the elastic b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the elongation (stretching ratio) is zero or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push detector for detecting a push stat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unit. The n sensors may be started by the push state detection signal output of the push detector.
  • the key button unit may include: a key button cover coupled to the slider and disposed above the key button unit; And a touch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key button cover.
  • the n sensors may be started by the touch state detection signal output of the touch sensing unit.
  • a suppor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outside portion of the slider, and a key button cover may be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 a suppo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outer portion of the slider, and the support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key button cover and coupled to each other.
  • Holes or protrusions and suppor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outer portions of the slider, and a key button cover is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and a protrusion or hole formed under the key button cover is a hole of the slider or It can be combined with the projections.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horizontal bea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slider.
  • the key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horizontal bea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center of the base.
  • the inner horizontal bearing and the outer horizontal bearing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 a magnet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to allow at least one of the inner horizontal bearing, the outer horizontal bearing, and the vertical bearing dis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ement.
  •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key button unit; And a controller for recognizing a reverse direction of an arrangement position of one or more sensors or a reverse direction of a vector sum as a moving direction of a slider with reference to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key button unit.
  • the key button unit may include a base fixed to a center position of the key button unit; A slider for moving 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by user manipulation; A frame supporting the slider to move in parallel; And a restoring unit providing resistance to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and allowing the parallel moved slid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restoration unit the C-shaped elastic band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base and the slider at the same time; And it may includ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n sensors (arbitrary nat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slider formed in a ring shape.
  • the restoring unit may include: an elastic band inserted into each of the C-shaped grooves formed inside the base and the slider to simultaneously surround the base and the slider; And it may includ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 the frame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and the slider, the base and the slider may be in vertical contact with the oblique surface of the frame.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formation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lider to detect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unit by the user manipulation.
  • the center of the base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er portion, it may be disposed so that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groove of the slider formed in a ring shape.
  • the restoration unit may be an elastic body that allows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lider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n sensors (arbitrary nat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al portion or the inner periphery of the slider.
  • the n sensors may be operated by a detection signal of a movement detecting unit that detects an increase in an elastic band due to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s.
  • the movement detector may be one or more of a tact switch, a tension detector, a variable resistor, and an elastic terminal.
  • the elastic b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in which the elongation (stretching ratio) is zero or limit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ush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push stat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unit. The n sensors may be started by the push state detection signal output of the push detector.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key button cover coupled to the slider and disposed above the key button unit; And a touch sensing unit configured to sense whether the user touches the key button cover. The n sensors may be operated by the touch state detection signal output of the touch sensing unit.
  • a suppor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outside portion of the slider, and a key button cover may be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 a suppor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outer portion of the slider, and the support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key button cover and coupled to each other.
  • Holes or protrusions and support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outer portions of the slider, and a key button cover is disposed in a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and a protrusion or hole formed under the key button cover is a hole of the slider or It can be combined with the projections.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horizontal bea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slider.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horizontal bearing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fram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 the inner horizontal bearing and the outer horizontal bearing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respectively.
  • a magnet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to allow at least one of the inner horizontal bearing, the outer horizontal bearing, and the vertical bearing dispos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movement.
  •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recorded to perform a key input method.
  • a program of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in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tangibly implemented to perform a key input method, and i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at can be read by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 the key button unit the base is fix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key button unit;
  • a slider for moving in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base by user manipulation;
  • a frame supporting the slider to move in parallel;
  • a restoring unit providing resistance to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and allowing the parallel moved slider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 the sensors included in the key button unit may be controlled to start opera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ront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operation state of the tac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sensing signal input process according to parallel movement of a s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lan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lan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and 14 are block diagrams of digital processing apparatuse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8 and 19 illustrate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each key button can be moved in parallel in four directions
  • each key button in the n naturally number of two or more
  • the designated user operation commands e.g., letters, numbers, operation mode selection, application execution, control commands, etc.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ront view of the input unit. 4 and 5 are combined perspective views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may include a key input unit 100, a controller 130, a storage 140, and a display 150.
  • the key input unit 100 may include a key button unit 110, a movement detecting unit 115, and a sensing unit 120.
  • the number of the key input units 100 is provided to match the number of key buttons driven by the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key button unit 110 is formed to enable parallel movement in an internal space of a groove (that is, a predetermined space defined by an inside of perimeter and a bottom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 the circuit device eg, PCB, FPC, touch screen module, etc.
  • the key button unit 110 may be formed to receive a vertical input signal while moving in parallel with the key button unit 110.
  • the key button unit 110 may be formed to enable continuous parallel movement and the like in order to enable recognition and / or input of rotational movement.
  • the movement detector 115 detects whether the slider 230 disposed around the base 210 (see FIG. 2) has moved in an arbitrary parallel direction, and outputs the detected information.
  • the movement detector 115 includes an elastic band 250 that simultaneously surrounds the outer surfaces of the base 210 and the slider 230 and a tact switch 260 that fixes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250. Is illustrated.
  • the slider 230 may be combined with a key button cover (key top)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key input unit 100, and may be coupled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oves the key button cover. Can be moved to match.
  • the top or surface of the key button cover (and / or touch pad screen module) has one of the following: special glass, film, polycarbonate (PC),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acrylic, or other plastic material to prevent slipping of the finger during user operation.
  • the abnormalities may be attached or a special paint may be coated.
  • the key button cover may be made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SUS series, other metal series, PC, ABS, PC / ABS, other plastic series, rubber, silicon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urface may be made of rubber). It is formed,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of SUS series).
  • the elastic band 250 is formed of a material (for example, rubber, etc.) in which the elongation (stretching ratio) is zero or minimized within a reference value by the applied force.
  •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limiting the maximum extension limit to 193.74mm assuming that the length of the original elastic band 250 is 186.8mm.
  • the elongation may be determin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method.
  • the coil spring (see FIG. 8) is provided in the tact switch 260 that fixes the elastic band 250 even when the elongation is 0 (or the minimum value), elasticity is obtained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 the belt 250 receives a force to extend in a specific direction, the length of the coil spring may be extended, and thus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elastic band 250 having a predetermined elongation may be expected.
  • the elongation of the elastic band 250 is 0 (or a minimum value)
  •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alfunction of the signal counter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250 may be prevented.
  • the elastic band 250 is elastic so that the slider 230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parallel movement in any direction by the force applied to the slider 230 (that is,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key button).
  • Can have Elastic band 250 may be replaced with a belt or the like to achieve the same purpose.
  • Elastic band 250 has an elastic force, but because the elongation is limited has the effect that the slider 230 can be quick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 the elastic band 250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a flexible material. In this case, it may be limited to a material that does not increase with temperature and time.
  • the elastic band 2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that can be bent, and in this case, the elastic band itself may be capable of signal processing even if a signal processing switch is not separately installed. It may be.
  •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 the shape of the elastic band 250 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hape of the elastic band 25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meets the purpose of the elastic band 250 described herein.
  • the tact switch 260 is for maintaining the user's key button operation feeling (tactility) excellently, the control unit 130 is the slider 230 by the on (On) / off (Off) of the contact during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It can also function as a signal counter to sense the parallel movement of c) (see Figure 8).
  • the tact switch 260 is limited to perform only the purpose of maintaining a good feeling of operation, it is obvious that a separate signal counter may be further provided.
  • the tact switch 260 is operated as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250 is increased by the applied force. That is, the tact switch 260 starts the operation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in the north-east, north-west or diagonal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intaining a user's feeling of operation and operating as a signal counter with only one tact switch 260 even though various information input and / or function selection can be made by parallel movement of key buttons.
  • the tact switch 260 may recognize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that is, the misalignment between the slider 230 and the base 210). If possible, it may be provided in any position.
  • the shape of the movement detector 115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terminal having elasticity. However, some examples of implementing the movement detecting unit 11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 the sensing unit 120 outputs a sensing signal for the controller 130 to recognize in which direction the slider 230 has moved.
  • FIG. 2 four pressure sensors 220 are disposed as one sensing unit 120 in one of four directions of the base 210.
  • the number of the pressure sensors 220 constituting the sensing unit 120 is limited to four, and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cessary.
  • a protrusion 240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slider 230 facing each pressure sensor 220 so that pressure may be easily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220 when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 the protrusion 24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posing base 210.
  • the contact surface of the pressure sensor 2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for example, formed by a folk type terminal terminal, other self-acting terminal, etc.), the protrusion 240 is omitted. It could be.
  • the shape of the sensing unit 120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some examples of implementing the sensing uni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2.
  • the controller 130 detects a movement of the slider 230 by referring to a movement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movement detection unit 115 and uses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It detects which direction the slider 230 has moved. 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will control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ecognized slider 230.
  • the storage unit 140 is a storage space in which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is stored, and the display unit 150 outputs an operation state of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FIG. 3 illustrates a plan view of the key input unit
  • FIG. 4 and FIG. 5 illustrate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key input unit
  • FIG. 6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 input uni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viewed from the top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viewed from the bottom.
  • the key input unit 10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ward, and the base 210 which does not move in parallel with the arranged posi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se 210 are inserted or penetrated through the base ( Slider 230 disposed to be positioned aroun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2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10, and elastic band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base 210 and the slider 230 stacked in a two-layer structure at the same time 250 and a tact switch 260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250.
  • a frame 410 may be further includ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slider 230 so that the slider 230 and the base 210 always move at right angles.
  • the base 210 may be formed so that the inner side (center) does not protrude.
  • the inside may be recess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410 to be applied, or may be a shape in which all or part of the guide part is cut.
  • the elastic band 250 surrounding the outer side at the same time, the slider 230 and the base 210 such as in the case for the complete packing of the lubricant when using a highly viscous lubricant to block the inflow of dust from the outside, etc. It may be arranged inside.
  • One or more pressure sensors 220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r 230 facing the protrusion for more effectively pressing the pressure sensor 220.
  • the formation of the protrusion 240 is not essential,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sensor to be applied and the recognition method of the parallel moved direction.
  • the slider 230 may be combined with an information plate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a click operation or a touch ope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information plate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ouch pad, a touch scree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or the like.
  • the slider 230 may be combined with a touch screen module or a touch screen module and a PCB integrated component instead of a keypad PCB.
  • the user can conveniently input the touch screen by touching the small button and moving it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a corresponding signal is output.
  • the display unit area is made small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miniaturization and portableness. Therefore, the input touch unit area in which the user's touch input is possible is also reduced.
  • a stylus pen or the like is conventionally used.
  • a coating of, for example, special glass, film, or other paint may be added on the touch screen to prevent a reduction in friction between the touch screen and the finger.
  • the slider 230 is stacked and disposed on the upper layer of the base 210.
  • the slider 230 may be located inside the base 210.
  • the shape of the slider 230 does not change greatly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layout of the information board to be mounted does not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buttons, etc., and serves to allow the information board to be mounted. Can be.
  • the base 210 since the base 210 is combined with a screw boss, a hook, or a fixing protrusion, the base 21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structure, or shape of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 the frame 410, the slider 230, or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base 210.
  • a hole is formed in the base 210, the whole or part of the frame 41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e, and the slider 230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inside the frame 410.
  • FIG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shape and operation state of the tact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shows a state before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 (b) shows the case where the slider 230 is moved to the west
  • (c) shows the slider 230 to the northwest. The case of parallel movement is shown.
  •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s 710 and 720 disposed on the east and south sides of the base 210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 the pressure sensors 710 and 720 output a sensing signal
  • the controller 130 detects the sensing signal and the slider 230 outputs the sensing signal in an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ure sensors 710 and 720. For example, it is recognized that the direction is opposite to the vector sum direction and moved northwest).
  • the base 210 is present in the original position, but only the slider moves, so that the elastic band which simultaneously covers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base 210 and the slider 230 ( Since the length of 250 is increased and the elongation of the elastic band 250 is limited, the tact switch 260 for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250 is also subjected to a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elastic band 250. The contact point at which the lever of 260 contacts is varied. Also, in (b) and (c), the degree of deviation between the slider 230 and the base 210 due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230 is displayed together.
  • FIG. 8 illustrates the shape and operating state of the tact switch 260.
  • the operation state of FIG. 8 is merely an example of a restoration form of the tact switch 260, the coil spring 850, and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act switch 260 may be restored by various other method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tact switch 260 includes a start contact 810, an end contact 820, a movable contact 830, a tact switch base 840, a coil spring 850, and a trigger ( 860). Since the elastic band 25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210 and the slider 230, the bottom surface of the tact switch base 840 and the trigger 860 fixing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250 The outer surface of base 210 and slider 230 may be contacted together.
  • the circle A represents the central axis of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rotates, and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rotates about the groove so as to quickly give a feeling of operation (tactility) of the key button.
  • Circle B represents the position of the center hole of the coil spring 850.
  • the coil spring 850 pulls the movable contact 830 while the movable contact 830 is in contact with the start contact 810.
  • the elastic band 250 is forc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 230 moves so that the trigger 860 is pulled and the trigger 860 is pulled (ie Due to the tact switch base 840 and the trigger 860 spreading on both sides, the coil spring 850 disposed between the trigger 860 and the protrusion receives a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igger 860 is pulled, and thus the movable contact.
  • the portion 830 is rotated toward the end contact portion 820.
  • the slider since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is in contact with the end contact portion 820 and is forced until no further deformation of the coil spring 850 is possible, the slider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coil spring 850 in the state where the 230 is moving is different from other states.
  • the controller 130 may recognize a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230. That is, the tact switch 230 has a point in time at which contact with the end contact 820 is started or a contact with the end contact 820 from the time when the movable contact 830 is in contact with the start contact 810. It can function as a signal counter until the time when the contact with the start contact 810 is resumed without being started.
  • the tact switch 260 and the signal counter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or may be coupled to the elastic band 250, respectively.
  • the coil spring 850 will attempt to return to the section in which its length is shortest (ie, the section in which the movable contact section 830 contacts the start contact section 810) (in this case, if the elastic band 250 is present). Is likely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length if there was an increase in elongation), i.e., the trigger 860 fixed to one end of the coil spring 850 as the coil spring 85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lider 230 also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by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band 250 according to the return of the trigger 860.
  • the tact switch 260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il spring 850 is used to give the user a feeling of operation (tactility), but in addition to the leaf spring, rubber (including silicone series), magnetic having magnetic properties, etc. Can be used. Of course, it is obvious that the same material can be applied without any limitation as long as the material can achieve the same purpose.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ey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graph illustrating a sensing signal input process according to parallel movement of a sli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910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key button manipulation.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manipulation is a parallel movement in operation 920. Whether it is a parallel movement operation may be recognized as whether a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movement detector 115. As illustrated in FIG. 10, in the case of a parallel movement operation,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250 (or the elongation of the elastic band 250 is 0, there is no change in length, but the elastic band 250 is pulled by the trigger 860. The length of the entire perimeter formed by the tact switch 260 will begin to incre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is a parallel movement, the controller 130 proceeds to step 93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to detect a sensing signal input from the sensing unit 120. For example, the sensors of the sensing unit 120 may be switched to a power-on state by the operation start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 step 92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case where the user selectively performs either the parallel movement operation of the slider 230 or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of the key button unit 100. Obviously, the combination of the operation and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can further diversify th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250 (or the length of the entire circumference formed by the elastic band 250 and the tact switch 260, which is the same below) is determined.
  • the sens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120 while the length of the elastic band 250 is increased.
  • the sensing signal will be received from one sensor. Also, if the parallel movem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sensing signal will be received from the two sensors. In FIG. 10, although sensing signals are sequentially received from two sensors during parallel movement in a diagonal direction, it is obvious that the sensing signals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 Lo denotes an initial value of the length of the entire circumference formed by the elastic band 250 or the elastic band 250 and the tact switch 260
  • Lo + LE is the elongation of the elastic band 250 and And / or the maximum value of the length extended by the pull of the trigger 860.
  • the maximum valu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diagonal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and the parallel movement in the north, south, east, and south directions. If it is different, the maximum length of the extended length may be pre-specified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extended length as the maximum value in the case of parallel movement in the north-west, north-south direction, or to recognize the maximum length by the diagonal parallel movement as the maximum value. Can be.
  • the extended length of the diagonal parallel movement is longer and designated as the maximum value
  •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ends contact with the start contact portion 810
  • the parallel movement may be terminated without contacting the end edge portion 820 and then contacted with the start contact portion 810 again.
  • it is determined whether it has returned to the minimum length that is, whether or not the parallel movement is terminated again in contact with the starting contact portion 810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end getting portion 820) and received during the period.
  • the sensing direction may be recognized as a sensing signal.
  • the base 210 so that the length of the entire circumference formed by the elastic band 250 or elastic band 250 and the tact switch 260 is the same. It is apparent that the back can be formed.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elastic band 250 has been extended to the maximum length (eg, in contact with the end contact portion 820) or has returned to the minimum length (that is, the end getting portion 8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rallel movement is terminated in contact with the start contact part 810 again in the state of not contacting with the contact point). In addition, if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to the maximum distance (ie, parallel movement in the north-west, north-west direction, or parallel movement in the diagonal direction),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of the tact switch 260 is connected to the end contact portion 820. Since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unter will be terminated by the contact, the controller 130 may refer to this.
  • the slider 230 does not move to the specified maximum distance. (I.e. perform only parallel movement in one particular direction).
  • the operation of the signal counter may be terminated by contacting the start contact part 810 again in a state where the end contact part 820 is not in contact, and the controller 130 may refer to this.
  • the elastic band 250 If the elastic band 250 has not elongated to its maximum length or has not returned to its minimum length, then wait for reception of another sensing signal at step 930.
  • step 950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230.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230 may be determ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sensor which outputs the sensing signal.
  • the controller 130 corresponds to an operation command (eg, input of a specific letter / number, selection of a function menu, selection of a direction key, etc.)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ving direction of the slider 230. Control the operation to be performed.
  • an operation command eg, input of a specific letter / number, selection of a function menu, selection of a direction key, etc.
  • step 920 if the key button manipulation is a vertical movement manipulation (for example, a click manipulation) rather than a parallel movement manipulation, the flow proceeds to step 970 to control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command according to the click gesture recognition. do.
  • a vertical movement manipulation for example, a click manipulation
  • the parallel movement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unit 100 it is possible to input more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or example, when a vertical input operation is input after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different information may be input to each case, such as when a parallel movement is performed after the vertical input operation of the slider 230. In this case, even if the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unit 120 is detected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only when there is a vertical movement (that is, the detected sensing signal is suspended until there is a vertical movement). It may be detected and recognized as a valid sensing signal.
  • various time points at which the sensing signal and the vertical input signal are input may vary.
  • the sensor signal may be detected before the vertical input signal after the movable contact 830 is separated from the start contact 810.
  • the vertical input signal may be detected before the sensor signal after the movable contact 830 is separated from the start contact 810.
  • the vertical input signal may be input before the movable contact 830 falls from the start contact 810.
  • the above-described cases are processed based on a sensor signal or a vertical input signal inputted at or after the movable contact portion 830 contacts the end contact portion 820.
  • the end is not in contact with the 820.
  • the parallel movement may be terminated and contacted with the start contact part 810 again.
  • the processing method may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regoing description.
  • the vertical input signal may not be detected in the entire cycle from the moment when the movable contact 830 is separated from the start contact 810 to the point of contact with the end contact 820.
  • the control unit 130 does not perform the processing of the input resul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immediately after the movable contact unit 830 touches the end contact unit 820, and if the vertical input signal is input thereafter, Will be processed.
  • the above-described cases are methods for processing irrespective of the input order of the vertical input signal and the sensor signal, but may also consider the input order of the vertical input signal and the sensor signal. For example, when a vertical input signal is input first and then a sensor signal is input (that is, parallel movement is completed), a, b, c or d may be set to be inpu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slider 230, and the sensor signal may be input. When the first input signal is input and the vertical input signal is input, p, q, r or 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slider 230.
  • the number of applicable passwords is more than doubled. It can be increased, and the security effect can be maximized by diversifying and complicating the security element by the operation with small external exposure such as vertical input or parallel movement.
  • FIG. 11 is a plan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nsion detecting unit 1110 may be a sensor in which the elastic band 250 is extended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and both ends of the stretched elastic band 250 detect and output a force to be far from each other. .
  •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When the tension detecting unit 1110 detects a force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the elastic band 250,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outputs a sensing signal thereto, and the controller 130 may recognize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by the input sensing signal. have.
  •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may increase the elastic band 250 by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and output a resistance value or a current value as both ends of the elongated elastic band 250 move away from each other. It may be a variable resistor.
  • the controller 130 may recognize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by the resistance value or the current value output from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at the slider 230 moves in parallel with reference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and then controls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Subsequently,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lider 230 ha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or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lider 230 has moved to the maximum distance is input from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is performed. After that, the direction of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of the sensors that output the sensing signal.
  • FIG. 12 is a plan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sure sensor 220 illustrated in FIG. 2 or the like may be replaced with the distance sensor 1220.
  • the distance sensor 1220 is provided in the slider 230, but may be provided in the base 210.
  • the distance sensor 1220 may be disposed in a groove formed in the base 210 or the slider 230 to be protected from the rapid movement of the slider 230.
  • the distance sensor may output a sensing signal when the distance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210 facing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 the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for example, zero (zero) to measure the time of full contact, or 0.5mm or the like to measure the proximit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reference value may be variously specified by a design method, an operating characteristic, or the like.
  • the slider 230 and the base 210 may b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by the elastic body 1210 in order to return the slider 230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to its original position. If the slider 230 is moved in a specific direc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slider 230 will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210.
  • the elastic body 1210 may be replaced with an elastic force (bending terminal terminal, etc.) that the sensor itself has in some cases.
  • the sensors disposed on the base 2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key button unit, that i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in which the key button unit is disposed.
  • the sensors may be operated by the pressure applied by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wall or the outer wall of the slider 230 according to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 FIG. 13 and 14 are block diagrams of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vement sensing unit 115 or the tension sensing unit 1110 may be replaced with the touch sensing unit 1310 illustrated in FIG. 13 or the push sensing unit 1410 illustrated in FIG. 14.
  • the touch sensing unit 1310 illustrated in FIG. 13 includes a touch sensor, and the touch sensor detects whether a user's finger touches the key button cov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ensing signal. This utilize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user's finger must be in contact with the key button for the key button operation.
  •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to be maintained while the sen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touch sensor (ie, while the user's finger is touched).
  • the push detector 1410 illustrated in FIG. 14 outputs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the user vertically moves the key button (ie, a click operation). That is, the user may first appl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button, and then move the key button in parallel in a direction for inputting a desired user command.
  •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120 to be maintained while the sensing signal is input from the push sensing unit 1410 (that is, while the user presses a key button).
  • the sensors may be started after a predetermined delay time according to conditions such as the initial distance of the sensors and other operation types. You may.
  • FIG. 15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key input unit 100 includes a magnet 1510, a base 210, bearings 1520, 1530 and 1540, a first contact 1550, a frame 410, a slider. 230, the second contact portion 1560, the elastic band 250, and the tact switch 260.
  • the magnet 151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210 and serves as a retainer for positioning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ase 210.
  •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minimize side friction between the slider 230 and the frame 410, the frame 410, and the base 210 when the slider 230 moves in parallel.
  •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are provided between the base 210 and the slider 230 to parallel the vertical bearings 1520 and the slider 230 to minimize frictional force with the base 210 when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minimizes the lateral frictional force with the frame 410 when moving and the second horizontal bearing 1540 minimizes the lateral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rame 410 and the base 210 during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is disposed between the frame 410 and the slider 230
  • the second horizontal bearing 154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210 and the frame 410. do.
  •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and the second horizontal bearing 1540 are disposed in directions not overlapping with each other.
  •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is disposed in SIDE A and SIDE C
  • second horizontal bearing 1540 is disposed in SIDE B and SIDE D.
  •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and the second horizontal bearing 1540 may be variously modified.
  • a magnet 1510 is disposed under each of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to allow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to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fter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is completed.
  • the bearing balls of the bearings 1520, 1530, and 1540 are always pulled by the magnet 1510, and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slider 230 is prevented. After completion, the magnetic forc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ch does not require a separate retainer.
  • the first contact portion 1550 is disposed abov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se 210, and is disposed to contact the second contact portion 1560 disposed above the slider 230 when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 the first contact unit 1550 and the second contact unit 1560 may be implemented as sensors having various shapes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first contact portion 155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560 are formed of a metal, and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55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560 contact with each other, a current passes through the first contact portion 155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contact of contact 1560 may be recognized.
  • the slider 2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ver described above, but may be implemented in a thin manne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outer portion of the base.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slider 230, the mass can be reduced,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initial operating force.
  • the slider 23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o be coupled to a key button cover (key to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key input unit 100.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support 157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r 230 so that the key button cover (key top)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1570. Can be. Alternatively, the support 1570 formed on the slider 230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key button cov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lternatively, the key button cover is positioned in the internal space partitioned by the support 1570 of the slider 230, and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key button cover are inserted into the holes 1580 formed in the slider 23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t may be.
  • FIG. 17 an operation state of the key input unit 100 is illustrated.
  • (a) indicates the state before the slider 230 is moved in parallel
  • (b)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the slider 230 moves to the west
  • (c) indicates the slider 230 moves to the north.
  • One state is shown
  •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lider is moved northeast.
  • the controller 130 may detect that the slider 230 has moved to the west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unit 1550 and the second contact unit 1560 positioned in the east.
  • the controller 130 may detect that the slider 230 has moved to the north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unit 1550 and the second contact unit 1560 located in the south.
  • the frame 410 is also moved east by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and the second horizontal when the frame 410 moves.
  • the side bearing friction between the frame 410 and the base 210 is minimized by the bearing 1540.
  • the lateral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lider 230 and the frame 410 is minimized by the first horizontal bearing 1530 in moving north.
  • the controller 130 may detect that the slider 230 has moved to the northeast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s 155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s 1560 positioned in the west and the south, respectively.
  • FIGS. 18 and 19 illustrate a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key button to which the key input unit is applied may allow specific functions to be assigned to each of the eight directions as illustrated in FIG. 18, and as illustrated in FIG. 19, six directions (or eight directions and six vertical input buttons). You can have specific functions assigned to each one. Of course, the number of directions for allowing a specific function to be designated using the corresponding key button can be freely set and implemented, and it is obvious that the click operation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can be implemented.
  • the user can cause any one function menu to be executed by moving the key button to which the above-described key input unit is applied in parallel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user may execute more function menus using a single key button.
  • each key button for inputting numbers / letters and the like is implemented as a key inpu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ame function can be implemented by a smaller number of key button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the area of the area for.
  • the key input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o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number of key buttons by maximizing the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using one key butt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a feeling of operation (tactile feeling) of the key button even when one key button performs a plurality of functions (for example, selection input for a plurality of characters / fun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recognition rate of the information or user operation command input using the key butt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number of key buttons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aturizing the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and / or maximizing the display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의 수를 최대화함으로써 키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본 발명은 키 입력 유닛,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처리 장치의 일 예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문자/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 버튼, 전화통화 개시 및 종료를 위한 기능 키 버튼, 메뉴 항목의 선택 등을 위한 복수의 기능 키 버튼 등이 포함된 키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상술한 키 버튼들은 사용자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디지털 처리 장치가 점점 소형화되어 가는 추세에서 제한 요소로 작용된다. 즉, 디지털 처리 장치(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이동 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ata Assistant) 등)에 사용되는 키보드, 키 패드 등의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디지털 처리 장치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PDA에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은 소형화의 목적은 달성할 수 있을지라도,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의 수를 최대화함으로써 키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키 버튼이 복수의 기능(예를 들어, 다수의 문자/기능에 대한 선택 입력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키 버튼의 조작감(택감)이 유지되도록 하는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 명령의 인식률이 극대화되는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수가 최소화될 수 있어 디지털 처리 장치의 소형화 및/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대화가 가능한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방향에 따른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 버튼, 키 버튼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판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PCB(Printed Circuit Board),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탄성띠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에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일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띠는 신율(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 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는, 키 버튼 유닛; 및 상기 키 버튼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센싱 신호를 출력한 하나 이상의 센서의 배치 위치의 역 방향 또는 벡터 합의 역 방향을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탄성띠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띠는 신율(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 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키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키 버튼 유닛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출력한 센서의 배치 위치의 역 방향 또는 벡터 합의 역 방향을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버튼 유닛 내에 구비된 센서들이 동작 개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형상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 입력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평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이 장착된 디지털 처리 장치를 예시한 도면.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각 키 버튼이 4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동일한 기술적 사상에 의해 각 키 버튼이 n(2 이상의 자연수) 방향(예를 들어, 8 방향 등)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고, 평행 이동된 방향을 감지하여 지정된 사용자 조작 명령(예를 들어, 문자, 숫자, 동작 모드 선택,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명령 등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처리 장치는 키 입력 유닛(10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유닛(100)은 키 버튼부(110), 이동 감지부(115) 및 센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 유닛(100)의 수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방법으로 구동되는 키 버튼의 수에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키 버튼부(110)는 디지털 처리 장치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홈(즉, 내측 주위면(inside of perimeter) 및 바닥 면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의 공간)의 내부 공간에서 평행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키 버튼부(110)에 포함된 회로장치(예를 들어, PCB, FPC, 터치 스크린 모듈 등)는 키 버튼부(110)와 같이 평행 이동하면서 수직 입력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 버튼부(110)는 회전 이동의 인식 또는/및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평행 이동 동작 등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감지부(115)는 베이스(210, 도 2 참조) 주변에 배치된 슬라이더(230)가 임의의 평행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를 출력한다.
도 2에는 이동 감지부(115)가 베이스(210) 및 슬라이더(230)의 외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250)와 탄성띠(250)의 양쪽 단부를 고정하는 택트 스위치(260)로 구성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더(230)는 해당 키 입력 유닛(100)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키 탑(key top))와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키 버튼 덮개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부합하도록 이동되어질 수 있다. 키 버튼 덮개(및/또는 터치패드 스크린 모듈) 상부 또는 표면에는 사용자 조작시 손가락의 미끄러짐 방지를 위해 특수 글라스, 필름, PC(polycarbon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아크릴, 기타 플라스틱 재질 등 중 하나 이상이 부착되거나 특수 도료가 코팅되어질 수 있다. 또한, 키 버튼 덮개는 SUS 계열, 기타 메탈계열, PC, ABS, PC/ABS, 기타 플라스틱 계열, 고무(rubber), 실리콘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재질(예를 들면 표면은 고무로 형성되고, 표면 하부는 SUS 계열로 형성)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띠(250)는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신율(늘어나는 비율)이 0이거나 기준 값 이내에서 최소화되는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준 값은 원래의 탄성띠(250)의 길이가 186.8mm라고 가정하면 최대 연장될 수 있는 한도가 193.74mm로 제한하는 값일 수 있다. 물론, 신율은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율이 0(또는 최소한의 값)인 경우에도 탄성띠(250)를 고정하는 택트 스위치(260)에 코일 스프링(도 8 참조)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탄성띠(250)가 특정 방향으로 늘어나고자 하는 힘을 받는 경우 코일 스프링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어 탄성띠(250)가 소정의 신율을 가지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예견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띠(250)의 신율이 0(또는 최소한의 값)이므로 탄성띠(250)의 길이 변형에 따른 신호 카운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다만, 슬라이더(230)가 가해지는 힘(즉, 사용자가 키 버튼의 평행 이동을 위해 가하는 힘)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평행이동 한 후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띠(25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띠(250)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벨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탄성띠(250)가 탄성력을 가지되, 신율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230)가 원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탄성띠(250)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이면 무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시간에 의해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띠(250)는 굽혀질 수 있는 인쇄된 회로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신호 처리 스위치를 별도로 장착하지 않더라도 탄성띠 자체로 신호처리까지 가능해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탄성띠(250)의 형상이 사각형인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탄성띠(250)의 목적에 부합하기만 하면 탄성띠(25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택트 스위치(260)는 사용자의 키 버튼 조작감(택감)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접점의 온(On)/오프 (Off)에 의해 제어부(130)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을 감지하도록 하는 신호 카운터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도 8 참조). 물론, 택트 스위치(260)는 조작감을 우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용도만을 수행하도록 제한하는 경우, 별개의 신호 카운터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택트 스위치(260)는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띠(25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동작된다. 즉, 택트 스위치(260)는 슬라이더가 동서남북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에 의해 동작을 개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키 버튼의 평행 이동 등에 의해 다양한 정보의 입력 및/또는 기능의 선택이 가능할지라도, 하나의 택트 스위치(260)만으로 사용자 조작감 유지, 신호 카운터로의 동작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도 2에는 택트 스위치(260)가 외부에 노출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되었으나, 택트 스위치(260)는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즉,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간의 어긋남)을 인식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동 감지부(115)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예를 들어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동 감지부(115)를 구현하는 일부의 예들은 이후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센싱부(120)는 슬라이더(230)가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를 제어부(130)가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는 4개의 압력 센서(220)가 센싱부(120)로서 베이스(210)의 4개의 방향에 각각 하나씩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다만, 센싱부(120)를 구성하는 압력 센서(220)의 수가 4개로 제한되고,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압력 센서(220)에 용이하게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각 압력 센서(220)에 대향하는 슬라이더(230)의 측면에는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각각의 압력 센서(220)가 슬라이더(230)의 내측 주위면에 배치되는 경우라면, 돌출부(240)는 대향되는 베이스(210)의 외측 주위면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만일 압력 센서(220)의 접촉 표면이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예를 들어 포크 타입(folk type) 터미널 단자, 기타 자체 스프링 작용을 하는 터미널 등으로 형성된 경우), 돌출부(240)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센싱부(12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다만, 센싱부(120)를 구현하는 일부의 예들은 이후 도 12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이동 감지부(115)로부터 입력되는 이동 감지 신호를 참조하여 슬라이더(230)의 이동을 감지하고, 센싱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슬라이더(230)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인식된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디지털 처리 장치를 제어할 것이다.
저장부(140)는 디지털 처리 장치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 등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며,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디지털 처리 장치의 동작 상태 등을 출력한다.
도 3에는 키 입력 유닛의 평면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는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키 입력 유닛의 단면도가 예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는 상단에서 주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하단에서 주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유닛(100)은 내측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 위치에서 평행 이동하지 않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 또는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하고 베이스(210)의 돌출된 부분의 주변 및 베이스(2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더(230)와, 2층 구조로 적층된 베이스(210)와 슬라이더(230)의 바깥쪽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250)와, 탄성띠(250)의 양쪽 단부를 고정하는 택트 스위치(26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의 내측 표면 상부 및 슬라이더(230)의 내측 표면 하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가 항상 직교하는 부분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410) 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키 입력 유닛(100)에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가 항상 직교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프레임(410)이 포함되는 경우라면, 베이스(210)는 내측(중심부)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적용될 프레임(410)의 형상에 따라 내측이 함몰되거나, 가이드(guide)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커팅(cutting)된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바깥쪽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250)는 외부로부터의 먼지 유입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경우, 점성이 높은 윤활제 사용시 윤활제의 완전한 패킹(packing)을 위한 경우 등에서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베이스(210)의 주위면에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압력 센서(220)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돌출부가 대향되는 슬라이더(230)의 내측 주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240) 등의 형성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적용되는 센서의 유형, 평행 이동된 방향의 인식 방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더(230)는 수직 방향으로의 입력 정보(예를 들어, 클릭 동작, 접촉 동작 등)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 판과 결합될 수 있다. 정보 판은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PCB(Printed Circuit Board),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30)에는 키 패드 PCB 대신 터치 스크린 모듈 또는 터치 스크린 모듈과 PCB 일체형의 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230)에 결합되는 PCB, FPC는 물론 메탈 돔, 폴리 돔, EL 돔(즉, 메탈 돔 위에 flex Electro luminescence를 접착한 구조) 등의 수직 입력을 처리할 수 있는 사양과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정보 판의 구비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의 작은 표시부 화면에서도 사용자는 작은 버튼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응하는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터치 스크린에서의 입력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PDA 등은 소형화 및 휴대용의 목적 달성을 위해 표시부 영역이 작게 형성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 터치부 영역 또한 작아질 수 밖에 없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슬라이더(230)에 PCB대신 터치 스크린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터치부 영역을 종래보다 크게 할 수 있고, 터치된 영역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방향에 대한 각기 다른 입력 신호를 받게 됨으로써(예를 들어, 8방향 인식시 버튼 영역은 기존 터치패드의 8개 버튼 영역을 통합한 것과 같은 영역으로 설정) 같은 크기의 터치 스크린을 가진다 하여도 손가락 입력 터치부의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모듈의 적용시 터치 스크린 위에 예를 들어 특수 글라스, 필름 혹은 기타 도료의 코팅을 추가하여 터치 스크린과 손가락의 마찰력 감소를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슬라이더(230)가 베이스(210)의 상부 층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슬라이더(230)는 베이스(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슬라이더(230)의 형상은, 장착되는 정보판의 외곽 구조(layout)가 버튼의 수 등에 따라 크게 변동되지 않는다는 점 및 이러한 정보판이 장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크게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비해, 베이스(210)는 스크류 보스, 후크(hook) 또는 고정용 돌기 등 과 결합하기 때문에, 디지털 처리 장치의 기종이나 구조,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의 경우에는 프레임(410), 슬라이더(230) 등이 베이스(21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베이스(210)에 홀이 형성되고, 해당 홀에 프레임(410) 전체 또는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슬라이더(230)는 프레임(410) 내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트 스위치의 형상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슬라이더(230)가 평행 이동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슬라이더(230)가 서쪽으로 평행 이동된 경우를 나타내며, (c)는 슬라이더(230)가 북서쪽으로 평행 이동된 경우를 나타낸다.
슬라이더(230)가 서쪽으로 평행 이동된 (b)의 경우,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베이스(210)의 동쪽에 배치된 압력 센서(71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압력 센서(710)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30)는 센싱 신호를 감지하여 슬라이더(230)가 센싱 신호를 출력한 압력 센서(220)의 반대 방향(즉, 서쪽)으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는, 센싱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센서(710)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어 있음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슬라이더(230)가 북서쪽으로 평행 이동된 (b)의 경우,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베이스(210)의 동쪽 및 남쪽에 각각 배치된 압력 센서들(710, 720)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해당 압력 센서들(710, 720)은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30)는 센싱 신호를 감지하여 슬라이더(230)가 센싱 신호를 출력한 압력 센서들(710, 720)의 반대 방향(예를 들어, 벡터 합 방향의 반대 방향이며, 북서쪽)으로 이동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b)와 (c)의 경우, 베이스(210)는 원래의 위치에 존재하나, 슬라이더만이 이동하게 되어, 베이스(210)와 슬라이더(230)의 바깥쪽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25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며, 탄성띠(250)의 신율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탄성띠(250)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택트 스위치(260)도 탄성띠(250)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택트 스위치(260)의 레버가 접촉되는 접점이 변동된다. 또한, (b)와 (c)에는 슬라이더(23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간에 어긋나는 정도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8에는 택트 스위치(260)의 형상 및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도 8의 동작 상태 등은 단지 택트 스위치(260), 코일 스프링(850) 등의 복원 형태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해 택트 스위치(260) 등의 복원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260)는 시작 접점부(810), 끝 접점부(820), 가동 접점부(830), 택트 스위치 베이스(840), 코일 스프링(850) 및 트리거(860)을 포함한다. 탄성띠(250)가 베이스(210)와 슬라이더(230)의 외측 표면에 함께 접촉되므로, 탄성띠(250)의 양 끝 단을 고정하는 택트 스위치 베이스(840)와 트리거(860)의 하단 표면도 베이스(210)와 슬라이더(230)의 외측 표면에 함께 접촉될 수 있다.
원 A는 가동 접점부(830)가 회전하는 중심축을 나타내며, 해당 홈을 중심으로 가동 접점부(830)가 회전하면서 키 버튼의 조작감(택감)을 신속하게 내도록 한다. 원 B는 코일 스프링(850)의 중심 홀의 위치를 나타낸다.
슬라이더(230)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에는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850)이 가동 접점부(830)를 당기게 된다.
슬라이더(230)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탄성띠(250)가 슬라이더(23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트리거(860)가 당겨지게 되고, 트리거(860)가 당겨짐(즉, 택트 스위치 베이스(840)와 트리거(860)가 양쪽으로 벌어짐)으로 인해 트리거(860)와 돌기부 사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850)이 트리거(86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가동 접점부(830)를 끝 접점부(820) 쪽으로 회전하게 한다. 도 8에 도시된 동작 상태 도면을 참조할 때,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코일 스프링(850)의 모양 변형이 불가능해질 때까지 힘을 받게 되므로, 슬라이더(230)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의 코일 스프링(850)의 형상이 다른 상태들과 다름을 알 수 있다.
슬라이더(230)가 이동을 개시하여 가동 접점부(830)와 시작 접점부(810)가 떨어지게 되면 슬라이더(230)의 이동을 나타내는 정보가 제어부(130)로 입력되어, 제어부(130)는 슬라이더(23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접촉하게 되면 해당 신호가 제어부(130)로 전달되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이 종료되었음을 감지하도록 하며, 그때까지 입력된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택트 스위치(230)는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와의 접촉이 종료된 시점부터 끝 접점부(820)와의 접촉이 개시되는 시점 또는 끝 접점부(820)와의 접촉이 개시되지 않고 시작 접점부(810)와의 접촉이 재개되는 시점까지 신호 카운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택트 스위치(260)와 신호 카운터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각 탄성띠(250)에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접촉하게 된 후 사용자가 슬라이더(230)에서 손을 떼면, 슬라이더(230)의 이동에 따른 탄성띠(250)의 이동(또는 길이 증가)에 의해 당겨지던 트리거(860)에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힘의 영향이 없어진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850)은 자체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구간(즉,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되는 구간)으로 복귀하려고 할 것이다(이때, 만일 탄성띠(250)가 신율에 의한 길이 증가가 있었다면 원래의 길이로 복원될 것임은 자명하다) 즉, 코일 스프링(85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코일 스프링(850)의 일 단부에 고정되는 트리거(860)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트리거(860)의 복귀에 따른 탄성띠(250)의 위치 복귀로 슬라이더(23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 감지 방법 및 센싱 정보 입력 방법은 이후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택트 스위치(260)가 사용자의 조작감(택감)을 내도록 하기 위하여 코일 스프링(850)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외에도 리프 스프링, 고무(실리콘 계열도 포함됨), 자성을 가지는 마그네틱 등이 더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료라면 아무런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센싱 신호 입력 과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910에서 제어부(130)는 키 버튼 조작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키 버튼 조작이 있었다면, 단계 920에서 제어부(130)는 평행 이동 조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평행 이동 조작인지 여부는 이동 감지부(115)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행 이동 조작인 경우 탄성띠(250)의 길이(또는 탄성띠(250)의 신율은 0으로 길이 변동은 없으나 트리거(860)의 당겨짐에 의해 탄성띠(250)와 택트 스위치(26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둘레의 길이)는 증가하기 시작할 것이다. 평행 이동 조작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930으로 진행하여 제어부(130)는 센싱부(12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한 후 센싱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의 동작 개시 제어에 의해 센싱부(120)의 센서들은 전원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단계 92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 조작 또는 키 버튼 유닛(100)의 수직 이동 조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평행 이동 조작과 수직 이동 조작을 조합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정보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가 이동함에 따라 탄성띠(250)의 길이(또는 탄성띠(250)와 택트 스위치(26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둘레의 길이, 이하 동일함)는 증가하게 되고, 탄성띠(250)의 길이가 증가되는 과정에서 센싱부(120)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된다.
만일 동서남북 중 어느 한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이라면, 하나의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될 것이다. 또한 만일, 대각선 방향의 평행 이동이라면 두 개의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수신될 것이다. 도 10에는 대각선 방향의 평행 이동시 두 개의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센싱 신호는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에서, Lo는 탄성띠(250) 또는 탄성띠(250)와 택트 스위치(26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둘레의 길이 중 초기 값을 나타내며, Lo는+ LE는 탄성띠(250)의 신율 및/또는 트리거(860)의 당겨짐에 의해 연장된 길이의 최대값을 의미한다. 물론, 슬라이더(230)의 대각선 평행 이동의 경우와 동서남북 방향의 평행 이동의 경우 최대값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만약 다른 경우라면, 연장된 길이의 최대값은 동서남북 방향의 평행 이동의 경우에 연장된 길이의 값을 최대값으로 인식하도록 하거나, 대각선 평행 이동에 의해 연장된 길이를 최대값으로 인식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만일, 대각선 평행 이동의 연장된 길이가 보다 길고, 이를 최대값으로 지정한 경우에서, 사용자 조작이 동서남북 방향의 평행 이동이라면 가동 접점부(830)는 시작 접점부(810)와 접촉을 종료한 후, 끝 점점부(8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 이동이 종료되어 다시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최소 길이로 복귀하였는지 여부(즉, 끝 점점부(8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 이동이 종료되어 다시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로서 판단하고, 그 기간 동안 수신된 센싱 신호로서 평행 이동 방향을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동서남북 방향의 평행 이동의 경우와 대각선 평행 이동의 경우, 연장되는 탄성띠(250) 또는 탄성띠(250)와 택트 스위치(26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둘레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베이스(210) 등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940에서 제어부(130)는 현재 탄성띠(250)가 최대 길이까지 늘어났는지(예를 들어, 끝 접점부(820)에 접촉되었는지) 또는 최소 길이로 복귀하였는지(즉, 끝 점점부(8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 이동이 종료되어 다시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만일 슬라이더(230)가 최대의 거리(즉, 동서남북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 또는 대각선 방향의 평행 이동)까지 평행 이동하였다면 택트 스위치(260)의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접촉함으로써 신호 카운터의 동작이 종료될 것이므로 제어부(130)는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대각선 방향의 이동 최대 거리가 특정한 한 방향의 평행 이동 방향의 최대 거리보다 길고, 대각선 방향의 이동 최대 거리를 최대 거리로 지정한 경우라면, 슬라이더(230)가 지정된 최대의 거리까지 이동하지 않고(즉, 특정한 한 방향으로의 평행 이동만 수행)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끝 점점부(8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시작 접점부(810)에 접촉됨으로써 신호 카운터의 동작이 종료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어부(130)는 이를 참조할 수 있다.
만일 탄성띠(250)가 최대 길이까지 늘어나거나 최소 길이로 복귀하지 않았다면, 단계 930에서 다른 센싱 신호의 수신을 위해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탄성띠(250)가 최대 길이까지 늘어나거나 최소 길이로 복귀하였다면, 단계 950으로 진행하여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은 센싱 신호를 출력한 센서의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960에서, 제어부(130)는 결정된 슬라이더(230)의 이동 방향에 따른 조작 명령(예를 들어, 특정 문자/숫자의 입력, 기능 메뉴의 선택, 방향 키의 선택 등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920의 판단 결과로, 키 버튼 조작이 평행 이동 조작이 아닌 수직 이동 조작(예를 들어, 클릭 조작)인 경우에는 단계 970으로 진행하여 클릭 동작 인식에 따른 조작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제까지, 도 9를 참조하여 키 버튼 유닛(100)이 평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키 버튼 유닛(100)의 평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조합하여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따른 보다 다양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 후 수직 입력 동작이 입력되는 경우, 슬라이더(230)의 수직 입력 동작 이후 평행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 각각에 상이한 정보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센싱부(120)로부터의 센싱 신호가 감지될지라도 수직 이동 동작이 있는 경우에만(즉, 수직 이동 동작이 있을 때까지 감지된 센싱 신호를 유보함) 유효한 센싱 신호로 감지되어 인식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키 버튼 유닛(100)의 평행 이동 및 수직 이동을 조합하여 사용자 조작에 따른 보다 다양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각각의 신호 입력 시점을 기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를 때, 가동 접점부(830)와 시작 접점부(810)간의 접촉이 해제된 이후 센싱 신호와 수직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다양한 시점들은 아래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먼저,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서 떨어진 후 센서 신호가 수직 입력 신호보다 먼저 감지될 수 있다. 또는,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서 떨어진 후 수직 입력 신호가 센서 신호보다 먼저 감지될 수도 있다. 또는,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서 떨어지기 이전에 수직 입력 신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경우들은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접촉되는 시점 또는 접촉된 이후에 입력되는 센서 신호 또는 수직 입력 신호를 기초로 처리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띠(250) 또는 탄성띠(250)와 택트 스위치(26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둘레의 길이의 최대값을 어떻게 정하는가에 따라, 끝 점점부(8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평행 이동이 종료되어 다시 시작 접점부(810)로 접촉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의 처리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를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로서, 가동 접점부(830)가 시작 접점부(810)에서 떨어진 순간부터 끝 접점부(820)에 접촉되는 시점까지의 전체 사이클에서 수직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입력 결과의 처리를 가동 접점부(830)가 끝 접점부(820)에 닿고 난 직후에 수행하지 않고 대기하며, 이후 수직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경우는 수직 입력 신호와 센서 신호의 입력 순서에 관계없이 처리하는 방법들이지만, 수직 입력 신호와 센서 신호의 입력 순서까지도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직 입력 신호가 먼저 입력된 후 센서 신호가 입력(즉, 평행 이동 완료)되면 각 슬라이더(230) 이동 방향에 따라 a, b, c 또는 d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센서 신호가 먼저 입력된 후 수직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각 슬라이더(230) 이동 방향에 따라 p, q, r 또는 s가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은행의 비밀번호 고객 입력 시스템이나, 디지털 도어락의 비밀번호 입력 등에서 수직 신호 입력 및 센서 신호 입력 순서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적용 가능한 비밀번호 등의 수량(즉, 동일한 버튼의 이용 범위)이 2배 이상으로 증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직 입력이나 평행 이동 등의 외부적 노출이 작은 동작으로 보안 요소를 보다 다양화, 복잡화함으로써 보안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1에는 앞서 설명한 이동 감지부(115)의 구성과 달리, 탄성띠(250)의 양 끝단이 장력 감지부(111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장력 감지부(1110)는 탄성띠(250)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늘어나게 되고, 늘어나는 탄성띠(250)의 양 끝단이 상호간에 멀어지려는 힘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일 수 있다.
장력 감지부(1110)는 탄성띠(250)의 늘어남에 따른 힘을 감지하면 이에 대한 센싱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센싱 신호에 의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장력 감지부(1110)는 탄성띠(250)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의해 늘어나게 되고, 늘어나는 탄성띠(250)의 양 끝단이 상호간에 멀어짐에 따른 저항 값 또는 전류 값을 출력하는 가변 저항부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장력 감지부(1110)로부터 출력되는 저항 값 또는 전류 값에 의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장력 감지부(11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슬라이더(230)가 평행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한 후, 센싱부(12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장력 감지부(1110)로부터 슬라이더(230)가 원 위치로 복귀하였음을 감지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슬라이더(230)가 최대 거리까지 이동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센싱부(120)의 동작을 종료하고 그때까지 센싱 신호를 출력한 센서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2 등에 예시된 압력 센서(220)는 거리 감지 센서(122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거리 감지 센서(1220)가 슬라이더(230)에 구비된 경우가 가정되었으나, 베이스(210)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거리 감지 센서(1220)는 베이스(210) 또는 슬라이더(230)에 형성된 홈 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230)의 신속한 움직임에서도 보호되도록 할 수도 있다.
거리 감지 센서는 대면하는 베이스(210)의 측벽과의 거리가 기준 값 이하인 경우 센싱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기준 값은 예를 들어, 완전히 접촉된 시점을 측정하도록 0(zero)로 설정되거나, 일정한 범위 이내의 근접 여부를 측정하도록 0.5mm 등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기준 값은 설계 방식, 동작 특성 등에 의해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 슬라이더(2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더(230)와 베이스(210)가 탄성체(1210)에 의해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230)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탄성체(121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23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것임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할지라도 자명하다.
여기서 탄성체(1210)는 경우에 따라서는 센서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벤딩(bending)된 터미널 단자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상 베이스(210)에 배치되는 센서들은 키 버튼 유닛의 외곽, 즉 키 버튼 유닛이 배치되는 홈의 내측 주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센서들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에 따른 슬라이더(230)의 외측벽 또는 외측벽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동 감지부(115) 또는 장력 감지부(1110)는 도 13에 예시된 터치 센싱부(1310) 또는 도 14에 예시된 누름 감지부(1410)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터치 센싱부(131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터치 센서는 키 버튼 덮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키 버튼 조작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반드시 키 버튼에 접촉되어야 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제어부(130)는 터치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가 입력되는 기간 동안(즉,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되어 있는 동안), 센싱부(120)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도 14에 예시된 누름 감지부(1410)는 사용자가 키 버튼을 수직 이동(즉, 클릭 동작)한 경우 상응하는 정보를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먼저 키 버튼을 수직 이동한 후 원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으로 키 버튼을 평행 이동하도록 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누름 감지부(1410)로부터 센싱 신호가 입력되는 기간 동안(즉, 사용자가 키 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센싱부(120)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터치 센싱부(1310) 또는 누름 감지부(1410)로부터 정보가 입력된 후, 센서들의 초기 거리, 기타 동작 유형 등의 조건에 따라 소정의 지연 시간(delay time) 이후에 센서들이 동작 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의 동작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 유닛(100)은 자석(1510), 베이스(210), 베어링(1520, 1530 및 1540), 제1 접촉부(1550), 프레임(410), 슬라이더(230), 제2 접촉부(1560), 탄성띠(250) 및 택트 스위치(260)를 포함한다.
자석(1510)은 베이스(210) 하단에 고정되어 베이스(210) 상단에 위치한 베어링(1520, 1530 및 1540)의 위치를 잡아주는 리테이너(retainer) 역할을 한다.
베어링(1520, 1530 및 1540)은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슬라이더(230)와 프레임(410), 프레임(410)과 베이스(210)간의 측면 마찰력을 최소화한다.
베어링(1520, 1530 및 1540)은 베이스(210)와 슬라이더(230) 사이에 구비되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베이스(210)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수직 베어링(1520),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프레임(410)과의 측면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제1 수평 베어링(1530) 및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프레임(410)과 베이스(210)간의 측면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제2 수평 베어링(1540)으로 구분된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베어링(1530)은 프레임(410)과 슬라이더(230)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수평 베어링(1540)은 베이스(210)와 프레임(41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수평 베어링(1530)과 제2 수평 베어링(1540)은 중복되지 않는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베어링(1530)이 SIDE A 및 SIDE C에 배치된다면, 제2 수평 베어링(1540)이 SIDE B 및 SIDE D에 배치된다. 물론, 제1 수평 베어링(1530)과 제2 수평 베어링(1540)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각각의 베어링(1520, 1530 및 1540) 하부에는 자석(1510)이 배치되어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 완료 후 베어링(1520, 1530 및 154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유닛(100)은 작동 스트로크가 작기 때문에 베어링(1520, 1530 및 1540)의 강구(bearing ball)가 항상 자석(1510)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별도의 리테이너는 필요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제1 접촉부(1550)는 베이스(210)의 돌출된 부분 상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더(230)의 평행 이동시 슬라이더(230)의 상부에 배치된 제2 접촉부(1560)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다양한 형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가 접촉되면 전류가 통하도록 함으로써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의 접촉이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것보다 경량화된 슬라이더(230)가 예시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230)는 앞서 설명한 덮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베이스의 외곽부에 배치되도록 얇게 구현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230)의 경량화에 의해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초기 작동력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슬라이더(230)는 해당 키 입력 유닛(100)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키 탑(key top))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의 외측 표면 소정의 개소에 지지대(1570)를 형성하여 키 버튼 덮개(키 탑)가 지지대(1570)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더(230)에 형성된 지지대(1570)가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슬라이더(230)의 지지대(1570)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위치하도록 하며,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돌기부가 슬라이더(230)에 형성된 구멍(1580)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7에는 키 입력 유닛(100)의 동작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참고로, (a)는 슬라이더(230)가 평행 이동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슬라이더(230)가 서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c)는 슬라이더(230)가 북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d)는 슬라이더가 북동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슬라이더(230)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띠(250)가 소정의 신율에 의해 늘어나거나, 탄성띠(250)의 신율이 0일지라도 택트 스위치(260) 내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슬라이더(230)의 이동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가 서쪽으로 이동하면, 제1 수평 베어링(1530)에 의해 프레임(410)도 서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프레임(410)의 이동시 제2 수평 베어링(1540)에 의해 프레임(410)과 베이스(210)간의 측면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이때, 동쪽에 위치한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의 접촉에 의해 제어부(130)는 슬라이더(230)가 서쪽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가 북쪽으로 이동하면, 제1 수평 베어링(1530)에 의해 슬라이더(230)와 프레임(410)간의 측면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이때, 남쪽에 위치한 제1 접촉부(1550)와 제2 접촉부(1560)의 접촉에 의해 제어부(130)는 슬라이더(230)가 북쪽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30)가 북동쪽으로 이동하면, 제1 수평 베어링(1530)에 의해 프레임(410)도 동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프레임(410)의 이동시 제2 수평 베어링(1540)에 의해 프레임(410)과 베이스(210)간의 측면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또한 북쪽으로 이동함에 있어 제1 수평 베어링(1530)에 의해 슬라이더(230)와 프레임(410)간의 측면 마찰력이 최소화된다. 이때, 서쪽과 남쪽에 각각 위치한 제1 접촉부(1550)들과 제2 접촉부(1560)들의 접촉에 의해 제어부(130)는 슬라이더(230)가 북동쪽으로 이동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키 입력 유닛이 장착된 디지털 처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키 입력 유닛이 적용된 키 버튼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8 방향 각각에 대해 특정 기능이 지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6 방향(또는 8개 방향 및 6개의 수직 입력 버튼) 각각에 대해 특정 기능이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해당 키 버튼을 이용하여 특정 기능이 지정되도록 하는 방향의 수는 자유롭게 설정 및 구현될 수 있으며, 수직 이동에 따른 클릭 동작 등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사용자는 상술한 키 입력 유닛이 적용된 키 버튼을 특정 방향으로 평행 이동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기능 메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 동작(즉, 평행 이동 방향의 순차적 변경) 등에 대해 특정 기능을 부가적으로 지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기능 메뉴를 실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외에도, 숫자/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각각의 키 버튼을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 유닛으로 구현하는 경우 보다 적은 수량의 키 버튼들에 의해 동일한 기능 구현이 가능할 것은 자명하며, 이로 인해 키 패드 배치를 위한 영역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키 입력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정보의 수를 최대화 함으로써 키 버튼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키 버튼이 복수의 기능(예를 들어, 다수의 문자/기능에 대한 선택 입력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키 버튼의 조작감(택감)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 조작 명령의 인식률이 극대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수가 최소화될 수 있어 디지털 처리 장치의 소형화 및/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최대화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4)

  1. 이동 방향에 따른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 버튼 유닛으로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판은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PCB(Printed Circuit Board), FPC(Flexible Printed Circuit)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탄성띠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12.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접촉 센서, 압력 센서, 거리 감지 센서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3.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4.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는 신율(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5.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6.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
    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키 버튼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버튼 유닛.
  23. 이동 방향에 따른 사용자 조작 명령이 입력되도록 하는 키 버튼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로서,
    키 버튼 유닛; 및
    상기 키 버튼 유닛으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센싱 신호를 출력한 하나 이상의 센서의 배치 위치의 역 방향 또는 벡터 합의 역 방향을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인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C자형으로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외부 측면을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C자 홈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를 동시에 감싸는 탄성띠; 및
    상기 탄성띠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빗면을 따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더가 수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이동을 감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결합되는 정보 판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는 외곽부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슬라이더의 내부 홈에 상기 중심부가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및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외측 주위부 또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 주위부에 이격적으로 배치되는 n(임의의 자연수)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센서는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따른 탄성띠의 늘어남을 감지한 이동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부는 택트 스위치, 장력(tension) 감지기, 가변 저항기, 탄성을 가지는 터미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는 신율(늘어나는 비율)이 0(zero)이거나 소정 값 이하로 제한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5. 제25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른 누름 상태를 감지하는 누름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n개의 센서는 누름 감지부의 누름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6. 제25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어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는 키 버튼 덮개; 및
    상기 키 버튼 덮개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n개의 센서는 터치 감지부의 터치 상태 감지 신호 출력에 의해 동작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지털 처리 장치.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키 버튼 덮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외곽부 소정 개소에 구멍(hole) 또는 돌기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에 의해 구획된 공간에 키 버튼 덮개가 배치되며, 상기 키 버튼 덮개 하부에 형성된 돌기부 또는 구멍이 상기 슬라이더의 구멍 또는 돌기와 상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4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중심부 사이의 소정 개소에 배치되는 내측 수평 베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과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은 각각 상기 중심부를 기준하여 상이한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부에는 상기 내측 수평 베어링, 상기 외측 수평 베어링,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표면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이 이동 후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자석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43. 키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디지털 처리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 개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키 버튼 유닛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출력한 센서의 배치 위치의 역 방향 또는 벡터 합의 역방향을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키 버튼 유닛은,
    상기 키 버튼 유닛의 중심 위치에 고정되는 베이스;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평행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가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 평행 이동된 상기 슬라이더가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평행 이동 개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키 버튼 유닛 내에 구비된 센서들이 동작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CT/KR2009/001733 2008-07-08 2009-04-03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WO20100051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267483A CN102090048B (zh) 2008-07-08 2009-04-03 按键输入单元和按键输入方法
US12/999,373 US8947269B2 (en) 2008-07-08 2009-04-03 Key input unit and key inpu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961A KR100958285B1 (ko) 2008-07-08 2008-07-08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KR10-2008-0065961 2008-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5159A1 true WO2010005159A1 (ko) 2010-01-14

Family

ID=4150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733 WO2010005159A1 (ko) 2008-07-08 2009-04-03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47269B2 (ko)
KR (1) KR100958285B1 (ko)
CN (1) CN102090048B (ko)
WO (1) WO20100051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1848A (zh) * 2016-09-30 2016-12-21 无锡吾成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钢琴弹奏音准的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4218A (zh) * 2012-02-22 2013-09-11 深圳市祈飞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键盘输入方法及装置
KR101499614B1 (ko) * 2012-12-27 2015-03-09 정다운 이중 자석과 볼 베어링을 이용하여 미세처짐과 오타를 방지하는 슬라이드 입력장치.
CN106301324B (zh) * 2015-06-05 2023-05-09 深圳纽迪瑞科技开发有限公司 压力感应按键结构及具有该压力感应按键结构的终端设备
WO2019022661A1 (en) * 2017-07-27 2019-01-31 Razer (Asia-Pacific) Pte. Ltd. SLIDING BUTTON ACTUATORS
USD902010S1 (en) * 2018-09-28 2020-11-17 Schneider Electric (Australia) Pty Ltd Release key ID
EP4047912A4 (en) * 2019-10-18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0957160B (zh) * 2019-12-17 2021-12-24 上海摩勤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侧按键的安装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400A (ko) * 2001-07-27 2003-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0068514A (ko)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7052777A (ja) * 2005-08-12 200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摺動方式の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用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199A (en) * 1992-05-01 1994-11-22 Triax Technologies Sliding contact control switch pad
TW516060B (en) * 2000-10-31 2003-01-01 Hosiden Corp Slide switch
JP4604423B2 (ja) * 2001-08-03 2011-0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それ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入力方法
EP1433123A1 (en) * 2001-09-04 2004-06-30 Ziad Badarneh Operating device for controlling functions in electronic equipment
JP4108401B2 (ja) * 2002-07-26 2008-06-25 日本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移動端末
KR200329499Y1 (ko) 2003-07-15 2003-10-10 조원형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US20090009472A1 (en) * 2004-06-18 2009-01-08 No-Soo Park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US20060286405A1 (en) * 2005-06-17 2006-12-21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low voltage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2052460A4 (en) * 2006-07-26 2011-08-24 Eui-Jin Oh CHARACTER ENTRY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101099030B1 (ko) * 2008-03-19 2012-01-16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400A (ko) * 2001-07-27 2003-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원 키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0068514A (ko) * 2004-06-18 2004-07-31 박노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7052777A (ja) * 2005-08-12 200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摺動方式の入力装置及び前記入力装置を備えた携帯用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1848A (zh) * 2016-09-30 2016-12-21 无锡吾成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钢琴弹奏音准的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90048A (zh) 2011-06-08
CN102090048B (zh) 2013-11-20
US20110095917A1 (en) 2011-04-28
US8947269B2 (en) 2015-02-03
KR20100005872A (ko) 2010-01-18
KR100958285B1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05159A1 (ko) 키 입력 유닛 및 키 입력 방법
WO2015122661A1 (en)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WO2019240519A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capable of changing size of display area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6175493A1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7065494A1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WO2016200062A1 (ko) 이동단말기
WO2015083895A1 (en)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95033A1 (ko) 마찰음을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WO202208061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creen of electronic device
WO201507646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09145455A2 (ko) 데이터 입력장치
WO2012043932A1 (ko) 키보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40882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WO2016153104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5009110A1 (ko)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WO2017091039A1 (ko)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312979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WO2010082749A2 (ko) 고정형 마우스
WO201707831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195197A1 (en) Pe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6068645A1 (en) Display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1149844A1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240392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37321A1 (ko) 컨텐츠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26748.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945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99373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9456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