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451A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451A
KR980011451A KR1019960028821A KR19960028821A KR980011451A KR 980011451 A KR980011451 A KR 980011451A KR 1019960028821 A KR1019960028821 A KR 1019960028821A KR 19960028821 A KR19960028821 A KR 19960028821A KR 980011451 A KR980011451 A KR 98001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mrs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경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8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1451A/en
Publication of KR98001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451A/en

Links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명령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수단; 상기 제1 스위치수단을 통과한 모드명령신호를 래치하는 제1 래치수단;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치수단에 래치된 모드명령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을 통과하여 모드명령신호를 래치하여 모드지정신호를 출력하는 제2 래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mode in response to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First latch means for latching a mode command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witch means; Second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a mode command signal latched in said first latch means in response to a delay control signal; And second latch means for latching a mode command signal through the second switch means and outputting a mode designation signal.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티브 상태에서 MRS를 세팅하여 오동작을 방지하고, MRS신호 셋팅시 열 어드레스 입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Don't care로 주어 프리차아지와 MRS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동작 모드를 고속으로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RS is set in the active state to prevent the malfunction, and the control signal for inputting the column address at the time of setting the MRS signal is given as Do not care so as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precharging and the M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pecified.

Description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본 발명은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뱅크가 액티브 상태일 때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명령 타이밍을 단축한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designating a mode in an active st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malfunction that may occur in selecting an operation mode by a mode changeover control signal when a bank is in an active state,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모드전환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의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들 중에서 특정 동작 모드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할 수 있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조합한 후 특정한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을 고속화 할 필요가 많은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Since the mode switching device can selectively enable a specific operation mode among preset operation modes of the semiconductor memory and can select a specific operation mode after combining signals inputted from the outside, Devices.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모드전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로서, 모드전환 제어신호(Mode Register Set; 이하 MRS라 한다.)에 응답하여 모드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부(20)와 상기 스위치부(20)에 의해 전달되는 모드명령 신호를 저장하는 기억장치인 래치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e switching control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switch circuit 20 (see FIG. 1) for transferring a mode command signal in response to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And a latch means 40 which 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 mode command signal transmitted by the switch unit 20. [

제2도는 종래 기술의 모드전환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프리차아지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칩 셀렉트 버스터(Chip Select Burst; 이하 CSB라 칭함),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버스터(Row Address Strobe Buster; 이하 RASB라 칭함), 칼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버스터(Column Address Strobe Burst; 이하 CASB라 칭함), 라이트 인에이블 버스터(Write Enable Burst; 이하 WEB라 칭함)가 NOR 게이트의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MRS신호는 CSB, RASB, CASB, WEB이 모두 로우 레벨일 때 액티브 상태이고, 프리차아지 타이밍은 CSB, RASB, WEB가 모두 로우 레벨이고, CASB가 하이 레벨일 때 프리차아지를 수행하기 때문에 프리차아지 발생수단은 CASB 입력단자에 인버터를 달아 프리차아지 명령을 실행한다.FIG. 2 shows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a free-charg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cludes a chip select burst (CSB), a row address strobe buster A Column Address Strobe Burst (CASB), and a Write Enable Burst (WEB) are input as control signals of a NOR gate. The MRS signal is active when CSB, RASB, CASB, and WEB are both low level. Since CSB, RASB, and WEB are all at the low level and the CASB is at the high level, the precharging is performed. The arming means loads the inverter to the CASB input terminal and executes the precharge instruction.

상기와 같은 종래 회로에서 MRS가 입력될 때 메모리 내부의 모든 뱅크가 프리차아지 되어 있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므로, MRS가 세트되면 스위치부(20)를 턴 온시키고, 모드명령 신호(Ai)를 래치수단(40)에 저장하여 모드를 지정한다. 그러나 동작모드를 자주 바꿀 필요가 있는 작동인 경우, MRS를 주기 전에 항상 프리차아지 명령을 주어야 하므로 타이밍이 길어지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circuit as described above, it is prescribed that all the banks in the memory should be free-charged when the MRS is input. Therefore, when the MRS is set, the switch unit 20 is turned on and the mode command signal Ai is supplied to the latch unit (40) and designates the mode. However, in the cas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operation mode needs to be changed frequently, the free timing instruction must be given before the MRS is performed, so that the timing becomes long.

그러므로, 모든 뱅크는 프리차아지 상태가 아닌 액티브 상태에서 MRS를 세트하면 타이밍이 길어지고, 더불어 원하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all the banks are set in the active state other than the free-charge state, the timing becomes longer, and an undesired malfunction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뱅크가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전환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오동작을 막고, 명령 타이밍을 고속으로 전달하여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caused when a bank is switched from an active state to a mode transition state and delivering command timing at a high speed,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인 MRS에 응답하여 모드명령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스위치부와, 상기 제1 스위치부를 통해 전달되는 모드명령 신호를 일시 래치하는 제1 래치부와, 상기 제1 래치에 저장된 모드명령 신호를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달하는 제2 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스위치부를 통하여 전달된 모드명령신호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동작 모드값을 출력으로 내보내는 제2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switch unit for transmitting a mode command signal in response to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MRS, a first latch unit for temporarily latching a mode comma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switch unit, A second switch for transmitting a mode command signal stored in the first latch in response to a delay control signal and a second switch for storing data of a mode comma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witch, And a second latch.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모드전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FIG. 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de switching control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a related art; FIG.

제2도는 종래 기술의 모드전환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프리차아지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도면.Fig. 2 is a diagram show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a precharg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of the prior art;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모드전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FIG.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de switching control circui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4도는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프리차아지 제어신호 발생수단을 나타낸 도면.FIG. 4 is a view showing the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and the free charge control signal genera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회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파형도.FIG.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0 : 제1 스위치부 120 : 제1 래치100: first switch unit 120: first latch

140 : 제2 스위치부 160 : 제2 래치140: second switch unit 160: second latch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나타낸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모드명령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자와, MRS에 응답하는 제1 스위치부(100)와, 상기 제1 스위치부(100)에 전달되는 모드명령 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제1 래치(120)와, 상기 제1 래치(120)에 저장된 데이터값을 DMRS신호에 응답하여 전달하는 제2 스위치부(140)와, 상기 제2 스위치부(140)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모드를 지정하는 출력값을 출력하는 제2 래치(160)로 구성된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specifying a mode in an active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es an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 mode command signal, a first switch unit 100 responsive to MRS, A first switch 120 for temporarily storing a mode command signal transmitted to the switch unit 100 and a second switch unit 140 for transmitting the data value stored in the first latch 120 in response to a DMRS signal, And a second latch 160 for storing data transferred through the second switch unit 140 and outputting an output value designating a mod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MRS의 하이 레벨에 응답하여 제1 스위치부(100)의 전송 게이트(M1)가 턴 온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고, 하이 레벨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지연제어신호인 동적 모드 레지스터 셋(Dynamic Mode Register Set; 이하 DMRS라 한다.)에 의해 제2 스위치부(140)는 턴 온되어 모드명령 신호를 제1 래치(120)에 일시 저장하고, 턴 온된 제2 스위치부(140)를 통하여 전달되는 데이터 값을 제2 래치(160)로 저장하여 모드를 지정하는 출력값을 내보낸다. MRS와 DMRS가 모두 로우 레벨로 다운되면 MRS에 응답하는 제1 스위치부(100)의 전송 게이트(M1)와 DMRS에 응답하는 제2 스위치부(140)는 각각 턴 오프되어 본 발명의 모드 전환 장치는 작동되지 않는다.In response to the high level of the MRS signal, the transfer gate M1 of the first switch unit 100 is turned on to transfer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a dynamic control signal The second switch unit 140 is turned on by the mode register set (DMRS) to temporarily store the mode command signal in the first latch 120, and the second switch unit 140 to the second latch 160 and outputs an output value designating a mode. When both the MRS and the DMRS are down to the low level, the transfer gate Ml of the first switch unit 100 responding to the MRS and the second switch unit 140 responding to the DMRS are turned off, Lt; / RTI >

MRS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DMRS가 로우 레벨의 상태로 바뀌게 되면 MRS에 의해 응답하여 구동되는 제1 스위치부(100)는 턴 온되고, DMRS에 의해 응답하여 구동되는 제2 스위치부(140)의 전송 게이트(M2)는 턴 오프되어 새롭게 세트되는 MRS신호에 의해 다시 응답하는 모드명령 신호를 제1 래치(120)에 저장한다.When the MRS rises to the high level and the DMRS changes to the low level state, the first switch unit 100 driven in response to the MRS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 unit 140 driven in response to the DMRS Transmission gate M2 is turned off and stores a mode command signal in response to the newly set MRS signal in first latch 120.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MRS와 프리차아지 입력 논리게이트로서 종래는 CSB, RASB, CASB, WEB이 모두 로우 레벨일 때 액티브 상태이고, 프리차아지 타이밍은 CSB, RASB, WEB가 모두 로우 레벨이고 CASB가 하이 레벨일 때 액티브 상태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CASB인 열 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Don't care 로 하여 프리차아지를 수행한다.FIG. 4 is an MRS and a free-guard input logic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ctive state when CSB, RASB, CASB, and WEB are all low level and CSB, RASB,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charge is performed by setting the control signal for inputting the column address CASB to Do not care.

결국, 본 발명은 MRS신호를 세트하면 프리차아지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고, 또 다시 다른 행(Row)을 액티브하면 새로운 동작 모드로 전환한다. 만일 모드명령이 유효한 데이터 입출력값인 경우, 데이터 전송이 끝날 때까지 MRS는 지연된다.As a result, when the MRS signal is set,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ree-charge function, and when another row (Row) is active, it switches to a new operation mode. If the mode command is a valid data I / O value, the MRS is delayed until the data transfer is completed.

즉, 메모리 장치의 모든 뱅크를 프리차아지 명령과 MRS신호를 세트시키는 명령을 MRS신호 하나로 줄여 프리차아지 명령 이후에 MRS신호를 세트하는 타이밍이 단축되어 동작 모드는 고속으로 전환된다.That is, the command for setting the free charge instruction and the MRS signal to all the banks of the memory device is reduced to one MRS signal, and the timing for setting the MRS signal after the precharge instruction is shortened, so that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high speed.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회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파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주기억장치에 단독으로 리이드 또는 라이트 할 수 있는 메모리의 뱅크가 액티브일 때 입력 클럭신호의 업 에지에 동기하여 MRS가 세트되고, 이때 DMRS는 하이 레벨 상태로 유지된다. 입력 클럭신호의 업 에지에 동기하여 라이트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MRS신호가 세트되면 DMRS는 다운 에지에서 데이터의 라이트 명령이 실행되고, DMRS의 업 에지에서 데이터 입력이 수행되어 제1 래치(120)와 제2 래치(160)에 데이터를 저장한다.FIG. 5 is a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ode switching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bank of a memory which can be independently read or written to the main memory device is active, At this time, the DMRS remains at the high level state. When the MRS signal for performing the write comman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p edge of the input clock signal is set, the DMRS executes the data write command at the down edge and the data input at the up edge of the DMRS, And stores the data in the second latch 160.

클럭신호의 업 에지에 동기하여 리이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MRS신호가 세트되고, DMRS는 다운 에지의 상태에서 리이드 명령이 실행되어 제1 래치(120)와 제2 래치(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이드하고, 또한 프리차아지 MRS신호는 클럭신호의 업 에지에 동기하고, DMRS의 업 에지에서 데이터 출력은 실행된다.The MRS signal for executing the lead instruction i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p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DMRS is executed in the state of the down edge so that the data stored in the first latch 120 and the second latch 160 is read And the free-charge MRS signal is synchronized with the up-edge of the clock signal, and the data output is performed at the up-edge of the DMRS.

그러나, 데이터의 라이트와 리이드 명령이 수행되는 도중에 새롭게 MRS신호가 세트되어 입력되면 새로운 MRS신호를 제1 래치(120)에 저장하므로, 데이터의 라이트와 리이드 명령은 계속해서 수행되고 제1 래치(120)에 저장되었던 입력 신호는 새롭게 제2 래치(160)에 저장되어 새로운 동작 모드로 전환하므로서 이후, 데이터의 라이트 또는 리이드 명령은 새로운 동작 모드에서 이루어진다.However, when a new MRS signal is set and input during data write and read instructions, a new MRS signal is stored in the first latch 120, so that data write and read commands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the first latch 120 Is stored in the second latch 160 and is switched to the new operation mode. Thereafter, the write or read command of the data is performed in the new operation mode.

도면에 도시된 a, b, d 라인은 입력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MRS신호가 세트되는 것을 보이고, c와 e 라인은 모드 전환 장치가 데이터의 리이드, 라이트 동작이 끝난 뒤에 비로소 변경하여 MRS신호가 세트되는 지연 시간 동안 새롭게 프로그램된 데이터가 제1 래치(120)에 저장되는 것을 보여 준다.The lines a, b, and d shown in the figure show that the MRS signal is se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input clock signal. The c and e lines are changed only after the mode switching device finishes the data lead- Lt; RTI ID = 0.0 > 120 < / RTI >

종래 발명은 액티브 상태에서 MRS를 하면 모드 전환 장치로 지정하는 입력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데이터전송을 연속해서 실행하는 버스터타입(Burst Type)과 버스터 길이(Burst Length)와 같은 동작 모드가 데이터의 리이드나 라이트 수행 도중에 바꾸게 되면 문제가 발생되므로 액티브 상태에서 MRS신호를 세트하면 MRS신호를 세트하는데 걸리는 명령 타이밍을 줄일 수 있고, 또한 MRS를 이용하여 자주 바꾸어야 하는 동작 모드는 프리차아지 + MRS + 액티브 할 필요 없이 액티브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모드가 전환되는 타이밍이 줄어든다.In the prior art, when an MRS is performed in an active state, an operation mode such as a burst type and a burst length in which data transfer is continuously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an input clock signal specified by a mode switching device is performed in a data lead- If the MRS signal is set in the active state, the command timing required to set the MRS signal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mode frequently changed by using the MRS is required to be free-charge + MRS + active The operation mode can be switched while maintaining the active state, thereby reducing the timing at which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본 발명은 액티브 상태에서 동작 모드를 지정할 때 발생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MRS신호 셋팅시 CASB를 Don't care 로 주어 프리차아지와 MRS를 동시에 수행하여 프리차아지와 MRS 명령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타이밍을 줄여 동작 모드를 고속으로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erroneous operation that occurs when an operation mode is designated in an active state, sets timing for performing free guard and MRS commands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free guard and MRS by setting CASB to Do not care at the time of setting an MRS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mode can be designated at a high speed.

Claims (3)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명령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수단; 상기 제1 스위치수단을 통과한 모드명령신호를 래치하는 제1 래치수단; 지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래치수단에 래치된 모드명령신호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 수단; 및 상기 제2 스위치 수단을 통과하여 모드명령신호를 래치하여 모드지정신호를 출력하는 제2 래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First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a mode command signal in response to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First latch means for latching a mode command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switch means; Second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a mode command signal latched in said first latch means in response to a delay control signal; And second latch means for latching a mode command signal through the second switch means and outputting a mode designation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제어신호는 리이드 및 라이트 동작시에 상기 제1 래치수단에 래치된 신호가 제2 래치수단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lay control signal is a signal for blocking a signal latched by the first latch mean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econd latch means during a lead and a write operation, A possi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칩 셀렉트 신호,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컬럼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가 모두 액티브 상태이고, 상기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 스위치수단과, 상기 칩 셀렉트 신호, 로우 어드레스 스트로우브 신호, 라이트 인에이블 신호의 액티브 상태에서 프리차아지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스위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상태에서 모드 지정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2.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first switch means for generating a mode switching control signal in which a chip select signal,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 column address strobe signal, and a write enable signal are all active; And a second switch means for generating a free charge control signal in an active state of a chip select signal, a row address strobe signal, and a write enable signal.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28821A 1996-07-16 1996-07-1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KR9800114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821A KR980011451A (en) 1996-07-16 1996-07-1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821A KR980011451A (en) 1996-07-16 1996-07-1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451A true KR980011451A (en) 1998-04-30

Family

ID=6624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821A KR980011451A (en) 1996-07-16 1996-07-1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145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512A (en)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KR100391730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use of cache can be selected, a method of acessing a semiconductor memory deivce, and a data processing system
US7327613B2 (en) Input circuit for a memory device
US8472263B2 (en) Mode-register reading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566108A (en) Synchronized semiconductor memory
KR100252043B1 (en) Column selection control method of memory device
US6160754A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of a wave pipeline structure
US6272064B1 (en) Memory with combined synchronous burst and bus efficient functionality
KR100362193B1 (en) Data Output Device of DDR SDRAM
JP406102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buffer and signal transmission circuit
US6693844B2 (en) Sending signal through integrated circuit during setup time
US460235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166970A (en) Priority determining apparatus using the least significant bit and CAS latency signal in DDR SDRAM device
JPH10240372A (en) Internal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internal clock gener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US6005825A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wave pipelining control structure and method for outputting data using the same
KR970029812A (en) Column selection signal control circuit
US5777946A (en)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equipped with a column addressing circuit having a shift register
KR98001145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mode designation in an active state
US651592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19491B1 (en) Automatic precharge bank selection circuit
KR100247928B1 (en) Synchronous dram semiconductor device
KR100312967B1 (en) A address generator for driving data strobe signal in semiconductor device
KR100312968B1 (en) A address generator for driving data strobe signal in semiconductor device
JP3237583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system using the same
US6529425B2 (en) Write prohibiting control circuit for a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