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999A -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score - Google Patents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sc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999A
KR980010999A KR1019960027394A KR19960027394A KR980010999A KR 980010999 A KR980010999 A KR 980010999A KR 1019960027394 A KR1019960027394 A KR 1019960027394A KR 19960027394 A KR19960027394 A KR 19960027394A KR 980010999 A KR980010999 A KR 98001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al
note
unit
soun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0185542B1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정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호 filed Critical 정재호
Priority to KR101996002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542B1/en
Publication of KR98001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5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보 편집 및 연주용 전자 악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키 배열에 의해서 입력된 음원을 표시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악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편집된 음악을 사용자가 악기의 종류에 맞추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초,중,고교생의 음악 교과서 내의 곡의 정확한 음정 학습효과를 이룰수 있도록하고, 성인의 경우 악보에 의한 가요 연습 및 신곡을 배우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키 선택 표시부와, 악보 관련 스위치와, 스피커로 이루어진 전자 악기를 제작함으로서, 악보를 키 선택부에서 입력하면, 이에 해당되는 음표 및 쉼표가 키 선택 표시부에 표시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악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보의 박자 및 빠르기 등의 정보를 키 선택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작곡 또는 편곡된 악보를 악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여 필요시 자동 연주 기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 악보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적인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악보를 편곡 또는 작곡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pparatus for musical notation editing and musical performance, and is intended to allow a user to easily edit a musical score by displaying a sound source inputted by a key arrangement on a display device, A key selection display unit for enabling an accurate learning of a musical piece in a music textbook of 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b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musical textbook, When a musical note is input by the key selection unit, musical notes corresponding to the musical note and the comma are displayed on the key selection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musical score, Information such as speed can be easily displayed through the key selection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Can and do, but also to arrange or compose a written or when the arrangements score needed to save the music data storage un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uto play function is easy and convenient music typical user who does not have expertise in music.

Description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score

본 발명은 전자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주자가 악보를 보고 선택하고자 하는 음에 해당하는 건반을 누르지 않고 악보와 동일하게 표시된 오선지에 해당하는 음을 직접 누름으로서, 건반악기를 연주하지 못하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손쉽게 원하는 음을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초, 중, 고교생의 음악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who can not play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by directly pressing a note corresponding to a line-up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a musical score, without pressing a key corresponding to a not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asily play the desired note, the music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교과서내의 곡의 정확한 음정 및 박자의 학습 효과가 클뿐만 아니라, 성인의 경우 연주자가 연주장치를 통해 작곡 및 편곡한 후 이를 기억시켜 연주자가 원할 경우 언제라도 재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요 또는 신곡 연습에 활용하여 손쉽게 배울수 있도록 하는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o the great learning effect of the correct pitch and rhythm of the song in the textbook, in the case of an adult, the performer memorizes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s through the performance device, and then remembers it so that the player can play at any time if desired. So that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an be easily learned.

종래의 전자악기는 소정의 악곡을 작곡 및 편곡할 경우에 악기를 연주하면서 별도로 오선지상에 작곡이나 편곡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록작업을 할 경우에 그 일부분을 깜박 잊거나 왜곡시켜 수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오선지상에 기록한 악곡내용을 다시 연주하면서 수정작업을 하고 있으나 그 수정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을 많이 요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보 제93-661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음향발생기, 리듬발생기 및 템포 클럭발생기 등을 구비한 전자 키보드 악기에 음길이 검출기, 음길이 보정기, 마디 종료검출기, 마디계수기, 음표/쉼표정보 변환기, 모드제어기, 도돌이 기호부가기 및 악보데이타 메모리 등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 연주중인 악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으며, 반복되는 소정에 대하여 적당한 되돌이 기호를 부가하므로서 완성된 악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악보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연주자가 각 키보드에 해당하는 음을 인지하고 있어야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연주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음만을 오선지에 표시해 주는 것으로서,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의 경우에는 연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 conventiona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records composition and arrangement contents on a palette whil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when composing and arranging a predetermined musical composition. However, when such a record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 part of the song is often blinked or distorted frequently, but it is often disliked.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song recorded on the village are re-played while being corrected The modification operation is very inconvenient and time consuming. As means for improving the above disadvantages, for exampl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3-6613, a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having a keyboard, a sound generator, a rhythm generator and a tempo clock generator, a sound length detector, A note numeral detector, a numeral counter, a musical note / comma information converter, a mode controller, a push-pull sign add-on and a musical data memory are installed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musical note is displayed at a glance. A musical notation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method are provided so that a completed musical score can be displayed by appending an appropriate reversion symbol. However, not only does the player need to be aware of a note corresponding to each keyboard, , Which is not familiar to the keyboard.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play.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연주자가 전자악기에 표시된 오선지위에 해당하는 음을 직접 선택하므로서 해당음을 발생함과 아울러 선택한 음을 표시하고, 또한 메모리기능을 선택할 경우 연주자가 전자악기의 오선지상에 작곡 및 편곡한 악보를 기억함과 아울러 이를 표시하여 즉시 수정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작곡이 완성된 곡을 연주자가 원하는 악기의 선택에 따라 이를 재생하도록 하는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in which a player directly selects a note on a line displayed o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generates a corresponding note, displays a selected note, The musical score written and composed by the player on the laying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is remem- bered and can be displayed and corrected immediat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note performance that allows a player to reproduce a piece of musical composition that has been completed in accordance with a se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desired by the performer.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의 외부 사시도.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Figure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sco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악보 연주용 전자 악기의 외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표 및 쉼표를 입력,첨가하는 키코드 표시부(11)와; 연주자에 의해 해당음을 선택하도록 오선지형상의 압점 센서로 이루어진 키 코드 배열부(12)와; 주멜로디만의 편집 및 연주 또는 화음 반주의 동시 편집 및 연주 (협주도 포함)를 선택하는 모노(MONO)/듀엣(DUET) 선택스위치(13)와; 악기음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 스위치(14)와; 음량의 상태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 스위치(15)와;음계를 선택하기 위한 음계 선택 스위치(16)와; 샵(#)과 플랫(b)의 개수를 선택함으로써 장/단조 등의 조를 선택하기 위한 조 선택 스위치(17)와; 악보중의 임시 반음 조절을 위한 임시표(#,b,) 선택스위치(18)와; 음악을 편집 또는 연주하도록 선택하는 편집/연주 선택스위치(19)와; 악보상에 음표대신 쉼표가 입력될 경우의 쉼표 선택 스위치(20)와; 상기 키 배열에서 음표 및 쉼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음표 및 쉼표에 해당되는 길이만큼의 음원을 발생시키는 박자선별스위치(21)와; 편집시 키 입력 내용을 삭제후 연속 추가 입력시키는 편집 계속 스위치(22)와; 곡의 편집이 끝난 후 저장 또는 재생시 메모리 되고 재생되는 곡번호를 선택하는 악보 번호 선택 스위치(23)와; 멜로디만을 저장하고 재생시 연주자가 재생키를 윈하는 간격으로 누를 경우 각 기억된 음을 원하는 간격으로 출력하여 자유 변박연주를 가능케하는 자유 변박 멜로디 재생 스위치(24)와; 전체곡의 템포를 조절하는 템포조절 스위치(25)와;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26)로 이루어진 것이다.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 code display unit 11 for inputting musical notes and commas; A key code arrangement part 12 made up of a pentagon-shaped pressure point sensor for selecting a note by the player; A MONO / duet selection switch 13 for selecting the editing and playing of only the main melody or the simultaneous editing and playing of the chord accompaniment (including coarse); A sound source selection switch 14 for selecting an instrument sound; A volume control switch 15 for controlling the volume level, a scale selection switch 16 for selecting a scale, A coarse selection switch 17 for selecting a set of a long / forged or the like by selecting the number of shops # and flat b; Temporary table (#, b, A selection switch 18; An edit / play selection switch 19 for selecting to edit or play music; A comma selection switch 20 for inputting a comma instead of a note on the music score; A beat selection switch 21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ote and the comma when a note and a comma are input in the key arrangement; An edit continuation switch 22 for deleting key input contents and continuously inputting them after editing; A score number selection switch (23) for selecting a song number to be memorized and reproduced during storage or reproduction after the editing of the song is finished; A free tampering melody reproduction switch 24 for storing only the melody and outputting the memorized melody at a desired interval when the player presses the melody key at an interval that the player presses the melody key to reproduce freely; A tempo adjusting switch 25 for adjusting the tempo of the entire music; And a speaker 26 for outputting music.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의 내부 구조를 표시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눌러진 음자리의 정보를 검출하는 키 선택부(121)와; 상기 키 선택부(121)에서 눌러진 음자리 정보의 음량 상태를 조절하는 음량 조절부(122)와; 여러 가지 악기음의 음원을 선택하는 음원 선택부(123)와; 음계선택이나 조선택, 쉼표선택, 임시표 부가, 템포조절 기능 등의 악보를 편집하거나 또는 편집된 악보를 연주하도록 하는 기능 선택부(124)와; 상기 키 선택부(121)에서 눌러진 음자리 및 쉼표의 박자를 선택하는 박자 선별부(125)로 이루어진 입력부(100)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부(100)에서의 상기 키 선택부(121)에서 눌러진 음자리 정보를 표시하는 키 선택 표시부(127)와; 상기 입력부(100)에서의 상기 음원 선택부(123)에서 선택되는 악기음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데이터 저장부(128)와; 상기 입력부(100)에서의 악보 정보의 입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해당되는 악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29)와; 상기 제어부(129)에서 출력되는 악보 신호를 음향 정보, 리듬 정보 및 음길이 정보로 분리하는 신호 선택부(130)와;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분리된 상기 음향 정보에서 소정의 음향 신호를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231)와;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분리된 상기 리듬 정보에서 소정의 전체곡의 기준 템포로서, 리듬 신호를 발생하는 리듬 발생부(232)와;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분리된 상기 음길이 정보에서의 음길이 신호를 발생하는 음길이 발생부(233)와; 상기 음길이 발생부(233)의 출력 신호에서 음표를 검출하는 음표 검출부(234)와; 상기 음길이 발생부(233)의 출력 신호에서 쉼표를 검출하는 쉼표 검출부(235)로 이루어진 악보 신호 발생부(200)로 구성되며, 상기 악보 신호 발생부(200)의 출력 신호들을 혼합하여 음악 신호를 발생하는 혼합부(237)와; 상기 혼합부(237)에서 발생되는 음악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38)와; 상기 혼합부(237)에서 발생되는 음악 출력 신호를 저장하는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와; 상기 혼합부(237)에서 발생되는 음악 출력 신호를 스피커(26)로 출력하는 증폭부(240)로 구성된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scor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 key selection unit 121 for detecting information of a pressed key; A volume adjusting unit 122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tone information pressed by the key selecting unit 121; A sound source selection unit (123) for selecting sound sources of various instrument sounds; A function selection unit (124) for editing a musical score such as a scale selection, a consecutive selection, a comma selection, a temporary table addition, a tempo adjustment function, or the like, or to play an edited musical score; And a beat selection unit 125 for selecting a beat of a note and a comma to be pressed by the key selection unit 121. The key selection unit 121 of the input unit 100 A key selection display unit 127 for displaying the pressed tone information; A sound source data storage unit 128 for storing a sound source of the instrument sound selected by the sound source selection unit 123 in the input unit 100; A control unit 129 receiving an input signal of score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100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score signal; A signal selector 130 for separating the music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129 into sound information, rhythm information, and sound length information; An acoustic generator 231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acoustic signal from the acoustic information separated by the signal selector 130; A rhythm generator 232 for generating a rhythm signal as a reference tempo of a predetermined entire music piece from the rhythm information separated by the signal selector 130; A sound length generator 233 for generating a sound length signal in the sound length information separated by the signal selector 130; A note detecting unit 234 for detecting a note in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length generating unit 233; And a comma detecting unit 235 for detecting a comma in the output signal of the sound length generating unit 233. The output signal of the music signal generating unit 200 is mixed with a music signal A mixing portion 237 for generating a mixing portion 237; A digital / analog converting unit 238 for converting the music output signal generated in the mixing unit 237 into an analog signal; A score data storage unit 239 for storing a music output signal generated by the mixing unit 237; And an amplifying unit 240 for outputting a music output signal generated by the mixing unit 237 to a speaker 26.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figur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순서의 선택은 기본적으로는 제일 윗단부터 순차적으로 내려온다. 가장 먼저 모노(mono)/듀엣(duet)선택스위치(13)로 한 개의 악보를 편집/연주할 것인지, 두 악보의 편집에 의한 동시 출력 재생을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selection of the operating sequence is basically descending sequentially from the top. First, the mono / duet selection switch 13 determines whether to edit / play a single score or to perform simultaneous output playback by editing two scores.

이어 음원 선택 스위치(14)와 음량 조절 스위치(15)를 선택 조절한다. 음계 선택 스위치(16)를 통해 높은 음자리 음계인지 낮은 음자리 음계인지를 선택하고, 조 선택 스위치(17)를 통해 # 또는 b의 개수를 선택하여 전체 악보에 미치는 조를 결정한다.The sound source selection switch 14 and the volume control switch 15 are selected and adjusted. A high-note pitch or low-pitch pitch is selected through the scale selection switch 16, and the number of # or b is selected through the coarse selection switch 17 to determine the group of the total score.

이때 #과 b는 개수에 따라 그것이 붙는 위치가 특징되므로 설정이 용이하다.At this time, # and b are easy to set because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ir positions depending on the number.

전체적인 악보 구성 요건들이 결정되면 편집을 할 것인지 연주를 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악보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편집/연주선택스위치(19)를 편집모드로 선택하면, 상기 키 코드 배열부(12)에서 눌려진 음자리가 상기 키 코드 표시부(11)에 표시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editing / performance selection switch 19 in the editing mode, the key code arrangement unit 12 (FIG. 12) ) Is displayed on the key code display unit 11. [0051]

이때, 각 음표의 입력은 해당 음정의 위치에의 오목한 부분을 가압함으로써 음정을 인식하고 이어 박자 선별 스위치(21)를 선택하면 된다. 임시표가 붙은 경우는 먼저 임시표 선택 스위치(18)를 선택한 후 음표를 가압 음정을 인식하고 이어 박자를 선정하면 된다. 쉼표의 경우는 직접 쉼표 스위치(20)를 누른 후 박자를 박자 선별 스위치(21)로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input of each note can be recognized by pressing a concave portion at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pitch, and then the beats sorting switch 21 is selected. When a temporary table is attached, the user first selects the temporary table selection switch 18, recognizes the pressed pitch and selects the next beat. In the case of a comma, the user directly presses the comma switch 20 and determines the time signature as the beat selection switch 21.

편집후 악보 번호 선택 스위치(23)로 악보 종류 및 번호를 선택하면 해당되는 이름으로 저장된다.After editing, if you select the score type and number with the score number selection switch (23), it is saved with the corresponding name.

이를 재생할 경우에는 연주 모드로 바꾼후 그 악보의 종류 및 번호를 선택하면 된다. 이때 화음 반주 또는 협주를 원할시는 듀엣(duet) 모드로 놓고 두 악보의 종류 및 번호를 모두 선택하면 동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B1이 A1의 반주곡으로 편집된 곡일 경우에는 'A1, B1'을 선택한다.If you want to play it, you can change it to play mode and select the type and number of the score. At this time, if you want to play chord accompaniment, you can set it to duet mode. For example, if B1 is a song edited with the accompaniment music of A1, select 'A1, B1'.

그런데 편집시 박자를 입력하지 않고 음표에 의한 멜로디만을 입력한 경우는 재생시 박자 조절 스위치(24)를 누름에 따라 그 다음 음표의 멜로디가 순차적으로 연주되도록 함으로써 자유자재로 손쉽게 곡의 변박을 가능케 해 직접 노래 반주로 이용할 시나 자유 연주시 편리하도록 설계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inputting only the melody by the musical note without inputting the time signature during editing, the melody of the next note is sequentially played by pressing the musical tone adjusting switch 24 at the time of reproduc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song It is designed to be convenient for direct singing accompaniment or free play.

연주 모드에서 기 저장된 곡의 재생 출력을 선택하지 않고 직접 연주를 할 경우는 각 음표를 선택하여 누르는 동안만 해당 음의 발생이 이루어진다.If you do not select the playback output of the preset song in the performance mode, you will only be able to play the notes while pressing each note.

건반 악기의 경우에는 오른손으로 멜로디를 연주하고 왼손으로 직접 화음을 연주 해야하나 본 발명은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구성 조합할수 있으므로 멜로디만을 연주하고 이에 해당 화음을 화음 구성 모음에서 코드별로 선택하여 연주 가능함으로 코드에 따른 화음 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재즈반주가 용이하게 된다.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necessary to play a melody with the right hand and a chord with the left hand.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ependently constitute each part, only the melody can be played and the corresponding chord can be selected Since the chor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code can be varied, jazz accompaniment becomes easy.

일반적인 전자악기는 왼손으로 직접 함께 화음을 연주하거나, 기 설정된 화음만을 재생하였으나, 본 발명은 연주자가 화음 멜로디만을 임의로 변화시킬수 있고 또한 작곡한 화음이 멜로디와 어울리는지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 코드 표시부(11)의 하단에서 예시적으로 표시한 낮은 음자리 음계는 화음부로서 주 멜로디에 해당하는 화음을 설정 또는 변경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악기로 설정할 경우(음원 선택스위치로서) 상부의 높은 음자리 음계로 예시된 주 멜로디 부분과 다른 악기로 협연하는 협주곡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악보의 길이는 편집 계속스위치(22)를 눌러 키 입력 내용을 삭제후 연속 추가 입력 가능하므로 기존의 악보로 충분하다. 전체곡의 템포를 결정하는 템포조절 스위치(25)도 부가하여 곡의 정확한 재생을 유도하였다.In genera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chords are directly played together with the left hand, or only predetermined chords are reproduc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player can change only the chord melody arbitrarily, and also can check whether the composed chord is in harmony with the melody. In addition, the low-note musical scale, which is exemplarily shown at the bottom of the key code display section 11, is an audio section that can set or change a chord corresponding to the main melody. In addition, As a switch, you can also get the effect of a concerto playing with a different instrument from the main melody part, which is exemplified by the upper high-note pitch. Since the length of each score can be continuously added after deleting the key input contents by pressing the edit continuation switch (22), the existing score is sufficient. A tempo control switch 25 for determining the tempo of the entire song has also been added to induce correct reproduction of the song.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주자로 하여금 음 선택이 용이하도록 일정 깊이만큼 홈부(12a)를 형성하고 홈부(12a) 하단에 스위칭소자(12c)를 형성하여 연주자가 홈부(12a)를 선택할 경우 스위칭소자(12c)가 온되어 제어부(239)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홈부(12a)는 연주자가 음을 선택할 경우 연주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홈부 주위의 투명창(12b)을 통해 표시해 주게 된다. 또한 키 코드 표시부(11)를 화이트 보드로 구성함으로서 연주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기록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마디 설정이나 그 외 부수적인 악보 기재 사항을 표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s shown in FIG. 1, the groove 12a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select a sound, and a switching element 12c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 12a And when the player selects the groove 12a, the switching element 12c is turned 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39. [ The groove portion 12a thus formed is displayed through the transparent window 12b around the groove portion so that the player can check the tone when the player selects the tone. In addition, the keycode display unit 11 can be configured as a whiteboard so that the player can record and delete data by using a writing instrument, thereby enabling the setting of the barcode and other additional musical score items to be displayed.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주자가 작곡 및 편곡을 위해 선택한 각각의 키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29)에서는 상기 음량 조절부(122), 상기 박자 선별부(123), 상기 키 선택부(121), 상기 기능 선택부(24) 등의 상기 입력부(100)에서의 신호들을 입력 받아 전자 악기 장치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키 선택부(121)에서 눌리어진 음자리를 상기 키 선택 표시부(127)에 표시하고, 상기 음원 선택부(123)에서 선택되어진 악기음의 음원이 상기 음원 데이터 저장부(128)에서 상기 제어부(129)로 입력되어 진다. 여기서 음원 데이터 저장부(128)는 각종의 악기에 대한 음원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를 사용한다.FIG.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operation of each key selected by the player for composing and arranging will be described below. First, the control unit 129 inputs signals from the input unit 100 such as the volume control unit 122, the beat selection unit 123, the key selection unit 121, and the function selection unit 24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vice.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sound source selecting unit 123 is displayed on the key selection display unit 127 in the sound source data storage unit 128, And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129. Here, the sound source data storage unit 128 uses a memory in which sound source data for various musical instruments are stored in advance.

상기 제어부(129)에서 결정된 동작 상태에 의해서 출력된 음악 신호는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 입력되어져서 소정의 음향 신호, 리듬 신호 및 음길이 신호로 분리되어 진다. 분리된 음향 신호는 상기 음향 발생부(231)에 입력되어서 상기 입력부(100)에서 제어된 악보의 음량(Volume), 트레블 및 베이스(Treble & Bass) 등의 신호를 고려하여 해당 음향을 발생한다.The music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stat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129 is input to the signal selection unit 130 and separated into a predetermined sound signal, a rhythm signal, and a sound length signal. The separated sound signals are input to the sound generating unit 231 to generate corresponding sounds in consideration of the volume, treble, and treble & bass signals of the music score controlled by the input unit 100. [

또한, 상기 리듬 발생부(232)는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분리된 리듬 신호를 상기 제어부(129)에서 발생된 템포와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된 박자 등의 신호를 고려하여 리듬을 발생한다. 상기 음길이 발생부(233)는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분리된 음길이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음표 신호와 쉼표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상기 음표 검출부(234) 와 상기 쉼표 검출부(235)로 입력되어진다. 상기 음표 검출부(234)에서는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발생된 음길이 신호에서 분리되어진 음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되어진 악보의 음표 상태를 검출하고, 상기 쉼표 검출부(235)는 상기 신호 선택부(130)에서 발생된 음길이 신호에서 분리된 쉼표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악보의 쉼표 상태를 검출한다.The rhythm generator 232 generates a rhythm signal by considering the tempo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29 and the beat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100, Occurs. The sound length generation unit 233 receives the sound length signal separated from the signal selection unit 130 and separates the sound signal into a note signal and a comma signal and inputs them to the note detection unit 234 and the comma detection unit 235 . The note detection unit 234 detects a note state of a note to be inputted by receiving a note signal separated from a note length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selection unit 130. The comma detection unit 235 detects a note state of the note, And receives a comma signal separated from the sound length signal generated in the speaker 130, and detects the comma state of the score.

한편, 상기 음향 발생부(231)에서 출력된 악보의 음향 신호, 상기 리듬 발생부(232)에서 출력된 악보의 리듬 신호, 상기 음표 검출부(234)에서 출력된 악보의 음표 신호, 상기 쉼표 검출부(235)에서 출력된 악보의 쉼표 신호가 상기 혼합부(237)에서 혼합되어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238)를 거친 후 상기 스피커(26)를 통하여 해당 음악을 출력하게 된다.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generator 231, the rhythm signal of the score outputted from the rhythm generator 232, the note signal of the score outputted from the note detecting unit 234, 235 are mixed in the mixer 237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26 after passing through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238.

또한, 상기 혼합부(237)에서 출력된 악보 신호가 상기 제어부(129)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에 저장되며, 상기의 편집/연주 선택 스위치(15)에서 연주 상태를 선택하여 기 저장된 곡 번호의 선택 음악을 연주할 경우, 상기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에 저장된 악보 신호가 다시 상기의 혼합부(237)로 출력된다. 상기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는 연주자가 편집 기능을 선택한 후 멜로디만을 연주할 경우에는 이를 스피커(26)를 통해 출력시키지 않고 저장한 후 연주자가 자유변박 멜로디 재생키를 원하는 간격으로 누를 경우 각 기억된 음을 스피커(26)를 통해 연주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듀엣(Duet)모드에서 재생시 두 악보 번호를 선택하여 동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는 전원을 차단해도 상기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에 저장된 악보가 소멸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며, 상기 악보 데이터 저장부(239)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129)에서 수행하게 된다.The music score signal output from the mixing unit 237 is stored in the music score data storage unit 239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9. The music score signal output from the editing / A music score signal stored in the score data storage unit 239 is output to the mixing unit 237 again. The melody data storage unit 239 stores melody without outputting through the speaker 26 when the melody is played after the melody is selected by the performer. If the melody is pressed at a desired interval by the melody player, And outputs the generated sound through the speaker 26 at an interval desired by the player. In addition, when playing in duet mode, two score numbers are selected and output simultaneously. Here, the score data storing unit 239 uses a flash memory to prevent the score stored in the score data storing unit 239 from being eras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control of the score data storing unit 239 is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29).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는 악보를 사용자가 손쉽게 작곡 또는 편집하는 것으로, 작곡 또는 편곡하고자 하는 악보를 키 선택부를 통해 입력하면, 이에 해당되는 음표 및 쉼표가 키 선택 표시부에 표시됨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편곡 또는 작곡한 악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곡 또는 편곡된 악보의 박자 및 빠르기 등의 정보를 키 선택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시각 및 청각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작곡 또는 편곡된 악보를 악보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여 필요시 자동 연주 기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어 초, 중, 고교생들의 음악 교육에 사용할 때 곡의 정확한 음정 및 박자를 직접 조작 및 확인함으로서, 학습효과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이 악보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손쉽고 간편하게 악보를 편곡 또는 작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이 사용할 경우 오선지 형태로 그려진 키를 선택함으로서, 자신이 선택한 키의 음을 정확히 들을 수 있는 음감 교육에 효과가 있고, 멜로디만을 선택해도 자동으로 화음을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musical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composes or edits a musical score. When a musical score to be composed or arranged is input through a key selection unit, notes and comma corresponding thereto are displayed on a key selection display unit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musical score that the user has easily arranged or composed and also to easily confirm the information such as the beat and the pace of the composition or the arranged musical score through the key selection display unit and the speaker through visual and auditory sense, Or arranged musical score can be stored in the musical score data storage section and confirmed by automatic performance function when necessary. Thus, by directly manipulating and confirming the correct pitch and rhythm of the musical piece when it is used for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ig. In this way, a general user who does not have expertise in music not only can easily and easily arrange or compose music, but also selects a key drawn in the form of a line when children use it, It is effective in education, and it has the effect of automatically outputting a chord even if only the melody is selected.

Claims (3)

연주자가 원하는 음을 선택하는 키 선택부와; 상기 키 선택부의 선택된 키 코드에 해당되는 음표 및 쉼표를 표시하여 연주자에게 알리는 키선택 표시부와; 연주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 및 작곡/편곡기능을 감지하는 연주 및 작곡 선택키와; 상기 연주 및 작곡 선택키를 통해 작곡을 선택할 경우 연주자가 선택한 음의 박자 등을 감지하는 박자 선별부와; 상기 키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과 상기 박자 선별부로부터 출력된 박자와 음량조절부로부터 출력된 음정보와 음원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출력된 해당 악기의 음원데이타에 따른 음의 해당 정보 및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제어신호에 따라 음향, 리듬 및 음길이 정보로 나누어 선택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와;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향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와;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리듬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리듬을 발생하는 리듬 발생부와; 상기 신호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음길이 정보에 의해 해당 음의 길이를 발생하는 음길이 발생부와; 상기 음길이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음표 정보에 의해 음표의 종류를 검출하는 음표 검출부와; 상기 음길이 발생부로부터 출력된 쉼표의 정보에 의해 쉼표의 종류를 검출하는 쉼표검출부와; 상기 음향 발생부, 리듬 발생부, 음표 검출부, 쉼표 검출부로부터 음량, 리듬, 음표, 쉼표에 대한 정보를 혼합하여 증폭기를 통해 스피커로 송출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기억 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연주 제어신호에 따라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혼합부를 통해 연주하는 악보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A key selector for selecting a note desired by the player; A key selec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note and a comm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code of the key selection unit to inform the player; A performance and composition selection key for sensing a performance and a composition / arrangement function selected by the player; A beat selection unit for sensing a beat of a note selected by a player when composing is selected through the performance and composition selection keys; The ton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key selection unit, the bea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beat information selection unit, the ton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tone volume control unit, and the ton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ne source data of the musical instrument output from the tone source data storage unit, ; A signal selector for dividing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into sound, rhythm, and sound length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selectively outputting the sound; An acoustic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according to the acoustic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elector; A rhythm generator for generating a rhythm according to the rhythm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selector; A sound length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length according to sound length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ignal selector; A note detecting section for detecting the type of note by the note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sound length generating section; A comma detector for detecting a type of a comma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comma output from the tone generator; A mixer for mixing information on volume, rhythm, note, and comma from the sound generator, the rhythm generator, the note detector, and the comma detector to the speaker through the amplifier; And a score data storage for storing data output from the mixer in accordance with a storag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playing the stored data through the mixing unit in accordance with a performanc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for perform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선택부는 연주자의 음선택이 용이하도록 오선지형상의 키 메트릭스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The musical instrument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key selection unit comprises a key matrix having a pentagonal shape so as to facilitate selection of the player's notes. 제1항에 있어서, 키선택 표시부는 연주자가 음을 선택하기 위한 위치를 소정 깊이의 홈부와; 상기 홈부 주위를 연주자 선택을 표시하도록 형성된 투명창과; 상기 홈부 하단에 위치하여 연주자가 선택한 음을 제어부로 전송하는 음감지 스위칭소자로 구성하여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연주용 전자악기.The musical instrument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key selection display unit comprise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 transparent window formed to display a player selection around the groove; And a sound sensor switching element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groove to transmit a sound selected by the player to the controller.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27394A 1996-07-06 1996-07-06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KR0185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394A KR0185542B1 (en) 1996-07-06 1996-07-06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394A KR0185542B1 (en) 1996-07-06 1996-07-06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999A true KR980010999A (en) 1998-04-30
KR0185542B1 KR0185542B1 (en) 1999-04-15

Family

ID=1946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394A KR0185542B1 (en) 1996-07-06 1996-07-06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54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5542B1 (en)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6581B (en) Musical perform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5544562A (en) Apparatus of a playing practice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288711B2 (en) Chord presenting apparatus and storage device storing a chord presenting computer program
US7094962B2 (en) Score data display/editing apparatus and program
CA2250089C (en) Simplified keyboard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230635B2 (en)
US20050257667A1 (en)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JP4151779B2 (en) Performance learning device
US528691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playback of background tones and generation of key-on phrase tones
JP2797648B2 (en) Karaoke equipment
JP2001318683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inging information
KR0185542B1 (en)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the music performance
JP3752956B2 (en) PERFORMANCE GUIDE DEVICE, PERFORMANCE GUID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NTAINING PERFORMANCE GUIDE PROGRAM
JPS628795B2 (en)
JPS628797B2 (en)
JP2572317B2 (e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JP2670944B2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2640587B2 (e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with singing ability evaluation function
Muro The art of sequencing: A step by step approach
JP2670946B2 (en) Automatic performance device
KR19980076711A (en) Simultaneous display of lyrics and scores and video song accompaniment
KR19990075806A (en) Karaoke system (music playing system)
JPH027480B2 (en)
JPH0343638B2 (en)
JPH0744167A (en) Automatic pla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