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091U -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 Google Patents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091U
KR980010091U KR2019960026159U KR19960026159U KR980010091U KR 980010091 U KR980010091 U KR 980010091U KR 2019960026159 U KR2019960026159 U KR 2019960026159U KR 19960026159 U KR19960026159 U KR 19960026159U KR 980010091 U KR980010091 U KR 9800100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extension arm
support plate
post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6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7773Y1 (ko
Inventor
김장성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2019960026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773Y1/ko
Publication of KR980010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773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갓의 하단 주연부가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 상에 놓여지게 되는 갓 받침대가 구비돈 전기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전기 스탠드의 갓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환형 고리부가 전구에 직접 끼워지게 되므로 구형 이외의 전구를 사용할 수가 없었고, 갓의 착탈시 전구가 깨질 위험성도 있으며 전구의 교환도 불편하였으며 갓의 제작 작업성이 불량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 수단은 설치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되는 베이스(10), 전구(16)의 수용을 위한 소켓(14)을 자체의 상단에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12), 및 전구(16)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져 있는 갓(18)으로 구성되는 전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2) 상단의 나사부(3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의 주연부(34)에는 내측단에 수직 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8)을 갖는 수개의 요홈(3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지지판(40), 이 하부 지지판(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요홈(36)의 관통홀(38)로 끼워지는 굴곡 단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갓(18)의 하측 연부(19)를 자체내에 지지하도록 고리 단부(44)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 아암(46) 및 상기 하부 지지판(40) 상부에서 상기 연장 아암(46)의 굴곡 단부(42) 부분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포스트(12)의 나사부(30)와 체결되는 암나사부(32a)가 중앙에 형성된 상부 지지판(4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에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및 상부 지지판(40)(48)을 외주면에 연장 아암(46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0a)을 갖는 하나의 지지판(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 아암(46a) 단부의 나사부(51)에 갓(18)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갓고정 와셔(52)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에 있다.
그리고 상기 갓(18) 하단의 주연부에 갓고정홀(53)이 형성되고 연장아암(46b)의 단부에는 갓(18)의 갓고정홀(53)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고리(5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에 있다.

Description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본 고안은 조명기구인 전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갓의 하단 주연부가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 상에 놓여지도록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스탠드는 설치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되는 베이스, 전구의 수용을 위한 소켓을 자체의 상단에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 및 상기 전구의 외측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전구상에 지지되는 환형 고정부가 자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갓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스탠드는 실내의 부분 조명이나 실내장식 또는 눈의 보호를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스탠드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의 중앙에는포스트(12)가 상방향으로 연결되어져 있고 이 포스트(12)의 상단에는 전구(16)를 수용하는 소켓(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14)의 전구(16)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17)은 중공형상으로된 포스트(12)의 내측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상기 소켓(14)과 접속되어 있다.
갓(18)의 상부 내측에는 고리부가 상기 갓(18)의 상부 연부에 감싸여져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리부(20)에는 이 고리부(20)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연장 부재(22)에 의해 1조의 환형 고정부(24)가 지지되어 있다.
1조의 환형 고정부(24)는 전구(16)의 상부로부터 씌워지게 되고, 전구(16)의 일부분이 상기 1조의 환형 고정부(24)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원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전구(16) 상에 고정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 스탠드에서는 갓의 상부에 통상 철제로 되는 고리부, 연장 부재 및 환형 고정부가 노출되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없었다.
또한 1조의 환형 고리부가 전구의 외측 표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끼워지고 분리되므로, 주의하여 취급하지 않으면 전구가 깨질 수 있는 위험성도 있고 이에 따라서 전구교환도 불편하였다.
더욱이 환형 고리부를 갓의 상부 내측 주연부를 따라 부착하는 작업은 작업성이 불량하며, 갓을 전구에 대해 끼우거나 분리하는 경우 상기 환형 고리부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고리부가 갓의 상부 내측 주연부로부터 떨어져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이에 부가해서, 환형 고리부를 이용하여 갓을 전구 상에 직접 기워야 하므로 대체로 구형형상으로된 전구 이외의 전구를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스탠드의 전구 주위에 씌워지는 갓을 전구 상에 끼우지 않고 갓의 하단 주연부가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 상에 놓여지도록하여 전구의 교환이 용이함은 물론 전구파손이 방지되도록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갓의 내면에 추억이 될만한 인물사진이나 여러 가지의 인쇄물을 부착하여 시각적을 미려하고 품격높은 전기스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스탠드는, 설치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되는 베이스, 전구의 수용을 위한 소켓을 자체의 상단에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 및 전구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져 있는 갓으로 구성되는 전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상단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의 주연부에는 내측단에 수직 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을 갖는 수개의 요홈이 방사상을 형성되어 있는 하부 지지판, 이 하부 지지판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요홈의 관통홀로 끼워지는 굴곡 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갓의 하측 연부를 자체내에 지지하도록 고리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 아암 및 상기 하부 지지판의 상부에서 상기 연장 아암의 굴곡 단부 부분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포스트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중앙에 형성된 상부 지지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하부 및 상부 지지판(40)(48)을 외주면에 연장 아암(46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0a)을 갖는 하나의 지지판(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 아암(46a) 단부의 나사부(51)에 갓(18)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갓고정 와셔(52)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갓(18) 하단의 주연부에 갓고정홀(53)이 형성되고 연장 아암(46b)의 단부에는 갓(18)의 갓고정홀(53)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고리(5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 스탠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서 전기 스탠드의 갓 받침대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 부분을 도시하는 축면도.
제5a 및 제5b는 제4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갓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으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오의 설명
10 : 베이스 12 : 포스트 14 : 소켓
16 : 전구 18 : 갓 19 : 하측 연부
30, 51 : 나사부 32, 32a : 암나사부 34 : 주연부
36 : 요홈 38 : 관통홀 40 : 하부 지지판
42 : 굴곡 단부 44 : 고리 단부
46, 46a, 46b, 46c: 연장 아암 48 : 상부 지지판
50 : 지지판 50a : 고정홀 52 : 갓고정 와셔
53 : 갓고정홀 54 : 걸고리 55 : 내측 시트
56 : 인쇄 시트 57 : 외측 시트 58 : 홀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는 본 고안의 접합한 실시예에 따른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가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10)의 하측에는 바닥면과의 안정된 접촉을 위한 수개의 접촉 부재(11)가 구비되어 있고 그 저면 내측에는 베이스 요홈(13)이 형성외어 있으며, 이 베이스 요홈(13)의 일측에는 베이스(10)의 반경 방향 외측을 연장되는 전선 홀(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요홈(13) 내에는 상단이 베이스(10)에 대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포스트(12)의 하단이 끼워져 있으며, 이 포스트(12)의 하단에는 베이스(10)에 대해 고정되도록 너트(23)가 체결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면에는 중앙의 홀을 통해 포스트(12)에 끼워진 디스크(31)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31)의 상부에는 포스트(12)의 외측에 수개의 외피(35) 및 마디 부재(33)가 차례로 끼워져 상기 포스트(12)를 감싸고 있다.
상기 포스트(12)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30)에는 중앙의 암나사부(32)에 의해 하부 지지판(40)과 상부 지지판(48)이 체결되어 있으며, 이 하부 지지판(40)의 상부면에는 주연부(34)를 따라 수개의 요홈(3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36)에는 반경 방향의 내측단에 상기 요홈(36)과 수직 하방향으로 관통홀(38)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다(제3도 참조).
상기 하부 및 상부 지지판(40)(48)의 사이에는 직선형의 연장 아암(46)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연장 아암(46)은 요홈(36)의 관통홀(38)로 끼워지는 굴곡 단부(42)가 일단에 형성되어져 있고 그 타단은 갓(18)의 하단 주연부(19)를 지지하도록 고리단부(44)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상부 지지판(48)은 하부 지지판(40) 상의 관통홀(38)에 끼워진 연장 아암(46)의 굴곡단부(42)를 눌러 고정하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 포스트(12)의 나사부(3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32a)가 형성되어져 있고 그 주연부에는 상기 관통홀(38)과 대응하는 위치에 수개의 상부 관통홀(47)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포스트(12)의 나사부(30) 상단에는 소켓(14)의 체결을 위한 소켓 나사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소켓(14)내에는 전구(16)이 체결되어져 있다.
갓(18)의 하단 주연부(19)는 하부 지지판(40)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개의 연장 아암(46)의 고리 단부(44)이 고리홈 내에 지지되어 있다.
이제 제3도을 참조로하여 갓 받침대(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갓 받침대가 구비도니 전기 스탠드의 갓받침대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포스트(12) 상단의 나사부(30)에 하부 지지판(40)을 체결하고 이 하부 지지판(40) 상부면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요홈(36)의 관통홀(38)에 각각 연장 아암(46)의 굴곡 단부(42)를 끼워 가조립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 아암(46)의 단부는 하부 지지판(40)의 반경 방향 외측인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 아암(46)들은 각각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장 아암(46)들의 굴곡 단부(44)는 동일한 반경의 원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포스트(12)의 나사부(30)에 나사부(32a)가 끼워지도록 상부 지지판(48)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장 아암(46)은 하부 지지판(40)의 요홈(36) 및 관통홀(38) 내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연장 아암(46)의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유동 또는 이탈이 방지된다.
다음에 포스트(12)의 나사부(30) 상단에 형성된 소켓 나사부(37)로 소켓(14)을 체결하고 이 소켓(14) 내에 전구(16)을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한 반경의 원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연장 아암(46)의 고리 단부(44) 내의 고리홈 상에 갓(18)의 하단 주연부(19)를 올려 놓음으로써 스탠드의 설치를 종료한다.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갓(18)의 하단 주연부(19)의 외경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길이를 갖는 연장 아암(46)을 교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장 아암(46)의 교체는 상부 지지판(48)을 연장 아암(46)이 하부 지지판(40)으로부터 분리될 정도의 높이만큼 나사부(30)로부터 풀어 올린 후 새로운 연장 아암(46)으로 교체한다.
제5a 및 5b에는 본 고안에 따른 갓 받침대의 연장 아암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a는 하나의 지지판(50)으로 형성하여 그 외주면에 연장 아암(46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0a)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아암(46a) 단부의 나사부(51)에 갓(18)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갓고정 와셔(52)가 끼워져 있다.
상기 갓(18)의 고정은 연장 아암(46a) 단부의 나사부(51)로부터 갓고정 와셔(52)가 서로 이격되게 풀은 상태에서 갓(18)의 하단 주연부를 올려놓고 갓고정 와셔(52)를 조여 고정하는 것을 갓(18)은 이탈 분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5b도는 갓(18) 하단의 주연부에 갓고정홀(53)이 형성되고 연장 아암(46b)의 단부에는갓(18)의 갓고정홀(53)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고리(54)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갓(18)의 고정은 갓(18) 하단의 주연부를 살명시 눌러 탄성병형시킨 상태에서 연장 아암(46b) 단부의 걸고리(54)내에 놓으면 갓(18)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갓고정홀(53)로 걸고리(54)가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갓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내측 시트(55) 상에는 사진이 인쇄된 인쇄 시트(5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인쇄 시트(56) 상에는 이 인쇄 시트(56)를 보호하기 위한 외측 시트(57)가 부착되어 있다.
제7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장아암(46c)은 직선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아암(46c)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상기 갓(18)의 내측면에 홀더(58)가 연장아암(46c)에 대응해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갓(18)은 인쇄 시트(56)만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인쇄 시트(56)는 사람의 인물사진이나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사진 및 그림이 인쇄되거나 그려질 수 있다.
또한 본고안에 따른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0) 및 외피(35)의 재질이 원목으로 되어 있고, 상부 지지판(48), 하부 지지판(40), 마디 부재(33), 및 디스크(31)의 재질은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어 제품의 품격을 인상시켰으나, 다른 다양한 재지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는 갓의 상부에 일반적으로 철재로된 고리부, 연장 부재 및 환형 고정부가 제거되어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단순한 형태의 디자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갓이 연장 아암 상에 단순히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1조의 환형 고리부가 전구의 외측 표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끼워지고 분리됨으로써 전구가 깨지게 되는 위험성이 없고, 이에 따라서 전구교환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고리부를 갓의 상부 내측 연부를 따라 부착하는 작업이 제거되므로 갓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부가해서, 환형 고리부를 이용하여 갓이 전구상에 직접 끼워지지 않게 되므로 대체로 구형성상의 전구는 물론 이외의 다양한 형상의 전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설치 바닥면 상에 놓여지게 되는 베이스(10), 전구(16)의 수용을 위한 소켓(14)을 자체의 상단에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포스트(12), 및 전구(16)의 외측을 덮도록 씌워져 있는 갓(18)으로 구성되는 전기 스탠드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12) 상단의 나사부(30)에 체결되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고 그 상부면의 주연부(34)에는 내측단에 수직 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38)을 갖는 수개의 요홈(3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하부 지지판(40), 이 하부 지지판(4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은 요홈(36)의 관통홀(38)로 끼워지는 굴곡 단부(42)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은 상기 갓(18)의 하측 연부(19)를 자체내에 지지하도록 고리 단부(44)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 아암(46), 및 상기 하부 지지판(40) 상부에서 상기 연장 아암(46)의 굴곡 단부(42) 부분을 눌러 고정하도록 상기 포스트(12)의 나사부(30)와 체결되는 암나사부(32a)가 중앙에 형성된 상부 지지판(48)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지지판(40)(48)을 외주면에 연장 아암(46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0a)을 갖는 하나의 지지판(50)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 아암(46a) 단부의 나사부(51)에 갓(18)을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갓고정 와셔(52)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18) 하단의 주연부에 갓고정홀(53)이 형성되고 연장 아암(46b)의 단부에는 갓(18)의 갓고정홀(53)로 끼워져 지지되는 걸고리(54)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갓(18)에 사진이 인쇄된 인쇄 시트(56)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6159U 1996-08-27 1996-08-27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KR0137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159U KR0137773Y1 (ko) 1996-08-27 1996-08-27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6159U KR0137773Y1 (ko) 1996-08-27 1996-08-27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91U true KR980010091U (ko) 1998-04-30
KR0137773Y1 KR0137773Y1 (ko) 1999-05-15

Family

ID=1946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6159U KR0137773Y1 (ko) 1996-08-27 1996-08-27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7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201Y1 (ko) * 2007-05-01 2009-07-07 강대기 전기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7773Y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192A (en) Decorative lamp shade and Christmas lamp assembly
US4998193A (en) Floor lamp structure with a detachable shade
US4764855A (en) Globe securement means
KR0137773Y1 (ko) 갓 받침대가 구비된 전기 스탠드
US6409365B1 (en) Hanging-type detachable lamp shade and light bulb socket assembly structure
US6575591B1 (en) Low voltage decorative theme outdoor lights
US4004144A (en) Fluorescent light unit
US20040240212A1 (en) Lamp having low light level replaceable bulb
US6203178B1 (en) Lighting apparatus
US5528479A (en) Multiply-positioned mounting block of lighting fixture
US7350943B1 (en) Floor lamp having low light replaceable bulb
US6814471B1 (en) Adapter for decorative lighting fixture
US4998192A (en) Lamp with guard
JPS6019292Y2 (ja) 照明器具
CN211176500U (zh) 一种led筒灯
CN217329680U (zh) 一种新型防拉灯头固定结构
CN211694536U (zh) 灯具及其照明模组
GB2203527A (en) Lighting unit
RU1775579C (ru) Узел подвеса светильника
JPS5921445Y2 (ja) 照明具
JPS6021841Y2 (ja) 照明器具
JPH026568Y2 (ko)
JPH02972Y2 (ko)
JP2605054Y2 (ja) 集魚灯の保持金具
KR200287338Y1 (ko) 입식 광고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