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849A -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 Google Patents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849A
KR980009849A KR1019960030083A KR19960030083A KR980009849A KR 980009849 A KR980009849 A KR 980009849A KR 1019960030083 A KR1019960030083 A KR 1019960030083A KR 19960030083 A KR19960030083 A KR 19960030083A KR 980009849 A KR980009849 A KR 98000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intake
pulley
drive pulley
intake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30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849A/en
Publication of KR98000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849A/en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에 의해 손실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의 흡입공기를 증가시키는 흡기효율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작동시에 손실되는 크랭크 축의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로 도입되는 흡입공기의 량을 증가시키는 흡기효율 향상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축의 단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단부면이 좁아지게 형성된,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홈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피동풀리와; 피동축에 의하여 상기 피동풀리와 결합되어 엔진내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피동풀리가 구동풀리의 홈내에 결합되도록 하여 손실되는 동력을 외부공기 흡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for increasing intake air in an engine using power lost by an automotive brake, A drive pulley having a groove formed in the end of the crankshaft so as to have an end face narrowed inwardly, that is, a groove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 driven pulley coupled and releasably arranged in the groove of the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is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groove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so that the lost power can be used for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And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device using the brake power loss.

Description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효율 향상장치의 구조로서 브레이크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brake operation as a structure of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흡기효율 향상장치의 브레이크 작동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the brake operation of the intake efficiency improving device shown in Fig. 1;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크랭크 축 2 : 구동풀리1: crankshaft 2: drive pulley

3, 8 : 홈계면 4 : 점화코일3, 8: groove interface 4: ignition coil

5 : 피동풀리 6 : 펌프5: driven pulley 6: pump

7 : 피동축 9 : 스로틀 밸브7: driven shaft 9: throttle valve

[발명의 분야][0001]

본 발명은 자동차 브레이크에 의해 손실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의 흡입공기를 증가시키는 흡기효율 향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내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도입시키는 펌프를 제공하여 상기 펌프가 브레이크 작동시에 크랭크 축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므로써,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for increasing intake air in an engine using power lost by an automotive bra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mp for forcibly introducing air into an engine, To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using brake power loss that increases the output of the engine.

[종래기술]BACKGROUND ART [0002]

일반적으로, 4 사이클 기관의 밸브 기구는 흡배기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개폐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밸브가 개폐될 때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크게 설정하여 밸브가 열리는 면적을 될 수 있는 대로 크게 확보하여 다량의 혼합기를 실린더 안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밸브의 속도나 가속도가 너무 빠르면 밸브가 밸브 시이트에 충돌하거나 밸브의 운동이 캠의 모양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커지고 밸브 기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될 수 있는 대로 큰 밸브 개구 면적을 확보하는 형식을 채용해야 한다.Generally, a valve mechanism of a four-cycle engine is composed of an intake and exhaust valve and a valv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To improve the output of the engine, the speed or acceleration when the valve is opened or closed is set large, So that a large amount of the mixer can be sucked into the cylinder. However, if the speed or acceleration of the valve is too fast, it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valve collides with the valve seat or the movement of the valve does not follow the shape of the cam, so that the noise becomes large and the valve mechanism is damaged. A type that ensures a large valve opening area as much as possible should be employed.

한편, 상기 4 사이클 기관의 밸브 개폐기구는 밸브의 배치된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되며, 그 종류로는,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캠이 푸시 로드와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OHV(overhead valve)형과, 밸브 및 캠 축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것으로, 캠이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OHC(overhead camshaft)형과, 캠이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페시키는 DOHC(direct overhead camshaft)형 및 실린더의 양쪽 또는 한쪽에 밸브를 설치한 것으로,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SV(side valve)형 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lve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the four-cycle engine is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valves are arranged. The valve opening / closing mechanisms of the four-cycle engine are installed in the cylinder head, (OHC) type in which a cam opens and closes a valve through a rocker arm and a direct overhead camshaft (DOHC) valve in which a cam opens a valve through a rocker arm. (SV) type valve which is provided with a valve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a cylinder and a cylinder and which is rarely used at present.

이러한 4사이클 엔진은 실린더에서 상,하 승강되는 피스톤의 반복 작용에 의해 부압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가 흡입된 연소실로 연료를 분사하여 적정의 혼합기를 만든 후, 이를 점화시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흡입 공기는 크랭크 축의 2회전마다 즉, 피스톤이 흡입 행정을 위해 하강할 때 1회 개방되는 흡입 밸브가 열려짐으로써 흡기계를 통해 유입된다.In this four-cycle engine,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by repetitive action of the piston lifted up and down in the cylinder, and external air is sucked in, and fuel is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in which the air is sucked to produce a proper mixer, . Here, the intake air flows through the intake system by opening the intake valve which is opened once every two revolutions of the crankshaft, that is, when the piston descends for the intake strok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흡기장치에 있어서 엔진 연소실 내로 들어오는 흡입공기의 양을 많게 하면 엔진 성능이 향상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터보 엔진등과 같은 흡입효율을 놓이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상기 터보 엔진 등은 원가가 비싸고 또한 자체 동력을 이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increasing the amount of intake air entering the engine combustion chamber in such a conventional intake system improves the engine performance. Accordingly, much effort and research have been made to place intake efficiency such as a turbo engine and the like , The turbo engine and the like are expensive and have to use their own power.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동력 손실 중 브레이크 작동에 의한 동력손실이 많다는 것에 착안하여 상기 브레이크에 의한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하여 적은 비용으로 최대의 흡입효과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using power loss by the brake, So that the maximum suction effect can be achieved and an additional power is not required.

[발명의 구성 및 작용][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레이크 작동시에 손실되는 크랭크 축의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로 도입되는 흡입공기의 량을 증가시키는 흡기효율 향상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축의 단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단부면이 좁아지게 형성된,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홈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피동풀리와; 피동축에 의하여 상기 피동풀리와 결합 되어 엔진내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피동풀리가 구동풀리의 홈내에 결합되도록 하여 손실되는 동력을 외부공기 흡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ake efficiency enhancing device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intake air introduced into an engine using power of a crankshaft which is lost during a brake operation, the intake efficiency increas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pulley having a groove having a cross section, that is, a trapezoidal cross section; A driven pulley coupled and releasably arranged in the groove of the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is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groove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so that the lost power can be used for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And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device using the brake power loss.

또한, 상기 홈의 주변부인 구동풀리 내부에는 점화코일이 여러겹으로 감겨져 전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홈내부에 자력이 형성 및 소멸되도록 되며, 상기 점화코일은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력형성 여부가 결정되고,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작동시에 점화코일에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구동풀리의 홈내부에 자력이 형성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gnition coils are wound around the driving pulley, which i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groove, so that a magnetic force is formed and extinguished in the groove in accordance with on / off of current, and the ignition coil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detects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so that a current flows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ignition coil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so that a magnetic force is formed in the groove of the drive pulley.

또한, 상기 피동풀리에는 구동풀리의 홈과는 반대로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피동축의 단부 또한 말단부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피동풀리는 결합되어 있는 피동축의 단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 내부에 장착된 점화코일의 자력형성 여부에 따라 홈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driven pulley has groove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its cross section becomes larger toward the inside as opposed to the grooves of the drive pulley,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is larger than that of the driven shaft. So that it is possi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groove depending on whether the ignition coil mounted in the driving pulley is formed with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펌프는 기존의 스로틀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1흡기관과는 별도로 공기 청정기에 연결되는 제2 흡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로틀 밸브는 서지탱크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일 경우, 상기 흡기관을 개방시키고, 서지탱크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거나 상기 펌프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흡기관을 폐쇄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ump is connected to a secon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separately from the first intake pipe in which the existing throttle valve is formed. When the pressure of the surge tank is below atmospheric pressure,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surge tank exceeds the atmospheric pressure or the pump is operated,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intake pipe.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parts as those cited in the prior art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 do not explain.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효율 향상장치의 구조로서 브레이크 작동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 축(1)의 단부에는 구동풀리(2)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풀리(2)의 단부에는 구동풀리(2)의 내부로 갈수록 단부면이 좁아지게 형성된,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3)의 주변부인 구동풀리(2)의 내부에는 점화코일(4)이 여러겹으로 감겨져 전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홈(3)내부에 자력이 형성 및 소멸되도록 된다.FIG. 1 schematically shows a state before the brake operation as a structure of 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 pulley 2 is mounted on an end of a crankshaft 1, At the end of the pulley 2, a groove 3 having a trapezoidal cross section is formed so as to narrow the end 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drive pulley 2. The ignition coil 4 is wound in multiple layers inside the driving pulley 2 which i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groove 3 so that a magnetic force is formed or extinguished in the groove 3 in accordance with the on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풀리(2)의 홈(3)에는 홈(3)의 형상을 따라 사다리꼴로 형성된 피동풀리(5)가 점화코일(4)의 자력에 의해 결합 및 해제 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풀리(5)에는 엔진 내부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펌프(6)로부터 연장된 피동축(7)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동풀리(5)에는 구동풀리(2)의 홈(3)과는 반대로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의 홈(8)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피동축(7)의 단부 또한 말단부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홈(8)에 결합된 피동축(7)의 단부는 홈(8)으로부터 빠지지 않게된다. 또한 피동풀리(5)는 결합되어 있는 피동축(7)의 단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2) 내부에 장착된 점화코일(4)의 자력형성 여부에 따라 홈(3)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oove 3 of the drive pulley 2, a driven pulley 5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along the shape of the groove 3 is arranged and disengag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ignition coil 4 And the driven pulley 5 is coupled with a driven shaft 7 extending from a pump 6 for forcibly injecting air into the engine. The driven pulley 5 is provided with a groove 8 having a shape increasing in section toward the inside as opposed to the groove 3 of the drive pulley 2. The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7 coupled to the driven shaft 7 has a cross-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7 coupled to the groove 8 does not come off the groove 8. Further, the driven pulley 5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7 to which the driven pulley 5 is coupled, so that the magnetic force of the ignition coil 4 mounted inside the drive pulley 2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groove 3.

또한, 상기 펌프(6)는 기존의 스로틀 밸브(9)가 형성되어 있는 제1흡기관(10)과는 별도로 공기 청정기(11)에 연결되는 제2흡기관(1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청정기(11)는 서지탱크(13)를 거쳐 엔진(14)에 연결된다.The pump 6 is connected to a second intake pipe 12 connected to the air cleaner 11 separately from the first intake pipe 10 in which the existing throttle valve 9 is formed, The air cleaner 11 is connected to the engine 14 via a surge tank 13.

한편, 상기 구동풀리(2)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코일(4)은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력형성 여부가 결정되며,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작동시에 점화코일(4)에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구동풀리(2)의 홈(3)내부에 자력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풀리(5)가 구동풀리(2)의 홈(3)내에 결합되어 펌프(6)를 가동시키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gnition coil 4 mounted on the drive pulley 2 is determin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not shown) whether or not the magnetic force is to be forme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cts whether the brake is applied to the vehicle, The driven pulley 5 is driven by the drive pulley 2 to generate a magnetic force in the groove 3 of the drive pulley 2 by allowing current to flow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il 4. [ So that it is coupled into the groove 3 to actuate the pump 6.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펌프(6)와는 별도로 설치된 기존 흡기관(10)의 스로틀 밸브(9)는 서지탱크(13)의 압력이 대기압 경우, 상기 흡기관(10)을 개방시키고, 서지탱크(13)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거나 상기 펌프(5)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흡기관(10)을 폐쇄하도록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ttle valve 9 of the existing intake pipe 10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ump 6 opens the intake pipe 10 when the pressure of the surge tank 13 is at atmospheric pressure, When the pressure of the tank 13 exceeds the atmospheric pressure or the pump 5 is operated, the intake tract 10 is closed.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기효율 향상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시에 브레이크에 의하여 손실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의 흡입공기량을 증가시키므로써, 차량의 동력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흡기효율을 향상시키므로써, 저 RPM영역을 통한 출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take air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ntake air in the engine by using the power lost by the brakes during the brake oper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wer efficiency of the vehicle, Also, by improving the intake efficienc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output through the low RPM reg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Claims (4)

브레이크 작동시에 손실되는 크랭크 축의 동력을 이용하여 엔진내로 도입되는 흡입공기의 량을 증가시키는 흡기효율 향상장치로서, 상기 크랭크 축의 단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단부면이 좁아지게 형성된,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홈이 형성된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의 홈에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배열되어 있는 피동풀리와; 피동축에 의하여 상기 피동풀리와 결합되어 엔진내에 강제적으로 공기를 도입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작동시에 상기 피동풀리가 구동풀리의 홈내에 결합되도록 하여 손실되는 동력을 외부공기 흡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An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intake air introduced into an engine by using a power of a crankshaft which is lost during a brake operation, the intake efficiency improving apparatus comprising: a crankshaft having an end surface narrowed toward the inside thereof, A drive pulley having a groove formed therein; A driven pulley coupled and releasably arranged in the groove of the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is coupled to the driving pulley groove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so that the lost power can be used for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take air amount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주변부인 구동풀리 내부에는 점화코일이 여러겹으로 감겨져 전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홈내부에 자력이 형성 및 소멸되도록 되며, 상기 점화코일은 전자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력형성 여부가 결정되고, 전자제어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작동 여부를 검출하여 브레이크 작동시에 점화코일에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구동풀리의 홈내부에 자력이 형성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The ignition coi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gnition coil is wound in multiple layers inside a driving pulley, which is a peripheral portion of the groove, so that a magnetic force is formed and extinguished in the groove according to ON / OFF of current, The electromagnetic control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rake of the vehicle is operated so that a current flows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ignition coil at the time of brake operation so that a magnetic force is formed inside the groove of the drive pulley.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lo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풀리에는 구동풀리의 홈과는 반대로 내부로 갈수록 단면이 커지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이에 결합되는 피동축의 단부 또한 말단부의 단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피동풀리는 결합되어 있는 피동축의 단부에 대해 일정한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풀리 내부에 장착된 점화코일의 자력형성 여부에 따라 홈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The driven pulley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driven pulley has a groove formed in a shape that increases in section toward the inside as opposed to a groove of the drive pulley, and a cross sec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And is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respect to an end portion of the driven shaft which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driven pulley and is able to mov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groove according to whether magnetic force of the ignition coil mounted in the drive pulley is formed. The intake efficiency improving device using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기존의 스로틀 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제1흡기관과는 별도로 공기 청정기에 연결되는 제2흡기관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로틀 밸브는 서지탱크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일 경우, 상기 흡기관을 개방시키고, 서지탱크의 압력이 대기압을 초과하거나 상기 펌프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흡기관을 폐쇄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동력 손실을 이용한 흡기효율 향상장치.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mp is connected to a second intake pipe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separately from the first intake pipe in which the existing throttle valve is formed, , The intake tract is opened,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surge tank exceeds the atmospheric pressure or the pump is operated, the intake tract is closed.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Note: It is disclosed by the contents of the first application.
KR1019960030083A 1996-07-24 1996-07-24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KR9800098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083A KR980009849A (en) 1996-07-24 1996-07-24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083A KR980009849A (en) 1996-07-24 1996-07-24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849A true KR980009849A (en) 1998-04-30

Family

ID=6624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083A KR980009849A (en) 1996-07-24 1996-07-24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8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94522A (en) Cycle convertible engine and its control device
US7441519B2 (en) Engine valve actuation system
RU2681729C1 (en) Diverter valve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JPH0914006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alve movement controlling method
JPH0617659A (en) Intake check valve for engine
EP0344780B1 (en) Intake control device for engine
KR980009849A (en) Intake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 using brake power loss
US5351660A (en) Electrically activated dynamic valve for spark ignition engines
JP3878572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start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380969B2 (en)
JP3298452B2 (en) Engine auxiliary brake device
KR100589139B1 (en) Variable swir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3985355B2 (en) Valve opera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624569B2 (en) Exhaust control device for 2-cycle engine
US20060112939A1 (en) Auxiliary intake device for engine
KR0167581B1 (en) Supercharger for automotive engines
JPH0139866Y2 (en)
SE8903803D0 (en) MULTI-CYLINDERED COMBUSTION ENGINE
JP2797619B2 (en) Cycle switching engine
KR0164300B1 (en) Valve structure of vehicle engine
KR100305929B1 (en)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of automobile
JPS6316850Y2 (en)
KR930007546B1 (en) Apparatus for using the combustion gas power
KR0185806B1 (en) Air inlet efficiency increasing apparatus
KR100245503B1 (en) Stroke variabl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