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311U -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311U
KR980009311U KR2019960020642U KR19960020642U KR980009311U KR 980009311 U KR980009311 U KR 980009311U KR 2019960020642 U KR2019960020642 U KR 2019960020642U KR 19960020642 U KR19960020642 U KR 19960020642U KR 980009311 U KR980009311 U KR 9800093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frequency generator
portable
electrodes
sleep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6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20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311U/ko
Publication of KR980009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311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주파 발생기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전기장치, 상기 전기장치의 외부에 개구되어 있는 접속홀에 삽입되는 연결잭,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출력된 저주파 펄스가 상기 연결잭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부착되어 인체에 전기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는 점착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본 고안은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목시계나 휴대용 카세트 등 자체 전원을 갖는 휴대가 가능한 전기장치에 저주파 발생기를 추가로 설계하여 전기장치 외부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로 또는 잭 등을 이용해 착탈가능한 상태로 구비된 점착 패드와 같은 전도판을 통해 인체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되면 취침 중이거나 졸고 있는 사용자를 깨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취침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차 사회구조가 고도화되어감에 따라 현대인들을 각종의 스트레스 상태에 놓이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수많은 부영의 손실을 야기 하고 있다. 현대인들이 갖는 이러한 스트레스중의 하나이면서 다른 모든 스트레스의 원인이기도 한 수면부족 현상은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수면부족 현상은 현대인 들의 일상생활에 그대로 반영되어 아침기상 시간을 놓친다든지, 출퇴근 시간에 전철이나 버스등에서 깊은 잠에 들어 목적지를 지나쳐버린다든지 하는 등의 문제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아침 기상시간에는 자명종을 이용해서 정해진 시간에 기상을 하거나 심지어는 TV, 오디오 등을 설정 시간에 켜지도록 하여 기상을 하는 등의 다양한 해결책이 강구되어왔다.
그러나, 자명종의 알람음이 점점 톤이 높아지고 음량이 커지고 알람 발생시간이 길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깊은 잠에 들어 있는 경우 수면 상태에서 깨어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자극을 줄 수 없게 되므로 정해진 시간에 기상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고, 또한 전철이나 버스 등에 탑승하여 좌석에서 잠이 든 경우 특히, 음주후 깊은 잠에 들었을 때에는 별다른 취침 경보 수단이 없으므로 목적지를 지나쳐버리는 일이 많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현대인들의 수면부족으로 인한 애로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저주파 발생기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전기장치, 상기 전기장치의 외부에 개구되어 있는 접속홀에 삽입되는 연결잭, 상기 저주파 발생기에서 출력된 저주파 펄스가 상기 연결잭의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부착되어 인체에 전기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는 점착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극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연결잭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거나 상기 전기 장치의 피부 접촉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저주파 발생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20 : 저주파 발생기
30 : 손목시계 31 : 온오프키
33 : 지속시간 입력키 35 : 작동시각 설정키
40 : 접속홀 50 : 연결잭
60 : 케이블 70,71 : 전극
80,81 : 점착패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고안의 취침경보 장치(10)를 손목시계(30)에 적용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취침경보장치(10)는 저주파 발생기(20)가 도시된 손목시계(30) 즉, 휴대용 전기장치에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으로서 손목시계의 전지를 사용하게 되며, 손목시계(30)의 디스플레이면 상에는 시계조작에 관련된 스위치와는 별도로 취침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키(31)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울러, 취침장치(10)의 작동 지속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 입력키(33)와 소정의 작동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작동시각 설정키(35)도 설치되어 있다.
시계(30)의 측면에는 접속홀(40)이 형성되어 전극(70,71)의 연결잭(50)을 끼워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계 내부에 형성된 저주파 발생기(20)에서 출력되는 저주파 펄스를 케이블(60)을 통해 전극(70,71)에 전달하게 된다. 전극(70,71)에 전달된 저주파 펄스는 전극(70,71)의 한쪽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패드(80,81)를 통해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된다. 이때, 전극(70,71)은 연결잭(50에 의한 접속홀(40)에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취침경보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일반 이어폰과 같이 소형 케이스에 끼워 넣거나 말아 감은 상태로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10)는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목시계(130) 즉, 휴대용 전기장치에 직접 장착된 상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연결잭을 필요로 하지않고 전극(170,171)이 시계(130)의 내부에 직접 장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계(130)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손목과 접촉하는 부위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점착패드(180,181)가 전극(170,171)의 한쪽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 장치(1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저주파 발생기(20)를 가지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주파 발생기(20)는 휴대용 전기장치(10) 본체의 마이컴과는 별도의 마이컴(21)을 구비하고 있다. 마이컴(21)에 전지(22)로부터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작동시각 설정키(35)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작동시각이 입력되면 시계(30)의 디스플레이부(37)에 입력된 작동시각이 표시된다. 또한 지속시간 설정키(33)로부터 입력된 펄스 발생 지속시간은 타이머(23)에 기억되어 전극(70,71)의 진동시간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정된 경보장치(10의 시간이 도래하면, 발진회로(24)에서 발생된 디지털 신호는 D/A 변환회로(25)에 의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저주파 발진회로(26)에 의해서 저주파화되어 타이머(23)에 기억된 지속시간동안 증폭회로(27)를 통해 전극(70,71)으로 전달된다. 이때, 증폭회로(27)는 저주파 발진회로(26)에서 발생된 펄스를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증폭된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에 따라 저주파 발생기(20) 전체의 동작이 마이컴(21)에 의해서 제어되어 양 전극(70,71)을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극(70,71)을 부착한 인체에 양 전극(70,71) 사이로점착패드(80,81)를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근육신경 계통에 강력한 자극을 주게 되어 설정된 알람시간에 착용자를 깨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에 의하면, 손목시계와 같은 휴대가능한 전기장치에 저주파 발생기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휴대가 가능한 전극을 통해 전기적인 자극을 주게 되므로 사용자가 버스나 전철등 교통수단에 탑승한 상태로 잠이 들더라도 원하는 목적지에서 정확하게 깨어날 수 있도록 해주며, 아울러 집안에서 기상시간에 맞추어 시간을 설정할 경우에는 일반 자명종 보다 훨씬 강력한 자극을 주게 되므로 수면이 부족한 사용자라도 쉽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게 되는 등 일상 생활에서의 사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현대인들의 수면부족으로 인한 애로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품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손목시계나 휴대용 카세트 등에 저주파 물리치료기에서 사용되는 저주파 발생기를 채용하여 취침시 뿐만 아니라 교통수단을 이용해 이동 중일 때에도 종래와 같은 소리에 의한 자극보다 훨씬 강력한 물리적인 자극을 휴대장치의 착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보다 확실한 취침경보를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할 것이다.

Claims (3)

  1. 저주파 발생기(20)를 내장하고 있는 휴대용 전기장치(30), 상기 전기 장치(30)의 외부에 개구되어 있는 접속홀(40)에 삽입되는 연결잭(50), 상기 저주파 발생기(20)에서 출력된 저주파 펄수가 상기 연결잭(50)의 케이블(60)을 통해 전달되는 전극(70,71) 및, 상기 전극(70,71)에 부착되어 인체에 전기자극을 주도록 되어 있는 점착패드(80,8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70,71)은 케이블(60)에 의해 연결된 연결잭(50)에 의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170,171)은 상기 전기 장치(130)의 피부 접촉면(131) 안쪽에 내장되어 상기 접촉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점착패드(180,181)에 의해 직접 피부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642U 1996-07-12 1996-07-12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KR9800093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42U KR980009311U (ko) 1996-07-12 1996-07-12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42U KR980009311U (ko) 1996-07-12 1996-07-12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11U true KR980009311U (ko) 1998-04-30

Family

ID=53971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642U KR980009311U (ko) 1996-07-12 1996-07-12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31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047039T3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ayudar al tratamiento de la adiccion.
CN112773997B (zh) 智能睡眠唤醒方法及智能穿戴设备
KR980009311U (ko) 저주파 발생기를 이용한 휴대용 취침경보장치
CN2393125Y (zh) 防吵闹钟装置
US20100085844A1 (en) Pulse alarm clock with alarm and acupuncture functions
JPH073357Y2 (ja) いびき防止装置付腕時計
CN2544314Y (zh) 无声电子闹表
JP2007040859A (ja) 覚醒状態を検知する目覚時計
CN210870858U (zh) 一种定时叫醒按摩枕头
JPH02161958A (ja) 目覚まし装置
CN211862442U (zh) 一种闹钟音乐枕头
JP3082126U (ja) 経皮刺激腕時計
JPH07287084A (ja) 目覚し装置
CN2218487Y (zh) 定时唤醒枕
KR200240656Y1 (ko) 알람시계의 알람 해제장치
JPH0285791A (ja) 腕時計
JP3037903U (ja) 目覚し具
KR20180003485U (ko) 전기충격손목시계
JP3030413U (ja) 低周波による目覚まし時計
JPS6319588A (ja) 目覚まし装置
JPH0661218U (ja) いびき防止器
JP3050035U (ja) 目覚まし機能付き枕
JPH10197657A (ja) ブルルン目覚しマクラ
CN2209996Y (zh) 电子催眠促醒器
CN2757799Y (zh) 家用微型遗尿治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