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149A - 진공변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변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149A
KR980008149A KR1019970031536A KR19970031536A KR980008149A KR 980008149 A KR980008149 A KR 980008149A KR 1019970031536 A KR1019970031536 A KR 1019970031536A KR 19970031536 A KR19970031536 A KR 19970031536A KR 980008149 A KR980008149 A KR 980008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toilet
bowl
vacuu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린 헨리
린드루스 군나
마트슨 롤란드
Original Assignee
티모 레이닐레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모 레이닐레, 에박 인터내셔널 오이 filed Critical 티모 레이닐레
Publication of KR98000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149A/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진공변기.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가벼운 무게의 변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모든 필요한 작동장치가 변기장치내에 표함되어 있어 용이한 서비스의 접근을 제공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진공변기는 변기보울(1), 변기기능용 작동수단(4-6) 및 변기보울(1)과 작동수단(4-6)의 양쪽을 둘러싸는 셀(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적어도 셀의 실질적인 부분(2, 2b)은 보울과 작동수단에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보울(1)이나 작동수단(4-6)의 지지하는데에 실질적인 영향없이 이동가능하다.
변기의 통상적인 사용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변기의 사용자에 의해 외부적으로 인가된 부하는 모두 셀에 의해 전달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선박이나 비행기 등의 진공변기에 사용됨.

Description

진공변기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진공변기장치의 측면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2도는 뒤쪽에서 본 제1도의 진공변기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3도는 셀의 상부가 올려진 제1도의 진공변기장치의 평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진공변기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5도는 제4도에서 나타낸 변기장치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서 표시된 Ⅵ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보울 2a : 하부지지부
2b : 부착 및 이탈가능한 상부 4 : 오수밸브
5 : 계량장치 6 : 물내림 제어제어장치
7 : 관 8 : 물공급관
9 : 물내리기 노브 10 : 시트링
11 : 덮개 12 : 레벨지지면
13 : 플랜지 14 : 외부 립
15 : 세정수 노즐 16 : 흡수고리
17 : 스커트 18 : 벽
20 : 플랜지 21 : 장착판
22 : 기초판 23 : 가장자리 판
24 : 플랜지 25 : 볼트
26 : 개구 27 : 너트
28 : 내부 캐비티 29 : 개구
32 : 내부 스커트 33 : 고무 립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진공변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르게는 진공오수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는 이 진공변기장치에 있어서는, 통상 폐쇄된 배출밸브(또는 오수밸브)가 변기보울의 출구 및 오수관 사이에 연결되고, 진공펌프, 예를 들어 송풍기 또는 배출기가 배출밸브를 가로지르는 큰 압력차(일반적으로 약 0.3에서 0.5bar)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압력차는, 부분적인 진공 하에서 연속적으로 진공변기를 유지하거나 또는 진공변기를 비우는 작용의 초기에 발생되는 것이다. 배출밸브가 물내림 명령요구에 응답하여 개방될 때, 변기보울의 내용물은 오수관 속으로 즉시 들어가고, 오수관을 따라 고속으로 변기수집통을 향하여 틀어막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어떤 예에서는, 변기 수집통 그 자체를 진공하에서 두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물이 중력하에서 변기보울 내로 흘러들어가서 변기보울로부터 배출물을 제거하면서 변기보울을 세정하는 종래의 물변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진공변기가 기능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진공변기는 배출물 반송매체로서 공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적변기보울을 세척하기 위한 물내리기 동작과 관련하여 적은 양의 세정수가 변기보울에 공급된다.
진공변기는 그의 오수밸브용 작동기 및 오수밸브 작동기와, 세정수 공급장치를 제어하고 오수밸브 작동기와 세정수 공급장치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가지는 세정수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세정 및 물내림작동을 위한 작동수단 및 다양한 안전수단, 예를 들어 오물밸브 내에 진공이 충분하지 않을 때 밸브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들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에서와 같이, 이 진공변기는 종래의 물변기보다 관리를 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변기의 모든 작동 및 제어수단은 변기장치 내의 변기보울에 직접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변기장치는 작동과 제어수단이 좁거나 제한된 상승공간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유지되도록 조립되어야 한다. 진공변기가 셀을 가지는 것이 미국 특허 제5,133,853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술된 내용에 따르면, 모든 장치가 셀의 안쪽에 위치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는 변기의 보수유지가 어려운데, 그 이유는 많은 부분을 분해하지 않으면 접근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변기장치, 특히 가벼운 무게의 변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모든 필요한 작동장치가 변기장치내에 포함되어 있어 용이한 서비스의 접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변기장치는 제조하는 관점에서 공지의 진공변기장치보다 더 장점이 있다.
해결해야 할 한 가지 문제점은 변기셀의 어떤 부분이 변기작동수단에 접근하는 서비스를 허용하기 위하여 분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변기보울과 작동수단, 이하 내부구성장치라 약칭되는 것은, 서비스되는 동안 지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는 두가지의 다소 다른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한가지 가능한 방법은, 서비스되는 동안에는 내부구성장치를 지지하고 통상의 사용할 때에는 변기상에 가해지는 모든 외부부하를 받도록 구성되는 하나의 기본적으로 정지되거나 고정된 부분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셀이 내부구성장치용 지지재로서 설계된다면, 변기유니트는 세 개의 중요한 요소: 즉 보울 지지셀부, 변기보울, 및 그에 의하여 지지된 다른 내부구성장치 및 셀의 분리가능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셀의 일부만이 지지부이기 때문에, 셀의 분리가능한 부분은 용이하게 제거될 것이고, 그에 의하여 내부구성장치가 접근할 수 있게 만들어 진다. 셀의 양쪽부분을 적절하게 설계함에 의하여, 이들을 적절히 상호간에 유지하기 위하여 못이나 그와 비슷한 고정수단이 필요없으며, 따라서 셀의 조립 가능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없다.
셀의 일부의 수단에 의하여 보울을 지지하는 것은 간단한 수단을 가진 안전한 지지상태를 제공한다. 단단한 보울은 그의 둘레에서 확실히 지지가능하고, 보울에 마련된 이 지지상태는 다른 내부구성장치로 보울에 의하여 전달된다. 변기보울 상에 작용하는 외부부하는 보울의 가장자리에 직접적으로 작동하고, 지지구조에 의하여 확실하게 담당된다.
셀의 상부는 보울 지지부, 예를 들어 벽에 고정된 부분일 수 있으며, 셀의 하부는 뗄 수 있는 부분이다. 셀의 하부가 지지부, 즉 변기보울과 셀의 윗부분의 양쪽을 다 지지하는 지지부라면, 보다 장점이 많은 해결책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셀의 상부가 셀의 하부상에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한 덮개로서 장착되고, 따라서 산뜻하고 원활한 외형이 얻어지고, 상부는 하부를 들어올림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외형의 관점으로부터, 셀의 상부의 아래쪽 가장자리에서 셀의 분할선을 덮는 립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셀의 하부가 지지부라면, 그의 윗가장자리는 변기보울과 셀의 상부가 그들의 지지상태를 받아들일 수 있는 평평한 지지면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변기보울은 바람직하게는 그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에 플랜지 형상부가 마련되며, 이 부분은 평평한 지지면과 맞추어진다. 변기보울과 셀의 하부는 부착부재 또는 접착재에 의하여 상호간에 고착되는데 이는 변기보울이 셀의 지지부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통상적으로 필요없기 때문이다.
변기보울의 위 가장자리에는, 세정수가 변기보울로 흘러들어가게 되도록, 측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밀폐된 고리형 공간의 형태로 된 물내림 고리가 있게 된다. 고리형 공간이 청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통상 어렵지만, 본 발명의 한 관점에 의하면, 만약 셀의 상부가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다면, 변기보울내로 아래쪽으로, 변기보울의 상부 가장자리의 안쪽으로 연장되고 변기보울의 벽의 상부와 함께 물내리는 고리를 형성하는 스커트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셀의 상부가 위로 들어올려질 때 물내림 고리가 전체적으로 개방되고,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또하나의 다른 가능한 방법은 가벼운 지지수단만으로 내부구성장치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즉 지지수단이 내부구성장치의 중량만을 떠맡고 실질적인 외부부하는 떠맡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들 경량의 지지수단은 그들의 적당한 위치에서 내부구성장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셀은 내부구성장치에 접촉한 부하가 전달되지 않고, 내부구성장치의 가벼운 지지수단으로 필수구성부분에는 전달되지 않은 채 변기보울의 통상의 사용할 때에 변기장치상에 작용하는 모든 외부부하를 지지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양자택일적인 경우에 있어서는, 어떠한 외부부하도 셀로부터 보울로 전달되지 않는다. 내부구성장치는 가벼운 지지수단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 있으며, 공장에서 기성제품으로 제조되고 시험가능한 단일 조립블록의 형태로 내부구성장치가 용이하게 설계되는 것이 가능하다. 필요하면 전체 셀 또는 그의 한 부분이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셀과 내부구성장치 사이에 부하 접촉면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구성장치가 무거운 지지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내부구성장치의 무게와 그의 지지수단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장치는 실제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모든 내부구성장치가 셀의 내부에 있도록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또한 내부 구성장치의 일부가 셀의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또는 전체 셀을 제거함으로써 제공되는 접근공간이 되는 변기보울의 뒤쪽 공간내에 있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변기장치는 벽에 부착될 수 있게 만든다. 셀의 강도에 따라, 변기의 하부가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거나, 또는 셀이 또한 바닥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셀의 지지부는, 벽에 고정된, 바람직하게는 안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인 단단한 부착블랜지를 그의 뒤쪽에 포함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른 경우에는, 셀의 뒤가 개방되어 변기장치의 하중을 줄일 수 있다. 세번째 가능성으로서, 변기장치가 벽에 어떤 연결도 없이 단지 바닥에만 부착될 수 있다.
셀의 상부에는, 부착되고 바람직하게는 힌지딘 시이트링 및, 가능하면 폐쇄가능한 덮개가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셀의 상부가이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한 부분이라면, 셀의 다양한 상부들이 셀의 표준형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의하여 다양한 변기모델이 창조된다. 그들은 다른 시트링과 다른 덮개를 가질것이며, 셀의 윗부분 역시 다른 모델로 다르게 형성될 것이다.
가벼운 변기장치를 생산하기 위하여, 강화섬유 플라스틱, 예를 들어 강화 유리섬유 플라스틱으로부터 셀을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한다.
[실시예]
제1 내지 3도에서 나타낸 변기유니트에 있어서, (1)은 변기보울, (2a)는 변기보울을 둘러싸는 셀의 하부지지부, (2b)는 셀의 부착 및 이탈가능한 상부를 나타낸다. 변기유니트는 보울의 열린 배출구를 닫는 오수밸브(4)와, 세정수 공급관이 연결된 세정수 공급용 계량장치(5) 및, 오수밸브(4)와 계량장치(5)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물내림 제어장치(6)를 포함한다. 구성부(4), (5) 및 (6)는 제1도에서 개략선으로만 도시하였으며, 제2도와 제3도에서 완전히 도시하였다.
제1 내지 3도에서 나타낸 변기유니트는 벽(18)에 고정된 소위 벽걸이 모델로서, 바닥면에서 완전히 떨어진 것이다. 변기셀과 바닥면사이의 거리 d는 약 4-5cm 정도이다. 셀의 지지부(2a)의 뒤쪽에는, 안쪽으로 들어가는 플랜지(20)가 있고, 그에 의하여 셀의 이 부분이 벽(18)에 고정된다. 구성부 (4), (5) 및 (6)은 장착판(2 1)에 고정되고, 변기장치가 조립되는 동안 벽(18)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판(21)은 셀의 하부(2a), 예를 들어 플랜지(20)에 마찬가지로 고정된다. 오수밸브(4)의 뒤에는, 벽(18)내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짧은 관(7)이 있어 진공오수구에 직접연결할 수 있다. 시트링(10)과 변기보울 덮개(11)는 셀의 상부(2b)에 달려있다. 변기의 비움 및 세정동작은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벽(18)에 있거나 또는 덮개(11)뒤의 셀의 상부(2a)에 위치하는 물내리기 노브(9)를 눌러서 작동된다.
셀의 지지부(2a)의 윗 가장자리에는 레벨지지면(12)이 형성되며, 그 위에 변기보울(1)의 상부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 및 셀의 부착 및 이탈가능한 상부(2b)가 위치된다. 변기보울(1)은 그의 플랜지(13)의 수단만에 의하여 셀의 하부(2a)상에 고정되고 지지된다. 셀의 상부(2b)의 아래 가장자리에서는, 외부 립(14)이 있어서, 셀의 하부(2a) 및 상부(2b)의 사이의 분리선을 덮게된다.
구성부(4), (5) 및 (6)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셀의 상부(2b)가 지지면(12)을 들어내게 된다. 이 때, 변기보울 뒤의 공간이 열리며, 이 공간에 서비스를 요하는 구성부(4), (5) 및 (6)가 위치된다. 구성부(4), (5) 및 (6)은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으며, 이들이 제거되거나 또는 그 자리에서 서비스가 가능하다.
세정수는 세정수 계량장치(5)로부터 적어도 3개의 세정수 노즐(15)로 도출되며, 여기에서 물은 내부면이 세정될 수 있는 힘으로 변기보울의 내면에 분사된다. 세정수 노즐(15)은 물내림 고리(16)내에 수용되며, 셀의 상부(2b)의 안쪽 스커트(17)에 의하여 그의 내부로 제한된다. 스커트(17)는 보울의 안쪽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변기보울의 가장자리로부터 변기보울의 아래쪽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연장된다. 셀의 상부가 올려질 때, 물내림 고리는 전체가 개방된다.
구성부분(4), (5), (6), (8) 및 (9)의 기능은 이 장치들이 그자체로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제4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 보울(1)은 평판 스테인레스 스틸을 깊이 인장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판의 모서리들은 깊이 인장되는 동안에 단단히 유지되고, 보울에 대하여 뒤로 연장된 아암을 가지는 가장자리판(23)을 형성한다. 보울(1)과 다른 내부장치 (4), (5) 및(6)는 변기 뒤의 벽에 붙은 기초판(22)로부터 충분히 가벼운 지지상태를 받게 된다. 기초판(22)에 부착되는 것은 내부장치를 지지하지만, 변기의 사용자의 부하를 지지할 정도는 아니다.
시트와 덮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낸 셀(2)은 분할되어 있지 않으며, 즉 하나로 되어 있으며, 판(22) 뒤의 벽에 판내의 개구(26)를 통하여 부착된 강한 볼트(2 5)에 의하여 유지된 강부착 플랜지(24)를 가진다. 셀(2)의 뒷면의 다른 부분은 판 (22) 뒤의 벽으로부터 직접 기초판(22)의 바깥쪽에서 지지대를 수신한다. 셀(2)은 변기보울(1)을 둘러싸는 내부 캐비티(28)를 규정하고, 가장자리판(23)을 포함하며, 셀이 벽에 부착될 때 다른 내부장치들을 포함한다. 셀은 그의 위 림에서 보울보다 얇고 좁은 개구(29)를 가진다. 이 개구(29)는 개구(29)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내부스커트(32)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셀(2)은, 특히 제5도의 평면에 수직인 벽으로부터 내부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동안에 볼트(25)에서 너트(27)를 제거함에 의하여 분해되고, 벽으로부터 수평으로 떨어진 셀을 제거한다. 전체 셀(2)을 제거함에 의해서, 내부구성장치는 서비스를 위해 접근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 셀은벽을 향하여 수평으로 제거하고, 볼트(25)상의 너트를 교환함으로써 교환될 수 있다.
셀(2)이 벽에 부착될 때, 셀은 내부구성장치에 접촉되어 부하전달되는 상태에 있지 않다. 셀이 보울과 접촉하지 않고 또한 보울 및 다른 내부장치에 부하의 전달이 없는 통상의 사용할 때에 있을 때에는, 보울에 대한 셀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제한된 변형을 허락하도록 셀과 변기보울(1)의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변기보울(1)은 변기보울 시트아래에 위치되지만, 변기장치의 사용자의 하중은 셀(2)과 그의 벽에 부착된 부착물에 의하여 지지된다.
유연한 고무 립(33)은 스커트(32)의 외면에 붙어있고, 셀(2)이 벽에 붙어 있을 때 보울의 내부에 대하여 밀폐한다. 고무 립은 외부의 부하가 셀에 인가될 때 보울에 대하여 셀의 제한된 아래쪽 편차가 허용되는 동안에 캐비티(28)와 변기보울 사이에 적당한 밀폐를 제공한다.
변기보울의 내부면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또는 다른 들러붙지 않는 피막으로 입혀진다. 이는 진공변기 자체에서 알려진 것이다. 셀은 강화 유리섬유 플라스틱이다. 이는 가볍지만 강도가 충분한 구조를 준다.
본 발명은 보여준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고, 그의 몇 가지 개량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한도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변기보울(1)과; 변기기능용 작동수단(4-6)과; 변기보울(1) 및 작동수단(4-6)을 둘러싸는 외부셀(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변기에 있어서, 보울 및 작동수단으로의 서비스 접근을 허용하도록, 보울(1) 또는 작동수단(4-6)이 지지상태에 어떠한 실질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채로 적어도 셀의 실질적인 부분(2, 2b)이 제거가능하며; 변기의 통상의 사용할 때에, 변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발휘된 모든 외부인가 부하의 거의 전부가 셀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셀(2)은 상호간에 분리가능한 2부분(2a, 2b)으로 분리되며, 그 중의 하나(2a)는 셀(2)의 두 번째 부분(2b) 및 변기보울(1)의 양자를 지지하는 고정적인 보울지지부이며, 두 번째 부분(2b)은 용이하게 부착 및 이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보울지지부(2a)는 셀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4. 제3항에 있어서, 셀의 상부(부착 및 이탈가능한)는 변기보울(1)의 상부가장자리의 안쪽으로 방사형상으로 연장되고 그의 안쪽 모서리에 아래쪽으로 향하는 립을 가지는 스커트(17)를 포함함으로써, 그에 의하여 변기보울과 함께 물내리는 고리형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셀의 하부(2a)의 상부에는: (a) 변기보울(1)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부(13); 및 (b) 셀의 상부(2b)를 지지하도록 구성및 채택된 지지면(1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6. 제3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의 상부(2b)의 하부 모서리에는, 분할된 셀(2)의 분리선을 따라서 셀의 하부(2a)의 외부로 연장된 덮개용 립부분(14)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7. 제2항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기에는 그것을 벽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며, 그 고정수단은 셀의 지지부(2a)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것과 일체로 형성된 부착 플랜지(20)를 포함하며, 그에 의하여 셀의 지지부(2a)는 벽(18)에 강고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8. 제1항에 있어서, 진공변기(1)에는 셀(2)과는 별도로 경량의 부착수단만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 수단은 서비스시에 작동수단(4-6) 및 보울(1)의 무게만을 유지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9. 상기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이트 요소(10)와, 임의적으로는 셀(2)의 상부에 바람직하게는 힌지식으로 폐쇄가능한 뚜껑(11)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10. 상기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2)은 강화섬유 플라스틱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변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1536A 1996-07-08 1997-07-08 진공변기장치 KR9800081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62791 1996-07-08
JP96279196 1996-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149A true KR980008149A (ko) 1998-04-30

Family

ID=6603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536A KR980008149A (ko) 1996-07-08 1997-07-08 진공변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968A (en) Vacuum toilet unit
US5271105A (en) Vacuum flush toilet assembly
US4376314A (en) Vehicular toilet
US5819331A (en) Urinal attachment for a toilet
US6012678A (en) Galley vacuum waste disposal system
US5231706A (en) Sanitary fixtures
US5079782A (en) Toilet assembly
JPH0775960B2 (ja) 取り外し自在な貯留タンクを有するレクリエーション用車両の汎用トイレシステム
EP0791111A1 (en) Toilet seat-bidet assembly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US3501778A (en) Self-contained sewerage system
KR980008149A (ko) 진공변기장치
WO1994016609A1 (en) Toilet seat assembly incorporating a seat washer
US2224868A (en) Chemical toilet
US11612282B2 (en) Toilet seat cover assembly for automatic cleaning
US6442771B1 (en) Flushing device
GB2247256A (en) Hollow toilet seat for use as flushing component in w.c.
US3722007A (en) Group wash station
GB2047302A (en) Preventing splashing from water closets and urinals
JPH05239855A (ja) 便器付属品の設置構造
JP4518062B2 (ja) 便器装置
JP2008095451A (ja) 便器装置
WO2001002654A1 (fr) Wc turcs a systeme de prerinçage
JP2534507Y2 (ja) 洗浄タンク用蓋
JPH05421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