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6937U -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6937U
KR980006937U KR2019960020652U KR19960020652U KR980006937U KR 980006937 U KR980006937 U KR 980006937U KR 2019960020652 U KR2019960020652 U KR 2019960020652U KR 19960020652 U KR19960020652 U KR 19960020652U KR 980006937 U KR980006937 U KR 9800069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upport
work piece
work
tap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20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6937U/ko
Publication of KR980006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93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에 관한 것으로, 상, 하로 관통되는 수개의 탭공(21a)이 형성된 판상의 받침 블록(21)과, 상기 받침 블록(21)의 탭공(21a)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공작물(18)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부재(22)로 구성하여, 공작물(18)에 형성하고자하는 원형공(18a)의 위치와 일치되지 않는 부위의 탭공(21a)을 여러 개소 선택하여 그 탭공(21a)에 받침부재(22)를 각각 나사 결합한 다음, 작업 테이블(11)의 상면에 받침 블록(21)을 올려 놓고 그 받침 블록(21)의 특정 탭공(21a)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재(22)에 공작물(18)을 올려 놓고 고정함으로써 공작물(18)을 성형 부위의 위치에 관계없이 재클램핑하지 않고 가공하고, 또 한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공작기계로 공작물을 가공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
제2도는 부분 절결 사시도.
제3도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결합 상태 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작업 테이블 12 : T홈 13, 13′: 계단 블록
14,14′ : 클램프 볼트 15, 15′: 너트 16, 16′: 클램프
17, 17′: 지지부재 18 : 공작물 18a : 원형공
20 : 공작물 세팅 치구 21 : 받침 블록 21a : 탭공
22 : 받침부재 22a : 받침부 22b : 나사부
23 : 너트
본 고안은 공작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작물을 성형 부위의 위치에 관계없이 재클램핑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구(tool)를 이용하여 소재의 절단, 절삭, 구멍 파기, 드릴링, 나사 절삭 및 연삭작업 등을 수행하는 기계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공작기계로 개발 금형 공작물(이하, '공작물'이라 약칭함)을 가공하는 상태를 보이 사시도로서, 작업 테이블(1)의 상면 양측에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는 받침 블록(2)(2′)을 각각 배치하고, 그 받침 블록(2)(2′)의 상면에 가공하고자 하는 공작물(3)을 올려 놓은 다음, 상기 작업 테이블(1)의 양측에 T홈(4)의 방향으로 계단블록(5)(5′)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1)에 형성된 T홈(4)으로 클램프 볼트(6)(6′) 및 너트(7)를 삽입한 후 클램프 볼트(5)를 회전시켜 클램프(8)(8′)를 조임으로써 공작물(3)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 9′는 와셔 등의 지지부재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 테이블(1)의 상면에 공작물(3)을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원형공(3a) 등을 형성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공작물(3)이 비교적 넓은 폭(w)의 받침 블록(2)(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므로 성형하고자 하는 원형공(3a)이 받침 블록(2)(2′)의 직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공구가 원형공(3a)을 형성하면서 받침 블록(2)(2′)을 손상시키는 형상이 발생되는바, 이와 같은 형상을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 볼트(6)(6′)를 풀어 공작물(3)의 위치를 다시 조정한 후, 클램프 볼트(6)(6′)를 다시 조여야 함으로써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공작물(3)의 위치를 재조정할 경우에는 원형공(3a)의 가공 위치가 틀어져 유지가 불가능하여 생산성의 저하의 요인으로 작요하게 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성형하고자 하는 원형공의 위치에 관계없이 공작물을 재클램핑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생상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공작 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 하로 관통되는 수개의 탭공이 형성된 받침 블록과, 상기 받침 블록의 탭공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공작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 블록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공은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열(列)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에 공작물의 하면을 점접촉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삼각 기둥 형성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11은 작업 테이블, 12는 T홈, 13, 13′는 계단 블록, 14, 14′는 클램프 볼트, 15는 너트, 16, 16′는 클램프, 17, 17′는 지지부재, 18은 공작물, 18a는 원형공을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20)는, 상, 하로 관통되는 수개의 탭공(21a)이 형성된 판상의 받침 블록(21)과, 상기 받침 블록(21)의 탭공(21a)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공작물(18)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탭공(21a)은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열(列)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탭공(21a)에 의한 열(列)과 인접한 열(列)과는 예를 들어, 30°, 45°등과 같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받침 블록(21)은 원판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존의 경우를 고려하면, 직경을 300~320㎜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충분한 여유치를 감안하여 350㎜ 내외로 형성한다.
상기 받침부재(22)는 상부에 공작물(18)의 하면을 점접촉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삼각 기둥 형상의 받침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나사부(22b)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나사부(22b)의 상단에 너트(23)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20)를 이용하여 공작물(18)을 가공함에 있어서는, 먼저 공작물(18)에 가공하려고 하는 원형공(18a)의 위치를 대략 파악한다.
이후, 상기 원형공(18a)의 형성 위치와 일치되지 않는 부위의 탭공(21a)을 여러 개소 선택하여 그 탭공(21a)에 받침부재(22)를 각각 나사 결합한 다음, 작업 테이블(11)의 상면에 받침 블록(21)을 올려 놓고 그 받침 블록(21)의 특정 탭공(21a)에 각각 결합된 받침부재(22)에 공작물(18)을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22)는 공작물(18)의 두께를 고려하여 적당하게 높이 조절을 한다.
이후, 상기 작업 테이블(11)의 양측에 T홈(12)의 방향으로 계단 블록(13)(13′)을 각각 배치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11)의 T홈(12)으로 클램프 볼트(14)(14′) 및 너트(15)(15′)를 각각 삽입한 후 클램프 볼트(14)(14′)를 회전시켜 클램프(16)(16′)를 조임으로써 공작물(18)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 테이블(11)에 공작물(18)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원형공(18a) 등을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는 상, 하로 관통되는 수개의 탭공이 형성된 받침 블록과, 상기 받침 블록의 탭공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공작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부재로 구성하여 공작물을 성형 부위의 위치에 관계없이 재틀램핑하지 않고 가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공작물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 하로 관통되는 수개의 탭공이 형성된 받침 블록과, 상기 받침 블록의 탭공에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되어 공작물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수개의 받침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블록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공은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열(列)을 이루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에 공작물의 하면을 점접촉에 의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삼각 기둥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그 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652U 1996-07-12 1996-07-12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KR9800069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52U KR980006937U (ko) 1996-07-12 1996-07-12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52U KR980006937U (ko) 1996-07-12 1996-07-12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937U true KR980006937U (ko) 1998-04-30

Family

ID=5396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652U KR980006937U (ko) 1996-07-12 1996-07-12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69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8886A (zh) * 2018-09-29 2019-01-04 嘉科(安徽)密封技术有限公司 一种离合器罩盖车边夹具
CN110497337A (zh) * 2019-08-14 2019-11-26 江苏吉鑫风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12mw超大型风电底座加工用工装夹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8886A (zh) * 2018-09-29 2019-01-04 嘉科(安徽)密封技术有限公司 一种离合器罩盖车边夹具
CN110497337A (zh) * 2019-08-14 2019-11-26 江苏吉鑫风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12mw超大型风电底座加工用工装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6778A (en) Machining fixtures
US8708323B2 (en) Mounting system
US20070267798A1 (en) Workpiece clamping device and method
US9782832B1 (en) Boring tool
KR20110063704A (ko) 물림 시 회전을 고정하는 바이스
KR102263072B1 (ko)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US6126159A (en) Machinable workpiece clamp
KR101035668B1 (ko) 가공물 고정용 지그
US7980160B2 (en) Deep throat chuck jaw system
US5516086A (en) Workpiece holding method and apparatus
US9789575B2 (en) Rotor V-block fixture and method
KR980006937U (ko) 공작기계용 공작물 세팅 치구
US4526354A (en) Clamping system
CN217290946U (zh) 一种用于激光切割的夹具
US5312154A (en) Apparatus for holding down workpieces to be machined
KR0158254B1 (ko) 공작물 고정장치
JPS6331850Y2 (ko)
CN213764020U (zh) 车床加工用夹具
KR100722756B1 (ko) 다용도 바이스
JP3198719U (ja) 縦型切削装置の加工用治具
CN212071141U (zh) 一种用于加工中心的瓶模夹具定位工装
CN210703656U (zh) 一种可调角度的钻斜孔夹具
US56946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header plug gasket face
CN109318018A (zh) 一种用于数控车床加工不规则外形零件的夹具
CN210878646U (zh) 一种便于翻转定位的工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